KR101706727B1 -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27B1
KR101706727B1 KR1020150145758A KR20150145758A KR101706727B1 KR 101706727 B1 KR101706727 B1 KR 101706727B1 KR 1020150145758 A KR1020150145758 A KR 1020150145758A KR 20150145758 A KR20150145758 A KR 20150145758A KR 101706727 B1 KR101706727 B1 KR 101706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unch
rail
groove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Priority to KR1020150145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에 모터가 설치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중량조정스크류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조정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조정축, 및 상기 중량조정축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조정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레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레일부는 펀치의 튐을 제한하기 위한 중량가이드레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펀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정제펀치타정기에서 생산되는 정제의 중량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Weight adjustment apparatus of the tablet punch press machine}
본 발명은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펀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정제펀치타정기에서 생산되는 정제의 중량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제펀치타정기는 분말 원료의 약제를 압축하여 작은 원판 형상의 정제로 성형하는 기기이다.
정제펀치타정기에서 생산되는 정제는 그 중량에 있어서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하여도 그 효험 및 효능이 달라지므로 아주 정확한 중량으로 생산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정제펀치타정기에는 정제의 중량편차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정제펀치타정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7750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정제펀치타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와 배전반을 구성한 본체(1) 내부에 메인모터(4)로 회동하도록 설치한 회전축(5)에 축착되고 다수의 정제성형공(11)이 동일 원주상에 형성된 메인디스크(10)와, 상기 메인디스크(10)의 상,하 양측에 다수의 정제성형용 상,하부펀치(21)(31)가 각각의 정제성형공(11)에 서로 대응하여 삽입,탈출하도록 설치된 상부펀치홀더(20)와 하부펀치홀더(30)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펀치홀더(20)의 상측에는 예압롤러(25a)와 본압롤러(25b)가 구성되고 이들에게 상부펀치(21)를 안내하였다가 원위치시키도록 형성한 상부트랙(25)을 본체(1)의 상단하우징(2)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며, 하부펀치홀더(3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트랙(25)의 예압롤러(25a)와 본압롤러(25b)에 대응하여 승강시스템(50)의 동작으로 상승 하강하며 정제 성형압력을 조절하도록 예압롤러(35a)와 본압롤러(35b)를 구성하고 이들에게 하부펀치(31)를 안내하며, 정제 성형용 분말원료의 투입량인 중량편차를 조절하도록 중량편차조절부(40)를 형성한 하부트랙(35)을 본체(1)와 일체로 형성된 메인테이블(3)에 고정 설치하여서 상기 메인모터(4)의 구동으로 메인디스크(10)와 상부펀치홀더(20)와 하부펀치홀더(3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호파(6) 등의 외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분말원료를 로터리형 원료공급장치(60)에 의하여 메인디스크(10)의 정제성형공(11)에 투입하여 정제를 연속 반복적으로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정제펀치타정기는 하부펀치가 중량편차조절부의 중량레일의 높아지는 경사면(상승구간)에 부딪혀서 펀치의 튐 현상이 발생하여 정제의 중량편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1-0037750 A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중량가이드레일에 의해 펀치가 중량레일의 상승구간에 부딪혀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정제펀치타정기에서 생산되는 정제의 중량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는, 일측에 모터가 설치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중량조정스크류와,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조정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조정축, 및 상기 중량조정축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조정축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레일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레일부는 펀치의 튐을 제한하기 위한 중량가이드레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가이드레일의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레일부는, 상기 중량조정축의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레일, 및 상기 중량레일의 상부에 배치되는 중량가이드레일을 포함하되, 상기 펀치의 헤드는 상기 중량레일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가이드레일의 하부에는 조립블록이 고정되고, 상기 조립블록에는 전후로 관통된 두 개의 장공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두 개의 상기 장공 사이에는 키홈이 형성되되, 상기 중량가이드레일은 상기 중량레일에 고정되는 위치를 상기 키홈을 따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는 펀치의 튐 현상을 방지하여 정제의 중량편차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는 펀치의 헤드에 알맞게 중량가이드레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는 펀치의 헤드에 대한 구속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제펀치타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정제펀치타정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전개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를 하우징 내부가 투시되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정축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정축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서 펀치가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서 펀치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전후좌우상하의 방향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를 하우징 내부가 투시되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정축이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정축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의 중량조절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서 펀치가 끼움홈에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에서 펀치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10)는, 일측에 모터(110)가 설치된 감속기(100)와, 감속기(100)에 연결되어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중량조정스크류(300)와, 하우징(400)에 설치되어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조정축(500), 및 중량조정축(5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량조정축(50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레일부(800)를 포함하되, 중량레일부(800)는 펀치(900)의 튐을 제한하기 위한 중량가이드레일(850)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
중량조절장치(10)는 모터(110)의 구동으로 중량레일부(800)를 승하강시켜 분말원료의 투입량을 설정하는 장치이며, 이하 중량조절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감속기(100)는 중량조절장치(10)의 맨 하부에 위치한다. 감속기(100)는 전방측에 고정설치된 모터(110)의 회전을 소정의 감속비로 감속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감속기(100)는 웜감속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기(100)의 상부에는 내부에 관통된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200)가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케이스(200)는 헤드부(210)와, 헤드부(210)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헤드부(210)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목부(220)와, 목부(220)의 하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0)는 감속기(100)와 플랜지부(230)가 볼팅으로 고정됨에 따라 감속기(100)에 고정설치된다. 케이스(200)의 중앙에는 후술할 중량조정스크류(300)가 케이스(200)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케이스(200)의 내부 상부, 즉, 헤드부(21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할 중량조정스크류(300)가 삽입되는 베어링(211)이 배치된다. 베어링(211)은 후술할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역할을 한다. 베어링(211)은 후술할 중량조정스크류(300)의 대경부(310) 하단에 걸린 채 록너트(213)에 의해 후술할 중량조정스크류(300)에 고정설치된다. 록너트(213)와 베어링(211) 사이에는 와셔(215)가 설치된다.
감속기(100)에는 중량조정스크류(300)가 연결된다. 중량조정스크류(300)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형 막대 형상으로써 서로 단차지게 형성된 대경부(310)와 소경부(320)로 이루어진다. 대경부(310)는 중량조정스크류(300)의 상부를 이루고, 소경부(320)는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하부를 이룬다. 대경부(310)는 소경부(320)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대경부(3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제1너트(520) 및 제2너트(53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중량조정스크류(300)는 감속기(10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수직하게 설치되며,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케이스(200) 상부측으로도 일부분이 돌출된 채 설치된다. 여기서, 케이스(200)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일부분은 대경부(3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조정스크류(300)의 소경부(320) 일부는 감속기(100) 내부에 위치하고, 중량조정스크류(300)의 소경부(320) 중 남은 일부는 케이스(200) 내부에 위치하며, 중량조정스크류(300)의 대경부(310)는 후술할 하우징(400) 내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경부(320)의 하부는 감속기(100)에 연결되고, 대경부(310)는 하우징(400) 내부에서 후술할 중량조정축(500)에 고정된 제1너트(520) 및 제2너트(530)에 나사결합된다. 중량조정스크류(300)는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조정스크류(300)는 모터(110)가 회전함에 따라 감속기(100)에 의해 소정의 감속비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케이스(200)의 상부, 즉, 헤드부(210)의 상부에는 하우징(400)이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하우징(40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에서 하부 좌측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400)은 상부에 설치된 원형홀(411)을 갖는 덮개(410)를 포함한다. 하우징(400)의 하단에는 중량조절장치(10)가 볼팅에 의해 정제펀치타정기의 내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420)가 형성된다. 하우징(400)은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된 원형의 제1중공(430)을 갖고, 제1중공(430)의 하부 좌측에는 제1중공(430)과 연통된 가이드홈(440)이 형성된다. 제1중공(430)의 직경은 덮개(410)에 형성된 원형홀(4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하우징(4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400)의 내부 상부와 하우징(400)의 내부 하부에는 가이드부시(450)가 각각 하나씩 고정되어 설치된다. 즉, 가이드부시(450)는 제1중공(430)의 내부에 설치된다. 가이드부시(450)는 제1중공(430)의 내부 상부와 제1중공(430)의 내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가이드부시(45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써 제1중공(430)의 내부에 상하로 대칭되도록 설치된다. 가이드부시(45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써, 외주면의 직경이 제1중공(430)의 직경에 대응한다. 가이드부시(450)는 동 재질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시(450)에는 상단 중앙에서 하단 중앙까지 관통된 원형의 축삽입공(451)이 형성된다. 축삽입공(451)의 직경은 후술할 중량조정축(500)의 외주면 직경 및 원형홀(411)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시(450)의 외주면 중앙에는 제1절개홈(453)이 형성된다. 제1절개홈(453)은 가이드부시(45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절개홈(453)은 가이드부시(450)의 외주면 전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부시(45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제1절개홈(453) 내부의 상면과 하면은 가이드부시(45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가이드부시(450)의 내주면에는 두 개의 제2절개홈(455)이 상하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절개홈(455)은 가이드부시(450)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2절개홈(455)은 가이드부시(450)의 내주면 전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가이드부시(45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두 개의 제2절개홈(455)은 제1절개홈(453)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두 개의 제2절개홈(455)은 제1절개홈(453)과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시(450)의 축삽입공(451)과 가이드부시(450)의 외주면 사이에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볼트체결공(457)이 형성된다. 상측에 위치한 가이드부시(450)에는 볼트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볼트체결공(457)이 형성되고, 하측에 위치한 가이드부시(450)에는 볼트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볼트체결공(457)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볼트체결공(457)은 6개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나,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볼트체결공(457)는 제1절개홈(453) 및 상하 두 개의 제2절개홈(45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트체결공(457)의 내측 단부 부근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볼트체결공(457)에는 볼트가 체결되어 가이드부시(450)의 축삽입공(451)에 삽입되는 중량조정축(5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두 개의 가이드부시(450) 사이에는 스페이서(460)가 설치된다. 스페이서(460)는 외주면의 직경이 제1중공(430)의 직경에 대응하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써, 중앙에 상단부터 하단까지 관통된 제2중공(461)이 형성된다. 제2중공(461)은 제1중공(430)보다 직경이 작고, 축삽입공(451)보다 직경이 크다. 스페이서(460)는 두 개의 가이드부시(450) 사이 간격을 고르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400)에는 중량조정축(500)이 설치된다. 중량조정축(5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조정축(500)는 제1중공(430) 내부에 설치된 두 개의 가이드부시(450)의 축삽입공(451)과 스페이서(460)의 제2중공(46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중량조정축(500)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제3중공(510)이 형성된다.
중량조정축(500)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가 설치된다. 제1너트(520)는 중량조정축(500)의 제3중공(510) 내부 중간 부근에 설치되고, 제2너트(530)는 중량조정축(500)의 제3중공(510) 하단부에 설치된다. 제1너트(520)는 원형 링 형상으로써, 외주면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 핀홈(521)이 형성되어 있다. 핀홈(521)의 상하 폭은 후술할 가이드핀(550)의 상하 폭에 비해 크다. 제1너트(520)는 핀홈(521)과 중량조정축(5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핀홀(540)에 걸쳐 삽입되는 가이드핀(550)에 의해 제3중공(510) 내부에서 위치가 제한되어 고정된다. 핀홀(540)의 직경은 가이드핀(550)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제2너트(530)는 원통 형상의 삽입부(531)와, 삽입부(531)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활꼴 형상의 고정부(533)로 이루어진다. 제2너트(530)는 삽입부(531)가 제3중공(510)의 하부 측으로 삽입된 채 중량조정축(500)의 하단면에 고정부(533)가 볼팅되어 고정된다.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에는 중량조정스크류(300)의 대경부(310)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는 모터(1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와 고정된 중량조정축(500) 역시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중량조정축(500)은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회전운동에 따라 수직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제1너트(520)와 제2너트(530)의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560)가 배치된다. 제1탄성부재(560)는 상단이 제1탄성부재(560)의 상측에 위치한 제1너트(520)의 하단부를 밀고, 하단이 제1탄성부재(560)의 하측에 위치한 제2너트(530)의 상단부를 밀도록 설치된다. 제1탄성부재(560)는 제1,2너트(520,530)와 이에 나사결합되는 중량조정스크류(300) 간의 나사유격에 따른 백래쉬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제1탄성부재(560)는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하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너트(530)의 고정부(533)의 둘레면 중 평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에는 가이드블록(600)이 설치된다. 가이드블록(600)은 수평부(610)와, 수평부(610)의 좌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수직부(620)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블록(600)은 정면에서 볼 때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블록(600)은 수평부(610)의 우측 단부가 고정부(533)의 둘레면 중 평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에 볼팅되어 제2너트(530)에 고정된다. 가이드블록(600)은 하우징(400)의 가이드홈(440) 내 위치한다. 가이드블록(600)은 중량조정축(500)이 중량조정스크류(300)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상하 운동만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블록(600)의 전면 하부에는 가이드블록 구속부(700)가 설치된다. 가이드블록 구속부(700)는 하우징(400)의 전면측에 형성된 원형의 설치공(470)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설치공(470)은 가이드홈(4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설치공(470)의 내부 둘레면에는 후술할 조정볼트(730)가 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블록 구속부(700)는 압력핀(710), 제2탄성부재(720) 및 조정볼트(730)를 포함한다. 압력핀(710)은 원통형상으로써, 가이드블록(600)의 전면 하부에 후방측 단부가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제2탄성부재(720)는 압력핀(710)의 전방측 단부를 가압하여 가이드블록(600)의 전면 하부에 압력을 전달한다. 제2탄성부재(720)는 양단부 외측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디스크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볼트(730)는 설치공(470) 내부의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어 제2탄성부재(720)에 의해 가이드블록(600)에 전달되는 압력을 조정한다. 즉, 가이드블록(600)에 전달되는 압력은 조정볼트(730)를 설치공(470) 내부로 깊숙히 체결할수록 커진다.
가이드블록(600)의 후면에는 무급유슬라이드플레이트(630)가 고정설치된다. 무급유슬라이드플레이트(630)는 가이드블록(600)의 상하이동으로 인해 가이드블록(600)의 후면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중량조정축(500)의 상부에는 중량레일부(800)가 고정된다. 중량레일부(800)는 중량조정축(500)의 상하이동에 따라 펀치(900)를 안내하여 정제의 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중량레일부(800)는 제1고정블록(810), 제2고정블록(820), 중량레일(830), 조립블록(840) 및 중량가이드레일(8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펀치(900)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상부펀치와 하부펀치 중 하부펀치이다.
제1고정블록(8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써, 중량조정축(5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제1고정블록(810)에는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 관통되고, 상부가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 내에는 펀치(900)의 이동에 따라 중량레일(830)에 가해지는 충격하중 등을 감지하기 위한 로드셀(811)이 설치될 수 있다.
제1고정블록(810)및 로드셀(811)의 상부에는 제2고정블록(820)이 배치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제2고정블록(820)은 전체적으로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전면의 좌우 길이가 후면의 좌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2고정블록(820)의 상부에는 중량레일(830)이 배치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중량레일(830)은 전체적으로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2고정블록(820)에 비해 좌우 길이가 길게 형성된다. 중량레일(830)은 전방 좌측단부 일부와 후방 우측단부 일부가 함몰되어 있다. 중량레일(830)은 펀치(900)의 하단부를 가이드하여 정확한 중량의 분말원료를 정제성형공(미도시) 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중량레일(830)은 좌측에 위치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상승구간(H)과, 상승구간(H)의 우측단부에서 우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배치된 수평구간(E)과, 수평구간(E)의 우측단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되고 수평구간(E)보다 낮게 위치하는 하강구간(L)을 포함한다. 펀치(900)는 도 9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대로 상승구간(H)부터 수평구간(E), 하강구간(L)을 거치도록 이동한다. 상승구간(H)에서는 원료공급장치(F)에 의해 정제성형공(미도시) 내부에 분말원료가 투입되고, 수평구간(E)에서는 정제성형공(미도시) 내부에 투입된 정량의 분말원료 외에 정제성형공(미도시) 외부로 쌓이는 등 오버된 분말원료를 스크래퍼(S)로 긁어내며, 하강구간(L)에서는 수평구간(E)에서 정제성형공(미도시) 내부에 투입된 정량의 분말원료가 정제성형공(미도시)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파우더커버(P)로 덮게 된다. 정제의 중량은 실질적으로 수평구간(E)에서 결정되어진다. 중량레일(830)의 전면 중앙 부근에는 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홈(831)이 형성된다. 수용홈(831)은 상하로 관통되고, 전방측이 개방되어 있다. 수용홈(831) 내부의 바닥면(전방면) 중앙에는 키조립홈(833)이 상하로 관통되고 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키조립홈(833)에는 키(835)가 삽입되어 볼팅에 의해 고정된다. 키(835)의 전후 폭은 키조립홈(833)의 전후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키(835)가 키조립홈(833)에 고정설치될 경우 키(835)의 일부분이 키조립홈(833)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진다. 키조립홈(833)의 좌우측에는 각각 조립블록체결공(837)이 형성된다.
수용홈(831)에는 조립블록(840)이 수용되어 중량레일(830)에 볼팅으로 고정설치된다. 조립블록(84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이다. 조립블록(840)에는 전후로 관통된 두 개의 장공(841)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각각의 장공(84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장공(841)의 좌우 폭은 조립블록체결공(837)의 직경에 비해 적어도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장공(841)의 상하 폭은 조립블록체결공(837)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두 개의 장공(841) 사이에는 키홈(843)이 형성된다. 키홈(843)은 조립블록(840)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고 후방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조립블록(840)은 키홈(843)에 키(835)를 삽입한 채 키홈(843)을 따라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여 중량레일(830)에 고정할 수 있다.
중량레일(830)의 상부에는 중량가이드레일(850)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량가이드레일(850)은 중량레일(830)에 고정된 조립블록(840)의 상부에 볼팅에 의해 고정설치된다. 중량가이드레일(850)은 전체적으로 전방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중량가이드레일(850)은 좌측 하부가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중량가이드레일(850)의 내측면, 즉, 중량가이드레일(850)의 후면에는 좌우로 길게 돌출부(851)가 형성된다. 돌출부(851)는 중량가이드레일(850)의 후면 중앙 부근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중량가이드레일(850)의 후면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851)는 펀치(900)가 수평구간(E)에서 하강구간(L)으로 이동하는 것을 원활하고 정확히 하기 위해 일부분이 하강구간(L)에서 다소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돌출부(851)는 수평면(851a), 수직면(851b) 및 경사면(851c)을 포함한다. 수평면(851a)은 돌출부(851)의 상면을 이루고, 수직면(851b)은 수평면(851a)의 후방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돌출부(851)의 후면을 이루며, 경사면(851c)은 수직면(851b)의 하단부에서 전방측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돌출부(851)의 하면을 이룬다. 돌출부(851)와 중량레일(830) 사이에는 끼움홈(853)이 형성된다. 끼움홈(853)에는 펀치(900)의 헤드(910) 일부분이 끼워진다. 끼움홈(853)에 끼워진 펀치(900)의 헤드(910) 상부는 펀치(90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없도록 돌출부(851)의 경사면(851c)에 대응된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승구간(H)과 수평구간(E)의 경계지점 부근에서 경사면(851c)에 접촉된다. 돌출부(851)와 끼움홈(853)은 펀치(900)의 헤드(910)가 중량레일(830)의 상승구간(H)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펀치(900)의 튐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펀치(900)를 중량레일(830)을 따라 정확히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중량가이드레일(850)은 중량레일(830)에 고정설치되는 조립블록(840)의 고정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에 따라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펀치(900)의 헤드(910) 크기에 따라 중량가이드레일(850)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중량가이드레일(8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펀치(900)의 헤드(910)에 대한 구속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중량조절장치 100 : 감속기
110 : 모터 200 : 케이스
210 : 헤드부 211 : 베어링
213 : 록너트 215 : 와셔
220 : 목부 230 : 플랜지부
300 : 중량조정스크류 310 : 대경부
320 : 소경부 400 : 하우징
410 : 덮개 411 : 원형홀
420 : 플랜지 430 : 제1중공
440 : 가이드홈 450 : 가이드부시
451 : 축삽입공 453 : 제1절개홈
455 : 제2절개홈 457 : 볼트체결공
460 : 스페이서 461 : 제2중공
470 : 설치공 500 : 중량조정축
510 : 제3중공 520 : 제1너트
521 : 핀홈 530 : 제2너트
531 : 삽입부 533 : 고정부
540 : 핀홀 550 : 가이드핀
560 : 제1탄성부재 600 : 가이드블록
610 : 수평부 620 : 수직부
630 : 무급유슬라이드플레이트 700 : 가이드블록 구속부
710 : 압력핀 720 : 제2탄성부재
730 : 조정볼트 800 : 중량레일부
810 : 제1고정블록 811 : 로드셀
820 : 제2고정블록 830 : 중량레일
831 : 수용홈 833 : 키조립홈
835 : 키 837 : 조립블록체결공
840 : 조립블록 841 : 장공
843 : 키홈 850 : 중량가이드레일
851 : 돌출부 851a : 수평면
851b : 수직면 851c : 경사면
900 : 펀치 910 : 헤드
H : 상승구간 E : 수평구간
L : 하강구간 F : 원료공급장치
S : 스크래퍼 P : 파우더커버

Claims (4)

  1. 일측에 모터(110)가 설치된 감속기(100);
    상기 감속기(100)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중량조정스크류(300);
    하우징(400)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조정스크류(3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조정축(500); 및
    상기 중량조정축(5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중량조정축(500)과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중량레일부(800);를 포함하되,
    상기 중량레일부(800)는,
    상기 중량조정축(5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전면에 수용홈(83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831)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키조립홈(833)이 형성되고 상기 키조립홈(833)의 좌우측에 각각 조립블록체결공(837)이 형성되는 중량레일(830);
    전후로 관통된 두 개의 장공(841)이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두 개의 상기 장공(841) 사이에 키홈(843)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831)에 수용되는 조립블록(840);
    상기 조립블록(840)의 상부에 고정되는 중량가이드레일(850);을 포함하되,
    상기 키조립홈(833)에는 상기 키조립홈(833)의 전방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키(835)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키홈(843)에는 상기 키(835)가 삽입되고 상기 조립블록(840)이 상기 키홈(843)을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되어 상기 중량레일(830)에 볼팅됨으로써 상기 중량가이드레일(85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가이드레일(850)의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85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851)와 상기 중량레일(830) 사이에는 상기 중량레일(830)의 상승구간(H)부터 수평구간(E), 하강구간(L)을 거쳐 이동하는 펀치(900)의 튐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펀치(900)가 끼워지는 끼움홈(85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145758A 2015-10-20 2015-10-20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Active KR101706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58A KR101706727B1 (ko) 2015-10-20 2015-10-20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758A KR101706727B1 (ko) 2015-10-20 2015-10-20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727B1 true KR101706727B1 (ko) 2017-02-16

Family

ID=582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758A Active KR101706727B1 (ko) 2015-10-20 2015-10-20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512B1 (ko) * 2019-04-23 2019-08-20 (주)트루나스 고형 조미료 타정 장치
IT202000000112A1 (it) * 2020-01-08 2021-07-08 Ima Spa Macchina comprimitr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500A (ja) * 1998-01-22 1999-08-03 Hata Tekkosho:Kk 回転式粉末圧縮成型機
KR20010037750A (ko) 1999-10-19 2001-05-15 이원우 로타리식 정제 압축성형기
KR101197188B1 (ko) * 2010-07-23 2012-11-02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이중펀치 타정기 및 정제 성형방법
KR101197187B1 (ko) * 2010-07-23 2012-11-02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이중펀치 타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7500A (ja) * 1998-01-22 1999-08-03 Hata Tekkosho:Kk 回転式粉末圧縮成型機
KR20010037750A (ko) 1999-10-19 2001-05-15 이원우 로타리식 정제 압축성형기
KR101197188B1 (ko) * 2010-07-23 2012-11-02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이중펀치 타정기 및 정제 성형방법
KR101197187B1 (ko) * 2010-07-23 2012-11-02 주식회사 세종파마텍 이중펀치 타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512B1 (ko) * 2019-04-23 2019-08-20 (주)트루나스 고형 조미료 타정 장치
IT202000000112A1 (it) * 2020-01-08 2021-07-08 Ima Spa Macchina comprimitrice.
WO2021140455A1 (en) * 2020-01-08 2021-07-15 I.M.A. Industria Macchine Automatiche S.P.A. Tablet press machine
CN114929464A (zh) * 2020-01-08 2022-08-19 I·M·A·工业机械自动装置股份公司 压片机
US12172401B2 (en) 2020-01-08 2024-12-24 I.M.A. Industria Macchine Automatiche S.P.A. Tablet press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042B1 (ko) 부각 성형 장치
KR101706727B1 (ko)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CN201030308Y (zh) 两级辊式粒料破碎机
US8819897B2 (en) Durable low-vibration long arm hinge apparatus
KR101715307B1 (ko)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CN103332309B (zh) 一种灌装机
KR101823280B1 (ko) 원추 롤러 베어링 조립 장치, 및 원추 롤러 베어링 조립 방법
KR101715308B1 (ko) 정제펀치타정기의 중량조절장치
KR20120012513A (ko)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KR101990209B1 (ko) 농산물 분쇄기
KR100840184B1 (ko) 트랙 롤러 가이드
US4545230A (en) Rotary forming machine having tie bar connection
CN1966923B (zh) 滑轮
EP2551099B1 (en) Compression moulding machine
CN108580766A (zh) 一种自动送料进料平板搓丝机
KR102176501B1 (ko) 도금된 볼트의 2축식 표면 후처리 장치
KR20130104955A (ko) 동심도 조절형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CN102152488B (zh) 压力机械
JP4459157B2 (ja) ネジ供給装置
CN208276768U (zh) 一种载具定位板的倾斜角度调节装置
CN213036765U (zh) 一种轴承自动注脂机的进料装置
KR20170115781A (ko) 넥킹캔 제조장치
CN216987874U (zh) 一种进料斗调节结构及其辊压机
CN220143548U (zh) 破碎颗粒大小可调的冲击式破碎机
US960902A (en) Tablet-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