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6723B1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723B1
KR101706723B1 KR1020167031989A KR20167031989A KR101706723B1 KR 101706723 B1 KR101706723 B1 KR 101706723B1 KR 1020167031989 A KR1020167031989 A KR 1020167031989A KR 20167031989 A KR20167031989 A KR 20167031989A KR 101706723 B1 KR101706723 B1 KR 101706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color
area
wear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651A (ko
Inventor
사토루 사카구치
도모미 이소가이
마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앞몸통 둘레부측이고, 또한 타겟 영역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있는 전측 영역과, 전측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전측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제 1 영역의 면적은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 일부에 착색을 실시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배설물의 색을 은폐하기 위해 어느 일정한 색상(먼셀 표색계의 5.7∼8.7의 범위)으로 착색된 팬티 라이너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는, 배뇨에 의해 생긴 변색 등의 시인성(視認性)을 높이기 위해, 친수성의 제(劑)가 시각적으로 변화하기 전후 어느 쪽인가의 색과 모양의 색을 유사색으로 한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국 특개 2004-130056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4-337385호 공보
흡수성 물품으로서 출생시의 체중이 3000g 이하인 저체중아에게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가 있다. 저체중아는, 출생 직후는 신생아 집중 치료실(NICU)이나 회복 치료실(GCU)의 보육기 내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다. 보육기 내에서는 몸에 입히는 것이 기저귀뿐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통상 사이즈의 기저귀에 비해 그 외관이 보다 중요해진다.
저체중아는, 본래 모친의 태내에서 성장하는 시기에 어떠한 영향으로 출산이 앞당겨진 아기이다. 저체중아는, 대사·혈류 등의 영향으로 피부 색이 일반 신생아와 비교하여 거무스름해지기 쉬운 경우도 볼 수 있다.
또, 보육기에 들어가 있는 저체중아의 경우, 절대 안정을 우선시키기 때문에, 모친이 접할 기회도 자유롭지 않다. 따라서, 모친의 모성 형성을 촉진하려면, 아기를 보다 귀엽게 느끼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 저체중아를 갖는 모친 중에는, 예정보다 빨리 아기를 낳음으로써 미안하다는 기분이 되거나 자신을 탓하거나 우울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저체중아용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그러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모친(또는 면회하러 온 가족 등)의 기분을 완화시켜, 안심감을 주는 효과도 요구된다.
또한, 보육기 내는 모체(자궁 내)를 재현하도록 환경 조성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자궁 내와 동일하도록 조도가 어둡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을 궁리했다고 해도, 보육기 밖에서 보는 경우에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즉, 어둑한 보육기 내에 아기가 있는 경우라도, 보육기 밖에서 아기를 보았을 때에 몸에 입고 있는 기저귀를 알기 쉬운 것도 중요해진다.
또, 저체중아는, 신체 기능·생명 유지 기능이 불안정한 경우가 있어, 혈변이나 혈뇨를 수반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에 피의 색에 가까운 적색계·등색계(橙系)의 강한 색감을 이용하면, 간호사 등이 혈변이나 혈뇨가 있다고 오인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저체중아의 피부 색을 좋아 보이게 하여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주며, 보육기 밖에서도 시인성이 높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의 오인의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명의 일례는,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股下部)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앞몸통 둘레부측이고, 또한 상기 타겟 영역보다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있는 전측 영역과, 상기 전측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전측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히 한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저체중아의 피부 색을 좋아 보이게 하여,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주고, 보육기 밖에서도 시인성이 높으며, 또 간호사 등이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a∼도 2c는 일회용 기저귀(1)의 각 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a는 앞몸통 둘레부(3)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b는 가랑이 아래부(5)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c는 뒷몸통 둘레부(7)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패스닝 테이프(30)의 설명도이다.
도 4a는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도 1의 이면(裏面))이다.
도 4b는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도 1의 이면)이다.
도 4c는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도 1의 이면)이다.
도 5는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도 1의 이면)이다.
도 6은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도이다.
도 7a는 타겟 영역(E3)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7b는 하측이 되는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패스닝 테이프(30) 상에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춤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앞몸통 둘레부측이고, 또한 상기 타겟 영역보다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있는 전측 영역과, 상기 전측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전측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전측 영역에 있어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된 영역을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보다도 넓게 설치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 또는 착용 시에,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복부(腹部)의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체중아의 생기없는 피부색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특히, 전측 영역은, 일회용 기저귀를 아기에게 착용한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 등으로 숨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아기가 위를 향해 누워 있는 경우에 눈에 들어오기 쉬운 영역이다. 이 부분에 연한 복숭아색을 많이 배치함으로써,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착색 영역에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함으로써, 보육기 밖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시인하기 쉽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도 낮다.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되고,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뒷몸통 둘레부측, 또한 상기 백색 영역보다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의 영역으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후측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후측 영역에 있어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된 영역을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보다도 넓게 설치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 또는 착용 시에,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등부(背部)의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체중아의 생기없는 피부색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후측 영역은, 엎드려 누워 있는 아기를 볼 때(엎드려 누워 있는 아기에게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킬 때)에 가장 눈에 들어오는 영역이다. 이 부분에 연한 복숭아색을 많이 배치함으로써,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착색 영역에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함으로써, 보육기 밖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시인하기 쉽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도 낮다.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과, 상기 타겟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타겟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타겟 영역에 있어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된 영역을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보다도 넓게 설치했기 때문에, 저체중아에게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복부의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체중아의 생기없는 피부색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 모친 등은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하기 위해 타겟 영역을 주시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연한 복숭아색을 많이 배치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할 때에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착색 영역에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함으로써, 보육기 밖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시인하기 쉽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도 낮다.
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품 길이 방향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저면(底面)으로부터 상기 착색 영역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 영역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오목부에서는, 착색 영역과 착용자의 피부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착색 영역의 색을 보다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피부에 대하여 백색 영역이 접하는 범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의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다.
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제품 길이 방향 및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타겟 영역의 중앙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상기 타겟 영역에 걸어맞춘 경우에 당해 패스닝 테이프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가 덮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시에는 제 2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색을 시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타겟 영역에 있어서의 다른 색(즉, 제 1 영역의 연한 복숭아색)을 보다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는, 상기 패스닝 테이프의 테이프 폭 방향의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한쪽의 패스닝 테이프에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를 겹쳐 상기 타겟 영역에 걸어맞춤 가능하며, 상기 테이프 폭 방향의 길이는 상기 착색 영역의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2 영역을 패스닝 테이프로 덮은 상태라도, 패스닝 테이프의 상하에는 제 1 영역의 일부가 나타난다. 즉, 이러한 패스닝 테이프의 잠금 방법을 실시한 경우라도,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시는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복부의 피부 색 그라데이션이 얻어지기 때문에, 피부를 밝아 보이게 할 수 있다.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상기 타겟 영역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킨 경우에, 상기 패스닝 테이프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가지며,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패스닝 테이프에 있어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된 영역을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보다도 넓게 설치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켰을 때에,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복부의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체중아의 생기없는 피부색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패스닝 테이프는, 일회용 기저귀를 아기에게 착용할 때에 파지하는 부분인 점에서, 주시하기 쉬운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에 연한 복숭아색을 많이 배치함으로써,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한, 착색 영역에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함으로써, 보육기 밖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시인하기 쉽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도 낮다.
또,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상기 가랑이 아래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에 걸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방누(防漏) 시트를 갖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방누 시트의 단부는, 상기 백색 영역의 일부에만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의 중심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을 향해, 제 1 영역, 방누 시트가 있는 백색 영역, 방누 시트가 없는 백색 영역, 피부의 순서가 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이 보다 명확해져 피부 색을 보다 밝아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및 가랑이 아래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설치되는 레그 개더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다리 둘레 영역과, 상기 다리 둘레 영역 내에 설치되어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다리 둘레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다리 둘레 영역에 있어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된 영역을 그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보다도 넓게 설치했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경우에,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다리 둘레의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이 얻어진다. 따라서, 저체중아의 생기없는 피부색을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아기가 다리를 움직인 경우에는 다리 둘레 영역도 다리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연한 복숭아색이 눈에 들어오기 쉬워, 모친 등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또, 착색 영역에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함으로써, 보육기 밖에서도 일회용 기저귀를 시인하기 쉽고, 또한 혈변이나 혈뇨 등을 오인할 가능성도 낮다.
또, 상기 제 1 영역에 착색된 색은, RGB 표색계에 기초하는 R의 값이 255∼232, G의 값이 190∼245 및 B의 값이 185∼245의 범위에 있는 색이다.
이와 같이, 제 1 영역에 착색된 색은, RGB 표색계로도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백색 영역은, 그 광선 투과율이 상기 착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광선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백색 영역에 있어서 피부 색이 비쳐 보인다. 즉,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경우,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피부 색 그라데이션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부 색을 밝아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백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은, 25% 이상이고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은, 35% 이상이고 8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을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그라데이션에 적절한 피부의 투명감(백색 영역의 백색과 피부 색과의 혼색의 정도)을 낼 수 있다.
또, 일회용 기저귀는, 상기 착색 영역이 설치되는 영역 내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즈 및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 영역을 갖고, 당해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같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표시 영역은, 일회용 기저귀를 아기에게 착용시킬 때 등에 모친 등이 주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영역을 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모친 등이 당해 영역을 주시했을 때에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일회용 기저귀(1)의 개략 형상>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출생시의 체중이 3000g 이하인 저체중아를 위한 일회용 기저귀이다. 특히, 출생시의 체중이 2500g 미만인 저출생체중아에게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 저체중아에는, 저출생체중아 뿐만이 아니라, 극저출생체중아(출생시의 체중 1500g 미만)나 초저출생체중아(출생시의 체중 1000g 미만)도 포함된다.
도 1은 저체중아용의 일회용 기저귀(1)의 전개 평면도(일회용 기저귀(1)를 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2a∼도 2c는 저체중아용의 일회용 기저귀(1)의 각 부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a는 앞몸통 둘레부(3)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b는 가랑이 아래부(5)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2c는 뒷몸통 둘레부(7)의 분해 설명도이다. 도 3a는 패스닝 테이프(30)를 표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b는 패스닝 테이프(30)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소위 오픈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부(3)와, 가랑이 아래부(5)와, 뒷몸통 둘레부(7)를 갖는다. 앞몸통 둘레부(3)는,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복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또, 뒷몸통 둘레부(7)는, 착용자의 뒷몸통 둘레(등측)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가랑이 아래부(5)는, 앞몸통 둘레부(3)와 뒷몸통 둘레부(7)와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부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방향을 정의한다. 즉, 앞몸통 둘레부(3)로부터 뒷몸통 둘레부(7)로 향하는 방향을 「제품 길이 방향(L)」이라고 하고, 제품 길이 방향(L)과 직교하는 방향을 「제품 폭 방향(W)」이라고 한다. 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과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 방향」이라고 하고,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을 「표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이측」이라고 한다.
일회용 기저귀(1)는, 중앙 띠형상 영역(12)과, 사이드 플랩(14)과, 레그 사이드 개더(16)와, 웨이스트 개더(18)를 갖는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14)에는 패스닝 테이프(3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중앙 띠형상 영역(12)은,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에 의해 구성된 폭 방향(W)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띠형상의 영역이다(도 1 참조). 중앙 띠형상 영역(12)은,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부위이다. 중앙 띠형상 영역(12)은, 액체 홀딩성의 흡수체(21)를 포함하는 세로가 긴 형상(제품 길이 방향(L)을 따른 형상)을 갖는다. 중앙 띠형상 영역(12)은, 주로, 흡수체(21), 톱 시트(22), 방누 시트(23) 및 백 시트(24)를 갖는다(도 2a∼도 2c참조).
흡수체(21)는,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해칭(hatching)의 영역은, 흡수체(21)가 차지하는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흡수체(21)는,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폭이 좁아지는 모래시계 형상을 갖는다. 흡수체(21)는, 톱 시트(22) 및 방누 시트(23)에 끼워져 배치되어 있다.
톱 시트(22)는, 흡수체(21)의 표측(도면 중의 상측)에 배치된 액체 투과성의 부재이다. 방누 시트(23)는, 흡수체(21)의 이측(도면 중의 하측)에 배치된 액체 불투과성의 부재이다. 방누 시트(23)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에 걸쳐 배치된다. 백 시트(24)는, 일회용 기저귀(1)의 이측의 외장을 구성하는 부재(외장 시트)이며,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방누 시트(23)의 이측에는 백 시트(24)가 배치되어 있다.
중앙 띠형상 영역(12)의 가랑이 아래부(5)에서는, 흡수체(21)와 백 시트(24)와의 사이에 신축 필름(25)이 배치되어 있다. 신축 필름(25)은, 가랑이 아래부(5)의 중앙 띠형상 영역(12)에 신축성을 부여하는 부재이다.
사이드 플랩(14)은, 제품 폭 방향(W)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부위이다. 사이드 플랩(14)은,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의 제품 폭 방향(W)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가랑이 아래부(5)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14)의 폭은, 앞몸통 둘레부(3) 및 뒷몸통 둘레부(7)에 있어서의 사이드 플랩(14)의 폭보다도 좁다. 한 쌍의 사이드 플랩(14)에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신축하는 레그 개더(15)(다리 둘레 신축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플랩(14)은, 주로 프론트 시트(26)와 백 시트(24)로 구성되어 있다(도 2a∼도 2c참조). 프론트 시트(26)는,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에 걸쳐 형성된 표측의 부재이며,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시트(26)는, 레그 사이드 개더(16)(입체 개더)를 구성하는 부재이기도 하며, 프론트 시트(26)의 외측의 부위(도 1의 굵은 점선의 접합부(26A)보다 외측의 부위)가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한다.
사이드 플랩(14)은, 프론트 시트(26)와 백 시트(24)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27)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27)는,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신축하는 띠형상의 부재이다. 탄성 부재(27)가 가랑이 아래부(5)의 프론트 시트(26) 및 백 시트(24)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레그 개더(15)가 구성된다. 탄성 부재(27)는, 예를 들면, 신축성의 부직포에 의해 시트상(狀)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실고무를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서 복수 배치하는 등 하여 구성해도 좋다.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다리 구멍의 틈새로부터의 액체 누설을 막기 위한 입체 개더이다. 한 쌍의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앞몸통 둘레부(3), 가랑이 아래부(5) 및 뒷몸통 둘레부(7)에 걸쳐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사이드 플랩(14)의 내측에서 중앙 띠형상 영역(12)의 양 가장자리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그 사이드 개더(16)는, 주로 프론트 시트(26)의 내측 부위로 구성되어 있다(도 2a∼도 2c참조). 가랑이 아래부(5)의 프론트 시트(26)의 안쪽 가장자리는 실고무 등에 의해 신축성을 갖고 있다. 프론트 시트(26)는, 중앙 띠형상 영역(12)과 사이드 플랩(14)과의 사이의 접합부(26A)에서 제품 길이 방향(L)을 따라서 접합되어 있다(도 1의 굵은 점선). 프론트 시트(26)의 접합부(26A)보다도 내측의 영역이, 접합부(26A)를 지점으로 하여 레그 사이드 개더(16)(입체 개더)를 구성한다.
웨이스트 개더(18)는, 뒷몸통 둘레부(7)에 있어서 제품 폭 방향(W)을 따라서 배치된 몸통 둘레 신축부이다(도 1 참조). 뒷몸통 둘레부(7)에서는, 흡수체(21)와 백 시트(24)와의 사이에,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이 배치되어 있다(도 2c 참조).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은, 제품 폭 방향(W)을 따라서 신축하는 띠형상의 신축 부재이다.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이 백 시트(24) 등에 신축성을 부여함으로써, 웨이스트 개더(18)가 구성된다.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의 폭 방향(W)의 길이는 흡수체(21)보다도 길다. 이 때문에, 웨이스트 개더(18)는, 흡수체(21)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30)는,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7)(사이드 플랩(14))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도 1 참조).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하는 프론트 시트(26)와 백 시트(24)와의 사이에 패스닝 테이프(30)의 일부가 끼워넣어짐으로써(도 2c 참조), 패스닝 테이프(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30)는, 기단(基端) 영역(A)과, 중간 영역(B)과, 후크 시트 영역(C)과, 선단 영역(D)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30)는, 기재 시트(32)와, 후크 시트(34)와, 타겟 시트(36)를 갖는다.
기단 영역(A)은, 사이드 플랩(14)과 접합되는 영역이다. 기단 영역(A)은, 사이드 플랩(14)을 구성하는 2매의 시트(프론트 시트(26) 및 백 시트(24))에 끼워넣어져 있고, 기단 영역(A)의 양면이 사이드 플랩(14)과 접합되어 있다. 또, 기단 영역(A)이 사이드 플랩(14)의 이측의 면 상에 접합되어, 기단 영역(A)의 한쪽 면만이 사이드 플랩(14)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기단 영역(A) 이외의 영역(중간 영역(B), 후크 시트 영역(C), 선단 영역(D))은, 뒷몸통 둘레부(7)의 사이드 플랩(14)으로부터 제품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중간 영역(B)은, 기단 영역(A)과 후크 시트 영역(C)과의 사이의 영역이다. 후크 시트 영역(C)은, 후크 시트(34)가 설치된 영역이며,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추는 영역(걸어맞춤 영역)이다. 중간 영역(B)에는 후크 시트(34)가 없기 때문에, 중간 영역(B)의 굽힘 강성은 후크 영역보다도 작아, 중간 영역(B)은 접어 구부리기 쉽다. 선단 영역(D)은, 후크 시트(34)보다도 외측의 영역이다. 선단 영역(D)은, 패스닝 테이프(30)의 착탈 시에 손가락으로 잡는 「손잡이」로서 기능한다. 또, 도 3a의 영역 X는 사이드 플랩(14)의 영역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30)의 테이프 폭 방향의 길이(후크 시트 영역(C)의 테이프 폭 방향의 길이)는, 타겟 테이프(29)(후술의 착색 영역(CE))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32)는, 패스닝 테이프(30)의 기재가 되는 시트이다. 기재 시트(32)는, 부직포 또는 부직포에 필름을 래미네이트한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 기재 시트(32)는, 1매 또는 복수매 겹친 시트(부직포 또는 부직포에 필름을 래미네이트한 시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재 시트(32)는, 패스닝 테이프(30)의 기단 영역(A)에서부터 선단 영역(D)까지의 전(全)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후크 시트(34)는,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추는 시트이다. 후크 시트(34)는,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에도 걸어맞춤 가능하다. 후크 시트(34)의 표면(기재 시트(32)측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다수의 걸어맞춤 후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걸어맞춤 후크가 타겟 테이프(29)에 걸림으로써, 패스닝 테이프(30)가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하게 된다. 후크 시트(34)는 기재 시트(32)에 접합되어 있다.
타겟 시트(36)는,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후크 시트(34)를 걸어맞춤 가능한 시트이다. 타겟 시트(36)는, 1매 또는 복수매의 부직포를 겹친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타겟 시트(36)는, 후크 시트(34)와는 반대측에서 기재 시트(32)에 접합되어 있다.
타겟 시트(36)는, 적어도 후크 시트 영역(C) 및 선단 영역(D)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 중의 타겟 시트(36)는, 기단 영역(A)의 일부(기단 영역(A)의 중간 영역(B)측의 일부), 중간 영역(B), 후크 시트 영역(C) 및 선단 영역(D)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타겟 시트(36)가 기단 영역(A)에서부터 선단 영역(D)까지 설치되는 동시에, 타겟 시트(36)가 기단 영역(A)에서 기재 시트(32)와 함께 사이드 플랩(14)에 접합되어 있으면,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착탈 시에 타겟 시트(36)가 기재 시트(32)로부터 박리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타겟 시트(36)는, 기단 영역(A)의 일부(중간 영역(B)측과는 반대측의 일부)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타겟 시트(36)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는, 웨이스트 개더 필름(28)(도 2c 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즉, 기단 영역(A)과 백 시트(24)와의 사이에, 타겟 시트(36)의 단부와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의 단부가 겹치지 않게 끼워져 있다. 이에 따라, 기재 시트(32)의 기단 영역(A)과 백 시트(24)와의 사이에서 단차를 경감하여, 타겟 시트(36)와 웨이스트 개더 필름(28)의 양쪽 모두를 끼워 넣기 쉽게 되어 있다.
앞몸통 둘레부(3)에는 타겟 테이프(29)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타겟 테이프(29)는, 앞몸통 둘레부(3)의 백 시트(24)의 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2a 참조). 타겟 테이프(29)는, 패스닝 테이프(30)와 걸어맞춤 가능한 부재이며,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테이프(29)(또는 후술의 타겟 영역(E3))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를 아기에게 착용시키게 된다.
<일회용 기저귀(1)의 영역에 대해서>
도 4a∼도 4c 및 도 5는, 일회용 기저귀(1)의 이면의 전개 평면도(두께 방향의 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착용 시의 형태로 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1)를 정면(앞몸통 둘레부(3)측)에서 본 도면이다. 일회용 기저귀(1)의 이측으로부터는, 방누 시트(23)나 기재 시트(32)에 인쇄된 소정의 모양을, 백 시트(24)나 타겟 시트(36)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다. 또, 모양은 백 시트(24)나 타겟 시트(36)에 직접 인쇄되어 있어도 된다.
일회용 기저귀(1)는,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타겟 영역(E3), 다리 둘레 영역(E4) 및 패스닝 테이프(30)로 나눌 수 있다. 전측 영역(E1)은, 일회용 기저귀를 아기에게 착용한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 등으로 숨는 면적이 적기 때문에,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한 아기가 위를 향해 누워 있는 경우에 눈에 들어오기 쉬운 영역이다. 후측 영역(E2)은, 엎드려 누워 있는 아기를 볼 때 등에 가장 눈에 들어오는 영역이다. 또, 타겟 영역(E3)은,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할 때,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추기 위해 주시하는 영역이다. 다리 둘레 영역(E4)은, 아기가 다리를 움직인 경우에 다리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눈에 들어오기 쉬운 영역이다. 패스닝 테이프(30)는, 일회용 기저귀(1)를 아기에게 착용할 때에 파지하는 부분인 점에서, 주시하기 쉬운 부분이다.
전측 영역(E1)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앞몸통 둘레부(3)측이며, 또한 타겟 영역(E3)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측에 있다(도 4a 참조. 도 4a의 굵은 선 내가 전측 영역(E1)을 나타냄).
후측 영역(E2)은,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뒷몸통 둘레부(7)측, 또한 백색 영역(WE2)(후술)보다도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측의 영역으로서, 패스닝 테이프(30)를 포함하지 않는다(도 4b 참조. 도 4b의 굵은 선 내가 후측 영역(E2)을 나타냄).
타겟 영역(E3)은, 앞몸통 둘레부(3)에 설치되며,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춤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타겟 테이프(29)가 있는 경우, 타겟 영역(E3)은 타겟 테이프(29)에 대응하는 영역이다(도 4c 참조. 도 4c의 굵은 선 내가 타겟 영역(E3)을 나타냄). 타겟 테이프(29)가 없는 경우, 타겟 영역(E3)은 일회용 기저귀(1)에 걸린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추기 위한 표적(모양)을 포괄하는 직사각형 영역이다.
다리 둘레 영역(E4)은, 일회용 기저귀(1)에 있어서 탄성 부재(27)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한다(도 5 참조. 도 5의 굵은 선 내가 다리 둘레 영역(E4)을 나타냄). 탄성 부재(27)가 시트상인 경우, 다리 둘레 영역(E4)은, 시트의 외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한다. 탄성 부재(27)가 복수의 실고무인 경우, 다리 둘레 영역(E4)은, 가장 내측의 실고무와 가장 외측의 실고무로 끼워진 영역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측 영역(E1) 및 후측 영역(E2)과 다리 둘레 영역(E4)은 일부가 중복되어 있다.
<착색 영역에 대해서>
전측 영역(E1) 내, 후측 영역(E2) 내, 타겟 영역(E3) 내,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 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CE)이 설치된다. 착색 영역(CE)은, 어느 영역 내(예를 들면, 전측 영역(E1) 내)에 있어서 백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된 영역이다. 착색 영역(CE)은, 일회용 기저귀(1)의 모양을 형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타겟 영역(E3) 및 다리 둘레 영역(E4)의 착색 영역(CE)은, 방누 시트(23)에 인쇄되어 있다. 패스닝 테이프(30)의 착색 영역(CE)은, 기재 시트(32)에 인쇄되어 있다.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및 다리 둘레 영역(E4)에는 주로 도트 무늬의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고(도 4a, 4b, 5 참조), 타겟 영역(E3)에는 직사각형의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다(도 4c 참조). 또, 패스닝 테이프(30)에는, 그 형상에 따른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 도 4a∼도 4c에 있어서의 모양(착색 영역(CE)의 배치)과, 도 5에 있어서의 모양(착색 영역(CE)의 배치)과, 도 6에 있어서의 모양(착색 영역(CE)의 배치)은 일부가 다르다. 예를 들면, 도 5에 있어서, 다리 둘레 영역(E4) 내의 착색 영역(CE)은, 도 4a 등의 다리 둘레 영역(E4) 내의 착색 영역(CE)보다도 많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4a∼도 4c 및 도 5의 패스닝 테이프(30)는,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6의 패스닝 테이프(30)는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 6의 타겟 영역(E3)에는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착색 영역(CE)은, 소정의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CE1)과, 소정의 색에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CE2)을 포함한다. 도 4a∼도 4c,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각 영역 내(전측 영역(E1) 내, 후측 영역(E2) 내, 타겟 영역(E3) 내,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 내)에 있어서, 제 1 영역(CE1)은 망점의 해칭으로 나타내고, 제 2 영역(CE2)은 도트의 해칭으로 나타낸다.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및 다리 둘레 영역(E4)에 있어서는, 도트 무늬의 제 1 영역(CE1) 및 제 2 영역(CE2)이 각각 복수 설치되어 있다(도 4a, 도 4b, 도 5 등 참조). 타겟 영역(E3)에 있어서는,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직사각형의 제 1 영역(CE1)과,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제 1 영역(CE1)보다도 타겟 영역(E3)의 중앙측에 형성된 하트형의 제 2 영역(CE2)이 설치되어 있다(도 4c 참조). 패스닝 테이프(30)에 있어서는, 기단 영역(A) 이외의 영역(중간 영역(B), 후크 시트 영역(C), 선단 영역(D))에 제 1 영역(CE1)이 설치되고, 기단 영역(A)에 제 2 영역(CE2)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소정의 색이란,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이다.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이들 색은, 연한 복숭아색으로서 시인된다.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나타난 소정의 색인지 어떤지의 판단은, 예를 들면, 육안으로 본 착색 영역(CE)(제 1 영역(CE1))의 색을 당해 색 견본첩과 대조함으로써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인(예를 들면 10명) 각각이, 착색 영역(CE)(제 1 영역(CE1))의 색을 육안으로 보고, 색 견본첩에서 어느 색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가장 많은 사람이 선택한 색이 그 영역의 색이라고 판단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의 색은 백 시트(24)나 타겟 시트(36)를 통하여 육안으로 본 경우의 색이다. 한편, 백 시트(24)나 타겟 시트(36)에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색 자체가 소정의 색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영역 내(전측 영역(E1) 내, 후측 영역(E2) 내, 타겟 영역(E3) 내,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 내)의 착색 영역(CE)은, 당해 영역 내에 있어서, 제 1 영역(CE1)의 면적이 제 2 영역(CE2)의 면적보다도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4a∼도 4c, 도 5 및 도 6 참조).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및 다리 둘레 영역(E4)과 같이, 어느 영역 내에 복수의 제 1 영역(CE1) 및 복수의 제 2 영역(CE2)이 있는 경우에는, 제 1 영역(CE1)의 면적의 합이 제 2 영역(CE2)의 면적의 합보다도 커져 있으면 된다. 또, 제 2 영역(CE2)이 없는 경우에는, 제 2 영역(CE2)의 면적은 0인 것으로 한다.
구체예로서, 어느 영역(예를 들면, 전측 영역(E1))에 있어서의 착색 영역(CE)은, 착색 영역(CE)의 면적에 대한 제 1 영역(CE1)의 면적을 나타내는 면적률이 50% 이상을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전측 영역(E1)의 착색 영역(CE)에는, 복수의 제 1 영역(CE1)과 복수의 제 2 영역(CE2)이 있다(도 4a 참조). 이 경우, 제 1 영역(CE1)의 총 면적을 제 1 영역(CE1) 및 제 2 영역(CE2)의 총 면적으로 나눈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면적률이다. 이 면적률이 50% 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전측 영역(E1) 내에 있어서, 제 1 영역(CE1)의 면적이 제 2 영역(CE2)의 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착색 영역(CE)을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착색 영역(CE)을 갖는 어떤 영역(예를 들면 전측 영역(E1))을 본 사람(간호사, 모친 등)은,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을 가장 강하게 인식한다(전측 영역(E1)이 연한 복숭아색 같은 색이라고 인식함). 연한 복숭아색은, 일반적으로 건강이나 젊음의 이미지를 갖는 점에서, 저체중아를 건강하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색채 심리학에서는, 복숭아색은 평화 주의나 행복을 상징하는 색이며, 사람에게 행복감을 주도록 작용하는 색이다. 또, 의학적인 관점에서는, 복숭아색은 난소 호르몬에 작용하여 호르몬을 분비시키고, 뇌에 자극을 주는 색이다. 따라서, 여성 호르몬을 활성화함으로써 모성의 형성이 촉구되는 효과도 있다. 즉, 복숭아색의 색감을 저체중아가 유일하게 몸에 입는 일회용 기저귀(1)의 주요한 색으로서 도입함으로써, 저체중아를 가짐에 따른 강한 불안을 느끼고 있는 부모의 마음을 밝게 하거나 달래거나 온화한 기분으로 해주어, 일시적으로라도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안심감을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저체중아는 출생 후, NICU, GCU에 들어가져 있기 때문에, 평상시의 생활을 함께 할 수 없는 저체중아에 대한 모친의 모성 형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으로 규정되는 소정의 색(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하는 한, 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타겟 영역(E3),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 각각의 착색 영역(CE)에 있어서의 주요색은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전측 영역(E1)에서는 주요색으로서 196U를 이용하고, 후측 영역(E2)에서는 주요색으로서 7436U를 이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착색 영역(CE)이 복수의 영역에 걸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영역(E1)과 다리 둘레 영역(E4) 쌍방에 걸치는 착색 영역(CE)이 존재한다. 이 경우라도, 각 영역에 있어서의 제 1 영역(CE1)의 면적의 합계가 제 2 영역(CE2)의 면적의 합계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 다리 둘레 영역(E4) 등,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영역마다 제 1 영역(CE1)의 면적(면적의 합계)이 제 2 영역(CE2)의 면적(면적의 합계)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다리 둘레 영역(E4)이면, 우측(좌측)만으로 제 1 영역(CE1)의 면적의 합계가 제 2 영역(CE2)의 면적의 합계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으로 규정되는 상기의 색을 RGB 표색계로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RGB 표색계에 기초하는 R의 값이 255∼232, G의 값이 190∼245 및 B의 값이 185∼245의 범위에 있는 색이 제 1 영역(CE1)에 착색된 색(소정의 색)이 된다. RGB의 값은, 예를 들면, 시판의 색채계를 이용함으로써 계측할 수 있다.
또, 간호사 등이 착용자의 혈뇨·혈변 등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착색 영역(CE)에는 적색계의 색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즉, 착색 영역(CE)은,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7U 및 707U보다도 진한 적색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7U 및 707U보다도 진한 적색은, RGB 표색계에 기초하는 R의 값이 239 이상, G의 값이 173 이하 및 B의 값이 175 이하의 범위에 있는 색에 대응한다.
또,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전측 영역(E1) 및 후측 영역(E2)에는, 정보 표시 영역(IE)(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세로선의 해칭으로 나타나는 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정보 표시 영역(IE)은, 제 1 영역(CE1)과 같은 색으로 착색된 영역이다. 정보 표시 영역(IE)은, 일회용 기저귀(1)의 전후, 일회용 기저귀(1)의 사이즈 및 일회용 기저귀(1)의 종류(상품명, 판매하는 회사명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다. 또, 정보 표시 영역(IE)은, 타겟 영역(E3),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정보 표시 영역(IE)은, 일회용 기저귀(1)를 아기에게 착용시킬 때 등에 사용자(간호사나 모친)가 주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영역을 연한 복숭아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모친 등이 당해 영역을 주시했을 때에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백색 영역에 대해서>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는 각 영역(전측 영역(E1), 후측 영역(E2), 타겟 영역(E3),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보다도 착용자(저체중아)의 피부측 방향에는, 백색 영역(WE1∼WE5)이 설치되어 있다.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은,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한 경우에 착용자의 피부가 위치하는 방향을 말한다.
전측 영역(E1)에 대응하는 백색 영역(WE1)은, 전측 영역(E1)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한다(도 4a의 비스듬한 점선으로 해칭된 영역).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백색 영역(WE1)은, 전측 영역(E1)과의 사이에 타겟 영역(E3)(타겟 테이프(29))을 끼우고, 앞몸통 둘레부(3)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백색 영역(WE1)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전측 영역(E1)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거의 같다.
후측 영역(E2)에 대응하는 백색 영역(WE2)은, 뒷몸통 둘레부(7)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다(도 4b의 비스듬한 점선으로 해칭된 영역).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백색 영역(WE2)은, 뒷몸통 둘레부(7)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백색 영역(WE2)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후측 영역(E2)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거의 같다.
타겟 영역(E3)에 대응하는 백색 영역(WE3)은, 타겟 영역(E3)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한다(도 4c의 비스듬한 점선으로 해칭된 영역).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백색 영역(WE3)은, 앞몸통 둘레부(3)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백색 영역(WE3)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타겟 영역(E3)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와 거의 같다. 백색 영역(WE3)은, 백색 영역(WE1)과 일부가 중복되어 있다.
다리 둘레 영역(E4)에 대응하는 백색 영역(WE4)은, 다리 둘레 영역(E4)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한다(도 5의 비스듬한 점선으로 해칭된 영역). 백색 영역(WE4)은,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다리 둘레 영역(E4)(탄성 부재(27))보다도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백색 영역(WE4)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는 다리 둘레 영역(E4)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와 거의 같다.
패스닝 테이프(30)에 대응하는 백색 영역(WE5)은,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영역(E3)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를 아기에게 착용시킨 경우에, 패스닝 테이프(30)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한다(도 6의 비스듬한 점선으로 해칭된 영역).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백색 영역(WE5)은, 앞몸통 둘레부(3)의 제품 길이 방향(L)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백색 영역(WE5)은, 백색 영역(WE1) 및 백색 영역(WE3)과 일부가 중복되어 있다. 백색 영역(WE5)의 제품 폭 방향(W)의 길이는,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춘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기단 영역(A)측의 단부로부터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기단 영역(A)측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거의 같다.
백색 영역(WE1∼WE5)은,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킨다. 구체적인 비율로서, 백색 영역(WE1∼WE5) 광선 투과율은, 25%∼80% 미만으로 되어 있다. 광선 투과율이 80%보다 높으면 피부 색이 거의 비쳐버리고, 착색 영역(CE) 및 피부와 백색 영역(WE1∼WE5)과의 콘트라스트가 약하여, 백색 영역을 설치하는 효과가 희미해진다. 반대로, 광선 투과율이 25% 미만이면, 백색 영역에서 피부의 투명감이 약해지는 점에서, 그라데이션의 효과가 희미해진다. 또, 광선 투과율은 35%∼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선 투과율의 측정은 JISK7105의 A법에 기초하여 실시한다. 측정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A300/ZE-2000형 교조 측광방식 색차계(닛폰덴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를 이용한다.
또, 백색 영역(WE1∼WE5)은, 그 광선 투과율이 착색 영역(CE)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선 투과율을 높임으로써, 백색 영역(WE1∼WE5)에 있어서 피부 색이 비쳐 보인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한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1)의 중심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을 향해서, 착색 영역(CE)(제 1 영역(CE1)), 백색 영역(WE1∼WE5), 피부의 순서가 된다. 즉, 연한 복숭아색∼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의 흰색과 피부 색이 혼색된 색)∼피부 색 그라데이션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부 색을 밝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방누 시트(23)의 앞몸통 둘레부(3)측의 단부는, 백색 영역(WE3)(백색 영역(WE1, WE5))의 일부에만 걸리도록 배치된다(도 4c 등 참조). 또,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방누 시트(23)의 뒷몸통 둘레부(7)측의 단부는, 백색 영역(WE2)의 일부에만 걸리도록 배치된다(도 4b 참조).
여기에서, 도 4c에 있어서, 백색 영역(WE3A)은 방누 시트(23)가 걸린 영역(방누 시트(23) 및 백 시트(24)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백색 영역(WE3B)은 방누 시트(23)가 걸려 있지 않은 영역(백 시트(24)만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광선 투과율은, 백색 영역(WE3A)보다도 백색 영역(WE3B) 쪽이 높다.
이러한 구성의 일회용 기저귀(1)를 착용한 경우에는, 일회용 기저귀(1)의 중심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을 향해서, 착색 영역(CE), 백색 영역(WE3A), 백색 영역(WE3B), 피부의 순서로 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이 보다 명확해져, 피부 색을 보다 밝아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의 광선 투과율은, 예를 들면, 착색 영역(CE)이 15∼25%, 백색 영역(WE3A)이 25∼35%, 백색 영역(WE3B)이 39∼80%가 되도록 설정된다.
또, 백색 영역(WE1∼WE5)은, 광선 투과율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각 백색 영역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의 강약이 생기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이 보다 확실해진다. 소정의 패턴은, 예를 들면, 백색 영역에 요철로 구성된 줄무늬를 형성한다. 이 요철은, 백색 영역을 구성하는 2 이상의 부직포의 최외층의 부직포에, 섬유량이 많은 볼록조 철조(凸條)와 섬유량이 적은 오목홈을 교대로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그 외의 구성>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부(3)의 단부(백색 영역의 일부)에, 제품 길이 방향(L)으로 패인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는,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시에는 착용자의 배꼽에 위치한다.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오목부(40)의 저면으로부터 착색 영역(CE)까지의 길이 α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백색 영역(WE3)의 길이 β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4c 참조). 따라서, 오목부(40)에서는, 착색 영역(CE)과 착용자의 피부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착색 영역(CE)의 색을 보다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앞몸통 둘레부(3)의 단부가 직선상인 경우와 비교하여, 피부에 대하여 백색 영역(WE3)이 접하는 범위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의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다.
또, 타겟 영역(E3)의 제품 길이 방향(L)의 중심선(도 4c의 일점쇄선)의 위치는,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앞몸통 둘레부(3)의 단부(백 시트(24)의 전측 단부)로부터 30㎜ 이상이고 60㎜ 이하인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겟 영역(E3)과 앞몸통 둘레부(3)의 단부와의 거리가 60㎜보다도 길면, 피부를 덮는 면적이 많아져(백색 영역(WE3)이 너무 길어져) 착용자의 피부를 과도하게 덮어 버린다. 한편, 타겟 영역(E3)과 앞몸통 둘레부(3)와의 거리가 30㎜보다도 짧으면 피부를 덮는 면적이 적어진다(백색 영역(WE3)이 적음). 따라서, 어느 경우라도 그라데이션의 효과가 희미해진다. 한편, 타겟 영역(E3)과 앞몸통 둘레부(3)와의 거리가 30㎜ 이상이고 60㎜ 이하인 경우에는, 연한 복숭아색(타겟 영역(E3)의 제 1 영역(CE1))∼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WE3))∼복부의 피부 색 그라데이션에 의해 피부 색을 보다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또, 패스닝 테이프(30)에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패스닝 테이프(30)에 있어서의 제품 폭 방향(W)의 중심선의 위치(테이프 폭 방향의 중심의 위치. 도 3a 참조)가, 제품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뒷몸통 둘레부(7)의 단부(백 시트(24)의 후측 단부)로부터 30㎜ 이상이고 60㎜ 이하인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시(즉, 타겟 영역(E3)에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춘 상태. 도 6 등 참조), 연한 복숭아색(패스닝 테이프(30)의 제 1 영역(CE1))∼피부가 비친 색(백색 영역(WE5))∼복부의 피부 색 그라데이션에 의해 피부 색을 보다 좋아 보이게 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에 대해서>
여기에서, 일회용 기저귀(1)를 실제로 착용할 때에는, 타겟 테이프(29)(타겟 영역(E3))에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춘다. 이때,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겹쳐 맞추어 고정하는 경우(패스닝 테이프(30)끼리를 걸어맞춤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우선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를 앞몸통 둘레부(3)의 타겟 테이프(29)의 중앙부에 걸어맞춤시키고, 그 패스닝 테이프(30) 상에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춤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는, 착용자의 앞몸통 둘레부(3)의 중앙부에 자연스럽게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패스닝 테이프(30)가 일회용 기저귀(1)의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부위는, 착용자의 서혜부로부터 멀어진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다리를 M자형으로 굽힌 포지셔닝 자세에서 다리가 움직였다 하더라도, 패스닝 테이프(30)는 서혜부로부터 젖혀 올라가는 힘을 받기 어려워진다.
도 7a∼도 7c는 타겟 영역(E3)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7a는 타겟 영역(E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하측이 되는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췄을 때의 도면이다. 도 7c는 도 7b의 패스닝 테이프(30) 상에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췄을 때의 도면이다. 또, 이 예에서는, 패스닝 테이프(30)에는 착색 영역(CE)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한다.
타겟 영역(E3)에 있어서의 착색 영역(CE)은, 제품 폭 방향(W)을 따른 제 1 영역(CE1)과, 제품 길이 방향(L) 및 제품 폭 방향(W)에 있어서 제 1 영역(CE1)보다도 타겟 영역(E3)의 중앙측에 형성된 제 2 영역(CE2)을 갖는다(도 7a 참조). 그리고, 제 2 영역(CE2)은, 패스닝 테이프(30)를 타겟 영역(E3)에 걸어맞춘 경우에 당해 패스닝 테이프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가 덮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6에서는 일부가 덮여 있다. 도 7b 및 7c에서는 전부(全部)가 덮여 있다).
여기에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30)의 테이프 폭 방향의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겹쳤을 때에,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가,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고 있고, 그 넘은 양측에서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춰져 있다. 도면 중에는,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후크 시트(34))가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영역에 오른쪽 사선의 해칭이 형성되어 있다.
타겟 테이프(29)와의 걸어맞춤력(P1)은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와의 걸어맞춤력(P2)보다도 크다(P1>P2. 후술).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실시 형태의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는, 도 7c의 오른쪽으로 비스듬한 해칭의 영역에서 타겟 테이프(29)와 걸어맞추므로,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하고만 걸어맞추는 경우와 비교하여 걸어맞춤력이 높아진다. 게다가, 패스닝 테이프(30)의 근원측(사이드 플랩(14)측)은 단부보다도 서혜부의 근처에 위치하기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30)의 근원측은, 단부와 비교하면 젖혀 올리는 힘을 크게 받게 된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 패스닝 테이프(30)의 근원측(젖혀 올리는 힘을 크게 받는 부위)에 있어서,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는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를 넘어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도 7c의 오른쪽 사선의 해칭 참조), 패스닝 테이프(30)의 근원측에서의 걸어맞춤력은 높으므로, 패스닝 테이프(30)가 떨어지기 어렵다.
한편,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가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는 구조상, 반대로,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는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 위에만 위치하는 구조가 된다.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는, 타겟 테이프(29)와 걸어맞추고 있는 근원측과 비교하면, 걸어맞춤력이 낮게 된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잡고 패스닝 테이프(30)를 떼기 쉽다.
이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30)를 떼기 쉬워, 아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패스닝 테이프(30)를 떼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미니멈 핸들링(가능한 한 아기에게 접촉하지 않는 것)이 요구되는 저체중아에게 적합하다. 한편, M자형으로 굽힌 상태의 다리가 움직인 경우라도 패스닝 테이프(30)가 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1)는 포지셔닝 자세가 요구되는 저체중아에게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후크 시트 영역(C)의 사이드 플랩(14)측의 단부의 위치에,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맞춘 상태에서, 또한, 패스닝 테이프(30)의 테이프 폭 방향의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가 겹쳐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겹쳤을 때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가,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는 양측에서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춰져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의 설계상의 웨이스트 치수를, 한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후크 시트 영역(C)의 사이드 플랩(14)측의 단부에 맞춘 상태를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설계 기준하에서,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가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는 양측에서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고 있다. 단,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에 대한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위치는, 도 7c에 나타내는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위의 패스닝 테이프(30)가, 도 7c에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좌우 어딘가로 어긋나 있어도,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는 양측에서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되어 있으면, 패스닝 테이프(30)의 근원측에서의 걸어맞춤력이 높아져, 패스닝 테이프(30)가 떨어지기 어렵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크 시트 영역(C)의 사이드 플랩(14)측의 단부의 폭(테이프 폭 방향의 치수)은,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의 폭보다도 크다. 패스닝 테이프(30)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패스닝 테이프(30)의 테이프 폭 방향의 중심을 맞춘 상태에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30)를 겹쳤을 때에, 상측의 패스닝 테이프(30)가, 하측의 패스닝 테이프(30)의 단부를 테이프 폭 방향으로 넘는 양측에서 타겟 테이프(29)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패스닝 테이프(30)의 테이프 폭 방향의 길이는, 타겟 영역(E3)에 있어서의 착색 영역(CE)의 제품 길이 방향(L)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영역(CE2)을 패스닝 테이프(30)로 덮은 상태라도, 패스닝 테이프(30)의 상하에는, 소정의 색으로 착색된 착색 영역(CE)의 일부( 제 1 영역(CE1))가 나타난다(도 7c 참조). 즉, 패스닝 테이프(30)로 제 2 영역(CE2)을 모두 덮은 경우에도, 착용자의 피부측에 소정의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CE1)이 띠형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1)의 착용 시에도 연한 복숭아색(타겟 영역(E3)의 제 1 영역(CE1)), 피부가 비치는 색(백색 영역(WE3)), 피부 색의 그라데이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피부를 밝아 보이게 할 수 있다.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
패스닝 테이프(30)(구체적으로는, 패스닝 테이프(30)의 후크 시트(34))를 걸어맞춤시키기 위해서는,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은 0.1N/10㎜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또,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이 0.1N/10㎜보다 작으면, 가령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춤시킬 수 있었다 하더라도, 패스닝 테이프(30)가 힘을 받으면 떨어져 버려,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이 불충분하게 된다.
패스닝 테이프(30)는, 앞몸통 둘레부(3)의 타겟 테이프(29)(타겟 영역(E3))에 걸어맞춤되게 된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30)(후크 시트(34))와 앞몸통 둘레부(3)의 타겟 테이프(29)와의 걸어맞춤력을 P1(단위: N/10㎜)이라고 했을 때, P1이 0.1N/10㎜ 이상인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패스닝 테이프(30)는,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타겟 시트(36)에도 걸어맞춤되게 된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30)(후크 시트(34))와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타겟 시트(36)와의 걸어맞춤력을 P2(단위: N/10㎜)라고 했을 때, P2도 0.1N/10㎜ 이상인 것이 요구된다.
한편, 패스닝 테이프(30)를 떼기 쉽게 하기 위해서는,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은 0.5N/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이 0.5N/10㎜를 넘으면, 패스닝 테이프(30)를 떼기 어려워지고, 패스닝 테이프(30)를 떼는 힘에 의해 아기에게 부담을 주어 버려, 저체중아에 대한 미니멈 핸들링에 반한다. 이 때문에,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은 0.1∼0.5N/1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패스닝 테이프(30)와 앞몸통 둘레부(3)의 타겟 테이프(29)와의 걸어맞춤력을 P1이라고 하고, 패스닝 테이프(30)와 다른쪽의 패스닝 테이프(30)의 타겟 시트(36)와의 걸어맞춤력을 P2라고 했을 때, P1>P2의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가 되는 것은, 패스닝 테이프가 착용자에게 접촉해도 착용자에게 주는 스트레스를 억제할 수 있도록, 패스닝 테이프(30)의 강성을 억제할 필요가 있어, 패스닝 테이프의 타겟 시트(36)의 재질이나 두께에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는, P2는 0.5∼0.7N/30㎜(단위가 N/10㎜인 경우에는 1/3의 수치)이며, P1은 0.8∼1.1N/30㎜이다.
패스닝 테이프(30)의 걸어맞춤력은, 시마즈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오토 그래프 시험기(AG-X10plus)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을 채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대상인 패스닝 테이프(30)로부터 후크 시트 영역(C)을 가능한 한 넓은 폭으로 장방형 형상으로 잘라낸 샘플을 준비한다. 마찬가지로, 패스닝 테이프(30)를 걸어맞춤시키는 타겟(타겟 테이프(29) 또는 타겟 시트(36))을, 후크 시트(34)보다도 큰 사이즈로 잘라낸 샘플을 준비한다. 이어서, 700g 롤러(직경 85㎜, 폭 45㎜)를 5㎜/분의 속도로 주된 패스닝 테이프(30)의 착탈 방향을 따라서 작동시켜, 양 샘플을 압착한다. 압착한 양 샘플을, 상기 오토 그래프 시험기에 세트하고, 인장 속도 300㎜/분에 있어서의 양 샘플의 걸어맞춤력을 측정하여, 샘플의 폭치수를 바탕으로 10㎜ 단위폭당의 걸어맞춤력으로 환산한 값을 걸어맞춤력(단위:N/10㎜)으로 한다. 이때, 인장하는 방향은, 타겟면(타겟의 샘플을 재치하는 지그면)에 대하여, 후크 시트면이 135도의 각도가 되도록 설정한다. 후크 시트의 필(peel) 방향은, 패스닝 테이프(30)를 조작할(착탈할) 때에 있어서의 주된 착탈 방향으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색 차이에 의한 아기의 피부 비침의 좋은 정도(피부가 밝아 보이는 것) 및 보육기 밖에서의 시인성을 비교하기 위해 이하의 실험을 실시했다.
후측 영역(E2)에만 착색 영역(CE)(제 1 영역(CE1)의 면적이 제 2 영역(CE2)의 면적보다 큼)을 설치한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소정의 색으로서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670U(실시예 1), 698U(실시예 2), 496U(실시예 3), 707U(비교예 1), 197U(비교예 2), 710U(비교예 3), 178U(비교예 4), 292U(비교예 5)의 색을 입힌 것을 각각 준비했다. 또, 실시예 1∼3의 색은 연한 복숭아색, 비교예 1 및 2의 색은 진한 복숭아색, 비교예 3 및 4의 색은 적색, 비교예 5의 색은 청색에 상당한다.
평가 방법은, 상기 각 색으로 착색된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킨 아기를 간호사(또는 모친)가 보육기 밖에서 시인하여, 개인의 인상을 종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10명의 간호사(또는 모친)가 각각의 일회용 기저귀를 육안에 의해 관찰하여, 6명 이상이 아기의 피부 비침이 좋고, 보육기 밖에서도 시인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을 ○, 그 이외를 ×로 했다.
마찬가지로, 타겟 영역(E3), 패스닝 테이프(30) 및 다리 둘레 영역(E4) 각각에 상기와 같은 착색을 실시하여 평가한 결과를 정리한 것이 이하의 표이다. 또, 표의 (1)은 후측 영역(E2)만을 착색한 예이고, (2)는 타겟 영역(E3)만을 착색한 예이며, (3)은 패스닝 테이프(30)만을 착색한 예이고, (4)는 다리 둘레 영역(E4)만을 착색한 예이다.
Figure 112016111773528-pct00001
상기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연한 복숭아색을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실시예 1∼3)는, 다른 색을 입힌 일회용 기저귀(비교예 1∼5)보다도 피부 비침이 좋고, 또한 보육기 밖에서의 시인성도 높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비교예 1 및 2와 같이 진한 복숭아색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기 내에서 착색 부분이 어두워져, 보육기 밖에서는 시인하기 어렵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또, 비교예 3∼5와 같이 적색계나 청색계를 이용하는 경우, 피부 비침도 보육기 밖에서의 시인성도 낮으며, 또한 적색계는 피라고 오인하기 쉽다는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일회용 기저귀(1)는 보육기 내에서 사용하는 예를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육기 밖이라도 방의 상황(자연 환경이나 조명의 밝기)에 따라서는 조도가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일회용 기저귀(1)는 이러한 경우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적절하게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그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 일회용 기저귀 3 : 앞몸통 둘레부
5 : 가랑이 아래부 7 : 뒷몸통 둘레부
12 : 중앙 띠형상 영역 14 : 사이드 플랩
15 : 레그 개더 16 : 레그 사이드 개더
18 : 웨이스트 개더 21 : 흡수체
22 : 톱 시트 23 : 방누 시트
24 : 백 시트 25 : 신축 필름
26 : 프론트 시트 26A : 접합부
27 : 탄성 부재 28 : 웨이스트 개더 필름
29 : 타겟 테이프 30 : 패스닝 테이프
E1 : 전측 영역 E2 : 후측 영역
E3 : 타겟 영역 E4 : 다리 둘레 영역
CE : 착색 영역 CE1 : 제 1 영역
CE2 : 제 2 영역 WE1∼WE5 : 백색 영역

Claims (14)

  1.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股下部)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앞몸통 둘레부측이고, 또한 상기 타겟 영역보다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에 있는 전측 영역과,
    상기 전측 영역 내에 설치되고,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측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색, 상기 백색 영역을 투과한 착용자의 피부의 색, 착용자의 피부의 색의 순서로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되고,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과,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뒷몸통 둘레부측, 또한 상기 백색 영역보다도 상기 제품 길이 방향의 중심측의 영역으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후측 영역과,
    상기 후측 영역 내에 설치되고,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색, 상기 백색 영역을 투과한 착용자의 피부의 색, 착용자의 피부의 색의 순서로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과,
    상기 타겟 영역 내에 설치되고,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타겟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색, 상기 백색 영역을 투과한 착용자의 피부의 색, 착용자의 피부의 색의 순서로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품 길이 방향으로 패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저면(底面)으로부터 상기 착색 영역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백색 영역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제품 폭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제품 길이 방향 및 상기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보다도 상기 타겟 영역의 중앙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상기 타겟 영역에 걸어맞춘 경우에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의해 적어도 그 일부가 덮이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패스닝 테이프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을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에 설치되고,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상기 패스닝 테이프를 상기 타겟 영역에 걸어맞춤시킴으로써 상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시킨 경우에,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테이프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색, 상기 백색 영역을 투과한 착용자의 피부의 색, 착용자의 피부의 색의 순서로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상기 가랑이 아래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에 걸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방누(防漏) 시트를 갖고,
    상기 제품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방누 시트의 단부는, 상기 백색 영역의 일부에만 걸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8.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아래부를 갖고,
    상기 앞몸통 둘레부, 뒷몸통 둘레부 및 가랑이 아래부의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되는 사이드 플랩과,
    상기 사이드 플랩에 설치되는 레그 개더를 구성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차지하는 영역에 대응하는 다리 둘레 영역과,
    상기 다리 둘레 영역 내에 설치되고, 전개 상태에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착색 영역과,
    제품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다리 둘레 영역보다도 착용자의 피부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착용자의 피부 색을 소정 비율로 투과시키는 백색 영역을 갖고,
    상기 착색 영역을,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 색으로 착색된 제 1 영역과,
    PANTONE(등록상표)의 색 견본첩에 있어서의 196U, 217U, 250U, 496U, 502U, 503U, 510U, 517U, 670U, 671U, 677U, 678U, 684U, 685U, 691U, 692U, 698U, 699U, 705U, 706U, 2635U, 7422U, 7429U, 7430U 및 7436U 중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색으로 착색된 제 2 영역으로 나눈 경우에,
    상기 제 1 영역의 면적은, 상기 제 2 영역의 면적보다도 크고,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의 색, 상기 백색 영역을 투과한 착용자의 피부의 색, 착용자의 피부의 색의 순서로 그라데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 착색된 색은, RGB 표색계에 근거하는 R의 값이 255∼232, G의 값이 190∼245 및 B의 값이 185∼245의 범위에 있는 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영역은, 그 광선 투과율이 상기 착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보다도 높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은, 25% 이상이고 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 영역의 광선 투과율은, 35% 이상이고 8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영역이 설치되는 영역 내에,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사이즈 및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 표시 영역을 갖고,
    상기 정보 표시 영역은, 상기 제 1 영역과 같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14. 삭제
KR1020167031989A 2014-05-27 2015-03-05 일회용 기저귀 KR101706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8933 2014-05-27
JP2014108933A JP5934744B2 (ja) 2014-05-27 2014-05-27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5/056509 WO2015182204A1 (ja) 2014-05-27 2015-03-05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651A KR20160137651A (ko) 2016-11-30
KR101706723B1 true KR101706723B1 (ko) 2017-02-14

Family

ID=5469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989A KR101706723B1 (ko) 2014-05-27 2015-03-05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5934744B2 (ko)
KR (1) KR101706723B1 (ko)
CN (1) CN106456406B (ko)
AU (1) AU2015265235B2 (ko)
BR (2) BR112016027171B1 (ko)
MY (1) MY160114A (ko)
TW (1) TWI652051B (ko)
WO (1) WO2015182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60295B2 (ja) * 2016-05-17 2021-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892776B2 (ja) * 2017-03-29 2021-06-23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880157B1 (ja) * 2019-11-27 2021-06-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890A (ja) 2002-03-26 2003-10-0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包装体
JP2004337385A (ja) 2003-05-16 2004-12-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5279005A (ja) 2004-03-30 2005-10-1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2105804A (ja) 2010-11-17 2012-06-07 Kao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0450B2 (ja) 2002-01-11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色された吸収性物品
US20110264067A1 (en) * 2010-04-23 2011-10-27 Ilse Rubio Feminine hygiene pads
JP5886576B2 (ja) * 2011-09-16 2016-03-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止着部材及び止着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5890A (ja) 2002-03-26 2003-10-07 Daio Paper Corp 紙おむつ包装体
JP2004337385A (ja) 2003-05-16 2004-12-02 Kao Corp 吸収性物品
JP2005279005A (ja) 2004-03-30 2005-10-13 Daio Paper Corp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2105804A (ja) 2010-11-17 2012-06-07 Kao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6406B (zh) 2017-09-26
WO2015182204A1 (ja) 2015-12-03
BR112016027171A8 (pt) 2021-05-18
AU2015265235A1 (en) 2016-12-15
AU2015265235B2 (en) 2017-02-02
TW201607520A (zh) 2016-03-01
BR112016027171A2 (ko) 2017-08-15
JP5934744B2 (ja) 2016-06-15
BR112016027171B1 (pt) 2022-08-02
MY160114A (en) 2017-02-16
TWI652051B (zh) 2019-03-01
KR20160137651A (ko) 2016-11-30
JP2015223256A (ja) 2015-12-14
CN106456406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0631B1 (en) Disposable diaper
JP4874392B2 (ja) 有用な指標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20210069031A1 (en) Absorbent article
KR101706723B1 (ko) 일회용 기저귀
AU2014344814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22180971A1 (ja) 吸収性物品
CN111031988A (zh) 带有qr码的吸收性物品
JP202207816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468960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7195945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WO2020085227A1 (ja) 吸収性物品
KR20220134531A (ko) 흡수성 물품의 개별 포장체
JP2021106703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
WO2021117910A1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包装体
CN114667123B (zh) 一次性尿布
JP2020527427A (ja) パンツタイプの着用可能物品
WO2023276530A1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21106310A1 (ja) 3000グラム以下の低体重児用展開型使い捨ておむつ
WO2020140637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rtwork
JP7423946B2 (ja) 吸収性物品
JP2023005807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808622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21106756A (ja) 吸収性物品
JP2020065898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