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420A - 결로방지 창호 - Google Patents

결로방지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420A
KR20150042420A KR20130121023A KR20130121023A KR20150042420A KR 20150042420 A KR20150042420 A KR 20150042420A KR 20130121023 A KR20130121023 A KR 20130121023A KR 20130121023 A KR20130121023 A KR 20130121023A KR 20150042420 A KR20150042420 A KR 20150042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rame
heating
heating wir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093B1 (ko
Inventor
이승중
윤영배
김준우
오명석
김차남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3012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04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로방지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유리와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창호의 오염을 방지하는 결로방지 창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선은 상기 고정테 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로방지 창호 {Anti-condensation windows}
본 발명은 결로방지 창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하고, 유리와 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가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창호의 오염을 방지하는 결로방지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호는 실내공간 그 자체를 서로 구분하기 위해 설치하는 장지(障子)나 맹장지(盲障子) 등과 같이 개폐(開閉) 및 탈착(脫着)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가동성(可動性) 공작물을 말하기도 한다.
창호의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기상변화 또는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실내를 지키는 것이며, 외부의 소음이나 내부의 빛, 소리의 차단이다.
즉, 창에 있어서는 보통 통풍이나 환기 또는 채광을 하며, 또한 창을 닫음으로써 창의 안팎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거나, 출입구 등의 문으로 사람이나 물체가 통과하지만 반대로 폐쇄할 때는 소리나 바람 또는 비를 막는 성능을 갖도록 상반되는 두 기능을 한다.
창호는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와 금속제 창호로 분류되며, 종류도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프레임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또 양식에 따라 동양식과 서양식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호는, 프레임(1)과, 프레임(1)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유리(2)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2)를 상기 프레임(1)에 고정시, 밀폐시키기 위해 패킹이나 실리콘(A) 등으로 밀폐시켰다.
그러나 도 1과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창호는 겨울철과 같이 실내의 온도가 실외의 온도보다 높을 때에는 실내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올라가 이슬점에 이루면서 실내의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어 실외와 접한 유리(2)의 내측면에 맺히게 되는 결로(結露, dew condensation)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프레임(1)과 유리(2)를 밀폐시키는 패킹이나 실리콘(A) 및 창호 주변의 벽체 등에 습기를 좋아하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서식하여 창호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창호의 일예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7704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 내측면의 테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증발시키도록 유리의 테두리부분을 가열하여 결로를 방지함으로써, 프레임과 유리를 밀폐시키는 패킹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 등이 서식하지 못하게 하여 창호의 오염을 방지하는 결로방지 창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선은 상기 고정테 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구성의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와 상기 고정테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선은 고정테에 의해 상기 유리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구성의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복수개의 상기 유리는 간봉시키며, 상기 가열선은 상기 유리 테두리의 간봉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결로방지 창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가열선이 상기 유리의 테두리에 장착되어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함으로써, 유리 내측면의 테두리에서 발생하는 결로를 증발시켜 프레임과 유리를 밀폐시키는 패킹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가 서식하지 못하게 하여 창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열선이 상기 유리의 테두리만 가열하도록 함으로써, 유리 전체에 장착하는 것보다 재료비가 적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가열선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가열선의 다른 형태를 보인 일부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가열선의 다른 형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이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20)와;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고정테(40)와; 상기 유리(20)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2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선(40)은 상기 고정테(4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40)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1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의 형태를 이루는 골격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할 때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테(40)를 사용하여 팽킹(A) 또는 실리콘으로 밀봉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상기 유리(20) 테두리부분을 가열한다.
이러한 상기 가열선은 상기 유리(2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테(4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40)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유리(20)의 테두리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결로에 의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유리(20)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기 고정테(40)의 패킹(A)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가열선(30)은 열선(Heating Cable)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열선은 공지의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자율제어형 열선(Self Regulating Heating Cable)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율제어형 열선이란,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연속적 병렬회로 구조를 갖는 특수한 발열체로서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 내부 저항을 스스로 제어하여 발열량을 자동적으로 증감시키도록 설계된 케이블이다.
이와 같이 가열선(30)을 자율제어형 열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율제어형이며 타 방식의 히터보다 에너지 소모가 적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열전달이 가능하며, 현장 여건에 맞춰 가공, 절단 및 연결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겹쳐서 설치하여도 과열이나 화재의 우려가 없으며, 재질이 유연하여 시공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가열선(30)은 히팅패브릭(Heating fabric)으로 이루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히팅패브릭은 카본발열사(탄소섬유)로 면 또는 혼합사에 코팅시켜 발열되는 형태로 두께가 1mm이내로 얇아 상기 유리(20)에 적용하기 접합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도시되지 않음)와; 실내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이슬점보다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유리(20) 표면의 온도가 같거나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가열선(30)을 가열하는 제어부(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부(도시되지 않음)는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유리(20) 표면의 온도와 실내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이슬점과 비교하여 이슬점보다 유리(20) 표면의 온도가 같거나 낮게 되면, 상기 가열선(30)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50)가 이슬점과 유리(20) 표면을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유리(20) 표면에 결로가 생기는 온도차이가 발생하면 상기 가열선(30)을 가열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건전지 등이 수납되도록 하여 상기 가열선(3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가열선(30)을 가열하기 위한 전원을 외부에서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 전체에 장착할 수도 있지만, 도 4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리(20) 테두리의 모서리부분의 장착하고, 전선(31)에 의해 상호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의 형성하고, 상호 전선(31)에 의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게 되면서 크기가 다른 창호에 쉽고 간단하게 상기 유리(20)에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할 수 있다.
즉, 창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듈화로 이루어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모서리 부분의 테두리에 장착한 후, 전선(31)으로 서로 연결하면 간단하게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 1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설치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한 상기 고정테(40)의 내측에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고정테(40)와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40)와 평행하게 접착제 등을 통해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센서부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이미 창호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별도로 부착하거나, 상기 프레임(10)에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장착한다.
이와 달리 상기 창호가 설치되지 전이라면, 미리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상기 제어부(50)를 장착하면서 추후, 상기 센서부와, 상기 가열선(30)과 연결할 수 있는 단자 등을 연결한 후, 창호를 설치한다.
이후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이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유리(20)의 테두리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해 결로에 의해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유리(20) 사이를 밀폐시키는 상기 고정테(40)의 패킹(A)이나 실리콘 및 창호 주변의 벽체에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선(30)을 미리 시공된 창호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상기 가열선(30)을 필요할 때에는 가열함으로써, 전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열선(30)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가열선(30)을 설치시,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한 상기 고정테(40)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고정테(40)와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40)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의 모서리부분에 접착제 등을 통해 장착한다.
그런 다음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전선(31)으로 서로 연결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시켜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써, 창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는 순서는 작업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과(10);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20)와; 상기 유리(1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고정테(40)와; 상기 유리(20)와 상기 고정테(4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유리(10)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상기 유리(20)에 밀착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2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고정테(40)와 상기 유리(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테(40)의 결합시, 상기 유리(20)에 밀착 고정되는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키 때, 그 사이에 배치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상기 유리(20)에 밀착고정된다.
즉, 실시예 1에서는 건축물에 창호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 즉,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하였지만,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와 상기 고정테(40)의 사이에 상기 가열선(30)을 배치시켜 상기 고정테(40)가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면서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밀착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테(40)가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에 밀착고정시키면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장착하기 위해 접착제 등이 필요하지 않다.
한편, 실시예 1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도시되지 않음)와; 실내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이슬점보다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유리(20) 표면의 온도가 같거나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가열선(30)을 가열하는 제어부(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에서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 전체에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상기 유리(20)에 밀찰고정되게 할 수도 있지만, 도 7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리(20)의 모서리부분에 배치시키고, 전선(31)에 의해 상호 연결한 다음 상기 고정테(40)로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에 밀착 고정시키면서 상기 전선(31)도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의 형성하고, 상기 전선(31)에 의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게 되면서 크기가 다른 창호에 상기 고정테(40)로 쉽고 간단하게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고정테(40)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 2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설치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에 개구부에 상기 유리(20)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유리(20)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테(40)로 고정하기 전에 상기 고정테(40)와 상기 유리(20)의 테두리 사이에 상기 가열선(30)을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면서 상기 고정테(40)가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와 상기 고정테(40) 사이에 배치된 상기 가열선(30)이 상기 유리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센서부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미리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상기 제어부(50)를 장착한다.
이후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가열선(3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고, 별도의 접착제 없이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선(30)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기 전에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유리(20)와 상기 고정테(40) 사이에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전선(31)으로 서로 연결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여 서로 연결시킨 다음,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키면서 상기 유리(20)에 밀착 고정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20)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써, 창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상기 가열선(3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는 순서는 작업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리(20)와;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는 고정테(40)와; 상기 유리(20)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복수개의 상기 유리(20)는 간봉시키며,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유리(20) 테두리의 간봉면(21)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실시예 3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를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3에서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유리(2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간봉면(21)에 상기 가열선(30)이 장착되는 것만 다른바,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유리(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복수개의 유리(20)는 유리(20)와 유리(20) 사이의 빈 공간을 만들어 열전도를 낮추기 위한 간봉을 실시한다.
여기서 간봉은 유리(20)와 유리(20) 사이의 테두리를 특정 물질로 밀폐하는 작업이다.
상기 가열선(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20) 테두리의 간봉면(21)에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가열선(30)은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유리(20)를 장착하기 전에, 복수의 유리(20)를 간봉한 후, 상기 유리(20)의 간봉면(21)에 가열선(30)을 장착한 다음, 상기 유리(20)를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하여 장착한다.
즉, 본 실시예 3에서의 상기 가열선(30)은 실시예 1,2와 달리 상기 유리(20)의 테두리 외주연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간봉면(21)에 장착함으로써, 내측과 외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유리(20)를 가열하여 결로가 생기는 것을 막아줌과 동시에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으며, 특히 간봉에 의해 유리와 유리 사이에 있는 공기를 가열시킴으로써, 보다 결로가 생기는 것을 효율적으로 맞아 주게 된다.
한편, 실시예 1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도시되지 않음)와; 실내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이슬점보다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유리(20) 표면의 온도가 같거나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가열선(30)을 가열하는 제어부(5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3에서도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유리(20)의 간봉면(21) 전체에 장착할 수도 있지만, 도 9에 도시되 바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유리(20)의 모서리부분의 간봉면(21)에 배치시키고, 전선(31)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유리(20)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0)을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의 형성하고, 상기 전선(31)에 의해 상호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모듈화를 이루게 되면서 크기가 다른 창호에 쉽고 간단하게 상기 가열선(30)을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유리(2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간봉되며, 상기 가열선(30)을 상기 간봉면(21)에 장착한 다음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유리(20)를 상기 고정테(40)로 고정시키는 것만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상기 실시예 1과 같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예 3에 따른 결로방지 창호의 설치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의 상기 유리(20)를 간봉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간봉면(21)에 상기 가열선(30)을 접착시킨 후,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상기 유리(20)를 위치시키고,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20)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센서부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미리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장착한다.
이후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를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하게 되면, 상기 가열선(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간봉면(21)을 가열하기 때문에 유리와 유리 사이의 공기를 가열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결로를 방지해 준다.
한편, 상기 가열선(30)이 도 9에 도시된 같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간봉된 상기 유리(20)를 상기 고정테(10)의 개구부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유리(20)의 테두리 모서리의 간봉면(21)에 접착시킨 다음,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을 전선(31)으로 상호 연결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유리(20)의 간봉면(21)에 상기 "L"자 형상의 상기 가열선(30)이 설치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의 개구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테(40)로 상기 유리(20)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여 서로 서로 연결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선(31)이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으써, 창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유리(20)의 테두리에 상기 가열선(30)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선(30), 상기 센서부, 상기 제어부(50)를 설치하는 순서는 작업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인 결로방지 창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프레임 20: 유리 21: 간봉면
30: 가열선 31: 전선 40: 고정테
50: 제어부 A: 패킹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리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선은 상기 고정테 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고정테와 평행하게 상기 유리의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2.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와 상기 고정테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선은 고정테에 의해 상기 유리에 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유리와;
    상기 유리를 상기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테와;
    상기 유리의 테두리를 가열하는 가열선;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복수개의 상기 유리는 간봉시키며,
    상기 가열선은 상기 유리 테두리의 간봉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의 표면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실내의 온도 및 상대습도를 측정하여 계산된 이슬점보다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유리표면의 온도가 같거나 낮을 경우에는 상기 가열선을 가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선은 일정한 크기의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리의 테두리의 모서리부분에 장착되고, 전선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선은 열선(Heating cabl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선은 히팅패브릭(Heating fabric)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선(Heating cable)은 자율제어형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방지 창호.
KR1020130121023A 2013-10-11 2013-10-11 결로방지 창호 KR10184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23A KR101844093B1 (ko) 2013-10-11 2013-10-11 결로방지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023A KR101844093B1 (ko) 2013-10-11 2013-10-11 결로방지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420A true KR20150042420A (ko) 2015-04-21
KR101844093B1 KR101844093B1 (ko) 2018-03-30

Family

ID=5303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023A KR101844093B1 (ko) 2013-10-11 2013-10-11 결로방지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186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고열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1981178B1 (ko) 2018-07-20 2019-05-2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단열재를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2603833B1 (ko) * 2020-12-11 2023-11-21 주식회사 엘엑스글라스 결로방지용 발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81B1 (ko) * 2004-01-03 2006-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KR100877355B1 (ko) * 2007-12-14 2009-01-07 주식회사 에이엠오 스트립형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동파방지용 히터 및 그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093B1 (ko) 201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94864A (ja) 熱線が具備された複層ガラス窓戸
KR20140015873A (ko) 커튼월
EP2882920B1 (en) Energy efficient fenestration assembly
KR101844093B1 (ko) 결로방지 창호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101465508B1 (ko) 단열 창호
KR101285300B1 (ko) 창 구조물
KR101600974B1 (ko) 다기능 스마트 파사드 모듈 및 이를 적용한 건축 구조물
KR101876516B1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KR101219849B1 (ko) 건축물용 창호부의 열전달 차단구조
KR101395139B1 (ko)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KR101599729B1 (ko) 무결로 기능성 도어
KR102108081B1 (ko) 모듈형 외피
KR20210023039A (ko) 미서기창호
KR20170045915A (ko) 공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커튼월
US20180179760A1 (en) Vented Skylight
KR20120108270A (ko) 결로 방지부를 구비한 창호
KR200418541Y1 (ko) 건축물용 이중창의 가열장치
KR101523474B1 (ko) 면상발열체장치를 이용한 알루미늄 창호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1697B1 (ko)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CN106088978A (zh) 一种多功能型活动窗
KR20210097245A (ko) 모듈형 외피 구조
RU93865U1 (ru) Светопрозрач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арианты)
KR102320216B1 (ko) 축열용 창호 시스템
CN201386468Y (zh) 一种用于窗户的节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