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838B1 -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838B1
KR101700838B1 KR1020140180507A KR20140180507A KR101700838B1 KR 101700838 B1 KR101700838 B1 KR 101700838B1 KR 1020140180507 A KR1020140180507 A KR 1020140180507A KR 20140180507 A KR20140180507 A KR 20140180507A KR 101700838 B1 KR101700838 B1 KR 101700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commercialization
support
idea
bu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623A (ko
Inventor
이상학
서민호
김성진
최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0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8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2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a)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b)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BUSINESS PROJECT STEP BY STEP}
본 발명은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창업자의 현재 상태를 추정하고, 그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비지니스 문화에 급속한 변화가 있었으며, 벤쳐(venture) 등 새로운 비지니스 문화에 적합한 자문 방식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의 출현과 그의 활용이 급진전되면서 인터넷이 정보전달의 새로운 수단으로 부상하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비지니스 출현과 비지니스 통신의 사이버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기술을 가진 영세한 기업이 오프라인(Off-line)상에서 그 기술을 사업화할 때에는, 사업계획, 자금예산, 판매촉진, 매출전략, 세무, 부동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수하고, 그 업무를 진행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창업, 사업화 지원 시스템은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창업, 사업화 지원에만 초점을 맞춰 관리하다보니, 실질적인 지원에 대한 실효성과 정확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단순 지원에 치중하여 많은 예비창업자들이 실패하는 사례가 빈번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보다 체계적으로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를 정밀 분석하여 단계별로 창업, 사업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정립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51,600호, 발명의 명칭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예비 창업자의 현 상태에 따라 사업화 단계를 분류하여 밀착 지원할 수 있고, 창업 및 사업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업과 사업화에 대한 단순하고 획일적인 지원이 아닌 단계를 구분하여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 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지원하는 창업사업화 서비스 구현할 수 있는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하는 단계, (b)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시제품 보유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의 7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상기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고,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정결과에 따라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인 경우,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업관리시스템의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은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은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 단계와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 수신 시, 상기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하는 상태 추정부,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지원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시제품 보유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의 7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사업관리시스템은 아이디어 정보별 지원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시하는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은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 단계와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추정부는 상기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고,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지원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결과에 따라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인 경우,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창업자의 현 상태에 따라 사업화 단계를 분류하여 밀착 지원할 수 있고, 창업 및 사업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아이디어를 사업화하기 위해 사업화 단계를 7단계로 분류하고, 1단계에서 7단계에 이르기까지, 아이디어별 지원내용에 따른 개별 아이디어 상태 추정 및 아이디어 사업화 경로, 현 단계를 그래픽하게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창업과 사업화에 대한 단순하고 획일적인 지원이 아닌 단계를 구분하여 예비창업자의 현 상태 분석을 통해 단계별로 지원하는 창업사업화 서비스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로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지원 서비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 지원 현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를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사업 관리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를 사업 관리 시스템(200)으로 전송하고, 사업 관리 시스템(200)으로부터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아이디어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아이디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기업, 개인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의 모든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사업 관리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 수신 시,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하고, 추정된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이러한 사업 관리 시스템(200)은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 관리 시스템(200)은 서버(Server)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장치의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업 관리 시스템(200)은 단일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업 관리 시스템(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업 관리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10), 인터페이스부(220), 상태 추정부(230),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아이디어 정보별 지원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데이터베이스(210)에는 아이디어별 사업화 단계, 그 사업화 단계에 따른 지원 서비스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아이디어 정보를 수신하고,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아이디어 정보는 사용자 식별정보, 아이디어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추정부(230)는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수신된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한다. 즉, 상태 추정부(230)는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을 근거로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한다. 이때, 상태 추정부는 자연어 처리방법, 기계적 알고리즘 처리방법 등을 이용하여 기 정의된 키워드를 추출한다. 여기서, 기 정의된 키워드는 출원, 등록, 시제품, 사업화, 사업계획서, 사업체, 기술이전, 매출, 판도 등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에 설정된 키워드일 수 있다. 그런 후, 상태 추정부(230)는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고,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한다.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태 추정부(230)에서 추정된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여기서,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도 3과 같이 미출원 단계(1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2단계), 시제품 보유단계(3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4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5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6단계),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 단계(7단계)의 7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화 단계는 각 단계별로 지원 내용을 다를 수 있다. 또한, 7단계의 사업화 단계는 사업화 준비 단계와 사업화 추진 단계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사업화 준비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및 시제품 보유단계를 포함하고, 사업화 추진단계는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및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 단계를 포함한다. 사업화 준비 단계에서는 주로 사업화를 추진하기 위한 기본적인 단계로서 선행기술조사와 특허 출원 및 등록으로 기술 권리화를 지원하고, 특허 출원 또는 등록이 완료되었을 경우 시제품 제작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며, 시제품 제작이 완료된 아이디어는 판로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한다. 사업화 추진 단계에서는 시제품과 마케팅 전략이 수립된 아이디어에 한해 사업계획서 작성, 수정 및 보완을 지원하고, 사업계획서가 완료된 아이디어는 창업보육 또는 정부 R&D지원사업을 지원한다. 만약 사업체를 보유한 아이디어는 운영자금과 양산자금 확보를 위해 투자자를 매칭해 준다. 마지막 단계인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단계에서는 기술 이전 수요처 및 매출과 판로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수요처를 매칭하는 것으로 각 단계별 아이디어에 따라 세부적인 지원을 찾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
따라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결과에 따라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는 선행기술조사 보고서, IP화 지원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특허 출원 등의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업화 단계가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인 경우,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는 시제품 제작처, 지원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시제품 제작처를 선택하여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업화 단계가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는 창업/마케팅 컨설팅 정보, 박람회 전시 홍보 지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창업/마케팅 컨설팅 정보는 컨설팅 전문가 정보, 그 컨설팅 전문가에 의한 컨설팅 내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람회 전시 홍보 지원 정보는 시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교육, 온라인 쇼핑몰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컨설팅 전문가로부터 컨설팅을 받거나, 시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여 홍보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작업 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는 창업 검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창업 검증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창업 검증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사업계획서를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는 실제로 창업할 수 있는 보육공간 정보, 정부 R&D 등 부처연계사업 정보 등을 포함하고,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창업을 위한 보육공간 선택, 연계하고 싶은 부처사업 선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는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확보를 위한 투자자 및 기관 정보를 포함하고,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투자자 또는 기관에 투자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최초 1~3단계인 사업 준비단계로 구분되었다 하더라도, 아이디어 내용과 특성에 따라 4~7단계인 사업 추진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제품이 있는 2단계 아이디어를 3, 4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5단계인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여 좀 더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는 평균적으로 어느 단계의 아이디어가 창업 및 사업화에 도달할 수 있는지, 수치화된 데이터로 아이디어 발전단계를 추정할 수 있다.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는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공한다. 이때,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는 도 7과 같은 현황판을 제공하여 단계별 사업화 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세로축은 초기 유입된 시점의 아이디어 단계를 나타내고, 가로축은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나타낸다. 초기 유입된 시점의 아이디어 단계는 7단계로 구분되지만,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는 기 정의된 7단계에 기초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초단계는 미지원, 교육, 진단으로 구분하고, 미지원 여부, 창업교육 유무, 아이디어 진단 서비스 유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기초단계에서는 현재상태가 미지원 상태인지, 창업교육 상태인지, 아이디어 진단 서비스 상태인지 등의 현재 상태를 제시하고, 시스템 관리자는 현황판을 통해 서비스 지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현황판을 통해 평균적으로 어느 단계의 아이디어가 창업 및 사업화에 도달할 수 있는지, 수치화된 데이터로 아이디어 발전단계를 추정할 수 있다. 가로와 세로축을 기준으로 사선으로 이동하면서 아이디어가 발전함에 따라, 초기 아이디어의 현재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세부적인 지원에 따라 7단계로 발전해 나가면서 창업 및 사업화까지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각적인 지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태 추정부(230),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 각각은 컴퓨팅 장치 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상태 추정부(230),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데이터베이스(210), 인터페이스부(220), 상태 추정부(230), 지원 서비스 제공부(240),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25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사업관리시스템(2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부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업관리시스템은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S302), 아이디어 정보를 분석하여 아이디어 상태를 추정한다(S304).
사업관리시스템은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한다(S306).
사업관리시스템은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308). 사업관리시스템이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로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화 단계별 지원 서비스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S402),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판단한다(S404). 이때, 사업관리시스템은 한국지식재산전략원, 한국여성발명협회 등을 통해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 및 특허출원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S404 단계의 판단결과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이 결정된 경우, 사업관리시스템은 특허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06).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인 경우(S408),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10).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는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아이디어 수준 진단 및 시장조사를 추진하는 아이디어 진단 서비스 제공 후 시제품관련 기관에 시제품 제작을 의뢰하여 시제품 제작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사업관리시스템은 중소기업청 등의 시제품 제작처, 창업 공작소 등에 시제품 제작을 의뢰할 수 있도록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는 시제품 제작처, 지원 비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S412),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14). 시제품 보유 단계는 이미 시제품을 제작완료 또는 보유한 단계이므로, 홍보 또는 마케팅을 지원한다. 이때, 사업관리시스템은 창업/마케팅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거나, 박람회 전시 홍보를 지원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S416),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18).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는 시제품을 보유하여 사업계획서 작성이 필요하므로, 창업 검증 프로그램에 참여시켜 사업계획서 작성을 지원한다. 여기서, 작업 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는 창업 검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창업 검증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는 창업 검증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사업계획서를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다.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S420),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22).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는 사업계획서를 완료한 단계이므로, 실제로 창업할 수 있는 보육공간을 제공하거나 또는 정부R&D 등 부처연계사업 추천한다.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S424),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26). 사업체 보유 단계는 사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확보를 위한 투자자 매칭 및 기관을 안내한다.
사업관리시스템은 사업화 단계가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S428),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한다(S430). 기술이전, 매출 및 판로 단계는 기술이전 및 매출과 판로 등 밀착 멘토단이 확인하여 수요처 매칭 및 기술이전 등 투자자 연계를 지원한다.
사업관리시스템은 각 단계별로 세부적인 지원은 아이디어의 현재 상태와 발전 가능성 및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프로세스에 따라 추진한다.
이러한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사업 관리 시스템
210 : 데이터베이스 220 : 인터페이스부
230 : 상태 추정부 240 : 지원 서비스 제공부
250 :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 260 : 제어부

Claims (10)

  1.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여,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하는 단계;
    (b)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d)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시제품 보유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의 7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기 정의된 키워드는 상기 사업화 단계에 따라 설정된 키워드로, 출원, 등록, 시제품, 사업화, 사업계획서, 사업체, 기술이전, 매출, 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은 7단계로 구분된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 단계와 상기 7단계에 미지원, 교육 및 진단으로 구분된 기초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축으로 하는 현황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현황판은 초기 아이디어의 현재 상태, 지원 서비스 정보 제공에 따라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가 도달한 아이디어 발전 단계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관리시스템의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정결과에 따라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인 경우,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관리시스템의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4. 삭제
  5. 사용자 단말로부터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여,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하는 상태 추정부;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지원 서비스 제공부;
    아이디어 정보별 지원 서비스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및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시하는 사업 지원 현황 제공부;를 포함하되,
    상기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시제품 보유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의 7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기 정의된 키워드는 상기 사업화 단계에 따라 설정된 키워드로, 출원, 등록, 시제품, 사업화, 사업계획서, 사업체, 기술이전, 매출, 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은 7단계로 구분된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 단계와 상기 7단계에 미지원, 교육 및 진단으로 구분된 기초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축으로 하는 현황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현황판은 초기 아이디어의 현재 상태, 지원 서비스 정보 제공에 따라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가 도달한 아이디어 발전 단계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관리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가 미출원 단계인 경우, 선행기술조사 및 IP화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결과에 따라 특허 출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출원 또는 등록 완료단계인 경우, 시제품 제작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시제품 보유 단계인 경우, 홍보 또는 마케팅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 단계인 경우,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며, 사업 계획서 완료 단계인 경우, 창업 보육 및 R&D 자금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사업체 보유 단계인 경우, 운영자금 및 양산자금 투자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고,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인 경우, 수요처 및 기업 매칭 지원 서비스 정보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 관리 시스템.
  10.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창업/사업화를 위한 아이디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아이디어 정보로부터 기 정의된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들을 사업화 단계에 따라 정렬하여, 가장 마지막에 있는 키워드를 아이디어 상태로 추정하는 단계;
    (b)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를 이용하여 상기 추정된 아이디어 상태에 따른 사업화 단계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판단된 사업화 단계에 해당하는 지원 서비스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사업 지원 현황 요청 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을 획득하여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 정의된 사업화 단계는, 미출원 단계, 출원 또는 등록 완료 단계, 시제품 보유단계, 시제품 보유/마케팅 추진단계, 사업 계획서 완료단계, 사업체 보유 단계, 기술이전·매출 및 판로 단계의 7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기 정의된 키워드는 상기 사업화 단계에 따라 설정된 키워드로, 출원, 등록, 시제품, 사업화, 사업계획서, 사업체, 기술이전, 매출, 판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사업화 단계별 지원 현황은 7단계로 구분된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 단계와 상기 7단계에 미지원, 교육 및 진단으로 구분된 기초 단계를 더 포함하는 최종 지원에 따른 아이디어 단계를 축으로 하는 현황판으로 제공되며, 상기 현황판은 초기 아이디어의 현재 상태, 지원 서비스 정보 제공에 따라 초기 유입시점의 아이디어가 도달한 아이디어 발전 단계를 수치화된 데이터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관리시스템의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80507A 2014-12-15 2014-12-15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00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07A KR101700838B1 (ko) 2014-12-15 2014-12-15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507A KR101700838B1 (ko) 2014-12-15 2014-12-15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23A KR20160072623A (ko) 2016-06-23
KR101700838B1 true KR101700838B1 (ko) 2017-02-01

Family

ID=56353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507A KR101700838B1 (ko) 2014-12-15 2014-12-15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8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087B1 (ko) * 2018-04-12 2019-06-2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채팅 환경에서, ux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69661B1 (ko) * 2023-02-15 2023-08-24 주식회사 빅테크놀로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898A (ko) * 2009-03-27 2010-10-06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기술준비도 방식을 이용한 온라인 기술평가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312B1 (ko) * 2010-07-26 2012-06-28 (주)제론즈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기반의 지능형 비즈니스 협업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1600B1 (ko) * 2011-03-22 2013-04-08 박정미 기술 사업화 지원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게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23A (ko)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zarov et al. Taxonomy of Industry 4.0 research: Mapping scholarship and industry insights
CN108629558B (zh) 软件开发管理系统
US10296859B1 (en) Workflow discovery through user action monitoring
US2013033238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extracting product reviews
JP2019519027A (ja) 履歴ログからの学習と、etlツール内のデータアセットに関するデータベースオペレーションの推奨
CN111046237B (zh) 用户行为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CN104346371A (zh) 内存数据库驱动业务整合系统报告
WO20140560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pulating assets to a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20200401703A1 (en) Security assessment platform
Ginantra et al. Mobile-based customers management system in ayunadi supermarket
CN109544266A (zh) 产品数据推送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027838A (zh) 一种众包任务推送方法、装置、设备及其存储介质
JP2011096209A (ja) 営業支援システム
KR101700838B1 (ko)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90432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data dependencies for reports
US11200527B2 (en) Platform for evaluating and recommending process automations
CA311316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and facilitating access to specialized data
Anusha et al. Segmentation of retail mobile market using HMS algorithm
US20170308838A1 (en) Service Design Assistance System and Service Design Assistance Method
CN111787042B (zh) 用于推送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80150890A1 (en) Trust circle through machine learning
US20220261864A1 (en) Tele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system and method
CN110062112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6025360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9902698A (zh) 信息生成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