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394B1 -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 - Google Patents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394B1
KR101705394B1 KR1020127008139A KR20127008139A KR101705394B1 KR 101705394 B1 KR101705394 B1 KR 101705394B1 KR 1020127008139 A KR1020127008139 A KR 1020127008139A KR 20127008139 A KR20127008139 A KR 20127008139A KR 101705394 B1 KR101705394 B1 KR 10170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cell
connector
hol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030A (ko
Inventor
버지니에 르로이
장-뤽 타라고
미쉘 파케
빙셍 포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에뀝망 엘렉뜨리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12009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9/00Synchronous motors or generators
    • H02K19/16Synchronous generators
    • H02K19/22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windings each turn of which co-operates alternately with poles of opposite polarity, e.g. heteropola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7Heat 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7/00Cooling of bearings
    • F16C37/002Cooling of bearings of fluid bea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4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rectification
    • H02K11/049Rectifiers associated with stationary parts, e.g. stator cores
    • H02K11/05Rectifiers associated with casings, enclosures or bra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8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ribs or fins for improving heat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H02K5/207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with openings in the casing specially adapted for ambient air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형 플레이트(3)가 제공되어 있는 베어링(16, 18)을 갖는 다상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1)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8)를 갖는 히트 싱크(9), 플레이트(3)에 지지되는 제 2 전류 정류 요소(10) 및 히트 싱크(9)와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113)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블라인드 냉각 셀(A, B, C)에 장착되며, 이들 셀은 돌출된 주변 벽(91, 92, 9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또한 측방에서는 히트 싱크(9)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두개의 돌출된 횡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각 셀은 이 셀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측 구멍을 포함하며, 두 연속된 셀의 반대편의 두 횡벽 사이에는 횡방향 통로가 제공되어 있다. 회전 전기 기계는 이러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얼터네이터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CURRENT-RECTIFYING ARRANGEMENT FOR A ROTARY ELECTRIC MACHINE, IN PARTICULAR FOR AN ALTERNATOR OF AN AUTOMOBIL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COMPRISING SUCH AN ARRANGEMENT}
본 발명은 베어링 하우징이 제공되는 다상(multiphase)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용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속하고 공기 유입 개구가 제공되어 있는 플레이트;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되며, 다이오드와 같은 제 1 전류 정류 요소를 지니고 있는 쉴드 형태의 히트 싱크;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오드와 같은 제 2 전류 정류 요소; 및 상기 히트 싱크와 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이러한 다상 기계는 문헌 WO 02/29958, WO 02/093717, EP 1 482 622, EP 1 460 750 및 US 2004/0051409에 기재되어 있다.
더 많은 정보를 위해서는 이들 문헌과 WO 02/093717의 도 3과 동일한 도 1(축방향 단면도) 및 내부 환기가 이루어지는 다상 얼터네이터의 형태인 회전 전기 기계의 문헌 WO 02/029958의 도 7을 참고하면 되고, 이 회전 전기 기계는 전류 정류 장치(1) 및 얼터네이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팬(fan: 102, 104)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1)는 다수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여기서는, 포지티브 다이오드라고 하는 다이오드(8))를 지니고 있는 금속 히트 싱크(9)(포지티브 히트 싱크라고 함) 및 다수의 제 2 전류 정류 요소(여기서는, 네거티브 다이오드라고 하는 다이오드(10))를 지니고 있는 금속 지지 요소(3)를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 전압 조절기/브러쉬 홀더 어셈블리는, 문헌 WO 02/093717의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9)의 둘레 방향 단부들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기계는 회전 축선(X-X), 중심 샤프트(15), 이 샤프트(15)에 고정되는 로터(13), 이 로터(13)를 둘러싸는 스테이터(12), 이 스테이터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중앙에서는 샤프트(15)(이의 축방향 대칭 축선은 상기 축선(X-X)과 일치함)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케이싱, 및 천공형 보호 덮개(27)를 가지며, 이 덮개는 장치(1)와 어셈블리(116)를 덮는다.
상기 케이싱은 각각 전방 베어링 하우징 및 후방 베어링 하우징이라고 불리는 적어도 두개의 부재(16, 18)를 포함한다.
로터(13)와 스테이터(12)는 케이싱(16, 18)의 내부에 장착된다. 케이싱(16, 18)에 내장되는 스테이터(12)는 스테이터 권선(23)을 지니고 있는 스테이터 몸체(19)를 포함하며, 스테이터 권선의 단부(코일 단부(39)라고 함)는 몸체(19)의 양측에서 축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베어링 하우징(16, 18)은 대략 환형이고 중공으로 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 각각은 축선(X-X)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플레이트 형태의 바닥을 가지며 또한 외주부에서는 축선(X-X)에 대해 대략 축방향으로 배향된 환형 림을 갖는다. 각각의 림은 환형의 반경 방향 면을 포함하며, 이 면은 조인트 면의 경계를 정하는 기계가공된 관련 자유 단부(26, 28)를 갖는다. 여기서 베어링 하우징(16, 18)은 고정 스크류(29)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각각의 림은 그의 플레이트의 외주부에 연결되고, 이 플레이트는 중심부에서 오목부를 포함하며, 이 오목부는 볼 베어링(105, 106)의 외륜을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웨브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베어링(105)은 베어링 하우징(18)의 웨브와 접촉하고, 이 베어링 하우징(16)의 웨브(6)와 베어링(106) 사이에는 캡(60)이 반경 방향으로 개재되어 있다.
샤프트(15)의 전후방 단부 각각은 샤프트(15)와 로터(13)의 회전 장착을 위한 관련 베어링(105, 106)의 내륜에 끼워져 있으며, 여기서 로터는 그의 각 축방향 단부에서 내부 팬(102, 104)을 지니고 있다.
전압 조절기/브러쉬 홀더 어셈블리의 브러쉬는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샤프트(15)의 후방 단부에 고정된 두개의 콜렉터 링(17)과 마찰하도록 되어 있으며, 샤프트(15)의 전방 단부에는 풀리가 고정되어 있다.
풀리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운동 전달 장치의 일 부분을 형성하는 벨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베어링 하우징(16, 18)의 각 플레이트와 각 림은 냉각 유체(여기서는 공기)의 내부 순환을 위한 공기 유입 개구와 공기 유출 개구를 포함한다. 이 공기 순환은 상기 팬(102, 104)에 의해 이루어지고 장치(1), 어셈블리(116), 베어링(105, 106) 및 블레이드가 제공되어 있는 팬(102, 104)의 위쪽에 위치되는 스테이터(12)의 코일 단부(39)를 냉각시킨다.
베어링 하우징(16, 18)은 금속으로 되어 있어 전기 전도성을 가지며, 주조가능한 재료(여기서는 알루미늄)로 제조된다. 베어링 하우징들은 배터리의 음의 단자에 연결되는 자동차의 매스에 연결된 고정부에 고정된다.
스테이터(12)의 몸체(19)는 횡 금속 시트의 축방향 적층체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금속 시트는 축방향으로 정렬된 노치들을 포함하고, 이들 노치는 상기 몸체(19)의 내주부에서 나와 있고 노치 절연재를 사이에 두고 코일(23)의 전기 전도성 축방향 권회부(turn)를 수용한다.
얼터네이터의 각 상(phase)을 위해 전기 코일(23)은 예컨대 전기 절연재로 덮혀 있는 전기 전도성 와이어의 권회부의 권선으로 형성된다.
몸체(19)의 각 노치에서 코일(23)은 일군의 전기 전도성 요소를 갖는데, 이 요소는 노치를 축방향으로 통과하고, 코일 단부(39)를 형성하는 접합 권회부에 의해 몸체(19)의 외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문헌 WO 92/06527 및 FR-A-2 819 1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9)에 있는 노치에 장착되는 납땜된 핀(pin)이 사용된다.
모든 경우에, 몸체(19)는 코일(23)을 구성하는 권선을 지닌다. 이들 스테이터 권선은 얼터네이터의 상에 속한다. 각 상은 하나 또는 두개의 권선을 포함한다. 예컨대 별형 또는 델타형으로 연결된 이들 상 권선의 출력부(214) 각각은 장치(1)의 커넥터(113)에 고정 연결되며, 이 커넥터는 이러한 목적으로 연결 후크(114)를 갖는다.
도 1의 얼터네이터는 3상 방식이고 상 하나당 하나의 권선을 포함한다. 이들 상 권선의 세 출력부(214)는 플레이트(3)의 외주부에 있는 개구에 의해 후방 베어링 하우징(16)의 플레이트(3)를 전기 절연되어 통과하게 된다. 이들 세 출력부는 문헌 WO 02/29958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는데, 이 문헌에는 또한 편평한 환형 조인트(46), 열전도성 수지(50) 및 패드(34)에 의해 스테이터(12)의 몸체(19)를 탄성적으로 장착하는 것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 로터(13)는 클로(claw) 로터인데, 이 로터는 원통형의 전기적 여기 코일(62)을 포함하고, 이 코일은 두 플레이트(64, 66) 사이에 개재되는 관형 코어(67)에 의해 지지되며, 각 플레이트는 클로(68, 70)를 각각 포함하며, 이들 클로는 각도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고 또한 그의 외주부에서 대략 사다리꼴의 치형부를 가지며, 이 치형부는 다른 플레이트(66, 64)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는 여기서는 샤프트의 너얼링 처리된 부분들에 의해 샤프트(15)에 고정되며, 이들 부분 중의 하나는 코어(67)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결 링(17)은 팬(104) 뒤쪽을 지나는 와이어 연결부에 의해 코일(62)의 단부에 연결된다.
일 변형예에서, 문헌 FR 290580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계의 파워를 증가시키기 위해 두 클로(68, 70) 사이에 영구 자석이 개재된다.
이 도 1에서, 상기 장치(1)는 후방 베어링 하우징(16)에 고정되며,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요소는 히트 싱크(네거티브 히트 싱크라고 함)를 구성하는 베어링 하우징(16)의 플레이트(3)로 이루어진다.
이 예에서 상기 장치(1)는 세쌍의 포지티브 다이오드(8)와 네거티브 다이오드(10)를 포함한다. 포지티브 다이오드(8)는 히트 싱크(9)(여기서는 금속)에 의해 지지된다. 이 히트 싱크(9)는 특히 출력부(214)를 고정하는 후크(114)에서 국부적으로 가시적인 한 세트의 편평한 전기 전도체 상에 몰딩되는 전기 절연재(여기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 커넥터(113)에 의해 플레이트(3)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이 커넥터(113)는 그의 도체로 다이오드(10, 8)와 함께, 장치(1)에 속하는 전류 정류 브리지를 형성한다.
대략 쉴드(shield)의 형태로 되어 있는 히트 싱크(9) 및 커넥터(113)는 축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되며 전기 절연되어 볼트와 너트(115)로 베어링 하우징(16)의 플레이트(3)에 고정된다.
커넥터(113)는 플레이트(3)에 있는 돌출부(여기서는 침니(chimney))와 국부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이 돌출부는 볼트(115)의 나사 결합을 위해 제공된 나사 구멍을 갖는다.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덮개(27)는, 문헌 WO 01/6976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볼트(115)의 나사 부분에 스냅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 히트 싱크(9)에는 축방향 개구 및 다이오드(8)의 냉각을 위한 핀(fin)이 제공되어 있으며, 이 핀은 다이오드(10)보다 고온이다.
커넥터(113)는 베어링 하우징(16)에 있는 공기 유입 개구(7)에 맞게 되어 있는 히트 싱크(9)의 축방향 개구의 아래를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문헌 EP 1 482 622, EP 1 460 750 및 US 2004/005140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네거티브 다이오드를 지지하는 요소는 베어링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별개의 네거티브 히트 싱크이다. 모든 경우에, 다이오드 또는 MOSFET 형 트랜지스터와 같은 네거티브 전류 정류 요소는 얼터네이터의 관련 베어링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커넥터는 축방향으로 포지티브 히트 싱크와 네거티브 히트 싱크 사이에 개재된다.
기록을 위해, 로터(13)가 회전하고 전류가 여기 필드(excitation field) 권선(62)에 흐르면, 이 로터는 자화되고 스테이터(12)의 권선에 교류가 유도되어 발생된다. 전류 정류 장치(1)는 소비부에 공급하고 또한 자동차의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해, 스테이터의 코일(23)의 권선에 유도된 교류를 직류로 정류시킨다.
소비부를 보호하도록 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전압 조절기가 코일(2)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장치(1)를 냉각시키기 위해, 특히 팬(104)의 회전으로 일어나는 공기 유동이 포지티브 히트 싱크(9)에 있는 축방향 개구 및 플레이트(3)에 있는 공기 유입 개구(7)를 통과하게 된다.
히트 싱크(9)는 그의 핀과 개구에 의해 주로 대류로 냉각된다.
이러한 구성은 만족스러운 것이다.
히트 싱크(9)는 그의 핀과 개구에 의해 주로 대류로 냉각된다.
이러한 구성은 만족스러운 것이다.
문헌 EP 1 482 622 및 EP 1 460 750에서 포지티브 히트 싱크는 더 복잡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돌출되어 있는 리브의 네트워크와 다수의 구멍을 갖는다. 그의 내주부는 링부를 구성하는 리브로 경계가 정해진다. 그의 외주부는 물결형으로 되어 있다.
문헌 US 2004/0051409에서는, 다수의 주름형 리브 및 이들 리브를 따른 구멍들이 제공된다. 이 방안은 냉각 관점에서 덜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특히 회전 전기 기계의 파워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더 고온인 위치에 회전 전기 기계를 설치하기 위해, 포지티브 히트 싱크에 의해 지지되는 포지티브 전류 정류 요소의 냉각을 간단한 방식으로 더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류의 현 장치의 냉각을 간단한 방식으로 더 개선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장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 각각은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장착되고 또한 각기 냉각 셀에 위치되며, 이들 냉각 셀은 히트 싱크의 외주부에 위치되는 돌출된 주변 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또한 히트 싱크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두개의 돌출된 횡벽에 의해 측방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각각의 셀은, 첫째, 막혀 있되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서는 개방되어 있으며, 둘째, 둘레 방향으로 이 셀의 주변 벽보다 짧은 적어도 하나의 외측 구멍을 포함하고, 이들 외측 구멍은 제 1 전류 정류 요소와 이 주변 벽 사이에서 재료가 연속성을 갖도록 이 셀의 상기 주변 벽의 내주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그리고 연속된 두 셀의 서로 마주하는 두 횡벽 사이에는 통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상 회전 전기 기계는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면이 증가되고 또한 냉각 공기의 양호한 통과가 일어나며, 기계적 강도가 양호하며 그리고 블라인드 셀들의 경계를 정하는 돌출된 횡벽을 갖는 대략 쉴드의 형태인 히트 싱크가 제공되며, 적절히 위치된 외측 구멍을 통과하는 공기의 통과를 적절히 안내하기 위해 상기 블라인드 셀들은 그의 내주부에서 개방되어 있고 외주부에서는 돌출된 주변 벽으로 폐쇄되어 있다. 히트 싱크는 무게가 가볍다. 또한, 히트 싱크는 단순한 형태를 가지며 둘레 방향 크기가 줄어들어 있다.
게다가, 제 1 전류 정류 요소는 작동시 105℃의 주위 온도에서 215℃ 미만의 온도를 갖는다.
그러므로, 임계 온도가 예컨대 약 235℃ 이상인 더 비싼 정류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임계 온도가 215℃인 경제적인 제 1 전류 정류 요소(특히,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로로 인해, 제 2 전류 정류 요소를 커넥터의 관련된 전기 트랙의 가시적인 단부에 납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거나 포지티브 히트 싱크를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서로 마주하는 횡벽들 사이에도 냉각 공기 통로가 형성되며, 따라서 셀 및 해당된 제 1 전류 정류 요소의 냉각이 더 잘 되게 된다.
주변부의 횡벽은 종래 기술의 리브 네트워크의 리브보다 두께가 작다.
본 히트 싱크는 종래 기술의 히트 싱크보다 더 단순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다른 이점을 갖는 단독의 또는 결합된 다른 특징적 구성에 따르면,
-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그의 내주부에서, 포지티브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 냉각 핀이 제공되어 있고;
-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와 주변 벽 사이에서 재료가 연속성을 갖도록 주변 벽의 내주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적어도 두개의 외측 구멍을 가지며,
- 적어도 한쌍의 횡벽의(그리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셀의) 두 횡벽은 내측 핀을 형성하기 위해 그의 내주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 적어도 하나의 셀의 횡벽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측 냉각 핀을 형성하기 위해 그의 내주부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 상기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내측 냉각 핀(200)을 가지며, 이 셀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외측 구멍과 내측 핀 사이에 위치되고;
-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다른 셀보다 많은 수의 추가적인 내측 핀을 가지며;
- 히트 싱크는 제 2 전류 정류 요소의 전기 접속 단자에 대한 다수의 접근 구멍을 가지며, 이 접근 구멍의 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의 수보다 적으며;
- 히트 싱크는 둘레 방향으로 커넥터보다 짧고;
- 커넥터는 히트 싱크를 해제시키기 위해 그의 내주부에서 물결형으로 되어 있으며;
- 커넥터는 히트 싱크의 바닥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하기 위해 또한 히트 싱크와 커넥터의 몸체(쉴드의 형태임)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기 위해 3개의 돌출부를 가지며;
- 히트 싱크의 바닥면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이들 특징에 의하면, 제 1 전류 정류 요소를 적절히 냉각시키고 또한 이들 요소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파라미터(외측 구멍의 수, 외측 핀의 수, 내측 핀의 수, 내측 및/또는 외측 핀의 형상과 길이, 그리고 주변 벽과 횡벽의 형상)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셀들은 그들 사이에 공간을 두고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네거티브 다이오드의 후미부를 더 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부재도 더 쉽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동일 셀들을 유지함으로써, 반경 방향 또는 축방향 출력부를 갖는 B+ 단자라고 하는 단자를 히트 싱크에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상세점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고로 하여 주어진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류 장치를 구비하는 얼터네이터의 형태인 회전 전기 기계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자동차용 얼터네이터의 후방 베어링 하우징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류 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도 4의 히트 싱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히트 싱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2 내지 도 6의 전류 정류 장치의 보호 덮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2 내지 도 6의 전류 정류 장치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 내지 도 6의 커넥터와 함께 덮개의 스냅 결합 러그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냅 결합 러그를 나타내기 위해 보호 덮개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으로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커넥터의 일부 전기 트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1과 유사한 도면으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3에서 도 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할당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커넥터(13) 및 포지티브 히트 싱크(9)를 더욱 컴팩트하게 만들고 포지티브 전류 정류 요소(8)를 더욱 냉각시키며 또한 커넥터(113)와 포지티브 히트 싱크(9)의 몸체의 재료를 줄이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조적 방안을 설명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이해에 필요한 요소들만 나타나 있다. 따라서, 장치(1)의 단지 두개의 고정 부재(115)만 나타나 있고,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1)를 더 잘 볼 수 있도록 브러쉬 홀더/전압 조절기 어셈블리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또한 덮개, 스테이터의 코일(23)의 상(phase)의 권선(23')의 출력부(214)(도 12)도 나타나 있지 않다.
도 2 내지 도 11에서, 다상 회전 전기 기계는 도 1에서와 같이 3상 방식의 자동차 얼터네이터(alternator)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상 얼터네이터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커넥터(113) 및 전기 전도성 포지티브 히트 싱크(19)(여기서는 금속이며 따라서 양호한 열전도체이고, 둘다 쉴드의 형태로 되어 있음)는 수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얼터네이터 케이싱은 스테이터 권선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이 권선은 3개의 상 출력부를 포함하고, 각 상은 하나의 권선을 포함한다.
도 1과 비교해 보면, 중공 형태의 후방 베어링 하우징(16)의 구조는, 공기 유입 개구(7)(도 1의 샤프트(15)의 후단부가 통과하는 중심 구멍을 갖는 횡방향 플레이트(3)에 속한다) 및 측면 공기 유출 개구(5)(대략 축방향으로 배향된 주변 림(4)에 속한다)와 함께 유지되어 있어, 도 1에 있는 팬(104)의 회전으로 발생된 냉각 공기가 이들 개구(5, 7) 사이에서 순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베어링 하우징(16)(여기서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됨)을 고정시키기 위한 두개의 브라켓(160)이 어스(earth)에 연결되는 차량의 피고정부에 제공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6)은 브라켓(160)을 갖지 않으며, 반경 방향 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나사 침니(chimney: 600)가 플레이트(3)에 제공된다. 도 13에서는 도 2 및 도 3의 두 브라켓 중의 하나를 볼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단자(117)를 장착하기 위한 반경 방향 침니(217')도 볼 수 있다.
몰드에서 제거하여 상기 개구(5)를 얻기 위해, 이 개구(5)는 플레이트(3)의 외주부에 영향을 주는 반경방향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는 림(4)에 영향을 주는 축방향 부분을 갖는다.
금속 베어링 하우징(16)은 그의 플레이트(3)로 네거티브 전류 정류 요소(10)를 위한 지지부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이 베어링 하우징(16)은 전도와 대류로 열을 배출하는 네거티브 히트 싱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3)의 크기는 포지티브 히트 싱크(9)보다 크며, 이 포지티브 히트 싱크는 주로 대류로 열을 배출한다.
이들 도면에서, 상 권선(23')의 출력부(214) 각각은 보호 덮개(27)(상기 장치(1) 및 따라서 커넥터(113)/히트 싱크(9) 어셈블리를 덮음)에 있는 돌출부(272)(도 7 및 도 11)에 들어가도록 공기 유출 개구의 반경 방향 부분 및 따라서 플레이트(3)를 통과하게 된다.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서, 도 1에서와 같이, 권선의 출력부(214)는 공기 유출 개구를 통과하며, 이 개구의 반경 방향 부분(5')은 도 3 및 도 11에서 보다 분명히 볼 수 있듯이 다른 개구(5)의 반경 방향 부분보다 깊게 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이들 권선의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레이트(3)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는 특정의 폐쇄된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히트 싱크(9) 및 커넥터(113)는 첫째로 각각 대략 브라켓의 형태인 제 1 단부(95, 95')(전체적으로 보존됨), 둘째로 제 2 둘레 방향 단부(94, 113a)를 가지며, 이 둘레 방향 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정되어 있다.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의 제 1 단부(95, 95')는 겹쳐진다.
히트 싱크(9)는 브라켓(95)에 인접해 있는 돌출부(217)를 갖는데, 이 돌출부는 블라인드 단자 B+ 라고 하는 연결 단자(117)를 장착하기 위한 침니(117')를 지니고 있으며, 그 연결 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된다. 여기서 이 단자(117)는 문헌 FR 2 807 58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크류이며, 이 스크류의 머리는 다각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편평부를 갖는다. 따라서 침니(117')의 기부와 돌출부(217)는 형상의 상호 작용으로 스크류의 머리를 수용하도록 부합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9)는 그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와 제 2 둘레 방향 단부 사이에서 수정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1의 실시형태에서,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94)는 편평한 브라켓의 형태이고 히트 싱크(9)는 겹쳐지는 브라켓(95, 95')에 인접한 단자(117)와 이 브라켓(94) 사이에서 수정되어 있다. 이 단자(117)는 여기서 축방향으로, 즉 히트 싱크(9)의 쉴드에 수직하게 배향되어 있다.
도 13에서 상기 단자(117)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고,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에 인접해 있다.
그리고 이 히트 싱크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이 단자와 히트 싱크(9)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 사이에서 수정되어 있다.
커넥터(113)는 여기서 금속 트랙의 형태인 전기 도체를 가지며, 또한 문헌 FR 2 754 654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시적인 부분(145, 146)을 통해 전압 조절기의 트랙과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 브라켓(95')에 인접한 브라켓(143)을 갖는다. 또한, 이 조절기는 제 1 및 2 고정 브라켓을 가지며, 이들 브라켓에는 히트 싱크(9) 및 커넥터(113)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 가까이에 있는 나사 침니(도면부호는 주어져 있지 않음)와 각각 전기적 접촉을 하기 위한 전기 트랙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는 고정 부재(115)에 의해 세 지점에서 플레이트(3)에 고정되며, 그 고정 부재는 히트 싱크와 커넥터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정렬된 구멍(115', 123)을 통과하게 된다. 이들 부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터드일 수 있으며, 또는 일 변형예에서는 리벳이나 볼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재는 스크류(115)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플레이트(3)는 스크류(115)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세개의 돌출부(나사 침니의 형태로 되어 있음) 및 제 2 브라켓과 브라켓(143)에 있는 스크류에 의해 전압 조절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두 침니를 국부적으로 가지고 있다.
브라켓(143, 95)과 관련된 상기 가시적인 침니 및 상기 조절기의 제 2 브라켓에 전용되는 침니는 도면에서 도면부호가 주어져 있지 않다.
상기 스크류는 플레이트(3)의 관련된 나사 침니 안으로 나사 결합되어 그의 머리를 통해 플레이트(3)에서 가장 멀리 있는 관련 부분에 지탱된다.
이들 스크류(115) 중의 하나는 그의 머리를 통해 상기 조절기의 제 1 브라켓에 지탱되고, 구멍(115', 123)과 정렬되어 있는 이 제 1 브라켓의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문헌 WO 02/093717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에는 플레이트(3)와의 국부적인 접촉을 위한 축방향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3) 쪽으로 향해 있는 커넥터(113)의 바닥면은 그 플레이트(3)와의 국부적인 접촉을 위한 수개의 돌출부(원통형 핀의 형태로 되어 있음)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113)는 플레이트(3)와 평행하게 그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진 상태에서 그 플레이트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도 1의 덮개(27)는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의 고정 스터드(115)를 후방 베어링 하우징(16)의 플레이트에 스냅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되어 유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덮개(27)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컨대 도 1의 스크류(29)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16)에 고정되기 위해 횡칼라를 갖는다.
도 2 내지 도 11에는, 스터드(115)가 스크류로 대체되어 있고 덮개(27)가 커넥터(113)에 스냅 결합되어 고정되는 방안(후술함)이 제시되어 있다.
이 덮개(27)는 전기 절연성이고, 여기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이 플라스틱 재료는 요구되는 형상을 몰딩으로 얻게 해준다.
이들 도 2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장치(1)가 도 1의 장치 대신에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1)는 3쌍의 전류 정류 요소를 포함하는데, 즉 3개의 제 1 다이오드(8)와 3개의 제 2 다이오드(10)를 포함한다. 이들 다이오드(8, 10) 각각에는 너얼링 처리된(knurled) 원통형 몸체 및 후미부가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원통형 몸체는 상기 히트 싱크(9) 및 플레이트(3) 각각과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한 단자를 구성하고, 상기 후미부는 커넥터(113)에 속하는 전기 도체의 네트워크와 전기적 연결되기 위한 다른 단자를 구성한다.
상기 제 1 다이오드(8)는 양의 다이오드라고 하는데, 왜냐하면 포지티브 히트 싱크(9)가 단자(117)를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며, 반면 제 2 다이오드(10)는 음의 단자라고 하는데, 왜냐하면 네거티브 히트 싱크를 구성하는 플레이트(3)와 그의 베어링 하우징(16)은 B- 라고 하는 어스에 또한 그래서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금속 베어링 하우징(16)은 네거티브 히트 싱크를 구성한다.
상기 커넥터(113)의 전기 도체(여기서는 금속 트랙의 형태로 되어 있음)의 네트워크는 한쌍의 다이오드(8, 10)의 후미부를 스테이터 코일(도 1에서는 "23"으로 표시되어 있음)의 상 권선(23')의 출력부(214)에 함께 연결시켜, 도 12에서 개략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9)와 플레이트(3) 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또한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기 위한 장치(1)를 구현하게 된다.
금속 후방 베어링 히우징(16)은 네거티브 다이오드(10)를 위한 지지부를 구성하며, 이 다이오드 각각은 그의 너얼링 처리된 몸체로 플레이트(3)에 있는 관련된 경사 구멍에 억지 끼워맞춤되며,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너얼링 처리된 몸체는 히트 싱크(9)에 있는 경사 구멍(8')에 각각 억지 끼워맞춤된다.
다이오드(10)는 베어링 하우징(16)(여기서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거나 일 변형예에서는 마그네슘으로 제조됨)에 의해 전도로 냉각되며 또한 대류로도 냉각된다. 히트 싱크(9)(여기서는 금속) 및 다이오드(11)는 주로 대류로 냉각된다.
상기 다이오드(8, 10)는 축방향 공간 요건을 줄이기 위해 반대 방향으로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후미부(111)는 더 양호한 냉각을 위해, 히트 싱크(9)보다 큰 크기를 갖는 대략 쉴드의 형태인 플레이트(3)에 있는 공기 유입 개구(7)에 들어간다.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는 축방향 반대방향으로 히트 싱크(9) 쪽으로 향한다.
일 변형예에서, 후미부(111)들은 더 짧고 개구(7)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 후미부는 모든 경우 이들 개구(7)의 반대편에 있게 되고 그래서 도 1에 있는 팬(104)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공기의 순환으로 잘 정화되게 된다.
이 히트 싱크(9)는 원하는 형태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여기서는 주조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 여기서 히트 싱크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거나, 일 변형예에서는 마그네슘계로 제조된다. 또한, 히트 싱크(9)를 전체적으로 기계 가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 변형예에서 히트 싱크(9)는 구리로 제조된다.
히트 싱크(9)는 쉴드의 형태인 몸체를 가지며, 이는 커넥터(113)의 몸체(쉴드의 형태임)에 평행하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 1의 베어링(106)을 장착하기 위한 원통형 웨브가 "6"으로 나타나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또한 이 베어링과 관련된 천공형 캡이 "60"으로 나타나 있다. 장방형의 개구(7)(여기서는 대략 사다리꼴 형태임)는 내측에서 웨브(6)에 의해, 측방에서는 두 아암(도면부호는 부여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그리고 외측에서는 플레이트(3)의 주변 재료(다이오드(10)의 몸체가 장착됨)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있다. 여기서 개구(7)들은 둘레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서로 다른 크기이며, 개구(7)당 하나의 다이오드 후미부(8)가 제공된다. 이는 베어링 하우징(16)에 있는 개구(7)의 형상에 의존한다. 따라서 일 변형예에서는 두개의 다이오드 후미부(8)가 이에 따라 형성된 동일 개구(7)에 들어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네거티브 다이오드(10)의 후미부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구멍(111')에 대한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위치의 수정을 포함하여 커넥터(113)(도 8)는 히트 싱크(9)의 형상 때문에 수정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공기 유입 개구(7)에의 접근을 위해, 문헌 WO 02/093717의 도 7에 나타나 있는 종류의 넓은 개구를 갖는 커넥터의 내측 환형부가 유지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다이오드(8)의 더 양호한 냉각, 재료 소비의 감소 및 개구(7)에 대한 더 양호한 접근을 위해, 넓은 개구를 갖는 이 내측 환형부는 생략된다. 이 커넥터(113)는 더욱 경제적이고 단순하며, 줄어든 크기를 가지며 또한 더욱 컴팩트하고 경량이며 환기도 잘 된다. 그러므로, 일 특징에 따르면, 히트 싱크(9)의 내주부는 더 큰 정도로 공기 유입구(7)의 반대편에 있게 된다.
커넥터(113)(도 8)의 몸체는 전기 절연성 재료(여기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이 재료에는 전기 도체(여기서는 편평하고 알루미늄이나 일 변형예의 경우에는 구리로 제조됨)의 네트워크가 매립되어 있다. 이들 도체는 "114", "134", "142", "145" 및 "146"에서 국부적으로 가시적이어서, 즉 피복되어 있지 않아, 스테이터 상의 권선의 출력부,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 다이오드(11)의 후미부 및 전술한 바와 같은 전압 조절기의 트랙과 각각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비피복 부분(114, 134, 142)은 대략 앵글 부재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각기 커넥터(113)의 몸체의 면내에 있는 횡 기부를 포함한다. 이 기부는 그의 일 단부에서 커넥터(113)의 몸체에 들어가고, 다른 단부에서는 돌출 고정 단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단부는 커넥터(113)의 몸체에 대략 수직하다.
이 몸체는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후미부를 위한 하나의 통과 구멍(122)(여기서는 원통형임)과, 히트 싱크(9)를 플레이트(3)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115)를 위한 3개의 통과 구멍(123)(여기서는 원통형임) 및 네거티브 다이오드(10)의 두 후미부(111)에 대한 접근을 위한 두개의 구멍(124)(여기서는 반경방향으로 장방형인 형상임)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구멍(122, 124)(여기서는 폐쇄되어 있음)의 수가 줄어든다.
각각의 구멍(123)은 커넥터(113)의 몸체가 국부적으로 갖고 있는 돌출부(223)에 속하며, 그 몸체는 또한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돌출부(223)보다 높이가 낮은 돌출부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부(223)들 중의 하나는 브라켓(95')에 속한다.
구멍(122)은 앵글 부재(142)에 전용되며, 두 구멍(124) 각각은 앵글 부재(134)에 전용된다.
그러므로, 단일의 앵글 부재(142)의 기부는 구멍(122)에 들어가고, 두 앵글 부재(134)의 기부 각각은 두 구멍(124) 중의 하나에 들어간다.
두 앵글 부재(142) 및 하나의 앵글 부재(134)는 커넥터(113)의 내주부에 위치된다.
도 2 및 도 4에서는 단지 두개의 고정 스크류(115)만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3 스크류(115)는 전압 조절기/브러쉬 홀더 어셈블리(보이지 않음), 히트 싱크(9) 및 커넥터(113)를 브라켓(95, 95')에서 플레이트(3)에 국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커넥터의 브라켓(95')은 구멍(123) 및 돌출부(223)를 갖는다. 이 브라켓(95')은 스크류(115)의 통과를 위한 구멍(115')을 갖는 히트 싱크(9)의 브라켓(9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스크류는 조절기에 있는 제 1 천공형 브라켓도 통과한다. 구멍(123, 115') 및 조절기의 제 1 브라켓의 구멍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브라켓(95, 95')과 조절기는 커넥터(113)를 통해 전기 절연으로 고정된다. 히트 싱크(9)의 브라켓(95)은 커넥터(113)의 브라켓(95')과 조절기의 제 1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다. 이 브라켓(95)은 브라켓(95')의 돌출부(223)에 지탱된다.
도 2 내지 도 4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는 병렬로 배치되는데, 즉 축방향으로 적층된다. 커넥터(113)는 그의 몸체를 통해 히트 싱크(9)와 플레이트(3)(이들은 서로 다른 전위에 있음) 사이에 전기적 절연을 이루기 위해, 축방향으로 플레이트(3)와 히트 싱크(9) 사이에 개재된다.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는 국부적으로 플레이트(3)상의 세 지점에서 국부적으로 접촉하며, 그 플레이트는 이러한 목적으로 전술한 방식으로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침니를 갖는다.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의 몸체들은 서로 나란하다.
따라서, 플레이트(3)에서 가장 멀리 있는 커넥터(113)의 몸체의 정상면(247)(도 8 및 도 9)은 세개의 돌출부(223)(각각에는 스크류(115)의 통과를 위한 구멍(123)이 제공되어 있음)로 이루어진 세 지점에서, 플레이트(3)를 향해 있는 히트 싱크(9)의 몸체의 바닥면과 국부적으로 접촉한다.
이들 돌출부(223) 중의 하나는 커넥터(113)의 브라켓(95')에 속한다. 이들 돌출부(223) 중의 다른 것은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에 인접해 있다. 다른 돌출부(223)는 둘레 방향으로 중간 위치에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히트 싱크(9)의 내측면은 전체적으로 더 매끄럽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일 특징에 따르면, 도 11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 틈새가 히트 싱크(9)의 바닥면과 커넥터(113)의 정상면(247) 사이에 존재한다. 이 틈새의 크기는 돌출부(223)의 높이에 의존한다. 이 틈새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해주며, 또한 일 특징에 따르면, 이 틈새에 의해 공기가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의 몸체들(쉴드의 형태로 되어 있음)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이오드(8)의 냉각을 개선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외측 구멍(300)이 히트 싱크의 외주부에 형성된다.
수개의 외측 구멍(300)이 제공된다. 각 구멍(300)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히트 싱크(9)의 주변 벽(91 내지 93)의 내주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들 벽(91 내지 93)은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 위치된다. 상기 벽들은 다이오드(8)의 반대쪽에서 그 다이오드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있다. 이들 벽들은 다이오드(8)의 몸체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8')의 직경보다 둘레 방향으로 더 넓게 되어 있다(도 5 및 도 6).
각각의 구멍(300)은 이와 연결되는 주변 벽보다 둘레 방향으로 좁게 되어 있다. 이 구멍은 포지티브 다이오드(8)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재가 다이오드(8)의 장착을 위한 영역과 전도로 열을 배출하기 위한 관련 주변 벽(91 내지 93) 사이에 존재한다. 따라서, 일 특징에 따르면, 제 1 전류 정류 요소와 그의 관련된 대향 주변 벽 사이에는 재료가 연속성을 갖고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벽(91 내지 93) 각각은 냉각 셀(A, B, C)(도 2, 도 5 및 도 11)에 속하며, 각각의 냉각 셀은 제 1 전류 정류 요소(8) 및 이 벽과 관련된 구멍(300)을 포함한다. 측방에서 각각의 셀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한쌍의 횡벽(191-191', 192-192', 193-193')으로 경계가 정해져 있으며, 이들 횡벽은 히트 싱크(9)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까지 이른다.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셀들은 막혀 있되, 포지티브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서는 개방되어 있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연속된 두 셀(여기서는 각각 A, B 및 B, C) 사이에는 자유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 내지 도 6, 도 11 및 도 1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된 두 셀의 대향하는 두 횡벽 사이에는 공기 통로(여기서는 횡방향)가 존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의 각 횡벽은 그의 외주부에서 관련 주변 벽의 둘레 방향 단부들 중의 하나에 연결된다. 이렇게 해서, 각각의 셀은 히트 싱크(9)의 몸체(쉴드의 형태임)에 속하는 해당 포지티브 다이오드(8)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의 재료 및 둘레 벽으로 형성된 돌출 패턴으로 경계가 정해지고 또한 측방에서는 두 횡벽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각각의 패턴 및 그래서 각각의 셀은 막혀 있되,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서는 개방되어 있고, 이 내주부는 공기 유입 개구(7)의 존재에 적합하게 물결형으로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다이오드가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동일 셀의 횡벽들 사이의 거리는 다이오드의 장착을 위한 구멍(8')의 직경에 의존한다.
셀당 하나의 외측 구멍(300)이 있는 구성에서는, 횡벽들 중의 하나와 그 구멍(30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재가 존재한다.
열교환을 더 개선하기 위해, 상기 셀(A, B, C)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그의 내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측 냉각 핀(fin)이 제공되어 있다. 이 내주부는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해당 셀의 내측 냉각 핀은 이 셀의 횡벽과는 별개로 되어있다.
따라서,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내측 냉각 핀(200)을 포함하며, 이 셀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외측 구멍(들)(300)과 내측 핀(200) 사이에 위치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개구(7)의 반대쪽에서 내측 냉각 핀을 형성하고 또한 대류로 열의 배출을 돕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셀의 횡벽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더욱 더 양호한 냉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셀의 각 횡벽은 더욱더 양호한 냉각을 위한 내측 핀을 형성하기 위해 개구(7)의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형태에서, 모든 셀은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벽을 갖는다.
상기 내측 핀은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 1 셀(A)이 히트 싱크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가장 가깝고, 제 3 셀(C)이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에 가장 가깝다.
이들 두 구멍 각각은 여기서는 고정 스크류(115)의 통과를 위해 천공되어 있다. 제 2 셀(B)은 둘레 방향으로 두 셀(A, C) 사이에 위치된다.
도 2 내지 도 11에서, 제 1 셀(A)은 히트 싱크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인접한 단자(117)에 가장 가깝고, 단부 셀을 구성하는 제 3 셀(C)은 히트 싱크(9)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94)에 인접해 있으며, 이 제 2 둘레 방향 단부는 여기서는 고정 스크류(115)의 통과를 위해 115'에서 천공되어 있는 편평한 브라켓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셀들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데, 이 형태는 히트 싱크 상에서의 그들의 위치에 의존한다. 여기서 셀(A, B)은 그들의 내주부에서 셀(C)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 제 3 셀(C)은 물결형의 횡벽(193')을 포함하여, 브라켓(94)과 관련된 스크류의 머리를 위한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리 하여 히트 싱크의 둘레 방향 크기가 줄어든다.
상기 구멍(300)은 제 1 다이오드(8)의 외측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다이오드는 구멍(300)(도 5 및 도 6)의 존재로 인해 셀에서 가장 많은 재료량을 갖도록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가깝게 위치된다.
문헌 WO 02/093717의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와 비교해 보면, 모든 다이오드(8)는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위치되며, 모든 구멍(300)은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1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성된다.
따라서, 이들 구멍(300)의 내주부와 다이오드(8)의 몸체 사이에는 재료가 존재한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또한 사변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적어도 두개의 외측 공기 통과 구멍(300)이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셀과 관련되어 있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또한 관련된 주변 벽보다 둘레 방향으로 폭이 작은 적어도 두개의 외측 구멍(300)이 존재함으로써, 공기 통과가 양호하게 일어나면서 히트 싱크(9)의 기계적 강도가 더 좋아질 수 있다.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두개의 구멍(300)이 각 셀과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개의 외측 구멍(300)이 각각의 주변 벽(91 내지 93)과 관련되어 있다. 이들 구멍은 스트립재에 의해 분리되어 있으며, 이 스트립재는 관련 주변 벽(91, 93)으로부터, 구멍(8')을 포함하는 다이오드(8)의 몸체가 장착되는 영역의 재료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 스트립재 및 다이오드의 몸체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의 재료로 인해, 저온부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케이블에 단자(117)를 경유하여 연결되어 있는 히트 싱크(9)를 통해 열을 전도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적어도 두개의 구멍은 특히 벽(91 내지 93)에 물, 특히 염수 또는 어떤 다른 오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히트 싱크가 양호하게 정화되도록 해준다.
일 실시형태에서, 셀의 두 구멍은 이 셀의 횡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여기서, 두 구멍 각각은 유리하게는 더 양호한 정화 및 더 양호한 열 배출을 위해 해당 셀의 횡벽에 의해서도 경계가 정해져 있다. 이들 횡벽은 안쪽으로 향해 있는 외측 냉각 핀을 구성한다.
다이오드(8)의 냉각을 더 개선하기 위해,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외측 핀(400)을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제공한다. 이 핀(400)은 측방에서 구멍(300)의 경계를 정하고 또한 해당 횡벽과는 별개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셀 당 수개의 외측 핀(400)이 제공되어 있다. 이들 핀(400)은 부분적으로 측방에서 구멍(300)의 경계를 정한다. 이들 핀은 대류로 열교환을 증가시키며,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서는, 열을 더 잘 배출시키기 위해 다이오드(8)의 몸체를 장착하기 위한 영역 안으로 연장되어 있다. 핀(400)은 연속된 두 구멍(300)을 분리시키는 스트립재에 속한다.
열교환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벽(91 내지 93) 당 두개 이상의 구멍(300)이 제공되고 또한 두개 이상의 추가적인 핀(400)이 제공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벽(91 내지 93) 당 4개의 구멍(300) 및 3개의 외측 핀(400)이 제공된다. 이들 구멍 중 두개는 또한 셀의 횡벽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일 특징에 따르면, 포지티브 히트 싱크(9)의 내주부 벽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을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내측 냉각 핀(200)이 히트 싱크(9)의 적어도 하나의 셀의 내주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 핀(200)은 해당 셀의 횡벽과는 별개로 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이 셀의 횡벽은 내측 핀을 갖지 않는데, 따라서 해당 셀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내측 핀(200)을 갖는다.
여기서, 셀 당 수개의 내측 핀(200)이 제공된다.
횡벽과 개별적으로 되어 있고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들 핀(200) 각각은 제 1 다이오드(8)를 더욱더 잘 냉각시키기 위해 구멍(8')과 그 제 1 다이오드의 아래에 직렬로 위치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핀(200)과 외측 핀(400) 및 횡벽과 주변 벽은 히트 싱크에서의 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형태를 갖는다.
이들 도면에서, 외측 핀(400)과 구멍(300)의 수(각각 3개의 외측 핀(400) 및 4개의 구멍(300))는 제 1 셀(A) 및 제 2 중간 셀(B)에 대한 내측 핀(200)의 수(두개)보다 많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 3 셀(C)은 셀(A, B)과 동일한 수의 구멍(300)과 핀(400, 200)을 포함한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형태에서, 제 3 단부 셀(C)의 내측 핀의 수(여기서는 4개)는 러그(94)에 인접한 마지막 다이오드(8)를 더 잘 냉각시키기 위해 증가되어 있으며, 외측 핀(400)과 구멍(300)의 수는 다른 셀의 경우와 같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각 셀은 용도에 따라 구성되며, 제 1 셀(A)이 가장 저온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 셀(A)은 다른 셀(B, C)보다 적은 수의 외측 핀 및/또는 내측 핀을 갖는다. 이는 내측 핀 및/또는 외측 핀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핀(200, 400) 및 구멍(300)의 수는 해당 다이오드(8)가 도달하는 온도에 의존한다. 이들 파라미터 및 핀의 길이를 정하여, 다이오드(8)의 온도를 더 잘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다이오드(8)와 다른 다이오드 간에 온도를 더욱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커넥터(113)에 대해서는, 가시적인 후크라고 하는 앵글 부재(114)가 커넥터(113)의 외주부에서 돌출하여 위치되어 있으며, 그의 단부 고정부에 의해, 예컨대 별 모양으로 연결된(도 12) 코일(23)의 상의 권선(23')의 출력부(214)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단부 고정부는 상승되어 있고, 전기적 접촉을 위해 벌려진 아암에서 피복되어 있지 않는 권선(23')의 출력부(214)를 크림핑(crimping)으로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형성하기 위해 접혀질 수 있는 벌려진 아암을 갖는 대략 U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3개의 크림핑 후크(114)가 제공된다. 일 변형예에서, 권선(23')의 출력부(214)는 납땜에 의해 후크(114)의 고정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시적인 앵글 부재(134, 142)는 반대 방향으로 장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데, 이들 고정부 각각에는 네거티브 다이오드(10) 및 포지티브 다이오드(8) 각각의 후미부와의 국부적인 접촉을 위한 폴드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의 후미부를 앵글 부재의 단부의 폴드에 고정시키는 것은 납땜 또는 일 변형예에서는 후크(114)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크림핑으로 행해진다.
두 앵글 부재(134)의 두 단부 고정부는 축방향으로 히트 싱크(9)의 관련된 폐쇄된 접근 구멍(111')에 들어가며, 이 접근 구멍은 제 2 다이오드(10)의 단자들 중의 적어도 하나(여기서는 해당 후미부(111))에의 접근을 위한 커넥터(113)의 구멍(124)에 일치한다 앵글 부재(134)는 구멍(111')을 통과한다. 여기서, 구멍(111', 124)은 반경방향으로 두개의 평행한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도 5, 도 6 및 도 8). 그러므로, 일 특징에 따르면, 히트 싱크(9)는 네거티브 다이오드(10)의 수보다 적은 수의 구멍(111')을 가지며, 다이오드(10)들 중의 두개는 쌍으로 그룹지어져 있는 접근 구멍(111', 124)을 통해 접근가능하다.
앵글 부재(134)와 다이오드(10)에의 접근을 위한 구멍(111', 124)은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의 외주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다이오드(8)들은 모두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은 구멍(8') 및 앵글 부재(142)에 대해 외측으로 또한 둘레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단부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부 앵글 부재라고 하는 제 3 앵글 부재(134)는 커넥터(113)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에 의해 지지되는데, 왜냐하면 그의 기부가 제 2 단부(113a)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일 특징에 따르면, 이 단부 앵글 부재(134)는 포지티브 히트 싱크(9)에 있는 구멍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는 구멍(115')을 갖는 편평한 브라켓의 형태인 히트 싱크(9)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94)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지티브 다이오드(8)는 둘레 방향으로 브라켓(94, 95) 사이에 개재되거나, 또는 더 정확히 말하면, 단자(117)와 브라켓(94) 사이에 개재된다.
히트 싱크(9)의 몸체에 의해 지지되는 다이오드(8)는 둘레 방향으로 커넥터(113) 및 히트 싱크(9)의 제 2 단부(113a, 94)와 커넥터의 브라켓(143) 사이에 위치된다.
일 특징에 따르면,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의 보다 작은 둘레 방향 길이를 갖는다. 커넥터(113)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는 히트 싱크(9)의 브라켓(94)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돌출해서 연장되어 있다.
다이오드(8)들 중의 하나는 고정 브라켓(94)에 인접해 있다.
히트 싱크(9)는 문헌 WO 02/093717의 도 5에 있는 것보다 둘레 방향으로 더 컴팩트하다. 그러므로 이 히트 싱크가 더 가볍다.
그러므로, 단부 앵글 부재(134)는 히트 싱크(9)에 대하여 또한 커넥터(113)의 몸체에 대해서도 해제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그 단부 앵글 부재는 커넥터(113)의 몸체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부 및 플레이트(3)의 반대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고정부를 갖기 때문이다. 상기 단부(113a)는 이 앵글 부재(134)에서 폭이 감소되어 있다.
앵글 부재(142)의 고정부는 공기 유입 개구(7)의 방향으로 향해 있다. 그의 길이에 따라, 이들 고정부는 개구(7)에 들어가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일 특징에 따르면, 다른 두 앵글 부재(142)는 커넥터(113)의 몸체의 내주부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부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들 앵글 부재(142)는 구멍(124)에 장착되는 중간 앵글 부재(134)의 양 측에서 해제되고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의 중공 내주부는 물결형으로 되어 있으며, 제 2 단부(113a)에 인접한 구멍(123)과 해제되어 있는 두 앵글 부재(142)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단부 구멍(124)에서 재료가 추가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13)의 내주부는 단부(113a) 및 이 단부(113a)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해제된 제 1 앵글 부재라고 하는 해제된 앵글 부재 사이에서 물결형으로 되어 있다.
커넥터(113)의 몸체의 내주부는 또한 후크(114)의 반대쪽에서 브라켓(143)과 해제된 제 1 앵글 부재(142) 사이에서 대략 직선형인 부분을 갖는다. 커넥터(113)의 몸체는 이 지점에서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도 8).
상기 몸체는 이 제 1 앵글 부재(142)에서 대략 반원형인 중공 부분을 가지며, 또한 단부(113a)에 인접한 구멍(123)과 제 2 단부 구멍(124) 사이에서도 대략 반원형인 다른 중공 부분을 가지며, 이들 중공 부분은 물결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커넥터(113)의 제 2 단부(113a)에 가장 가까운 두 다이오드(8)의 몸체와 구멍(8')을 가능한 최대의 정도로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강성을 커넥터(113)에 줄 수 있으며 또한 두개의 중공 부분에서 공간을 대략 반원형의 형상으로 둘 수 있다.
그러므로, 커넥터의 내주부는 이들 두 제 2 다이오드(8)의 몸체에 적어도 많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두개의 오목부를 갖는다.
구멍(122)에 인접한 구멍(124)은 둘레 방향으로 이 구멍(122)과 브라켓(95') 사이에 개재되어 그 구멍(122)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다.
커넥터(113)의 물결형의 내주부는 플레이트(3)의 개구(7)에서 최대한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단자(117)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포지티브 다이오드(8)를 더 잘 냉각시킬 수 있으며, 히트 싱크(9)에 있어서 단자(117)에 인접한 영역이 가장 저온인데, 왜냐하면 B+ 단자라고 하는 이 단자(117)는 또한 전도로 열을 배출시키는 케이블을 통해 자동차의 배터리의 양의 단자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단자(117)에 가장 가까운 다이오드(8)가 가장 저온이고, 다이오드(10)는 더 저온인데, 왜냐하면 이 다이오드는 히트 싱크(9)보다 더 많은 재료를 갖는 베어링 하우징(16)으로 냉각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커넥터(113)는 히트 싱크(9)의 형상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브라켓(143, 95')에 대한 그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종래 기술보다 환기가 더 잘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상기 커넥터(113)의 몸체는 구멍(122)과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 사이의 내주부에서 트림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 몸체는 히트 싱크(9)를 더 잘 냉각시키기 위해 더 많은 공기 통과를 허용한다. 이 몸체는 더 가볍고 또한 더 경제적이다.
종래 기술과 비교해 보면,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는 브라켓(95, 95' 및 143)을 포함하는 그들의 둘레 방향 단부에서 수정되어 있지 않다. 커넥터(113)의 몸체의 재료와 구멍(122, 124)의 수는 감소되어 있다.
상기 구멍(124)들 중의 하나는 구멍(122)보다 브라켓(95, 143)에 더 가깝고 문헌 WO 02/093717(도 7)에서는 그 반대이다.
따라서, 도 8의 실시형태에서, 네거티브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를 고정시키기 위한 앵글 부재(134)는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후미부를 고정시키는 앵글 부재(142)에 대하여 커넥터(113)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와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의 방향으로 둘레 방향으로 편위되어 있다. 앵글 부재(134)들 중의 하나는 앵글 부재(142)보다 브라켓(95', 143)에 더 가깝고, 마지막 앵글 부재(134)는 앵글 부재(142)보다 제 2 단부(113a)에 더 가깝다.
앵글 부재(142)는 두 구멍(124)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의 결과로, 히트 싱크(9)는 각기 구멍(124)과 관련된 두 구멍(111')을 포함한다. 이들 구멍(111') 중에서 해당되는 제 2 다이오드(10)의 단자(111)에의 접근을 위한 제 1 구멍은 구멍(8') 및 제 1 다이오드(8)보다 둘레 방향으로 침니(117')와 단자(117)에(그래서 브라켓(95)에) 더 가깝다. 이 제 1 구멍(111')은 둘레 방향으로 단자(117)와 제 1 셀(A)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구멍(111') 중에서 다른 제 2 다이오드(10)의 단자에의 접근을 위한 제 2 구멍은 둘레 방향으로 단자(117)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두개의 제 1 다이오드(8)와 두 구멍(8') 사이에 또한 그래서 두 셀(B, C)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이 제 2 구멍(111')은, 예컨대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된 셀(C, B)의 대향하는 두 횡벽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통로의 바닥에 속한다.
고정 부재(115)의 중간 통과 구멍(115')은 둘레 방향으로 단자(117)에 가장 가까운 중간 다이오드(8)의 구멍(8')과 중간 다이오드(8)의 구멍(8') 사이에 위치된다. 이 구멍은 둘레 방향으로 셀(A, B)의 대향하는 횡벽(191', 192) 사이에 위치되며, 따라서 쉽게 접근가능하다. 이 구멍(115')은, 예컨대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된 셀(B, A)의 대향하는 두 횡벽(192, 191')들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 통로의 바닥에 속한다.
다른 두 구멍(115')은 브라켓(94)과 브라켓(95)에 각각 속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두 셀(C, B) 사이에 있는 공기 통로 덕분에 스크류 머리가 특히 중간 구멍(115')에서 접근가능하기 때문에, 스크류를 스크류 드라이버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스크류 드라이버를 통과시키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모든 구멍(115', 111' 및 8')은 둘레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편위되어 있다.
이들 모든 구성으로,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의 둘레 방향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일 특징에 따르면, 이들 커넥터와 히트 싱크는 둘레 방향으로 더욱 컴팩트하게 된다.
도 8의 커넥터(113)는 두개의 돌출형 위치결정 핀(97)을 갖는데, 이들 핀 각각은 금속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 제공되어 있는 원통형 구멍(97')에 결합하게 된다(도 4 및 도 5).
따라서, 일 특징에 따르면, 커넥터(113)는 히트 싱크(9)에 대해 각도 방향으로 위치되어, 구멍(115', 123)이 정렬되고 후미부(111)는 구멍(111')에 들어가게 된다.
구멍(97')들 중의 하나는 중간 벽(92)과 제 2 셀(B)의 두 외측 핀(40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 구멍은 외측 구멍(300)들 중 하나에 대한 대용이다. 다른 구멍(97')은 단자(117)에 인접해 있다.
고정 부재(115)(여기서는 스크류)는 정렬된 개구(115', 123)를 통과하며, 이러한 이유로, 플레이트(3)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부재(115)를 히트 싱크(9)에 대해 절연시키기 위해 전기 절연성 슬리브(215)가 개구(115')에 끼워져 있다. 여기서 슬리브(215)는 직경의 변화가 있으며, 따라서 스크류(115)의 머리가 이 직경이 변하는 부분에 지탱될 수 있다.
물론, 슬리브(215)는 도 1에서와 같이 유지될 수 있고 또한 고정 스터드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든 경우에,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셀(A, B) 사이에는 슬리브(215)를 끼울 충분한 공간이 있다.
슬리브의 가장 큰 직경의 크기는 스크류 드라이버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223)는 또한 칼라(collar; 도면부호로 나타나 있지 않음)를 갖는데, 각각의 칼라는 슬리브(215)와 관련하여 전기 절연을 보충하기 위해 구멍(115')에 들어가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플레이트(3)에 가장 가까운 커넥터(113)의 바닥면(246)은 그 플레이트(3)의 관련 침니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기 위해 국부적인 직경 변화가 있다.
도면에서, 상기 스터드는 스크류(115)로 대체되고, 덮개(27)는 커넥터(113)에 스냅 결합됨으로써 경제적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커넥터(113)의 몸체(도 8)는 그의 외주부에서 두개의 돌출부(148)를 갖는데, 각각의 돌출부에는 U자형 오목부(144)와 편평한 형태의 돌출부(147)가 제공되어 있다. 몰딩으로 얻어지는 돌출부(148, 147)는 외측으로 향해 있다. 하나의 돌출부(148)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위치되고, 돌출부(147)는 돌출부(223)와 단부 앵글 부재(134)의 근처에서 커넥터(113)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에 위치된다.
다른 돌출부(148)는 중간 돌출부(223)와 중간 구멍(115')의 근처에 있는 두 후크(114) 사이에, 즉 둘레 방향으로 셀(A, B)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돌출부(147, 148) 각각은 고정 구멍(123)(스크류(115)가 통과함)의 근처에, 또한 그래서 돌출부(223)의 근처 및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를 플레이트(3)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점의 근처에 위치된다.
덮개(27)(도 7, 도 9 및 도 10)는 중공 형태이다. 여기서 이 덮개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그래서 전기 절연성을 갖는다. 덮개는 바닥(228)을 갖는데, 이 바닥은 도 1에서 축선(X-X)에 대해 대략 횡으로 배향된다. 이 바닥(228)은 그의 외주부에서 스커트(227)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스커트는 도 1에 있는 축선(X-X)에 대해 대략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그러므로 이 스커트(227)는 바닥(228)에 대략 수직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이 히트 싱크(9), 커넥터(113) 및 개구(7)를 통과하는 공기 유동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이 바닥(228)에는 그릴(grille) 형태로 천공되어 있다.
이 덮개(27)는 그의 플라스틱 재료를 몰딩하여 요구되는 형상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도 7에서는, 그릴을 형성하는 다수의 공기 유동 통과 개구(275) 및 전압 조절기를 냉각하기 위한 다른 개구(276)를 볼 수 있다. 도면부호 "271"은 브러쉬 홀더를 위한 하우징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74" 및 "273"은 전압 조절기의 커넥터의 통과 및 히트 싱크(9)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단자(117) 각각을 위한 구멍을 나타낸다.
덮개(27)는 그의 외측 둘레에서, 상의 권선(23')의 출력부(214)의 통과 및 수용을 위한 돌출부(272)(여기서는 3개의 돌출부)를 가지며,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플레이트(3)의 외주부에 영향을 주는 개구(5)의 반경 방향 부분에 의해 플레이트(3)를 축방향으로 통과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반경 방향 부분은 도 3 및 도 11에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확대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출력부(214)는 플레이트(3)에 있는 특정 구멍을 통과하게 된다.
이 덮개(27)는 플레이트(3)쪽으로 향해 있는 커넥터(113)의 몸체의 플라스틱 바닥면(246)상에 스냅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돌출부(147, 148)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출부(147, 148)는 몰딩에 의해 덮개(27)의 스커트(227)로부터 나와 있는 후크(245)를 갖는 스냅 결합 러그(224)와 각각 상호 작용하도록 되어 있으며(도 9), 상기 스커트는 둘레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세개의 러그(244)를 갖는다(도 10). 각각의 러그(244)는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며, 도 9 및 도 10의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러그 중 적어도 하나는 더 큰 가요성을 얻기 위해 스커트(227)에 대해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러그(244)의 두께는 스커트(227)의 두께와 같다. 일 변형예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러그는 스커트(227)의 두께에 대해 두께가 감소되어 있다.
각각의 러그(244)(도 10)는 몰딩에 의해 스커트(227)로부터 나오며, 축방향으로 이 스커트보다는 짧다. 상기 러그는 측방에서는 블라인드 축방향 슬롯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또한 그의 발부에서는 스커트(227)보다 높이가 작은 스트립재에 연결되어 있다.
후크(245)는 러그(244)보다 두껍고, 이 러그(244)의 자유 단부를 구성한다. 이 후크(245)는 플레이트(3)에 가장 가까운 커넥터(113)의 바닥면(246)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횡방향 면(248)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상기 후크(245)는 또한 단부 경사면(249)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덮개(27)가 커넥터(113)의 몸체에 장착되면, 덮개(27)에 축방향 압력이 가해지고(도 9에서 축방향 화살표 참조) 경사면(249)은 커넥터(113)의 정상면(247)과 결합하게 되며, 그래서 러그(244)가 옆으로 전개되어(도 9에서 횡방향 화살표 참조) 이 도 9에서 돌출부(148)의 오목부(144)에 들어가게 된다.
덮개(27)가 축방향으로 계속 움직이면, 후크(245)는 바닥면(246)을 지나 그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덮개에 대한 힘을 제거하면, 후크(245)의 횡방향 면(248)은 바닥면(246)과 접촉하게 되고, 러그(244)의 몸체는 도 9에서 돌출부(148)의 오목부(144)의 바닥과 상호 작용하게 된다.
러그(244)의 폭은, 이 러그가 오목부(144)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돌출부(148)에 있는 U자형 오목부(144)의 경계를 측방에서 정하는 아암(344)들 사이의 거리에 의존한다. 마찬가지로, 러그(244)의 경계를 정하는 블라인드 슬롯의 폭은, 아암이 이들 슬롯에 들어갈 수 있도록 그 아암(344)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아암(344)은 러그를 못 움직이게 만들고 그래서 돌출부(148)에 있는 오목부의 바닥과 협력하여 덮개(27)를 회전 안되게 잠금시키게 된다.
돌출부(147)에 대해서는, 러그(244)는 이 돌출부의 편평한 정상면과 접촉하게 되고, 이때 러그(244)의 후크는 그의 횡방향 면(248)을 통해 커넥터(113)의 바닥면(246)과 결합하게 된다.
커넥터의 바닥면(246)이 플레이트(3)에 대해 축방향으로 편위되어 있어 후크(245)를 수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얻어진다.
러그(244)는 휘어질 수 있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보존된다.
커넥터(117)와 덮개(27)(둘다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됨)의 몸체의 팽창 계수는 대략 동일하다.
일 변형예에서, 덮개는 이 덮개에 있는 공기 유출 개구(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후크(245)는 그의 면(248)을 통해 플레이트(3)의 내측면(301)(도 9)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 방안은 덜 만족스러운 것인데, 왜냐하면 후크(245)는 도 1에 있는 코일 단부(39)의 근처에 위치되며 그래서 가열을 받아 덮개의 고정이 덜 신뢰적으로 되기 때문이다.
일 변형예에서, 고정은 러그(244)를 갖는 덮개(27)를 돌출부(147, 148)와 동일한 종류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있는 히트 싱크(9)와 스냅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일 변형예에서, 두 돌출부(148)는 커넥터에 있는 돌출부(147)와 히트 싱크(9)에 고정된다.
이 방안은 덜 유리한 것인데, 왜냐하면 히트 싱크(9)는 덮개(27)보다 더 고온이기 때문이다.
일 특징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덮개는 내측에서 3개의 칸막이(277)를 가지며, 각각의 칸막이는 얼터네이터 코일의 상의 권선의 출력부를 수용하는 돌출부(272)의 반대편에 위치된다(도 10). 이들 칸막이(277) 중의 두개는 그들의 단부 중 하나에서 V자 형태로 함께 연결되어 있다. 이들 두 내측 칸막이(277)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의 제 1 단부와 제 3 내측 칸막이(277) 사이에는 러그(244)가 개재되어 있다. 두 칸막이(277)로 이루어진 상기 어셈블리의 타단부에는 다른 러그(244)가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V자 형태를 이루는 두 내측 칸막이(277)는 둘레 방향으로 두 스냅 결합 러그(244) 사이에 위치된다.
이들 내측 칸막이(277)는 바닥(228)에 대략 수직이고, 플라스틱 덮개(27)와 일체적으로 몰딩된다. 내측 칸막이는 개구(275)의 외측에서 스커트(227)의 내측에 위치되고, 이 스커트는 바닥(228)에 대략 수직하다.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13)의 외주부는 상이한 길이의 네 면(149)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져 있으며, 이들 면은 브라켓(95')에 가장 가까운 제 1 구멍(124)으로부터 돌출부(47)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1 면(149)은 대략 원호 형태인 부분으로 연장되며, 브라켓(95')에서 끝나고 돌출부(148)를 포함한다. 제 1 구멍(124)에 인접한 이 제 1 면(149)은 다른 면 및 돌출부(147)에 가장 가까운 제 4 면보다는 짧으며, 제 4 면은 다른 면들보다 길다. 브라켓(95')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제 2 돌출부(148)는 제 2 및 제 3 면(149)의 연결 지점에서 중간 돌출부(223)의 근처에 위치된다.
제 1 면(149)은 다른 면들보다 짧게 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이들 다른 세 면(149) 각각에는 후크(114)가 제공되어 있기 때문이며, 이 후크는 그의 기부를 통해 그의 면(149)에 대해 수직하게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있다.
면(149)들로 인해 커넥터(113)의 몸체의 재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커넥터(113)의 몸체의 재료는 그의 외주부에서 트림되어 있다.
히트 싱크(9)의 외주부는 커넥터(113)의 외주부에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히트 싱크(9)의 플레이트는 상기 면(149)들에 상보적인 4개의 면을 포함하며, 이들 면은 그의 브라켓(94)으로부터 제 1 접근 구멍(111')의 근처까지 이른다. 재료를 더욱 줄이기 위해 이들 네 면은 단자(117)까지 이르는 추가적인 면 및 브라켓(95)에 연결된 원호형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다. 3개의 주변 벽(91, 92, 93) 각각이 마지막 3개의 면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히트 싱크(9)의 제 1 면이 다른 면들보다 짧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히트 싱크의 제 1 주변 벽(91)은 그에 따라 맞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벽은 두개의 부분, 즉 히트 싱크의 제 2 면 및 커넥터와 관련된 제 1 부분, 그리고 히트 싱크의 제 1 면 및 커넥터와 관련된 더 짧은 제 2 부분을 갖는다. 제 2 벽(92) 및 제 3 벽(93)은 단일의 면과 관련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주변 벽(91, 92, 93) 각각은 히트 싱크의 플레이트와 커넥터의 쉴드의 적어도 하나의 면이 축방향으로 연장된 것이다. 상기 벽(91, 92, 93)은 둘레 방향으로 그들의 관련된 면(들)보다 길이가 짧다.
상기 칸막이(277)는 충분히 높아서 벽(91, 92, 93)의 반대편에 오게 되며, 이들 벽은 스커트(227)보다 높이가 작다. 칸막이(277)는 벽(91, 92, 93)보다 길고 이들 벽을 가리게 된다.
그러므로,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와 같이 그의 외주부에서 컴팩트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3, 도 4 및 도 11에서 보다 명확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는 그의 외주부에서 상기 벽(91, 92, 93)을 포함하는 면들을 가지며, 후크(114)의 고정부는 이들 면의 반대쪽에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48, 147)와 후크(114)는 커넥터와 히트 싱크의 외측 둘레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크(114)의 고정부와 커넥터(113)의 면(149)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며, 이는 축방향으로 상기 면과 히트 싱크(9)의 관련 벽(91, 92, 93)으로 연장된다.
일 특징에 따르면, 덮개(27)의 각 내측 칸막이(277)는, 같은 전위에 있지 않는 후크(114)의 고정부에 대해 면(149)과 히트 싱크(9)의 관련 벽(91, 92, 93)을 절연시키기 위해, 상기 공간들 중의 하나에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칸막이(277) 각각은 커넥터(113)와 히트 싱크(9)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의 관련 면에 평행하다.
여기서 칸막이(277)는 그들의 중심을 통과하는 원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들 칸막이(277) 각각은 관련 커넥터(113)/히트 싱크 어셈블리의 면의 형상을 따른다.
상기 칸막이들은 반경 방향 개구(5')를 통과한다.
여기서 후크(114)의 기부는 칸막이(277)에 수직하고, 그 후크의 고정부는 칸막이(277)에 대략 평행하다. 일 변형예에서, 후크의 고정부는 고정부에 대해 약 90° 및 90° 이상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물론, 첫째, 내측 칸막이(277)는 후크(114)의 기부의 두께를 고려하여 스커트(227)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며, 둘째, 면(149)과 후크(114)의 대향 고정부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후크(114)의 각 고정부는 이를 스테이터 코일 상의 권선의 출력부에 고정되기 위해 돌출부(272)에 절연되어 들어가게 된다.
이들 칸막이(277)는 절연 칸막이고,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에 물, 특히 염수 또는 다른 오물이 튀겨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돌출부(272)는 그의 정상부에서, 튀긴 물, 특히 염수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슬롯(281)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는 또한 튀겨진 물이나 오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다른 슬롯(282)을 측방에서 갖는다.
이들 플라스틱 칸막이(277)는 또한 서로 가까이 있고 상이한 전위에 있는 후크(114)의 고정부와 히트 싱크(9)를 전기 절연시킨다.
이들 칸막이(277)는 주변 벽(91, 92, 93)과 함께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서 공기의 순환을 안내한다.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칸막이는 또한 공기 통로(여기서는 횡방향)를 형성하는 셀들 사이에 있는 자유 공간 사이, 보다 정확히 말하면, 제 2 구멍(111')이 사이에 있는 셀(B, C)의 대향 벽(192', 193)의 외주부 사이, 또한 중간 구멍(115')이 사이에 있는 셀(A, B)의 대향 벽(191', 192)의 외주부 사이에서도 공기 순환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내측 칸막이(277) 중의 두개는 V자 형태를 이루도록 또한 제 2 셀(B)의 벽(92)으로부터 마지막 셀(C)의 벽(93)까지 이르는 윤곽을 따르도록 함께 그룹을 이루고 있다.
다른 칸막이는 벽(93)의 가장 긴 부분의 윤곽을 따르며, 스커트(227)는 제 1 구멍(111')의 반대쪽에서 히트 싱크(9)의 외주부의 나머지 부분의 윤곽 전체를 따른다.
이러한 방안으로,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로 이루어진 어셈블리는, 염수나 다른 오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또한 전기적 절연과 공기 안내를 이루기 위해, 추가 부분이나 오버몰딩을 절감하면서 그의 외주부에서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덮개(27)는 제 1 구멍(111')의 내주부에서 공기 통과를 내부에서 안내하기 위해, 단자(117)의 통과를 위한 그의 구멍(273)에서 대략 L자 형태의 스트립재(278)를 내부에 갖고 있다.
상기 스트립(278)은 몰딩에 의해 바닥(228)으로부터 나온다. 이 스트립은 단부 헤드 및 내측으로 향해 있는 내측 부분을 가지며, 이 내측 부분은 둘레 방향으로 향한 발부로 연장되어 있다.
스트립(278)의 헤드는 스커트(227)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트립(278)은 3개의 개구(275), 즉 외측 개구, 중간 개구 및 내측 개구의 가장자리의 경계를 정한다. 이들 개구(275)는 반경 방향으로 서로의 위쪽에 위치된다. 내측 부분은 외측 및 중간 개구(275)의 정렬된 반경 방향 가장자리의 경계를 정한다. 스트립(278)의 발부는 중간 및 내측 개구에 공통인 둘레 방향 가장자리의 경계를 정한다.
따라서, 공기가 안내되어, 제 1 공기 유동은 외측 및 중간 개구를 통과하게 될 것이고 다른 개별 공기 유동은 내측 개구를 통과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 및 중간 개구는 제 1 구멍(111')의 반대쪽에 위치하며, 이 구멍은 커넥터(113)에 있는 관련 구멍(124)의 반대쪽에 있다. 그러므로, 이들 개구(111', 124)에 위치하는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는 잘 냉각될 것이다.
스트립(278)의 높이는 스커트(227)의 높이보다 낮다.
이 스트립(278)으로 인해, 히트 싱크(9)의 제 1 셀(A)의 횡벽(191)과 함께, 단자(117)에 인접한 제 1 구멍(111')에서 공기가 히트 싱크(9)를 잘 휩쓸고 가도록 내부적으로 공기 통과를 안내할 수 있다.
이 스트립은 또한 단자(117)에서 덮개의 강성을 보강해 준다.
또한, 제 2 개방 접근 구멍(111')의 내주부에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해, 몰딩에 의해 바닥(228)으로부터 나와 있는 러그(279)가 존재한다.
이 러그(279)는 스트립(278)의 발부와 같이 중간 및 내측 개구에 공통인 가장자리의 경계를 정한다. 이 러그는 셀(B, C)의 서로 마주하는 칸막이(192', 193) 사이에서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위치된다.
상기 러그(279)는 전체적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데, 즉 바닥(228)에 대략 수직하다.
상기 러그로 인해, 히트 싱크의 제 2 및 3 셀의 서로 마주하는 두 횡벽(192', 193)과 함께, 공기가 제 2 구멍(111')에서 히트 싱크를 적절히 휩쓸고 가도록 공기 통과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벽(192', 193)은 대략 서로 평행하다.
이런 구성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들 벽은 제 2 네거티브 다이오드의 후미부(111)의 납땜을 위한 전극의 통과를 위한 횡방향 통로의 경계를 정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전극은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납땜이 용이하게 되고 납땜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납땜 전극의 횡방향 통과를 위한 다른 통로가 또한 제 1 셀의 벽(191)과 돌출부(217) 사이에 존재한다.
단부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가 또한 접근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방안은 네거티브 다이오드의 후미부의 납땜을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방안은 이 납땜을 더욱 빠르고 쉽게 해주며, 전극의 횡방향 이동을 간섭하는 장애물이 없다.
물론,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를 크림핑으로 고정할 때, 이 작업은 히트 싱크와 커넥터의 구성으로 인해 용이하게 된다.
스커트(227)는 전압 조절기와 브러쉬 홀더로 이루어진 어셈블리의 형태를 가능한 한 가깝게 따르기 위해 개구(274)에서 직선형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덮개가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하우징(271)은 덮개(27)의 내부에서 벽(28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데, 이 벽은 브러쉬 홀더를 시일링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해 그 브러쉬 홀더의 형상을 따른다. 이 벽(280)과 단자(117)의 통과를 위한 개구(273)는 또한 덮개가 단자(117) 및 브러쉬 홀더와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통과 개구(275)들이 서로의 위쪽에 분산되어 있는 세개의 외측, 중간 및 내측 개구열로 분산되어 있다. 도 7 및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개구열은 둘레 방향으로 배향된 두개의 재료 링 및 두 재료 링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다수의 아암으로 경계가 정해진다. 이렇게 해서 덮개(27)의 바닥은 그릴 형태로 된다.
개구(275)의 최외측 열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가 구멍(111', 124)과 외측 구멍(300) 및 외측 핀(400)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외측 구멍(300)은 또한 히트 싱크(9)의 무게를 줄여준다.
중간 개구열은 공기가 포지티브 다이오드(8)의 몸체 및 구멍(111', 124)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최내측 개구열은 공기가 횡벽(191-191', 192-192', 193-193')의 내측 연장부 및 추가적인 내측 핀(200)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개구(275)의 최내측 열은 공기 유입 개구(7), 내측 핀(200) 및 횡벽의 내측 연장부의 반대쪽에 있다.
주변 벽(91 내지 93), 횡벽(191 내지 193'), 외측 핀(400) 및 내측 핀(200)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따라서 공기 통과를 적절히 안내하기 위한 작은 축방향 틈새가 덮개(27)의 바닥에 대해 존재한다.
도 1에서 공기 순환은 팬(104)의 회전으로 일어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는 공기 유입 구멍(7)의 존재 및 커넥터(113)의 몸체의 정상면(247)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23)와 히트 싱크(9) 사이의 국부적인 3점 접촉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히트 싱크(9)는 그의 외주부에서 두개의 작은 외측 강성 보강 벽(98)을 가지며(도 5), 이 강성 보강 벽은 벽(91 내지 93)보다 높이가 작으며, 또한 제 2 및 3 셀의 벽(92, 93)을 함께 연결시키고, 또한 단자(117)를 장착하기 위한 침니(117')를 지니고 있는 돌출부(217)에 제 1 셀의 벽(91)을 연결한다. 이들 작은 벽은 히트 싱크에 양호한 내열성을 제공한다. 이들 작은 벽(98)은 셀(C, B) 사이 및 셀(B, A) 사이에서 공기 통로의 경계를 각각 정한다.
이 히트 싱크(9)는 또한 그의 내주부에서 작은 벽(98)과 동일한 이유로 강성 보강과 내열성을 위한 3개의 작은 벽(99)을 갖는데, 이들 벽은 돌출부(217)와 제 1 셀의 횡벽(191) 사이, 제 1 셀의 횡벽(191')과 제 2 셀의 반대쪽의 횡벽(192) 사이,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2 셀의 대향 횡벽(192')과 제 3 셀의 횡벽(193)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그러므로, 히트 싱크(9)의 몸체(쉴드 형태임)의 정상면(플레이트(3)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은 벽(91, 93) 및 작은 벽(98, 99)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벽은 그 정상면에 수직하게 돌출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여기서 히트 싱크(9)의 외측 및 내주부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정한다.
작은 벽(99)은 내측에서 셀(C, B) 사이 및 셀(B, A) 사이의 통로의 경계를 정한다.
또한 히트 싱크(9)의 쉴드의 정상면은 횡벽쌍(191-191', 192-192', 193-193')과 외측 핀(400) 및 내측 핀(200)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 벽과 핀은 그 정상면에 수직하게 돌출되어 히트 싱크(9)의 쉴드의 외주부에서 내주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예컨대 내측 및/또는 외측 핀 또는 횡벽 및/또는 주변 벽은 히트 싱크의 정상면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모든 경우에, 상기 벽들과 핀들은 히트 싱크의 정상면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해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전체적으로 히트 싱크의 두께를 증가시키기 않으며, 구멍(8')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다이오드와 관련하여 작은 크기의 얼터네이터와 82 내지 92㎜의 외경(도 1의 로터의 외경과 대략 같음)을 갖는 팬에 대해 히트 싱크의 두께는 3 내지 5㎜일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예컨대 문헌 FR 2 734 427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는 히트 싱크 및/또는 플레이트(3)에 경납땜될 수 있으며, 그래서 다이오드의 몸체는 반드시 너얼링 처리될 필요가 없고 또한 구멍(8')도 반드시 있을 필요는 없다.
이 경우, 히트 싱크(9)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3㎜이다.
그러므로, 작은 얼터네이터와 82 내지 92㎜의 외경(도 1의 로터의 외경과 대략 같음)을 갖는 팬의 경우에 히트 싱크의 두께는 1 내지 5㎜이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방안이 최적이다.
따라서, 단부 포지티브 다이오드(가장 고온이고 또한 브라켓(94)에 가장 가깝다)가 도달하는 온도는 105℃의 주위 온도에 대해 종래 기술의 방안과 비교해 8℃ 낮다.
상기 단부 다이오드는 유리하게도 그의 임계 온도(215℃)를 넘지 않는 경제적인 다이오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15℃의 이 임계 온도는, 문헌 FR 2 905 806에서와 같이 자기 누설(magnetic leakage)을 줄여 얼터네이터의 파워를 증가시키기 위해 이들 클로(claw)(68, 70) 사이에서 영구 자석이 클로 로터에 구비되는 경우에 상당한다.
물론, 본 발명은 더 큰 얼터네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포지티브 다이오드는 잘 냉각되고, 기계적 강도, 재료 비용 및 열교환 표면 사이에 절충이 이루어진다.
또한, 히트 싱크는 특히 구멍(300)에 의해 통기성을 갖게 되며, 네거티브 다이오드의 후미부를 특히 납땜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연속된 두 셀 사이와 셀(A)과 단자(117)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에 의해 스크류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중공 형상의 덮개의 내측 칸막이(277)들은, 칸막이(192', 193) 사이에서 이들의 내주부에 위치하는 스트립재(278)와 러그(279)와 함께, 다이오드(10)의 후미부(111)에서 공기 유동을 잘 안내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내측 칸막이(277)들은 커넥터/히트 싱크 어셈블리의 면의 형상에 맞게 되어 있으며 각각 후크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와 관련 면은 여기서 직선형이다.
덮개는 플레이트(3)에 형성된 상 출력부의 통과 개구에 들어가는 연장부를 갖지 않으며, 따라서 단순하게 되어 있다. 이는 커넥터도 마찬가지다.
셀 히트 싱크는 또한 다양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요구 사항을 만족하며, B+ 단자라고 하는 단자(117)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경우에 본 방안을 쉽게 적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 히트 싱크(9)의 셀(A, B, C) 및 제 1 둘레 방향 단부(95)가 유지된다. 이 히트 싱크(9)는 그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 제 2 둘레 방향 단부의 근처에서 히트 싱크는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침니(217')를 가지며, 이 침니는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를 구성하는 도 5 및 도 6의 브라켓(94)과 동일한 종류의 천공형 브라켓에 의해 형성되는 보충 고정 지점과 관련된다.
이 보충 고정 지점은 이 천공형 브라켓과 도 11의 나사식 보충 침니(600)에 의해 형성된다. 이 고정은 브라켓(94)의 고정과 같이 스크류(115) 및 보충 절연 슬리브(215)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도 11의 베어링 하우징의 플레이트는 여러 용도에 적합한 것이다.
상기 침니(217')는 앞 도면의 연결 단자(117)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단자는 반경 방향 침니(217')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여기서 이 단자(117)는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스크류로 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의 머리는 다각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편평한 부분을 갖는다. 침니(217')의 기부는 형상의 협력으로 스크류의 머리를 수용하도록 그에 따라 맞게 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11을 고려하면, 브라켓(94)은 반경 방향 침니(217')을 지니는 부분(294)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부분은 브라켓(94)과 동일한 종류의 천공형 고정 브라켓에서 끝난다.
이 경우, 히트 싱크는 4개의 고정 지점을 포함하며, 커넥터의 제 2 단부(119a)는 상기 부분(294) 아래를 지나고 돌출부(148)를 갖도록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히트 싱크(9)는 둘레 방향으로 커넥터(113)보다 더 길게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앵글 부재(134, 142)의 위치는 변하지 않으며, 또한 브라켓(95', 143)의 위치도 변하지 않는다. 이는 커넥터(113)의 내주부에도 해당된다.
모든 경우에, 히트 싱크(9)는 제 1 둘레 방향 단부(95)를 가지며, 여기서 이 단부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겹쳐지게 되며, 셀들 중에서 히트 싱크(9)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에 가장 가까운 셀(C)(단부 셀이라고 함)은 다른 냉각 셀의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보충 핀(200)을 포함한다.
이 셀(C)은 물결형의 횡벽(193')을 갖는데, 이 횡벽은 히트 싱크에서 횡벽(193')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통과 구멍(115')에 의해 스크류(115)를 나사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 변형예에서 히트 싱크/커넥터 어셈블리의 표면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어셈블리에 있는 모든 면들은 반드시 직선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면은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즉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관련된 칸막이는 볼록한 면에 맞도록 상보적인 오목한 형상, 즉 만곡된 형상을 갖게 된다.
내측 칸막이의 오목한 형상은 몰딩으로 쉽게 얻어진다. 그러므로, 일 변형예에서, 셀들 중에서 셀(A)과 같은 적어도 하나는 볼록한 형상의 아치형 주변 벽을 포함한다.
따라서, 모든 내측 칸막이(277)는 반드시 동일한 형태를 가질 필요는 없다.
후크(114)는 모두 반드시 앵글 부재의 형태일 필요는 없다. 모든 것은 상 출력부(214)의 형상에 의존하며, 이 출력부는 다소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전류 정류 요소 쌍의 수는 3개 이상, 예컨대 4개이며, 따라서 일 변형예에서 히트 싱크는 4개의 냉각 셀을 갖게 된다.
일 변형예에서, 스트립재(278)는 그의 둘레 방향 부분만 유지한 채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으며, 칸막이(192', 193) 사이의 통로와 같은 제 2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 횡벽이 벽(191)에 평행하게 추가된다.
일 변형예에서, 가시적인 부분(134, 142)은 다른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이들 부분의 단부 고정부는 일 변형예에서 이들 부분의 기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일 변형예에서, 그 기부는 단부와 정렬된다.
도면에서 다이오드의 후미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다이오드의 후미부는 다른 길이로 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다이오드(8, 10) 쌍 중의 적어도 하나는 후미부를 갖지 않는데, 그래서 상기 가시적인 부분(134, 142)은 그에 따라 연장 및 형성되어 있다.
일 변형예에서, 다이오드(8 및/또는 10)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히트 싱크(9)와 플레이트(3)에 각각 경납땜되어 고정된다.
도면에서 다이오드(10)는 직접 플레이트(3)에 의해 지지된다. 일 변형예에서는, 예컨대 상기 문헌 EP 1 4860 750 및 US 2004/005140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이오드(10)는 플레이트(3)에 고정된 환형부에 장착되어 그 플레이트에 의해 간접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므로, 플레이트(3)에 다이오드(10)를 장착하기 위한 구멍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모든 경우에, 네거티브 다이오드(10)와 포지티브 다이오드(8)는 플레이트(3)와 히트 싱크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일 변형예에서, 본 장치(1)는 자동차의 얼터네이터-시동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얼터네이터-시동기는 얼터네이터 발전기 전류와 특히 시동을 걸기 위한 전기 모터로서 번갈아 기능할 수 있는 가역적인 얼터네이터이다. 더 많은 정보를 위해서는 출원 WO 01/69762를 참조하면 된다. 이 얼터네이터-시동기는 통상적인 얼터네이터의 구조를 가지며, 또한 기계가 전기 모터 모드로 기능하고 있을 때 스테이터 권선에 전류를 주기 위해 로터의 회전을 모니터링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오드(8, 10)는 일 변형예에서 MOSFET 형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수지(50), 패드(34) 및 조인트(46)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일 변형예에서 몸체(19)는 베어링 하우징(16, 18)에 움직이지 않게 장착된다.
일 변형예에서, 기계의 로터는 문헌 WO 02/05456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돌출 폴(pole)을 갖는다.
일 변형예에서, 문헌 WO 02/054566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또는 클로 로터와 이 로터의 샤프트의 결합이 기재되어 있는 문헌 FR 2 905 806에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계의 파워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 기계의 로터에는 영구 자석이 구비된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본 발명은 특히 포지티브 다이오드(8)에서 파워의 증가로 인해 열을 더 잘 배출시킬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도 1에 있는 팬(104)보다 덜 강력한 팬(102)은 생략된다.
일 변형예에서, 전방 베어링 하우징은 냉각 유체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로를 포함하며, 따라서 전방 베어링 하우징은 이 냉각 유체의 순환으로 냉각되며, 후방 베어링 하우징과 전류 정류 장치는 후방 팬에 의해 일어나는 공기 순환으로 냉각된다.
일 변형예에서, 두 베어링 하우징 중의 적어도 하나는 천공되어 있지 않다. 물론, 상기 기계의 케이싱은 내부에 스테이터를 지니고 있는 중간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간편은 전후방 베어링 사이에 위치된다.
일 변형예에서, 단일 팬이 외부에서 풀리에 위치되며, 베어링 하우징의 플레이트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 유입 개구에 의해 공기가 축방향으로 얼터네이터를 통과하게 되며, 그래서 일 변형예에서 전후방 베어링 하우징은 그들의 외주부에서 어떠한 공기 출구(5)도 없다.
일 변형예에서, 문헌 FR 2 744 57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팬은 얼터네이터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안에 설치되는 원심 펌프로 대체된다. 이 경우, 케이싱은 그 원심 펌프의 하우징의 내측 단부를 통해 또한 얼터네이터 외부의 전방 단부를 통해 나가는 통로를 갖는다. 따라서, 펌프는 얼터네이터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 경우 베어링은 측방 공기 유출 개구를 갖는 림을 갖지 않는다.
일 변형예에서, 전류 정류 장치와 보호 덮개는 문헌 FR 2 744 575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 지지된다.
이 문헌에 비추어 보면, 일 변형예에서 얼터네이터는 브러쉬를 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베어링 하우징들 중의 하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물론, 일 변형예에서, 덮개는 통상적인 형상과 자유 공간을 가지며, 그래서 두 연속된 셀 사이에 존재하는 통로를 갖는다.
여기서, 이들 통로는 동일한 형태를 갖지 않는데, 한 통로는 두개의 평행한 횡벽(192', 19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다른 통로는 두개의 발산형 횡벽(191', 19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이들 모두는 용도 및 특히 내측 핀의 형태에 의존한다.
셀의 돌출 벽은 큰 높이를 갖는데, 여기서는 고정 부재의 머리의 높이보다 더 크다. 셀의 벽과 핀은 포지티브 히트 싱크의 몸체(쉴드 형태임)에 대해 돌출되어 있으며, 이 몸체는 셀의 바닥과 셀 사이의 통로를 구성한다. 포지티브 히트 싱크(9)는 단순한 형상을 가지며, 무게가 가볍고 또한 둘레 방향 크기도 줄어들어 있다. 물론, 네거티브 히트 싱크가 얼터네이터의 베어링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방안은 축방향 크기가 줄어들게 되며, 이 방안은 경제적이다.

Claims (25)

  1. 베어링 하우징(16, 18)이 제공되어 있는 자동차 얼터네이터와 같은 다상 회전 전기 기계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1)로서,
    - 상기 베어링 하우징(16, 18)에 속하고 공기 유입 개구(7)가 제공되어 있는 플레이트(3),
    - 상기 베어링 하우징(16, 18)에 고정되며, 다이오드와 같은 제 1 전류 정류 요소(8)를 지니고 있으며, 포지티브 히트 싱크라고 하는 쉴드 형태의 히트 싱크(9),
    - 상기 베어링 하우징(16, 18)의 플레이트(3)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전류 정류 요소(10), 및
    - 상기 히트 싱크(9)와 플레이트(3)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113)를 포함하는, 전류 정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각각 장착되고 또한 냉각 셀(A, B, C) 내에 각각 위치되며, 이들 냉각 셀(A, B, C)은, 히트 싱크(9)의 외주부에 위치되는 돌출된 주변 벽(91 내지 93)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고, 또한 히트 싱크(9)의 외주부로부터 내주부까지 연장되는 두개의 돌출된 횡벽(191-191', 192-192', 193-193')에 의해 측방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각각의 냉각 셀(A, B, C)은, 첫째, 막혀 있되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서는 개방되어 있으며, 둘째, 상기 셀의 주변 벽(91 내지 93)보다 둘레 방향으로 짧은 적어도 하나의 외측 구멍(300)을 포함하고, 이들 외측 구멍(300)은 연관된 제 1 전류 정류 요소(8)와 상기 주변 벽 사이에서 재료가 연속성을 갖도록 상기 셀의 주변 벽의 내주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연속된 두 셀(C, B-B, A)의 서로 마주하는 두 횡벽(193, 192'-192, 191') 사이에는 통로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A, B, C)의 내주부에는, 히트 싱크의 내주부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내측 냉각 핀(fin)(200) 및 횡벽(191-191', 192-192', 193-193')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의 횡벽(191-191', 192-192', 193-193')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측 냉각 핀을 형성하기 위해 내주부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충적인 내측 냉각 핀(200)을 포함하며,
    상기 셀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상기 외측 구멍(300)과 내측 냉각 핀(2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셀은 제 1 전류 정류 요소(8)와 주변 벽(91 내지 93) 사이에서 재료가 연속성을 갖도록 주변 벽(91 내지 93)의 내주부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적어도 두개의 외측 구멍(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의 각 횡벽(191-191', 192-192', 193-193')은 내측 냉각 핀을 형성하기 위해 내주부에서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두 구멍(300)은 또한 횡벽(191-191', 192-192', 193-193') 중의 하나에 의해 경계가 측방으로 각각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셀의 구멍(300)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셀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의 외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외측 핀(400)에 의해 측방으로 경계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두 외측 핀(400) 사이에 위치되는 중심맞춤 구멍(97')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맞춤 구멍은 커넥터(113)에 의해 지지되는 중심맞춤 핀(pin)(97)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히트 싱크(9)의 내주부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내측 냉각 핀(200)을 포함하고,
    상기 셀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8)는 외측 핀(400)과 내측 냉각 핀(200)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겹쳐지는 제 1 둘레 방향 단부(95)를 포함하고, 상기 셀들 중에서, 히트 싱크(9)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94)에 가장 가까운 단부 셀이라고 하는 셀은 다른 냉각 셀(117)보다 많은 수의 추가적인 내측 냉각 핀(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냉각 셀은 추가적인 내측 냉각 핀의 수와 같거나 적은 수의 주변 구멍(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겹쳐지는 제 1 둘레 방향 단부(95)를 포함하고,
    상기 셀들 중에서,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에 가장 가까운 단부 셀이라고 하는 셀(C)은 히트 싱크(9)를 플레이트(3)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15)를 통과시키도록 히트 싱크(9)에 형성된 고정 구멍(115')에 인접해 있으며,
    상기 단부 셀은 상기 고정 구멍(115')과 관련된 고정 부재(115)를 위한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물결형의 횡벽(1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8)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접근 구멍(111')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구멍 각각은 제 2 전류 정류 요소(10)의 전기 접속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겹쳐지는 제 1 둘레 방향 단부(95)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 2 전류 정류 요소(10) 중의 하나의 단자에 접근하기 위한 제 1 접근 구멍(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근 구멍(111')은 히트 싱크(9)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와 상기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둘레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제 1 셀이라고 하는 셀(A)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정류 장치는 제 1 셀(A)과 히트 싱크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에 가장 가까운 단부 셀(C) 사이에 중간 셀(B)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류 정류 요소(10) 중의 하나의 요소의 단자에 접근하기 위한 제 2 접근 구멍(111')이 상기 중간 셀(B)과 단부 셀(C)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9)를 플레이트(3)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15)를 위한 통과 구멍이 제 1 셀(A)과 중간 셀(B)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단부 셀과 중간 셀의 서로 마주하는 횡벽(193, 192')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히트 싱크(9)는 제 1 셀(A)과 단부 셀(C)의 각 측에서, 상기 히트 싱크를 플레이트(3)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15)를 위한 통과 구멍(115')을 가지며,
    고정 부재(115)를 위한 중간 통과 구멍이 중간 셀과 제 1 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3)는 쉴드의 형태인 몸체 및 통과 구멍(123)들을 가지며, 이들 통과 구멍 각각은 히트 싱크(9)에 있는 통과 구멍(115')과 정렬되며, 따라서 고정 부재(115) 각각은 히트 싱크(9)에 있는 구멍(115')과 커넥터(113)에 있는 구멍(123)을 통과하게 되며,
    커넥터에 있는 상기 통과 구멍(123)은 커넥터(113)의 정상면(247)에 있는 돌출부(223)에 속하며, 따라서 쉴드의 형태인 히트 싱크(9)와 커넥터(113)의 몸체들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3)는 둘레 방향으로 히트 싱크(9)보다 길며,
    상기 커넥터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는 히트 싱크(9)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94)에 대해 둘레 방향으로 돌출해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의 제 2 둘레 방향 단부(113a)는, 내주부에서, 제 2 전류 정류 요소(10)들 중의 하나의 요소의 단자와 연결되는 가시적인 부분(134)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가시적인 부분은 안쪽으로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3)는 히트 싱크(9)에 있는 각 접근 구멍(111')의 반대편의 구멍(124), 및 제 1 셀에 속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8)에 정합하는 단일 구멍(1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중간 셀과 단부 셀에 각각 위치되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8)에서 두개의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커넥터(113)는 내주부에서 물결형으로 되어 있고,
    커넥터(113)는 내주부에서 두개의 가시적인 부분(142)을 가지며, 상기 가시적인 부분은 안쪽으로 향해 있고 또한 중간 셀과 단부 셀에 각각 위치되는 두개의 제 1 전류 정류 요소 중의 하나와 전기적 연결을 이루기 위해 커넥터(113)에 있는 오목부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13)의 외주부는 면(149)에 의해 부분적으로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주변 벽(91 내지 93) 각각은 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면(149)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전류 정류 장치(1)를 위한 보호 덮개(27)를 커넥터(113)에 스냅 결합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된 돌출부(148, 147)를 외주부에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정류 장치.
  23. 자동차 얼터네이터와 같은 다상 회전 전기 기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방 베어링 하우징 및 하나의 후방 베어링 하우징(16, 18)을 포함하는 케이싱을 가지며,
    베어링 하우징(16, 18) 중의 하나는 공기 유입 개구(7)가 제공된 플레이트(3)를 포함하고, 또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류 정류 장치(1)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회전 전기 기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커넥터(113)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겹쳐지는 제 1 둘레 방향 단부(95)를 포함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 2 전류 정류 요소(10) 중의 하나의 단자에 접근하기 위한 제 1 접근 구멍(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근 구멍(111')은 히트 싱크(9)의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와 상기 제 1 둘레 방향 단부(95)에 둘레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제 1 셀이라고 하는 셀(A)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다상 회전 전기 기계는 전류 정류 장치를 덮는 중공 덮개(27)를 가지며, 상기 덮개는 천공형 바닥(228)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은 히트 싱크에 있는 제 1 접근 구멍(111')에 인접한 횡벽(191)과 함께 제 1 접근 구멍의 반대편에 있는 공기 통로의 경계를 정하기 위해 L자 형태의 스트립재(278)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회전 전기 기계.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9)는 제 1 전류 정류 요소(8)의 수보다 적은 수의 접근 구멍(111')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구멍 각각은 제 2 전류 정류 요소(10)의 전기 접속 단자를 가지며,
    상기 덮개(27)의 바닥(228)은 히트 싱크(9)에 있는 제 2 접근 구멍(111')의 내주부에서 공기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수직 러그(27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상 회전 전기 기계.
KR1020127008139A 2009-09-30 2010-09-29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 KR1017053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6797A FR2950753B1 (fr) 2009-09-30 2009-09-30 Agencement de redressement de courant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altern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comportant un tel agencement
FR0956797 2009-09-30
PCT/FR2010/052044 WO2011039468A1 (fr) 2009-09-30 2010-09-29 Agencement de redressement de courant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altern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et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comportant un tel agen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030A KR20120091030A (ko) 2012-08-17
KR101705394B1 true KR101705394B1 (ko) 2017-02-09

Family

ID=4222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139A KR101705394B1 (ko) 2009-09-30 2010-09-29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483997A1 (ko)
KR (1) KR101705394B1 (ko)
CN (1) CN102549891B (ko)
BR (1) BR112012006272A2 (ko)
FR (1) FR2950753B1 (ko)
IN (1) IN2012DN02677A (ko)
WO (1) WO2011039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8885B1 (fr) * 2011-08-05 2015-11-13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necteur, dispositif de redressement de courant muni d'un tel connecteur et machine electrique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 redressement
FR2978884B1 (fr) * 2011-08-05 2014-09-12 Valeo Equip Electr Moteur Connecteur, dispositif de redressement de courant muni d'un tel connecteur et machine electrique equipee d'un tel dispositif de redressement
FR3010588B1 (fr) * 2013-09-09 2015-10-09 Valeo Equip Electr Moteur Capot de protection po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pour vehicule automobile
KR20150057784A (ko) 2013-11-20 2015-05-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벨트 구동형 시동 발전기
FR3052610B1 (fr) * 2016-06-14 2021-12-03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a electronique de puissance amelioree
FR3056842B1 (fr) * 2016-09-28 2018-10-12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interconnecteur a configuration amelioree
CN107528425A (zh) * 2017-09-05 2017-12-29 江苏云意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发电机的整流器w端固定结构
FR3086125B1 (fr) * 2018-09-14 2020-10-02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munie d'un palier realise a partir de deux parties surmoule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717A1 (fr) * 2001-05-15 2002-11-21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altern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040239195A1 (en) * 2003-05-30 2004-12-02 Masaki Okamura Alternator for mot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31276A1 (de) 1990-10-04 1992-04-09 Bosch Gmbh Robert Staender fue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734427B1 (fr) 1995-05-17 1997-08-01 Valeo Equip Electr Moteur Alternateur,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agencement perfectionne de diodes de redressement
FR2744575B1 (fr) 1996-02-06 1998-02-27 Valeo Equip Electr Moteur Alternateur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 circuit perfectionne de refroidissement par air
US5834972A (en) 1996-10-11 1998-11-10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hybrid matrix amplifier for configuring a digital transformer
FR2806223B1 (fr) 2000-03-10 2003-10-03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polyphasee
FR2807583B1 (fr) 2000-04-06 2003-01-31 Valeo Equip Electr Moteur Assemblage de borne de connexion sur un alternateur ou un alterno-demarreur de vehicule, notamment automobile
US6936567B2 (en) 2000-06-28 2005-08-30 Sanyo Electric Co., Ltd. Fuel reform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3735015B2 (ja) 2000-07-26 2006-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回線推定装置および回線推定方法
FR2824966B1 (fr) * 2001-05-15 2003-08-08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altern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US6798094B2 (en) 2000-10-06 2004-09-28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in particular motor vehicle alternator, comprising a stator elastically mounted in a heat-conductive resin
FR2819117B1 (fr) 2000-12-21 2004-10-29 Valeo Equip Electr Moteur Alternateur a elements conducteurs en epingle pour vehicule automobile
FR2819350B1 (fr) 2001-01-05 2003-04-11 Valeo Equip Electr Moteur Machine tournante perfectionnee pour vehicules automobiles
US20030169813A1 (en) 2002-03-08 2003-09-11 Van Der Schaar Mihaela Method and apparatus to execute a smooth transition between FGS encoded structures
JP2004112860A (ja) * 2002-09-13 2004-04-08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608925B1 (ko) * 2003-03-18 2006-08-03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교류발전기
CN100342623C (zh) * 2003-09-19 2007-10-10 瓦莱奥万都电子系统(韩国)株式会社 汽车用交流发电机的整流装置
FR2905806B1 (fr) 2006-09-13 2008-12-26 Valeo Equip Electr Moteur Arbre de rotor a griffes, rotor a griffes equipe d'un tel arbre et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quipee d'un tel ro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717A1 (fr) * 2001-05-15 2002-11-21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notamment alternateur pour vehicule automobile
US20040239195A1 (en) * 2003-05-30 2004-12-02 Masaki Okamura Alternator for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2006272A2 (pt) 2016-05-31
KR20120091030A (ko) 2012-08-17
IN2012DN02677A (ko) 2015-09-04
EP2483997A1 (fr) 2012-08-08
FR2950753B1 (fr) 2012-12-07
FR2950753A1 (fr) 2011-04-01
CN102549891B (zh) 2015-06-10
WO2011039468A1 (fr) 2011-04-07
CN102549891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394B1 (ko)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의 얼터네이터를 위한 전류 정류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회전 전기 기계
JP4392352B2 (ja) オルタネータ、またはオルタネータ/スタータの後部に一体化された電力電子装置を冷却する装置
KR100893657B1 (ko) 회전 전기 기계
JP3980073B2 (ja) 電気的な機械、有利には整流器−構成ユニットを備えた三相交流発電機
KR101726012B1 (ko) 보호 덮개를 포함하는 다상 회전 전기 기계, 특히 자동차 얼터네이터
US8450891B2 (en) Device for rectifying current of electric rotary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including such device
US7352091B2 (en) Electronic package for electrical machine
KR100473101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US9484787B2 (en) Voltage regulator device for rotary electric machine, bearing for rotary electric machine and rotary electric machine comprising such bearing
US7741739B2 (en) Automotive alternator
US20030015928A1 (en) Alternator
JP4180385B2 (ja) 回転電気機器
KR101892314B1 (ko) 회전 전기 기계용 전압 조정기 장치, 이 장치를 구비한 기계용 베어링, 및 이 베어링을 포함하는 기계
US7554232B2 (en) Protective cover which is intended to be mounted on the rear bearing of a rotating electrical machine, alternator and alternator-starter comprising one such cover
KR100585415B1 (ko) 교류발전기
US20200313496A1 (en) Voltage regulator assembly with a brush holder for a rotary electrical machine
JP7305002B1 (ja) 制御装置一体型回転電機
EP1357659B1 (en) Automotive alternator
KR101740476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