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571B1 - 배터리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571B1
KR101704571B1 KR1020150133186A KR20150133186A KR101704571B1 KR 101704571 B1 KR101704571 B1 KR 101704571B1 KR 1020150133186 A KR1020150133186 A KR 1020150133186A KR 20150133186 A KR20150133186 A KR 20150133186A KR 101704571 B1 KR101704571 B1 KR 101704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air
battery
open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당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B60L11/187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02E6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고온을 냉각하고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가 개시된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는 배터리 케이스와,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과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개방 구조물의 내부 공기와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에 의해 자동 오픈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냉각 장치{APPARATUS FOR COOLING BATTERY}
본 실시예는 배터리 케이스 내부의 고온을 냉각하거나 배터리 케이스 내부에서 적정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 문제 및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노력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자동차는 전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데, 전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에너지원인 고전압 배터리가 인버터를 통해 전기 모터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전기 모터에 연결된다.
전기 자동차에 탑재된 모터 구동용 고전압 배터리는 충전 및 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로서, 배터리 케이스(배터리 팩)의 형태로 탑재되는데, 배터리 팩은 필요 전력을 얻기 위해 다수개의 셀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을 서로 직렬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고전압 배터리는 충, 방전시 셀에서 발열 현상이 발생하여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배터리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배터리의 전기적인 성능 및 내구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케이스내의 온도가 높은(고압이면)면 이를 적절히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공랭식의 온도 센서, 냉각 팬, 유동 덕트, 제어로직 및 제어 장치를 구비하여, 배터리 케이스내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 온도보다 높으면, 냉각 팬을 가동시킴으로써 배터리 케이스내의 고온 온도를 낮추었다.
반면, 기존의 수랭식인 경우에는 쿨링 시스템을 구비하고,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 온도보다 높으면, 쿨링 시스템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배터리 케이스내의 고온 온도를 낮추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배터리 케이스내의 고온 온도를 강제 냉각시키면, 차량 중량이 증가하고, 냉각을 위한 원가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실시예는 자연 냉각 또는 자연 냉각에 기초한 강제 냉각을 실현하기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배터리 케이스 내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자연 냉각 또는 자연 냉각에 기초한 강제 냉각을 실현하기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및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개방 구조물의 내부 공기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에 의해 자동 오픈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내부 공기가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하는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방 구조물은 제1 개방홀, 및 상기 개방홀의 단면 폭보다 중상단의 단면 폭이 더 큰 구조를 갖는 제2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홀은 상기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개방홀보다 기울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2 개방홀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상기 개방 구조물에 인접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스크린 도어부,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을 경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스크린 도어부로부터 배출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개방 구조물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스크린 도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장착된 바람막이용 디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큼을 감지할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오프시켜 유동풍이 상기 디플렉터에 압력을 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압력에 의해 밀려 상기 스크린을 자동 회귀시킬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클 경우,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개방 구조물의 내부 공기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를 통해 자동 오픈되는 체크 밸브, 상기 개방 구조물에 인접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스크린 도어부,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스크린 도어부로부터 배출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개방 구조물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내부 공기가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하는 공기 유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개방 구조물은 상기 유속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 개방홀, 및 상기 제1 개방홀의 중상단을 이루어, 상기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개방홀보다 기울어진 제2 개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방홀은 상기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개방홀보다 기울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2 개방홀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 도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장착된 바람막이용 디플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클을 감지할 경우, 모터의 작동을 오프시켜 유동풍이 상기 디플렉터에 압력을 가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압력에 의해 밀려 상기 스크린을 자동 회귀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스크린이 회귀될때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기존의 수랭식 또는 공랭식의 강제 냉각에 비하여 냉각 효율 뿐만 아니라, 배터리 냉각을 위한 차량 중량 및 원가를 절감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정리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공랭식의 강제냉각(기존기술) 수냉식의 강제냉각(기존기술) 공랭식의 자연냉각(본 기술) 공랭식의 강제냉각 또는 자연냉각에 기초한 강제냉각(본 기술)
차량 중량 증대 증대 개선 일부 개선
원가 상승 상승 개선 일부 개선
효율 일부 개선 개선 개선 개선
비교 냉각팬, 유동 덕트 등의 구조들로 인해 중량, 원가 상승 및 효율 일부 개선
클링 시스템과 냉각수로 인해 효율은 개선되나, 중량 및 원가 상승 중량 및 원가 최소화 및 효율 개선 기존기술에 비해 낮은 원가 및 중량을 가지며, 효율 개선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냉각을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의 배터리 케이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개방 구조물의 형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개방 구조물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개방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냉각을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배터리 냉각 장치에 구비된 스크린 도어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형태의 배터리 냉각 장치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배터리 냉각 장치에 구비된 스크린 도어부의 이동 상태를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개방 구조물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이 적용된 다양한 방법, 장치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접미사인 "부", "구" 또는 "구조물"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이루어지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들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 설치된 고전압 배터리를 자연 냉각 및 자연 냉각에 기초한 강제 냉각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냉각시켜 목적하는 바를 달성한다.
더 나아가,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는 배터리 케이스내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경우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함과 동시에 전술한 냉각 방식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를 냉각시켜 목적하는 바를 달성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두 관점에서 실현될 수 있는 하드웨어의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자연 냉각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연 냉각을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의 배터리 케이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개방 구조물의 형태를 일례로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개방 구조물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개방 구조물의 상부에 배치된 체크 밸브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을 설명할때 보조적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 장치(100)는 공랭식의 냉각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를 장착한 배터리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배터리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120)가 배치된다.
공기 유입구(120)는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에 공기가 부족할 경우 전기 자동차 안에 잔존하는 공기 또는 외부로터 유입된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로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에 공기가 꽉찬 경우에는 공기를 주입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130)이 배치된다.
이러한 개방 구조물(130)은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와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터리 케이스(110) 내의 데워진 공기를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구조물로서, 통상 공기 배출구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기 배출구와 다른 형태의 예로서, 개방 구조물(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방홀(131) 및 제2 개방홀(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홀(131)은 전기 자동차가 주행시, 전기 자동차의 속력에 의해 발생된 유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갖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방홀(131)의 하부 위치는 배터리 케이스(110)의 하부와 동일 높이를 가지거나, 내부로 더 들어가 배터리 케이스(110)의 하부보다 더 다소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방홀(132)은 제1 개방홀(131)의 중/상단을 이루는 구조로서 제1 개방홀(131)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방홀(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개방홀(131)의 단면 폭(B)보다 단면 폭(A)이 더 큰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폭(A)을 갖는 이유는 전기 자동차의 하부 압력이 높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속도와 유동의 점성에 의한 유도 배출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제2 개방홀(132)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제1 개방홀(131)보다 기울어진 형태(예: 도 3 및 도 4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짐)로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방홀(132)의 상부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체크 밸브(140)가 배치된다.
이런 구조을 갖는 개방 구조물(130)은 배터리 케이스(110)의 하부에서 본딩, 볼링 및 끼움식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배터리 케이스(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처럼, 개방 구조물(130)이 차량 하부에 배치되면, 차량 주행시 차량 하부에서 발생된 유속으로 인해, 전술한 개방 구조물(130) 내부의 공기가 유속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오픈)됨으로써, 유속과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합쳐져 차량의 하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 공기는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가 압력이 높다는 것은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 온도 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 공기와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짐을 체크 밸브(140)가 자동 감지하면, 체크 밸브(140)는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정화된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 공기와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에 의해 자동 오픈(자동 개방)될 수 있다.
자동 오픈된 체크 밸브(140)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체크 밸브(140) 및 개방 구조물(130)를 통해 유속에 실려 차량의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크 밸브(140)의 자동 개방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에 더워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터리 성능 저하없이도 고전압 배터리의 자연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배터리 케이스(110)의 상부에 배치된 공기 유입구(120)는 배터리 케이스(110)로부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차가운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로 자동 주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를 통해 배터리 케이스(110) 내의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배터리 케이스(110) 내의 적정 온도 유지는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 공기가 압력이 이전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방된 체크 밸브(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141)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시킬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케이스(110)의 내부의 공기가 개방 구조물(130)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지거나 동일한 경우에 발생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체크 밸브(140)의 자동 개폐 또는 체크 밸브(140)와 공기 주입구(120)의 자동 개폐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에 대한 자연 냉각을 실현시킬 수 있었다.
<강제 냉각과 자연 냉각의 혼합 예>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냉각을 위한 배터리 냉각 장치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배터리 냉각 장치에 구비된 스크린 도어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 장치(200)는 배터리 케이스(210), 공기 유입구(220), 개방 구조물(230), 스크린 도어부(240) 및 제어기(250)를 포함한다.
배터리 케이스(210)는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210)는 전기 자동차의 하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2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220)가 배치된다.
공기 유입구(220)는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에 공기가 부족할 경우 전기 자동차안에 잔존하는 공기(예: 하부 유동시 상온의 공기) 또는 외부로터 유입된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에 공기가 꽉찬 경우에는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로 주입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2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230)이 배치된다.
이러한 개방 구조물(230)은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강제적 및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개구부의 구조물로서, 통상 배터리 케이스(210)의 하부에 배치된 공기 배출구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1에서 설명한 제1 개방홀 및 제2 개방홀을 구비한 개방 구조물일 수도 있다.
스크린 도어부(240)는 개방 구조물(230)에 인접하여 배터리 케이스(2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부(240)는 모터(241)와, 상기 모터(241)에 의해 좌우로 작동되는 스크린(242) 및 상기 스크린(242)의 하부에 배치된 디플렉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243)는 전기 자동차가 주행시 유속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바람막이 블럭을 지칭할 수 있다.
제어기(250)는 예컨대 겨울철/극한 지역에서 차량 운행 초기에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온도가 저하될 경우, 저하된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공기는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기(250)는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제어기(250)의 판단 결과, 작다고 판단되면, 제어기(250)는 도 7에서와 같이 스크린 도어부(240)에 구비된 모터(241)를 작동시켜 스크린 도어부(240)로부터 배출된 스크린(242)을 통해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250)는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스크린 도어부(240)에 구비된 모터(241)를 작동시킨다.
이런 다음, 모터(241)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 도어부(240)에 구비된 스크린(242)이 좌로 이동됨으로써,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스크린(242)이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면,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이런 와중에도, 전기 자동차의 주행시에 발생된 유동풍이 불어와도 모터(241)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242)이 움직이지 않고 개방 구조물(23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250)는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스크린 도어부(240)에 구비된 모터(241)의 작동을 오프(중지)시킬 수 있다.
모터(241)의 작동이 중지되면,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의 하부에 있던 스크린(232)이 고정된 힘을 잃게 된다.
이런 경우, 유동풍(유속)이 디플렉터(243)에 압력(저항)을 계속하여 가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플렉터(243)는 도 7에서와 같이 유동풍에 밀려 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크린(242)도 함께 우로 이동됨으로써, 스크린(242)이 본래 위치로 회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모터(241)가 동작되지 않은 자연 냉각과 스크린 도어부(240)의 움직임에 의한 강제 냉각이 혼합되어 실현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210) 내의 적절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였다.
이로써, 기존의 강제 냉각에 비하여 원가 절감과 차량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냉가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강제 냉각과 자연 냉각의 다른 혼합 예>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과 다른 형태의 배터리 냉각 장치의 일례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배터리 냉각 장치에 구비된 스크린 도어부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개방 구조물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5 및 도 9와 도 10은 도 8을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인용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 장치(300)는 공랭식의 자연 냉각과 강제 냉각을 통해 배터리 케이스 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310), 공기 유입구(320), 개방 구조물(330), 체크 밸브(340), 스크린 도어부(350) 및 제어기(36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310)는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전압 배터리(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 케이스(310)는 전기 자동차의 하부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310)의 상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320)가 배치된다.
공기 유입구(320)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공기가 부족할 경우 전기 자동차 안에 잔존하는 공기(예: 하부 유동시 상온의 공기) 또는 외부로터 유입된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공기가 꽉찬 경우에는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로 주입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330)이 배치된다.
이러한 개방 구조물(330)은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낮을 경우 강제적 및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개구부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러한 개방 구조물(330)은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공기와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터리 케이스(310) 내의 데워진 공기를 자연적으로 배출시키는 구조물로서, 통상 공기 배출구와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방 구조물(330)은 제1 개방홀(331) 및 제2 개방홀(3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방홀(331)은 전기 자동차가 주행시, 전기 자동차의 속력에 의해 발생된 유속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소정의 크기의 갖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개방홀(331)의 하부 위치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와 동일 높이를 가지거나, 내부로 더 들어가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보다 더 다소 높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개방홀(332)은 제1 개방홀(331)의 중/상단을 이루는 구조로서 제1 개방홀(331)에 연장되어 제1 개방홀(331)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방홀(332)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개방홀(331)의 단면 폭(B)보다 제2 개방홀(332)의 단면 폭(A)이 더 큰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단면 폭(A)을 갖는 이유는 전기 자동차의 하부 압력이 높게 형성되므로 차량의 속도와 유동의 점성에 의한 유도 배출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제2 개방홀(332)은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제1 개방홀(331)보다 기울어진 형태(예: 도 8 및 도 10에서 좌측으로 기울어짐)로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방홀(332)의 상부에는 도 8 및 도 10에서와 같이 체크 밸브(340)가 배치된다.
이런 구조을 갖는 개방 구조물(330)은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에서 본딩, 볼링 및 끼움식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해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처럼, 개방 구조물(330)이 차량 하부에 배치되면, 차량 주행시 차량 하부에서 발생된 유속으로 인해, 전술한 개방 구조물(330) 내부의 공기가 유속과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오픈)됨으로써, 유속과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합쳐져 차량의 하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존재할 수 있다.
반면,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 공기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압력이 높다는 것은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 온도 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 공기와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짐을 체크 밸브(340)가 자동 감지하면, 체크 밸브(340)는 전기 자동차 주행시 유속에 의해 정화된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 공기와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에 의해 자동 오픈(자동 개방)될 수 있다.
자동 오픈된 체크 밸브(340)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체크 밸브(340) 및 개방 구조물(330)를 통해 유속에 실려 차량의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크 밸브(340)의 자동 개방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더워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터리 성능 저하없이도 고전압 배터리의 자연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배터리 케이스(310)의 상부에 배치된 공기 유입구(320)는 배터리 케이스(310)로부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차가운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로 자동 주입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를 통해 배터리 케이스(310) 내의 적정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배터리 케이스(310) 내의 적정 온도 유지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압력이 이전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경우, 개방된 체크 밸브(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341)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시킬 수 있다.
이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의 공기가 개방 구조물(330)의 내부 공기에 비하여 압력이 낮아지거나 동일한 경우에 발생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체크 밸브(340)의 자동 개폐 또는 체크 밸브(340)와 공기 주입구(320)의 자동 개폐를 통해 고전압 배터리에 대한 자연 냉각을 실현시킬 수 있었다.
여기서, 겨울철/극한 지역에서 차량 운행 초기에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온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경우(이로 인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됨)가 발생할 수 있다.이런 경우는 배터리 케이스(310) 내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도어부(350) 및 제어기(360)를 더 활용할 수 있다.
스크린 도어부(350)는 개방 구조물(330)에 인접하여 배터리 케이스(3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도어부(350)는 모터(351)와, 상기 모터(351)에 의해 좌우로 작동되는 스크린(352) 및 상기 스크린(352)의 하부에 배치된 디플렉터(3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플렉터(353)는 전기 자동차가 주행시 유속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바람막이 블럭을 지칭할 수 있다.
제어기(360)는 예컨대 겨울철/극한 지역에서 차량 운행 초기에 배터리 케이스(210)의 내부 온도가 저하될 경우, 저하된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는 온도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되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기(360)는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의 온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제어기(360)의 판단 결과, 작다고 판단되면, 제어기(360)는 도 9에서와 같이 스크린 도어부(350)에 구비된 모터(351)를 작동시켜 스크린 도어부(350)로부터 배출된 스크린(352)을 통해 개방 구조물(3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기(360)는 도 9에서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다고 판단하면, 스크린 도어부(350)에 구비된 모터(351)를 작동시킨다.
이런 다음, 모터(351)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 도어부(350)에 구비된 스크린(352)이 좌로 이동됨으로써, 개방 구조물(2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스크린(352)이 개방 구조물(330)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개방 구조물(33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이런 와중에도, 전기 자동차의 주행시에 발생된 유동풍이 불어와도 모터(351)의 작동에 의해 스크린(352)이 움직이지 않고 개방 구조물(330)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기(360)는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스크린 도어부(350)에 구비된 모터(341)의 작동을 오프(중지)시킬 수 있다.
모터(351)의 작동이 중지되면, 개방 구조물(330)의 개구부의 하부에 있던 스크린(352)이 고정된 힘을 잃게된다.
이런 경우, 유동풍(유속)이 디플렉터(353)에 압력(저항)을 계속하여 가하고 있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디플렉터(353)는 도 9에서와 같이 유동풍에 밀려 우로 이동됨과 동시에 스크린(242)도 함께 우로 이동됨으로써, 스크린(352)이 본래 위치로 회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모터(351)가 동작되지 않은 자연 냉각과 스크린 도어부(350)의 움직임에 의한 강제 냉각이 혼합되어 실현됨으로써, 배터리 케이스(310) 내의 적절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스크린(352)이 본래 위치로 회귀되면, 전술한 체크 밸브(340)에 의한 자연 냉각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전술한 자연 냉각이 이루어진후, 공기 유입구(320)는 스크린(352)이 회귀될때 자동 오픈에 의해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 공기가 체크 밸브(340)를 통해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전기 자동차 내부 또는 외부의 공기를 배터리 케이스(310)의 내부로 주입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200,300 : 배터리 냉각 장치 110,210,310 : 배터리 케이스
120,220,230 : 공기 유입구 130,230,330 : 개방 구조물
131,331 : 제1 개방홀 132,331 : 제2 개방홀
140,340 : 체크 밸브 240,350 : 스크린 도어부
241,351 : 모터 242,352 : 스크린
243,353 : 디플렉터

Claims (21)

  1.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및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개방 구조물의 내부 공기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에 의해 자동 오픈되는 체크 밸브
    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내부 공기가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하는 공기 유입구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조물은,
    제1 개방홀; 및
    상기 제1 개방홀의 단면 폭보다 중상단의 단면 폭이 더 큰 구조를 갖는 제2 개방홀
    을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홀은,
    상기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개방홀보다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배터리 냉각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2 개방홀의 상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
  8.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상기 개방 구조물에 인접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스크린 도어부;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을 경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스크린 도어부로부터 배출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개방 구조물의 개구부를 폐쇄시키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도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장착된 바람막이용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큼을 감지할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오프시켜 유동풍이 상기 디플렉터에 압력을 가하도록 유도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압력에 의해 밀려 상기 스크린을 자동 회귀시키는 배터리 냉각 장치.
  12. 배터리 케이스;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방 구조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클 경우, 차량 주행시 유속에 의해 발생된 상기 개방 구조물의 내부 공기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간 압력차를 통해 자동 오픈되는 체크 밸브;
    상기 개방 구조물에 인접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된 스크린 도어부; 및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스크린 도어부로부터 배출된 스크린을 통해 상기 개방 구조물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내부 공기가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하는 공기 유입구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되어 상기 압력차가 낮아질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폐쇄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구조물은,
    상기 유속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 개방홀; 및 상기 제1 개방홀의 중상단을 이루는 제2 개방홀
    을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홀은,
    상기 유속의 방향으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개방홀보다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 배터리 냉각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2 개방홀의 상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도어부는,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장착된 바람막이용 디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기준 온도보다 클을 감지할 경우, 모터의 작동을 오프시켜 유동풍이 상기 디플렉터에 압력을 가하도록 유도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압력에 의해 밀려 상기 스크린을 자동 회귀시키는 배터리 냉각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는,
    상기 스크린이 회귀될때 상기 자동 오픈에 의해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상기 체크 밸브를 통해 배출될 경우 배출된 내부 공기만큼 차량내의 공기를 상기 배터리 케이스의 내부로 주입하는 배터리 냉각 장치.
KR1020150133186A 2015-09-21 2015-09-21 배터리 냉각 장치 KR101704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86A KR101704571B1 (ko) 2015-09-21 2015-09-21 배터리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3186A KR101704571B1 (ko) 2015-09-21 2015-09-21 배터리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571B1 true KR101704571B1 (ko) 2017-02-08

Family

ID=581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86A KR101704571B1 (ko) 2015-09-21 2015-09-21 배터리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5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115A (ja) * 1997-12-10 1999-07-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および冷却方法
JP2005090510A (ja) * 2003-09-12 200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ダイヤフラムエアーポンプ
KR20110048978A (ko) * 2009-11-04 201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의 작동온도 유지 장치
JP2012214077A (ja) * 2011-03-31 2012-11-0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115A (ja) * 1997-12-10 1999-07-02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冷却構造および冷却方法
JP2005090510A (ja) * 2003-09-12 2005-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ダイヤフラムエアーポンプ
KR20110048978A (ko) * 2009-11-04 201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의 작동온도 유지 장치
JP2012214077A (ja) * 2011-03-31 2012-11-08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冷却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8176B2 (en) Battery pack thermal management
US8752660B2 (en) Cooling structure for vehicles
CN101789518B (zh) 动力电池箱换热结构
CN206490469U (zh) 具有热量回收功能的充电机柜
KR10213775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CN104284794A (zh) 热源冷却装置
KR101219820B1 (ko) 차량의 배터리 냉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151933A (ko) 자동차용 냉각 장치
CN105846010A (zh) 一种锂离子电池包散热系统及其散热方法
KR101704571B1 (ko) 배터리 냉각 장치
KR20090091942A (ko) 배터리 냉각ㆍ가온 장치
CN102442202A (zh) 车辆的充电器及电池冷却构造
KR1010547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의 작동온도 유지 장치
CN206374554U (zh) 电动汽车增程散热系统及电动汽车
KR102182556B1 (ko) 배터리 및 전력변환장치를 위한 공냉식 열관리 시스템
KR20120059733A (ko) 공조장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냉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법
KR20110092921A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장치
CN102923146B (zh) 机车辅助滤波柜冷却系统
KR100474050B1 (ko) 공기조화기
KR10259938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시스템 냉각 구조
KR20200047038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KR101738015B1 (ko) 전기 자동차의 공기 유동 제어를 이용한 난방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96112A (ja) 車両の前部構造
CN219627186U (zh) 一种通风散热机构及高压配电柜装置
CN108736332A (zh) 户外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