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879B1 -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879B1
KR101702879B1 KR1020160101546A KR20160101546A KR101702879B1 KR 101702879 B1 KR101702879 B1 KR 101702879B1 KR 1020160101546 A KR1020160101546 A KR 1020160101546A KR 20160101546 A KR20160101546 A KR 20160101546A KR 101702879 B1 KR101702879 B1 KR 101702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door frame
door
smoke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케이디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101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 E05Y2800/416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high or low temperature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1Gases
    • G01N2291/0217Smoke, combustion gases

Landscapes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가 형성되는 문틀부와; 상기 문틀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부의 내주면과 설정된 갭을 형성하는 개폐되도록 배치되는 도어부와; 상기 문틀부의 다수 위치에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갭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갭 차단부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되는 상기 위치에 해당되는 갭에 기밀재를 도포하는 기밀재 도포부; 및 상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 차단부를 구동시켜, 상기 갭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밀재 도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SEALING STRUCTURE OF FIRE DOORS AND DOOR FRAME}
본 발명은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화재 발생 전 또는 화재 발생 진행 중에 실시간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방화문과 문틀의 틈새는 문틀에 끼워진 하나의 패킹으로 기밀이 유지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하나의 패킹으로 기밀을 유지하기에는 냉난방 부하의 손실과 소음차단을 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내외부 온도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로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 20-305980호에는 기 사용되는 하나의 패킹 이외에 방화문의 외측으로 모헤어를 끼움으로써 기밀유지와 냉난방 부하의 손실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는 소음차단이 쉽지 않고 특히 내외부 온도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20-246626에도 두 개의 패킹을 사용하여 밀폐와 차단성을 높임으로써 냉난방 부하의 손실 방지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기존의 방화문 후방에 패널을 부착함으로써 단열의 효과를 높이고 있으나, 소음 차단과 냉난방 부하의 손실은 어느 정도 차단하는 하는 한편 단열성을 높여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일을 뿐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방화문은 단순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염 및 연기가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씰 등을 사용하여 기밀을 유지하고 있으나, 씰이 녹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즉시 복구가 어렵고, 연기 및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어 추가적인 화재 발생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화재 발생 전 또는 화재 발생 진행 중에 실시간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시간으로 상기 갭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감시하고,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에서의 갭에 기밀재를 즉시 도포하여 연기가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는 개구(110)가 형성되는 문틀부(100)와;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부(100)의 내주면과 설정된 갭(G)을 형성하는 개폐되도록 배치되는 도어부(200)와; 상기 문틀부(100)의 다수 위치에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갭(G)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갭 차단부(300)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G)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되는 상기 위치에 해당되는 갭(G)에 기밀재를 도포하는 기밀재 도포부(600); 및 상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 차단부(300)를 구동시켜, 상기 갭(G)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밀재 도포부(6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는 4변을 이룬다.
4변을 이루는 상기 문틀부(100)의 내주부에는, 제 1대기홈들(120)이 형성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에서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제 2대기홈들(13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의 4변 외주부에는, 상기 제 1대기홈들(120)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1삽입홈들(21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의 4방 모서리에는, 상기 제 2대기홈들(130)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삽입홈들(220)이 형성된다.
상기 갭 차단부(300)는, 상기 제 1대기홈들(120)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갭을 차단하는 4개의 제 1차단부들(310)과, 상기 제 2대기홈들(310)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삽입홈(220)에 삽입되어 상기 갭(G)을 차단하는 4개의 제 2차단부들(32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차단부들(310) 각각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1축(312a)을 갖는 제 1실린더(312)와, 상기 제 1축(31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축(312a)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1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제 1차단판(311)을 구비한다.
상기 제 2차단부들(320) 각각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2축(322a)을 갖는 제 2실린더(322)와, 상기 제 2축(32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축(322a)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2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제 2차단판(32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은, 다수의 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설정된 냉각 온도로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을 냉각시키는 냉각 코일(미도시)이 매설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 주변 영역에는, 상기 갭(G)을 통해 누출되는 연기의 농도값을 감지하는 연기 센서들(400)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기밀재 도포부(600)는,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 주변 영역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610)과, 상기 레일(6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갭(G)으로 기밀재를 도포하는 도포관(621)을 갖는 도포 장치(620)와,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도포 장치(620)를 상기 레일(610)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640)와, 상기 도포 장치(620)로 기밀재를 공급하는 기밀재 공급기(6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500)에는, 상기 연기 센서들(400)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연기 센서들(400) 중, 연기의 농도값이 감지되는 연기 센서(400)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이동 모터(640)를 사용하여 상기 도포 장치(620)를 이동 위치시키고, 상기 기밀재 공급기(630)를 사용하여 기밀재를 상기 도포 장치(620)로 공급한다.
상기 기밀재는, 상기 도포 장치(620)의 도포관(621)을 통해 상기 도포 장치(620)가 이동된 위치에서의 갭(G)으로 설정된 양으로 도포된다.
본 발명은,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화재 발생 전 또는 화재 발생 진행 중에 실시간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상기 갭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감시하고,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에서의 갭에 기밀재를 즉시 도포하여 연기가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기밀재 도포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도포 장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기밀재 도포부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도포 장치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는 개구(110)가 형성되는 문틀부(100)와;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부(100)의 내주면과 설정된 갭(G)을 형성하는 개폐되도록 배치되는 도어부(200)와; 상기 문틀부(100)의 다수 위치에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갭(G)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갭 차단부(300)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G)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되는 상기 위치에 해당되는 갭(G)에 기밀재를 도포하는 기밀재 도포부(600); 및 상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 차단부(300)를 구동시켜, 상기 갭(G)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밀재 도포부(60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는 4변을 이룬다.
4변을 이루는 상기 문틀부(100)의 내주부에는, 제 1대기홈들(120)이 형성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에서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제 2대기홈들(13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의 4변 외주부에는, 상기 제 1대기홈들(120)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1삽입홈들(210)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200)의 4방 모서리에는, 상기 제 2대기홈들(130)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삽입홈들(220)이 형성된다.
상기 갭 차단부(300)는, 상기 제 1대기홈들(120)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삽입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갭을 차단하는 4개의 제 1차단부들(310)과, 상기 제 2대기홈들(310)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삽입홈(220)에 삽입되어 상기 갭(G)을 차단하는 4개의 제 2차단부들(32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차단부들(310) 각각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1축(312a)을 갖는 제 1실린더(312)와, 상기 제 1축(31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축(312a)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1삽입홈(210)에 삽입되는 제 1차단판(311)을 구비한다.
상기 제 2차단부들(320) 각각은, 상기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2축(322a)을 갖는 제 2실린더(322)와, 상기 제 2축(322a)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축(322a)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2삽입홈(220)에 삽입되는 제 2차단판(321)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은, 다수의 겹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설정된 냉각 온도로 상기 제 1차단판(311)과 상기 제 2차단판(321)을 냉각시키는 냉각 코일(미도시)이 매설된다.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 주변 영역에는, 상기 갭(G)을 통해 누출되는 연기의 농도값을 감지하는 연기 센서들(400)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기밀재 도포부(600)는, 상기 문틀부(100)의 개구(110) 주변 영역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610)과, 상기 레일(610)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갭(G)으로 기밀재를 도포하는 도포관(621)을 갖는 도포 장치(620)와, 상기 제어부(500)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도포 장치(620)를 상기 레일(610)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640)와, 상기 도포 장치(620)로 기밀재를 공급하는 기밀재 공급기(63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기(500)에는, 상기 연기 센서들(400)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연기 센서들(400) 중, 연기의 농도값이 감지되는 연기 센서(400)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이동 모터(640)를 사용하여 상기 도포 장치(620)를 이동 위치시키고, 상기 기밀재 공급기(630)를 사용하여 기밀재를 상기 도포 장치(620)로 공급한다.
상기 기밀재는, 상기 도포 장치(620)의 도포관(621)을 통해 상기 도포 장치(620)가 이동된 위치에서의 갭(G)으로 설정된 양으로 도포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방화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되는 갭을 화재 발생 전 또는 화재 발생 진행 중에 실시간으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실시간으로 상기 갭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감시하고,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에서의 갭에 기밀재를 즉시 도포하여 연기가 지속적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문틀부
200 : 도어부
300 : 기밀재 도포부
400 : 연기 센서
500 : 제어부

Claims (4)

  1. 개구가 형성되는 문틀부;
    상기 문틀부의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문틀부의 내주면과 설정된 갭을 형성하는 개폐되도록 배치되는 도어부;
    상기 문틀부의 다수 위치에 돌출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갭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갭 차단부;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에서 연기가 누출되는 위치를 확인하여, 확인되는 상기 위치에 해당되는 갭에 기밀재를 도포하는 기밀재 도포부; 및
    상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갭 차단부를 구동시켜, 상기 갭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기밀재 도포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틀부의 개구는 4변을 이루고,
    4변을 이루는 상기 문틀부의 내주부에는, 제 1대기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문틀부의 개구에서의 사방 모서리부에는 제 2대기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의 4변 외주부에는, 상기 제 1대기홈들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1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부의 4방 모서리에는, 상기 제 2대기홈들 각각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 2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갭 차단부는,
    상기 제 1대기홈들에 배치되며, 상기 제 1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갭을 차단하는 4개의 제 1차단부들과,
    상기 제 2대기홈들에 배치되며, 상기 제 2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갭을 차단하는 4개의 제 2차단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문틀부의 개구 주변 영역에는, 상기 갭을 통해 누출되는 연기의 농도값을 감지하는 연기 센서들이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상기 기밀재 도포부는, 상기 문틀부의 개구 주변 영역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갭으로 기밀재를 도포하는 도포관을 갖는 도포 장치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도포 장치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모터와, 상기 도포 장치로 기밀재를 공급하는 기밀재 공급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연기 센서들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 센서들 중, 연기의 농도값이 감지되는 연기 센서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상기 이동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도포 장치를 이동 위치시키고, 상기 기밀재 공급기를 사용하여 기밀재를 상기 도포 장치로 공급하고,
    상기 기밀재는, 상기 도포 장치의 도포관을 통해 상기 도포 장치가 이동된 위치에서의 갭으로 설정된 양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단부들 각각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와, 상기 제 1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1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1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차단부들 각각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신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와, 상기 제 2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축의 신축 동작에 따라 해당 제 2삽입홈에 삽입되는 제 2차단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차단판과 상기 제 2차단판은, 다수의 겹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차단판과 상기 제 2차단판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설정된 냉각 온도로 상기 제 1차단판과 상기 제 2차단판을 냉각시키는 냉각 코일이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KR1020160101546A 2016-08-10 2016-08-10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KR101702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46A KR101702879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46A KR101702879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879B1 true KR101702879B1 (ko) 2017-02-22

Family

ID=5831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46A KR101702879B1 (ko) 2016-08-10 2016-08-10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8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556A (zh) * 2018-06-15 2018-09-18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CN110318643A (zh) * 2019-06-28 2019-10-11 曹红宇 一种岗亭安防窗户
KR102346609B1 (ko) * 2021-07-26 2022-01-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 단열 패널 시스템
CN116163638A (zh) * 2023-03-15 2023-05-26 惠州合雅木业有限公司 一种环保生态高强度防火门及门框
KR102668055B1 (ko) * 2023-04-25 2024-05-22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현관문 다기능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383A (ja) * 2002-08-07 2004-03-04 Morihiro Saito 昇降路煙密閉封止装置
KR20050079609A (ko) * 2004-02-14 2005-08-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제연기능성 방화문
KR101434968B1 (ko) * 2014-03-24 2014-09-23 (주)라인종합건축사사무소 방연막을 구비한 건물 방화문
KR101596913B1 (ko) * 2015-07-13 2016-02-23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연 및 배연 기능을 갖는 방화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383A (ja) * 2002-08-07 2004-03-04 Morihiro Saito 昇降路煙密閉封止装置
KR20050079609A (ko) * 2004-02-14 2005-08-10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제연기능성 방화문
KR101434968B1 (ko) * 2014-03-24 2014-09-23 (주)라인종합건축사사무소 방연막을 구비한 건물 방화문
KR101596913B1 (ko) * 2015-07-13 2016-02-23 (주)정림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방연 및 배연 기능을 갖는 방화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47556A (zh) * 2018-06-15 2018-09-18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CN108547556B (zh) * 2018-06-15 2024-03-19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CN110318643A (zh) * 2019-06-28 2019-10-11 曹红宇 一种岗亭安防窗户
KR102346609B1 (ko) * 2021-07-26 2022-01-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축물 외벽 단열 패널 시스템
CN116163638A (zh) * 2023-03-15 2023-05-26 惠州合雅木业有限公司 一种环保生态高强度防火门及门框
CN116163638B (zh) * 2023-03-15 2023-09-05 惠州合雅木业有限公司 一种环保生态高强度防火门及门框
KR102668055B1 (ko) * 2023-04-25 2024-05-22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과 건축물의 현관문 다기능 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2879B1 (ko) 건축 방화문 및 문틀의 기밀 구조
ATE373701T1 (de) Klimatisierter lagerschrank
KR20160095128A (ko) 개선된 밀봉을 갖는 이중 글레이징
JP2008145416A (ja) 気密性実験方法およびその気密性実験設備
KR200492197Y1 (ko) 현관 방화문 장치
KR101544981B1 (ko) 창문의 기밀장치
KR102277154B1 (ko) 기밀 방화 자동문의 불연 개스킷 설치구조
KR20180003095A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KR102394291B1 (ko) 실내로 코킹 부위가 노출되지 않는 창호 조립체
KR101277683B1 (ko) 고기밀성능과 고단열성능을 가진 창문구조
JP3274083B2 (ja) シール構造
KR20130033065A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20150042420A (ko) 결로방지 창호
KR102285693B1 (ko) 건축물 단열 외벽체 복합구조물
KR101941697B1 (ko)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NL2021967B9 (en) Insert unit, insulated glass unit comprising said insert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insulated glass unit
KR102017666B1 (ko)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US8869838B2 (en) Insulating plug for air conditioning sleeves
JP2017015301A (ja) 断熱開口部の開閉装置
US20220154523A1 (en) Encapsulated oven window pack
KR101577636B1 (ko) 슬라이드 창호의 기밀 구조
KR102353932B1 (ko) 압력차 제어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KR101663785B1 (ko) 밀착 신뢰도가 개선된 패킹부재를 포함하는 열처리장치
US11761262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cessive gaps of a door bottom
KR200487218Y1 (ko) 유리고정태를 이용한 외풍차단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