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935B1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935B1
KR101704935B1 KR1020150167659A KR20150167659A KR101704935B1 KR 101704935 B1 KR101704935 B1 KR 101704935B1 KR 1020150167659 A KR1020150167659 A KR 1020150167659A KR 20150167659 A KR20150167659 A KR 20150167659A KR 101704935 B1 KR101704935 B1 KR 10170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unit
diffusion plate
diffuser plat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호열
박창현
이현태
박웅규
박종원
오준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3Scree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 장치가 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피커부,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스피커부, 제1 스피커부와 제2 스피커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확산판, 확산판의 하부에서 확산판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확산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하우징부 내에서 제1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1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도파로, 및 하우징부 내에서 제2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제2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도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SPEAKER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피커 기술과 관련된다.
각종 음향 기기 또는 영상 기기에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스피커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의 전방으로 출력하는데, 이때 스피커의 후방 측으로 방출되는 음향 신호는 대부분 소실되게 된다. 한편, 실내에는 어둠을 밝히기 위해 조명 장치가 구비되는데, 조명 장치를 별도로 실내에 장착하는 경우 비용 부담이 있게 되고, 실내 공간의 효율성을 떨어트리게 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0861호(2010.06.0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61410호(2014.11.13)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명과 스피커를 일체로 구비하면서 스피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피커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스피커부; 상기 제1 스피커부와 상기 제2 스피커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서 상기 확산판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확산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1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도파로;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2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도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도파로 및 상기 제2 도파로를 통해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는 상기 확산판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의 진동에 따라 공진하고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판은, 투과형 실리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제1 스피커부 및 상기 제2 스피커부와 상기 확산판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피커부 및 상기 제2 스피커부의 진동을 상기 확산판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전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파로는, 상기 제1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파로는, 상기 제2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확산판; 상기 확산판의 하부에서 상기 확산판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확산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부의 후방에서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를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도파로를 포함한다.
상기 도파로를 통해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는 상기 확산판의 진동에 의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판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의 진동에 따라 공진하고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확산판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부의 진동을 상기 확산판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파로는, 상기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스피커부 및 제2 스피커부의 후방에 확산판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도파로 및 제2 도파로를 마련함으로써, 확산판을 별도의 진동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스피커 장치에서 소실되는 음파를 줄여 보다 좋은 음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는 조명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명 장치를 별도로 구매하는데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일측", "타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피커 장치(100)는 하우징부(102), 제1 스피커부(104), 제2 스피커부(106), 확산판(108), 진동 전달부(110), 및 조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는 스피커 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이다. 하우징부(102)는 스피커 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부(102)의 내부에는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이동할 수 있는 제1 도파로(131) 및 제2 도파로(13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파로(131)는 제1 스피커부(104)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확산판(108) 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파로(131)는 스피커 장치(100)의 내부에서 제1 스피커부(104)의 후방(도 2에서는 제1 스피커부(104)의 하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피커 장치(100)는 제1 스피커부(104)의 후방에 제1 스피커부(104)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진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제2 도파로(134)는 제2 스피커부(106)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확산판(108) 측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파로(134)는 스피커 장치(100)의 내부에서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도 2에서는 제2 스피커부(106)의 하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피커 장치(100)는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에 제2 스피커부(106)에서 발생되는 음파가 진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제1 스피커부(104)는 스피커 장치(100)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2 스피커부(106)는 스피커 장치(100)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는 각각 구동 신호가 인가되는 보이스 코일(미도시), 보이스 코일에 자속을 공급하는 자기 회로(미도시), 및 보이스 코일과 자기 회로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판(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는 하우징부(102)의 상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는 각각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즉, 음파)는 주로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전방으로 송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구성 및 동작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는, 스피커부가 2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의 스피커부를 구비할 수 있다.
확산판(108)은 제1 스피커부(104)와 제2 스피커부(106)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확산판(108)은 조명부(112)에서 발생하는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확산판(108)은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진동시켜 전방으로 송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확산판(108)은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에 마련되는 진동판 이외에 별도의 진동판 역할을 하게 된다. 확산판(108)은 진동에 따라 공진하고 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과형 실리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에서 발생되는 음파는 주로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전방으로 송출되나, 일부는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으로 진행하여 소실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에 각각 제1 도파로(131) 및 제2 도파로(134)가 형성되므로,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음파는 제1 도파로(131) 및 제2 도파로(134)를 따라 확산판(108)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확산판(108) 측으로 이동된 음파는 확산판(108)의 진동으로 확산판(108)의 전방으로 송출되게 된다.
여기서, 제1 도파로(131)는 확산판(108)의 일측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마련되고, 제2 도파로(134)는 확산판(108)의 타측 하부 공간과 연통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파로(131)는 제1 스피커부(104)에서 확산판(108)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은 확산판(108)의 일측과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파로(134)는 제2 스피커부(106)에서 확산판(108)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적어도 하나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은 확산판(108)의 타측과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으로 진행되는 음파가 확산판(108)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여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진동 전달부(110)는 확산판(108)의 테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진동 전달부(110)는 확산판(108)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110)는 제1 스피커부(104)와 확산판(108)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전달부(110)는 제2 스피커부(106)와 확산판(108)을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진동 전달부(110)는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구동 시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진동을 확산판(108)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진동 전달부(110)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부(112)는 확산판(108)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12)는 스피커 장치(100)의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확산판(108)은 조명부(112)에서 조사되는 광이 진행하는 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조명부(112)는 기판(121), 발광 소자(123), 및 방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은 방열부(125)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21)은 방열부(125)의 상면에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판(121)은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메탈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21)과 방열부(125) 사이에서 열 전도 손실을 줄여 방열부(125)에서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PCB(Printed Circuit Board)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발광 소자(123)는 기판(121)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123)로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사용될 수 있다. 방열부(125)는 발광 소자(123)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방열부(125)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열부(125)는 방열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 복수 개의 방열핀(125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스피커부(104) 및 제2 스피커부(106)의 후방에 확산판(108)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는 제1 도파로(131) 및 제2 도파로(134)를 마련함으로써, 확산판(108)을 별도의 진동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스피커 장치(100)에서 소실되는 음파를 줄여 보다 좋은 음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피커 장치(100)는 조명부(11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명 장치를 별도로 구매하는데 따른 비용을 줄이면서 실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피커 장치
102 : 하우징부
104 : 제1 스피커부
106 : 제2 스피커부
108 : 확산판
110 : 진동 전달부
112 : 조명부
121 : 기판
123 : 발광 소자
125 : 방열부
125a : 방열핀
131 : 제1 도파로
134 : 제2 도파로

Claims (12)

  1.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스피커부;
    상기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타측에 마련되는 제2 스피커부;
    상기 제1 스피커부와 상기 제2 스피커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 스피커부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스피커부와 인접하여 마련되는 확산판;
    상기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상기 확산판의 하부의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확산판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확산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1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1 도파로;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상기 제2 스피커부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제2 도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파로는, 상기 제1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은 상기 조명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2 도파로는, 상기 제2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은 상기 조명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도파로 및 상기 제2 도파로를 통해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는 상기 확산판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스피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의 진동에 따라 공진하고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투과형 실리콘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제1 스피커부 및 상기 제2 스피커부와 상기 확산판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스피커부 및 상기 제2 스피커부의 진동을 상기 확산판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전달부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확산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스피커 장치.
  7. 삭제
  8. 하우징부에 수납되는 스피커부;
    상기 스피커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확산판;
    상기 하우징부에 수납되고, 상기 확산판의 하부의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서 소정 높이를 가지며 상기 확산판과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확산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스피커부의 후방에서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음파 중 일부를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시키는 도파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파로는, 상기 스피커부에서 상기 확산판 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가 좁아지는 구간은 상기 조명부의 높이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도파로를 통해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는 상기 확산판의 진동에 의해 외부로 방출되는, 스피커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은,
    상기 확산판의 하부 공간 측으로 이동되는 음파의 진동에 따라 공진하고 상기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피커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스피커부와 상기 확산판을 연결하며 마련되고, 상기 스피커부의 진동을 상기 확산판으로 전달하는 진동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12. 삭제
KR1020150167659A 2015-11-27 2015-11-27 스피커 장치 KR10170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59A KR101704935B1 (ko) 2015-11-27 2015-11-27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659A KR101704935B1 (ko) 2015-11-27 2015-11-27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935B1 true KR101704935B1 (ko) 2017-02-09

Family

ID=5815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659A KR101704935B1 (ko) 2015-11-27 2015-11-27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034B1 (ko) 2018-08-20 2019-08-02 최금정 증폭 확산 스피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800A (ja) * 2006-01-18 2007-08-02 Yamaha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JP2007259244A (ja) * 2006-03-24 2007-10-04 Seven Corporation:Kk スピーカ
KR100960861B1 (ko) 2009-08-31 2010-06-07 (주)다비치 분수, 음향 및 조명을 연계 연출할 수 있는 콘트롤 시스템을 이용한 led 음악 분수
JP2010178323A (ja) * 2009-02-01 2010-08-12 Junichi Kakumoto スピーカシステム
KR101461410B1 (ko) 2013-04-25 2014-11-13 (주)아이노스 음향 진동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800A (ja) * 2006-01-18 2007-08-02 Yamaha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JP2007259244A (ja) * 2006-03-24 2007-10-04 Seven Corporation:Kk スピーカ
JP2010178323A (ja) * 2009-02-01 2010-08-12 Junichi Kakumoto スピーカシステム
KR100960861B1 (ko) 2009-08-31 2010-06-07 (주)다비치 분수, 음향 및 조명을 연계 연출할 수 있는 콘트롤 시스템을 이용한 led 음악 분수
KR101461410B1 (ko) 2013-04-25 2014-11-13 (주)아이노스 음향 진동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034B1 (ko) 2018-08-20 2019-08-02 최금정 증폭 확산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7593B (zh) 光與擴音器驅動器裝置
JP5644593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9851092B2 (en) Electric light bulb type light source apparatus and translucent cover
KR20160134838A (ko) 스피커 모듈
US20130308315A1 (en) Light-bulb and audio/lighting system
JP2007165870A (ja) スリム型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6493990B2 (ja) 無線送信機を備える照明器具
JP2006276832A (ja) プロジェクタ
TW202001153A (zh) 照明及揚聲器裝置和環形led組件
JP2018056015A (ja) 照明器具
TWI525370B (zh) 液晶顯示裝置
WO2019013216A1 (ja) スピーカ機能付led照明装置、スピーカ機能付led照明装置からの光と音の取出し方法
KR101704935B1 (ko) 스피커 장치
WO2019073401A1 (en) LOUDSPEAKER DEVICE AND ELECTRIC LIGHTING
US20140345297A1 (en) Optical module with enhanced heat dissipating function
KR200387458Y1 (ko) 라인어레이 스피커 혼
JP5166973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8198657A (ja) 発光ダイオ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6081782A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用発光ユニット
JP2013120728A (ja) 照明装置
CN107305766B (zh) 光与声信号装置
US20170343184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lamp
TWI587063B (zh) 投影裝置
KR20160004543U (ko) 혼 스피커
CN109479171B (zh) 扬声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