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691B1 -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 - Google Patents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691B1
KR101701691B1 KR1020167018468A KR20167018468A KR101701691B1 KR 101701691 B1 KR101701691 B1 KR 101701691B1 KR 1020167018468 A KR1020167018468 A KR 1020167018468A KR 20167018468 A KR20167018468 A KR 20167018468A KR 101701691 B1 KR101701691 B1 KR 10170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log
unit
digital
digital valu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162A (ko
Inventor
히로키 시오타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137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DC, DA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100)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12)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과, 제1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2 디지털값과, 제1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를 구비한 연산 유닛(13)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와,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외부 기기(3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제1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입력할지를 전환하는 릴레이(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AND ARITHMETIC UNIT}
본 발명은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과, 디지털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구비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날로그 출력 장치의 출력 신호의 진단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것처럼, 내부에 전용의 회로를 마련해서 행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173848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전용의 회로가 필요하기 때문에, 유닛 단가 및 개발비가 증대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진단 전용의 회로를 이용하는 일 없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의 진단 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진단을 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제1 디지털값을 기억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를 구비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과, 제1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와,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한 제1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의 대상으로 설정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와, 제1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2 디지털값과 제1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에 이상(異常)이 있다고 진단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를 구비한 연산 유닛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은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외부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부터 제1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입력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진단 전용의 회로를 이용하는 일 없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의 진단 또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진단을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100)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기기(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와, 외부 기기(30)로부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에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여부를 전환하는 릴레이(20)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는 아날로그 신호로 입력된 아날로그값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과, 디지털 신호로 입력된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에 의해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12)과,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 유닛(13)과, 외부 기기(30)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입력할지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릴레이(20)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14)과,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15)과, 각 유닛을 서로 접속하는 베이스 유닛(16)을 구비한다. 출력 유닛(14)과 릴레이(20)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외부 기기(30)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후술하는 제1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입력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산 유닛(13)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을 진단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용의 제1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13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의 대상으로 설정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133) 및 릴레이(20)의 전환을 출력 유닛(14)에 행하게 하는 릴레이 제어 처리부(134)를 가진다. 릴레이 제어 처리부(134)는 전환 장치를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릴레이(20)는 외부 기기(3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와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택일적으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한다. 즉, 릴레이 제어 처리부(134)가 출력 유닛(14)에 지령을 보냄으로써, 출력 유닛(14)로부터 릴레이(20)에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외부 기기(3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할지,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할지가 전환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산 유닛(13)은 래더 프로그램 또는 펑션 블록을 실행하는 연산 장치(135), 연산 장치(135)가 워크 에어리어에 이용하는 메모리(136) 및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기억 장치(137)를 가진다. 연산 장치(135)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136)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를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137)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132),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133) 및 릴레이 제어 처리부(134)는, 연산 장치(135)가 메모리(136)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은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11)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기억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112)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의 진단 결과가 이상인 경우에, 이상을 표시하는 진단 이상 표시부(113)와,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의 입력 레인지에 기초하여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생성부(118)를 구비한다. 여기서의 입력 레인지란,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취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과는 다른 장치로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여,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112)에 기억시켜도 좋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과는 다른 장치로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면,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은 펌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114), 연산 장치(114)가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는 메모리(115), 펌웨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116) 및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17)를 가진다. 연산 장치(114)에는 CPU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115)에는 RAM을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116)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117)에는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11) 및 진단용 디지털값 생성부(118)는, 연산 장치(114)가 메모리(115)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펌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또, 도 4에 도시한 진단 이상 표시부(113)는, 연산 장치(114)가 표시 장치(117)의 점등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은 디지털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121)를 구비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은 펌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122), 연산 장치(122)가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는 메모리(123), 펌웨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124)를 가진다. 연산 장치(122)에는 CPU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123)에는 RAM을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124)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121)는 연산 장치(122)가 메모리(123)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펌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출력 유닛(14)은 릴레이(2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141)를 구비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출력 유닛(14)은 펌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142), 연산 장치(142)가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는 메모리(143) 및 펌웨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144)를 가진다. 연산 장치(142)에는 CPU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143)에는 RAM을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144)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제어 신호 출력부(141)는, 연산 장치(142)가 메모리(143)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펌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101에 있어서, 릴레이 제어 처리부(134)는 출력 유닛(14)에 지령을 보내어 제어 신호 출력부(141)가 릴레이(2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하여,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의 출력이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되도록 한다.
스텝 S102에서,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132)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112)에 기억되어 있는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103에서,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133)는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에 설정한다. 스텝 S101에서,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의 출력이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되도록 릴레이(20)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진단용 디지털값을 변환한 아날로그값이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부터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입력되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11)로 디지털값으로 변환된다. 즉, 스텝 S103에서는, 제1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함으로써 제2 디지털값을 생성한다.
스텝 S104에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11)로 변환된 디지털값인 제2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105에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는, 스텝 S104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 제2 디지털값과, 스텝 S102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디지털값인 제1 디지털값을 비교한다. 양자가 일치하면, 스텝 S105에서 Yes가 되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04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 디지털값과, 스텝 S102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으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105에서 No가 되어, 스텝 S106에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에 진단 이상을 통지한다. 진단 이상이 통지되면, 진단 이상 표시부(113)는 표시 장치(117)에 있어서 진단 이상의 발생을 표시한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의 진단 특유의 점등 패턴 또는 점등색으로 진단 이상을 표시함으로써, 아날로그 입력 유닛(11)의 표시 장치(117)로 진단 이상의 발생을 통지하더라도, 아날로그 출력 유닛(12)측에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유저는 인식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이 연산 유닛(13)과 같은 베이스 유닛(16)에 실장된 구성의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를 예로 이용했지만, 아날로그 입력 유닛, 아날로그 출력 유닛 및 출력 유닛이 연산 유닛과는 다른 베이스 유닛에 실장된 구성이어도 된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산 유닛(13')과 같은 베이스 유닛(16a)에는 네트워크 유닛(17)이 실장되어 있다. 연산 유닛(13') 및 네트워크 유닛(17)에는, 전원 유닛(15a)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은, 연산 유닛(13')과는 다른 베이스 유닛(16b)에 실장되어 있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이 실장된 베이스 유닛(16b)에는, 네트워크 유닛(18)이 실장되어 있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출력 유닛(14') 및 네트워크 유닛(18)에는, 전원 유닛(15b)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네트워크 유닛(17)과 네트워크 유닛(18)은 허브(19)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은, 네트워크 유닛(18), 허브(19) 및 네트워크 유닛(17)을 경유하여 연산 유닛(13')과 통신 가능하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과 연산 유닛(13') 사이의 통신이, 네트워크 유닛(18), 허브(19) 및 네트워크 유닛(17)을 경유하여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고, 도 10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로이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및 출력 유닛(14')과 연산 유닛(13') 사이의 통신을, 네트워크 유닛(18), 허브(19) 및 네트워크 유닛(17)을 경유하여 행함으로써,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의 레이아웃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131)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121)로 변환하고, 추가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111)로 변환한 디지털값과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기 때문에, 진단용 전용의 회로를 가지지 않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11')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12')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처리의 진단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전용의 진단 회로를 필요로 하지 않고,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11')과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12')을 조합하고, 진단용 디지털값을 사용하여 프로그램 래더로 조합함으로써 진단을 행한다. 따라서 전용의 진단 회로를 가지지 않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11') 또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12')도 펌웨어만을 실장함으로써 진단을 행할 수 있다. 또, 유닛 단가 및 개발비를 억제할 수 있다. 추가로, 전환 장치의 제어를 연산 유닛(13, 13')으로 행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11')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12, 12')에는 전환 장치의 제어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10S)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11S), 연산 유닛(13S), 출력 유닛(14S), 전원 유닛(15S) 및 베이스 유닛(16S)은, 고장 발생시에 자기 진단에 의해 고장을 검출하여, 안전 입력을 강제적으로 오프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안전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11), 연산 유닛(13), 출력 유닛(14), 전원 유닛(15) 및 베이스 유닛(16)과 같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12S)은 실시 형태 1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같다.
실시 형태 2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11S), 연산 유닛(13S) 및 출력 유닛(14S)은, 타 유닛과의 통신을 이중으로 행하여, 통신 결과를 대조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자기 진단을 행하는 안전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 안전 통신에서는, 이중으로 행한 통신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발생이라고 진단한다.
또, 실시 형태 2에서는, 연산 유닛(13S)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안전 규격에 대응한 안전 래더 프로그램(secure ladder program) 또는 안전 펑션 블록(secure function block)이다.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2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유닛끼리의 통신을 안전 통신으로 행하기 위해, 진단용 디지털값, 아날로그 변환치 또는 디지털 변환치를 유닛 사이에서 주고 받을 때의 통신 에러에 의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의 진단 결과에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101)은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외부 기기(60)로 제어용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로부터 외부 기기(60)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지 여부를 전환하는 릴레이(50)를 가진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에 의해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41)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에 의해 디지털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42)과,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연산 유닛(43)과,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이 출력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 기기(60)로 출력할지,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제어 신호를 릴레이(50)에 출력하는 출력 유닛(44)과, 각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유닛(45)과, 각 유닛을 서로 접속하는 베이스 유닛(46)을 구비한다. 출력 유닛(44)과 릴레이(50)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외부 기기(60)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할지, 후술하는 제3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도 14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연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연산 유닛(43)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기능을 진단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용의 제3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432) 및 릴레이(50)의 전환을 출력 유닛(44)에 행하게 하는 릴레이 제어 처리부(434)를 가진다. 릴레이 제어 처리부(434)는 전환 장치를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의 연산 유닛(43)의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 도 14에 도시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432) 및 릴레이 제어 처리부(434)는, 연산 장치가 메모리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도 15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은 아날로그값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1)를 구비한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은 펌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412), 연산 장치(412)가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는 메모리(413), 펌웨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414)를 가진다. 연산 장치(412)에는 CPU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413)에는 RAM을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414)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1)는, 연산 장치(412)가 메모리(413)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펌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은 디지털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21)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용의 제3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기억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422)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기능의 진단 결과가 이상인 경우에, 이상을 표시하는 진단 이상 표시부(423)와,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의 출력 레인지에 기초하여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생성부(428)를 구비한다. 여기서의 출력 레인지란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취할 수 있는 값이다. 또한, 아날로그 출력 유닛(42)과는 다른 장치로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여,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422)에 기억시켜도 좋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42)과는 다른 장치로 진단용 디지털값을 생성하면,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은 펌웨어를 실행하는 연산 장치(424), 연산 장치(424)가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는 메모리(425), 펌웨어를 격납하는 기억 장치(426) 및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427)를 가진다. 연산 장치(424)에는 CPU를 적용할 수 있다. 메모리(425)에는 RAM을 적용할 수 있다. 기억 장치(426)에는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427)에는 LED 램프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21) 및 진단용 디지털값 생성부(428)는, 연산 장치(424)가 메모리(425)를 워크 에어리어로 이용하여, 펌웨어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또, 복수의 연산 장치 및 복수의 메모리가 제휴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해도 된다. 또, 도 17에 도시한 진단 이상 표시부(423)는, 연산 장치(424)가 표시 장치(427)의 점등 패턴을 제어함으로써 실현된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의 출력 유닛(44)의 구성은, 실시 형태 1에 출력 유닛(14)과 같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스텝 S301에 있어서, 릴레이 제어 처리부(434)는 출력 유닛(44)에 지령을 보내어 릴레이(50)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하여,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의 출력이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에 입력되도록 한다.
스텝 S302에서,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432)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422)에 기억되어 있는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취득한다.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은 스텝 S302에서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432)로부터 진단용 디지털값의 취득이 요구되었을 때에,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21)로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값으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은 입력된 아날로그값을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1)로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즉, 스텝 S302에서는, 제3 디지털값인 진단용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함으로써 제4 디지털값을 생성한다.
스텝 S303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1)로 변환된 디지털값인 제4 디지털값을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304에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는 스텝 S303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부터 취득한 제4 디지털값과, 스텝 S302에서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디지털값인 제3 디지털값을 비교한다. 양자가 일치하면, 스텝 S304에서 Yes가 되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03에서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으로부터 취득한 디지털값과, 스텝 S302에서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으로부터 취득한 진단용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스텝 S304에서 No가 되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는 스텝 S305에서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에 진단 이상을 통지한다. 진단 이상이 통지되면, 진단 이상 표시부(423)는 표시 장치(427)에 있어서 진단 이상의 발생을 표시한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진단 특유의 점등 패턴 또는 점등색으로 진단 이상을 표시함으로써,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의 표시 장치(427)로 진단 이상의 발생을 통지하더라도, 아날로그 입력 유닛(41)측에 원인이 있을 가능성을 유저는 인식 가능하다.
실시 형태 3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431)가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421)로 변환하고, 추가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411)로 변환한 디지털값과,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용의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기 때문에, 진단용 전용의 회로를 가지지 않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을 이용하여,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진단을 행할 수 있다. 추가로, 전환 장치의 제어를 연산 유닛(43)으로 행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입력 유닛(41) 및 아날로그 출력 유닛(42)에는, 전환 장치의 제어 기능을 갖게 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4.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40S)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42S), 연산 유닛(43S), 출력 유닛(44S), 전원 유닛(45S) 및 베이스 유닛(46S)은, 고장 발생시에 자기 진단에 의해 고장을 검출하여, 안전 출력을 강제적으로 오프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안전 규격에 대응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3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42), 연산 유닛(43), 출력 유닛(44), 전원 유닛(45) 및 베이스 유닛(46)과 같다. 아날로그 입력 유닛(41S)은 실시 형태 3의 아날로그 입력 유닛(41)과 같다.
실시 형태 4의 아날로그 출력 유닛(42S), 연산 유닛(43S) 및 출력 유닛(44S)은, 타 유닛과의 통신을 이중으로 행하여, 통신 결과를 대조함으로써, 고장에 대한 자기 진단을 행하는 안전 통신에 대응하고 있다. 안전 통신에서는, 이중으로 행한 통신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발생이라고 진단한다.
또, 실시 형태 4에서는, 연산 유닛(43S)이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안전 규격에 대응한 안전 래더 프로그램 또는 안전 펑션 블록이다.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3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4에 따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은, 유닛끼리의 통신을 안전 통신으로 행하기 때문에, 진단용 디지털값, 아날로그 변환치 또는 디지털 변환치를 유닛 사이에서 주고 받을 때의 통신 에러에 의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의 진단 결과에 오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내용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며, 다른 공지의 기술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10', 10S, 40, 40S: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11, 11', 11S, 41, 41S: 아날로그 입력 유닛,
12, 12', 12S, 42, 42S: 아날로그 출력 유닛,
13, 13', 13S, 43, 43S: 연산 유닛,
14, 14', 14S, 44, 44S: 출력 유닛,
15, 15a, 15b, 15S, 45, 45S: 전원 유닛,
16, 16a, 16b, 16S, 46, 46S: 베이스 유닛,
17, 18: 네트워크 유닛,
19: 허브,
20, 50: 릴레이,
30, 60: 외부 기기,
100, 100', 100S, 101, 101S: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111, 41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부,
112, 422: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
113, 423: 진단 이상 표시부,
114, 122, 135, 142, 412, 424: 연산 장치,
115, 123, 136, 143, 413, 425: 메모리,
116, 124, 137, 144, 414, 426: 기억 장치,
117, 427: 표시 장치,
118, 428: 진단용 디지털값 생성부,
121, 42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
131: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
132, 432: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
133: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
134, 434: 릴레이 제어 처리부,
141: 제어 신호 출력부,
43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

Claims (6)

  1.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제1 디지털값을 기억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를 구비하고,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과,
    상기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한 상기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의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의 대상으로 설정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와, 상기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2 디지털값과, 상기 제1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를 구비한 연산 유닛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에, 외부 기기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할지,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입력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2.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과,
    제3 디지털값을 기억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기억부를 구비하고,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상기 제3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와, 상기 제3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4 디지털값과, 상기 제3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를 구비한 연산 유닛을 가지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와,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외부 기기로 출력할지, 상기 제3 디지털값을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아날로그값을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전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산 유닛은 상기 전환 장치를 제어하는 전환 제어부를 가지는 연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산 유닛,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 및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 타 유닛과의 통신을 이중으로 행하여, 이중으로 행한 통신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장 발생이라고 진단하여,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의 입력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5.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조합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연산 유닛으로서,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와, 상기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에 설정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설정 처리부와, 상기 제1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2 디지털값과, 상기 제1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진단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산 유닛.
  6.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입력 유닛 및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는 아날로그 출력 유닛과 조합되어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연산 유닛으로서,
    제3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부터 취득하는 진단용 디지털값 취득부와, 상기 제3 디지털값을 상기 아날로그 출력 유닛으로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한 후, 추가로 상기 아날로그 입력 유닛으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한 제4 디지털값과, 상기 제3 디지털값이 일치하지 않으면,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기능에 이상이 있다고 진단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 진단 처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산 유닛.
KR1020167018468A 2015-04-20 2015-04-20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 KR101701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1980 WO2016170570A1 (ja) 2015-04-20 2015-04-20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及び演算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162A KR20160135162A (ko) 2016-11-25
KR101701691B1 true KR101701691B1 (ko) 2017-02-01

Family

ID=5712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468A KR101701691B1 (ko) 2015-04-20 2015-04-20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5322B1 (ko)
KR (1) KR101701691B1 (ko)
CN (1) CN106258005B (ko)
TW (1) TWI595336B (ko)
WO (1) WO2016170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8216B1 (de) * 2018-06-28 2020-11-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fehlersicheren bereitstellen eines analogen ausgabewertes
JPWO2020166004A1 (ja) * 2019-02-14 2021-02-18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026776B (zh) * 2019-07-05 2022-07-05 三菱电机株式会社 异常诊断系统及异常诊断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848A (ja) 2003-12-10 2005-06-30 Hitachi Ltd アナログ出力装置およびその診断方法
JP2009163705A (ja) 2007-12-13 2009-07-23 Hitachi Metals Ltd アナログ出力回路、流量制御装置及び流量制御装置の出力異常判別方法
JP5301060B1 (ja) 2012-10-26 2013-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変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JP5523588B2 (ja) 2011-01-2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入力ユニット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8106A (ja) * 2001-05-31 2002-12-13 Omron Corp 安全コントローラ
JP5368926B2 (ja) * 2009-09-25 2013-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における故障診断方法
JP5327395B2 (ja) * 2010-09-28 2013-10-30 三菱電機株式会社 D/a変換装置、周辺装置、及びplc
CN102455701B (zh) * 2010-10-22 2014-04-16 施耐德电气(中国)有限公司 采用可编程继电器结构的可编程逻辑控制器自动测试平台
KR101336373B1 (ko) * 2011-08-01 2013-12-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아날로그 입력 시스템, 아날로그 출력 시스템, 및 아날로그 입출력 시스템
DE112012006045B4 (de) * 2012-05-11 2016-01-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nalog-Wandler und speicher-programmierbares Steuerungssystem
CN202994940U (zh) * 2012-12-26 2013-06-12 浙江海得新能源有限公司 一种plc的自动化单板测试平台
CN103472822B (zh) * 2013-09-24 2015-08-19 北京星达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中央空调自动控制系统的仿真测试装置及测试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3848A (ja) 2003-12-10 2005-06-30 Hitachi Ltd アナログ出力装置およびその診断方法
JP2009163705A (ja) 2007-12-13 2009-07-23 Hitachi Metals Ltd アナログ出力回路、流量制御装置及び流量制御装置の出力異常判別方法
JP5523588B2 (ja) 2011-01-2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入力ユニット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5301060B1 (ja) 2012-10-26 2013-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変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58005A (zh) 2016-12-28
TW201702771A (zh) 2017-01-16
JP6005322B1 (ja) 2016-10-12
WO2016170570A1 (ja) 2016-10-27
KR20160135162A (ko) 2016-11-25
JPWO2016170570A1 (ja) 2017-04-27
CN106258005B (zh) 2018-05-08
TWI595336B (zh) 2017-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691B1 (ko)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시스템 및 연산 유닛
US10025287B2 (en) Method for assignment of verification numbers
JP613938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07025736A (ja) 安全plc
US10962959B2 (en) Re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ower supply control
EP2930574B1 (en) Programming assist device fo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rogram and programming assist method for the program
US1052801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121516A1 (en) Seamless and safe upgrade of software intensive systems during operation
JP201815203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11550286B2 (en) Control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US11985036B2 (en) Network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2190132A (ja) 情報処理装置
JP2017223465A (ja) 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機器
JP2011108070A (ja) アナログデータのスケール変換方法
KR20160112280A (ko) 등기구의 어드레스 설정 시스템
US20150316917A1 (en) Controller that outputs switchover notification signal upon switching of sequence program
JP2019079332A (ja) I/oモジュール
KR102274674B1 (ko)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의 채널 식별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17168587A1 (ja)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010079356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JP2019115017A (ja) アナログ信号入出力装置およびアナログ信号入出力装置の制御方法
JP2017521932A (ja) 車両外部電子ユニットによる自動車両の機能の遠隔制御のための方法及び自動車両
JP2017111641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KR20160122017A (ko) 동적 안정도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60041415A (ko) 용접로봇의 인터페이스 호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