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065B1 -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065B1
KR101705065B1 KR1020160103134A KR20160103134A KR101705065B1 KR 101705065 B1 KR101705065 B1 KR 101705065B1 KR 1020160103134 A KR1020160103134 A KR 1020160103134A KR 20160103134 A KR20160103134 A KR 20160103134A KR 101705065 B1 KR101705065 B1 KR 10170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insecticidal
present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명흔
홍명표
김세종
Original Assignee
남명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명흔 filed Critical 남명흔
Priority to KR1020160103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0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e.g. pea, lentil, soybean, clover, acacia, honey locust, derris or millett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4Celastraceae [Staff-tree or Bittersweet family], e.g. spindle tree, bittersweet or thunder god v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6Meliaceae [Chinaberry or Mahogany family], e.g. mahogany, langsat or ne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10Insect repellent
    • Y10S514/919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내에 70% 내지 100%로 치사시킬 수 있는 우수한 살충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의 섭식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화학적 합성농약을 대체하는 유효한 친환경 살충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Insecitcide Composition with the Extract of Derris elliptica, Chiness bittersweet, and Neem Seed}
본 발명은 식물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살충제는 사람이나 농작물에 해가 되는 곤충을 죽이는 효과를 지닌 약제이다. 농작물을 재배할 때 발생하는 해충을 방제하고 작물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의 사용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금까지 관행적으로 사용된 화학 합성 살충제는 작물의 재배시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을 방제하여 농업 생산성을 증대하는데 크게 기여한바 있다. 그러나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충제의 과다사용은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시설재배 환경을 오염시켜 농업인의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 또한, 화학 합성 살충제를 이용하여 재배된 농산물의 잔류 화학성분들은 인체에도 매우 유독하여 소비자들은 합성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안전한 먹거리를 선호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 문제와 토양환경 보존을 통한 지속 가능한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분위기 하에서 유기농업이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기농업에 사용되는 천연 살충제는 사람이나 가축, 어패류 등에 무해하며, 환경오염과 생태계 교란의 우려가 없다는 장점 때문에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살충제의 사용은, 토양환경을 지속적으로 보존할 수 있고, 농작물에 대한 잔류농약의 위험성을 제거해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살충제는 처리된 식물체에 살충제가 어떻게 작용하고 분산되느냐에 따라 국부효과를 갖는 잔류성 살충제와 입제 형태로 약제가 토양에 살포되어, 유효성분이 식물에 흡수되어 오랜 기간 동안 방제효과가 있는 침투성 살충제(systemic insecticide)로 나눌 수 있다.
식물이나 광물 등이 함유한 살충성분을 추출하여 병해충의 방제에 사용된 사례로는 피레트린제(제충국에서 추출), 로테논제(데리스의 뿌리에서 추출), 니코틴제(담배에서 추출), 비산(비석에서 분리) 등이 널리 알려져 있으며, 관련 특허로는 등록특허 제10-1221735호 “황련 추출물 및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살충제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6200020000호 “천연 살충제 조성물”, 등록특허 제1014827640000호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천연 살충제 조성물” 등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천연살충제들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충제에 비해 인체나 환경에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 해충 방제효과가 낮고, 신속한 효과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원제와 혼합되는 물의 양을 적게 하여 높은 농도에서 사용하게 되면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식물추출물을 원료로 한 천연살충제의 방제효과를 증대시키고, 살포와 동시에 신속한 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조합하여 살충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동시에 작용하여, 신속하고 뛰어난 방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동시에 작용하여 신속하고 뛰어난 방제효과를 갖는 살충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살충제 조성물을 배추, 상추, 고추, 오이, 토마토, 가지, 호박, 참외, 멜론 등의 작물에 처리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데리스(Derris elliptica)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Chiness bittersweet)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Neem See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살충제 조성물은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식물추출물 원제에 해당한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동시에 살충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포장 실험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은 공지의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으며, 그 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물은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단계; 및 상기 분쇄물을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를 각각 추출한 후 생성된 각각의 추출물을 조합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를 조합한 혼합물을 일괄 추출하여 생성된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로 추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이들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서, 상기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의 혼합 추출물은 1 : 0.5~1.5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비율 범위 내에서 혼합되는 경우 방제되는 해충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며, 방제효과도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erchemia zeyheri) 추출물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은 전체 중량대비 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을 추가하는 경우, 방제효과가 증가하는 장점 이외에도 살충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해충의 내부로 신속하게 침투하여 방제효과가 신속하게 발생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통상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의 혼합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9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서, 상기 조성물의 살충 대상은 제한이 없으며, 완전변태류 및 불완전변태류 해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충 대상은 성충 및 유충을 모두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섭식해충의 예로는 파밤나방, 담배나방류, 담배 거세미 나방류, 명나방류(목화바둑명나방), 잎말이나방류(애모무늬잎말이나방, 매실애기잎말이나방), 자나방류, 굴나방류(사과 굴나방, 귤굴나방), 배추좀나방, 굴파리류(아메리카잎굴파리), 복숭아순나방, 복숭아 심식나방, 혹명나방, 줄점팔랑 나비, 미국흰불나방, 바구미류, 잎벌레류(벼룩잎벌레, 무잎벌레) 등이 있으며, 흡즙해충의 예로는 진딧물류(목화진딧물, 복숭아혹진딧물, 파혹진딧물, 싸리진딧물 등), 온실가루이, 담배가루이 , 꼬마배나무이, 깍지벌래류, 미국선녀벌레, 장님노랜재류, 멸구류, 매미충류(쌍점애매미충, 꽃매미충)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살충제의 유효성분으로서 사용할 경우, 상기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의 혼합 추출물 이외에 임의의 기타 성분들의 첨가 없이, 그 자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상기 데리스, 중국 비터스위트, 및 님 종자의 혼합 추출물에 통상의 고체 담체, 액체 담체, 기체 담체 또는 유인물(bait)과 혼합하거나, 염기성 물질, 예컨대 다공질 세라믹 플레이트 또는 부직포에 흡수시킨 후, 계면활성제 및 필요한 경우, 기타 보조제들을 첨가하여, 이를 각종 제형들, 예컨대 오일 스프레이, 매트, 코일, 유화 가능한 농축물, 분말제, 습윤성 분말, 유동물, 마이크로캡슐, 오일성 제제, 과립, 더스트, 에어로졸, 훈연제, 중기화 가능한 제형물, 스모킹 제형물, 독성 유인물, 진드기 방지용 시이트 또는 수지 제형물 등 다양한 제제의 형태를 갖도록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고체 담체에는, 카올린 점토, 규조토, 합성 수화된 산화규소, 벤토나이트, 푸바사미 점토 및 산점토 등의 점토 물질의 미세 분말 또는 과립; 각종 탈크, 세라믹 및 기타 무기 물질, 예를 들면, 견운모, 석영, 황, 활성탄, 탄산칼슘 및 수화된 실리카; 및 화학적 비료,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및 염화암모늄이 포함될 수 있다.
액체 담체에는, 물, 알콜, 예를 들면, 메탄올 및 에탄올, 케톤, 예를 들면, 아세톤 및 메틸 에틸 케톤,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 및 메틸나프탈렌, 지방족 탄화수소, 예를 들면, 헥산, 시클로헥산, 케로신 및 라이트 오일, 에스테르,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니트릴, 예를 들면, 아세토니트릴 및 이소부티르니트릴, 에테르, 예를 들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디옥산, 산 아미드,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를 들면,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에탄 및 사염화탄소, 디메틸 술폭시드, 및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대두유 및 면실유가 포함될 수 있다.
기체 담체 또는 추진제(propellant)로는, 프레온 가스, 부탄 가스, LPG(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 에테르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에는, 알킬 술페이트,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알킬 아릴 에테르 및 그것의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다가 알콜 에스테르 및 당 알콜 유도체가 포함될 수 있다.
접착제 또는 분산제와 같은 보조제에는, 카세인, 젤라틴, 다당류, 예를 들면, 전분, 아라비아검, 셀룰로스 유도체 및 알긴산, 리그닌 유도체, 벤토나이트, 슈거 및 합성 수용성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폴리아크릴 산이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에는, PAT(이소프로필 산 포스페이트), BHT(2,6-디-tert-부틸-4-메틸페놀), BHA(2-tert-부틸-4-메톡시페놀 및 3-tert-부틸-4-메톡시페놀의 혼합물), 식물성 오일, 미네랄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및 그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이 살충제로 사용될 경우, 그 사용량은 통상 10 에이커 당, 10 내지 1000g 이다. 물로 희석한 후 사용되는 유화 가능한 농축물, 습윤성 분말, 유동물 및 기타 유사 제제들의 경우, 그 적용 농도는 통상 1 내지 100,000 ppm의 범위이다. 과립, 더스트 또는 기타 유사 제제의 적용은, 희석하지 않은 제형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적용 양 및 농도는, 제제의 형태, 적용 시기, 장소 및 방법, 해충의 종류, 손해 정도 및 기타 요인들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증감 가능하다.
또한, 해충은 그 표면에 액체성분이 닿을 경우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물방울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체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연적인 방어시스템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침투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살충제 조성물은 사용 시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 용매로는 물,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해충 방제 방법은 해충 방제용 조성물을 시설지 내 작물 및/또는 토양에 직접 살포 또는 도포하는 방법으로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의 살충방법은 상기 살충제 조성물의 제형, 살충하고자 하는 해충의 종류, 살충 대상 개체, 장소 및 방법 등의 다양한 요인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적용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바람직한 일 양태로서 상기 살충제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해충 또는 서식지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에서, 상기 작물은 배추, 상추, 고추, 오이, 토마토, 가지, 호박, 참외 및 멜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물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살충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리스(Derris elliptica)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Chiness bittersweet)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Neem See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대한 살충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의 섭식해충의 친환경 충해자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식물체에서 추출한 물질이므로 친환경적으로 해충방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충제와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항성 문제도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섭식해충인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희석액을 각각 처리한 사진이다.
도 2는 흡즙해충인 진딧물에 대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희석액을 각각 처리한 사진이다.
도 3은 흡즙해충인 미국 선녀벌레 약충에 대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희석액을 각각 처리한 사진이다.
도 4는 흡즙해충인 미국 선녀벌레 성충에 대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희석액을 각각 처리한 사진이다.
도 5는 오이 하우스에서 오이 진딧물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각각 250배 및 500배 희석하여 필드 테스트(field test)를 진행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Z, Berchemia zeyheri) 추출물을 첨가하고 섭식해충인 파밤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률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Z, Berchemia zeyheri) 추출물을 첨가하고 흡즙해충인 복숭아 혹진딧물에 대한 살충률을 조사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혼합 식물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데리스 1kg, 중국 비터스위트 뿌리 1kg 및 님 종자 1.2kg을 분쇄한 후 3L의 3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3% 에탄올 농도를 갖는 혼합추출액을 얻었고, 이를 원제로 사용하였다. 한편, 건조된 데리스 3.2kg, 중국 비터스위트 뿌리 3.2kg, 님 종자 3.2kg를 상기 방식으로 추출하여 비교예 1 내지 3으로 사용하였고, 시중에서 판매하는 K사의 식물추출물을 구입하여 동일조건으로 실험하여 비교예 4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혼합 식물 추출물의 섭식해충에 대한 실험실 내 살충력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섭식해충에 대한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실험실 내에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섭식해충으로는 파밤나방을 선택하였고, 배추잎에 파밤나방 1~2령충 및 3~4령의 사육충을 접종하고, 각각의 시료 희석액을 령충 몸체에 직접 살포한 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및 96시간 경과 후 살충률을 각각 조사하고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도 1). 시료는 실시예 1의 혼합추출액 원제를 각각 250배, 500배, 및 1000배로 희석한 희석액을 사용하였고, 생사판별은 해부현미경하에서 붓끝으로 1~4령충을 접촉하여 몸길이 정도를 이동하지 못한 개체를 죽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25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는 파밤나방 1~2령충에 대해 12시간 경과 후부터 71%의 방제 효과가 나타나 신속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4시간 경과 후에는 100%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배 희석액에서는 12시간 경과 후부터 55%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48시간 경과 후에는 100%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배 희석액에서도 24시간 경과 후에 70%의 최대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3~4령충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25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는 12시간 경과 후부터 50%의 방제 효과가 나타났고, 72시간 경과 후에는 100%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배 희석액에서도 12시간 경과 후부터 45%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72시간 경과 후에는 90%의 최대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0배 희석액에서는 48시간 경과 후에 60%의 최대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1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4의 처리구에서는 실시예1의 본 발명에 따른 살충제 조성물 보다 파밤나방 1~4령 유충에 대한 방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천연살충제들이 파밤나방에 대해 낮은 방제 효과를 갖는 것과 대조하여, 본 발명의 3종 식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은 신속하고 매우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혼합 식물 추출물의 흡즙해충에 대한 실험실 내 살충력 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흡즙해충에 대한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복숭아 혹진딧물, 미국 선녀벌레 약충과 성충을 대상으로 실험실 내에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3-1. 복숭아 혹진딧물
수박 유묘에 오이 하우스에서 채집한 복숭아 혹진딧물을 접종하고 유묘 잎에 정착된 진딧물을 조사한 후, 각각의 시료를 핸드 스프레이로 오이 잎의 앞, 뒷면에 충분히 묻도록 골고루 2~3회 살포하였다. 살포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및 120 시간 경과 후, 살충률과 재발생율을 각각 조사하고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도 2). 시료는 실시예 1의 동일 원제를 각각 250배, 500배, 및 1000배로 희석한 희석액을 사용하였고, 생사판별은 해부현미경하에서 붓끝으로 충체를 접촉하여 운동성이 없고 몸길이 정도를 이동하지 못한 개체를 죽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 실시예1이 비교예 1 내지 3의 추출물 단제와 비교예 4의 시중에서 판매하는 식물추출물 약제 보다 매우 우수한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 500배 희석액에서도 250배 희석액과 비슷한 살충률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액 조성물을 250배 및 50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는 복숭아 혹진딧물에 대해 24시간 경과 후부터 100%의 방제 효과가 나타나 신속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96시간 경과 후에도 10% 대의 매우 낮은 재발생율을 보여 재발생율이 낮으면서도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도 72시간 경과 후에 100%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96시간 경과 후의 재발생율도 15%로 낮은 재발생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의 처리구에서는 복숭아 혹진딧물에 대한 방제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4의 처리구에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에 비해 높은 재발생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2
3-2. 미국 선녀벌레 약충
선녀벌레 약충에 대한 살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강낭콩 잎과 줄기에 선녀벌레 약충을 25~30 개체 수준으로 방사하고 각각의 시료를 핸드 스프레이로 잎의 앞, 뒷면에 충분히 묻도록 50ml 정도로 골고루 1회 살포하였다. 살포 1시간, 6시간, 12시간, 및 24시간 후, 살충률을 각각 조사하고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생사판별은 육안상으로 운동성이 없는 개체를 죽은 것으로 간주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동량의 수돗물을 분무하여 비교실험 하였다(도 3 참조).
실험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25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는 선녀벌레 약충에 대해 6시간 경과 후부터 100%의 방제 효과가 나타나 신속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0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도 12시간 경과 후부터 90%에 가까운 방제 효과가 나타나 매우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3
3-3. 미국 선녀벌레 성충
선녀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살충제 조성물을 각각 500배와 1,000배로 희석한 희석액을 준비한 후, 강낭콩 잎을 희석액에 10분 동안 침지하고 충분하게 건조하였다. 건조된 강낭콩 잎에 선녀벌레 성충을 잎당 10마리씩 방사한 후, 1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 시간 경과 후, 살충률을 각각 조사하고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도 4 참조). 대조군으로는 동량의 수돗물에 침지하여 건조한 강낭콩 잎을 사용하여 비교실험 하였다.
[표 4]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4
실험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500배 희석한 희석액과 1,000배 희석한 희석액 모두 6시간 경과 후부터 100%의 방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아울러 매우 신속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혼합 식물 추출물의 섭식해충에 대한 포장 살충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섭식해충에 대한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사과농장에서 사과 순나방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2015년 5월 중순부터 9월 말까지 피해율 조사기간 동안 10 ~ 15일 간격으로 250배 및 500배 희석액을 각각 주기적으로 살포하여 필드 테스트(field test)를 실시하고 피해율을 확인한 결과를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5
그 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250배 희석액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사과 순나방에 대한 피해율이 15.4% 미만으로 나타났고, 교미교란제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 10.6% 미만의 피해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의 500배 희석액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도, 사과 순나방에 대한 피해율이 27.3% 미만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전 기간에 걸쳐 시중에서 판매되는 천연살충제에 비해 대략 1.5배 내지 2배 이상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이 사과 순나방의 방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병충해로 인해 농가의 경제적 이익이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섭식해충 방제효과로 인해 농가의 이익을 획기적으로 보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5. 혼합 식물 추출물의 흡즙해충에 대한 포장 살충력 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의 흡즙해충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오이 하우스에서 오이 진딧물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250배 및 500배 희석하여 필드 테스트(field test)를 실시하였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처리하는 시점의 오이 진딧물 발생밀도는 엽당 100~150마리로 매우 많은 상태였고, 처리 전 작물 상태는 오이 생육 최성기(5월)인 덩굴이 무성한 상태였다.
약제의 처리방법은 하우스 1동(594㎡, 180평) 당 약액 70L를 엽의 전후면에 고루 엽면 살포하였다. 1차 살포한 후 3일 후에 동일 조건으로 2차 살포하고, 다시 2차 처리 후 7일 후에 3차로 처리하였다. 방제율 조사는 1차 처리 3일째, 2차 처리 7일째, 3차 처리 7일째에 각각 조사하였다(표 6).
[표 6]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6
그 결과,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을 25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는 오이 진딧물에 대해 1차 처리 후부터 84%의 방제 효과가 나타나 신속한 방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3차 처리 후에도 90% 대의 방제 효과를 보여 매우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배 희석한 희석액에서도 1차 처리 후 73%의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3차 처리 후에도 81%로 우수한 방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전 구간에 걸쳐 시중에서 판매되는 비교예 4의 천연살충제 보다 10 내지 12% 이상의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이 흡즙해충의 방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 첨가에 따른 섭식해충 살충력 검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Z, Berchemia zeyheri) 추출물을 첨가하고 섭식해충에 대한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실험실 내에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건조된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3kg을 분쇄한 후 3L의 30%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12시간 가온 환류추출한 후, 냉침 시키고, 1.2㎛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여과액을 감압농축하여 3% 에탄올 농도를 갖는 추출액을 얻었고, 이를 원제로 사용하였다.
시료는 실시예 1의 3종 혼합 식물추출액 원제 100 중량부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 3 중량부를 첨가 제조하여 250배, 500배 희석한 희석액을 분무하여 사용하였다.
섭식해충으로는 파밤나방을 선택하였고, 파밤나방 1~4령의 사육충을 대상으로 몸체에 직접 250배, 500배 희석액 각각 살포한 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 살충률을 확인하고 아래 표 7에 나타내었다(도 6 참조).
[표 7]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7
그 결과, 실시예 1의 3종 혼합 식물추출액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을 더 혼합 제조하여 250배 희석액을 사용한 시험군에서는 3시간 경과 후부터 5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12시간 경과 후에는 90%에 가까운 신속한 방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배 희석액을 사용한 시험군에서는 6시간 경과 후부터 50% 정도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24시간 경과 후에는 85% 정도의 신속한 방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살충제 조성물에 비해 섭식해충 살충효과가 20% 정도 증가한 수치이며,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이 섭식해충의 신속한 방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7.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 첨가에 따른 흡즙해충 살충력 검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살충제 조성물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Z, Berchemia zeyheri) 추출물을 첨가하고 흡즙해충에 대한 살충률을 확인하고자 실험실 내에서 살충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는 실시예 1의 3종 혼합 식물추출액 원제 100 중량부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 3 중량부를 첨가 제조하여 250배, 500배 희석한 희석액을 분무하여 사용하였고,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은 실시예 6과 동일한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흡즙해충으로는 복숭아 혹진딧물을 선택하였고, 사육충을 대상으로 몸체에 직접 250배, 500배 희석액 각각 살포한 후,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및 48시간 경과 후 살충률을 확인하였다(표 8).
[표 8]
Figure 112016078717135-pat00008
그 결과, 실시예 1의 3종 혼합 식물추출액에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을 더 혼합 제조하여 250배 희석액을 사용한 시험군에서는 3시간 경과 후부터 57%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12시간 경과 후에는 90% 이상의 신속한 방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500배 희석액을 사용한 시험군에서는 3시간 경과 후부터 50% 정도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24시간 경과 후에는 90% 이상의 신속한 방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참조).
이러한 결과는 실시예 1의 살충제 조성물에 비해 흡즙해충 살충효과가 15 내지 20% 정도 증가한 수치인데, 특히, 시설 재배에 있어서 해충의 완벽한 방제뿐만 아니라 신속한 방제가 농업생산물의 경제성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현실을 감안하면, 베르케미아 제이해리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이 흡즙해충의 신속한 방제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진딧물류의 흡즙해충과 나방류 등의 섭식해충에 대해 폭넓은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신속하고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해 해충에 의해 발생하는 농작물의 피해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살충제 조성물은 해충의 방제 및 예방 목적으로 살충제로 사용되어온 화학농약을 대체하는 유효한 친환경 충해자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데리스(Derris elliptica)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Chiness bittersweet)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Neem See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데리스(Derris elliptica)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Chiness bittersweet)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Neem Seed)은 1: 0.5~1.5 : 0.5~2의 중량비를 갖고,
    상기 조성물은 베르케미아 제이해리(Berchemia zeyheri) 추출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0.05 내지 5 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리스(Derris elliptica)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Chiness bittersweet)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Neem Seed)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용매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흡즙해충 및 섭식해충에 살충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6. 제1항, 제2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살충제 조성물을 작물에 처리하여 해충을 살충하는 방법.
KR1020160103134A 2016-08-12 2016-08-12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70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34A KR101705065B1 (ko) 2016-08-12 2016-08-12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134A KR101705065B1 (ko) 2016-08-12 2016-08-12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065B1 true KR101705065B1 (ko) 2017-02-09

Family

ID=5815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134A KR101705065B1 (ko) 2016-08-12 2016-08-12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06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09B1 (ko) * 2018-12-26 2019-03-08 자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0048A (ko) * 2017-11-02 2019-05-10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KR20190064995A (ko) * 2017-12-01 2019-06-11 경기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KR20190065730A (ko) * 2017-12-04 2019-06-12 조명행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1524B1 (ko) * 2019-09-06 2021-01-12 (주)현농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의 항균조성물
KR102201525B1 (ko) * 2019-09-06 2021-01-12 (주)현농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 해충방제제
KR20220072636A (ko) * 2020-11-25 2022-06-02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님 종자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B Reviews: Perspectives in Agriculture, Veterinary Science, Nutrition and Natural Resources, 2009, Vol. 4(49), pp. 1-30.* *
The Veterinary Journal, 2007, Vol. 173, pp. 366-372.* *
한국농업신문, 5월 병해충발생정보 "해충 작년보다 부화 빨라... 초기 방제해야" (2015.05.07.).* *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48A (ko) * 2017-11-02 2019-05-10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KR102033104B1 (ko) * 2017-11-02 2019-10-16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KR20190064995A (ko) * 2017-12-01 2019-06-11 경기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KR102081905B1 (ko) * 2017-12-01 2020-02-26 경기도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활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즙성 해충 제거 제품
KR20190065730A (ko) * 2017-12-04 2019-06-12 조명행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12254A3 (ko) * 2017-12-04 2019-08-01 (주)지웰바이오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4916B1 (ko) * 2017-12-04 2020-03-30 조명행 닭진드기 살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4909B1 (ko) * 2018-12-26 2019-03-08 자인바이오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01524B1 (ko) * 2019-09-06 2021-01-12 (주)현농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의 항균조성물
KR102201525B1 (ko) * 2019-09-06 2021-01-12 (주)현농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와 식물추출물 혼합제형 해충방제제
KR20220072636A (ko) * 2020-11-25 2022-06-02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님 종자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488343B1 (ko) 2020-11-25 2023-01-13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님 종자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시트로넬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065B1 (ko) 데리스 추출물, 중국 비터스위트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PaVela Effectiveness of some botanical insecticides against Spodoptera littoralis Boisduvala (Lepidoptera: Noctudiae), Myzus persicae Sulzer (Hemiptera: Aphididae) and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Mamun et al. Prospect of indigenous plant extracts in tea pest management
HUT65441A (en) Control of arthropod pests with phosphorous acid and mono-esters and salts thereof
WO2015043986A1 (en) Pesticide based on natural extracts
KR20180058384A (ko) 제충국 및 자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20190050048A (ko)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KR101920538B1 (ko) 제충국 및 배초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Indiati The use of sugar apple and neem extract to control leaf eating pest on soybean.
JPH05310523A (ja) ニーム油脂肪酸蒸留残渣ベース殺虫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32246B1 (ko) 제충국 꽃 파우더 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살충 고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99794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충제 조성물
KR101575411B1 (ko) 니코티아나 벤타미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방제용 조성물
KR101061038B1 (ko) 유채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식물 유해곤충 방제용 조성물
Vanitha et al. Insect pest of cashew and their management
KR102060196B1 (ko) 머귀나무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충방법
KR101740560B1 (ko) 살충 활성을 갖는 녹두 추출물
CN101305717B (zh) 一种杀虫喷淋乳油及其制备方法
KR102231598B1 (ko) 호로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용 조성물
Bett et al. Insecticidal potency of mixtures of plant powders and Actellic SuperTM (Pirimiphos-methyl+ Permethrin) on Callosobruchus chinensis F. and Sitophilus zeamais Motch
Mekonnen et al. Screening of botanical extracts for the control of Artemisia rehan (Artemisia absinthium L.) Aphid (Coloradoa absinthii Li.) in green house and field condition
WO2019053748A1 (en) BIOPESTICIDE COMPOSITION
KR100865745B1 (ko)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Ghamari et al. Acaricidal activity of Shirazian thyme and rosemary methanolic extracts in combination with spirodiclofen and propargite on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KR20220099797A (ko) 제충국, 배초향, 및 윈터그린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닭진드기용 살비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