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947B1 - 밴드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밴드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947B1
KR101700947B1 KR1020160119870A KR20160119870A KR101700947B1 KR 101700947 B1 KR101700947 B1 KR 101700947B1 KR 1020160119870 A KR1020160119870 A KR 1020160119870A KR 20160119870 A KR20160119870 A KR 20160119870A KR 101700947 B1 KR101700947 B1 KR 10170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band
unit
shape
moun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혁진
Original Assignee
(주)썬래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썬래이 filed Critical (주)썬래이
Priority to KR1020160119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6Frames foldable or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밴드형 조명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밴드형 조명장치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조명대상부를 향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밴드부를 통해 조명대상부로 광원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밴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밴드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밴드형 조명장치{BAND TYPE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밴드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부 엘이디 광원소자의 불량에도 균일한 광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몸체를 형성하여 다양한 설치장소에 용이하게 제품을 설치할 수 있는 밴드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인 발광 다이오드는 광전변환 반도체 소자로서, PN 접합에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자연방출 광을 이용하는 반도체 발광소자이다.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엘이디 램프는 형광등에 비해 수명이 길고 작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력효율과 생산원가가 점차적으로 개선되면서 조명시장에서 영역을 급속도로 확대하고 있다.
종래의 플렉시블 조명은 엘이디 광원소자가 직접 사용자를 향하여 설치되므로, 엘이디 광원소자 1개의 불량으로도 전체 점광원 라인에 불량이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엘이디 조명장치는 휘어지는 성질이 없으므로 다양한 설치장소에 제품을 설치할 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5-0002451호(2015. 06. 24. 공개, 고안의 명칭 : 플렉시블 바 형상의 LED조명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부 엘이디 광원소자의 불량에도 균일한 광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몸체를 형성하여 다양한 설치장소에 용이하게 제품을 설치할 수 있는 밴드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조명대상부를 향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밴드부와, 밴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밴드부를 통해 조명대상부로 광원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밴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밴드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드부는, 광원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조명대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와, 확산부에서 연장되며 광원부가 설치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장착몸체 및 형상유지부가 설치되는 홈부를 장착몸체의 내측에 형성하는 고정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밴드부는, 확산부와 광원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광원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 및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파손방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을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방열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장착몸체 또는 확산부의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광원부는,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장착이 이루어지며 장착몸체와 함께 휘어지는 연성 재질의 기판부재 및 기판부재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확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형상유지부는, 기판부재와 평형을 이루며 고정홈부로 삽입되며 밴드부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밴드부를 지지하는 제1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형상유지부는, 기판부재와 수직을 이루며 고정홈부로 삽입되며, 밴드부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밴드부를 지지하는 제2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는, 광원부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 기능을 갖는 밴드부를 통과하여 조명대상부로 조사되므로, 일부 엘이디 광원소자의 불량에도 균일한 광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몸체를 형성하므로 다양한 설치장소에도 용이하게 제품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에 제1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에 제2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주요 구성을 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에 제1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에 제2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형상유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1)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조명대상부(70)를 향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밴드부(10)와, 밴드부(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밴드부(10)를 통해 조명대상부(70)로 광원을 공급하는 광원부(40)와, 밴드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밴드부(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50) 및 장착몸체(14)의 측면에 설치되며 장착몸체(14)의 외측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장착몸체(14) 또는 확산부(12)의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밴드부(10)는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조명대상부(70)를 향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10)는 선 또는 면 광원 형태를 이루며, 광원소자(44) 1~2개 불량 발생시에도 전체적으로 선 또는 면광원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10)는, 확산부(12)와 장착몸체(14)와 고정홈부(20)와 파손방지부(30)와 방열촉진부(35)를 포함한다.
확산부(12)는 광원부(40)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광원부(40)에서 발생된 빛을 조명대상부(70)로 확산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부(12)는 실리콘 및 실리카 형태의 연질의 광확 성능을 가지는 재료로 성형된다. 또한 확산부(12)는 광원소자(44)를 감싸며 돔 형상으로 형성되며, 밴드형 조명장치(1)의 설치방향에 따라 확산부(12)의 휘어지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확산부(12)는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며, 광원소자(44)에서 발생된 빛을 확산시켜 조명대상부(70)로 조사한다.
장착몸체(14)는 확산부(12)에서 연장되며, 광원부(40)가 설치되는 장착홈부(16)를 구비한다. 확산부(12)에 연결된 장착몸체(14)는 광원부(40)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장착몸체(14)도 확산부(12)와 같이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며, 빛이 투과되면서 확산이 이루어지는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장착몸체(14)의 내측에는 광원부(40)의 기판부재(42)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홈부(16)가 형성되므로, 광원부(40)의 기판부재(42)는 장착홈부(16)로 슬라이딩되어 장착이 이루어진다.
고정홈부(20)는 형상유지부(50)가 설치되는 홈부를 장착몸체(14)의 내측에 형성한다. 이러한 고정홈부(20)는 장착몸체(14)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상유지부(5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고정홈부(20)의 형상이 변형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부(20)는 십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므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형상유지부재(52)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형상유지부재(54)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부(20)는 제1형상유지부재(52)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1고정홈부(22)와 제2형상유지부재(54)가 삽입되기 위한 홈을 형성하는 제2고정홈부(24)를 포함한다. 제1고정홈부(22)와 제2고정홈부(24)는 십자 형상의 홈을 형성하며, 밴드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파손방지부(30)는 확산부(12)와 광원부(4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광원부(40)의 파손을 방지한다. 광원부(40)의 상측(도 1 기준)에는 확산부(12)가 위치하며, 확산부(12)와 광원부(40) 사이의 공간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파손방지부(30)가 위치한다. 따라서 확산부(12)의 외측에서 외력이 전달되어 확산부(12)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파손방지부(30)의 공간에 의해서 광원부(40)로 충격이 전달됨을 차단한다. 광원부(40)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파손방지부(30)로 하며, 광원부(40) 하측에 위치하는 공간을 방열촉진부(35)로 한다.
방열촉진부(35)는 광원부(40)를 사이에 두고 파손방지부(30)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광원부(40)에서 발생된 열을 장착몸체(14)의 외측으로 방열시키는 공간을 형성한다. 광원부(40)의 하측과 밴드부(10)의 외측이 연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촉진부(35)에 의해 광원부(40)의 열이 자연대류로 빠져 나간다. 따라서 광원부(40)의 방열이 촉진된다.
광원부(40)는 밴드부(10)의 내측에 설치되며, 밴드부(10)를 통해 조명대상부(70)로 광원을 공급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광원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40)는, 장착홈부(16)에 삽입되어 장착이 이루어지며 장착몸체(14)와 함께 휘어지는 연성 재질의 기판부재(42) 및 기판부재(42)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확산부(1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소자(44)를 포함한다.
기판부재(42)는 직사각형이며 밴드부(10)와 함께 휘어지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연질의 재질로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재(42)는 휘어지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실리콘 재질이며, 기판부재(42)를 따라 복수의 광원소자(44)가 연이어 설치된다.
광원소자(44)는 엘이디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빛을 발생시키는 전구가 사용될 수 있다.
형상유지부(50)는 밴드부(10)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밴드부(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형상유지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형상유지부(50)는 금속 또는 비금속 형태의 변형이 없는 재료로 성형되며, 밴드부(10)가 어떠한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도 밴드부(10)의 형태를 유지하여 밴드부(10)의 뒤틀림 발생을 방지한다. 형상유지부(50)는 제1형상유지부재(52)와 제2형상유지부재(54)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제1형상유지부재(52)는 기판부재(42)와 평형을 이루며 고정홈부(20)로 삽입되며, 밴드부(10)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밴드부(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형상유지부재(52)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판 형상이며, 제1형상유지부(50)의 직사각형 단면 중 길이가 긴 부분이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1형상유지부재(52)의 몸체 전부가 수평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제1형상유지부재(52)가 제1고정홈부(22)로 삽입되어 밴드부(10)와 광원부(40)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밴드부(10)와 광원부(40)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형상유지부재(54)는 기판부재(42)와 수직을 이루며 고정홈부(20)로 삽입되며, 밴드부(10)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밴드부(10)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형상유지부재(54)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하는 판 형상이며, 제2형상유지부(50)의 직사각형 단면 중 길이가 짧은 부분이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2형상유지부재(54)의 몸체 전부가 수평방향으로 휘어진다. 따라서 제2형상유지부재(54)가 제2고정홈부(24)로 삽입되어 밴드부(10)와 광원부(40)의 형상을 유지하므로 밴드부(10)와 광원부(40)의 꼬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사부재(60)는 장착몸체(14)의 측면에 설치되며, 장착몸체(14)의 외측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장착몸체(14) 또는 확산부(12)의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반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부재(60)는 실리콘 및 실리카 형태의 재질을 사용하며,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므로 밴드부(10)와 함께 휘어지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반사 성능을 가지는 재료인 반사부재(60)를 사용하므로, 형상유지부(50)의 외측 등 불필요한 곳으로 빛이 투과됨을 방지하여 광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빛 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부재(60)는 연질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형상유지부(50)의 외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형상유지부(50)의 외측으로 이동하려는 빛을 다시 밴드부(10)의 내측으로 반사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형 조명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형상유지부재(52) 또는 제2형상유지부재(54)가 고정홈부(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밴드부(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이때 형상유지부(50)는 밴드부(10)의 설치 형상에 따라 휘어지므로 밴드부(10)가 휘어진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광원소자(44)에서 발생된 빛은 확산부(12)를 통해 확산되어 조명대상공간부로 조사되므로, 일부 광원소자(44)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에도 조명대상부(70)에 균일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0)와 기판부재(42)와 반사부재(60)가 휘어지는 성질의 재질로 성형되므로, 곡면을 형성하는 다양한 설치공간에 밴드형 조명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광원소자(44)에서 발생된 열은 방열촉진부(35)를 통해 밴드부(10)의 외측으로 대기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광원부(40)의 과열을 방지하여 광열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부(40)에서 조사된 빛이 확산 기능을 갖는 밴드부(10)를 통과하여 조명대상부(70)로 조사되므로, 일부 엘이디 광원소자(44)의 불량에도 균일한 광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몸체를 형성하므로 다양한 설치장소에도 용이하게 제품을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밴드형 조명장치 10: 밴드부
12: 확산부 14: 장착몸체
16: 장착홈부 20: 고정홈부
22: 제1고정홈부 24: 제2고정홈부
30: 파손방지부 35: 방열촉진부
40: 광원부 42: 기판부재
44: 광원소자 50: 형상유지부
52: 제1형상유지부재 54: 제2형상유지부재
60: 반사부재 70: 조명대상부

Claims (7)

  1. 연질의 재료로 성형되어 휘어지는 형태로 설치되며, 조명대상부를 향하여 빛을 확산시키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밴드부를 통해 상기 조명대상부로 광원을 공급하는 광원부; 및
    상기 밴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밴드부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형상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는, 상기 광원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빛을 상기 조명대상부로 확산시키는 확산부;
    상기 확산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광원부가 설치되는 장착홈부를 구비하는 장착몸체;
    상기 형상유지부가 설치되는 홈부를 상기 장착몸체의 내측에 형성하는 고정홈부;
    상기 확산부와 상기 광원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광원부의 파손을 방지하는 파손방지부; 및
    상기 광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파손방지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방열시키는 공간을 형성하는 방열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몸체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몸체의 외측으로 조사된 빛을 다시 상기 장착몸체 또는 상기 확산부의 내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장착홈부에 삽입되어 장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몸체와 함께 휘어지는 연성 재질의 기판부재; 및
    상기 기판부재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확산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조명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기판부재와 평형을 이루며 상기 고정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밴드부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밴드부를 지지하는 제1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조명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기판부재와 수직을 이루며 상기 고정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밴드부의 설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밴드부를 지지하는 제2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형 조명장치.
KR1020160119870A 2016-09-20 2016-09-20 밴드형 조명장치 KR10170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70A KR101700947B1 (ko) 2016-09-20 2016-09-20 밴드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70A KR101700947B1 (ko) 2016-09-20 2016-09-20 밴드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947B1 true KR101700947B1 (ko) 2017-01-31

Family

ID=5799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70A KR101700947B1 (ko) 2016-09-20 2016-09-20 밴드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13A (ko) * 2018-12-17 2020-06-25 박신애 측면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802Y1 (ko) * 2006-06-01 2006-08-10 장윤수 발광튜브
US8322883B2 (en) * 2003-02-04 2012-12-04 Ilight Technologies, Inc. Flexible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ng neon light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22883B2 (en) * 2003-02-04 2012-12-04 Ilight Technologies, Inc. Flexible illumination device for simulating neon lighting
KR200423802Y1 (ko) * 2006-06-01 2006-08-10 장윤수 발광튜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4513A (ko) * 2018-12-17 2020-06-25 박신애 측면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KR102372498B1 (ko) * 2018-12-17 2022-03-10 박신애 발광장치를 구비하는 조립식 화장실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8721U (ja) Led照明装置
JP6379098B2 (ja) Led照明装置
WO2013129362A1 (ja) Led蛍光照明装置
JP2012186095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照明器具
JP6425066B2 (ja) 照明器具
KR20120070930A (ko) 발광장치
JP2012204162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6586306B2 (ja) Led照明器具
KR101700947B1 (ko) 밴드형 조명장치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KR101756647B1 (ko) 레이스웨이 조명장치
KR101441624B1 (ko) 일체형 반사갓이 형성된 엘이디 조명등
CN104033745B (zh) Led灯具
JP6041082B2 (ja) 照明装置
KR101743719B1 (ko) 반간접 조명장치
JP2014170688A (ja) 照明器具
KR100972442B1 (ko) 반사효율이 우수한 반사판이 부착된 엘이디램프
US8322891B2 (en) LED light source assembly with heat sink and heat conductive glass cover
KR20090118140A (ko) 형광등을 발광다이오드 조명으로 교체하는 기술
KR101442516B1 (ko) 반사판과 렌즈를 구비한 led 조명모듈
JP5921640B2 (ja) ヒートシンクと熱伝導性ガラス製カバーを備えたled光源アセンブリ
KR102370341B1 (ko) 엘이디 광원의 반사 확산형 엘이디 조명등
JP6134234B2 (ja) 照明器具
KR101443599B1 (ko) 반사효과를 높인 직관형 엘이디 램프
JP3156929U (ja) Led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