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5300B1 - 창 구조물 - Google Patents

창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5300B1
KR101285300B1 KR1020120143794A KR20120143794A KR101285300B1 KR 101285300 B1 KR101285300 B1 KR 101285300B1 KR 1020120143794 A KR1020120143794 A KR 1020120143794A KR 20120143794 A KR20120143794 A KR 20120143794A KR 101285300 B1 KR101285300 B1 KR 10128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lug
spacer
glass
heat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철웅
Original Assignee
최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웅 filed Critical 최철웅
Priority to KR102012014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5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내부에 열선이 구비되어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은 복층유리(20)의 스페이서(22)에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에 의해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이 가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열선(24)이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복층유리(2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어,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창 구조물{window}
본 발명은 복층유리의 내부에 열선이 구비되어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에 설치된 창 구조물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A)과, 상기 창틀(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B)으로 이루어진 미닫이 방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창틀(A)은 상하측에 레일이 형성된 사각 틀형태로 구성된 벽면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창문(B)은 사각틀형태로 구성된 창문프레임(10)과, 상기 창문프레임(10)에 결합되는 복층유리(20)로 구성되며,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창틀(A)의 레일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복층유리(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유리판(21)과, 길이가 긴 봉을 상기 유리판(21)의 테두리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22)와, 상기 유리판(21)의 둘레부에 도포되어 유리판(21)의 둘레부를 밀봉하는 실런트(23)로 구성된 것으로, 일반적인 홑겹 유리에 비해 단열성능과 방음성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창문(B)중에서 일부는 상기 창틀(A)에 고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층유리(20)를 이용하여 제작된 창문(B)일지라도 겨울철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가 심하게 차이가 날 경우, 창문(B)에 결로가 발생되거나 서리가 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이러한 창문의 경우 단열효과가 충분치 않으므로,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창문이 이중으로 배치된 이중창으로 설치하여야 함으로,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창구조물에 의해 실내공간이 침식되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특허 10-0628981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 내측면에 열선(24)을 배치하여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을 가열하여 습기나 서리를 제거하도록 된 창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창호는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에 열선(24)이 구비되어 외측에서 볼 대 열선(24)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온이 낮은 겨울이나 장마철에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고,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창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이중창을 사용하지 않고 단일창으로 된 창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A)과, 복층유리(20)가 구비되며 상기 창틀(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B)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층유리(20)는 한 쌍의 유리판(21)과, 길이가 긴 봉을 상기 유리판(21)의 테두리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22)와, 상기 유리판(21)의 둘레부에 도포되어 유리판(21)의 둘레부를 밀봉하는 실런트(23)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2)에는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2)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24)은 상기 스페이서(22)의 내부에 스페이서(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2a)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2)는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바(22b)와,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22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열선(24)이 삽입되는 오목홈(22d)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부재(22c)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방향 폭(W1)은 상기 지지바(22b)의 폭(W2)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실런트(23)가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과 유리판(21)의 내측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창문(B)과 창틀(A)에는 상기 열선(24)과 전원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콘센트(30)와 플러그(40)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0)와 플러그(40)를 통해 상기 열선(2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콘센트(30)는 상기 창틀(A)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40)는 상기 콘센트(30)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문(B)의 닫히는 쪽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30)의 외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4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플러그(4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공(4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40)의 외측에 플러그(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 방수부재(43)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에 연결되어 제2 방수부재(43)가 플러그(40)의 선단부 쪽으로 전진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4)를 더 포함하며,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의 인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오목부(31b)와 돌출부(43b)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은 복층유리(20)의 스페이서(22)에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에 의해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이 가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열선(24)이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복층유리(2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어,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코니 확장세대의 경우, 종래의 이중창을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단일창의 창 구조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넓은 실생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창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 부분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창 구조물에 사용되는 종래의 복층유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을 도시한 정면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에 사용되는 복층유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콘센트와 플러그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콘센트와 플러그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방수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에 사용되는 복층유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 구조물벽면에 설치되는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A)과, 복층유리(20)가 구비되며 상기 창틀(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B)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층유리(20)는 한 쌍의 유리판(21)과, 길이가 긴 봉을 상기 유리판(21)의 테두리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22)와, 상기 유리판(21)의 둘레부에 도포되어 유리판(21)의 둘레부를 밀봉하는 실런트(23)로 구성된 것은 종래의 창 구조물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22)에는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2)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24)은 상기 스페이서(22)의 내부에 스페이서(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2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2)는 복층유리(20)의 테두리 4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선(24) 역시 복층유리(20)의 4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열선(24)이 삽입된 스페이서(22)를 상기 유리판(21)의 테두리부에 대응되는 사이즈의 사각틀 형상으로 조립하고, 상기 스페이서(22)의 양측면에 유리판(21)을 밀착시킨 후, 유리판(21)의 둘레부에 실런트(23)를 도포하여 복층유리(20)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런트(23)는 유기질계의 겔상태의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도 5와 도 5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문(B)과 창틀(A)에는 상기 열선(24)과 전원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콘센트(30)와 플러그(40)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0)와 플러그(40)를 통해 상기 열선(2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콘센트(30)는 상기 창틀(A)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40)는 상기 콘센트(30)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문(B)의 닫히는 쪽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콘센트(30)는 전원선에 의해 전원(32)에 연결되는 것으로, 외부에는 제1방수부재(31)가 결합된다.
상기 제1방수부재(31)는 상기 플러그(4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것으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방수부재(31)는 상기 창틀(A)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1)의 외측에 위치되어, 창문(B)을 닫으면 상기 플러그(40)가 상기 개구부(1)를 통해 상기 관통공(31a)에 끼워져 상기 콘센트(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40)는 창문(B)의 닫히는 쪽 측면에 상기 콘센트(30)와 마주보도록 구비된 케이스(41)에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41)는 창문(B)이 닫히는 쪽 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40)는 기단부가 상기 케이스(41)의 내부면에 고정된 상태로 연결선(42)을 통해 상기 열선(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40)의 외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된 제2 방수부재(43)가 결합된다.
상기 제2 방수부재(43)는 상기 플러그(4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공(4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40)에 외측에 플러그(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탄성부재(44)에 의해 플러그(40)의 단부쪽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상기 탄성부재(44)는 제2 방수부재(43)와 케이스(41)의 사이에 구비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의 인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오목부(31b)와 돌출부(43b)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40)가 관통공(31a)에 끼워져 콘센트(30)에 연결될 때, 상기 오목부(31b)와 돌출부(43b)가 상호 맞물려 제2 방수부재(43)와 제1방수부재(31)가 상호 수밀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B)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리는 방향으로 밀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40)와 콘센트(30)가 상호 분리되어 상기 열선(24)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제2 방수부재(43)는 상기 탄성부재(44)에 의해 플러그(40)의 선단부 쪽으로 밀려 전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플러그(40)가 탄성부재(44)에 의해 가려진다.
그리고,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문(B)을 닫히는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2 방수부재(43)와 제1방수부재(31)의 단부가 상호 밀착되며, 도 9의 (b)d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창문(B)을 더욱 밀면, 상기 제2 방수부재(43)는 정지된 상태에서, 플러그(40)만 전진되어 상기 제1방수부재(31)의 관통공(31a)에 삽입되어 상기 콘센트(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 구조물은 복층유리(20)의 스페이서(22)에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하고, 가열된 공기에 의해 복층유리(20)의 유리판(21)이 가열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열선(24)이 보이지 않을 뿐 아니라, 복층유리(20)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어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창문을 이중창으로 구성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단열효과를 얻어서 창문에 의해 실내공간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중창을 설치함에 따라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22)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24)은 상기 스페이서(22)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2a)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2) 전체가 가열되어 발열면적이 증가되므로, 복층유리(20) 내부의 공기를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창문(B)과 창틀(A)에는 상기 열선(24)과 전원에 각각 연결되는 콘센트(30)와 플러그(40)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0)와 플러그(40)를 통해 상기 열선(2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창문(B)을 열었을 때, 불필요하게 상기 열선(24)에 전원이 인가되어 불필요하게 전기를 소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40)에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 방수부재(43)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콘센트(30)의 외부에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방수부재(31)가 결합된다.
따라서, 창문(B)을 열 때, 상기 제2 방수부재(43)가 전진되어 플러그(40) 전체를 가리게 되므로, 플러그(40)를 보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겨울에 플러그(40)에 결로가 발생되어 플러그(40)를 콘센트(30)에 연결할 때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의 인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오목부(31b)와 돌출부(43b)가 각각 형성되어, 콘센트(30)에 플러그(40)가 연결될 때 상기 오목부(31b)와 돌출부(43b)에 의해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의 단부가 수밀하게 연결되어,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전원선 또는 연결선(42)의 중간부에 별도의 전원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상기 열선(24)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틀(A)에 별도의 환기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환기구멍에 별도의 댐퍼를 구비하여, 창문(B)을 열지 않고 환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페이서(22)는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바(22b)와, 길이가 긴 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22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열선(24)이 삽입되는 오목홈(22d)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부재(22c)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2b)는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2c)는 상기 지지바(22b)의 외측면에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방향 폭(W1)은 상기 지지바(22b)의 폭(W2)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실런트(23)가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과 유리판(21)의 내측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접착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창 구조물을 상기 스페이서(22)가 지지바(22b)와 지지바(22b)의 외측면에 구비된 커버부재(22c)로 구성되어, 상기 커버부재(22c)에 구비된 오목홈(22d)에 열선(24)을 삽입설치할 수 있음으로, 상기 열선(24)이 결합되는 결합공(22a)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페이서(22)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방향 폭(W1)은 상기 지지바(22b)의 폭(W2)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실런트(23)가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과 유리판(21)의 내측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접착고정되므로, 스페이서(22)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22c)의 폭(W1)은 상기 지지바(22b)의 폭(W2)과 동일하게 구성될 경우, 상기 실런트(23)가 커버부재(22c)에 의해 막혀 지지바(22b)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커버부재(22c)만이 고정되므로, 시간이 지나서 커버부재(22c)와 지지바(22b)가 분리되어 열선(24)이 지지바(22b)로부터 이격되어 열선(24)에서 발생된 열이 지지바(22b)로 전달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런트(23)가 커버부재(22c) 양측의 틈으로 유입되어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유리판(21)에 고정됨으로, 커버부재(22c)와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함께 고정되어, 커버부재(22c)와 지지바(22b)가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창틀 B. 창틀
10. 창문프레임 20. 복층유리
30. 콘센트 40. 플러그

Claims (5)

  1. 벽면에 설치되는 창틀(A)과,
    복층유리(20)가 구비되며 상기 창틀(A)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창문(B)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층유리(20)는
    한 쌍의 유리판(21)과,
    길이가 긴 봉을 상기 유리판(21)의 테두리형태에 대응되도록 배치하여 구성되며 상기 유리판(21)의 사이에 구비되는 스페이서(22)와,
    상기 유리판(21)의 둘레부에 도포되어 유리판(21)의 둘레부를 밀봉하는 실런트(23)로 구성된 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2)에는 열선(24)이 구비되어 복층유리(20)의 내부에 갇힌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되며,
    상기 스페이서(22)는
    길이가 긴 바형태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바(22b)와,
    길이가 긴 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22b)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열선(24)이 삽입되는 오목홈(22d)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부재(22c)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방향 폭(W1)은 상기 지지바(22b)의 폭(W2)에 비해 좁게 구성되어,
    상기 실런트(23)가 상기 커버부재(22c)의 양측과 유리판(21)의 내측면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상기 지지바(22b)가 실런트(23)에 의해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2)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열선(24)은 상기 스페이서(22)의 내부에 스페이서(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2a)의 내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B)과 창틀(A)에는 상기 열선(24)과 전원에 각각 연결되며 상호 전기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콘센트(30)와 플러그(40)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30)와 플러그(40)를 통해 상기 열선(24)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30)는 상기 창틀(A)에 구비되고,
    상기 플러그(40)는 상기 콘센트(30)와 마주보도록 상기 창문(B)의 닫히는 쪽 측면에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콘센트(30)의 외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40)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공(31a)이 형성된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플러그(40)가 결합되는 슬라이드공(43a)이 양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40)의 외측에 플러그(4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의 제2 방수부재(43)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에 연결되어 제2 방수부재(43)가 플러그(40)의 선단부 쪽으로 전진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44)를 더 포함하며,
    제1방수부재(31)와 상기 제2 방수부재(43)의 인접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오목부(31b)와 돌출부(43b)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구조물.
KR1020120143794A 2012-12-11 2012-12-11 창 구조물 KR10128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94A KR101285300B1 (ko) 2012-12-11 2012-12-11 창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794A KR101285300B1 (ko) 2012-12-11 2012-12-11 창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5300B1 true KR101285300B1 (ko) 2013-07-11

Family

ID=4899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794A KR101285300B1 (ko) 2012-12-11 2012-12-11 창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53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705A (ko) * 2014-03-18 2015-09-30 (주)삼천 문양을 갖는 이중유리 창호
KR101594752B1 (ko) * 2015-08-03 2016-02-16 주식회사 지오글라스 창호어셈블리
KR102123207B1 (ko) * 2020-03-09 2020-06-15 김완선 복층유리
CN113335495A (zh) * 2020-03-02 2021-09-03 中航西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活动窗结构
KR102456944B1 (ko) * 2022-02-23 2022-10-20 김성모 단열용 복합창호
KR102500745B1 (ko) * 2022-10-20 2023-02-16 (주)엘 테크 발열시트가 부착된 창호와 창틀 간의 전원 인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863A (ja) * 2001-04-12 2002-10-23 Figla Co Ltd 発熱ガラスの取付構造
KR100628981B1 (ko) * 2004-01-03 2006-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9863A (ja) * 2001-04-12 2002-10-23 Figla Co Ltd 発熱ガラスの取付構造
KR100628981B1 (ko) * 2004-01-03 2006-09-27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열선이 구비된 복층유리 창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705A (ko) * 2014-03-18 2015-09-30 (주)삼천 문양을 갖는 이중유리 창호
KR101598616B1 (ko) 2014-03-18 2016-02-29 (주)삼천 문양을 갖는 이중유리 창호
KR101594752B1 (ko) * 2015-08-03 2016-02-16 주식회사 지오글라스 창호어셈블리
CN113335495A (zh) * 2020-03-02 2021-09-03 中航西飞民用飞机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活动窗结构
KR102123207B1 (ko) * 2020-03-09 2020-06-15 김완선 복층유리
KR102456944B1 (ko) * 2022-02-23 2022-10-20 김성모 단열용 복합창호
KR102500745B1 (ko) * 2022-10-20 2023-02-16 (주)엘 테크 발열시트가 부착된 창호와 창틀 간의 전원 인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5300B1 (ko) 창 구조물
KR101705626B1 (ko) 단열 방화문
KR200465678Y1 (ko) 방화문 기밀 구조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JP2005194864A (ja) 熱線が具備された複層ガラス窓戸
KR101187561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창호
KR101327457B1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1472743B1 (ko) 프로젝트 창호 및 커튼 월 창호
KR101076408B1 (ko) 차양의 교체가 용이한 다중유리 블라인드 창짝
KR101876516B1 (ko) 결로방지용 진공유리 창호
GB2466780A (en) Mechanism for sealing edges of a roller blind
KR101554838B1 (ko) 열차단 블라인드
KR101844093B1 (ko) 결로방지 창호
KR20130034658A (ko) 종래의 문짝과 고정 창에 유리를 한 두 장 더 끼우는 공법
KR20160043418A (ko) 슬라이딩 창호 유니트
KR100538761B1 (ko) 2중 열교차단재를 이용한 단열창호
KR101905934B1 (ko) 목재 외관을 갖는 창호
KR20120108270A (ko) 결로 방지부를 구비한 창호
KR101460545B1 (ko) 복층 창호 결로 방지용 발열 장치
KR101981186B1 (ko) 고열전도성 물질을 이용한 결로방지 창호
KR102017666B1 (ko) 루버창 단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루버 시스템
KR200431481Y1 (ko) 출입문 부착용 밀폐테
CN104563339A (zh) 保温隔热板连接结构
CN205206689U (zh) 将单层玻璃转换为双层玻璃的装置
KR101287796B1 (ko) 단열 시스템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