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626B1 -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626B1
KR101704626B1 KR1020157023007A KR20157023007A KR101704626B1 KR 101704626 B1 KR101704626 B1 KR 101704626B1 KR 1020157023007 A KR1020157023007 A KR 1020157023007A KR 20157023007 A KR20157023007 A KR 20157023007A KR 101704626 B1 KR101704626 B1 KR 10170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ter
application
machine communication
instru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0748A (ko
Inventor
문성욱
가쓰토시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50110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0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1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taking into account QoS or priority requi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04W4/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액세스 네트워크(2)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통신을 규제함으로써,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 효율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2)는,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플랫폼(1),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어느 하나에 대해,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M2M 플랫폼(1)은,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APPARATUS, APPLICATION SERVER AND DEVIC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계끼리가 인간을 개재(介在)하지 않고 통신을 행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은 "M2M(Machine-to-Machine) 통신"이라고 불리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2M 통신은 M2M 디바이스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행해진다.
3GPP TS22.011 ETSI TS 102 690
그러나,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M2M 디바이스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액세스 네트워크 상태를 교환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액세스 네트워크의 부하 증가 등에 의해 M2M 통신용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송수신 처리할 수 없는 상태여도, M2M 디바이스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이러한 M2M 통신을 개시하고 액세스 네트워크의 부하를 증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액세스 규제에 의해, M2M 통신을 억제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만, 액세스 네트워크가 폭주한 후에만, 이러한 액세스 규제를 발동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M2M 통신을 억제하는 수단에 따라서는, 액세스 규제를 발동하기 위해, M2M 디바이스와 액세스 네트워크의 사이에 신호의 송수신을 필요로 하는 등, 액세스 네트워크의 폭주 상태에 있어서 유효하게 M2M 디바이스 내의 M2M 애플리케이션의 통신을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액세스 규제에서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유휴(idle) 상황 등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데이터량 등을 높일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의 통신 상태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유휴 상황 등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데이터량 등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은,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부;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A)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2M 디바이스#1/#11/#12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및 무선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네트워크로서, W-CDMA 방식이나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W-CDMA 방식이나 LTE 방식 이외의 액세스 네트워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M2M 플랫폼(M2M 서비스 계층)(1),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에 접속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M2M 애플리케이션(예를 들면, 스마트 미터(smart meter)의 검침 데이터 송신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자동 판매기의 재고 관리 데이터 송신용 애플리케이션 등)(30)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1/#11/#1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M2M 디바이스#1은 액세스 네트워크(2)에 직접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M2M 디바이스#11/#12는 게이트웨이(10)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2)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2)는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3)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2)에는 액세스 네트워크(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코어 네트워크(3)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A)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4)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A)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2A)는 검출부(11)와 송신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검출부(11)는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검출부(11)는, 이러한 통신 상태로서, 코어 네트워크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부하나 통신 성공률 등의 통신 품질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송신부(12)는,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플랫폼(1),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시 정보는 특정한 서비스 클래스 또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송신부(12)는, 검출부(11)에 의해 검출된 통신 상태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거나,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결정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송신부(12)는,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의 제어가 불필요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전술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검출부(11)가,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부하가 최대 허용량(예를 들면, 70%)보다 큰 것으로 검출한 경우, 송신부(12)는,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 또는 전부의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기 위해, M2M 플랫폼(1),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송신 빈도는 M2M 통신을 OFF로 하거나 또는 일정 시간 M2M 통신을 중단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부(12)는, 1 Mbps 이하나 1 Mbyte 이하와 같이, 송신 가능한 데이터의 크기나 속도를 제한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검출부(11) 및 송신부(12)는 코어 네트워크(3)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A)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4)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2A) 양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송신부(12)는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과거의 통신 상태나 장래의 통신 상태를 예측하여, 전술한 지시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은 수신부(21)와 제어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21)는 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 전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2)는, 수신부(2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22)는 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을 제어하도록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면,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또는 M2M 플랫폼(1)은,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정지하거나,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용의 데이터를 일정 기간 유지한 후에 송신하거나,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나 속도를 변경하거나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어부(22)는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에 실패한 경우의 재송신 타이밍을 변경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지시 정보는,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하기 위한 정보나,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데이터량이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22)는 액세스 네트워크(2)에 대해 지시 정보나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에 대해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2M 디바이스#1/#11/#12는 M2M 애플리케이션(30),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부(31), 및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부(31)는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부(31)에 의해 수신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부(31)는,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나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에 대해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제어 장치(2A)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M2M 플랫폼(1)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서비스 클래스 및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 클래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즉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의 억제 또는 완화를 지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지시 정보는, 제어 장치(2A)(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 M2M 디바이스#1/#11/#12,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 M2M 디바이스#1/#11/#12에 대해 지시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 M2M 디바이스#1/#11/#12는 이러한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서비스 클래스에 대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을 억제 또는 완화한다.
여기서, 이러한 억제 또는 완화는, 사전 설정에 따른 로직(logic)을 적용하여 행해져도 되거나, 또는 이러한 지시 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에 따라 행해져도 된다.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을 완화하는 경우, 지시 정보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2)에의 부하가 우려되므로 송신을 앞두고 있는 대량의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예를 들면, M2M 애플리케이션(30)이나 OS의 업데이트 정보 등)에 대해 실시하도록, 그 송신해야 할 데이터의 내용을 지시해도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전 설정은 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의 디바이스 매니지먼트 신호나 M2M 플랫폼(1)으로부터의 소정 신호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로부터의 소정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M2M 플랫폼(1)은, 복수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로부터, 특정한 서비스 클래스를 지정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동일한 서비스 클래스를 지정하는 지시 정보를 모아서, M2M 디바이스#1/#11/#12에 대해 송신해도 된다.
또는, 제어 장치(2A)(액세스 네트워크(2))는, 전술한 서비스 클래스를 설정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기서, 지시 정보의 송신처가, M2M 디바이스#1/#11/#12인 경우, M2M 디바이스#1/#11/#12는, M2M 플랫폼(1) 또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에 의해 지시된 로직에 따라,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지시 정보의 송신처가, M2M 플랫폼(1)인 경우, M2M 플랫폼(1)은,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에 의해 지시된 로직에 따라,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해도 되고, 이러한 지시 정보를 M2M 디바이스#1/#11/#12에 송신하고, M2M 디바이스#1/#11/#12에서의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해도 된다.
또는, 지시 정보의 송신처가,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인 경우,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가,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해도 되고, 이러한 지시 정보를 M2M 디바이스#1/#11/#12에 송신하고, M2M 디바이스#1/#11/#12에서의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해도 된다.
여기서, M2M 디바이스#1/#11/#12에서의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의 제어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액세스 네트워크 통신부(31)의 상위에 위치하는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는, 통신 모듈이나 M2M 플랫폼(1)이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전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경우,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는, M2M 디바이스#1/#11/#12 내부에 있어서, 또는 M2M 디바이스#1/#11/#12 외부에 접속되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이러한 지시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M2M 애플리케이션(30)은, 수신한 지시 정보에 따라, 통신 방법의 제어, 예를 들면,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의 변경 등을 실시한다.
M2M 디바이스#1/#11/#12에서의 통신 방법의 제어는, M2M 디바이스#1/#11/#12가 자율적으로 그 실시 유무를 판단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판단은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32)에서 실시되어도 된다.
그리고, 종래의 M2M 통신에서는, 통신 사업자는 M2M 애플리케이션(30)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의 동작에 대해 제어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M2M 통신에서는, 일시적인 폭주만 회피할 수 있고, 통신 규제가 해제되면 한 번의 대량의 액세스가 발생하거나, 상시, 폭주 회피를 위해 규제 정보를 통지할 필요가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액세스 규제가 복잡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M2M 통신에 있어서, 많은 M2M 디바이스#1/#11/#12가 액세스 네트워크(2)를 통해 통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새로운 M2M 디바이스가 접속 개시를 시도하면, 액세스 네트워크(2)에 큰 부하를 부여하게 되고,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하면, 액세스 네트워크(2)가, 액세스 네트워크(2)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통신의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특정한 서비스 클래스에 대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30) 또는 특정한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가, M2M 디바이스#1/#11/#12에 대해 실시하는 통신 방법을 변경하는 지시 정보에 기인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기능은 M2M 통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 통상의 통신에 적용되어도 된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1), M2M 플랫폼(1)에 접속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애플리케이션(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1/#11/#1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2)는,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플랫폼(1),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M2M 플랫폼(1)은,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전술한 지시 정보는, 서비스 클래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M2M 디바이스#1/#11/#12는, 이러한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서비스 클래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M2M 플랫폼(1)은, M2M 디바이스#1/#11/#12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M2M 플랫폼(1)은 M2M 디바이스#1/#11/#12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전술한 통신 방법의 제어는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의 제어라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2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M2M 플랫폼(1)에 접속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애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1/#11/#1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액세스 네트워크(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2A)로서,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부(11); 및 액세스 네트워크(2)에서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플랫폼(1),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디바이스#1/#11/#12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12)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3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M2M 플랫폼(1)에 접속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및 M2M 애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1/#11/#12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액세스 네트워크(2)로부터,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21); 및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30)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22)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제어부(22)는, 액세스 네트워크(2)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예의 제4 특징은,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및 M2M 플랫폼(1)에 접속되어 있는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M2M 애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는 M2M 디바이스#1/#11/#12로서, M2M 애플리케이션(30)은,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어느 하나로부터,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통신부(수신부)(31); 및 이러한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제어부)(32)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예의 제4 특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통신부(31)는, 액세스 네트워크(2), M2M 플랫폼(1) 및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전술한 지시 정보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M2M 디바이스#1/#11/#12나 제어 장치(2A)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되고,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이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탈착 가능한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 매체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기억 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 매체에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ASIC는, M2M 디바이스#1/#11/#12나 제어 장치(2A)나 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기억 매체 및 프로세서는, 개별 구성요소(discrete component)로서 M2M 디바이스#1/#11/#12나 제어 장치(2A)나(M2M) 애플리케이션 서버#1∼#N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 전술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태양으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떤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일본 특허출원 제2013-028434호(2013년 2월 15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M2M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의 통신 상태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의 유휴 상황 등의 통신 상태에 따라, M2M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데이터량 등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M2M 플랫폼(M2M 서비스 계층)
2…액세스 네트워크
2A…제어 장치
3…코어 네트워크
4…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10…게이트웨이
11…검출부
12…송신부
21…수신부
22…제어부
30…M2M 애플리케이션
31…애플리케이션 통신부
32…M2M 서비스 계층 제어부

Claims (10)

  1.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의 억제 또는 완화를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을 완화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서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송신을 앞두고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정보는 서비스 클래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지시 정보에 의해 지정된 상기 서비스 클래스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은,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지시 정보를 수신했을 때의 동작에 대해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방법의 제어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데이터의 송신 빈도나 송신량이나 재송신 타이밍이나 송신해야 할 내용의 제어인, 통신 시스템.
  6.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 장치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검출부;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상태에 따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상기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송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의 억제 또는 완화를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을 완화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서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송신을 앞두고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인,
    제어 장치.
  7.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의 억제 또는 완화를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을 완화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서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송신을 앞두고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인,
    애플리케이션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해 상기 지시 정보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9. 액세스 네트워크,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에 접속되어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신부; 및
    상기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 방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의 억제 또는 완화를 지시하는 것이고,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을 완화하는 경우, 상기 지시 정보는, 통상의 통신 상태에서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에의 부하가 우려되기 때문에 송신을 앞두고 있는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통신용의 데이터의 송신을 지시하는 것인,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상기 기계 간 통신용 플랫폼 및 상기 기계 간 통신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지시 정보를 문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디바이스.
KR1020157023007A 2013-02-15 2014-02-14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KR101704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28434 2013-02-15
JP2013028434A JP5818830B2 (ja) 2013-02-15 2013-02-15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及びデバイス
PCT/JP2014/053457 WO2014126195A1 (ja) 2013-02-15 2014-02-14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及びデバイ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0748A KR20150110748A (ko) 2015-10-02
KR101704626B1 true KR101704626B1 (ko) 2017-02-08

Family

ID=5135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007A KR101704626B1 (ko) 2013-02-15 2014-02-14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81763A1 (ko)
EP (1) EP2958398A4 (ko)
JP (1) JP5818830B2 (ko)
KR (1) KR101704626B1 (ko)
CN (1) CN104995990A (ko)
WO (1) WO20141261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8344B1 (en) * 2015-01-12 2019-05-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resource usage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017408B1 (ko) * 2015-03-02 2019-09-02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서비스 계층 능력을 사용한 네트워크 및 애플리케이션 관리
CN107710294A (zh) * 2015-05-27 2018-02-16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程序和信息处理系统
JP6116085B1 (ja) * 2015-06-10 2017-04-19 株式会社ソラコム 複数のsimカードを利用するための管理方法及び管理サーバ
CN107637029B (zh) 2015-06-10 2021-09-14 株式会社宙连 用于向无线终端提供对ip网络的访问的通信系统及通信方法
JP6806054B2 (ja) * 2015-06-24 2021-01-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8061017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harging of a service session of m2m de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3534594B1 (de) * 2018-02-28 2020-11-25 Kistler Holding AG Kommunikationssystem zur datenübermittlung zwischen datenerzeugereinheiten und datenauswerteeinheiten
CN111885197B (zh) * 2020-07-31 2022-11-25 平安国际融资租赁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数据传输方法、装置、云平台和计算机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105A1 (ja) 2011-02-07 2012-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43233B (en) * 2006-10-16 2011-04-13 Nec Technologies Network overload protection
CN102202374A (zh) * 2010-03-23 2011-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机器类通信设备接入的方法及系统
US9015319B2 (en) * 2010-06-04 2015-04-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ayered access control f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devices
US20120281530A1 (en) * 2010-11-08 2012-11-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dio access network overload control
EP2466791A1 (en) * 2010-12-17 2012-06-20 France Telecom Data processing for managing the quality of service in a machine-to-machine network
US9071925B2 (en) * 2011-01-05 2015-06-30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n application server and an M2M device
CN102130773B (zh) * 2011-02-25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群组通信的方法和用于群组通信的装置
US8942698B2 (en) * 2011-11-02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access terminal registration with a registration server
KR20140022669A (ko) * 2012-08-14 2014-02-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전송경로를 제공하는 사물지능통신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8105A1 (ja) 2011-02-07 2012-08-1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dd required function of MTC devices detaching and/or bears deactivating for overload control, 3GPP TSG SA WG2 Meeting #79E, TD S2-103183, 2010.07.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81763A1 (en) 2015-12-31
KR20150110748A (ko) 2015-10-02
EP2958398A4 (en) 2016-11-09
CN104995990A (zh) 2015-10-21
JP5818830B2 (ja) 2015-11-18
WO2014126195A1 (ja) 2014-08-21
EP2958398A1 (en) 2015-12-23
JP2014158190A (ja)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626B1 (ko) 통신 시스템, 제어 장치,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디바이스
CN106465425B (zh) 针对非授权频带中的蜂窝通信的先听后说方法和装置
KR101942038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 속도 및 범위 조절
EP3210431B1 (en) Network controlled and deployment based increased primary cell measurements
EP4280718A1 (en) Anchor point terminal determination method, information sending method, communication node, and storage medium
EP2624600A1 (en) Radio device and application server adapted for automated M2M access evaluation and Method of operating a radio device
CN109155925B (zh) Laa中的非许可的辅小区检测、测量和激活的最大时间
US20180213576A1 (en) Connection Release Assistance Information
EP3753288B1 (en) Support for receive-limited user equipment in wireless environments
US20160174142A1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radio terminal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system, inter-terminal direct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RU2014135385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EP3100486B1 (en) Device to device discovery resource allocation
JP6517425B2 (ja) スモールパケットの伝送のための競合ベースの無線リソース管理
EP2897388B1 (en) Power efficient support of small packet transmission
US9801130B2 (en) Secondary cell state activation and deactivation of gaps
CN104756597A (zh) 与自主拒绝禁止机制的改进相关的设备、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EP3590296A1 (en) Recipient usage indication for carrier frequency in bfd /ibfd
CN109587806B (zh) 一种调度请求发送方法及终端设备
JP513678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不感地帯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448694B1 (ko) 이동통신방법 및 이동국
WO2017097582A1 (en) Random access enhancement for unlicensed access
CN114424625B (zh) 防止不期望的接入限制缓和的系统和方法
EP3520554B1 (en)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requirements based on machine type communicati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monitoring
JP6274591B2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4165537A (ja) 移動局及び移動局の位置登録要求送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