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003B1 -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003B1
KR101633003B1 KR1020140063120A KR20140063120A KR101633003B1 KR 101633003 B1 KR101633003 B1 KR 101633003B1 KR 1020140063120 A KR1020140063120 A KR 1020140063120A KR 20140063120 A KR20140063120 A KR 20140063120A KR 101633003 B1 KR101633003 B1 KR 101633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ochia
plant
nematode
controlling
nemat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5922A (ko
Inventor
김진철
최경자
최용호
장경수
장자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6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0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뿌리혹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Composition for controlling nematodes comprising an extract of Melochia speci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matod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선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기생선충은 모든 흙속에 존재하며 선충강에 속하는 작은 생물체로, 대부분 식물기생선충의 크기가 매우 작아 현미경 상에서만 확인이 가능하다. 식물기생선충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실 모양으로 가늘거나, 방추형의 모습으로 좌우 대칭형이며, 그 길이는 0.25내지 0.45 mm로 매우 작으며, 몸에는 마디가 없고, 체표에는 주름을 가지고 있다. 체벽은 크게 표피, 진피 및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 신경계 및 식도 주위의 신경환으로 신경계를 구성하고 있다. 번식은 암컷 성충이 난을 낳는 것으로 하여, 자웅이체이나 동정생식을 통해 번식하기도 한다. 난에서 부화한 식물기생선충은 4단계의 유충기를 지난 후, 성충으로 성장하고 대략 1개월 정도 생존하는데 소화기관과 생식기관이 특징적으로 발달하며, 암컷의 경우 생존기간 동안 대략 50 내지 600개의 난을 낳는다. 상기 식물기생선충은 두부 입주위에 구침을 가지고 있고, 이를 이용하여 식물의 뿌리조직에 구침을 꼽아 구멍을 내고, 식물조직의 영양분을 흡수하거나 뿌리조직 내로 침입한다. 이러한 식물기생선충은 식물의 종자, 잎, 줄기, 뿌리 등 모든 부분에서 기생하며, 종에 따라 식물체의 외부에서 식물체를 가해하는 외부기생성, 식물조직 내부로 침입하여 가해하는 내부기생성 및 머리 부분만 식물체 내에 삽입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반 내부 기생성 등 다양한 생활양식을 갖는다. 또한 내부 기생성선충은 이동하며 가해하는 이동성인 것과 한번 가해하기 시작하면 이동하지 않는 정착성인 것이 있다.
선충은 먹이에 따라 식세균성 선충, 식균성 선충, 부식성 선충, 포식성 선충, 식물기생성 선충 등으로 나뉘는데, 식물기생성 선충은 연작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며 작물에 따라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식물기생성 선충에는 수천종이 있으며, 형태, 가해 양상 및 기주에 따라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시스트선충(Globodera spp.), 씨알선충(Anguina spp.),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 아엽선충(Aphalenchoides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 왜화선충(Tylenchorhychus spp.), 감귤선충(Rotylenchulus spp.) 등이 있다.
식물기생선충에 의한 피해는 토양 내 선충의 서식밀도가 낮은 경우에는 경미하지만, 작물이 성장하면서 재배기 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식밀도가 높아지게 되면 기주식물은 치명적인 손상을 입고 고사하게 된다. 식물기생선충에 감염된 식물체는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되어 병원균이 침입하였을 때 발병을 조장하거나 심화시키고, 일부 선충은 식물병원성 바이러스를 매개하기도 한다.
뿌리혹선충은 노지 및 시설 재배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 중 하나로서, 약 700여종의 식물이 기주로 알려져 있다. 그 종류로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및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등이 있으며, 주로 참외, 오이, 토마토, 딸기 고추 및 수박 등의 과채류와 인삼 등에 피해를 주는 가장 방제하기 어렵고 피해가 큰 해충이다.
뿌리혹선충의 방제는 메틸 브로마이드 등의 훈증제와 포스티아제이트(Fosthizate) 등의 살선충제가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학적 방제는 인축에 대한 위험성과 잔류독성, 환경오염, 생태계 교란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농약의 대안으로 사용되었던 메틸 브로마이드의 농약 폐지로 인해 보다 안전한 살선충제의 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친환경적으로 재배되는 농산물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축이나 환경에 안전하면서 뿌리혹선충류 방제에 효과적인 대체 물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식물기생선충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식물기생선충의 방제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방제방법으로는 재배적 방제법, 물리적 방제법, 화학적 방제법 및 생물학적 방제법이 있다. 재배적 방제법으로는 일정 기간 동안 경작을 하지 않는 휴경, 침수처리법, 윤작, 재배시기의 조정, 저항성 품종의 재식 및 유인식물을 재배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이런 재배적 방제법은 식물기생선충의 근본적인 방제법이기보다는 피해를 완화하고 경감시키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물리적 방제법으로는 열탕소독법, 전열가온법, 자외선 조사 및 초음파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시도되었으나, 열탕소독법의 경우는 온도가 상승하고 햇볕이 강한 하절기에만 주로 실시하며, 식물기생선충의 도피능력을 감안하면 열탕소독법에 의한 방제의 효율성에 대한 확신은 부족한 실정이다. 전열가온법은 지중에 전열선을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작지를 가온함으로써 식물기생선충을 방제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작물이 재배되지 않는 간기에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밖에 없으며, 시설 및 유지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환경 친화적인 식물기생성 선충 방제방법으로써 식물체 추출물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식물은 2차 대사 산물을 생성하여 오랜 시간 동안 다른 생물체에 공격에 저항해 왔다. 따라서 이러한 식물체를 이용하여 뿌리혹선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선충 방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선충 방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뿌리혹선충에 대해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5개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들의 500 ㎍/ml 수준에서 토마토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2령 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4개의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들의 다양한 농도에 따른 토마토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멜로치아 속 식물은 멜로치아 코르코리폴리아(Melochia corchorifolia), 멜로치아 루풀리나(Melochia lupulina),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 멜로치아 노디플로라(Melochia nodiflora), 멜로치아 아르보리아(Melochia arborea), 멜로치아 카메드리스(Melochia chamaedrys) 또는 멜로치아 카라카사나(Melochia caracasana)일 수 있으며, 멜로치아 루풀리나(Melochia lupulina),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 및 멜로치아 노디플로라(Melochia nodiflor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멜로치아 속 식물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한 후 건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멜로치아 속 식물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30% 에탄올, 50% 에탄올, 70%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메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방법으로는 감압고온추출, 열탕추출, 환류추출, 열수추출, 냉침 추출, 상온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증기추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멜로치아 속 식물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3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2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2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선충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씨스트선충(Heterodera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 씨알선충(Anguina spp.) 또는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상기 활성성분 이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충제 또는 살균제에 함유되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농약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를 위해서는 농약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제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화제, 입제, 분제, 유제, 스프레이제, 연막제, 캅셀형 및 젤상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고, 제제의 부력을 위해 도넛형과 같은 제형을 통한 접촉제로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수화제, 분제, 유제, 바람직하게는 수화제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작물 또는 토양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 식물의 종자를 침지시키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에 관주(灌注)하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 표면에 분무하는 처리, 식물의 경엽에 살포하는 처리, 및 식물의 부상부(付傷剖)에 접촉시키는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병 방제제, 종자 코팅제, 미생물 영양제, 토양 개량제 등의 전반적인 농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멜로치아 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토마토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토마토뿌리혹선충에 감염된 토마토 식물의 뿌리를 이용하여 유충을 분리하였고 토마토뿌리혹선충 2령 유충의 살선충 활성을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처리 후 40 배율 실체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고, 유충의 치사 유무는 웰 플레이트를 흔들어 몸 전체가 일자로 뻗은 상태로 운동성이 없는 유충을 죽은 유충으로 판단하여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들은 500 ㎍/ml수준에서 1번 시료(Melochia corchorifolia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90%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500 ㎍/ml 이하의 농도(250, 125, 63, 32, 16 및 8 ㎍/ml)에서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3번(Melochia umbellata 줄기 추출물) 시료는 16 ㎍/ml의 낮은 농도에서도 80%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보였으며, 5번(Melochia umbellat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는 31 ㎍/ml의 농도에서 65%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번(Melochia lupulin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는 250 /ml 이상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살선충활성을 보였고, 4번(Melochia nodiflor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의 경우 500 /ml에서만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매우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축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뿌리혹선충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는 환경 친화적인 선충 방제용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충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멜로치아 속 식물은 멜로치아 코르코리폴리아(Melochia corchorifolia), 멜로치아 루풀리나(Melochia lupulina),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 멜로치아 노디플로라(Melochia nodiflora), 멜로치아 아르보리아(Melochia arborea), 멜로치아 카메드리스(Melochia chamaedrys) 또는 멜로치아 카라카사나(Melochia caracasana)일 수 있으며, 멜로치아 루풀리나(Melochia lupulina),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 및 멜로치아 노디플로라(Melochia nodiflora)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물은 액체 상태로 식물에 관주, 식물의 종자에 침지 또는 분무하거나 종자에 코팅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충 방제용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하여 인축에 무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선충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내므로 환경 친화적인 천연물 살균제의 개발 및 고부가가치의 유기농산물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멜로치아 속( Melochia sp .) 식물 추출물의 제조
다양한 식물체를 가지고 토마토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우수 시료를 선발하던 중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들이 활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멜로치아 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건조시료 0.1 Kg에 70% 메탄올을 10 L 가한 후 상온에서 7 일간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여 얻거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5 가지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다.
번호 학명 부위 지역
1 Melochia corchorifolia 잎, 줄기 베트남
2 Melochia lupulina 잎, 줄기 코스타리카
3 Melochia umbellata 줄기 라오스
4 Melochia nodiflora 잎, 줄기 코스타리카
5 Melochia umbellata 잎, 줄기 인도네시아
구체적으로, 준비된 추출물을 메탄올에 용해한 후, 다시 메탄올을 이용하여 100배 농축 시료로 조제한 후, 각각의 시료를 최종농도 1,000 ㎍/ml, 500 ㎍/ml, 250 ㎍/ml, 125 ㎍/ml, 63 ㎍/ml, 32 ㎍/ml, 16 ㎍/ml 및 8 ㎍/ml이 되도록 선충 유충 현탁액에 처리하였으며, 무처리군에는 0.5 ㎕의 메탄올을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후 시료가 잘 섞이도록 96-웰 플레이트를 30초간 교반한 후 상대습도 100% 플라스틱 통에 넣은 후 랩을 씌워 밀봉한 후 배양기(25±2℃)에 보관하였다.
< 실시예 2> 토마토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에 대한 살선충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멜로치아 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토마토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토마토뿌리혹선충에 감염된 토마토 식물의 뿌리를 수돗물로 씻어내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잘 씻은 뿌리를 2 cm크기로 자른 후 믹서기에 넣고 뿌리가 잠길 정도로 0.5%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을 넣은 후 1분 동안 분쇄하였다. 분쇄 후 0.02 ㎛의 체를 사용하여 알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알은 깔대기법(Baermann funnel)을 이용하여 유충을 분리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토마토뿌리혹선충 2령 유충의 살선충 활성은,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 생물검정법으로 조사하였다. 1차 스크리닝은 96-웰 플레이트에 토마토뿌리혹선충 2령 유충을 50 ㎕당 20~30 마리 밀도로 계수하여 각각 49.5 ㎕씩 접종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500 ㎍/ml 처리한 후 72시간 후 40 배율 실체 현미경 하에서 관찰하였으며, 유충의 치사 유무는 웰 플레이트를 흔들어 몸 전체가 일자로 뻗은 상태로 운동성이 없는 유충을 죽은 유충으로 그렇지 않은 유충은 살아있는 유충으로 판단하여 살선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무처리 대조구로는 메탄올 1%를 사용하였고, 대조 약제로는 아바멕틴(abamectin)을 치사 농도인 1 ㎍/ml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3 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와 같이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들은 500 ㎍/ml수준에서 서로 다른 살선충 활성을 보였는데, 베트남에서 채취한 1번 시료(Melochia corchorifolia 잎 및 줄기 추출물)을 제외하고는 90%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도 1). 이들 식물 추출물 처리구에서는 토마토뿌리혹선충이 치사하여 몸 전체가 일자로 뻗은 상태로 운동성이 없는 반면, 무처리구에서는 유충이 살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대조약제는 1 ㎍/ml 수준에서 95%의 강한 살선충 활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다양한 농도에서의 토마토뿌리혹선충에 대한 살선충 활성 확인
500 ㎍/ml에서 낮은 활성을 보인 1번 시료(Melochia corchorifolia 잎 및 줄기 추출물)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들에 대하여 500 ㎍/ml 이하의 농도에서 살선충 활성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번(Melochia umbellata 줄기 추출물) 시료가 가장 우수한 살선충 활성을 보였다. 3번(Melochia umbellata 줄기 추출물) 시료는 16 ㎍/ml의 낮은 농도에서도 80%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보였으며, 5번(Melochia umbellat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는 31 ㎍/ml의 농도에서 65% 이상의 높은 살선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2번(Melochia lupulin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는 250 /ml 이상의 농도에서 70% 이상의 살선충활성을 보였다. 4번(Melochia nodiflora 잎 및 줄기 추출물) 시료의 경우 500 /ml에서만 9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고, 낮은 농도에서는 매우 낮은 활성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

Claims (5)

  1. 멜로치아 속(Melochia sp.)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방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멜로치아 속 식물은 멜로치아 코르코리폴리아(Melochia corchorifolia), 멜로치아 루풀리나(Melochia lupulina), 멜로치아 엄벨라타(Melochia umbellata), 멜로치아 노디플로라(Melochia nodiflora), 멜로치아 아르보리아(Melochia arborea), 멜로치아 카메드리스(Melochia chamaedrys) 및 멜로치아 카라카사나(Melochia caracasan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방제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뿌리혹선충은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 자바뿌리혹선충(Meloidogyne javanica), 땅콩뿌리혹선충(Meloidogyne arenaria), 및 줄기구근선충(Ditylenchus spp.)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방제용 조성물.
  4.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토양, 식물 또는 식물의 종자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방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체 상태로 식물에 관주, 식물의 종자에 침지 또는 분무하거나 종자에 코팅하여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 방제 방법.
KR1020140063120A 2014-05-26 2014-05-26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KR101633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20A KR101633003B1 (ko) 2014-05-26 2014-05-26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20A KR101633003B1 (ko) 2014-05-26 2014-05-26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2A KR20150135922A (ko) 2015-12-04
KR101633003B1 true KR101633003B1 (ko) 2016-06-23

Family

ID=5486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20A KR101633003B1 (ko) 2014-05-26 2014-05-26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55B1 (ko) * 2019-04-03 2020-11-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노미안써스 둘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81030B1 (ko) * 2019-04-03 2020-11-2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씨스티그마 라티폴리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RESEARCH*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AL AND CHEMICAL SCIENCES, 2012, Vol. 1(2), pp. 764-76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922A (ko)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140B2 (en) Bacteria with nematicidal activity and the ability to promote plant growth
EA029469B1 (ru) Немато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bacillus subtilis и bacillus licheniformis
KR102559587B1 (ko) 뿌리혹선충 알 부화율 억제 미생물 네오바실러스 드렌텐시스 jc0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33104B1 (ko)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KR20180008960A (ko) 빌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KR101633003B1 (ko) 멜로치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KR101622123B1 (ko) 월쎄리아 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선충 방제방법
CN102484994B (zh) 苦参碱和氯虫苯甲酰胺的增效组合物
KR101143033B1 (ko)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Jonathan et al. Bioefficacy of Pseudomonas fluorescens on Meloidogyne incognita in banana
Nirosha et al. Effect of oil cakes and garlic aqueousbased formulations of trichoderma viride on management of meloidogyne incognita in chilli
Kareem Control of damping-off and root rot diseases of Acacia tree using some 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plant extracts
KR101089318B1 (ko) 식물기생선충 방제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Njenga Efficacy of neem, tithonia and tephrosia leaf extracts in management of root-knot nematodes in french beans (Phaseolus vulgaris L.) in Tharaka Nithi County, Kenya
Dababat Importance of the mutualistic endophyte Fusarium oxysporum 162 for enhancement of tomato transplants and the biological 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mode-of-act
NEERAJ et al. Bio-nematicidal effect of botanical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tomato (Solanum lycopersicum)
Belay et al. Integrated managemen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for tomato production and productivity
Handiso et al. Evaluation of extracts of some noxious plants against coffee berry disease (Colletotrichum kahawae L.)
KR101614426B1 (ko)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Marie Efficacy of plant Extracts for management of Potato Bacterial Wilt (Ralstonia Solanacearum Smith) in Rwanda
KR100865745B1 (ko) 퀼라야 사포나리아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뿌리혹선충 방제용조성물
UMAR Nematicidal efficacy of soil fungal isolates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f tomato
CN107156203A (zh) 防治根结线虫的组合物、防治根线虫制剂以及其应用
Wubshet et al. Bacterial diseases seriously infecting major horticultural crops in Ethiopia and their management
Smolińska et al. The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from and Plants and on the Development of Kl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