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940B1 -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940B1
KR101703940B1 KR1020160087818A KR20160087818A KR101703940B1 KR 101703940 B1 KR101703940 B1 KR 101703940B1 KR 1020160087818 A KR1020160087818 A KR 1020160087818A KR 20160087818 A KR20160087818 A KR 20160087818A KR 101703940 B1 KR101703940 B1 KR 10170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board
power
electric
oper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드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드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드카
Priority to KR102016008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9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2017/1463Foot or toe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14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2Radio waves emitting or receiving, e.g. remote control, RFI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52Direct actuation of steering of roller skate or skateboards, e.g. by a foot plate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board, and an electric board. A user placing one foot or two feet on the electric board operates the electric board by controlling a sensor provided to a foothold or a remote controller. Moreover, a gap between each electric board can be connected by a detachable belt of which the length is controlled when the electric boards are used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move a near distance or enjoy leisure sports while freely performing a foot motion.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unskilled control of the electric board or an unexpected situation.

Description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전동보드에 한발 또는 양발을 올려놓은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 조작을 통해 전동보드를 구동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전동보드를 구동하여 자유롭게 발동작을 수행하면서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거나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며, 한 쌍의 전동보드가 사용될 경우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한 벨트로 연결하여 전동보드의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user who places a pair of shoes or a pair of shoes on a power board drives a power board through a sensor operation of a foot plate or drives an electric boar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to move freely, If a pair of power boards is us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boards between the power boards with a length adjustable and detachable belt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insufficient operation of the power board or unexpected situation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최근 들어 레저 스포츠로 각광받고 있는 스케이트보드는 한발은 스케이트 발판 위에 위치시키고, 다른 한발은 지면에 위치하여 지면에 있는 발을 굴러 스케이트보드를 전진하게 한 후, 몸의 중심을 앞뒤로 움직여 전진 방향 운동력을 발생시키는 놀이기구이다.In recent years, a skateboard, which is popular for leisure sports, places a pair on the skateboard and the other pair is placed on the ground to roll the foot on the ground and move the skateboard forward. Then, moving the center of the body back and forth, It is a playground to generate.

하지만, 이와 같은 스케이트보드는 초보자의 경우 상당한 연습이 필요하고 운동량이 과다하기 때문에 스케이트보드의 활용도가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마니아층을 중심으로 이용되었다.However, such a skateboard requires a lot of practice for beginners, and since the exercise amount is excessive, the utilization of the skateboard has not been extended to various age groups, and was mainly used for the mania group.

또한, 스케이트보드는 언덕을 오르기가 어렵고, 속도가 느려 속도감과 스릴이 떨어졌으며, 별도의 제동장치가 없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 이용할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높았다.In addition, the skateboard is difficult to climb up the hill, slow speed, sense of speed and thrill has fallen, there is no separate braking device, the risk of accidents when using it on the way dow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케이트보드에 전동기능을 구비한 제품이 개발되어 마니아는 물론 초보자, 어린이, 노약자 등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recently, a product having a motor function has been developed on a skateboard so that novices, children, elderly people, and the like can easily use it.

그러나, 기존의 전동기능이 구비된 스케이트보드는 제품의 크기가 크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불편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동기능이 구비된 스케이트보드를 이용함에 있어서 본인의 의지대로 자유롭게 방향전환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existing skateboard having the electric function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large in size and heavy in weight. 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the skateboard having the electric function, the skateboard can freely change the dire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perform.

또한, 종래의 전동기능이 구비된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양발을 모두 스케이트보드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방법이 제한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conventional skateboard having a motorized function is a method in which a user puts both feet on a skateboard, the method of using the skateboard is limited and there is a limit in utilizing the skateboard in various ways.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동보드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 조작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구동하면서 자유로운 발동작을 통해 방향전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벨트로 연결함으로써,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거나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고, 전동보드의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board user can easily perform the direction change through the free motion operation while being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nsor provided on the foot plate o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when the electric board is placed on each of the electric boards, To connect with a belt, to enjoy a leisure sport,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inoperability of an electric board or an unexpected situation.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Next, a brief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ior arts that exist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matters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differentiate from the prior arts will be described.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170247호(2012.07.31.)는 양측에 구동바퀴가 장착되고 전, 후측에 보조바퀴가 장착된 보드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보드몸체의 양측에는 상기 구동바퀴와 연결된 발전 겸용 전동기를 장착하며, 상기 발전 겸용 전동기는 허리벨트에 결합된 배터리 및 콘트롤박스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콘트롤박스는 손으로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콘트롤러와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내리막이나 평지에서의 자가 추진력으로부터 발전기능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평지 또는 오르막에서는 충전된 배터리에 의해 전동기능을 수행하여 보드의 전동 추진력이 발생되게 하므로, 종래와 같은 놀이기구 및 근거리 이동 수단으로서 매우 합리적인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170247 (Jul. 31, 2012) has a board body on which driving wheels are mounted on both sides and auxiliary wheels are mount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nd on both sides of the board body, And the control box is connected to a controller that can be held by hand so that the electric power generated from the downward force or the self propulsion force in the flat ground Function to perform charging of the battery, and in the case of a flat or uphill, electric power is performed by the charged battery to generate an electric propulsion force of the board, so that it is very reasonable to use it as a riding device and a near- .

상기 선행기술은 전동기능과 발전기능을 갖는 발전 겸용 전동기에 의해 자동으로 주행이 가능하면서도 스스로 충전이 이루어지므로 동력의 생산과 저장 및 스케이트 보드의 전동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서, 콘트롤러의 조작을 통해 구동바퀴를 전동기능에 의해 동작하는 점에서 본 발명의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구동되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The prior art is capable of automatically running by a generator combined electric motor having a motorized function and a power generating function, and is capable of producing and storing power and electric propulsion of the skateboard because it is charged by itself. There is some similarity with the configuration driven by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at the wheel is operated by a motorized function.

하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 조작을 통해 전동보드를 구동하면서 자유로운 발동작을 통해 방향전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때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벨트로 연결하여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콘트롤러 조작을 통해 구동바퀴를 구동하는 기술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특징의 차이점이 분명하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direction change through the free motion while driving the electric bo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nsor provided on the foot plate. When the user puts a foot on each of the electric boards, It is clear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with the technology construction in which the driving wheel is driven through the controller operation of the prior art.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474587호(2014.10.01.)는 외발 슬레드에 관한 것으로, 모터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바퀴들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겨울철뿐만 아니라 사계절 내내 외발 썰매를 즐길 수 있는 전동 외발 슬레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Korean Utility Model No. 0474587 (Oct. 1, 2014) refers to a unidirectional sled, in which a motor is used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at least two wheels to enjoy sidewalks throughout the four seasons To provide a motorized outer sled.

상기 선행기술은 누구나 쉽게 우리의 전통놀이인 외발 썰매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형 감각을 극대화하고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가 양발을 올려놓고 전동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성과 일부 유사성이 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can maximally maximize the sense of balance and keep the body healthy as well as enjoying the outsourced sled, which is a traditional play, by anyone. Th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two feet There is some similarity with the configuration.

하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 조작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을 통해 전동보드를 구동하면서 자유로운 발동작을 통해 방향전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벨트로 연결하여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기술적 구성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선행기술의 전동기능으로 바퀴를 구동하는 구성과 비교해 볼 때 기술적 구성의 차이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direction change through the free motion operation while driving the electric bo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nsor provided on the foot plate o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nd can be placed on each of the electric boards one by on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ical arrangement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unexpected operation or unexpected situation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wheel is driven by the motor of the prior art, have.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566668호(2015.11.09.)는 보드형 일인용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30킬로그램 이상의 고중량이고 부피가 커서 휴대와 보관이 어려웠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크기가 소형이면서 무게가 경량으로 설계하여 휴대가 간편하게 설계되고, 다른 대중교통수단으로 환승하기에 편리하도록 설계한 보드형 일인용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No. 1566668 (Nov. 11, 2015) discloses a board-type single carri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oard-type single carriage device having a large size of 30 kg or more and having a large siz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ard-type single transportation apparatus designed to be compact in size and light in weight, designed to be portable, and designed to be easily transferred to other public transportation means.

상기 선행기술은 배낭이나 보드 자체에 구비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보드를 구동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배터리 전원에 의해 구동바퀴를 동작시키는 점에서 일부 유사성이 있다.The prior art drives the board using battery power provided in a backpack or a board itself, and there is some similarity in that the driving wheels are operated by the battery power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지만,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를 조작하여 전동보드를 동작하면서 자유로운 발동작을 통해 방향전환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고,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경우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벨트로 연결하여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기 선행기술에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은 본 발명만의 특징적 구성이다.However, when the user operates the electric power board by operating the sensors provided on the footres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direction change through the free motion, and when the electric power boards are placed one by one on each of the electric power boards,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unexpected operation or an unexpected situation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not mentioned in the prior art at 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동보드에 모터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바퀴와 에너지 소비 없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바퀴를 설치하고, 전동보드에 한발 또는 양발을 올려놓은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를 조작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전동보드를 구동함으로써, 자유롭게 발동작을 수행하면서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거나 레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riving wheel that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a motor and a caster wheel that can freely change direction according to a user's will, An electric board for allowing a user who puts a pair of shoes or a pair of shoes on a board to operate a sensor provided on a foot plate or to operate an electric board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the user can freely move a foot or enjoy leisure sport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때,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한 벨트를 포함한 다양한 연결수단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동보드의 조작 미숙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laces the power boards one by one on the power boards, the power boards can be connected by various connecting means including a belt capable of length adjustment and detachable attachmen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power bo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a safety accident due to a power failure.

또한, 본 발명은 전동보드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접속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토대로 전동보드의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eac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electric bo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for allowing a user to perform management such as battery charging state, running state, part replacement diagnosis, and the like on the basis of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by a us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는,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 및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이나 발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lectric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wheel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body; And a driving moto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wherein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ser or the position of the foot.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electric power boar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rive motor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drive motor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그리고 상기 바퀴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바퀴;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바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 may include: a driving wheel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A caster wheel capable of performing a direction change; Or a combina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발판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전동보드의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진 구동 중인 전동보드의 브레이킹 구동 또는 정지상태에서의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전동보드 구동 중 전동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의 풀림이나 감김, 또는 벨트해제를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wherein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of the electric boar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braking driving of the power board in forward driving or backward driving in the stopped state; And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releasing or winding a belt connecting between the electric boards during the electric board driving or for releasing the belt.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의 확인 및 저장, 전동보드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controls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confirms and stores battery charging / discharging status, running status of the power board, And comparing the use state of each component with pre-stored reference data to perform a component replacement diagnosis.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performs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ower board is connected to a battery charging state, And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agnosis of parts replacement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단일 개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양발이 동시에 올려져 사용되거나, 또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각각 전동 보드에 올려져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ic power board is composed of a single body, and both feet of the user are simultaneously raised or used, or a pair of the electric power boards is mounted on the electric power board.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때 상호 간에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벨트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when they are used as a pair, and the belt is adjustable in length and detachable.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면과 맞닿아 수동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adapted to perform a manual brake function by abutting against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는, 상기 몸체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사용자의 균형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handl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performing a balance maintenance function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 제어방법은, 하나의 전동보드에 양발을 올려놓거나 또는 한 쌍의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은 사용자의 무게중심의 이동이나 발의 위치에 따른 센서 동작을 토대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는 동작신호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함으로써, 전동보드의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power of a user by placing a pair of feet on one electric power board or placing a pair of feet on each of the pair of electric power boards, An operation signal checking step of check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braking or backward driving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And a driving step of driving the power board by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wheels.

그리고 상기 동작신호 확인 단계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 받은 수신데이터를 토대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checking the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braking or backward driving based on the reception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operation signal checking step.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 제어방법은, 배터리 충전 상태와 전동보드 운행 상태의 확인 및 메모리 저장을 수행하고, 전동보드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하는 상태정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board control method includes checking battery charging status, operating status of the power board, and memory storage, and comparing the usage status of each component of the power board with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And a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managing the status information.

그리고 상기 전동보드 제어방법은, 전동보드의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사용한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접속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of perform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or a combination thereof based on a reques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held by a user of the electric boar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harging status, operating status of the electric board, and diagnosis of component replacement based on a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모터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바퀴와 에너지 소비 없이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전동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를 조작하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레저 스포츠를 즐기면서 가까운 거리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 운동 및 놀이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바퀴의 단순화, 부피 및 무게의 감소를 통해 가볍고 작은 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ic power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 user who uses an electric power board in which a driving wheel driven according to a motor operation and a caster wheel capable of performing a switching operation without energy consumption is installed, Since it is operated by operating the provided sensors or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close distance while enjoying leisure sports without a great deal of force, maximize exercise and play in a narrow space, And weight redu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ight and small product.

또한, 사용자가 전동보드에 양발을 모두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또는 한 쌍의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식을 토대로 전동보드의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동보드 사용의 자율성이 높아지고, 사용자가 두발을 이용하는 경우 각 발마다 세심하고 자유롭게 발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작은 회전 반경으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나아갈 수 있으며, 중심을 잡는데 위치 에너지의 변화가 심하여 전신운동에 의한 운동효율이 매우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put both feet on the electric board or use the electric board one by one on each of the pair of electric boards, it is possible to use the electric board based on various methods, If you use a pair of feet, you can practice your movements carefully and freely on each foot. You can move forward with a small turning radius. have.

또한, 사용자가 한 쌍의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한 벨트를 포함한 다양한 연결수단을 통해 각각의 전동보드 사이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보드의 조작이 미숙하거나 갑작스러운 돌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일어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places a pair of power boards on each pair of power board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power boards with each other through various connecting means including a belt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and detachability,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또한, 전동보드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근거리 통신수단(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등)을 통해 통신 접속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동보드의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을 원격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동보드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perform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boar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the smart phone possessed by the user through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Bluetooth, NFC, beacon, RFID, etc.)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tely check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running state, the part replacement diagnosis,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power board,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electric power bo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를 연결하는 벨트의 최소길이 사용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별 구동바퀴 및 캐스터바퀴의 결합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센서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벨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연장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보조핸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ed state of the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belt connecting an electric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t a minimum length.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shape of a driving wheel and a caster wheel for each electric powered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nsor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belt use state of an electric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tension of an electric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uxiliary handle of an electric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electric power boar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동보드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an electric board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전동보드의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전동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동보드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전동보드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전동보드를 연결하는 벨트의 최소길이 사용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전동보드별 구동바퀴 및 캐스터바퀴의 결합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과 도 9는 전동보드의 센서 조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전동보드의 벨트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과 도 12는 전동보드에 형성된 연장부와 보조핸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wer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board;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ower board,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n the minimum length of the belt connecting the power board is used, FIG.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nsor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belt of the electric board. FIG. FIGS.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tended portion formed on the electric board and the auxiliary handle, respectively.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동보드(100)는, 몸체(110), 배터리(120), 센서(130), 구동모터(140), 동력 전달부(150), 바퀴(160), 통신모듈(170), 표시모듈(180), 제어모듈(190) 등으로 구성된다.1 to 4, an electric boar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a battery 120, a sensor 130, a driving motor 140, a power transmitting unit 150, 160, a communication module 170, a display module 180, a control module 190, and the like.

몸체(110)는 상부 케이스(111), 하부 케이스(112), 고정 브라켓(113), 발판(114), 미끄럼 방지 패드(115), 연장부(116), 보조핸들(117)을 포함한다.The body 110 includes an upper case 111, a lower case 112, a fixing bracket 113, a foot 114, a non-slip pad 115, an extension 116 and an auxiliary handle 117.

상부 케이스(111)는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면에는 복수 개의 센서(130)가 구비되고, 그 위에 발판(114)과 미끄럼 방지 패드(115)가 구비되며, 내부 수용공간에 전동보드(100)의 각 구성 부품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1)의 전면, 후면 및 측면 각각에는 표시모듈(180)이 구비된다.The upper case 111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its bottom opened and has a plurality of sensors 130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foot plate 114 and a non-slip pad 11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Each component of the board 100 is accommodated. The display module 180 is provided on the front, rear, and side surfaces of the upper case 111, respectively.

이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동보드(100)가 사용될 때, 벨트(200)의 결합을 위하여, 어느 하나의 전동보드(100)의 상부 케이스(111) 전면에는 전동보드(100) 내에 구비된 벨트(200)가 인출되는 홀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의 전동보드(100)의 상부 케이스(111)의 후면에는 벨트(2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조물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설명과 달리, 한 쌍의 전동보드(100)의 상부 케이스(111) 각각에 벨트(200) 연결을 위한 홀과 고정 구조물을 모두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5, when the pair of power transmission boards 100 are used, the power transmission board 100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of one of the power transmission boards 100 for coupling of the belt 200, And a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belt 20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of the other power board 100. [ Of course, unlike the above description, holes and fixing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belt 200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cases 111 of the pair of power transmission boards 100 and used.

하부 케이스(112)는 상부에 전동보드(100)의 각 구성 부품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 케이스(111)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부 케이스(112) 상부에 배치된 전동보드(100)의 각 구성 부분이 상부 케이스(111)의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된다.Each component of the power board 10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2 and is coupled to the lower open portion of the upper case 111. Accordingly, each constituent part of the power board 100 disposed on the upper case 112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the upper case 111.

고정 브라켓(113)은 하부 케이스(112)의 하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일측에 구동바퀴(161)가 결합된다. 이때 고정 브라켓(113)은 하부 케이스(112)에 용접결합이나 볼트결합 등으로 고정된다.The fixing bracket 113 is vertical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2, and the driving wheel 161 is coupled to one side. At this time, the fixing bracket 113 is fixed to the lower case 112 by welding or bolt connection.

발판(114)은 상부 케이스(111)의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발을 올려놓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중심이동에 의해 전후좌우로 움직이거나 발의 움직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즉 사용자의 중심이동에 따라 무게가 가해지거나 발의 위치(즉 사용자의 발가락이나 발뒤꿈치에 힘을 주는 동작)에 따라 움직여 상부 케이스(111)에 구비된 센서(13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footrest 114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ase 111 and is a part where the user puts his or her feet. The footrest 114 is designed to move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by the center of the user, or move by foot motion. That is, the sensor 130 provided in the upper case 111 can be operated by moving the we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or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foot (i.e., the action of applying force to the user's toe or heel).

미끄럼 방지 패드(115)는 발판(114)의 상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판(114)에 올려진 사용자의 발이나 신발과의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미끄럼 방지 패드(115)는 미끄럼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재질은 물론, 크기나 모양을 다양하게 변경시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non-slidable pad 115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plate 11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slippage by a friction force of a foot or a shoe of a user put on the foot plate 114 , And a rubber material. At this time, the anti-slip pad 115 may be realized by variously changing the size and shape as well as the material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anti-slip function.

연장부(11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보드(100)의 후면에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면과 맞닿아 수동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연장부(116)가 형성된 전동보드(100)의 후면이 지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도 11의 (b)와 같이 연장부(116) 저면이 지면과 마찰되고, 이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전동보드(100)의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지면과 맞닿는 연장부(116) 저면에 부싯돌과 같은 스파크 발생부재(116a)(부싯돌 이외에 금속과 같이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재료 및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음)를 구비하는 경우, 연장부(116)와 지면이 맞닿을 때 스파크 발생부재(116a)를 통해 스파크가 발생되어 외부에서 정지 동작중임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extension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ic power board 100 and performs a manual brake function by contacting with the grou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11 (b),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power board 100 having the extended portion 116 formed by the us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paper surface,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nded portion 116 rubs against the paper surface, So that braking of the power transmission board 100 is performed. At this time, when a spark-generating member 116a such as a flint (including all known materials and materials capable of generating a spark like a metal other than flint)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extension portion 116 abutting the ground, A spark is generated through the spark generating member 116a when the ground surface contacts the ground surface 116, and it can be easily confirmed that the stop operation is performed from the outside.

보조핸들(117)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사용자의 균형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즉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초보일 경우 균형을 유지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조하기 위하여 몸체(110)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핸들(117)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조핸들(117)을 손으로 쥐고 전동보드(100)를 이용하면 손쉽게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 전동보드(100) 이용 중에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auxiliary handle 117 is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0, and is a part that performs a balance maintenance function of the user. That is, since the balance board is not easy to maintain when the user who uses the electric board 100 is a beginner, the auxiliary handle 117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10 to assist the balance. Accordingly, the user can hold the auxiliary handle 117 by hand and use the electric board 100 to easily balance the electric power, thereby preventing the electric board 100 from being tilted or released during use of the electric board 100.

이때 보조핸들(117)에는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속도조절용 스로틀(117a)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가 전동보드(100) 운행 중 속도조절용 스로틀(117a)을 조작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auxiliary handle 117 may further include a speed adjusting throttle 117a as shown in FIG. 12 (b). In this case, the user operates the speed adjusting throttle 117a during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board 100 You can reduce or increase the speed.

배터리(120)는 전동보드(100)의 구동을 위하여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모듈(190)의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192)의 제어를 토대로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한다.The battery 120 supplies power to the drive motor 140 for driving the electric board 100 and performs charge and discharg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 192 of the control module 190.

센서(130)는 몸체(110)의 상면(즉 발판(114)의 하부)에 복수 개 구비되어 발판(114)에 올라 선 사용자의 중심이동이나 발의 위치에 따라 동작되며,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전달한다.A plurality of sensors 130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foot plate 114) to operate according to the center movement or the foot position of the user who climbs onto the foot plate 114, 190).

상기 센서(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상면의 앞쪽에 구비되어 전동보드(100)의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출력하는 제1 센서(131)와, 몸체(110) 상면의 뒤쪽에 구비되어 전진 구동중인 전동보드(100)의 브레이킹 또는 정지상태에서의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출력하는 제2 센서(132)와, 몸체(110) 상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 센서(133)로 구성된다. 특히, 제3 센서(133)는 전동보드(100)의 구동 중 사용자가 전동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200)를 풀거나 감기 위한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출력하는 기능, 전동보드(100)의 구동 중 벨트(200)를 해제하기 위한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출력하는 기능, 전동보드(100)의 좌우 방향전환시 좌측 또는 우측 이동을 위한 표시제어를 위한 동작신호를 제어모듈(190)로 출력하는 기능 등 사용자가 다양하게 그 기능을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9, the sensor 13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and includes a first sensor 131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of the power board 100 to the control module 190, A second sensor 132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module 190 for braking or reverse operation of the power board 100 during forward driving to the control module 190, And a third sensor 133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10, respectively. Particularly, the third sensor 133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releasing or winding the belt 200 connecting the power boards to the control module 190 while the power board 100 is operating, 100 to the control module 190, a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ignal for the display control for the left or right movement of the power board 100 when the power board 100 is turn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And a function of outputting the data to the module 190, for example.

이때 제1 센서 내지 제3 센서 각각은 사용자가 발을 전동보드의 진행방향과 수직한 방향(즉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좌우 방향)으로 위치할 때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서, 만일 사용자가 발을 전동보드의 진행방향과 수평한 방향(즉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센서의 기능을 변경(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센서기능을 수동을 변경하거나, 또는 발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적용할 수 있음)하여 측면에 각각 구비된 제3 센서(133)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first sensor to the third sensor is based on a case where the user places his / her foo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electric board (i.e.,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9) (I.e.,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9),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unction of each sensor (that is, to change the sensor function manually by the user's operation, Position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applied), so that the third sensor 133 provided at each sid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forward driving, braking or backward driving.

센서(130)의 동작을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발판(114)에 올라 선 사용자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으로 중심을 이동하거나 발을 움직이면 제1 센서(131)가 동작되어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가 제어모듈(190)로 출력되어 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발판(114)을 평형 상태로 유지하면 가속이나 후진이 되지 않고 현재 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하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14)에 올라 선 사용자가 뒤쪽으로 중심을 이동하거나 발을 움직이면 제2 센서(132)가 동작되어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가 제어모듈(190)로 출력되어 가속중에는 브레이킹 기능을 하고 정지상태에서서는 후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of the sensor 1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When the user climbing the footstep 114 moves forward or moves his or her foot as shown in FIG. 8 (a)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is outputted to the control module 190 so that the speed is increased. When the user holds the footrest 114 in a balanced state as shown in FIG. 8B, The user does not move forward or backward to maintain the current speed or to be in a stop state. When the user who climbs to the footstep 114 moves backward or moves his / her foot as shown in FIG. 8 (c) 132 are operated to output an operation signal for braking or backward driving to the control module 190 so as to perform a braking function during acceleration and a reverse function in a stop state.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브레이킹 패드를 별도로 구비하여 전동보드 운행시 비상상황에 따라 급제동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braking pad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as to be used when the electric braking operation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braking system.

구동모터(140)는 배터리(120)의 전원으로 구동되어 구동바퀴(161)로 동력을 전달한다.The driving motor 140 is driven by a power source of the battery 120 to transmit power to the driving wheels 161.

이때 구동모터(140)는 소음이나 성능을 고려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모든 종류의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140 is used in consideration of noise and performance. Normally, it is preferable to use a brushless direct current (BLDC) mo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known type of motor may be used.

동력 전달부(150)는 구동모터(140)와 구동바퀴(161) 사이를 연결하여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구동바퀴(161)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구동모터(140)의 일측이 결합되는 연결부(151)와, 연결부(151)와 구동바퀴(16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벨트(152)로 구성된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50 is a part that connects between the driving motor 140 and the driving wheel 161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140 to the driving wheel 161, And a driving belt 152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51 and a protruding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riving wheel 161.

이때 상기 연결부(151)의 외측, 상기 구동벨트(152)의 내측, 구동바퀴(16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돌출부 외측 각각에는 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40)와 구동바퀴(161) 사이의 동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어 형태로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protrusions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151, the inner side of the driving belt 152, and the outer side of the protrusion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driving wheel 161. That is, the driving motor 140 and the driving wheel 161 may be gear-meshed to facilitate power transmission.

바퀴(160)는 몸체(1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113)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1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바퀴(161)와, 몸체(110)의 하부(예를 들어, 도면에서와 같이 구동바퀴(161)의 전면)에 형성되어 별다른 동력 소모 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자유롭게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바퀴(162)로 구성된다.The wheel 160 is coupled to a fixing bracket 113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110 and includes a driving wheel 161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140, And a caster wheel 16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riving wheel 161 as shown in the figure so that the caster wheel 162 can freely change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user without much power consumption.

이때 구동바퀴(161)는, 구동바퀴(161)의 일측에 연장 형성된 돌출부와 구동모터(140)의 일측이 삽입되는 연결부(151) 사이에 결합되는 구동벨트(152)의 동작에 의해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 구동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을 수행한다.The driving wheel 161 is driven by a driving belt 152 which is coupled between a protrusion extending on one side of the driving wheel 161 and a connecting portion 151 into which one side of the driving motor 140 is inserted, 140 to perform forward driving or braking and backward driving.

또한, 구동바퀴(161)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모터가 내장된 모터 일체형 바퀴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wheel 161 may be a motor-integrated wheel having a built-in motor therein.

상기 바퀴(160)는 전동보드(100)의 사용상태나 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여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서와 같이 각각의 전동보드마다 하나의 구동바퀴(161) 및 하나의 캐스터바퀴(162)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사용형태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의 (b)에서와 같이 어느 하나의 전동보드에는 구동바퀴(161)와 캐스터바퀴(162)를 모두 사용하고 다른 하나의 전동보드에는 구동바퀴(161)와 캐스터바퀴(162)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의 (c)에서와 같이 각각의 전동보드마다 캐스터바퀴는 사용하지 않고 구동바퀴(161)만 사용할 수도 있다.The wheels 160 may be directly changed by the user depending on the use state or environment of the electric board 100, and may be variously us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A, one drive wheel 161 and one caster wheel 162 are used for each of the electric power board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shown in FIG. 7 (b), the driving wheel 161 and the caster wheel 162 are all used in one of the electric power boards and the driving wheel 161, Only the driving wheels 161 may be used instead of the caster wheels for each power board as shown in FIG. 7 (c).

통신모듈(170)은 상기 설명과 같이 발판(114)에 올라 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130) 조작을 통해 전동보드를 구동하는 방식 이외에, 사용자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전동보드의 구동을 제어할 때, 리모트 컨트롤러(200)로부터 구동바퀴(161)의 전진 구동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에 대한 동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모듈(19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70 uses the remote controller 300 to increase the autonomy of the user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driving the electric boar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who climbs the footstool 114, And receives the operation signals for the forward driving, the braking and the backward driving of the driving wheels 161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module 190 when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board.

또한, 통신모듈(170)은 전동보드(100)에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400)와 근거리 통신수단(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등)을 통해 통신 접속이 가능한 수단이 구비된 경우, 통신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전동보드(1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에 관련된 정보를 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90)의 제어를 토대로 전동보드(1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단말기(400)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동보드(1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을 원격으로 손쉽게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전동보드(100)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mmunication module 17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oard 400 through a local communication means (e.g., Bluetooth, NFC, beacon, RFID, etc.) Whe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is provided with a possible means, it additionally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with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charging status, operating status, part replacement diagnosis, and the like of the power board 100 at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can do. That i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running state, the part replacement diagnosis, and the like of the electric power board 100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90 so that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driving state, the part replacement diagnosis, and the like, so that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electric power board 100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표시모듈(180)은 전면 LED(181), 후면 LED(182) 및 측면 LED(183)로 구성되어, 제어모듈(190)의 제어를 토대로 전동보드(100)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module 180 includes a front LED 181, a rear LED 182 and a side LED 183 and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the driving state of the power board 10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90 do.

제어모듈(190)은 센서(130)의 동작에 따른 전진 구동, 브레이킹,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14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190 checks operation signals for forward driving, braking, and reverse driv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3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40 based on the confirmed operation signals.

상기 제어모듈(190)은, 센서(130)로부터 입력되는 전진 구동, 브레이킹, 후진 구동에 대한 동작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91)와, 배터리(12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192)와, 배터리(120)의 충방전 상태 및 전동보드(100)의 운행 상태의 확인과 저장을 수행하고, 전동보드(100)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메모리(194)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하는 상태정보 관리 컨트롤러(193)로 구성된다.The control module 190 includes a main controller 19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40 based on operation signals for forward driving, braking and backward driving inputted from the sensor 130, A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 192 for controll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board 120, and checking and stor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s of the battery 120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electric board 100, And a state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ler 193 that compares the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194 with the reference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memory 194 to perform the component replacement diagnosis.

이때 상태정보 관리 컨트롤러(193)는 통신모듈(170)을 통해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사용하여 통신 접속된 통신 단말기(400)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해당 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ler 193 transmits a battery char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harge ") to the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ler 193 at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which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A function of provi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atus, the running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the diagnosis of whether or not to replace the parts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또한, 제어모듈(190)은 초보자의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최대 속도에 제한을 둘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90 may limit the maximum spe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for a novice user.

또한, 제어모듈(190)은 전동보드(100)가 내리막길을 주행하고 있을 경우, 전동기능을 중지(즉 구동모터(140)에서 구동바퀴(161)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시켜, 현재의 주행상태로 전동보드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전동보드(100)가 내리막길에서 구동되는 상태에서는 센서(130)로부터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구동모터(14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The control module 190 also stops the transmission function when the power board 100 travels downhill, that is, blocks power transmission to the drive wheels 161 from the drive motor 140, The motorized board can be driven.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ic board 100 is driven on the downward path, even if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is input from the sensor 130, the driving motor 140 is controlled not to be driven while ignoring the operation signal.

한편, 전동보드(1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개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양발이 동시에 올려져 사용되거나, 또는 도 5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발이 각각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전동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케이트보드처럼 측면과 롤러스케이트처럼 정면으로 탈 수 있는 자유로움을 확보할 수 있다.5A and 5B, the motorized board 100 may be constructed as a single body as shown in FIG. 5A, and the user's feet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may be used as shown in FIGS. 5B and 5C And the user's feet can be raised and used individually. In particular, if a pair of power boards is used, the user is free to ride on the side, such as a skateboard and roller skates.

그리고 전동보드(10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벨트(200)로 연결되어 사용(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전동보드(100) 사이를 벨트로 연결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전동보드(100)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모든 공지의 수단이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음)될 수 있다. 즉 상기 벨트(200)는 길이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200)의 길이를 도 10의 (a)에서와 같이 최대 길이로 늘려서 사용하거나, 도 10의 (b)에서와 같이 원하는 대로 길이를 줄이거나 늘려서 조절하거나, 도 10의 (c)에서와 같이 최소 길이로 줄여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벨트(200)의 길이 조절을 사용 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동보드(100)를 운행하는 도중에 벨트(200)의 길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en the electric power boards 100 are used as a pair,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200 as shown in FIG. 5 (c). In this embodiment, 100 are connected by a bel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known means or method for connecting the power boards 100 may be used. That is, the belt 200 can freely adjust its length automatically or manually, and can be formed in a detachable structure.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belt 200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length to the maximum length as shown in FIG. 10A, or may be adjusted by reducing or increasing the length as desired, as shown in FIG. 10B, It can be used by reducing to the minimum length as in c).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adjusts the length of the belt 200 before use,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length of the belt 200 can be adjusted while the power board 100 is running.

또한, 벨트(200)를 통해 한 쌍의 전동보드(100)를 연결하여 사용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00)의 길이를 최소로 하여 사용할 경우, 스케이트보드와 같이 사용자가 앞쪽에 구비된 전동보드의 방향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쌍의 전동보드 중 앞쪽의 전동보드를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직선 상태를 유지하면 도 6의 (b)에서와 같이 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전동보드 중 앞쪽의 전동보드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도 6의 (c)에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6, when the pair of power transmission boards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belt 200 and the length of the belt 200 is minimized, The moving board can be moved while moving the direction of the electric board. For example, if the user moves the front power board of the pair of power boards to the left, the user can move leftward as shown in FIG. 6A. If the user keeps the straight line state as shown in FIG. 6B, As shown in FIG. 6 (c), when the front power board of the pair of power boards is moved to the right, it can be moved to the right.

이때 벨트(200)는, 벨트(200)의 감김 및 풀림을 수행하는 벨트 구동모터(210)와,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벨트(200)가 거치되는 벨트 감김부(220)와, 벨트(200)의 일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전동보드(100) 사이를 체결하기 위한 벨트 로킹부(230)와, 전동보드(100)의 몸체(110)에 구비되어 전동보드(100)에 체결된 벨트(200)를 해제하는 벨트 제어 버튼(240)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belt 200 includes a belt driving motor 210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belt 200, a belt winding part 220 formed in a roller shape and on which the belt 200 is mounted, A belt locking unit 230 provided at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board 100 for locking a pair of power transmission boards 100 and a belt 200 provided on the body 110 of the power transmission board 100, And a belt control button 240 for releasing the belt.

그리고 벨트 제어 버튼(240)은 벨트(200)의 해제 기능 이외에, 벨트 구동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여 벨트(200)를 자동으로 감기 위한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releasing function of the belt 200, the belt control button 2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elt driving motor 210 to further perform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winding the belt 200. [

또한, 벨트(200)는 전동보드(100)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벨트를 별개로 구성하여 전동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별도 보관하고 전동보드를 사용할 경우 상호 간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belt 20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ower board 100. However, the belt 200 is not limited to the belt 200. The belt 20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power board 100, If electric boards are used, they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보드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Next, an embodiment of the electric power boar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At this time, each step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nged in the use environment or the order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보드 제어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electric board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우선, 제어모듈(190)에서는 사용자의 전원스위치 조작을 확인하여 전동보드(100)가 동작되는지를 판단한다(S100).First, the control module 190 confirms the operation of the power switch of the us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board 100 is operated (S100).

S100 단계의 판단결과 전원스위치가 온 되면, 제어모듈(190)은 전동보드(100)에 배터리(120)의 전원공급을 수행하여 대기모드를 동작모드로 전환한다(S200). 즉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한 중심이동이나 발의 위치에 따른 센서(130)의 동작이나 리모트 컨트롤러(300)의 조작을 통해 언제라도 전동보드를 구동할 준비를 하는 것이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00,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the control module 190 supplies power to the power board 100 to switch the standby mode to the operation mode (S200). That is, the operator prepares to drive the electric power board at any time through the movement of the center by the movement of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30 according to the foot position, or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S200 단계의 동작모드 전환 이후, 제어모듈(190)은 하나의 전동보드에 양발을 올려놓거나 또는 한 쌍의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은 사용자의 움직임(즉 무게중심의 이동이나 발의 위치)에 의한 센서(130) 동작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한다(S300). 즉 발판(114)에 올라 선 사용자의 중심 이동에 따라 제1 센서(131) 또는 제2 센서(132)가 동작되어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때 측면에 구비된 제3 센서(133)의 기능이 전동보드(100)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200)의 풀림 또는 감김 구동인 경우에는 벨트를 풀거나 감는 동작이 선택되는지를 확인하며, 벨트(200)의 해제로 설정된 경우에는 벨트(200)의 해제가 선택되는지를 확인한다.After the operation mode is switched to the step S200, the control module 190 deter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the user (i.e.,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r the position of the foot) on which the pair of feet is placed on one electric board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30 is confirmed, and operation signals for forward driving, braking, and reverse driving are confirmed based on the operation (S300). That is, whether the first sensor 131 or the second sensor 132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center movement of the user climbing on the foot plate 114 is selected to determine whether forward driving, braking or reverse driving is selected. At this time, in the case where the function of the third sensor 133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is the unwinding or winding operation of the belt 200 connecting between the power boards 100,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unwinding or winding the belt is selected, 200,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release of the belt 200 is selected.

때 S300 단계를 통해 전동보드(100)의 동작신호를 확인할 때, 제어모듈(190)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센서(130)의 동작신호 확인 방법 이외에, 통신모듈(170)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300)로부터 수신받은 수신데이터를 토대로 전진 구동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중심이동 움직임이나 발의 위치에 의해 센서(130)가 동작되어 전동보드(100)를 구동하는 방식 이외에, 사용자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러(300)를 사용하여 전동보드(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control module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hecking the operation signal of the sensor 1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 ),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braking and backward driving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at is, in addition to a method in which the sensor 130 is operated by the center movement of the user or the position of the foot to drive the electric board 100, the remote controller 300 is used to drive the electric board 100 To be controlled.

상기 S300 단계를 통해 동작신호가 확인되면, 제어모듈(190)은 S300 단계에서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140)를 순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즉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제어)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즉 속도 감소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모터(140)로 전달한다(S400).If the operation signal is confirmed in step S300, the control module 190 controls the drive motor 140 to operate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controls forward driving) on the basis of the operation signal confirmed in step S300, (Operation control for speed reduction or reverse drive) to be operated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 motor 140 (S400).

그러면 구동모터(140)는 제어모듈(190)의 제어를 토대로 배터리(120)의 전원으로 동작하여 구동모터(140)의 동력을 동력 전달부(150)의 구동벨트(152)를 통해 구동바퀴(161)로 전달함으로써, 전동보드(100)가 전진 또는 브레이킹 및 후진 구동을 수행하도록 한다(S500). 이때 초보자의 경우 안전을 고려하여 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The driving motor 140 operates as a power source of the battery 12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 module 190 to drive the driving motor 140 through the driving belt 152 of the power transmitting unit 150 161, thereby causing the electric power board 100 to perform forward, braking, and reverse driving (S500). At this time, for beginners, the speed can be limited considering safety.

한편, S500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토대로 전동보드(100)를 전진 또는 후진 구동하는 과정에서, 제어모듈(190)은 배터리 충전 상태와 전동보드 운행 상태를 확인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와 함께 전동보드(100)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S600).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electric board 100 forward or backwar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user through step S500, the control module 190 checks the battery charging state and the electric board operation state, stores them in the memory, The use status of each component of the board 100 may be compared with the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diagnose replacement of components (S600).

그리고 S600 단계를 통해 상태정보 관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어모듈(190)은 전동보드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사용한 통신 접속을 진행한 후, 통신 단말기(400)의 요청을 토대로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통신모듈(170)을 통해 해당 통신 단말기(400)로 제공할 수 있다(S700).In step S600, the control module 190 controls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owned by the electric board user and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information on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the diagnosis of component replacement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70 based on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S700).

즉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400)에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동보드(100)의 배터리 충방전 상태, 운행 상태, 부품 교체 여부 진단 등을 원격으로 손쉽게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전동보드(100)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can easily remotely check the battery charge / discharge state, the running state, the part replacement diagnosis, etc. of the power board 100 through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400, And management.

이때 상기 S600 및 S700 단계는 전동보드(100)의 구성 및 사용환경에 따라 수행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steps S600 and S700 may not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use environment of the power board 100. [

마지막으로, 제어모듈(190)은 사용자에 의한 전원스위치 오프 조작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S800),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 오프 조작이 수행될 때까지 사용자의 발판 조작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 조작에 따른 동작신호를 확인하는 상기 S30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Finally, the control module 190 determines whether or not a power switch-off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S800). The control module 190 displays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s footstep operation or the remote controller operation until the power switch- Step S300 and subsequent steps are repeatedly performed.

이처럼, 본 발명은 전동보드 사용자가 발판에 구비된 센서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레저 스포츠를 즐기면서 가까운 거리를 손쉽게 이동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 운동 및 놀이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단순화된 바퀴구조, 부피 및 무게의 감소를 통해 가볍고 작은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lectric board user operates the sensor provided on the foot plate or operates the remote controller,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a short distance while enjoying leisure sports, and to maximize exercise and play in a narrow space It is possible to produce light and small products by simplified wheel structure, volume and weight reduction.

또한, 사용자가 전동보드에 양발을 모두 올려놓거나 또는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동보드 이용이 가능하고, 특히 한 쌍의 전동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각 발마다 세심하고 자유롭게 발동작을 수행함은 물론, 작은 회전 반경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으며, 중심 및 평형 유지에 따른 전신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an electric board in various ways such as a user putting both feet on the electric board or placing one foot on each electric board, and in particular, when using a pair of electric boards,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to a small radius of rotation as well as to perform the motion, and to maximize the whole body movement effect by keeping the center and balance.

또한, 전동보드 각각에 한발씩 올려놓고 사용할 때 벨트를 포함한 다양한 연결수단을 통해 각각의 전동보드를 연결하기 때문에 전동보드의 미숙한 조작이나 돌발 상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each electric power board is connected through various connecting means including a belt when the electric power board is placed one by one on each electric power boar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id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premature operation of the electric power board or an unexpected situation.

또한, 전동보드와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 상호 간에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 접속이 가능한 경우, 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격으로 전동보드의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동보드의 유지보수 및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wer board and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user is possibl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the user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power board remotely, thereby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power board. can do.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 전동보드 110 : 몸체
111 : 상부 케이스 112 : 하부 케이스
113 : 고정 브라켓 114 : 발판
115 : 미끄럼 방지 패드 116 : 연장부
117 : 보조핸들 120 : 배터리
130 : 센서 131 : 제1 센서
132 : 제2 센서 133 : 제3 센서
140 : 구동모터 150 : 동력 전달부
151 : 연결부 152 : 구동벨트
160 : 바퀴 161 : 구동바퀴
162 : 캐스터바퀴 170 : 통신모듈
180 : 표시모듈 181 : 전면 LED
182 : 후면 LED 183 : 측면 LED
190 : 제어모듈 191 : 메인 컨트롤러
192 : 배터리 관리 컨트롤러 193 : 상태정보 관리 컨트롤러
194 : 메모리 200 : 벨트
210 : 벨트 구동모터 220 : 벨트 감김부
230 : 벨트 로킹부 240 : 벨트 제어 버튼
300 : 리모트 컨트롤러 400 : 통신 단말기
100: electric board 110: body
111: upper case 112: lower case
113: Fixing bracket 114: Scaffold
115: non-slip pad 116: extension
117: auxiliary handle 120: battery
130: sensor 131: first sensor
132: second sensor 133: third sensor
140: drive motor 150: power transmission part
151: connection part 152: drive belt
160: wheel 161: drive wheel
162: Caster wheel 170: Communication module
180: Display module 181: Front LED
182: rear LED 183: side LED
190: control module 191: main controller
192: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 193: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controller
194: Memory 200: Belt
210: belt driving motor 220: belt winding part
230: Belt locking part 240: Belt control button
300: remote controller 400: communication terminal

Claims (14)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모터; 및
발판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전동보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때, 전동보드 상호 간에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벨트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전동보드의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진 구동 중인 상기 전동보드의 브레이킹 구동 또는 정지상태에서의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전동보드의 구동 중 전동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의 풀림이나 감김, 또는 벨트해제를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의 방향이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At least one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 drive moto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And
And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under the footrest,
When the power boards are used as a pair,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and the belt is adjustable in length,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of the electric power boar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braking driving of the electric board in forward driving or reverse driving in a stopped state; And
And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releasing or winding a belt connecting between the power boards during belt driven or belt release during driving of the power board,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the position of the user's foot by sens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s foot using the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inputted from the sensor Electric bo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작신호를 토대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of the drive motor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drive motor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바퀴;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캐스터바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heel,
A drive wheel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and driving the drive wheel;
A caster wheel capable of performing a direction change; or
And a combination thereof.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동작신호를 토대로,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며, 배터리 충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의 확인 및 저장, 전동보드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 of the battery is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the confirmation and storag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the use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electric board are compared with the stored reference data, Further comprising performing a replacement diagnosi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는,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 단말기와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통해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wer-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or a combination thereof,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charging state,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the diagnosis of whether or not the component is replac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local communication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는,
후면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지면과 맞닿아 수동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And an extension part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contacting the ground according to a movement of the user to perform a manual brake fun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사용자의 균형 유지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wer-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handle detachably attachab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the auxiliary handle performing a balance function of the user.
전동보드에서 사용자의 발의 방향이나 위치에 따른 센서 동작을 토대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는 동작신호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동작신호를 토대로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전동보드의 구동을 수행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보드는,
몸체의 하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바퀴;
상기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구동모터; 및
발판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센서;를 포함하며,
전동보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사용될 때, 전동보드 상호 간에 벨트로 연결되며, 상기 벨트는 길이 조절 및 탈부착이 가능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전동보드의 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1 센서;
전진 구동 중인 상기 전동보드의 브레이킹 구동 또는 정지상태에서의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전동보드의 구동 중 전동보드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의 풀림이나 감김, 또는 벨트해제를 위한 동작신호를 감지하는 제3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제어방법.
An operation signal checking step of check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braking or backward driving based on the sens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user's foot on the electric board; And
And a driving step of driving the power board by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based on the determined oper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wheels,
Wherein the power-
At least one wheel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ody;
A drive motor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to the wheel; And
And a plurality of sensors provided under the footrest,
When the power boards are used as a pair, the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belt, and the belt is adjustable in length,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of the electric power board;
A secon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braking driving of the electric board in forward driving or reverse driving in a stopped state; And
And a third sensor for detecting an operation signal for releasing or winding a belt connecting between the power boards during belt driving or belt release during driving of the power boar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 확인 단계에서,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수신 받은 수신데이터를 토대로 전진 구동, 브레이킹 또는 후진 구동을 위한 동작신호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operation signal checking step,
Further comprising confirming an operation signal for forward driving, braking or backward driving based on the received data receiv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 제어방법은,
배터리 충전 상태와 전동보드 운행 상태의 확인 및 메모리 저장을 수행하고, 전동보드의 각 부품의 사용상태를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부품 교체 여부 진단을 수행하는 상태정보 관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The electric power board control method includes:
A status information management step of checking the battery charging status, the electric board running status and the memory storage, and comparing the usage status of each component of the electric board with the reference data stored in the memory to perform diagnosis of replacing par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moto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동보드 제어방법은,
전동보드의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블루투스, NFC, 비콘, RFID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수단을 사용한 통신 접속을 수행하는 통신 접속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기의 요청을 토대로 배터리 충전 상태, 전동보드의 운행 상태 및 부품 교체 여부 진단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수단을 통해 상기 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보드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lectric power board control method includes:
A communication connection step of performing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ans including Bluetooth, NFC, beacon, RFID or a combination thereof based on a request of a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of the electric board; And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information relating to a battery charging state, a running state of the electric board, and a diagnosis of whether or not the component is replaced based on the request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Board control method.
KR1020160087818A 2016-07-12 2016-07-12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03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8A KR101703940B1 (en) 2016-07-12 2016-07-12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818A KR101703940B1 (en) 2016-07-12 2016-07-12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940B1 true KR101703940B1 (en) 2017-02-08

Family

ID=5815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18A KR101703940B1 (en) 2016-07-12 2016-07-12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940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7871A (en) 2017-02-24 2018-09-03 김준호 Installation for driving motor packed wheel of a kick board
KR20180101990A (en)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우진더블유티피 Hybrid power supply unit for electric skateboard and electric skateboard using the unit
EP3418106A1 (en) * 2017-06-19 2018-12-26 Kai-Han Cho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US10780928B2 (en) 2017-04-28 2020-09-22 Shenzhen Qianhai Walnut Technology Limited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
US10988032B2 (en) 2016-04-19 2021-04-27 Walnut Technology Limited Self-propell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75A (en) * 1995-06-30 1997-01-14 New Technol Kenkyusho:Kk Self-propelled roller board
KR200458545Y1 (en) * 2009-09-11 2012-02-27 김범진 Skate board
KR20120075555A (en)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Car manag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30067889A (en) * 2011-12-14 201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te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75A (en) * 1995-06-30 1997-01-14 New Technol Kenkyusho:Kk Self-propelled roller board
KR200458545Y1 (en) * 2009-09-11 2012-02-27 김범진 Skate board
KR20120075555A (en) * 2010-11-23 2012-07-09 김수진 Car managing system using smart phon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30067889A (en) * 2011-12-14 2013-06-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oter driven personal transportation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8032B2 (en) 2016-04-19 2021-04-27 Walnut Technology Limited Self-propelled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20180097871A (en) 2017-02-24 2018-09-03 김준호 Installation for driving motor packed wheel of a kick board
KR20180101990A (en) 2017-03-06 2018-09-14 주식회사 우진더블유티피 Hybrid power supply unit for electric skateboard and electric skateboard using the unit
US10780928B2 (en) 2017-04-28 2020-09-22 Shenzhen Qianhai Walnut Technology Limited Electric vehicles, electric vehicle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
EP3418106A1 (en) * 2017-06-19 2018-12-26 Kai-Han Cho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US10335668B2 (en) 2017-06-19 2019-07-02 Kai-Han CHO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940B1 (en) An electric motor boa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US10507376B2 (en) Electrically powered ride-on vehicle with intuitive control
US6050357A (en) Powered skateboard
US6059062A (en) Powered roller skates
CN109789332B (en) Electric moving system
US20190061557A1 (en) Electric vehicle interfaces and control systems
JP6663847B2 (en) A vehicle for the movement of a pilot equipped with a ball rolling in an arbitrary direction on the ground surface
JP5177692B2 (en) Riding movement device combining a pair of one-leg-mounted moving bodies
KR20140005670A (en) The interaction vehicle with the driver
CN105169687A (en) Electric skateboard with pressure sens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23095885A (en) Caster board vehicle
US20200197786A1 (en) Motorized skate
KR100424779B1 (en) A motor-driven board
KR101684602B1 (en) Driving board with transmission device
KR20180074871A (en) Segway equipped with wheel-leg assembly
CN205007543U (en) Electric scooter with forced induction system
JP2001259108A (en) Power skateboard
KR101382633B1 (en) Electric walking aid vehicle
KR102214780B1 (en) One-wheel Board
KR200231351Y1 (en) A motor-driven board
CN111111146A (en) Electric roller skating control using method and electric roller skating system
KR20200085964A (en) Electric kickboard
KR20070103659A (en) Inline skates
KR20100009539U (en) Roller ski set
KR101827837B1 (en) Individual transport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