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317B1 -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317B1
KR101703317B1 KR1020160099935A KR20160099935A KR101703317B1 KR 101703317 B1 KR101703317 B1 KR 101703317B1 KR 1020160099935 A KR1020160099935 A KR 1020160099935A KR 20160099935 A KR20160099935 A KR 20160099935A KR 101703317 B1 KR101703317 B1 KR 10170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trike zone
coordinates
baseball game
pi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일
정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비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비씨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비씨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99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5/225
    • H04N5/23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스트라이크 존과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야구경기장에 설치되어 야구경기를 다각도로 촬영하는 제1 촬영부;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홈 플레이트 상에 설정되는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할 때,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 추출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 및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는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추출 및 보정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REALTIME DISPLAYING SYSTEM IN BASEBALL GAME RELAY BROADCAST}
본 발명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스트라이크 존과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 스포츠 중계방송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경기 상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그래픽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거나 경기 분석을 위한 정보를 경기 화면에 오버랩하여 제공하는 등 시청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의 경우 전문가의 수작업을 통해서 경기 내용을 분석하거나 자동적인 영상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정리한 후 이를 화면에 표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분석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하거나 고가의 영상 분석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간 경기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스포츠 경기 중계방송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품질 분석 정보가 포함되는 스포츠 중계방송은 국가 대항 축구 경기, 월드컵, 올림픽 등과 같이 상품성이 높은 경우로 제한된다.
한편, 국내에서 누적 시청률이 가장 높고 널리 보편화 되어 있는 스포츠 중계방송은 야구 중계방송이다. 야구 중계방송에서 시청자가 가장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자 가장 확인하고 싶어하는 부분은 투수의 투구 내용과 관련된 부분이다. 이에, 최근 야구 중계방송에서는 카메라로 촬영한 투구 영상을 천천히 재생하는 영상을 제공해 줌으로써,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투구 내용과 타자의 타격 내용을 시청자가 좀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이때, 투수의 투구 자세나 구질, 속도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싶은 시청자의 욕구도 높지만,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은 욕구 또한 매우 높은 실정이다. 예를 들어, 야구에 열정적인 시청자들은 투구된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심판의 콜 전에 미리 알고 싶어한다. 또한, 심판의 스트라이크 판정에 따라 경기의 흐름 혹은 경기의 결과가 바뀌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므로, 야구에 열정적인 시청자들은 심판의 콜이 맞았는지 매 투구마다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매우 강하다.
때문에, 시청률이 중요한 현재의 방송 환경에서는 투구된 볼의 스트라이크 여부를 실시간으로 표출하여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5120호(2012.01.04.)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스트라이크 존과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함으로써,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제공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야구경기장에 설치되어 야구경기를 다각도로 촬영하는 제1 촬영부;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홈 플레이트 상에 설정되는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할 때,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 추출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 및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는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추출 및 보정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촬영부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와 투수 마운드가 이루는 일직선상의 외야에 설치되어,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궤적을 추적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할 때의 타이밍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보정된 상기 볼의 좌표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표출하되, 표출되는 형태를 결정하는 표출 제어부; 및 상기 볼의 좌표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를 그래픽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한 현재의 데이터 및 이전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대 타자 별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비교 표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대한 촬영 각도가 변화된 경우, 상기 촬영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 존의 표출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구된 볼을 추적하는 제1 카메라 및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존에 진입할 때의 시간적 위치, 즉, 투구된 볼의 스트라이크 존 통과 타이밍을 추출하는 제2 카메라를 통해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는 볼의 좌표를 추출하고, 스트라이크 존을 기준으로 추출된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한 보정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스트라이크 존과 함께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표출함으로써,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또는 볼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어 하거나 심판의 콜이 맞는지 매 투구마다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싶어하는 야구에 열정적인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야구 입문자나 야구에 문외한인 시청자들의 호기심 또한 자극하여, 야구 중계방송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야구의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쟁터로 비유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시청률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향후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한 비디오 판독이 도입되는 경우, 심판 측에 정확한 판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어,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한 시비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운영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제1 촬영부 및 제2 촬영부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제1 촬영부, 제2 촬영부의 촬영 영상 및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표출된 스트라이크 존 및 이미지화된 볼을 나타낸 모식도로, 도 5는 현재 투구된 볼만을 표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6은 누적 투구된 볼을 표출시킨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7은 다른 선수에 대한 투구 형태와 현재 선수에 대한 투구 형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구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100)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스트라이크 존(S)과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시스템으로, 스트라이크 판정에 대한 정보, 투수의 제구력 등에 관한 정보를 시청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증진시킨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100)은 제1 촬영부(110), 제2 촬영부(120) 및 운영서버(1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제1 촬영부(110)는 야구경기를 라이브로 중계방송하기 위해, 야구경기장(1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 촬영부(110)는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영상 혹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복수 개의 카메라(111)를 구비하여, 야구경기를 다각도로 촬영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111) 중 어느 하나는 야구경기장(10)의 전체 화면을 잡기 위해 포수 뒤쪽의 관중석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외야 관중석에 설치되어 투수와 포수를 촬영할 수 있으며, 1루측 관중석, 3루측 관중석이나 덕아웃, 불펜 등에도 하나 또는 그 이상 설치되어 다양한 장면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실시간 영상은 야구경기 중계방송을 위해 송출되는 가운데, 이중, 투수와 포수를 하나의 앵글로 촬영한 영상은 스트라이크 존(S)과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경우, 스트라이크 존(S)과 볼의 좌표가 오버레이(overlay)되는 영상으로 사용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촬영부(120)는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홈 플레이트(11) 상에 설정되는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할 때,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 추출을 위한 영상을 촬영한다. 여기서, 스트라이크 존(S)은 타자의 타격자세 및 타자의 신장에 따라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촬영부(120)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카메라(121)와 제2 카메라(122)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하고, 이들로부터 촬영된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은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스트라이크 존(S)과 볼의 좌표를 표출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의 시간축 동기에 맞춰지도록 보정된다. 이때, 프로야구의 경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은 스트라이크 존(S)을 대략 80~160㎞/h의 속도로 통과하므로,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는 최소한 60FPS(frames per second) 이상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카메라(121)는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궤적을 추적 촬영한다. 이를 위해, 제1 카메라(121)는 홈 플레이트(11)와 투수 마운드(12)가 이루는 일직선상의 외야에 설치된다. 이때, 제1 카메라(121)는 투수의 뒤쪽에 설치되므로, 투수 마운드(12)와 비슷하거나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면, 투수에 위해 투구된 볼이 투수에 의해 가려져, 투구된 볼의 궤적을 추적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카메라(121)는 스트라이크 존(S)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카메라(121)는 그라운드를 기준으로 10~20m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투구된 볼의 궤적에 대한 추적 영상, 즉, 스트라이크 존(S)에서의 볼의 수평, 수직 좌표 추출에 활용되는 영상은 운영서버(130)에 전달된다.
제2 카메라(122)는 제1 카메라(121)와는 다른 시점에서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한다. 즉, 제2 카메라(122)는 홈 플레이트(11)의 측방에 설치되어,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할 때의 타이밍을 추출하기 위해, 스트라이크 존(S)을 촬영한다.
이와 같이, 제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스트라이크 존(S)에 대한 영상은 운영서버(130)에 전달된다. 이때, 제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스트라이크 존(S)에 대한 영상에는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할 때의 영상이 포함된다.
운영서버(130)는 복수 개의 카메라(111)로 이루어진 제1 촬영부(110)로부터 다각도로 촬영된 야구경기 영상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는다. 또한, 운영서버(130)는 제2 촬영부(120)의 제1 카메라(121)로부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궤적에 대한 추적 영상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는다. 그리고 운영서버(130)는 제2 촬영부(120)의 제2 카메라(122)로부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할 때의 영상이 포함된 스트라이크 존(S)을 촬영한 영상에 관한 신호를 입력 받는다.
이와 같이, 운영서버(130)는 제1 촬영부(110) 및 제2 촬영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에 관한 영상 신호를 입력 받고, 이들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의 좌표를 추출 및 보정한 다음, 제1 촬영부(110)에 의해 촬영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스트라이크 존(S) 및 스트라이크 존(S)을 기준으로 한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시킨다. 이때, 운영서버(130)는 스트라이크 존(S) 및 보정된 볼의 좌표를 예컨대, 1프레임 이내의 딜레이(delay)로 이미지화하여 표출시킬 수 있어야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크 존(S) 및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표출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영서버(130)는 영상 수신부(131), 영상 처리부(132), 표출 제어부(133) 및 저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31)는 제1 촬영부(110)의 복수 개의 카메라(111)에 의해 촬영되어 전달되는 영상 신호들을 수신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131)는 제2 촬영부(120)의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로부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에 대한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처리부(132)는 영상 수신부(131)에서 수신된 투구된 볼과 관련된 영상 신호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32)는 제1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볼의 궤적을 추적한 영상을 상시적으로 입력 받아 분석하여, 투수의 투구 시, 즉, 볼이 지나갈 때의 트리거(trigger)를 제공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32)는 제2 카메라(121)에 의해 촬영된 스트라이크 존(S), 특히, 스트라이크 존(S)에 볼이 통과할 때의 영상을 입력 받아, 제1 카메라(121)의 트리거 신호 시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의 좌표를 추출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32)는 제1 카메라(121)의 설치 위치와 실제 타자의 타격 시 설정되는 스트라이크 존(S)의 높이가 다르므로, 제1 카메라(12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서 볼의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하여, 보정된 볼의 좌표를 생성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 제어부(133)는 제1 촬영부(110), 제1 카메라(121) 및 제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되어 영상 수신부(131)에 전달된 후 영상 처리부(132)에서 보정된 볼의 좌표와 스트라이크 존(S)을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표출한다. 이때, 표출 제어부(133)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표출되는 형태를 결정한다.
즉, 표출 제어부(133)는 스트라이크 존(S) 및 보정된 볼의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 제어부(133)는 스트라이크 존(S)을 사각테 형태의 그래픽으로, 볼의 좌표를 실제 볼 모양(B)의 그래픽 형태로 변환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 제어부(133)는 스트라이크 존(S) 및 볼의 좌표에 대한 현재의 데이터 및 이전 데이터를 누적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 물론,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에 대한 현재의 데이터와 이전 데이터는 표출 제어부(133)에 의해 이미지화된다. 도 6은 투수가 타자를 상대로 투구한 모든 볼이 스트라이크 존(S)을 기준으로 한 영역에 볼 모양(B)들으로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이전 데이터는 저장부(134)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저장부(134)는 영상 처리부(132)로부터 정보를 정보를 전달 받아 투수에 의해 투구된 모든 볼에 대한 좌표를 저장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출 제어부(133)는 상대 타자 별 스트라이크 존(S) 및 볼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검은 색 볼 모양(B)들은 이전 타자에 대한 누적된 볼 좌표들을 나타낸 것이고, 흰색 볼 모양(B)들은 현재 타자에 대한 누적된 볼 좌표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청자들은 이와 같이 야구경기 라이브 중계방송 중 표출되는 볼 좌표들을 통해 투수의 상대타자에 따른 투구패턴이나 컨디션 등을 파악할 수 있고, 이는 야구 시청의 재미를 배가시키게 된다.
한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는 촬영 각도가 변화된 라이브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출 제어부(133)는 촬영 각도가 변화된 라이브 영상에도 그에 맞는 스트라이크 존(S)을 표출한다. 이때, 촬영 각도의 변화에 따른 스트라이크 존(S)의 표출 위치 변화는 영상 처리부(132)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스트라이크 존(S)의 표출 위치가 라이브 영상의 촬영 각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면, 볼의 좌표 또한 영상 처리부(132)에서 다시 한번 보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구동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각 구성들의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의 구동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1 카메라(121)의 촬영 영역 및 타겟을 설정한다. 제1 카메라(121)의 촬영 영역은 투수와 포수를 모두 담을 수 있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때, 추적할 타겟은 투수에 의해 투구되어 포수 측으로 향하는 볼의 궤적이 될 수 있다. 그 다음, 제2 카메라(122)의 촬영 영역을 설정한다. 제2 카메라(122)의 촬영 영역은 스트라이크 존(S)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라이브 영상에서 스트라이크 존(S)이 오버레이되는 영역을 설정하고, 스트라이크 존(S) 및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의 표출 방법을 설정한다.(S110)
다음으로, 제1 카메라(121)에 투구된 볼이 포착되어 추적되고 있는지 판단한다.(S120) 제1 카메라(121)가 투구된 볼을 포착 못하면, 아직 투수에 의해 볼이 투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제1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을 통해 계속적으로 주시한다.
다음으로, 제1 카메라(121)가 투구된 볼을 포착 및 추적한 경우, 제2 카메라(122)가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을 촬영하였는지 판단한다.(S130)
다음으로, 제2 카메라(122)가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을 촬영한 경우, 제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에 대한 영상으로부터 볼의 좌표를 추출한 다음, 제1 카메라(121)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에서 볼의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한다. 그 다음, 준비단계(S110)에서 설정한 표출방법 중 선택한다.
예를 들어, 스트라이크 존(S)과 볼의 이미지 형태를 선택한다. 또한, 스트라이크 존(S)에 현재 투구된 볼의 이미지화된 모양(B)만 표출할지 선택한다. 아니면, 해당 타자에 투구된 누적된 볼 좌표를 모두 이미지화하여 표출할지 선택한다. 아니면, 타자 별로 비교하여 누적된 볼 좌표를 모두 이미지화하여 표출할지를 선택한다.(S140)
마지막으로, 선택된 표출 형태에 따라 야구경기 라이브 중계영상에 실시간으로 스트라이크 존(S) 및 이미지화된 볼 모양(B)을 표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100)은 서로 다른 시점에서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121)와 제2 카메라(122)를 구비하고, 운영서버(130)를 통해, 제1 카메라(121)와 제2 카메라(122)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스트라이크 존(S)을 통과하는 볼의 좌표를 추출하고, 스트라이크 존(S)을 기준으로 추출된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하며, 이 보정된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스트라이크 존(S)과 함께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투구 영상에 표출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100)은 투구된 볼이 스트라이크 또는 볼인지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어 하거나 심판의 콜이 맞는지 매 투구마다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싶어하는 야구에 열정적인 시청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구 입문자나 야구에 문외한인 시청자들의 호기심 또한 자극하여, 야구 중계방송에 대한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시간 표출시스템(100)을 야구경기 중계방송에 적용하게 되면, 시청자들에게 야구경기 시청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시청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실시간 표출시스템 110: 제1 촬영부
120: 제2 촬영부 121: 제1 카메라
122: 제2 카메라 130: 운영서버
131: 영상 수신부 132: 영상 처리부
133: 표출 제어부 134: 저장부
10: 야구경기장 11: 홈 플레이트
12: 투수 마운드 S: 스트라이크 존
B: 이미지화된 볼 모양

Claims (11)

  1. 야구경기장에 설치되어 야구경기를 다각도로 촬영하는 제1 촬영부;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홈 플레이트 상에 설정되는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할 때,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 추출을 위한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촬영부; 및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하는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추출 및 보정하여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볼의 좌표를 실시간으로 표출시키는 운영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1 촬영부 및 상기 제2 촬영부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영상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영상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좌표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해 촬영 각도에 따른 오류를 보정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전달되는 보정된 상기 볼의 좌표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표출하되, 표출되는 형태를 결정하는 표출 제어부; 및
    상기 볼의 좌표 및 상기 스트라이크 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부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를 포함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와 투수 마운드가 이루는 일직선상의 외야에 설치되어,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의 궤적을 추적 촬영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는 상기 홈 플레이트의 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투수에 의해 투구된 볼이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통과할 때의 타이밍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스트라이크 존을 촬영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카메라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를 이미지화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오버레이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를 그래픽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한 현재의 데이터 및 이전 데이터를 누적하여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표출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출 제어부는 상대 타자 별 상기 스트라이크 존 및 상기 볼의 좌표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실시간으로 비교 표출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야구경기 중계방송의 라이브 영상에 대한 촬영 각도가 변화된 경우, 상기 촬영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크 존의 표출 위치가 변화되도록 제어하는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KR1020160099935A 2016-08-05 2016-08-05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KR10170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35A KR101703317B1 (ko) 2016-08-05 2016-08-05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935A KR101703317B1 (ko) 2016-08-05 2016-08-05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317B1 true KR101703317B1 (ko) 2017-02-06

Family

ID=5810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935A KR101703317B1 (ko) 2016-08-05 2016-08-05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94A1 (ko) * 2018-11-16 2020-05-22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스트라이크 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10048050A (ko) * 2019-10-23 2021-05-0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계 영상을 활용한 야구 경기 분석 장치 및 방법과 요약 비디오 생성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20B1 (ko) 2011-05-09 2012-01-16 백건수 실시간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KR101164894B1 (ko) * 2010-05-28 2012-07-12 송지을 경기 참여자 관점의 야구공 영상생성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894B1 (ko) * 2010-05-28 2012-07-12 송지을 경기 참여자 관점의 야구공 영상생성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KR101105120B1 (ko) 2011-05-09 2012-01-16 백건수 실시간 스포츠 게임 시스템 및 스포츠 게임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1094A1 (ko) * 2018-11-16 2020-05-22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스트라이크 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00057484A (ko) * 2018-11-16 2020-05-26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스트라이크 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2149003B1 (ko) * 2018-11-16 2020-08-28 포디리플레이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스트라이크 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210048050A (ko) * 2019-10-23 2021-05-03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계 영상을 활용한 야구 경기 분석 장치 및 방법과 요약 비디오 생성 방법
KR102299459B1 (ko) 2019-10-23 2021-09-0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중계 영상을 활용한 야구 경기 분석 장치 및 방법과 요약 비디오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3523B2 (ja) 自動的にテレビ番組を制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6466275B1 (en) Enhancing a video of an event at a remote location using data acquired at the event
US8922718B2 (en) Key generation through spatial detection of dynamic objects
US105154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best-view image centered on object of interest in multiple camera images
JP2017531979A (ja) スポーツ競技場における視覚的な選手追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106404A (zh) 设备、方法和系统
KR100974638B1 (ko) 야구 경기 중계방송 시스템 및 방법
WO2018094443A1 (en) Multiple video camera system
AU2012203858B2 (en) Automatic camera identification from a multi-camera video stream
KR101291765B1 (ko) 실시간 중계방송을 위한 공 궤적 제공 시스템
KR101703317B1 (ko) 야구경기 중계방송에서의 실시간 표출시스템
CN103100204B (zh) 方法、设备以及程序
US20240104793A1 (en) Adding augmented reality to a sub-view of a high resolution central video feed
KR101215058B1 (ko) 중계방송을 위한 야구 피칭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164894B1 (ko) 경기 참여자 관점의 야구공 영상생성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기록매체
TW201607592A (zh) 判定方法及裝置
US20060007300A1 (en) Method of obtaining a succession of images in the form of a circling effect
US2021025849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serve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117238B1 (ko) 인공지능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스포츠 중계방송에서의 동영상 콘텐츠 제작 장치
KR102149005B1 (ko) 객체 속도 계산 및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200281Y1 (ko) 구기종목의 스포츠 중계시스템
KR101911528B1 (ko) 동영상 내 움직이는 대상의 모션데이터 산출 방법 및 시스템
JP2003008990A (ja) 映像補助効果生成装置および映像送信装置ならびに映像受信装置
KR20090039272A (ko) 방송 영상의 미니맵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50087093A (ko) 추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