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89B1 -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89B1
KR101705089B1 KR1020150119360A KR20150119360A KR101705089B1 KR 101705089 B1 KR101705089 B1 KR 101705089B1 KR 1020150119360 A KR1020150119360 A KR 1020150119360A KR 20150119360 A KR20150119360 A KR 20150119360A KR 101705089 B1 KR101705089 B1 KR 101705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ener
synthetic resin
softening agent
fabric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정
Original Assignee
최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정 filed Critical 최윤정
Priority to KR102015011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9/00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17/00
    • D06B19/0005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 D06B19/0011Fixing of chemicals, e.g. dyestuffs, on textile materials by heated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04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yarns, thread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5/00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5/02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oving materials of indefinite length
    • D06B5/06Forcing liquids, gases or vapours through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through moving materials of indefinite length through yarns, threads or fila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유연제를 함침 및 탈수시키는 유연제 함침부;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부; 유연제가 건조된 합성수지 원단에 재봉틀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에 전달하는 마킹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원단 끈에 유연제 샤워기를 통해 유연제를 균일하게 함침시키면서도 재봉질 부분에는 유연제가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방, 의류, 장신구, 아웃도어 용품 등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String processing equipment and processing methods for fabric}
본 발명은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원단 끈을 유연하게 하면서도 용이하게 재봉질할 수 있도록 한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용 원단은 사용 용도에 따라 구김 방지와 평활성 제공 및 촉감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하여 인위적인 방법으로 적절한 유연성을 갖도록 처리하고 있다.
즉, 원단의 표면에 액상의 유연제를 도포하여 그 내부로 침투시키는 유연제 처리를 통해 원단에 적절한 유연성을 부여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고 유연제 처리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대별되고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압착롤러로 탈수하는 단계, 탈수된 원단을 1차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원단 표면에 맹글롤러(Mangle Roller)를 이용하여 액상의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는 단계, 및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침투되도록 원단을 2차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두 번째 방법은 정련 또는 염색된 원단을 압착롤러로 탈수하는 단계, 맹글롤러를 이용하여 탈수된 원단의 표면에 액상의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는 단계,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침투되도록 원단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첫 번째 방법은 원단을 건조한 상태에서 유연제를 그 표면에 도포한 후 재차 건조하는 것으로, 건조 상태의 원단에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므로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되면서 유연제 처리가 균일하지만 총 2회의 건조 단계가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복잡한 한계가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방법은 원단을 젖은 상태에서 유연제를 그 표면에 압착 도포한 후 건조하는 것으로, 단 1회의 건조 단계만이 필요하므로 작업공정이 단순하지만, 함수율 70% 이상으로 젖은 상태의 원단에 유연제를 압착 도포하므로 유연제가 원단 내부로 원활하게 침투되지 않으면서 유연제 처리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82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59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원단 끈에 유연제 샤워기를 통해 유연제를 균일하게 함침시키면서도 재봉질 부분에는 유연제가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유연제 샤워기의 전·후에 배치되는 유연제 차단 블록을 통해 지정된 구간 이외로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 끈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원단용 끈 가공장치는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유연제를 함침 및 탈수시키는 유연제 함침부;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부; 유연제가 건조된 합성수지 원단에 재봉틀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에 전달하는 마킹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 함침부는 상기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을 정렬하면서도 텐션을 조절하는 상·하부 조정롤러;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회전작동하는 상·하부 망 컨베이어;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유연제를 공급하는 유연제 샤워기; 상기 하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합성수지 원단을 통과한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는 유연제 샤워기를 통과한 합성수지 원단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연제를 제거하는 공기 탈수기가 더 장착되고, 상기 유연제 샤워기의 전·후에 위치한 상·하부 망 컨베이어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차단 블록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에는 지정된 구간을 넘어서 유연제가 합성수지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유연제 방지수단은 유연제 차단 블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메인 통로와, 상기 공기 메인 통로와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배출 통로와,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메인 통로에 공급하는 에어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열풍 건조부는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원단에서 낙하되는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로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원단용 끈 가공방법은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유연제를 함침시키는 유연제 함침단계;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공기를 공급하여 합성수지 원단에 묻은 유연제를 제거하는 유연제 제거단계; 상기 유연제 제거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열풍을 공급하여 휘발성 용재를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단계; 상기 열풍 건조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재봉질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에 전달하는 마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와 유연제 제거단계의 사이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을 통해 공기 차단층을 형성하는 유연제 차단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원단 끈에 유연제 샤워기를 통해 유연제를 균일하게 함침시키면서도 재봉질 부분에는 유연제가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방, 의류, 장신구, 아웃도어 용품 등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연제 샤워기의 전·후에 배치되는 유연제 차단 블록을 통해 지정된 구간 이외로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 끈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봉틀 부분으로 유연제가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나타낸 공정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유연제 함침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유연제 함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유연제 함침부를 구성하는 유연제 차단 블록을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통해 제조된 합성수지 원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방법을 나타낸 순차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나타낸 공정구성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유연제 함침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구성하는 유연제 함침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유연제 함침부를 구성하는 유연제 차단 블록을 나타낸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원발명인 원단용 끈 가공장치(10)는 유연제 함침부(20), 열풍 건조부(30), 마킹 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연제 함침부(20)는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에 유연제를 함침 및 탈수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연제 함침부(20)는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을 정렬하면서도 텐션을 조절하는 상·하부 조정롤러(21)와,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회전작동하는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와,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22a)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유연제를 공급하는 유연제 샤워기(23)와, 상기 하부 망 컨베이어(22b)의 내부에 장착되고 합성수지 원단(F)을 통과한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유연제 함침부(20)는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을 상·하부 조정롤러(21)를 통해 정렬 및 텐션 조절한 후, 상기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의 사이에 합성수지 원단(F)을 공급하여 유연제 샤워기(23)를 통해 유연제가 함침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합성수지 원단(F)에서 낙하되는 유연제를 수집할 수 있도록 유연제 수집받이(24)를 장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20)의 내부에는 유연제 샤워기(23)를 통과한 합성수지 원단(F)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연제를 제거하는 공기 탈수기(25)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탈수기(25)는 유연제 샤워기(23)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의 표면에 위치한 유연제를 유연제 수집받이(24)로 낙하되도록 하면서도 합성수지 원단(F)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공기 탈수기(25)는 공지된 에어 커튼을 택일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상기 유연제 샤워기(23)의 전·후에 위치한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차단 블록(26)이 장착된다.
즉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26)은 유연제 샤워기(23)의 전·후방에 위치한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에 장착되어, 유연제의 함침이 불필요한 재봉틀 부분으로 유연제가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26)이 맞닿는 일 측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반대 측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연제 함침부(20)는 도시된 도 5 및6과 같이 유연제 차단 블록(26)에 지정된 구간을 넘어서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60)이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유연제 방지수단(60)은 유연제 차단 블록(26)과 함께 지정된 구간을 넘어서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 방지수단(60)은 유연제 차단 블록(26)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메인 통로(61)와, 상기 공기 메인 통로(61)와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배출 통로(62)와,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26)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6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메인 통로(61)에 공급하는 에어건(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유연제 방지수단(60)은 가이드(6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건(63)을 통해 공기 메인 통로(61)에 공급한 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 배출 통로(62)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원단(F)에 공기 차단층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6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에어건(63)은 공지된 밸브 이외에도 스프링이 구비되는 주사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열풍 건조부(30)는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풍 건조부(30)는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기(32)와 상기 건조기(3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원단(F)에서 낙하되는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3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열풍 건조부(30)는 유연제의 함침 및 1차 건조가 이루어진 합성수지 원단(F)을 건조기(32)의 열풍을 통해 건조하면서도 상기 합성수지 원단(F)에서 하부로 낙화되는 물질을 수집받이(34)를 통해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기(32)의 길이와 크기는 합성수지 원단(F) 및 유연제의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마킹 표시부(40)는 유연제가 건조된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틀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50b)에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마킹 표시부(40)는 표시구(42)를 통해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을 표시한 후 상·하부 조정롤러(44)를 통해 마감 릴(50b)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마킹 표시부(40)는 유연제가 함침되어 건조된 합성수지 원단(F)의 양측이나 일 측으로 재봉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을 표시구(42)를 통해 표시한 후 상·하부 조정롤러(44)를 통해 마감 릴(50b)에 전달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의 또 다른 특징인 원단용 끈 가공방법(S100)는 유연제 함침단계(S200), 유연제 제거단계(S300), 열풍 건조단계(S400), 마킹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단용 끈 가공방법(S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원단용 끈 가공장치(10)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S200)는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에 유연제를 함침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S200)는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을 상·하부 조정롤러(21)를 통해 정렬 및 텐션 조절한 후, 상기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의 사이에 합성수지 원단(F)을 공급하여 유연제 샤워기(23)를 통해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유연제 제거단계(S300)는 유연제 함침단계(S200)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에 공기를 공급하여 합성수지 원단(F)에 묻은 유연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유연제 제거단계(S300)는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의 표면에 위치한 유연제를 공기 탈수기(25)를 이용하여 유연제 수집받이(24)에 낙하시키면서도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S200)와 유연제 제거단계(S300)의 사이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60)을 통해 공기 차단층을 형성하는 유연제 차단단계(S6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연제 차단단계(S600)는 가이드(64)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건(63)을 통해 공기 메인 통로(61)에 공급한 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수직 배출 통로(62)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원단(F)에 공기 차단층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열풍 건조단계(S400)는 유연제 제거단계(S300)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에 열풍을 공급하여 휘발성 용재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 열풍 건조단계(S400)는 유연제의 함침 및 1차 건조가 이루어진 합성수지 원단(F)을 건조기(32)의 열풍을 통해 건조하면서도 상기 합성수지 원단(F)에 서 낙하되는 물질을 수집받이(34)를 통해 수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마킹단계(S500)는 열풍 건조단계(S400)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질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50b)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마킹단계(S500)는 표시구(42)를 통해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을 표시한 후 상·하부 조정롤러(44)를 통해 마감 릴(50b)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을 정렬하면서도 텐션을 조절하는 상·하부 조정롤러(21)와,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회전작동하는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와,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22a)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유연제를 공급하는 유연제 샤워기(23)와, 상기 하부 망 컨베이어(22b)의 내부에 장착되고 합성수지 원단(F)을 통과한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24)와, 상기 유연제 샤워기(23)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합성수지 원단(F)에 묻은 유연제를 하부로 낙하시키면서도 건조시키는 공기 탈수기(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연제 함침부(2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유연제 함침부(20)와 간격을 두고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기(32)와 상기 건조기(32)의 하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원단(F)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받이(34)로 이루어진 열풍 건조부(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 건조부(30)와 간격을 두고 표시구(42)를 통해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을 표시한 후 상·하부 조정롤러(44)를 통해 마감 릴(50b)에 전달하는 마킹 표시구(40)를 장착하면 원단용 끈 가공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단용 끈 가공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이용한 가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급 릴(50a)에 감긴 합성수지 원단(F)의 끝단을 마감 릴(50b)에 고정하여 상기 원단용 끈 가공장치(10)의 작동시 공급 릴(50a)의 합성수지 원단(F)이 마감 릴(50b)에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릴(50a)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F)을 상·하부 조정롤러(21)를 통해 정렬 및 텐션 조절한 후, 상기 상·하부 망 컨베이어(22a, 22b)의 사이에 합성수지 원단(F)을 공급한 다음, 상기 유연제 샤워기(23)에서 공급되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합성수지 원단(F)은 유연제 샤워기(23)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유연제 차단 블록(26)을 통해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F)에 함침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연제 샤워기(23)를 통과한 합성수지 원단(F)은 공기 탈수기(25)를 거치면서 합성수지 원단(F)에 묻은 유연제를 유연제 수집받이(24)에 낙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유연제의 함침 및 1차 건조가 이루어진 합성수지 원단(F)은 건조기(32)의 열풍을 통해 건조되면서도 상기 합성수지 원단(F)에 묻은 물질을 하부로 낙하시켜 수집받이(34)를 통해 수집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기(32)를 통과한 합성수지 원단(F)은 표시구(42)를 통해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F)에 재봉 위치를 안내하는 마킹을 표시한 후 상·하부 조정롤러(44)를 통해 마감 릴(50b)에 전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원단용 끈 가공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원단용 끈 가공장치, 20 : 유연제 함침부,
21 : 상·하부 조정롤러, 22a, 22b : 상·하부 망 컨베이어,
23 : 유연제 샤워기, 24 : 유연제 수집받이,
25 : 공기 탈수기, 26 : 유연제 차단 블록,
30 : 열풍 건조부, 32 : 건조기,
34 : 유연제 수집받이, 40 : 마킹 표시구,
42 : 표시구, 44 : 상·하부 조정롤러,
50a : 공급 릴, 50b : 마감 릴,
60 : 유연제 방지수단, 61 : 공기 메인 통로,
62 : 수직 배출 통로, 63 : 에어건.

Claims (8)

  1.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유연제를 함침 및 탈수시키는 유연제 함침부; 유연제가 함침된 합성수지 원단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부; 유연제가 건조된 합성수지 원단에 재봉틀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에 전달하는 마킹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연제 함침부는 상기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을 정렬하면서도 텐션을 조절하는 상·하부 조정롤러;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회전작동하는 상·하부 망 컨베이어;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하부로 유연제를 공급하는 유연제 샤워기; 상기 하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 장착되고 합성수지 원단을 통과한 유연제를 수집하는 유연제 수집받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망 컨베이어의 내부에는 유연제 샤워기를 통과한 합성수지 원단에 공기를 공급하여 유연제를 제거하는 공기 탈수기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 샤워기의 전·후에 위치한 상·하부 망 컨베이어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차단 블록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에는 지정된 구간을 넘어서 유연제가 합성수지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이 장착되되,
    상기 유연제 방지수단은 유연제 차단 블록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 메인 통로와, 상기 공기 메인 통로와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배출 통로와, 상기 유연제 차단 블록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고 가이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메인 통로에 공급하는 에어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건조부는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합성수지 원단에서 낙하되는 물질을 수집하는 수집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장치.
  7. 공급 릴에서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유연제를 함침시키는 유연제 함침단계;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공기를 공급하여 합성수지 원단에 묻은 유연제를 제거하는 유연제 제거단계; 상기 유연제 제거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열풍을 공급하여 휘발성 용재를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단계; 상기 열풍 건조단계를 거쳐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단에 재봉질 부분을 표시한 후 마감 릴에 전달하는 마킹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연제 함침단계와 유연제 제거단계의 사이에는 유연제가 합성수지 원단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연제 방지수단을 통해 공기 차단층을 형성하는 유연제 차단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용 끈 가공방법.
  8. 삭제
KR1020150119360A 2015-08-25 2015-08-25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KR101705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60A KR101705089B1 (ko) 2015-08-25 2015-08-25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9360A KR101705089B1 (ko) 2015-08-25 2015-08-25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089B1 true KR101705089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360A KR101705089B1 (ko) 2015-08-25 2015-08-25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7964A (zh) * 2021-01-19 2021-06-01 晋江市建陌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服装处理装置及其安装方式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7561A (ja) * 1998-06-24 2000-01-18 Clover Mfg Co Ltd パターンの写し取り方法、布地へのパターン付け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パターン写し取り用シート
KR100364190B1 (ko) * 1994-04-22 2003-02-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액체함침방법
KR100728243B1 (ko) 2006-07-21 2007-06-13 켐맥스 주식회사 천연 염료 염색된 섬유용 레시틴 함유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0795970B1 (ko) 2007-11-08 2008-01-21 강인숙 염색공정에 사용되는 쇼핑유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931B1 (ko) * 2011-11-23 2012-07-19 조은효 발수성섬유제품 및 상기 발수성섬유제품의 제작방법
KR20130110607A (ko) * 2012-03-29 2013-10-10 박창용 염색 원단의 건조 및 후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190B1 (ko) * 1994-04-22 2003-02-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액체함침방법
JP2000017561A (ja) * 1998-06-24 2000-01-18 Clover Mfg Co Ltd パターンの写し取り方法、布地へのパターン付け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パターン写し取り用シート
KR100728243B1 (ko) 2006-07-21 2007-06-13 켐맥스 주식회사 천연 염료 염색된 섬유용 레시틴 함유 섬유 유연제 조성물
KR100795970B1 (ko) 2007-11-08 2008-01-21 강인숙 염색공정에 사용되는 쇼핑유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65931B1 (ko) * 2011-11-23 2012-07-19 조은효 발수성섬유제품 및 상기 발수성섬유제품의 제작방법
KR20130110607A (ko) * 2012-03-29 2013-10-10 박창용 염색 원단의 건조 및 후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7964A (zh) * 2021-01-19 2021-06-01 晋江市建陌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服装生产用服装处理装置及其安装方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6150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uchten von kleidungsstücken
FI64959C (fi) Pressfilt foer transport av en fiberbana genom presspartiet i n pappersmaskin och foerfarande foer pressfiltens tillver knng
US8720020B2 (en) Machine and method for the combined mechanical and heat treatment of fabrics, especially knitted fabrics
DE261642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tuch, insbesondere gewirktem tuch, mittels eines elastischen mitlaeufertuchs unter druck
DE10008746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Verbundvliesstoffen mittels hydrodynamischer Vernadelung
DE2018501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Samtstoffen od.dgl
CN103882757A (zh) 打磨无痕造纸毛毯及其制备方法
CN114602253A (zh) 一种除尘滤袋的袋身成型装置
KR101705089B1 (ko) 원단용 끈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US2721370A (en) Machine and process for shrinking and finishing woven textile fabrics
CN103542700A (zh) 一种纺织用烘干箱
US918164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nonwoven composite fabric
US20080264335A1 (en) System for imparting stretch and recovery to fabrics
US20080268157A1 (en) Method for imparting stretch and recovery to fabrics
CN105947759A (zh) 一种张力可调式卷布机
CN106637757A (zh) 一种实现服装全自动裁剪、缝纫的方法
DE10058386A1 (de) Verfahren und Anlage zur Begrenzung der verbleibenden Restschrumpfung von Strickwaren beim Trocknen nach dem Waschen
WO2019006804A1 (zh) 一种地毯及其制作方法
DE69913416T2 (de) Vorrichtung zum Schrumpfen textiler Warenbahnen
KR20220099426A (ko) 원단용 끈 가공방법 및 장치
CN206538583U (zh) 一种高效起毛机
DE60012626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edelung von Strickwaren oder Geweben
US30078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rug with a laminated backing
FI66934C (fi) Foerfarande foer slaetning av ytan av en filt vira eller liknande aendloes termoplastisk behandlingsbana samt anlaeggning foer tillaempning av detta foerfarande
CN107849773B (zh) 用于在干燥前使湿润织物预缩的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