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613B1 -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613B1
KR101701613B1 KR1020150077334A KR20150077334A KR101701613B1 KR 101701613 B1 KR101701613 B1 KR 101701613B1 KR 1020150077334 A KR1020150077334 A KR 1020150077334A KR 20150077334 A KR20150077334 A KR 20150077334A KR 101701613 B1 KR101701613 B1 KR 10170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gate
switching element
resistor
operatio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785A (ko
Inventor
마사키 와세쿠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139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8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composite switch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56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re than one type of semiconductor device, e.g. BIMOS, composite devices such as IGB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8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the generation of control voltages for semiconductor devices incorporated in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4Modifications for compensating variations of physical values, e.g. of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16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 H03K17/161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 H03K17/162Modifications for eliminating interference voltages or currents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163Soft switch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01Shaping pulses
    • H03K5/12Shaping pulses by steepening leading or trailing ed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22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 H03K5/24Circuits having more than one input and one output for comparing pulses or pulse train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input signal characteristics, e.g. slope, integral the characteristic being amplitud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0081Power supply means, e.g. to the switch driv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 10b) 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 (12),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a), 제 1 스위칭 소자 (22), 제 1 저항 (24) 및 제 1 오피 앰프 (32a) 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오피 앰프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된 출력과, 제 1 참조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과,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측의 단자 (24a) 의 전위에서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24b) 의 전위를 감산한 전위차에 기초하는 제 1 값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22a) 의 전위에 기초하는 제 2 값 중,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전위에 가까운 쪽의 값이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GATE POTENTIAL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의 전위를 제어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국제공개 WO2012/014314 에는 IGBT 의 게이트의 전위를 제어하는 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회로는 IGBT 의 게이트와 구동 전원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pMOS 와 저항을 갖고 있다. pMOS 의 게이트에는 오피 앰프 (operational amplifier) 가 접속되어 있다. 오피 앰프에 의해서 pMOS 의 드레인 전압이 일정해지도록 pMOS 가 제어된다. 이로써 IGBT 의 게이트의 전위가 소정치까지 상승한다.
국제공개 WO2012/014314 의 기술에서는 IGBT 의 게이트 전위의 상승 속도가 오피 앰프의 스루레이트에 의해서 정해진다. 오피 앰프의 스루레이트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국제공개 WO2012/014314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에서는 IGBT 의 게이트 전위의 상승 속도에 편차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오피 앰프의 스루레이트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오피 앰프에 의해서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위를 제어할 수 있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인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와,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저항과, 제 1 오피 앰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오피 앰프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접속된 출력과, 제 1 참조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과,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측의 단자의 전위에서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를 감산한 전위차에 기초하는 제 1 값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에 기초하는 제 2 값 중,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전위에 가까운 쪽의 값이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오피 앰프에 의해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위의 변화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 양태인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와,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저항과, 제 1 오피 앰프를 갖는다.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오피 앰프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접속된 출력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가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과,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와 제 3 참조 전위를 가산한 제 1 전위와 제 4 참조 전위 중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전위로부터 먼 쪽의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오피 앰프에 의해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위의 변화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와,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저항 및 제 1 오피 앰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 1 저항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다. 상기 제 1 오피 앰프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접속된 출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의 양단의 전위차의 절대값이 제 7 참조 전위 이하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가 제 8 참조 전위까지 변화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오피 앰프에 의해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전위의 변화 속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특징들, 이익들 및 기술적 산업적 의의가, 동일한 참조번호들이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정하는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의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에서 IGBT 를 온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의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서 IGBT 를 온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에서 IGBT 를 오프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의 회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에서 IGBT 를 온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의 회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 IGBT 를 온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4 에서 IGBT 를 오프시킬 때의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를 제어한다. IGBT (12) 는 인버터나 DC-DC 컨버터 등에 사용되는 전류 제어용의 스위칭 소자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로서 IGBT 를 사용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로서 다른 스위칭 소자 (예를 들어, MOS 등) 를 사용해도 된다.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는 게이트 충전 회로 (20) 와, 게이트 방전 회로 (40) 와, 절연 전원 (60) 과, 제어 장치 (70) 를 갖고 있다.
절연 전원 (60) 은 출력 단자 (60a) 에 전위 Vout 를 출력한다. 전위 Vout 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중에서 가장 높은 전위이다.
게이트 충전 회로 (20)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전하를 공급함으로써 IGBT (12) 를 온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게이트 충전 회로 (20) 는 pMOS (22) 와, 제 1 저항 (24) 과, 감산기 (26) 와, 증폭기 (28) 와, 제 1 참조 전원 (30) 과, 제 1 오피 앰프 IC (32) 와, 스위치 (34) 를 갖고 있다.
pMOS (22) 와 제 1 저항 (24) 은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a)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pMOS (22) 는 제 1 저항 (24) 보다 절연 전원 (60) 측에 접속되어 있다. pMOS (22) 의 소스 (22b) 는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a) 에 접속되어 있다. pMOS (22) 의 드레인 (22a) 은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a)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b)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전위 Va 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a) 의 전위이며, pMOS (22) 의 드레인 (2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전위 Vb 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b) 의 전위이며,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감산기 (26) 의 플러스 단자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a)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26) 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b)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26) 의 출력 단자는 증폭기 (28)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26) 는 단자 (24a) 의 전위 Va 에서 단자 (24b) 의 전위 Vb 를 감산한 전위 (Va - Vb) (즉, 제 1 저항 (24) 의 양단의 전위차) 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증폭기 (28) 의 입력 단자는 감산기 (26) 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 (28) 의 출력 단자는 제 1 오피 앰프 IC (32) 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 (28) 는 감산기 (26) 의 출력 전위 Va - Vb 를 A 배한 전위를 출력한다. 또한, A 는 1 보다 큰 정수 (定數) 이다. 증폭기 (28) 의 출력 전위 A(Va - Vb) 는 제 1 오피 앰프 IC (32) 에 입력된다.
제 1 참조 전원 (30) 의 정극은 제 1 오피 앰프 IC (3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참조 전원 (30) 의 부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참조 전원 (30) 은 제 1 참조 전위 Vref1 을 출력한다.
제 1 오피 앰프 IC (32) 는 제 1 오피 앰프 (32a) 와 제 1 선택기 (32b) 를 갖는 IC 이다. 제 1 선택기 (32b) 에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a) 의 전위 Va 와 증폭기 (28) 의 출력 전위 A(Va - Vb) 가 입력된다. 제 1 선택기 (32b) 는 전위 Va 와 전위 A(Va - Vb) 중 높은 쪽의 전위를 출력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제 1 선택기 (32b) 의 출력 전위 (즉, 전위 Va 와 전위 A(Va - Vb) 중 높은 쪽의 전위) 가 입력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는 제 1 참조 전위 Vref1 이 입력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출력은 pMOS (22) 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플러스의 전위를 출력하고, 반전 입력의 전위가 비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와 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일치하도록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스위치 (34) 는 pMOS (22) 의 소스 (22b) 와 게이트 (22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34) 는 소스 (22b) 와 게이트 (22c) 사이를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 (34) 는 제어 장치 (70)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게이트 방전 회로 (40) 는 제 2 저항 (44) 과 nMOS (42) 를 갖고 있다. 제 2 저항 (44) 과 nMOS (42)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그라운드 (80)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nMOS (42) 는 제 2 저항 (44) 보다 그라운드 (80) 측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의 소스 (42b) 는 그라운드 (80) 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의 드레인 (42a) 은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의 게이트 (42c) 는 제어 장치 (70) 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는 제어 장치 (70) 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스위칭한다.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 (70) 는 스위치 (34) 와 nMOS (42) 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는 IGBT (12) 가 오프 상태 (도 2 의 기간 T0) 로부터 온 상태 (도 2 의 기간 T6) 로 전환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a, Vb 및 전위차 Va - Vb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IGBT (12) 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 (즉, 기간 T0) 에서는 nMOS (42) 가 온되어 있고, 스위치 (34) 는 온되어 있다 (즉, pMOS (22) 는 오프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는 그라운드 전위 (0 V) 가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전위 Va, Vb 는 모두 0 V 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 (70) 는 도 2 의 시각 t1 에 있어서, nMOS (42) 를 오프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오프시킨다. 스위치 (34) 가 오프되면,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는 제 1 오피 앰프 (32a) 에 의해서 제어되게 된다. 시각 t1 에서는, 전위 Va 와 전위 A(Va - Vb) 가 모두 대략 0 V (그라운드 전위) 이기 때문에 제 1 선택기 (32b) 는 대략 0 V 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대략 0 V 가 입력된다. 반전 입력 Vref1 이 비반전 입력 0 V 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출력 (즉,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저하시킨다. 이로써, pMOS (22) 가 온되고, 절연 전원 (60) 으로부터 pMOS (22) 와 제 1 저항 (24) 을 경유하여 IGBT (12) 의 게이트 (12a) 를 향하여 게이트 전류가 흐른다. 시각 t1 에서 pMOS (22) 가 온되면, 그 후의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전위차 Va - Vb 가 증가한다. 또, 게이트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게이트 (12a) 에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에 게이트 (12a) 의 전위가 서서히 상승한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a, Vb 가 상승한다. 또, 기간 T1 에서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낮기 때문에,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출력 전위 (즉, 게이트 (22c) 의 전위) 를 그 스루레이트에 따라서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a, Vb 가 상승하는 기울기는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스루레이트에 따른 기울기로 되어 있다. 기간 T1 에 있어서는, 전위 A(Va - Vb) 가 전위 Va 보다 빠르게 상승한다. 따라서, 기간 T1 사이는 전위 A(Va - Vb) 가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 계속 입력된다.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상승하면, 시각 t2 에 있어서 전위차 Va - Vb 가 값 Vref1/A 에 도달한다. 즉, 시각 t2 의 시점에서 A(Va - Vb) = Vref1 이 만족된다. 그러면, 제 1 오피 앰프 (32a) 가 A(Va - Vb) = Vref1 을 유지하도록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따라서,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전위차 Va - Vb 가 Vref1/A 에서 대략 일정해진다. 즉,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일정한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전위 Va, Vb 가 상승한다. 전위 Va, Vb 는 시각 t3 후의 기간 T3 이 되면 대략 일정한 전위로 추이하게 되는데, 이것은 IGBT (12) 의 미러 용량에 전하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기간 T3 에서도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a - Vb) 는 대략 일정하다. 그 후, 시각 t4 가 되면 미러 용량에 대한 전하의 충전이 완료된다. 이 때문에, 시각 t4 후의 기간 T4 에서 다시 전위 Va, Vb 가 상승한다. 기간 T4 에서도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기간 T4 에서는 기간 T2 와 대략 동일한 기울기로 전위 Va, Vb 가 상승한다. 시각 t5 에 있어서 전위 Va 가 제 1 참조 전위 Vref1 에 도달하면, 전위 Va 가 전위 A(Va - Vb) 를 초과하기 때문에, 제 1 선택기 (32b) 가 전위 Va 를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그러면,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전위 Va 를 제 1 참조 전위 Vref1 에 유지하도록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이로써, 게이트 전류가 감소되어 전위차 Va - Vb 가 저하된다. 이와 같이, 전위차 Va - Vb 가 저하되기 때문에, 시각 t5 후의 기간 T5 에서는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 전위 Va 가 계속 입력된다. 이 때문에, 기간 T5 에서는 전위 Va 가 제 1 참조 전위 Vref1 과 일치하도록 pMOS (22) 가 제어된다. 따라서, 기간 T5 사이에서 서서히 게이트 전류가 저하되고, 전위 Vb 가 제 1 참조 전위 Vref1 과 일치하는 전위까지 상승한 시각 t6 에서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a - Vb) 가 대략 제로로 된다. 그 후에는,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전위 Va, Vb 가 제 1 참조 전위 Vref1 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위 Vb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이기 때문에, 전위 Vb 가 제 1 참조 전위 Vref1 로 제어됨으로써 IGBT (12) 가 온된다.
IGBT (12) 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 (70) 에 의해서 스위치 (34) 와 nMOS (42) 가 턴온된다. 스위치 (34) 가 온되면 pMOS (22) 가 오프되고, 게이트 (12a) 로의 전하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nMOS (42) 가 온되면, 게이트 (12a) 로부터 그라운드 (80) 로 전하가 배출되고, 게이트 (12a) 의 전위가 그라운드 전위까지 저하된다. 이로써, IGBT (12) 가 오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에서는 IGBT (12) 를 온시킬 때, 제 1 저항 (24) 의 양단의 전위차 Va - Vb 가 소정 전위 Vref1/A 를 초과하지 않도록 pMOS (22) 가 제어된다. 이 때문에, 기간 T2 ∼ T4 에서는 전위차 Va - Vb (즉, 게이트 전류) 가 일정해지고, 전위 Va, Vb 가 상승하는 기울기가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제어된다. 즉, 기간 T2, T4 에서는, 전위 Va, Vb 가 상승하는 기울기가 스루레이트에 따른 기울기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기울기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에 의해서 IGBT (12) 를 온시키면,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스루레이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대략 일정한 속도로 IGBT (12) 를 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를 양산한 경우에는,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스루레이트의 편차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각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의 스위칭 속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 제 1 오피 앰프 (32a) 에 의하면, 기간 T6 에 있어서의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 Vb 를 전위 Vref1 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에서는, IGBT (12) 의 턴온 속도에 편차가 잘 발생되지 않음과 함께,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에도 편차가 잘 발생되지 않는다.
도 3 에 나타내는 실시예 2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는, 절연 전원 (60) 과 게이트 방전 회로 (40) 의 구성이 실시예 1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와 상이하다.
실시예 2 의 절연 전원 (60) 은 출력 단자 (60b) 를 갖고 있다. 출력 단자 (60b) 에는 마이너스 전위 V-out (그라운드보다 낮은 전위) 가 출력된다. 전위 V-out 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중에서 가장 낮은 전위이다.
실시예 2 의 게이트 방전 회로 (40)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로부터 전하를 배출함으로써 IGBT (12) 를 오프시키기 위한 회로이다. 게이트 방전 회로 (40) 는 nMOS (42) 와, 제 2 저항 (44) 과, 감산기 (46) 와, 증폭기 (48) 와, 제 2 참조 전원 (50) 과, 제 2 오피 앰프 IC (52) 와, 스위치 (54) 를 갖고 있다.
nMOS (42) 와 제 2 저항 (44) 은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절연 전원 (60) 의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60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nMOS (42) 는 제 2 저항 (44) 보다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측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의 소스 (42b) 는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에 접속되어 있다. nMOS (42) 의 드레인 (42a) 은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 나타내는 전위 Vc 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의 전위이며, nMOS (42) 의 드레인 (4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또, 전위 Vb 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의 전위와 동등하다.
감산기 (46) 의 플러스 단자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46) 의 마이너스 단자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46) 의 출력 단자는 증폭기 (48) 에 접속되어 있다. 감산기 (46) 는 단자 (44a) 의 전위 Vc 에서 단자 (44b) 의 전위 Vb 를 감산한 전위 (Vc - Vb) 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Vc < Vb 이기 때문에 전위 Vc - Vb 는 마이너스의 전위이다.
증폭기 (48) 의 입력 단자는 감산기 (46) 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 (48) 의 출력 단자는 제 2 오피 앰프 IC (52) 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 (48) 는 감산기 (46) 의 출력 전위 Vc - Vb 를 A 배한 전위를 출력한다. 증폭기 (48) 의 출력 전위 A(Vc - Vb) 는 제 2 오피 앰프 IC (52) 에 입력된다.
제 2 참조 전원 (50) 의 정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참조 전원 (50) 의 부극은 제 2 오피 앰프 IC (5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참조 전원 (50) 은 제 2 참조 전위 Vref2 를 출력한다. 제 2 참조 전위 Vref2 는 그라운드보다 낮은 마이너스의 전위이다.
제 2 오피 앰프 IC (52) 는 제 2 오피 앰프 (52a) 와 제 2 선택기 (52b) 를 갖는 IC 이다. 제 2 선택기 (52b) 에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의 전위 Vc 와, 증폭기 (48) 의 출력 전위 A(Vc - Vb) 가 입력된다. 제 2 선택기 (52b) 는 전위 Vc 와 전위 A(Vc - Vb) 중 낮은 쪽의 전위를 출력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제 2 선택기 (52b) 의 출력 전위 (즉, 전위 Vc 와 전위 A(Vc - Vb) 중 낮은 쪽의 전위) 가 입력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는 제 2 참조 전위 Vref2 가 입력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출력은 nMOS (42) 의 게이트 (42c)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플러스의 전위를 출력하고, 반전 입력의 전위가 비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와 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일치하도록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스위치 (54) 는 nMOS (42) 의 소스 (42b) 와 게이트 (42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54) 는 소스 (42b) 와 게이트 (42c) 사이를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 (54) 는 제어 장치 (70)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음으로,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 는 IGBT (12) 가 오프 상태 (도 4 의 기간 T0) 로부터 온 상태 (도 4 의 기간 T6) 로 전환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a, Vb, 전위차 Va - Vb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BT (12) 가 오프되어 있는 기간 T0 에 있어서는, 전위 Va, Vb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마이너스의 전위) 로 되어 있다. 즉,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제 2 참조 전위 Vref2 가 인가되어 있다. IGBT (12) 를 온시킬 때에는, 제어 장치 (70) 가 스위치 (54) 를 온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오프시킨다. 스위치 (54) 가 온되면, nMOS (42) 는 오프된다. 또, 스위치 (34) 가 오프되면, 게이트 충전 회로 (20) 가 전위 Va, Vb 를 제 1 참조 전위 Vref1 까지 상승시킨다. 이 동작은 IGBT (12) 가 오프되어 있을 때의 전위 Vref2 가 마이너스의 전위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의 동작과 동등하다.
다음으로, IGBT (12) 를 오프시키는 경우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는 IGBT (12) 를 온 상태 (도 5 의 기간 T0) 로부터 오프 상태 (도 5 의 기간 T6) 로 전환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b, Vc 및 전위차 Vc - Vb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IGBT (12) 가 온되어 있는 기간 (도 5 의 기간 T0) 에 있어서는, 스위치 (54) 가 온되어 있고, 스위치 (34) 가 오프되어 있다. 제어 장치 (70) 는 도 5 의 시각 t1 에 있어서, 스위치 (54) 를 오프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온시킨다. 스위치 (34) 가 온되면 pMOS (22) 가 오프된다. 또, 스위치 (54) 가 오프되면,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는 제 2 오피 앰프 (52a) 에 의해서 제어되게 된다. 시각 t1 에서는, 전위 Vb 와 전위 Vc 는 모두 제 1 참조 전위 Vref1 이다. 따라서, 증폭기 (48) 의 출력 전위 A(Vc - Vb) 는 대략 0 V 이다. 이 때문에, 전위 A(Vc - Vb) 가 전위 Vc (= Vref1) 보다 낮기 때문에, 제 2 선택기 (52b) 는 전위 A(Vc - Vb) 를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비반전 입력 0 V 가 반전 입력 (Vref2 : 마이너스의 전위) 보다 높기 때문에, 출력 (즉,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nMOS (42) 가 온되고, IGBT (12) 의 게이트 (12a) 로부터 제 2 저항 (44) 과 nMOS (42) 를 경유하여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를 향하여 게이트 전류가 흐른다. 시각 t1 에서 nMOS (42) 가 온되면, 그 후의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전위차 Vc - Vb 가 저하된다 (전위차 Vc - Vb 의 절대값이 증가한다). 또, 게이트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게이트 (12a) 로부터 전하가 배출되기 때문에, 게이트 (12a) 의 전위가 서서히 저하된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b, Vc 가 저하된다. 또, 기간 T1 에서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낮기 때문에,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출력 전위 (즉, 게이트 (42c) 의 전위) 를 그 스루레이트에 따라서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b, Vc 가 저하되는 기울기는 제 2 오피 앰프 (52a) 의 스루레이트에 따른 기울기로 되어 있다. 기간 T1 에 있어서는 전위 A(Vc - Vb) 가 전위 Vc 보다 빠르게 저하된다. 따라서, 전위 A(Vc - Vb) 가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 계속 입력된다.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상승하면, 시각 t2 에 있어서 전위차 Vc - Vb 가 값 Vref2/A 에 도달한다. 즉, 시각 t2 의 시점에서 A(Vc - Vb) = Vref2 가 만족된다. 그러면, 제 2 오피 앰프 (52a) 가 A(Vc - Vb) = Vref2 를 유지하도록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따라서,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전위차 Vc - Vb 가 Vref2/A 에서 대략 일정해진다. 즉,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일정한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전위 Vb, Vc 가 저하된다. 전위 Vb, Vc 는 시각 t3 후의 기간 T3 이 되면 대략 일정한 전위로 추이하게 되는데, 이것은 IGBT (12) 의 미러 용량으로부터 전하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기간 T3 에서도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c - Vb) 는 대략 일정하다. 그 후, 시각 t4 가 되면, 미러 용량으로부터의 전하의 배출이 완료된다. 이 때문에, 시각 t4 후의 기간 T4 에서 다시 전위 Vb, Vc 가 저하된다. 기간 T4 에서도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기간 T4 에서는 기간 T2 와 대략 동일한 기울기로 전위 Vb, Vc 가 저하된다. 시각 t5 에 있어서 전위 Vc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에 도달하면, 전위 Vc 가 전위 A(Vc - Vb) 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 전위 Vc 가 입력된다. 그러면,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전위 Vc 를 제 2 참조 전위 Vref2 에 유지하도록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이로써, 게이트 전류가 감소되고, 전위차 Vc - Vb 가 상승한다 (0 V 에 가까워진다). 이와 같이, 전위차 Vc - Vb 가 상승하기 때문에, 시각 t5 후의 기간 T5 에서는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 전위 Vc 가 계속 입력된다. 이 때문에, 기간 T5 에서는 전위 Vc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와 일치하도록 nMOS (42) 가 제어된다. 따라서, 기간 T5 사이에 서서히 게이트 전류가 저하되고, 전위 Vb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와 일치하는 전위까지 저하된 시각 t6 에서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c - Vb) 가 대략 제로로 된다. 그 후에는,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전위 Vc, Vb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위 Vb (즉,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 가 제 2 참조 전위 Vref2 (저전위) 로 제어됨으로써 IGBT (12) 가 오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에서는, IGBT (12) 를 오프시킬 때, 제 2 저항 (44) 의 양단의 전위차 Vc - Vb 가 소정 전위 Vref2/A 를 밑돌지 않도록 (즉, 전위차 Vc - Vb 의 절대값이 전위 Vref2/A 의 절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nMOS (42) 가 제어된다. 이 때문에, 기간 T2 ∼ T4 에서는 전위차 Vc - Vb (즉, 게이트 전류) 가 일정해지고, 전위 Vb, Vc 가 저하되는 기울기가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제어된다. 즉, 기간 T2, T4 에서는, 전위 Vb, Vc 가 저하되는 기울기가 스루레이트에 따르는 기울기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기울기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에 의해서 IGBT (12) 를 오프시키면, 제 2 오피 앰프 (52a) 의 스루레이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대략 일정한 속도로 IGBT (12) 를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실시예 2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에서는 IGBT (12) 를 온시키는 경우도, IGBT (12) 를 오프시키는 경우도, 오피 앰프의 스루레이트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이로써, 양산시에 IGBT (12) 의 스위칭 속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b) 에 의하면, 전위 Va, Vb, Vc 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1, 2 의 IGBT (12) 는 본 발명의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1, 2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a) 는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1, 2 의 제 1 저항 (24) 은 본 발명의 제 1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1, 2 의 pMOS (22) 는 본 발명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1, 2 의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본 발명의 제 1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2 의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전위차 Va - Vb 에 기초하는 값 A(Va - Vb) 와 전위 Va 중 높은 쪽의 값 (즉,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에 가까운 쪽의 값) 이 입력된다. 또, 실시예 1, 2 의 전위 Vref1/A 는 본 발명의 제 7 참조 전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1, 2 의 제 1 참조 전위 Vref1 은 본 발명 제 1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8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는 본 발명의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nMOS (42) 는 본 발명의 제 2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제 2 저항 (44) 은 본 발명의 제 2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본 발명의 제 2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의 전위 Vref2/A 는 본 발명의 제 9 참조 전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의 제 2 참조 전위 Vref2 는 본 발명의 제 2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10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아래와 같이 인정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 2 의 IGBT (12) 는 본 발명의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는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제 2 저항 (44) 은 본 발명의 제 1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nMOS (42) 는 본 발명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본 발명의 제 1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2 의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전위차 Vc - Vb 에 기초하는 값 A(Vc - Vb) 와 전위 Vc 중 낮은 쪽의 값 (즉,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에 가까운 쪽의 값) 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를 온시키기 (즉, IGBT 의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게이트 온 전위 (예를 들어, 실시예 1, 2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이어도 되고, 구동용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기 (즉, IGBT 의 게이트 전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이트 오프 전위 (예를 들어, 실시예 2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이어도 된다. 이 경우, 실시예 2 의 전위 Vref2/A 는 본 발명의 제 7 참조 전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2 의 제 2 참조 전위 Vref2 는 본 발명의 제 8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1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의 구성에 대하여,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저항 (101, 102) 을 부가해도 된다. 제 3 저항 (101) 은 제 1 저항 (24) 과 IGBT (12) 의 게이트 (12a)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저항 (102) 은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제 2 저항 (44)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3 저항 (101, 102) 의 양단의 전위차가 오피 앰프에 입력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제 3 저항 (101, 102) 의 저항값을 변경해도 오피 앰프의 동작에 거의 영향을 주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제 3 저항 (101, 102) 을 교환함으로써, 오피 앰프의 동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게이트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대해서 충전시와 방전시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전류 경로에 추가적인 제 3 저항 (103) 을 부가해도 된다. 도 7 의 구성에서도 오피 앰프의 동작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게이트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도 6, 7 의 제 3 저항 (101, 103) 과 마찬가지로,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1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의 단자 (24b) 와 게이트 (12a) 사이에 제 3 저항을 추가해도 된다.
또, 실시예 1, 2, 및 도 6, 7 의 회로에 있어서는, 제 1 저항 (24) 과 pMOS (22) 의 위치가 바뀌어 있어도 된다. 또, 실시예 2 및 도 6, 7 의 회로에 있어서는 제 2 저항 (44) 과 nMOS (42) 의 위치가 바뀌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6 의 회로를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이 회로에서는, 실시예 1, 2 및 도 6, 7 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제 1 저항 (24) 의 양단의 전위차를 정수배한 값 A(Va - Vb) 와, pMOS (22) 의 드레인 (22a) 의 전위 Va2 가 제 1 선택기 (32b) 에 입력된다. 또, 이 회로에서는, 실시예 2 및 도 6, 7 의 회로와 마찬가지로, 제 2 저항 (44) 의 양단의 전위차 Vc - Vb 와, nMOS (42) 의 드레인 (42a) 의 전위 Vc2 가 제 2 선택기 (52b) 에 입력된다. 도 8 과 같이 배치를 변경해도 실시예 1, 2, 및 도 6, 7 의 회로와 동일한 동작이 가능하다.
도 9 에 나타내는 실시예 3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는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를 제어한다. 실시예 3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는 게이트 충전 회로 (20) 의 구성이 실시예 1 의 회로와 상이하고,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 과 동등하다.
실시예 3 에서는, 게이트 충전 회로 (20) 는 pMOS (22) 와, 제 1 저항 (24) 과, 가산기 (35) 와, 제 3 참조 전원 (36) 과 제 4 참조 전원 (37) 과 제 1 오피 앰프 IC (32) 와 스위치 (34) 를 갖고 있다.
pMOS (22) 와 제 1 저항 (24) 은,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a)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전위 Vd 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a) 의 전위이며, pMOS (22) 의 드레인 (2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전위 Ve 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b) 의 전위이며, IGBT (12) 의 게이트 (1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제 3 참조 전원 (36) 의 정극은 가산기 (35) 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참조 전원 (36) 의 부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참조 전원 (36) 은 제 3 참조 전위 Vref3 을 출력한다.
가산기 (35) 의 하나의 입력 단자는 제 1 저항 (24) 의 단자 (24b) 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35) 의 다른 입력 단자는 제 3 참조 전원 (36) 의 정극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35) 의 출력 단자는 제 1 오피 앰프 IC (32) 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35) 는 단자 (24b) 의 전위 Ve 에 제 3 참조 전위 Vref3 을 가산한 전위 (Ve + Vref3) 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제 4 참조 전원 (37) 의 정극은 제 1 오피 앰프 IC (3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참조 전원 (37) 의 부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4 참조 전원 (37) 은 제 4 참조 전위 Vref4 를 출력한다. 제 4 참조 전위 Vref4 는 제 3 참조 전위 Vref3 보다 크다.
제 1 오피 앰프 IC (32) 는 제 1 오피 앰프 (32a) 와 제 1 선택기 (32b) 를 갖는다. 제 1 선택기 (32b) 에는 가산기 (35) 가 출력하는 전위 Ve + Vref3 과, 제 4 참조 전원 (37) 이 출력하는 제 4 참조 전위 Vref4 가 입력된다. 제 1 선택기 (32b) 는 전위 Ve + Vref3 과 전위 Vref4 중 낮은 쪽의 전위를 출력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는 제 1 선택기 (32b) 의 출력 전위 (즉, 전위 Ve + Vref3 과 전위 Vref4 중 낮은 쪽의 전위) 가 입력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전위 Vd 가 입력된다.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출력은 pMOS (22) 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플러스의 전위를 출력하고, 반전 입력의 전위가 비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와 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일치하도록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스위치 (34) 는 pMOS (22) 의 소스 (22b) 와 게이트 (22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34) 는 소스 (22b) 와 게이트 (22c) 사이를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 (34) 는 제어 장치 (70)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음으로,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은 IGBT (12) 가 오프 상태 (도 10 의 기간 T0) 로부터 온 상태 (도 10 의 기간 T6) 로 전환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d, Ve 및 전위차 Vd - Ve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IGBT (12) 가 오프되어 있는 상태 (즉, 기간 T0) 에서는 nMOS (42) 가 온되어 있고, 스위치 (34) 는 온되어 있다 (즉, pMOS (22) 는 오프되어 있다). 이 때문에,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는 그라운드 전위 (0 V) 가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전위 Vd, Ve 는 모두 0 V 로 되어 있다.
제어 장치 (70) 는 도 10 의 시각 t1 에 있어서 nMOS (42) 를 오프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오프시킨다. 스위치 (34) 가 오프되면,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는 제 1 오피 앰프 (32a) 에 의해서 제어되게 된다. 시각 t1 에서는 전위 Ve 가 대략 0 V (그라운드 전위) 이기 때문에, 가산기 (35) 의 출력 전위 Ve + Vref3 은 제 3 참조 전위 Vref3 과 동등하다. 제 3 참조 전위 Vref3 이 제 4 참조 전위 Vref4 보다 낮기 때문에, 제 1 선택기 (32b) 는 제 3 참조 전위 Vref3 을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반전 입력 Vref3 이 비반전 입력 (Vd = 0 V) 보다 높기 때문에,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출력 (즉, pMOS (22) 의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저하시킨다. 이로써, pMOS (22) 가 온되고, 절연 전원 (60) 으로부터 pMOS (22) 와 제 1 저항 (24) 을 경유하여 IGBT (12) 의 게이트 (12a) 를 향하여 게이트 전류가 흐른다. 시각 t1 에서 pMOS (22) 가 온되면, 그 후의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전위차 Vd - Ve 가 증가한다. 또, 게이트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게이트 (12a) 에 전하가 축적되기 때문에, 게이트 (12a) 의 전위가 서서히 상승한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d, Ve 가 상승한다. 또, 기간 T1 에서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 Vd 가 낮기 때문에,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출력 전위 (즉, 게이트 (22c) 의 전위) 를 그 스루레이트에 따라서 저하시킨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d, Ve 가 상승하는 기울기는 제 1 오피 앰프 (32a) 의 스루레이트에 따른 기울기로 되어 있다. 시각 t1 이후에 있어서도, 전위 Ve + Vref3 이 제 4 참조 전위 Vref4 보다 낮기 때문에, 전위 Ve + Vref3 이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 계속 입력된다.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상승하면, 시각 t2 에 있어서 전위차 Vd - Ve 가 제 3 참조 전위 Vref3 에 도달한다. 즉, 시각 t2 의 시점에서 Vd = Ve + Vref3 이 만족된다. 즉,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의 전위와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대략 일치한다. 그러면, 제 1 오피 앰프 (32a) 가 Vd = Ve + Vref3 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따라서,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전위차 Vd - Ve 가 제 3 참조 전위 Vref3 에서 대략 일정해진다. 즉,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일정한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전위 Vd, Ve 가 상승한다. 전위 Vd, Ve 는 시각 t3 후의 기간 T3 이 되면 대략 일정한 전위로 추이하게 되는데, 이것은 IGBT (12) 의 미러 용량에 전하가 충전되기 때문이다. 기간 T3 에서도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d - Ve) 는 대략 일정하다. 그 후, 시각 t4 가 되면 미러 용량에 대한 전하의 충전이 완료된다. 이 때문에, 시각 t4 후의 기간 T4 에서 다시 전위 Vd, Ve 가 상승한다. 기간 T4 에서도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기간 T4 에서는 기간 T2 와 대략 동일한 기울기로 전위 Vd, Ve 가 상승한다. 시각 t5 에 있어서 전위 Vd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에 도달하면, 전위 Ve + Vref3 이 제 4 참조 전위 Vref4 를 초과하기 때문에, 제 1 선택기 (32b)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를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그러면,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전위 Vd 를 제 4 참조 전위 Vref4 에 유지하도록 게이트 (2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이로써, 게이트 전류가 감소되어 전위차 Vd - Ve 가 저하된다. 그러나, 그 후에도 게이트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위 Ve 는 기간 T5 에서도 상승을 계속한다. 따라서, 기간 T5 에서는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 제 4 참조 전위 Vref4 가 계속 입력된다. 이 때문에, 기간 T5 에서는 전위 Vd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와 일치하도록 pMOS (22) 가 제어된다. 따라서, 기간 T5 사이에 서서히 게이트 전류가 저하되고, 전위 Ve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와 일치하는 전위까지 상승한 시각 t6 에서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d - Ve) 가 대략 제로로 된다. 그 후에는, 제 1 오피 앰프 (32a) 는 전위 Vd, Ve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IGBT (12) 가 온된다. 그 후, IGBT (12) 를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nMOS (42) 를 온시키고, pMOS (22) 를 오프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에서는, IGBT (12) 를 온시킬 때 제 1 저항 (24) 의 양단의 전위차 Vd - Ve 가 소정 전위 Vref3 을 초과하지 않도록 pMOS (22) 가 제어된다. 이 때문에, 기간 T2 ∼ T4 에서는 전위차 Vd - Ve (즉, 게이트 전류) 가 일정해지고, 전위 Vd, Ve 가 상승하는 기울기가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제어된다. 즉, 기간 T2, T4 에서는 전위 Vd, Ve 가 상승하는 기울기가 스루레이트에 따르는 기울기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기울기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에서는 스위칭 속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 제 1 오피 앰프 (32a) 에 의하면 전위 Vd, Ve 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실시예 4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는, 절연 전원 (60) 과 게이트 방전 회로 (40) 의 구성이 실시예 3 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와 상이하다.
실시예 4 의 절연 전원 (60) 은 출력 단자 (60b) 를 갖고 있다. 출력 단자 (60b) 에 마이너스 전위 V-out (그라운드보다 낮은 전위) 가 출력된다. 전위 V-out 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중에서 가장 낮은 전위이다.
실시예 4 의 게이트 방전 회로 (40) 는, nMOS (42) 와, 제 2 저항 (44) 과, 가산기 (55) 와, 제 5 참조 전원 (56) 과, 제 6 참조 전원 (57) 과, 제 2 오피 앰프 IC (52) 와, 스위치 (54) 를 갖고 있다.
nMOS (42) 와 제 2 저항 (44) 은 실시예 2 와 마찬가지로, IGBT (12) 의 게이트 (12a) 와 절연 전원 (60) 의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60b)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전위 Vf 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a) 의 전위이며, nMOS (42) 의 드레인 (42a) 의 전위와 동등하다. 또, 전위 Ve 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의 전위와 동등하다.
제 5 참조 전원 (56) 의 부극은 가산기 (55) 에 접속되어 있다. 제 5 참조 전원 (56) 의 정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5 참조 전원 (56) 은 제 5 참조 전위 Vref5 를 출력한다. 제 5 참조 전위 Vref5 는 그라운드보다 낮은 마이너스의 전위이다.
가산기 (55) 의 하나의 입력 단자는 제 2 저항 (44) 의 단자 (44b) 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55) 의 다른 입력 단자는 제 5 참조 전원 (56) 의 부극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55) 의 출력 단자는 제 2 오피 앰프 IC (52) 에 접속되어 있다. 가산기 (55) 는 단자 (44b) 의 전위 Ve 에 제 5 참조 전위 Vref5 를 가산한 전위 (Ve + Vref5) 를 출력 단자에 출력한다.
제 6 참조 전원 (57) 의 부극은 제 2 오피 앰프 IC (5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6 참조 전원 (57) 의 정극은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제 6 참조 전원 (57) 은 제 6 참조 전위 Vref6 을 출력한다. 제 6 참조 전위 Vref6 은 그라운드보다 낮은 마이너스의 전위이다. 제 6 참조 전위 Vref6 은 제 5 참조 전위 Vref5 보다 낮다 (즉, 제 6 참조 전위 Vref6 의 절대값은 제 5 참조 전위 Vref5 의 절대값보다 크다).
제 2 오피 앰프 IC (52) 는 제 2 오피 앰프 (52a) 와 제 2 선택기 (52b) 를 갖는다. 제 2 선택기 (52b) 에는 가산기 (55) 가 출력하는 전위 Ve + Vref5 와 제 6 참조 전원 (57) 이 출력하는 제 6 참조 전위 Vref6 이 입력된다. 제 2 선택기 (52b) 는 전위 Ve + Vref5 와 전위 Vref6 중 높은 쪽의 전위를 출력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는 제 2 선택기 (52b) 의 출력 전위 (즉, 전위 Ve + Vref5 와 전위 Vref6 중 높은 쪽의 전위) 가 입력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전위 Vf 가 입력된다. 제 2 오피 앰프 (52a) 의 출력은 nMOS (42) 의 게이트 (42c) 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플러스의 전위를 출력하고, 반전 입력의 전위가 비반전 입력의 전위보다 높을 때에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와 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가 일치하도록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스위치 (54) 는 nMOS (42) 의 소스 (42b) 와 게이트 (42c)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 (54) 는 소스 (42b) 와 게이트 (42c) 사이를 도통 상태와 차단 상태로 전환한다. 스위치 (54) 는 제어 장치 (70)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서 제어된다.
다음으로,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는 IGBT (12) 가 오프 상태 (도 12 의 기간 T0) 로부터 온 상태 (도 12 의 기간 T6) 로 전환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d, Ve, 전위차 Vd - Ve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BT (12) 가 오프되어 있는 기간 T0 에 있어서는, 전위 Vd, Ve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마이너스의 전위) 으로 되어 있다. 즉, IGBT (12) 의 게이트 (12a) 에 제 6 참조 전위 Vref6 이 인가되어 있다. IGBT (12) 를 온시킬 때에는 제어 장치 (70) 가 스위치 (54) 를 온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오프시킨다. 스위치 (54) 가 온되면, nMOS (42) 는 오프된다. 또, 스위치 (34) 가 오프되면, 게이트 충전 회로 (20) 가 전위 Vd, Ve 를 제 4 참조 전위 Vref4 까지 상승시킨다. 이 동작은 IGBT (12) 가 오프되어 있을 때의 전위 Vref6 이 마이너스의 전위인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 의 동작과 동등하다.
다음으로, IGBT (12) 를 오프시키는 경우의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 은 IGBT (12) 를 온 상태 (도 13 의 기간 T0) 로부터 오프 상태 (도 13 의 기간 T6) 로 전환할 때에 있어서의 전위 Ve, Vf 및 전위차 Vf - Ve 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IGBT (12) 가 온되어 있는 기간 (도 13 의 기간 T0) 에 있어서는, 스위치 (54) 가 온되어 있고, 스위치 (34) 가 오프되어 있다. 제어 장치 (70) 는 도 13 의 시각 t1 에 있어서 스위치 (54) 를 오프시킴과 함께, 스위치 (34) 를 온시킨다. 스위치 (34) 가 온되면, pMOS (22) 가 오프된다. 또, 스위치 (54) 가 오프되면,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는 제 2 오피 앰프 (52a) 에 의해서 제어되게 된다. 시각 t1 에서는 전위 Ve 가 제 4 참조 전위 Vref4 이기 때문에, 가산기 (55) 의 출력 전위 Ve + Vref5 는 전위 Vref4 + Vref5 로 되어 있다. 이 단계에서는, 전위 Vref4 + Vref5 는 제 6 참조 전위 Vref6 보다 높다. 이 때문에, 제 2 선택기 (52b) 는 전위 Vref4 + Vref5 를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비반전 입력 Vf = Vref4 가 반전 입력 Vref4 + Vref5 보다 높기 때문에,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출력 (즉, nMOS (42) 의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nMOS (42) 가 온되고, IGBT (12) 의 게이트 (12a) 로부터 제 2 저항 (44) 과 nMOS (42) 를 경유하여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를 향하여 게이트 전류가 흐른다. 시각 t1 에서 nMOS (42) 가 온되면, 그 후의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전위차 Vf - Ve 가 저하된다 (전위차 Vf - Ve 의 절대값이 증가한다). 또, 게이트 전류가 흐름에 따라서 게이트 (12a) 로부터 전하가 배출되기 때문에 게이트 (12a) 의 전위가 서서히 저하된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e, Vf 가 저하된다. 기간 T1 에서는 비반전 입력에 입력되는 전위 Vf 가 높기 때문에,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출력 전위 (즉, 게이트 (42c) 의 전위) 를 그 스루레이트에 따라서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기간 T1 에서는, 전위 Ve, Vf 가 저하되는 기울기는 제 2 오피 앰프 (52a) 의 스루레이트에 따른 기울기로 되어 있다. 시각 t1 이후에 있어서도 전위 Ve + Vref5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보다 높기 때문에, 전위 Ve + Vref5 가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 계속 입력된다.
기간 T1 에서 게이트 전류가 상승하면, 시각 t2 에 있어서 전위차 Vf - Ve 가 제 5 참조 전위 Vref5 에 도달한다. 즉, 시각 t2 의 시점에서 Vf = Ve + Vref5 가 만족된다. 즉,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의 전위와 비반전 입력의 전위가 대략 일치한다. 그러면, 제 2 오피 앰프 (52a) 가 Vf = Ve + Vref5 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따라서,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전위차 Vf - Ve 가 제 5 참조 전위 Vref5 에서 대략 일정해진다. 즉,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시각 t2 후의 기간 T2 에서는 일정한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전위 Ve, Vf 가 저하된다. 전위 Ve, Vf 는 시각 t3 후의 기간 T3 이 되면 대략 일정한 전위로 추이하게 되는데, 이것은 IGBT (12) 의 미러 용량으로부터 전하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기간 T3 에서도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f - Ve) 는 대략 일정하다. 그 후, 시각 t4 가 되면 미러 용량으로부터의 전하의 배출이 완료된다. 이 때문에, 시각 t4 후의 기간 T4 에서 다시 전위 Ve, Vf 가 저하된다. 기간 T4 에서도 게이트 전류가 대략 일정하기 때문에, 기간 T4 에서는 기간 T2 와 대략 동일한 기울기로 전위 Ve, Vf 가 저하된다. 시각 t5 에 있어서 전위 Vf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에 도달하면, 전위 Ve + Vref5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보다 낮아지기 때문에, 제 2 선택기 (52b)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을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 입력한다. 그러면,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전위 Vf 를 제 6 참조 전위 Vref6 에 유지하도록 게이트 (42c) 의 전위를 제어한다. 이로써, 게이트 전류가 감소되어 전위차 Vf - Ve 가 저하된다. 그러나, 그 후에도 게이트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전위 Ve 는 기간 T5 에서도 저하를 계속한다. 따라서, 기간 T5 에서는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반전 입력에 제 6 참조 전위 Vref6 이 계속 입력된다. 이 때문에, 기간 T5 에서는 전위 Vf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과 일치하도록 nMOS (42) 가 제어된다. 따라서, 기간 T5 사이에 서서히 게이트 전류가 저하되고, 전위 Ve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과 일치하는 전위까지 저하된 시각 t6 에서 게이트 전류 (즉, 전위차 Vf - Ve) 가 대략 제로로 된다. 그 후에는, 제 2 오피 앰프 (52a) 는 전위 Ve, Vf 가 제 6 참조 전위 Vref6 과 일치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IGBT (12) 가 오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에서는 IGBT (12) 를 오프시킬 때, 제 2 저항 (44) 의 양단의 전위차 Vf - Ve 가 소정 전위 Vref5 를 밑돌지 않도록 (즉, 전위차 Vf - Ve 의 절대값이 소정 전위 Vref5 의 절대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nMOS (42) 가 제어된다. 이 때문에, 기간 T2 ∼ T4 에서는 전위차 Vf - Ve (즉, 게이트 전류) 가 일정해지고, 전위 Ve, Vf 가 저하되는 기울기가 게이트 전류에 따른 기울기로 제어된다. 즉, 기간 T2, T4 에서는, 전위 Ve, Vf 가 저하되는 기울기가 스루레이트에 따르는 기울기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기울기로 제어된다. 이 때문에, 이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d) 에서는 스위칭 속도의 편차가 억제된다. 또, 제 1 오피 앰프 (32a) 및 제 2 오피 앰프 (52a) 에 의하면, 전위 Vd, Ve, Vf 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실시예 3, 4 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3, 4 의 IGBT (12) 는 본 발명의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3, 4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a) 는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3, 4 의 제 1 저항 (24) 은 본 발명의 제 1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3, 4 의 pMOS (22) 는 본 발명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3, 4 의 제 1 오피 앰프 (32a) 는 본 발명의 제 1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3, 4 의 제 1 오피 앰프 (32a) 의 반전 입력에는, 전위 Ve + Vref3 과 전위 Vref4 중 낮은 쪽의 값 (즉,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로부터 먼 쪽의 값) 이 입력된다. 먼 쪽의 값은 출력 전위 Vout 에 대해서 보다 큰 편차를 갖는 값으로 간주해도 된다. 또, 실시예 3, 4 의 제 3 참조 전위 Vref3 은 본 발명의 제 3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7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3, 4 의 제 4 참조 전위 Vref4 는 본 발명의 제 4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8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4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는 본 발명의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nMOS (42) 는 본 발명의 제 2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제 2 저항 (44) 은 본 발명의 제 2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본 발명의 제 2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4 의 제 5 참조 전위 Vref5 는 본 발명의 제 5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9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4 의 제 6 참조 전위 Vref6 은 본 발명의 제 6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10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실시예 4 의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아래와 같이 인정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 4 의 IGBT (12) 는 본 발명의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단자 (60b) 는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제 2 저항 (44) 은 본 발명의 제 1 저항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nMOS (42) 는 본 발명의 제 1 스위칭 소자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실시예 4 의 제 2 오피 앰프 (52a) 는 본 발명의 제 1 오피 앰프의 일례로 간주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4 제 2 오피 앰프 (52a) 의 비반전 입력에는, 전위 Ve + Vref5 와 전위 Vref6 중 높은 쪽의 값 (즉,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로부터 먼 쪽의 값) 이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는, 구동용 스위칭 소자를 온시키기 (즉, IGBT 의 게이트 전위를 상승시키기) 위한 게이트 온 전위 (예를 들어, 실시예 3, 4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이어도 되고, 구동용 스위칭 소자를 오프시키기 (즉, IGBT 의 게이트 전위를 저하시키기) 위한 게이트 오프 전위 (예를 들어, 실시예 4 의 절연 전원 (60) 의 출력 전위 V-out) 이어도 된다. 이 경우, 실시예 4 의 제 5 참조 전위 Vref5 는 본 발명의 제 3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7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 이 경우, 실시예 4 의 제 6 참조 전위 Vref6 은 본 발명의 제 4 참조 전위의 일례임과 함께, 본 발명의 제 8 참조 전위의 일례인 것으로도 간주되어도 된다.
또한, 실시예 3, 4 의 회로에 있어서도, 도 6, 7 과 마찬가지로 제 3 저항 (101, 102, 103) 을 추가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 4 에 있어서, 여러 가지 전위가 오피 앰프에 입력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상기 여러 가지 전위를 더욱 가공한 전위를 오피 앰프에 입력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여러 가지 전위를 정수배한 전위를 오피 앰프에 입력해도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예를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이것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는 이상에서 예시한 구체예를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시킨 것이 포함된다.

Claims (9)

  1.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 10b) 로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 (12) 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a)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12a) 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소자 (22) 및 제 1 저항 (24) 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된 출력과, 제 1 참조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과,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측의 단자 (24a) 의 전위에서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24b) 의 전위를 감산한 전위차에 기초하는 제 1 값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22a) 의 전위에 기초하는 제 2 값 중,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전위에 가까운 쪽의 값이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을 구비하는 제 1 오피 앰프 (3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가 공급하는 게이트 온 전위보다 낮은 게이트 오프 전위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b)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2 스위칭 소자 (42) 및 제 2 저항 (44) 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42c) 에 접속된 출력과, 제 2 참조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과, 상기 제 2 저항의 상기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측의 단자 (44a) 의 전위에서 상기 제 2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44b) 의 전위를 감산한 전위차에 기초하는 제 3 값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42a) 의 전위에 기초하는 제 4 값 중, 낮은 쪽의 값이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을 구비하는 제 2 오피 앰프 (52a) 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101 ; 103) 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4.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c) 로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 (12) 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a)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12a) 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접속된 제 1 스위칭 소자 (22)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 1 저항 (24) 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된 출력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가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과, 상기 제 1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24b) 의 전위와 제 3 참조 전위를 가산한 제 1 전위와 제 4 참조 전위 중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의 전위로부터 먼 쪽의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을 구비하는 제 1 오피 앰프 (3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가 공급하는 게이트 온 전위보다 낮은 게이트 오프 전위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b)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접속된 제 2 스위칭 소자 (42)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 2 저항 (44) 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42c) 에 접속된 출력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42a) 의 전위가 입력되는 비반전 입력과, 상기 제 2 저항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 (44b) 의 전위와 제 5 참조 전위를 가산한 제 2 전위와 제 6 참조 전위 중 높은 쪽의 전위가 입력되는 반전 입력을 구비하는 제 2 오피 앰프 (52a) 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7.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10a ; 10b ; 10c) 로서,
    구동용 스위칭 소자 (12) 와,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a)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12a) 와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소자 (22) 및 제 1 저항 (24) 과,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22c) 에 접속된 출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저항의 양단의 전위차의 절대값이 제 7 참조 전위 이하로 되고, 또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가 제 8 참조 전위까지 변화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1 오피 앰프 (32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전위 공급부가 공급하는 게이트 온 전위보다 낮은 게이트 오프 전위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60b) 와,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2 게이트 전위 공급부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제 2 스위칭 소자 (42) 및 제 2 저항 (44) 과,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접속된 출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저항의 양단의 전위차의 절대값이 제 9 참조 전위의 절대값 이하가 되고, 또한,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측의 단자의 전위가 제 10 참조 전위까지 변화되도록,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의 전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 2 오피 앰프 (52a) 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스위칭 소자의 상기 게이트와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사이에 접속된 제 3 저항 (101 ; 103) 을 더 포함하는,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KR1020150077334A 2014-06-04 2015-06-01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KR101701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6072 2014-06-04
JP2014116072A JP6064947B2 (ja) 2014-06-04 2014-06-04 ゲート電位制御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85A KR20150139785A (ko) 2015-12-14
KR101701613B1 true KR101701613B1 (ko) 2017-02-01

Family

ID=54706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34A KR101701613B1 (ko) 2014-06-04 2015-06-01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03076B2 (ko)
JP (1) JP6064947B2 (ko)
KR (1) KR101701613B1 (ko)
CN (1) CN105278603B (ko)
DE (1) DE102015108140B4 (ko)
MY (1) MY182219A (ko)
SG (1) SG10201504338SA (ko)
TW (1) TWI5625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4183B2 (ja) 2014-09-16 2017-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流制御回路
CN107167164B (zh) * 2016-03-08 2020-11-06 艾普凌科有限公司 磁传感器和磁传感器装置
KR102600685B1 (ko) * 2019-02-15 2023-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토 제로잉 동작에 기초하여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전자 회로
JP2020178238A (ja) * 2019-04-18 2020-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ゲート駆動回路
JP2024027241A (ja) 2022-08-17 2024-03-0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駆動回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696B1 (ko) 2010-07-30 2011-07-20 도요타 지도샤(주) 전압 구동형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JP2012114585A (ja) 2010-11-22 2012-06-14 Denso Corp 負荷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13123329A (ja) 2011-12-12 2013-06-20 Toyota Motor Corp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5670B2 (ja) * 2005-05-19 2010-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圧駆動型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DE102007040783A1 (de) 2007-08-28 2009-03-12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nichtlinearen Lastelementen
JP5136608B2 (ja) * 2010-07-29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JP5287921B2 (ja) * 2010-11-22 2013-09-11 株式会社デンソー 負荷駆動装置
JP5252055B2 (ja) * 2010-11-22 2013-07-31 株式会社デンソー 負荷駆動装置
US8766671B2 (en) * 2010-11-22 2014-07-01 Denso Corporation Load driving apparatus
JP5282782B2 (ja) * 2010-12-14 2013-09-04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JP5617605B2 (ja) * 2010-12-22 2014-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JP5338850B2 (ja) * 2011-05-18 2013-11-13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EP2757669B1 (en) * 2011-06-02 2019-01-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rive device for driving voltage-driven element
JP5712986B2 (ja) * 2012-08-28 2015-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駆動対象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回路
US8773172B2 (en) * 2012-11-19 2014-07-08 Infineon Technologies Ag Driver circuit with tight control of gate voltage
JP5976215B2 (ja) * 2013-06-24 2016-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ワー半導体素子の駆動回路
JP6164183B2 (ja) * 2014-09-16 2017-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流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696B1 (ko) 2010-07-30 2011-07-20 도요타 지도샤(주) 전압 구동형 소자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JP2012114585A (ja) 2010-11-22 2012-06-14 Denso Corp 負荷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2013123329A (ja) 2011-12-12 2013-06-20 Toyota Motor Corp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108140A1 (de) 2015-12-17
TW201601456A (zh) 2016-01-01
CN105278603A (zh) 2016-01-27
KR20150139785A (ko) 2015-12-14
SG10201504338SA (en) 2016-01-28
JP6064947B2 (ja) 2017-01-25
US9503076B2 (en) 2016-11-22
TWI562540B (en) 2016-12-11
US20150358019A1 (en) 2015-12-10
CN105278603B (zh) 2018-02-23
DE102015108140B4 (de) 2022-07-07
MY182219A (en) 2021-01-18
JP2015231117A (ja) 201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613B1 (ko) 게이트 전위 제어 회로
JP2011223829A (ja) 負電圧チャージポンプ回路の制御回路および負電圧チャージポンプ回路、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電子機器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
CN202421926U (zh) 恒压电源电路
US9459639B2 (en) Power supply circuit with control unit
JP2015220770A (ja)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2014200164A (ja) 充放電制御回路、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バッテリ装置
US10367417B1 (en) Voltage-based auto-correction of switching time
US9602089B2 (en) Amplifying device and offset voltage correction method
JP2012130137A (ja) スイッチング制御回路
US9374007B2 (en) DC/DC converter
JP6223805B2 (ja) ピークホールド回路およびピークホールド方法
JP6164183B2 (ja) 電流制御回路
US20170179819A1 (en) Charge pump circuit and step-down regulator circuit
JP2017011790A (ja) スイッチング素子の駆動装置
JP201500612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9088148B2 (en) Protection circuit for central processing unit
JP2015220771A (ja) 充放電制御回路およびバッテリ装置
JP4594064B2 (ja) サージ電流抑制回路及び直流電源装置
JP2015136003A (ja) パワーオンリセット回路
US11881863B2 (en) Comparator circuit
JP6024498B2 (ja) 半導体駆動装置
JP2014232467A (ja) 電流源回路
JP201420777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7092896A (ja) 温度補償付遅延回路
JP2018093292A (ja) スイッチ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