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4498B1 -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4498B1
KR101704498B1 KR1020160029137A KR20160029137A KR101704498B1 KR 101704498 B1 KR101704498 B1 KR 101704498B1 KR 1020160029137 A KR1020160029137 A KR 1020160029137A KR 20160029137 A KR20160029137 A KR 20160029137A KR 101704498 B1 KR101704498 B1 KR 10170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s
frame
group
belo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규
김희승
김인수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6002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498B1/ko
Priority to US15/191,746 priority patent/US10054759B2/en
Priority to CN201620775935.1U priority patent/CN205880330U/zh
Priority to PCT/KR2017/001369 priority patent/WO2017155214A1/ko
Priority to DE112017001227.9T priority patent/DE112017001227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6Swinging lens about normal to the optical axis
    • H04N5/2326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코일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 중 3개의 볼은 나머지 볼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APPARATUS FOR AUTO FOCUS WITH 3 LOCATION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광학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한 볼의 지지 구조를 개선시킨 3위치 지지구조이 자동초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처리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영상 촬영 등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높아짐에 따라, 독립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 등에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 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다.
오토포커스(자동초점조절) 기능은 렌즈 또는 렌즈가 구비된 조립체를 광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렌즈 후단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CMOS, CCD 등)에 선명한 이미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AF캐리어(또는 이동체)에 마그네트(영구자석)을 설치하며 고정체(하우징, 또는 다른 형태의 캐리어 등)에 코일을 설치하고, 코일에 적절한 크기로 코일에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코일(고정체에 구비됨)과 마그네트(이동체에 구비됨)에 전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AF와 OIS 기능이 통합된 형태의 장치 내지 액추에이터가 이용되고 있는데, 이 경우 렌즈가 탑재되는 OIS캐리어(또는 프레임, 렌즈조립체 등)를 상기 AF 캐리어 내부에서 광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상술된 AF 구조와 함께 통합적으로 구현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AF캐리어에 렌즈가 탑재되고 AF캐리어 외부에 구비된 OIS캐리어가 광축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도 존재한다.
한편, AF 단독 기능만이 구현된 장치 또는 AF와 OIS 기능이 함께 구현된 종래 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AF캐리어(500)의 거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AF캐리어(이동체)(500)와 하우징(고정체)(미도시) 사이에 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된 볼들(510-1, 510-2)을 개재하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동체와 고정체 사이의 적절한 이격 거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볼의 회전 운동 및 볼과의 점접촉(point contact)을 통하여 마찰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AF캐리어가 더욱 유연하고 정확하게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는 크기(직경)(d1 내지 d6)가 모두 동일한 복수 개의 볼(b1 내지 b6)들을 사용하거나 또는 동일한 크기를 가지되 다른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4개의 볼을 외측에 배치하고 이 4개의 볼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이론적으로는 모든 볼들(또는 4개의 볼들)에 대한 점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져 구동이 이루어져도 AF캐리어의 수평 방향이 유지된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로는 그러하지 않아 AF캐리어의 수평 방향 틸트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이유로 우선, 볼들의 크기가 물리적으로 완벽하게 일치시킬 수 없어 이상적인(ideal) 동일성을 구현할 수 없고, 하나의 단일 객체가 아니 서로 독립된 복수 개의 객체들이 복합적으로 접촉되는 구조이므로 물리적인 이격 공간이 발생하여 이에 따른 틸트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AF캐리어는 특정 위치에 항시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광축 방향으로의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므로 차등적인 크기의 정지마찰력과 운동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차등적인 마찰력에 의해서 유격이 발생하게 되므로 실제로는 모든 볼들에 대한 점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어 이러한 이유에서도 AF캐리어의 틸트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AF캐리어의 마그네트와 고정체에 구비된 요크 사이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하여 AF캐리어의 일측이 볼에 밀착되도록 하더라도 AF캐리어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볼과 밀착되는 일측의 반대편으로 갈수록 즉, 연장된 정도가 길수록 더 많은 중력을 영향을 받는다는 것도 모든 볼의 점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요인이 되며, 상술된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 AF캐리어의 틸트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술된 문제에 대한 고찰없이 단순히 복수 개의 볼을 배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상술된 이유 등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장치는 AF캐리어(500)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AF캐리어와 점접촉되는 볼들이 수시로 변경되고 점접촉되는 볼들의 이러한 수시적 변경은 AF캐리어(500)의 평형성을 와해시키므로 결국 AF캐리어(500)의 틸트(tilt) 불량(θ1 및 θ2)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틸트 불량은 렌즈를 통하여 이미지 센서(600)로 유입되는 광 경로를 최대 이격 각도만큼(θ=θ1+θ2) 변형시키게 되므로 그만큼의 초점 조정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선명한 이미지 생성에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 등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경량화 내지 슬림화에 따른 구조로 구현되는데, 이와 같이 슬림화되는 경우 AF캐리어의 두께 대비 너비의 비율이 더 커지게 되므로 상술된 AF캐리어의 틸트 문제는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AF 구동을 위한 이동체와 고정체가 3개의 볼에 의하여 상호 물리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접점의 변화, 이탈, 이격 등의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더욱 신뢰도 높은 자동초점 조절장치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코일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 중 3개의 볼은 나머지 볼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나머지 볼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3개의 볼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 개의 볼은, 상기 광축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제1볼그룹; 및 상기 제1볼그룹과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광축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m(m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제2볼그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볼그룹 또는 제2볼그룹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한 2개의 볼은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며, 다른 한 그룹에 속한 1개의 볼은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과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구현을 위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제1프레임은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가이드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딩홈부와 각각 대면하는 제1 및 제2수용홈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볼그룹은 상기 제1가이딩홈부와 제1수용홈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볼그룹은 상기 제2가이딩홈부와 제2수용홈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및 제2볼그룹은 홀수 개의 볼로 이루어지어질 수 있으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 중 양 끝단에 위치하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 중 양 끝단에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가이드홈부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이드홈부 중 어느 하나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은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홈부 중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홈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AF를 위한 프레임(AF캐리어)이 3개의 볼에서만 점접촉(point contact)을 이루도록 하여 프레임의 점접촉을 완벽하게 지속시킬 수 있으므로 AF캐리어(프레임)의 틸트 불량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AF프레임(AF캐리어 등)이 자동초점조절을 위하여 광축 방향으로 이동 또는 정지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볼과의 이격이나 유격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수평성을 항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초점 조절 기능을 더욱 높은 신뢰도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의 슬림화 및 화질의 고화소화에 의하여 AF캐리어의 작은 틸트 변화에도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근래 제품 및 기술 트렌드에 더욱 최적화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 AF구동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AF구동에서 발생되는 틸트 불량을 도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결합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볼들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이하 ‘자동초점 조절장치’라 지칭한다)(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렌즈가 탑재되는 AF캐리어를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진퇴(forward or backward)이동시킴으로써,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정확히 일치시켜 피사체에 대한 더욱 선명한 영상이 생성되도록 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실시형태에 따라 본 발명은 이러한 AF기능만이 구현되는 장치는 물론, AF기능과 OIS 기능이 통합적으로 적용되는 장치 모두에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결합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초점 조절장치(100)는 제1프레임(110), 제2프레임(120) 및 복수 개의 볼(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10)은 마그네트(111)가 구비되며 이 마그네트(111)의 후면으로는 자력의 집중을 위한 백요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제1프레임(110)은 AF구동의 이동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앞서 설명된 AF캐리어에 해당한다.
AF기능만이 단독으로 구현되는 장치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110)에 렌즈(미도시)가 탑재되어 제1프레임(110)과 그 물리적 이동을 함께 하게 되므로 제1프레임(11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렌즈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을 통하여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가 조정됨으로써 자동 초점 기능이 구현된다.
AF기능과 OIS 기능이 통합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프레임(110)에, 광축 방향(Z)과 수직을 이루는 X,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OIS 구동을 위한 OIS프레임(캐리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 렌즈(또는 렌즈조립체)는 OIS 프레임(미도시)에 탑재되며 제1프레임(110)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OIS 프레임도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에 따라 렌즈 또한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 떨림 보정을 위한 OIS 구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OIS 프레임은 제1프레임 상부에서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손 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2프레임(120)은 제1프레임(110)에 상응하는 구성으로서, 제1프레임(110)이 AF구동에 대한 이동체라면 상대적인 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120)은 고정체에 해당한다.
상기 제2프레임(120)은 AF코일(121), FPCB(123), 드라이브 칩(125) 및 홀센서(12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AF코일(121)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크기와 방향에 상응하는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마그네트(111)가 구비된 제1프레임(11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홀센서(127)은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마그네트(111)의 위치(제1프레임의 위치 즉, 렌즈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본 발명의 드라이브 칩(125)으로 전달하며, 드라이브 칩(125)은 입력된 홀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적절한 크기와 방향의 전원이 AF코일(121) 측으로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렌즈의 정확한 위치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자동초점 기능이 구현된다. 상기 AF코일(121), 드라이브 칩(125) 및 홀센서(127)는 외부 모듈, 전원부, 장치 등과 연결되는 FPCB(123) 상에 탑재된다.
제2프레임(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서브프레임(120-1)과 제2메인프레임(120-2)로 이원화될 수 있음은 물론, 단일화된 하나의 객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제2서브프레임(120-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볼(130)이 위치하는데, 이 복수 개의 볼(130)에 의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은 볼의 직경에 대응되는 만큼의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볼의 매개하여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제1프레임(120)에는 제1프레임(110)에 구비된 마그네트(111)과 인력을 발생시키는 요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볼(130)이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 모두와 점접촉이 되도록 설계한다고 하여도 이상적인 경우가 아닌 한 4 위치 이상에서 동시에 점접촉이 이루어질 수 없고 3위치에서 점접촉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지는 접점의 변화가 수시로 발생하고 이러한 수시적인 접점 변화는 바로 제1프레임(110)의 틸트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사상으로서 상기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 사이에 복수 개의 볼(130)을 배치하되, 이 복수 개의 볼(130) 중 3개의 볼만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나머지 볼보다 큰 크기(직경)을 가지는 볼을 3개로 구현하는 경우, 3개의 볼에서 이루어지는 점접촉은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점접촉되는 볼이 수시로 변경되어 발생되는 이격, 유격 등에 의한 틸트 형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게 된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3개의 볼과 나머지 볼과의 크기 관계는 실시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상대적으로 큰 크기(직경)를 가지는 3개의 볼을 나머지 볼과 대비하여 너무 크게 구성하는 경우 볼들 상호간의 접촉에 의한 볼의 회전 운동에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볼들의 회전 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크기 관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큰 크기를 가지는 볼은 작은 볼과 대비하여 105%~120%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볼의 절대적인 크기 자체는 장치의 크기 등과 관련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머지 볼보다 크기가 큰 3개의 볼(이하 ‘대직경 볼’이라 지칭한다) 각각의 개별 크기와 위치에 상응하도록 대직경 볼과 대접하는 제1프레임(110)부분의 형상이나 모양, 단차 등을 조정하면 제1프레임(110) 자체의 수평성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대직경 볼이 모두 동일한 크기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나, 제품 구현을 더욱 간단하고 정밀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대직경 볼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대직경 볼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나머지 볼(이하 소직경 볼이라 지칭한다) 또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필요성은 없으나 볼의 회전 운동, 인접한 볼과의 접촉성 등에 대한 구동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프레임(110)과 제2프레임(12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프레임(110)은 광축 방향을 따라 진퇴 이동하므로 이러한 광축 방향 이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딩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볼(130)은 광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점접촉에 의한 제1프레임(110)의 물리적 지지가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볼(130)은 광축 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n개의 볼로 이루어지는 제1볼그룹(131-1)과 상기 제1볼그룹(131-1)과는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광축 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m개의 볼로 이루어진 제2볼그룹(131-2)로 이원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과 m은 3 이상의 자연수이며, n과 m은 동일한 수 또는 다른 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1볼그룹(131-1)에 속한 2개의 볼은 제1볼그룹(131-1)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하며, 제2볼그룹(131-2)에 속한 1개의 볼은 제2볼그룹(131-2)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3위치 지지를 구현한다.
상응하는 관점에서 만약 제2볼그룹(131-2)에 속한 2개의 볼을 제2볼그룹(131-2)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경우, 제1볼그룹(131-1)에 속한 1개의 볼을 제1볼그룹(131-1)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제1볼그룹(131-1) 또는 제2볼그룹(131-2)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한 2개의 볼이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그룹에 속한 1개의 볼이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3개의 볼에 의한 3위치 지지가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과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볼(130)들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하고 제1프레임(110)의 광축 방향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가이딩하기 위하여 상기 제1프레임(110)에는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부(1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가이드홈부(113)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도 4 기준 좌측에 위치한 제1가이드홈부(113-1)과 우측에 위치한 제2가이드홈부(113-2)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레임(110)의 가이드홈부(113)의 구조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2프레임(120)에는 수용홈부(126)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제1가이드홈부(113-1)에 대응되는 제1수용홈부(126-1)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제2가이드홈부(113-2)에 대응되는 즉, 제2가이드홈부(113-2)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수용홈부(126-2)로 이원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설명된 제1볼그룹(131-1)은 상기 제1가이딩홈부(113-1)와 제1수용홈부(126-1) 사이에 일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제2볼그룹(131-2)는 상기 제2가이딩홈부(113-2)와 제2수용홈부(126-2) 사이에 일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볼(130)은 인접한 다른 볼과 점접촉하여 회전하게 되므로 직경이 큰 볼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1볼그룹(131-1) 및 제2볼그룹(131-2)에 속한 볼들은 홀수 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그룹(130-1)에 속한 볼 중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D1, D3)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B1, B3)은 제1볼그룹(130-1) 중 양 끝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볼그룹(130-2)에 속한 볼 중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D5)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B5)는 제2볼그룹(130-2) 중 양 끝단이 아닌 위치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 가운데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물리적 지지를 지지 영역이 더욱 넓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5개의 볼이 각각 구비되는 경우라면 자신이 속한 그룹의 나머지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2개의 볼은 5개 중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나 평행적 지지가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대칭되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가운데에서 멀리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응되는 관점에서 자신이 속한 그룹의 나머지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1개의 볼은 해당 볼그룹 중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무방하나 평행적 지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가능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가이드홈부(113-1) 또는 제2가이드홈부(113-2)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홈부는 그 단면 형상이 “V”자 형상이 되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의 가이드홈부는 그 단면 형상이 “U”자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가이드홈부가 서로 다른 형상적 특징을 가지는 경우 볼과의 접촉 부위 및 회전 특성 등을 서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프레임(110)의 구동 특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볼그룹 또는 제2볼그룹 중 자신이 속한 다른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2개의 볼이 포함된 볼그룹은 제1가이드홈부(113-1) 또는 제2가이드홈부(113-2) 중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홈부에 구비되도록 하여 볼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여 제1프레임(110)의 틸트 특성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홈부가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술된 볼(130)은 V자 형상의 가이드홈부와 2점 (two-point)에서 점접촉하게 되며, 볼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가이드 벽부가 구비되며 바닥면이 평면이 되는 형태로 가이드홈부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3점(three-point)에서 점접촉하게 된다.
볼이 이탈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이 존재한다면 볼과 대접하는 제1프레임(110) 및 제2프레임(120)의 부분은 평면으로 구현하여도 되므로 이 경우에는 볼(130)은 1점(one-point)에서 제1프레임(110) 또는 제2프레임(120) 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1프레임(110)에 제1 및 제2가이드홈부(113-1, 113-2)가 구비되어 볼 이탈이 방지되는 구성이 갖추어지는 경우, 제2프레임(120)에 수용홈부(126)가 구현되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관점에서 제2프레임(120)에 제1 및 제2수용홈부(126-1, 126-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제1프레임(110)에는 가이드홈부(113)가 구현되지 않아도 무방할 수 있으며 또한, 제1프레임(110)에 제1가이드홈부(113-1)가, 제2프레임에는 제2수용홈부(126-2)만 구비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동초점 조절장치
110 : 제1프레임 111 : 마그네트
113 : 가이드홈부
113-1 : 제1가이드홈부 113-2 : 제2가이드홈부
120 : 제2프레임
120-1 : 제2서브프레임 120-2 : 제2메인프레임
121 : 코일 123 : FPCB
125 : 드라이브 칩 126 : 수용홈부
126-1 : 제1수용홈부 126-2 : 제2수용홈부
127 : 홀센서 130 : 볼
130-1 : 제1볼그룹 130-2 : 제2볼그룹

Claims (9)

  1.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AF코일이 구비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볼은,
    상기 광축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n(n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제1볼그룹; 및
    상기 제1볼그룹과 다른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광축방향을 따라 함께 배열되는 m(m은 3이상의 자연수)개의 볼로 이루어진 제2볼그룹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볼그룹 또는 제2볼그룹 중 어느 한 그룹에 속한 2개의 볼은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크며, 다른 한 그룹에 속한 1개의 볼은 동일 그룹에 속한 나머지 볼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및 제2가이드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홈부와 각각 대면하는 제1 및 제2수용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볼그룹은 상기 제1가이드홈부와 제1수용홈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볼그룹은 상기 제2가이드홈부와 제2수용홈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과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볼그룹은,
    홀수 개의 볼로 이루어지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 중 양 끝단에 위치한 볼이며,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1개의 볼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 중 양 끝단에 위치하지 않은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홈부 및 상기 제2가이드홈부는,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상기 제2가이드홈부 중 어느 하나는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나머지 하나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자신의 그룹에 속한 볼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상기 2개의 볼은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홈부 중 V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가이드홈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20160029137A 2016-03-10 2016-03-10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1704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137A KR101704498B1 (ko) 2016-03-10 2016-03-10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US15/191,746 US10054759B2 (en) 2016-03-10 2016-06-24 Apparatus for auto focus with three-location supporting structure
CN201620775935.1U CN205880330U (zh) 2016-03-10 2016-07-21 具有三位置支承结构的自动对焦装置
PCT/KR2017/001369 WO2017155214A1 (ko) 2016-03-10 2017-02-08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DE112017001227.9T DE112017001227B4 (de) 2016-03-10 2017-02-08 Vorrichtung für einen Autofokus mit einer Drei-Positionen-Haltestruktu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137A KR101704498B1 (ko) 2016-03-10 2016-03-10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498B1 true KR101704498B1 (ko) 2017-02-09

Family

ID=5769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137A KR101704498B1 (ko) 2016-03-10 2016-03-10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54759B2 (ko)
KR (1) KR101704498B1 (ko)
CN (1) CN205880330U (ko)
DE (1) DE112017001227B4 (ko)
WO (1) WO201715521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39B1 (ko) * 2017-02-24 2017-08-28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자동 초점 조절장치
KR20180098463A (ko) * 2017-02-25 2018-09-0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90128279A (ko) * 2018-05-08 2019-11-18 자화전자(주)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00016625A (ko) * 2018-08-07 2020-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00035522A (ko) * 2018-09-27 2020-04-06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장치
KR20210010615A (ko) * 2018-08-07 2021-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20110156A (ko) * 2021-01-20 2022-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3272B1 (ko) * 2016-12-01 2018-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53135B1 (ko) * 2016-12-20 2019-02-28 자화전자(주) 비대칭 지지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WO2018229865A1 (ja) * 2017-06-13 2018-1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
CN110058377B (zh) * 2018-01-19 2024-04-09 新思考电机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摄像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562142B1 (ko) * 2018-08-09 2023-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85027B1 (ko) * 2018-08-16 2023-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794547B (zh) * 2019-08-31 2022-06-24 东莞睿恩科技有限公司 滚珠式音圈马达的透镜驱动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US11570345B2 (en) * 2020-09-25 2023-01-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126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50046824A (ko) * 2013-10-22 2015-05-04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104703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하이소닉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4827A (en) * 1997-05-16 2000-05-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tabilizer
JP2013134455A (ja) * 2011-12-27 2013-07-08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2015084003A (ja) * 2012-02-10 2015-04-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KR101940480B1 (ko) * 2012-06-28 2019-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60493B1 (ko) * 2012-12-12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조절장치
CN203133365U (zh) * 2013-01-14 2013-08-14 瑞声声学科技(苏州)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US9319574B2 (en) * 2013-06-10 2016-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lens assembly
KR102166329B1 (ko) * 2013-08-19 2020-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5991285B2 (ja) 2013-08-26 2016-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20160241787A1 (en) * 2013-09-27 2016-08-18 Sharp Kabushiki Kaisha Camera module
KR102255295B1 (ko) * 2014-07-24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507384B2 (ja) * 2015-10-14 2019-05-08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978946B1 (ko) * 2016-06-09 2019-05-15 자화전자(주) 자동초점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4126A (ko) * 2013-06-10 2014-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50046824A (ko) * 2013-10-22 2015-05-04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센서를 갖는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50104703A (ko) * 2014-03-06 2015-09-16 주식회사 하이소닉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1439B1 (ko) * 2017-02-24 2017-08-28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자동 초점 조절장치
KR102350710B1 (ko) * 2017-02-25 2022-01-1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80098463A (ko) * 2017-02-25 2018-09-04 자화전자(주)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90128279A (ko) * 2018-05-08 2019-11-18 자화전자(주)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102423363B1 (ko) * 2018-05-08 2022-07-21 자화전자(주) 줌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200016625A (ko) * 2018-08-07 2020-02-1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210010615A (ko) * 2018-08-07 2021-01-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086195B2 (en) 2018-08-07 2021-08-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207901B1 (ko) * 2018-08-07 2021-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27383B1 (ko) * 2018-08-07 2022-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726391B2 (en) 2018-08-07 2023-08-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20200035522A (ko) * 2018-09-27 2020-04-06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장치
KR102423685B1 (ko) 2018-09-27 2022-07-21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장치
KR20220110156A (ko) * 2021-01-20 2022-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42541B1 (ko) * 2021-01-20 2023-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214A1 (ko) 2017-09-14
CN205880330U (zh) 2017-01-11
US10054759B2 (en) 2018-08-21
DE112017001227T5 (de) 2018-12-20
DE112017001227B4 (de) 2020-06-04
US20170261720A1 (en)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498B1 (ko) 3위치 지지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1978946B1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1953135B1 (ko) 비대칭 지지 구조의 자동초점 조절장치
KR102400386B1 (ko) 줌렌즈용 구동장치
EP3115841B1 (en) Camera lens module
CN108508678B (zh) Ois摄像头模块及包括该ois摄像头模块的双摄像头系统
KR102179952B1 (ko) 광학조절장치
KR20180096073A (ko) 다축 구조의 ois용 반사계 구동장치
KR102316052B1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80120894A (ko) 다축 구조의 반사계 구동장치
KR20180098463A (ko) 줌렌즈용 자동초점 조절장치
US11333951B2 (en) Actuator for camera
US20200012170A1 (en) Camera module
EP3584624A1 (en) Reflection system driving device having multi-axis structure
KR20180037877A (ko) Ois를 위한 반사계 구동장치
KR20200043056A (ko) 다극 마그네트 구조가 장착된 액추에이터
KR102003282B1 (ko) 틸트 성능이 개선된 통합액추에이터
KR20210010033A (ko)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20180063404A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80015966A (ko) 줌렌즈용 액추에이터
KR102423685B1 (ko) 렌즈 구동장치
KR20180002433A (ko) 듀얼 액추에이터
KR20220106014A (ko) 반사계 액추에이터
KR20190027394A (ko) 비대칭 볼 구조를 이용한 광학용 액추에이터
KR20220157047A (ko) 연속 줌 액추에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