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745B1 -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 Google Patents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745B1
KR100865745B1 KR1020080039397A KR20080039397A KR100865745B1 KR 100865745 B1 KR100865745 B1 KR 100865745B1 KR 1020080039397 A KR1020080039397 A KR 1020080039397A KR 20080039397 A KR20080039397 A KR 20080039397A KR 100865745 B1 KR100865745 B1 KR 10086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omposition
oil
extract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운
이정수
최성환
Original Assignee
케이씨피주식회사
이동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피주식회사, 이동운 filed Critical 케이씨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4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hawthorn,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2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skullcap, selfheal, lavender, perilla, pennyroyal, peppermint or spearmi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니스, 마리골드, 머스타드, 님, 콰시아, 퀼라야, 로즈마리, 차나무, 타임, 윈터그린 및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뿌리혹선충류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는데 유용한 방제용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제제

Description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MELOIDOGYNE SPP. COMPRISING EXTRACT OF Qullaja saponaria}
본 발명은 아니스, 마리골드, 머스타드, 님, 콰시아, 퀼라야, 로즈마리, 차나무, 타임, 윈터그린 및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식물기생성 선충의 방제는 주로 화학적 방제제를 이용하였으나, 이러한 화학적 방제제는 인축에 대한 위험성과 잔류독성,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저항성 개체의 출현 등과 같은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적으로 관리되는 농산물이면서 품질이 우수한 농산물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인식전환 및 상수원보호 지역과 같이 화학농약의 사용이 제한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해충 방제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해 인축이나 환경에 안전하면서도 식물기생성 선충 방제에 효과적인 대체 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대체 물질들 중 식물 정유는 생화학 농약의 전구물질로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식물의 종류에 따라 매우 상이한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조성물 또는 방제용 제제를 적용 대상 작물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핌피넬라 아니섬(Pimpinella anisum; 아니스),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마리골드), 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머스타드), 아자디라크타 인디카(Azadirachta indica; 님), 피크라스마 콰시오이데스(Picrasma quassioides; 콰시아), 퀼라야 사포나리아(Qullaja saponaria; 퀼라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is; 로즈마리),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차나무)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타임), 가울테리아 프로쿰벤스(Gaultheria procumbens; 윈터그린) 및 유카 레쿨비폴리아(Yucca recurvifolia;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또는 방제용 제제를 적용 대상 작물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시설재배나 화훼류 작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선충의 하나로서, 예컨대 당근뿌리혹선충, 고구마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및 땅콩뿌리혹선충 등이 있으며, 이러한 뿌리혹선충류는 전국의 시설재배단지 및 밭 작물 재배지에서 발견되고, 특히 참외, 오이, 토마토, 딸기, 고추, 및 수박 등의 과채류와 인삼 등에 피해를 주는 가장 방제하기 어렵고 피해가 큰 선충이다.
본 발명의 방제대상인 "선충"은 분류학적으로 동물계의 34개 문(phylum)들 중에서 선형동물문(Nematoda)에 속하고, 몸은 좌우대칭이며 원통모양이고, 체표는 큐티클로 덮여 있으며, 근육은 환상근이 없는 종주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달리, "해충"은 우리에게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곤충을 일컬으며, 모기, 벼룩 등과 같이 직접 해를 끼치는 곤충을 "직접해충"이라 하고, 농작물을 가해하거나 가축을 가해하는 것과 같이 간접적으로 해를 끼치는 곤충을 "간접해충"이라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곤충은 분류학적으로 동물계의 34개 문(phylum)들 중에서 절지동물군(Arthropoda) 곤충강(Insecta)에 속하고, 몸은 일반적으로 머리, 가슴, 배의 3 부분으로 나뉘며, 두부에는 1 쌍의 복안과 1 쌍의 촉 각, 3 개의 단안, 3 쌍의 부족지로 된 구기가 있으며, 흉부에는 3 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고, 복부에는 11 체절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곤충의 방제에 사용되는 농약은 살충제(insecticide)라 하고, 선충의 방제에 사용되는 농약은 살선충제(nematicide)라 하며, 이 두 방제제는 전혀 다르게 구별되어 있으며, 그 효능에 있어서도 매우 차이가 있다. 즉, 해충 방제 효과가 있는 살충제가 반드시 선충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선충 방제 효과가 있는 살선충제가 반드시 해충 방제에도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병해충 방제용 조성물로서 사용되는 천연 식물 추출물에 대해서는 많은 보고가 있으나(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6-010074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6-002221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596622호),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해충이 아닌 선충에 특이적으로 방제 효과를 가진 식물 추출물에 대해서는 매우 한정적으로 연구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자들은 시설재배단지나 밭 작물 재배지에서 폭넓게 발생하는 선충인 뿌리혹선충류를 특이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핌피넬라 아니섬(Pimpinella anisum; 아니스),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마리골드), 브라시카 니그라(Brassica nigra; 머스타드), 아자디라크타 인디카(Azadirachta indica; 님), 피크라스마 콰시오이데스(Picrasma quassioides; 콰시아), 퀼라야 사포나리아(Qullaja saponaria; 퀼라야), 로즈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is; 로즈마리), 테아 시넨시스(Thea sinensis; 차나무)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타임), 가울테리아 프로쿰벤스(Gaultheria procumbens; 윈터그린) 및 유카 레쿨비폴리아(Yucca recurvifolia;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단독 또는 혼합처리할 경우, 뿌리혹선충류에 대한 방제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물 추출물의 추출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아니스, 마리골드, 머스타드, 님, 콰시아, 퀼라야, 로즈마리, 차나무, 타임, 윈터그린 및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의 전체 부위, 또는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과육, 꽃, 열매, 종자 및 껍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아니스, 마리골드, 머스타드, 님, 콰시아, 퀼라야, 로즈마리, 차나무, 타임, 윈터그린 및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의 유기용매 추출물 또는 식물의 정유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정유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유기용매 추출물은 통상적인 식물 추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물의 건체 또는 생체를 부위별로 마쇄하거나 전체를 마쇄하여 알콜, 알콜 희석수, 또는 유기용매 등의 추출용매에 혼합하고 여과하여 용매를 건조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알콜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가 알콜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또는 부탄올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일 수 있다. 상기 알콜 희석수는 물에 알콜을 20 내지 90 부피%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 정유는 통상의 추출, 증류 또는 압착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식물 전체 또는 식물 부위별 예컨대, 식물의 뿌리, 줄기, 잎, 과육, 꽃, 열매, 종자 및 껍질 각각에 따라 제조하거나,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유효성분의 함량은 10 내지 10,000 ppm(w/w)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2.5 내지 1,000 ppm(w/w)인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10 ppm 이하일 경우에는 뿌리혹선충류를 완전하게 방제할 수 없으며, 10,000 ppm 이상일 경우에는 선충 방제외에 식물 뿌리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기의 표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1,000 ppm(w/w)에서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높은 사충율(99.5 %)을 보였고(표 1), 반면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사충율(5 %)을 보였는데(표 2),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추출물은 해충류에 대해서는 방제 효과를 보이지 않는 반면, 뿌리혹선충 등의 선충에 대해서는 특이적으로 방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뿌리혹선충류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용 제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용 제제는 상기 식물 추출물, 식물 정유 또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제제는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도 제형 및/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제형에 따라 통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제화할 경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또는 부형제로는 물,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락토스,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리터(L)당 0.01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의 Tween 80을 첨가한 2차 증류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제용 제제의 제형은 사용목적에 따라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정제(TABLETS), 주정제(SPIRITS), 캅셀제(CAPSULES) 또는 크림제(CREAMS)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현탁제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또는 방제제의 사용용량은 처리 면적에 따라 적용할 수 있으며,이때 상기 조성물 또는 방제제 내의 유효성분의 농도는 10 내지 10,000 ppm(w/w)이고, 상기 조성물을 정식 토양 단위 면적(m2) 당 0.1 내지 10 L, 바람직하게는 1 내 지 5 L,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L 양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또는 방제용 제제를 적용 대상 작물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제 방법은 정식직전 묘종을 상기 조성물 또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제제의 희석액에 침지시켜 수행하거나, 정식직후 묘종에 상기 조성물 또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제제의 희석액을 처리하는 방제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방제 방법에서, 상기 뿌리혹선충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당근뿌리혹선충, 고구마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및 땅콩뿌리혹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적용 대상 작물은 특별히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토마토, 수박, 오이, 딸기, 참외 및 고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과채류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니스, 마리골드, 머스타드, 님, 콰시아, 퀼라야, 로즈마리, 차나무, 타임, 윈터그린 및 유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추출물; 및 로테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은 뿌리혹선충류를 친환경적으로 방제하는데 유용한 방제용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선충 또는 해충에 대한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의 활성 분석
1-1: 천연 식물 정유 준비
본 발명에 사용된 식물 정유 중 아니스 오일, 머스타드 오일, 로즈마리 오일, 타임 오일 및 윈터그린 오일은 삼영식품화학 주식회사(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고, 님 오일, 콰시아 오일 및 차나무 오일은 비젼코리아 주식회사(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으며, 마리골드 오일, 퀼라야 오일(QUAGRI-35) 오일 및 유카 오일(yucca-Ag Aide 50)은 데저트킹코리아 주식회사(대한민국)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로테논 화합물은 비젼코리아 주식회사(대한민국)에서 구입하여 메탄올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1-2: 뿌리혹선충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 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충으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해충으로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을 각각 이용하였다. 상기 뿌리혹선충의 유충은 경남 함안의 수박 재배지 토양에서 분리된 당근뿌리혹선충의 유충과 수박 뿌리에 기생하는 뿌리혹선충의 난낭을 분리하여 이용하였다. 난낭은 혹이 형성된 수박 뿌리를 깨끗한 물로 씻은 후 1 cm 길이로 자른 다음, 200 ml의 0.5 % 차아염소산 나트륨 (sodium hypochloride, NaOCl) 용액이 들어 있는 500 ml의 플라스크에 담아 3~4 분 동안 세차게 흔들어 주었고, 500 메쉬(mesh)와 200 메쉬(mesh) 체에 거른 후 500 메쉬(mesh) 체에 남아 있는 알을 흐르는 물에 서서히 씻어 차아염소산 나트륨 용액을 제거하여 분리하였다. 또한, 상기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은 콩잎을 가해가고 있던 담배거세미나방의 3령충을 채집하여 준비하였다.
상기에서 준비된 각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의 선충 또는 해충에 대한 방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화합물에 당근뿌리혹선충 또는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을 넣은 후 이들의 생사유무를 통하여 검정하였다.
실험예 1: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의 살선충활성 분석
4 의 냉장고에 보관 중이던 당근뿌리혹선충과 1-1에서 준비된 식물 정유(시료) 또는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시료)을 꺼내어 실온에서 1~2 시간 정도 방치한 후, 100 의 비이커에 50 의 2차 증류수 및 0.1 /liter의 Tween 80을 넣고, 각 시료를 1,000 ppm 농도로 희석하였다. 45 의 플라스틱 시험관에 3 의 상기 희석액을 각각 넣고, 준비된 뿌리혹선충을 당 100 마리 밀도로 계수하여 3 씩 접종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실내 암실(24±2℃)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실체현미경에서 살아있는 선충의 수를 조사하였다.
선충의 생사유무는 핀으로 선충을 건드려서 반응유무를 통해 판정하였다. 실험은 한 시험관을 4번 반복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대조군은 3 의 살균수를 이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식물 정유 보정사충율(%)
아니스 오일 96.2
마리골드 오일 48.1
머스타드 오일 99.5
님 오일 72.9
콰시아 오일 65.7
퀼라야 오일 99
로즈마리 오일 98.1
차나무 오일 34.8
타임 오일 98.1
윈터그린 오일 99.5
유카 오일 77.6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 7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은 대부분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살선충활성이 있었으며, 이 중 머스타드 오일과 윈터그린 오일은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약 99.5 %의 가장 높은 살선충활성을 보였다(표 1).
비교예 1: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대한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의 살충활성 분석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된 각 식물 정유 또는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에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의하여 가해된 콩잎을 침지시켜 음건시킨 후, 각각 음건된 콩잎을 직경 9 cm 페트리디쉬에 여과지 1 장을 깔고 그 위에 30 마리의 유충을 접종하였다. 상기 콩잎을 25 항온기에서 5일 동안 방치한 후, 실체현미경에서 살아있는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수를 조사하였다.
유충의 생사유무는 핀으로 유충을 건드려서 반응유무를 통해 판정하였다. 실험은 한 콩잎을 4번 반복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대조군은 살균수를 처리한 콩잎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물 정유 보정사충율(%)
아니스 오일 15
마리골드 오일 10
머스타드 오일 5
님오일 15
콰시아 오일 5
퀼라야 오일 10
로즈마리 오일 5
차나무 오일 10
타임 오일 0
윈터그린 오일 35
유카 오일 10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 10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정유 및 로테논 메탄올 혼합물은 실험예 1에서 보여준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우수한 살선충활성과 달리,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 대하여 살충활성이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특히,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살선충활성을 보였던 머스타드 오일은 5 %, 윈터그린 오일은 35 %의 살충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2).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정유들이 뿌리혹선충에 특이적으로 살선충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머스타드 오일의 농도에 따른 살선충활성 분석
실시예 1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담배거세미나방의 유충에는 낮은 살충활성을 나타내면서 당근뿌리혹선충에는 특이적으로 높은 살선충활성을 나타내는 식물 오일 중 머스타드 오일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당근뿌리혹선충의 살선충활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의 비이커에 50 의 2차 증류수 및 0.1 /liter의 Tween 80을 넣은 혼합액에 상기 머스타드 오일을 62.5 ppm, 125 ppm, 250 ppm, 500 ppm, 1,000 ppm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식물 정유 농도(ppm, w/w) 보정사충율(%)
머스타드 오일 62.5 100
125 100
250 100
500 100
1,000 100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스타드 오일은 62.5 ppm ~ 1,000 ppm(w/w)의 농도 범위에서 모두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하여 100 %의 살선충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3).
실시예 3: 토마토 포트( pot )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머스타드 오일의 살선충활성 분석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물 오일 중 머스타드 오일을 이용하여 토마토 포트의 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활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포트 실험에 사용된 뿌리혹선충은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수박 뿌리에 기생하는 뿌리혹선충의 난낭을 물과 혼합하여 부화시킨 후 이용하였고, 시료는 머스타드 오일에 메틸알콜 및 0.1 %의 Tween 80을 첨가한 후 1,000 ppm 농도로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포트에는 멸균된 750 g의 흙과 150 의 물을 혼합하여 준비하였고, 포트의 중간에 토마토 포트묘(서광, 대한민국)를 1 주씩 정식하였다. 포트묘의 뿌리 부분에는 부화시킨 2 (30 마리)의 뿌리혹선충을 접종하였다.
접종 후, 상기에서 준비된 시료를 포트 당 32 씩 첨가하고 60 일 후에 토마토 포트의 뿌리혹 수 및 토양 내 선충의 밀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식물 정유 뿌리혹 수 뿌리혹 선충 수 (마리/300 g 토양)
머스타드 오일 0 81.1±2.7
무처리 0.9±1.5 174±38.1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스타드 오일을 처리한 군은 무처리군에 비해 뿌리혹 수(머스타드 오일 처리군: 무처리군 = 0: 0.9±1.5) 및 뿌리혹 선충 수(머스타드 오일 처리군: 무처리군 = 81.1±2.7: 174±38.1)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표 4).
실시예 4: 시설재배지에서 나타난 뿌리혹선충에 대한 머스타드 오일의 방제 효능
본 발명의 식물 정유 중 머스타드 오일이 실질적으로 오이, 수박 및 토마토를 각각 정식한 시설재배지에 나타나는 뿌리혹선충을 방제하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2006년 12월 28일 경남 함안의 수박 시설 재배지에서 각 시험구의 넓이를 10 m2로 하고, 머스타드 오일(시료)을 정식 전 토양혼합 처리군(처리군 1)과, 정식 후 관주 처리군(처리군 2)으로 나누어 각각 수행하였다. 이때, 상기 시료는 그 농도가 1,000 ppm이고, m2 당 2 L 양으로 처리하였다. 토양 내 뿌리혹선충의 밀도는 각 처리구에서 700 g의 토양을 채취하여 조사하였고, 1월 17일에 오이, 수박 및 토마토를 각각 정식하였다.
정식 60일 후, 각 식물의 뿌리에 형성된 뿌리혹 수와 토양 내 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처리전 밀도 (마리/구) 뿌리혹선충 생존률(%) 방제율(%)
반복 I 반복 II 반복 III 반복 IV
처리군 1 888.7 29.8 32.1 39.4 33.8 76.8
처리군 2 877.7 23.4 44 33.6 33.7 76.8
무처리군 916.6 160.9 132.2 143.4 145.5 -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머스타드 오일은 정식 전 토양혼합 처리군(처리군 1)과, 정식 후 관주 처리군(처리군 2) 모두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뿌리혹선충 생존률(%) 즉,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표 5).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수박의 뿌리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스타드 오일을 처리한 토마토 포트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스타드 오일의 처리 유무에 따른 당근뿌리혹선충의 치사를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8)

  1. 퀼라야 사포나리아(Qullaja saponaria)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식물 정유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C1) 내지 4(C4)의 저가 알콜, 헥산, 클로로포름, 아세톤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선충류는 당근뿌리혹선충, 고구마뿌리혹선충, 자바뿌리혹선충 및 땅콩뿌리혹선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10 내지 10,000 ppm(w/w)인, 조성물.
  7. 제1항,및 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뿌리혹선충류 방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의 농도는 10 내지 10,000 ppm(w/w)이고, 상기 조성물을 정식 토양 단위 면적(m2) 당 0.1 내지 10 L의 양으로 처리하는, 방제 방법.
KR1020080039397A 2008-04-28 2008-04-28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KR10086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97A KR100865745B1 (ko) 2008-04-28 2008-04-28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397A KR100865745B1 (ko) 2008-04-28 2008-04-28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303 Division 2007-10-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745B1 true KR100865745B1 (ko) 2008-10-28

Family

ID=4017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397A KR100865745B1 (ko) 2008-04-28 2008-04-28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729A (zh) * 2020-12-28 2021-04-06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612A (en) 1989-12-26 1995-04-11 W. R. Grace & Co.-Conn. Hydrophobic extracted neem oil--a novel insectic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5612A (en) 1989-12-26 1995-04-11 W. R. Grace & Co.-Conn. Hydrophobic extracted neem oil--a novel insecticid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rop Potection 26 (2007) pp. 911-91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2729A (zh) * 2020-12-28 2021-04-06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CN112602729B (zh) * 2020-12-28 2021-12-21 新疆农业科学院海南三亚农作物育种试验中心 用于制备防治南方根结线虫的非洲角瓜提取物制剂及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vendan et al. Effect of medicinal plants on the mosquito vectors from the different agro-climatic regions of Tamil Nadu, India
Shadia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Ocimum americanum essential oil and its biological effects against, Agrotis ipsilon,(Lepidoptera: Noctuidae)
Abbasipour et al. Insecticidal activity of Peganum harmala seed extract against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Moosavi NEMATICIDAL EFFECT OF SOME HERBAL POWDERS AND THEIR AQUEOUS EXTRACTS AGAINST MELOIDOGYNE JAVANICA [EFECTO NEMATICIDA DE ALGUNOS POLVOS HERBALES Y SUS EXTRACTOS ACUOSOS SOBRE MELOIDOGYNE JAVANICA.]
Baidoo et al. The effects of extracts of Lantana camara (L.) and Azadirachta indica (A. Juss)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Plutella xylostella, Brevicoryne brassicae and Hellula undalis on cabbage
KR20190052979A (ko) 4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KR20170048902A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살충제 조성물
Ashfaq et al. Evaluation of mosquitocid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Moringa oleifera seeds against Culex quinquefasciatus (Diptera: Culicidae) in Pakistan
US2017029578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to selectively control species
KR102033104B1 (ko)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Sharma et al. Bio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Musca domestica L.
Lina et al. Synergistic action of mixed extracts of Brucea javanica (Simaroubaceae), Piper aduncum (Piperaceae), and Tephrosia vogelii (Leguminosae) against cabbage head caterpillar, Crocidolomia pavonana
Birah et al. Effect of aqueous leaf extract of cloves (Syzygium aromaticum)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tobacco caterpillar (Spodoptera litura)
KR20190052978A (ko) 3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한 해충관리용 유기농업자재 조성물
CN102484994B (zh) 苦参碱和氯虫苯甲酰胺的增效组合物
KR100865745B1 (ko)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BOZHÜYÜK et al. Investigation of the toxicity of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six different Satureja L. species on Colorado Potato Beetle, Leptinotarsa decemlineata (Say, 1824),(Coleoptera: Chrysomelidae)
ES2924416T3 (es) Una composición desinfectante ecológica para suelos agrícolas que comprende una mezcla de extracto de Capsicum, extracto de caléndula y extracto de ajo
KR101622123B1 (ko) 월쎄리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KR101633003B1 (ko)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Poolprasert et al. Larvicidal Effects of Paederia pilifera Hook. f. Leaft and Cuscuta reflexa Roxb. Stem Extracts against the Dengue Vector Mosquito Aedes aegypti Linn.
KR20130080667A (ko) 후추 속 식물과 라반듈라 속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살충용 조성물
CN113115797A (zh) 一种含有氟唑菌酰羟胺和阿维菌素的杀线虫组合物
Bhandari et al. Bioefficacy of insecticides and botanicals against cabbage butterfly, Pieris brassicae
KR101862202B1 (ko) 제라니올을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