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94B1 -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94B1
KR101704594B1 KR1020160119305A KR20160119305A KR101704594B1 KR 101704594 B1 KR101704594 B1 KR 101704594B1 KR 1020160119305 A KR1020160119305 A KR 1020160119305A KR 20160119305 A KR20160119305 A KR 20160119305A KR 101704594 B1 KR101704594 B1 KR 10170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ller
contact
stand
sk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에이이
Priority to KR102016011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83Position of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로서,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상기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각각은,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와 평행하게 컨베이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스탠드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는 복수 개의 조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스탠드; 벨트의 사행 정도를 감지하도록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행 검출부; 및 상기 사행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롤러스탠드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스탠드빔의 일측에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검출부는, 벨트의 사행 발생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회전되면서 경사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의 경사도를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감속부; 선단부가 상기 롤러스탠드의 중앙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아암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감속부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출력 로드; 상기 출력 로드의 최대 전후진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포텐셔미터의 저항치를 입력받아 상기 롤러스탠드의 현재 위치와 비교 증폭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로드를 전후진 시키는 포지셔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빈번한 수정동작의 수행에 의한 구동모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Serpentine Movement Adjusting Apparatus for Belt Cone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사행에 의해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포텐셔미터의 저항치를 선회 구동부의 포지셔너부에서 비교 증폭하여 구동모터부를 작동시키고 출력 로드를 전후진시켜 롤러스탠드를 선회시킨 후 그 위치를 유지시키며, 반대편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가 기울어지면 출력 로드를 복귀시켜 롤러스탠드를 원위치로 되돌림으로써, 빈번한 수정동작의 수행에 의한 구동모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벨트 컨베이어는, 캐리어롤러 및 리턴롤러가 설치되는 롤러테이블과, 캐리어롤러 및 리턴롤러에 감겨 모터의 동력에 의해서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벨트로 구성되어, 벨트상에 적재되는 석탄이나 광석등을 수송 운반함에 있어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수송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특히 제철소 내의 각 공장에 많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벨트 컨베이어는 작동 중에 여러 가지 물리적, 기계적 요인에 의해 벨트가 바르게 진행되지 못하고 한쪽으로 사행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즉, 수송물의 과다 적재나 편적(偏積) 또는 풀리나 롤러 등에 부착된 부착광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무한궤도운동을 하는 벨트가 사행하게 되는데, 이때 수송물이 벨트상에서 외부로 이탈하여 외부로 쏟아지거나 벨트와 인접하는 설비 구조물이 서로 접촉되는 상태로 운전되면서 벨트가 절손되고 설비구조물이 손상되므로, 벨트의 사행을 자동조심롤러 등으로 수시로 조정하여야 한다.
벨트 사행이 발생되면 상기 자동조심롤러를 이용하여 벨트의 사행을 조절하게 되는데, 벨트가 진행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벨트가 좌측으로 사행 될 경우 사행되는 정도에 따라 자동조심롤러를 우측으로 돌려 사행되는 반대 방향의 벨트가 롤러에 먼저 접촉되게 함으로써 롤러가 먼저 접촉하는 방향으로 벨트가 옮겨가도록 하는 것이다.
과거의 벨트 사행 조정작업은 수동으로 이루어진바 광석을 수송하는 도중에 사행의 정도가 심하거나 그 횟수가 잦아지면 그만큼 수작업을 반복해야 했으므로 이로 인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정·역방향으로 가역 운전되는 벨트 컨베이어의 경우 정방향으로 운전시에 사행을 조정하게 되면 역방향으로 운전시에는 벨트의 사행이 가중되게 되므로 다시 반대방향으로 사행을 조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원료 운반용 콘베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2834호(등록일자 2004년 6월 1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47957호(공개일자 2001년 6월 15일)
특허문헌 1 및 2의 사행 조정장치는 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스위치나 센서 같은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른 모터의 작동으로 사행방지롤러나 대차풀리를 선회시켜 벨트의 사행을 바로잡은 후 감지수단의 신호가 사라지면 사행방지롤러나 대차풀리를 원위치로 되돌리게 된다.
그러나, 수송물의 과다 적재나 편적(偏積) 또는 풀리나 롤러 등에 부착된 부착광 등 일정 방향으로의 사행을 야기하는 원인이 사라지지 않는 한, 모터의 작동에 의해 사행이 바로잡혀도 잠시 후 다시 같은 방향으로의 사행이 발생하게 되는바, 다시 감지수단의 신호에 따라 모터가 작동되어 사행방지롤러나 대차풀리를 선회시키게 되므로, 모터가 빈번하게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어 모터의 고장이 유발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사행에 따라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포텐셔미터의 저항치를 선회 구동부의 포지셔너부에서 비교증폭하여 구동모터부를 작동시키고 출력 로드를 전후진시켜 롤러스탠드를 선회시킨 후 그 위치를 유지시키며, 반대편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가 기울어지면 출력 로드를 복귀시켜 롤러스탠드를 원위치로 되돌리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빈번한 수정동작의 수행에 의한 구동모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로서,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상기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각각은,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와 평행하게 컨베이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스탠드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는 복수 개의 조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스탠드; 벨트의 사행 정도를 감지하도록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행 검출부; 및 상기 사행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롤러스탠드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스탠드빔의 일측에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검출부는, 벨트의 사행 발생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회전되면서 경사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의 경사도를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감속부; 선단부가 상기 롤러스탠드의 중앙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아암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감속부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출력 로드; 상기 출력 로드의 최대 전후진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포텐셔미터의 저항치를 입력받아 상기 롤러스탠드의 현재 위치와 비교 증폭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로드를 전후진 시키는 포지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부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져서 상기 롤러스탠드가 선회된 후 상기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가 원래 위치로 돌아간 후에도 상기 롤러스탠드가 선회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그에 따라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사행되어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지면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의 경사가 없어질 때까지 상기 롤러스탠드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키고, 상기 롤러스탠드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킨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에 의한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의 경사가 감지되면 상기 롤러스탠드를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상기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은, 상기 사행 검출부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상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1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촉롤러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은, 상기 사행 검출부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하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2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촉롤러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에 의하면, 빈번한 수정동작의 수행에 의한 구동모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이 함께 사용되는바 동일한 롤러스탠드의 선회각으로도 우수한 벨트 사행 조정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시도,
도 2는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행 검출부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행 검출부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행 검출부의 설치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4는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행 검출부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7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사행 검출부의 접촉롤러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은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의 사행 검출부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는 캐리어측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도록 캐리어측에 설치되는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100); 및 리턴측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도록 리턴측에 설치되는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100)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200) 각각은, 스탠드빔(110, 210), 롤러스탠드(120, 220), 사행검출부(130, 230) 및 선회구동부(140, 240)를 포함한다.
스탠드빔(110, 210)은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100) 또는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200)이 컨베이어 프레임(10)에 고정되기 위한 골격을 이루는 부재로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와 평행하게 양단부가 컨베이어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이다.
롤러스탠드(120, 220)는 스탠드빔(110, 210)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서, 롤러스탠드(120, 220)에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는 복수 개의 조심 롤러(121, 22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사행 검출부(130, 230)는 벨트의 사행 정도를 감지하도록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롤러(131, 231) 및 포텐셔미터(132, 2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롤러(131, 231)는 벨트의 사행 발생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회전되면서 경사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사행 검출부(130, 230)의 본체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 내부의 포텐셔미터(132, 232)는 접촉롤러(131, 231)의 경사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접촉롤러(131, 231)의 지지축에 연결되어 접촉롤러(131, 231)의 경사도에 비례한 저항치를 발생시키게 된다.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100)의 경우, 사행 검출부(130)는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135) 및 제 1 지지 브라켓(136)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도 4 참조).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135)은 컨베이어 프레임(10) 상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일단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제 1 지지 브라켓(136)은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135)의 장공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제 1 지지 브라켓(136)의 상면부에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100)이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 접촉롤러(131)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게 되며, 접촉롤러(131)가 초기의 경사각으로부터 경사도가 변화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포텐셔미터(132)의 저항치가 변화되게 된다.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200)의 경우, 사행 검출부(230)는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235) 및 제 2 지지 브라켓(236)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도 8 참조).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235)은 컨베이어 프레임(10) 하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부재로서 일단부에 장공이 형성되고, 제 2 지지 브라켓(236)은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235)의 장공에 볼트와 너트 등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며, 제 2 지지 브라켓(236)의 상면부에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200)이 고정 설치되게 된다.
이 경우, 접촉롤러(231)는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며, 접촉롤러(231)의 경사도가 변화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포텐셔미터(232)의 저항치가 변화되게 된다.
선회구동부(140, 240)는 사행 검출부(130, 230)의 신호에 따라 롤러스탠드(120, 220)를 선회시키도록 롤러스탠드(120, 220)의 일측에 고정브라켓(141, 241)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모터부(142, 242), 감속부(143, 243), 출력 로드(144, 244), 리미트 스위치(145, 245) 및 포지셔너부(146, 2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부(142, 242)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며, 감속부(143, 243)는 구동모터부(142, 242)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사다리꼴형 나사를 이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동모터부(142, 242) 및 감속부(143, 243)는 적용 가능한 다양한 공지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인바 그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지는 않기로 한다.
출력 로드(144, 244)는 감속부(143, 243)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부재로서 선단부가 롤러스탠드(120, 220)의 중앙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아암(125, 225)의 단부와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출력 로드(144, 244)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아암(125, 225)과 연결된 롤러스탠드(120, 220)가 스탠드빔(110, 210)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되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145, 245)는 출력 로드(144, 244)의 전후진 위치를 한정하는 구성요소이며, 포지셔너부(146, 246)는 포텐셔미터(132, 232)의 저항치를 입력받아 롤러스탠드(120, 220)의 현재 위치와 비교 증폭하고 구동모터부(142, 242)를 제어하여 출력 로드(144, 244)를 전후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다만, 포지셔너부(146, 246)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져서 롤러스탠드(120, 220)가 선회된 후 상기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원래 위치로 돌아간 후에도 롤러스탠드(120, 220)가 선회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홀드 동작).
즉,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기울어짐에 따라 변화되는 포텐셔미터(132, 232)의 저항치를 입력받아 롤러스탠드(120, 220)의 현재 위치와 비교 증폭하고 구동모터부(142, 242)를 제어하여 출력 로드(144, 244)를 전후진시킴으로써 롤러스탠드(120, 220)를 선회시킨 후, 롤러스탠드(120, 220)의 선회에 의해 벨트의 사행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원래 위치로 돌아간 후에도 롤러스탠드(120, 220)가 선회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는, 수송물의 과다 적재나 편적(偏積) 또는 풀리나 롤러 등에 부착된 부착광 등 일정 방향으로의 사행을 야기하는 원인이 사라지지 않는 한, 롤러스탠드(120, 220)의 선회에 의해 벨트의 사행이 바로잡혀도 롤러스탠드(120, 220)를 다시 원위치로 선회시키면 잠시 후 다시 같은 방향으로의 사행이 발생하는 현상이 반복되기 때문에, 구동모터가 빈번하게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게 되어 구동모터의 고장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일정 각도로 선회된 상태가 유지되는 롤러스탠드(120, 220)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사행되어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지면, 포지셔너부(146, 246)는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131, 231)의 경사가 없어질 때까지 롤러스탠드(120, 220)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일정 각도로 선회된 상태가 유지되는 롤러스탠드(120, 220)에 의해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사행된 경우, 일반적으로는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을 없애기 위해 롤러스탠드(120, 220)를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켜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한 번 벨트의 사행이 발생하면 일정 방향으로의 사행을 야기하는 원인이 사라지지 않는 한 다시 같은 방향으로의 사행이 발생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포지셔너부(146, 246)가 롤러스탠드(120, 220)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키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것만으로도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이 바로잡혀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포지셔너부(146, 246)는 롤러스탠드(120, 220)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킨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에 의한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131, 231)의 경사가 감지되면 롤러스탠드(120, 220)를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키도록 제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롤러스탠드(120, 220)의 반대 방향 선회에 의해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이 줄어듬에 따라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131, 231)가 원래 위치로 돌아간 후에도 포지셔너부(146, 246)는 롤러스탠드(120, 220)가 반대 방향으로 선회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홀드 동작).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는, 빈번한 수정동작의 수행에 의한 구동모터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이 함께 사용되는바 동일한 롤러스탠드의 선회각으로도 우수한 벨트 사행 조정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컨베이어 프레임
100: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200: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110, 210: 스탠드빔 120, 220: 롤러스탠드
121, 221: 조심 롤러 125: 225: 아암
130, 230: 사행 검출부
131, 231: 접촉롤러 132, 232: 포텐셔미터
135: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 136: 제 1 지지 브라켓
235: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 236: 제 2 지지 브라켓
140, 240: 선회구동부
141, 241: 고정브라켓 142, 242: 구동모터부
143, 243: 감속부 144, 244: 출력 로드
145, 245: 리미트 스위치 146, 246: 포지셔너부

Claims (1)

  1.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 및 상기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 각각은,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여 회전되는 롤러와 평행하게 컨베이어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스탠드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와 접하는 복수 개의 조심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스탠드;
    벨트의 사행 정도를 감지하도록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양측에 설치되는 사행 검출부; 및
    상기 사행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롤러스탠드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스탠드빔의 일측에 고정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행 검출부는,
    벨트의 사행 발생시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회전되면서 경사각이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접촉롤러의 경사도를 감지하기 위한 포텐셔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회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부;
    상기 구동모터부의 회전을 감속시키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감속부;
    선단부가 상기 롤러스탠드의 중앙부 일측에 돌출 형성된 아암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감속부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출력 로드;
    상기 출력 로드의 최대 전후진 위치를 한정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포텐셔미터의 저항치를 입력받아 상기 롤러스탠드의 현재 위치와 비교 증폭하고 상기 구동모터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 로드를 전후진 시키는 포지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너부는,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져서 상기 롤러스탠드가 선회된 후 상기 벨트 일측의 접촉롤러가 원래 위치로 돌아간 후에도 상기 롤러스탠드가 선회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그에 따라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가 반대 방향으로 사행되어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가 벨트의 측단부와 접하여 기울어지면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의 경사가 없어질 때까지 상기 롤러스탠드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키고, 상기 롤러스탠드를 정상 위치로 선회시킨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반대 방향의 벨트 사행에 의한 상기 벨트 타측의 접촉롤러의 경사가 감지되면 상기 롤러스탠드를 반대 방향으로 선회시키며,
    상기 캐리어측 사행 조정모듈은,
    상기 사행 검출부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상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제 1 수직 설치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1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촉롤러가 무한궤도 운동을 하는 벨트의 측단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리턴측 사행 조정모듈은,
    상기 사행 검출부가,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 하측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 및 상기 제 2 수직 설치 프레임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제 2 지지 브라켓;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촉롤러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20160119305A 2016-09-19 2016-09-19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704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05A KR101704594B1 (ko) 2016-09-19 2016-09-19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05A KR101704594B1 (ko) 2016-09-19 2016-09-19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94B1 true KR101704594B1 (ko) 2017-02-08

Family

ID=5815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05A KR101704594B1 (ko) 2016-09-19 2016-09-19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8945A (zh) * 2023-04-14 2023-06-02 中国矿业大学 一种皮带输送机跑偏监测并纠偏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18Y1 (ko) *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역 벨트 콘베어용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000007164U (ko) * 1998-09-28 2000-04-25 이구택 벨트콘베어 시스템의 벨트 사행방지장치
KR20010047957A (ko) 1999-11-24 2001-06-15 이구택 원료 운반용 콘베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KR200352834Y1 (ko) 1999-05-27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101118300B1 (ko) * 2004-12-28 2012-03-22 주식회사 포스코 리버싱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130120780A (ko) * 2012-04-26 2013-11-05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행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64U (ko) * 1998-09-28 2000-04-25 이구택 벨트콘베어 시스템의 벨트 사행방지장치
KR200352834Y1 (ko) 1999-05-27 2004-06-12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200176518Y1 (ko) * 1999-10-26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역 벨트 콘베어용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010047957A (ko) 1999-11-24 2001-06-15 이구택 원료 운반용 콘베어벨트의 사행조정장치
KR101118300B1 (ko) * 2004-12-28 2012-03-22 주식회사 포스코 리버싱 벨트 콘베이어의 벨트 사행 조정장치
KR20130120780A (ko) * 2012-04-26 2013-11-05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행 방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8945A (zh) * 2023-04-14 2023-06-02 中国矿业大学 一种皮带输送机跑偏监测并纠偏装置及方法
CN116198945B (zh) * 2023-04-14 2023-08-25 中国矿业大学 一种皮带输送机跑偏监测并纠偏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5653B2 (en) Closed gap transfer for a convey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4994774B2 (ja)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JP4574670B2 (ja) キャリヤ側ベルト蛇行修正装置
KR101220913B1 (ko) 사행방지장치를 구비한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
EP1188699A3 (en) A posture correction device for correcting a posture of conveyed paper-like material and paper-like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posture correction device
US11286136B2 (en) Conveying device
KR101695566B1 (ko) 라미네이터용 히팅롤의 간극조절장치
KR101704594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80263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 제어장치
CN215206805U (zh) 一种用于输送皮带机上的皮带跑偏自动检测纠正装置
JP7176726B2 (ja) ローリング機構付き搬送装置
JPS5826708A (ja) カ−ブベルトコンベヤ
KR20150076018A (ko) 벨트 컨베이어
JP2000313518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KR101816116B1 (ko) 컨베이어의 사행방지 시스템
KR2016011242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CN107963408B (zh) 一种自检调整型运输轨道
KR102201446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KR101194022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제어방법
JPH0867373A (ja) ベルト搬送装置の蛇行調整機構
JP4289200B2 (ja) 搬送設備
KR20160126758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7751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텐션장치
CN216661952U (zh) 一种恒张力控制装置
KR101605230B1 (ko) 텐션 웨이트 균형조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