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720B1 -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 Google Patents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720B1
KR101701720B1 KR1020160076733A KR20160076733A KR101701720B1 KR 101701720 B1 KR101701720 B1 KR 101701720B1 KR 1020160076733 A KR1020160076733 A KR 1020160076733A KR 20160076733 A KR20160076733 A KR 20160076733A KR 101701720 B1 KR101701720 B1 KR 101701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grate
base body
pip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도원
Original Assignee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76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3/00Grates with hollow bars
    • F23H3/02Grates with hollow bars internally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1/00Travelling-grates
    • F23H11/12Travelling-grates inclined travelling grates; Stepped travell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2700/00Grates characterised by special features or applications
    • F23H2700/009Grates specially adapted for inci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수냉식 화격자는, 상측에 폐기물이 놓이는 편평한 화상면을 가지되,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공간에 상기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회되도록 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크로스커버; 및 상기 크로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에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튜브부;를 포함한다.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서로 분리된 구조의 달성으로 주조시에 잔재물 제거가 용이함에 따른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각 부품의 이용특성을 감안한 소재의 차별을 통해 생산단가를 낮추고 더 나아가 단기적인 측면으로는 소각설비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장기적인 측면으로는 소각설비의 유지보수 및 운영시 소요되는 경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연계접합으로 마련되는 공간에서의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과열된 표면(화상면)의 온도를 낮추는 열흡수력이 충분함에 따른 고온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WATER COOLING TYPE FIRE GRATE AND INCINERATOR WITH STORKER FOR WATER COOLING TYPE FIRE GRATE}
본 발명은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냉식 화격자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공정에서의 폐기물이 완전히 연소되도록 하기 위한 수냉식 화격자의 구조 개선 및 냉각 효율의 기능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리방법으로는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이 있으며, 이 중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든 폐기물을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경우에는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위생적 처리가 어려우므로 소각에 의하여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처리하는 방안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을 소각로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는데, 소각로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방식은, 폐기물의 종류와 처리량 등에 따라 스토커식(Stoker) 소각로, 회전식 (Rotary Kiln) 소각로, 유동층(Fluidized bed) 소각로, 액상분무(Liquid injection) 소각로로 분류된다. 이 중 스토커식 소각로는 폐기물을 화격자(Fire grate, 火格子) 위에 펼쳐놓고 소각하는 방식으로 건설이 용이하고 저발열량에서부터 고발열량을 가진 폐기물까지 폭넓게 소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다른 여러 가지 처리방식에 비하여 많은 폐기물량을 처리할 수 있어 대형 소각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폐기물 처리에서 스토커식 소각로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스토커식 소각로는 고온 및 고열을 이용한 폐기물 연소 중 과열된 화격자의 냉각을 연소공기로 시키는 공냉식과 냉각수 순환으로 시키는 수냉식이 있다.
이 중 공냉식 화격자는, 연소공기에 의한 냉각효율의 한계로 냉각기능이 부족하여 화격자의 손상(고온 부식)이 빨라 제품 내구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수냉식 화격자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화격자의 표면(화상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내구성 저하의 억제 및 이를 통한 제품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수냉식 화격자의 장점을 기반으로 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26127호에서는 고온의 연소온도 상태에서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연소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최소함과 아울러 이동식 수냉자켓이나 수냉튜브 방식을 상용한 경우 화격자 자체 이동에 따른 마모 및 수냉관로의 파열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식 수냉 화격자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수냉 화격자는, 화격자 내부에 설치된 격판을 따라 냉각수가 지그재그로 단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화격자의 화상면(grate surface)을 냉각하게 된 구조로써, 냉각수의 순환효율이 떨어져 소각로 설비에서 필요로 하고자 하는 만큼의 냉각효율을 뒷받침하지 못해왔다.
이에 결국, 기존 공냉식 화격자에서 나타나는 고온 부식에 따른 화격자 손상 및 그로 인한 제품의 수명단축으로 소각설비의 전체 수명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 해당 화격자는 물론 소각설비 유지보수에 막대한 비용증대 및 국부적인 불완전 연소로 폐기물 처리과정 중에 발생하는 배기가스 내 오염물질의 제어에도 큰 방해요소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스토커식 소각로에서는 화격자를 통해 폐기물을 소각하면서 화격자의 내부에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일부가 절곡된 형태의 엘보를 사용하였으나, 엘보가 화격자와 연결될 때, 평행도와 직진도가 정밀하지 않으면, 냉각수가 이송되는 중에 누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한 여러 문제점들에 의하여, 화격자를 400℃이하로 냉각함이 용이치 않아 고온 부식에 강한 고가의 내열주강인 니켈크롬강(nickel-chrome steel)을 화격자의 주요 소재로 채용할 수 밖에 없게 되는 제작상의 기술적 제한으로, 소각설비의 건설비용 증가는 물론이거니와 폐기물 처리비용 상승의 경제적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폐단을 유발해왔다.
따라서, 냉각수의 순환효율이 증가되도록 하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수냉식 화격자의 개발이 요구된다.
선행문헌 000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6-012612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격자를 베이스바디 및 크로스커버로 구분(분리)하여 주조시의 폐기물의 제거가 용이토록 하고, 고온과 고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베이스바디와 그렇지 않은 크로스커버의 소재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제품의 기능성과 내구성은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 사이에 냉각수가 순환될 수 있는 흐름 경로가 마련되도록 하되, 상기 흐름 경로에서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 순의 패턴으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동압력의 변화가 유발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체류시간 및 순환수량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는, 상측에 폐기물이 놓이는 편평한 화상면을 가지되,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공간에 상기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회되도록 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크로스커버; 및 상기 크로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에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튜브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하측에 상기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로스커버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일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되,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끝단부에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튜브를 통해 이송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복수의 튜브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어느 하나의 튜브가 화격자의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에 결합되되, 다른 하나의 튜브가 별도의 화격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튜브를 통해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별도의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측에 상기 화상면을 가지되, 끝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고, 폭방향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의 끝단부와 상기 개방된 공간의 양단을 동시에 가리는 외측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크로스커버가 상기 개방된 공간에 연계접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가 상기 화격자 및 상기 별도의 화격자의 복수의 파이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튜브가 끝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굴절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측벽의 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튜브 걸이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가 상기 튜브 걸이홈에 끼움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되, 너비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튜브 걸이홈에 끼움결합된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를 감싸는 튜브 걸이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는, 상기 튜브 걸이홈이 상기 복수의 파이프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결합된 튜브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향해 하향 굴절됨으로써, 상기 화격자로부터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끼움결합된 튜브의 일부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간의 수위 차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별도의 화격자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기 개방된 공간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로스커버의 상측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크로스커버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방된 공간에 연계접합되도록, 상측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는, 폐기물을 연소실에서 완전 연소하여 상기 완전 연소된 상기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소각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상측에 편평한 화상면이 마련되어 상기 폐기물이 연소되도록 하고,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폐기물의 연소과정에 의해 과열된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 및 상기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 중 일부의 수냉식 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화격자의 화상면에 놓인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서로 분리된 구조의 달성으로 주조시에 잔재물 제거가 용이함에 따른 제작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각 부품의 이용특성을 감안한 소재의 차별을 통해 생산단가를 낮추고 더 나아가 단기적인 측면으로는 소각설비의 건설비용을 절감하고 장기적인 측면으로는 소각설비의 유지보수 및 운영시 소요되는 경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연계접합으로 마련되는 공간에서의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 과정이 효율적으로 진행됨으로써,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과열된 표면(화상면)의 온도를 낮추는 열흡수력이 충분함에 따른 고온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의 실시 예를 사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구성요소 및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연계접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튜브부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흐름 경로가 구획적으로 마련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1)는,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호퍼(2)가 상부에 마련되고, 연소실(3)의 내에서 소각된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4)가 하부에 마련되며, 연소실(3)의 하부에는 호퍼(2)에 의해 연소실(3)의 내부로 투입된 폐기물이 놓인 채로 완전 연소되도록 하는 기능수행을 위한 스토커(5)가 배치된다.
이때, 스토커(5)에는 수냉식 화격자(10)가 마련되고, 이러한 본 발명의 수냉식 화격자는 스토커(5)에 의해 왕복 이동하면서 그 위에 놓인 폐기물이 배출구로(4)로 운반시킬 수 있다.
수냉식 화격자로부터 운반되는 폐기물은 배출구(4)로 이송되는 도중에 연소실(3)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염의 복사열에 의하여 완전 연소되고, 남은 소각재는 배출구(4)를 통해 최종 배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의 실시 예를 사용상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토커(5)는 수냉식 화격자(1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과 지지 프레임(20)이 왕복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 장치(3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은 스토커(5)에 마련되는 수냉식 화격자(10)가 복수로 마련될 때,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10) 중 이송 장치(30)를 통해 왕복 이동되지 않는 고정 화격자(11)가 지지되도록 고정 설치된 고정 프레임(21)과,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10) 중 이송 장치(30)를 통해 왕복 이동되는 가동 화격자(12)가 지지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프레임(22)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21)과 이동 프레임(22)은 박스 형태를 가지는 격자 구조로 마련될 수 있고, 이동 프레임(22)은 고정 프레임(21)의 내측에 마련되어 이송 장치(30)의 작동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이송 장치(30)는 이동 프레임(22)의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슬라이딩 블록(31), 슬라이딩 블록(31)을 경사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 엑츄에이터(32) 및 구동 엑츄에이터(32)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 블록(31)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경사 레일부(33)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블록(31) 및 경사 레일부(33)는 이동 프레임(22)의 안정적 이동을 위하여 이동 프레임(22)의 양측에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구동 엑츄에이터(32)는 한 쌍의 슬라이딩 블록(3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블록(31)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엑츄에이터(32)는 일단이 이동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에 슬라이딩 블록(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기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상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동 엑츄에이터(32)에 실런더를 적용한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에 불과한 것으로 슬라이딩 블록(31)을 경사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적절한 공지된 구동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터를 포함하는 직접 구동 기계 장치를 이용하거나, 벨트, 체인, 랙과 피니언 또는 링크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30)는 슬라이딩 블록(31)이 구동 엑츄에이터(32)의 작동에 의하여 경사 레일부(3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때, 마찰에 의한 이동저항을 줄이도록 슬라이딩 블록(31)의 하단에 경사 레일부(33)와 구름 운동하는 구름부재(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름부재(34)는 휠 또는 롤러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고정 화격자(11) 사이에 배치되는 가동 화격자(12)는 이송 장치(30)에 의한 이동 프레임(22)의 왕복 이동과 연동하여 고정 화격자(11)의 사이에서 고정 화격자(11)의 양단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구성요소 및 베이스바디와 크로스커버의 연계접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냉식 화격자(10)는 베이스바디(100) 및 크로스커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바디(100)는 연소실(3)로 투입되는 폐기물이 수평으로 평탄한 화상면에 놓인 상태로 연소될 때 발생하는 고온 및 고열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고내열 마모강을 소재로 형성되어, 과열에 의한 제품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커버(200)는 고온 및 고열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이에 베이스바디(100)와 다른 내열 마모강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고가의 재료인 고내열 마모강의 채용으로 인한 생산원가 및 판매단가 상승의 원인을 해결함과 더불어, 냉각수 순환을 위한 냉각수가 이송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내부구조의 복잡함으로 주조법을 이용한 제품의 제작이 난해하고 주조시의 잔재물 제거 즉, 주물사(molding sand, 鑄物砂) 탈리(elimination, 脫離)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00)는 연소실(3) 내부로 투입된 고형 폐기물이 놓이는 화상면이 상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하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며, 개방된 공간에는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회될 수 있다.
베이스바디(100)는 외측 리브(110), 돌출부(120), 내측 리브(130), 체결부재(140), 격벽(150), 만곡부(160), 위치 결정돌기(170) 및 돌기 수용홈(180)를 포함한다.
외측 리브(110)는 상측에 화상면을 가지되, 끝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고, 폭방향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의 끝단부와 개방된 공간의 양단을 동시에 가릴 수 있다.
이때, 외측 리브(110)는 폭방향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111)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0)는 화상면과 대응되는 외측 리브(110)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너비방향으로 돌출되고, 만곡부(160)가 하부의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내측 리브(130)는 돌출부(120)의 하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고, 체결부재(140)가 끼움결합되며, 하부에는 격벽(150)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재(140)는 돌출부(120)의 하부에 마련되되, 내측 리브(130)의 하부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되고, 크로스커버(200)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는 경우에, 내측 리브(130)의 하부 사이 공간에 끼움결합되어 크로스커버(200)의 상측을 관통할 수 있다.
격벽(150)은 화상면과 대응되는 외측 리브(110)의 하부 및 외측 리브(110)의 끝단부가 접합되는 부분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고, 이에 분할된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에서 순회되는 냉각수의 흐름이 구분될 수 있다.
만곡부(160)는 화상면과 대응되는 외측 리브(110)의 하부에 마련되되, 돌출부(120)의 하부의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외측 리브(110)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굴절됨으로써, 격벽(150)에 의해 분할된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를 순회시킬 수 있다.
위치 결정돌기(170)는 화상면과 대응되는 외측 리브(110)의 상측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형성됨으로써, 연속으로 적치되는 다른 화격자의 위치 설정 및 스토커 가동시 적치된 다른 화격자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복수로 일정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돌기 수용홈(180)은 외측 리브(110)의 절곡된 끝단부에 마련되어 위치 결정돌기(170)를 내재수용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결정돌기(170)와 같이 하나 이상의 복수로 일정간격마다 배치될 수 있다.
크로스커버(200)는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일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커버(200)에는 파이프(210), 튜브 고정나사(220), 체결홈(230) 및 격벽 인입홈(240)이 마련된다.
파이프(210)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끝단부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너비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복수로 마련되고, 후술될 튜브부(300)과 연결됨으로써, 후술될 튜브부(300)로부터 이송되는 냉각수를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다.
튜브 고정나사(220)는 복수의 파이프(210)에 후술될 튜브부(300)의 끝단이 개별적으로 인입되어 연결되면, 복수의 파이프(210)와 후술될 튜브부(300)의 끝단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복수의 파이프(210)와 후술될 튜브부(300)의 끝단을 조임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홈(230)은 크로스커버(200)의 상측에 마련되어 크로스커버(200)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는 경우에 체결부재(140)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됨으로써, 크로스커버(200)는 체결홈(230)을 통해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격벽 인입홈(240)은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끝단부에 마련되되, 크로스커버(200)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는 경우에 격벽(150)이 내부로 인입됨으로써, 크로스커버(200)는 격벽 인입홈(240)을 통해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바디(100)에는 체결부재(140) 및 격벽(150)이 마련되고, 크로스커버(200)에는 체결홈(230) 및 격벽 인입홈(240)이 마련됨으로써, 크로스커버(200)의 상측과 크로스커버(200)의 절곡된 끝단부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고,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이 분할되어 냉각수가 분할된 공간에 의해 구획적으로 순회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튜브부의 연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튜브부(300)는 튜브(310) 및 패킹부재(320)를 포함한다.
튜브(310)는 복수의 파이프(2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로 마련되고, 복수의 파이프(210)와 연결됨으로써, 크로스커버(200)가 본체부(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면, 복수의 파이프(210)를 통해 밀폐된 공간으로 냉각수를 유입 및 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튜브(310)는 이송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복수의 파이프(210)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복수의 파이프(210)에 인입되는 끝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굴절되는 유연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튜브(310)는 스테인리스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패킹부재(320)는 복수의 튜브(310)의 끝단에 마련되어 복수의 파이프(210)에 인입되면, 튜브 고정나사(220)에 의해 조임결합됨으로써,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패킹부재(320)가 튜브 고정나사(220)에 의해 조입결합되면,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간의 견고해짐으로써,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간의 틈새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튜브(310)가 복수의 파이프(210)에 연결될 때, 복수의 튜브(310)로 이송되는 냉각수에 의해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간의 평행도와 직진도가 정밀하지 않게 되어도, 복수의 튜브(310)의 유연한 특성에 의해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간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수냉식 화격자(10)로 냉각수가 이송되도록 하는 금속재질의 튜브와 종래의 엘보가 정밀하게 연결되도록 하여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금속재질의 튜브와 종래의 엘보간의 연결부분으로부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접 원가 및 금속재질의 튜브가 엘보에 굴절된 상태로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금속재질의 튜브를 변형하기 위한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외측 리브(110)는 샤프트 수용홈(112), 튜브 걸이홈(113), 튜브 걸이돌기(114), 조립공(115) 및 제1 둔턱(116)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샤프트 수용홈(112)은 외측 리브(11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수냉식 화격자(10)의 지지를 위해 스토커(5)에 구비되는 샤프트(S, 또는 지지바)를 둘러 감쌀 수 있다.
튜브 걸이홈(113)은 외측 리브(110)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크로스커버(200)가 연계접합되는 경우에 복수의 튜브(310)가 복수의 파이프(2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면, 복수의 튜브(310)의 일부가 굴절된 상태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튜브 걸이돌기(114)는 복수의 측벽(111)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되며 너비방향으로 절곡되고,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복수의 튜브(310)의 굴절된 일부를 감싸게 됨으로써, 복수의 튜브(310)의 일부가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튜브 걸이홈(113)은 복수의 파이프(210)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복수의 튜브(310)가 복수의 파이프(210)를 향해 하향 굴절될 수 있다.
복수의 튜브(310)가 복수의 파이프(210)를 향해 하향 굴절되면, 복수의 튜브(310)을 통해 이송되는 냉각수는 복수의 튜브(310)와 복수의 파이프(210)간의 위치 차이에 따른 수위 차를 통해 용이하게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수냉식 화격자(10)의 화상면을 빠르게 냉각시키게 됨으로써, 수냉식 화격자(10)의 냉각 효율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조립공(115)은 복수의 측벽(115)에 폭방향의 양단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고, 복수의 측벽(115)을 기준으로 다른 화격자들의 밀착조립을 위한 볼트와 너트를 체결될 수 있다.
이에, 고정 화격자(11)와 가동 화격자(1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조립공(115)을 통해 복수로 마련되는 고정 화격자(11)와 복수로 마련되는 가동 화격자(12)는 일렬로 나열된 형태로 각각 조립결합될 수 있다.
제1 단턱(116)은 돌기 수용홈(180)이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베이스바디(100)의 평탄부의 상끝단에 마련되고, 크로스커버(200)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는 경우에 크로스커버(200)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끝단은 제1 단턱(116)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흐름 경로가 구획적으로 마련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고정 화격자(11)와 가동 화격자(12)가 복수로 마련되되, 조립공(115)을 통해 일렬로 나열된 형태로 조립결합된 상태인 경우에 복수의 튜브(310)가 복수의 파이프(210)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복수로 마련되는 고정 화격자(11)와 복수로 마련되는 가동 화격자(12)는 각각 복수의 화격자 중에 하나의 화격자에 튜브(310)를 통해 냉각수가 유입되면, 유입된 냉각수가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순회된 후에 유출되고, 유출된 냉각수는 하나의 화격자와 다른 화격자와 연결된 튜브(310)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냉각수가 유출되면, 복수로 마련되는 고정 화격자(11) 중에 제1 고정 화격자(11-1)는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튜브(310-1)가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 방향의 제1 고정 화격자(11-1)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파이프(210-1)에 연결되어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유출된 냉각수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유출된 냉각수는 제1 고정 화격자(11-1)에서 순회된 후에 파이프(210-2)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파이프(210-2)와 연결되되, 제2 고정 화격자(11-2) 방향의 제1 고정 화격자(11-1)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튜브(310-2)로 이송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되는 고정 화격자(11) 중에 제2 고정 화격자(11-2)는 제1 고정 화격자(11-1)와 조립결합되고, 튜브(310-2)는 제1 고정 화격자(11-1)의 튜브 걸이홈(113)과 제2 고정 화격자(11-2)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파이프(210-2)와 파이프(210-3)에 연결됨으로써, 제1 고정 화격자(11-1)로부터 제2 고정 화격자(11-2)의 방향으로 이송된 냉각수는 파이프(210-3)를 통해 제2 고정 화격자(11-2)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고정 화격자(11-1)로부터 유출된 냉각수는 제2 고정 화격자(11-2)에서 순회된 후에 파이프(210-4)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파이프(210-4)와 연결되되, 제3 고정 화격자(11-3) 방향의 제2 고정 화격자(11-2)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튜브(310-3)로 이송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되는 고정 화격자(11) 중에 제3 고정 화격자(11-3)는 제2 고정 화격자(11-2)와 조립결합되고, 튜브(310-3)는 제2 고정 화격자(11-2)의 튜브 걸이홈(113)과 제3 고정 화격자(11-3)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상태로 파이프(210-4)와 파이프(210-5)에 연결됨으로써, 제2 고정 화격자(11-2)로부터 제3 고정 화격자(11-3)의 방향으로 이송된 냉각수는 파이프(210-5)를 통해 제3 고정 화격자(11-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고정 화격자(11-2)로부터 유출된 냉각수는 제3 고정 화격자(11-3)에서 순회된 후에 파이프(210-6)의 방향으로 이송되고, 파이프(210-6)와 연결되되, 외부 방향의 튜브 걸이홈(113)에 끼움결합된 튜브(310-4)를 통해 외부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설명하기에 전에, 도 5 및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바디(100)의 체결부재(140) 및 격벽(150)과 크로스커버(200)의 체결홈(230) 및 격벽 인입홈(240)을 통해 크로스커버(200)가 베이스바디(100)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고, 베이스바디(100)의 밀폐된 공간이 분할됨으로써,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 내부의 냉각수가 구획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에는 냉각수가 유입된 직후에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의 내벽과 만곡부(160)의 외측을 따라 순회 및 유출되도록 하는 제1 이송 경로(R1)와 냉각수가 유입된 직후에 내측 리브(130)와 만곡부(160)의 내측을 따라 순회 및 유출되도록 하는 제2 이송 경로(R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이송 경로(R1)는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순서에 따라 제1 구역(A1), 제2 구역(A2), 제3 구역(A3)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구역(A1)은 냉각수가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입된 직후의 초기 흐름을 안내할 수 있고, 제2 구역(A2)은 제1 구역(A1)으로부터 이송되는 냉각수가 유출되기 전에 만곡부(160)의 외측을 따라 순회시킬 수 있으며, 제2 구역(A2)으로부터 순회된 냉각수가 유출 직전의 흐름 및 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제3 구역(A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제2 이송 경로(R2)는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순서에 따라 제4 구역(A4), 제5 구역(A5), 제6 구역(A6)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4 구역(A4)은 상술한 제1 구역(A1)과 마찬가지로 냉각수가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입된 직후의 초기 흐름을 안내할 수 있고, 제5 구역(A5)은 제4 구역(A4)으로부터 이송되는 냉각수가 유출되기 전에 만곡부(160)의 내측과 내측 리브(130)를 따라 순회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제3 구역(A3)와 마찬가지로 제5 구역(A5)으로부터 순회된 냉각수가 유출 직전의 흐름 및 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제6 구역(A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송 경로(R1) 및 제2 이송 경로(R2)에 냉각수가 이송되는 경로를 분할하는 제1 내지 제6구역(A1,A2,A3,A4,A5,A6)에 의해, 냉각수의 체류시간 및 순환수량의 확보와 더불어 순환효율의 향상이 가능하게 되어 베이스바디(100)의 화상면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첨언하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에 제1 이송 경로(R1) 및 제2 이송 경로(R2)가 형성됨으로써, 만곡부(160)는 형상의 특징에 의해 냉각수의 이동 흐름의 급격한 변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와류(urbulence, 渦流)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냉각수 공급장치(미도시)가 동작될 때, 와류 현상에 의해 냉각수의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순환수량을 확보를 위해 압력이 증가되는 현상을 해소하여 소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더하여, 만곡부(160)는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에 유입 및 유입된 직후의 냉각수가 이송되어 순회 작용이 시작되도록 하는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의 내벽과 만곡부(160)의 외측 사이 공간 및 내측 리브(130)와 만곡부(160)의 내측 사이 공간을 균등 분할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의 내벽과 만곡부(160)의 외측 사이의 제1 횡면적(crosssectional, C-1)과 내측 리브(130)와 만곡부(160)의 내측 사이의 제2 횡면적(crosssectional, C-2)이 서로 동일하게 되어 베이스바디(100)의 개방된 공간에 유입 및 유입된 직후의 냉각수가 제1 이송 경로(R1)의 제2 구역(A2) 및 제2 이송 경로(R2)의 제5 구역(A5)로 안내될 시에 편류 (channeling, 偏流) 현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는, 베이스바디(100) 및 크로스커버(200)으로 분리되는 화격자의 구조 변경으로 주조시 잔재물제거가 용이함에 따른 제작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면서도 각 부품의 기능적 특성을 감안한 소재의 구분을 통해, 제품의 생산 단가는 물론 소각설비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아울러, 크로스커버(200)에는 튜브부(300)이 연결됨으로써, 베이스바디(100) 및 크로스커버(200)의 연계접합으로 그들 내부에 마련되는 공간에서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폐기물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과열된 베이스바디(100)의 화상면의 온도를 낮추는 열흡수력이 충분함에 따라 수냉식 화격자의 고온 부식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소각로 2: 호퍼 3: 연소실
4: 배출구 5: 스토커 10: 수냉식 화격자
11: 고정 화격자 12: 가동 화격자 21: 고정 프레임
22: 이동 프레임 30: 이송 장치 31: 슬라이딩 블록
32: 구동 엑츄에이터 33: 경사 레일부 34: 구름 부재
100: 베이스바디 110: 외측 리브 111: 측벽
112: 샤프트 수용홈 113: 튜브 걸이홈 114: 튜브 걸이돌기
115: 조립공 116: 단턱 120: 돌출부
130: 체결부재 140: 격벽 150: 내측 리브
160: 만곡부 170: 위치 결정돌기 180: 돌기 수용홈
200: 크로스커버 210: 파이프 220: 튜브 고정나사
230: 체결홈 240: 격벽 인입홈 300: 튜브부
310: 튜브 320: 패킹부재 A: 구역
C-1: 제1 횡면적 C-2: 제2 횡면적 R: 이송 경로
S: 샤프트

Claims (9)

  1. 상측에 폐기물이 놓이는 편평한 화상면을 가지되,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공간에 상기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회되도록 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크로스커버; 및
    상기 크로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에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하측에 상기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로스커버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일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되,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끝단부에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튜브를 통해 이송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복수의 튜브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는,
    상기 크로스커버의 끝단부로부터 너비방향을 향해 평행하게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와의 평행도와 직진도가 정확하지 않게 되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파이프와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틈새로 상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측에 상기 화상면을 가지되, 끝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고, 폭방향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의 끝단부와 상기 개방된 공간의 양단을 동시에 가리는 외측 리브;
    상기 외측 리브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로스커버의 상측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끼움결합되는 내측 리브;
    상기 외측 리브의 하부 및 상기 외측 리브의 끝단부가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도록 하는 격벽; 및
    상기 돌출부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외측 리브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굴절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서 각각 순회되도록 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 상기 냉각수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1 이송 경로가 상기 외측 리브의 내벽과 상기 만곡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 이송 경로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만곡부의 내측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가 상기 제2 이송 경로보다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경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상기 제1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냉각수보다 상기 제2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유출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의 수압보다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냉각수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파이프 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파이프의 틈새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튜브 중 어느 하나의 튜브가 화격자의 복수의 파이프 중 어느 하나의 파이프에 결합되되, 다른 하나의 튜브가 별도의 화격자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른 하나의 튜브를 통해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별도의 화격자의 개방된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크로스커버가 상기 개방된 공간에 연계접합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가 상기 화격자 및 상기 별도의 화격자의 복수의 파이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복수의 튜브가 끝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굴절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측벽의 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가 끼움결합되도록 하는 튜브 걸이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브는,
    상기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가 상기 튜브 걸이홈에 끼움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복수의 측벽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되, 너비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튜브 걸이홈에 끼움결합된 복수의 튜브의 굴절된 일부를 감싸는 튜브 걸이돌기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상기 튜브 걸이홈이 상기 복수의 파이프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결합된 튜브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파이프를 향해 하향 굴절됨으로써, 상기 화격자로부터 유출된 냉각수가 상기 끼움결합된 튜브의 일부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간의 수위 차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별도의 화격자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커버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개방된 공간에 연계접합되도록, 상측에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
  9. 폐기물을 연소실에서 완전 연소하여 상기 완전 연소된 상기 폐기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내부공간에 위치하되, 상측에 편평한 화상면이 마련되어 상기 폐기물이 연소되도록 하고,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밀폐된 공간에 상기 폐기물의 연소과정에 의해 과열된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 및
    상기 복수의 수냉식 화격자 중 일부의 수냉식 화격자가 왕복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화격자의 화상면에 놓인 폐기물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냉식 화격자는,
    상측에 폐기물이 놓이는 편평한 화상면을 가지되, 내부에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개방된 공간에 상기 화상면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회되도록 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하는 크로스커버; 및
    상기 크로스커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에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길이방향의 일단부가 "⊃"자형으로 절곡됨으로써 하측에 상기 개방된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크로스커버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부에 연계접합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이 밀폐되도록 일단부가 "ㄱ"자형으로 절곡되되,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된 끝단부에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파이프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밀폐된 공간으로 유입 및 유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파이프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튜브부는,
    상기 복수의 튜브를 통해 이송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복수의 튜브와 상기 복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기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파이프는,
    상기 크로스커버의 끝단부로부터 너비방향을 향해 평행하게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튜브는,
    상기 복수의 파이프와의 평행도와 직진도가 정확하지 않게 되더라도, 유연한 재질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복수의 파이프와의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틈새로 상기 냉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측에 상기 화상면을 가지되, 끝단부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고, 폭방향의 양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하향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이 마련되어 상기 개방된 공간의 끝단부와 상기 개방된 공간의 양단을 동시에 가리는 외측 리브;
    상기 외측 리브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의 중앙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로스커버의 상측을 관통하는 체결부재가 끼움결합되는 내측 리브;
    상기 외측 리브의 하부 및 상기 외측 리브의 끝단부가 접합되는 부분에 마련되되, 상기 개방된 공간이 복수로 구획되도록 하는 격벽; 및
    상기 돌출부에 끼움결합되되, 상기 돌출부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외측 리브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굴절되어 상기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서 각각 순회되도록 하는 만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바디는,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 상기 냉각수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1 이송 경로가 상기 외측 리브의 내벽과 상기 만곡부의 외측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도록 형성되며, 제2 이송 경로가 상기 내측 리브와 상기 만곡부의 내측을 따라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송 경로가 상기 제2 이송 경로보다 상기 냉각수가 유입, 순회 및 유출되는 경로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상기 제1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냉각수보다 상기 제2 이송 경로로 이송되는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우선적으로 유출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냉각수의 수압보다 상기 복수의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냉각수의 수압이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냉각수가 상기 복수의 파이프 와 연결된 상기 복수의 파이프의 틈새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KR1020160076733A 2016-06-20 2016-06-20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KR101701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33A KR101701720B1 (ko) 2016-06-20 2016-06-20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733A KR101701720B1 (ko) 2016-06-20 2016-06-20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720B1 true KR101701720B1 (ko) 2017-02-03

Family

ID=58156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733A KR101701720B1 (ko) 2016-06-20 2016-06-20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7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88B1 (ko) * 2017-05-16 2017-09-12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연소 잔재물의 낙하를 최소화한 공기 토출구를 갖춘 수냉식 화격자
WO2020013360A1 (ko) * 2018-07-12 2020-01-16 (주)에스지이에너지 교체가 용이한 수냉식 화격자
SE1951417A1 (en) * 2019-12-09 2021-06-10 Flamma Systems Sverige Ab An incinerator with a firing grat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n incinerator
KR20210123026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수냉식 화격자
KR20210123025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수냉식 화격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935A (ko) * 1996-11-21 1998-08-17 닥터페퍼에르 점화 플랜트용 화격자
US6269756B1 (en) * 1997-12-05 2001-08-07 Alstom Energy Systems Gmbh Liquid cooled grate plate
KR20060126127A (ko) 2005-06-03 2006-12-07 (주)기경아이이앤드씨 고정식 수냉 화격자
KR101560714B1 (ko) * 2015-05-26 2015-10-16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수냉식화격자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수냉식화격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935A (ko) * 1996-11-21 1998-08-17 닥터페퍼에르 점화 플랜트용 화격자
US6269756B1 (en) * 1997-12-05 2001-08-07 Alstom Energy Systems Gmbh Liquid cooled grate plate
KR20060126127A (ko) 2005-06-03 2006-12-07 (주)기경아이이앤드씨 고정식 수냉 화격자
KR101560714B1 (ko) * 2015-05-26 2015-10-16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수냉식화격자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수냉식화격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388B1 (ko) * 2017-05-16 2017-09-12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연소 잔재물의 낙하를 최소화한 공기 토출구를 갖춘 수냉식 화격자
WO2020013360A1 (ko) * 2018-07-12 2020-01-16 (주)에스지이에너지 교체가 용이한 수냉식 화격자
SE1951417A1 (en) * 2019-12-09 2021-06-10 Flamma Systems Sverige Ab An incinerator with a firing grate and a method of operating such an incinerator
KR20210123026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수냉식 화격자
KR20210123025A (ko) 2020-04-02 2021-10-13 주식회사 진화메탈 소각로용 수냉식 화격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720B1 (ko) 수냉식 화격자 및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를 구비한 소각로
KR101560714B1 (ko) 수냉식화격자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수냉식화격자
KR101144236B1 (ko) 화격자식 소각장치
KR101773388B1 (ko) 연소 잔재물의 낙하를 최소화한 공기 토출구를 갖춘 수냉식 화격자
KR101438578B1 (ko) 화격자 및 이를 구비한 스토커와 소각로
KR102110167B1 (ko) 연소공기 토출구를 분할배치시켜 바이오매스 연소속도에 대응하는 수냉 및 공냉 일체형 화격자
KR101230383B1 (ko) 측면 수냉각을 통해 수냉식 화격자 상의 클링커를 억제하는 스토커 소각로
KR101326481B1 (ko) 하향통풍식 화염건류소각로
JP2008039214A (ja) 廃棄物焼却炉
KR101683612B1 (ko) 소각로용 재 배출장치
KR102535956B1 (ko) 소각로용 대형 수냉식 화격자
KR100951575B1 (ko) 디스크 이동식 튜브 반응기 및 열회수 재활용 시스템
JP2002349833A (ja) 火格子冷却機構
KR101215075B1 (ko) 수냉식 화격자용 스토커 및 이를 구비한 소각로
KR20060126127A (ko) 고정식 수냉 화격자
KR101733431B1 (ko) 고효율 복합식 연소 스토커장치가 구비된 소각로
KR20090124822A (ko) 소각장치용 화격자
KR101934823B1 (ko) 밀폐 구조의 수직형 제트기류 공기 토출구가 구비되고, 냉각효율을 극대화한 수냉화격자
KR101806396B1 (ko) 소각로 수냉 벽에 의한 열 회수 시스템
KR101525910B1 (ko) 잔해물 냉각장치를 갖는 폐연료 열분해유 재생장치
JP2013133943A (ja) 廃棄物燃焼装置とそれを備えた廃棄物焼却炉
KR101187271B1 (ko) 화격자용 지지프레임, 이를 구비한 스토커 및 소각로
JP2004116884A (ja) ストー力式焼却炉用燃焼装置
KR20120000805U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101415913B1 (ko) 클링커 억제를 위해 스토커의 양측단이 융기된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