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9661B1 -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9661B1
KR102569661B1 KR1020230019747A KR20230019747A KR102569661B1 KR 102569661 B1 KR102569661 B1 KR 102569661B1 KR 1020230019747 A KR1020230019747 A KR 1020230019747A KR 20230019747 A KR20230019747 A KR 20230019747A KR 102569661 B1 KR102569661 B1 KR 102569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beneficiary
evaluation
terminal
pro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9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빅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빅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빅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30019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9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7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진행하는 수행기관 단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서를 접수한 후, 선정된 경우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문서를 업로드하는 수혜기업 단말 및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메인구축부, 메인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하위구축부, 수행기관 단말의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에 따라 수혜기업 단말로 결과를 전달하거나 수혜기업 단말로부터 문서를 업로드받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BENEFICIARY COMPANY MANAGEMENT SERVICE FOR INVIGORATING LOCAL SPECIALIZED INDUSTRY}
본 발명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를 포함한 수혜기업의 접수부터 종료까지 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지역산업육성사업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산업기술혁신촉진법 및 산업기술단지지원에 관한 특례법에 기반하여, 지역산업 및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역혁신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추진하는 사업으로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및 산업기술혁신촉진법에 의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및 장관이 지역산업 및 기업 지원정책의 추진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을 의미한다(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행정규칙 제2조 및 제3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은 비 R&D(Non-Research and Development) 지원사업으로도 명명되는데, 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창업초기 기업, 지역주력산업 기업 및 기술력은 있으나 자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육성하는 사업이다. 지역 일자리 창출 확대 및 지역 기업매출 신장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하에 시제품 제작, 특허, 인증, 마케팅 및 역량강화 등 기업지원서비스를 제공하여 기업 자생력을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고, 기업의 자생력을 키워 매출확보와 지역사회의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그 목적이 있는 바, 기업이 보유한 우수한 기술을 개발하여 사업화할 수 있도록, 기술연계 또는 금전적 지원을 하고 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돕고 있다.
이때, 지역특화 사회적 기업을 발굴 및 지원하거나 정부지원사업의 투명한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764891호(2017년08월03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3-0006283호(2013년01월16일 공개)에는, 지역특화 사회적 기업을 조사하고, 조사결과 선정된 지역에 대한 지도정보를 기반으로 사회적 경제자원정보를 표시하며, 지역의 사회적 기업가를 양성하는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된 기업 및 단체 간을 연계하여 사회적 기업의 설립 및 전환을 컨설팅하는 구성과, 정부지원사업을 관리하기 위하여, 행정기관서버로부터 사업지원을 위한 보조금 예산정보를 수신하고, 예산정보에 따라 보조금 사업을 생성하며, 생성된 보조금 사업의 대상자와 신청자 간을 매칭하여 교부자 리스트를 생성하고, 대상자 단말로부터 사업진행정보를 입력받아 보조금 사업의 진행상황을 갱신하며, 보조금 사업의 진행상황정보를 행정기관서버로 보고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전자의 경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및 성과를 포함한 수혜기업의 접수부터 종료까지 전주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아니고, 후자의 경우에도 보조금 지원대상을 매칭한 후 결과만을 보고하는 구성을 개시할 뿐이다. 현재 비 R&D 지원사업을 관리하는 방법은 공고 및 접수를 진행한 후 서면평가를 진행하고, 온오프라인 선정과제별 협약문서를 취합하며, 선정과제별 집행문서를 취합하고, 선정과제별 협약과제에 대한 성과문서를 수신하여 취합한 후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및 성과를 포함한 수혜기업의 접수부터 종료까지 전주기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를 포함한 수혜기업의 접수부터 종료까지 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의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하위 프로세스로 각 단계별 세부 프로세스를 정의 및 구축함으로써, 행정기관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수행기관과 수혜기업 간을 연결하고 각 단계를 온라인 및 디지털화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이용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행정기관의 담당자 및 수혜기업인 사용자 모두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진행하는 수행기관 단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서를 접수한 후, 선정된 경우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문서를 업로드하는 수혜기업 단말 및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메인구축부, 메인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하위구축부, 수행기관 단말의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에 따라 수혜기업 단말로 결과를 전달하거나 수혜기업 단말로부터 문서를 업로드받는 관리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를 포함한 수혜기업의 접수부터 종료까지 전주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의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하위 프로세스로 각 단계별 세부 프로세스를 정의 및 구축함으로써, 행정기관의 행정력 낭비를 막고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수행기관과 수혜기업 간을 연결하고 각 단계를 온라인 및 디지털화함으로써 각 단계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이용 및 분석할 수 있도록 하고, 행정기관의 담당자 및 수혜기업인 사용자 모두 효율적인 업무처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하거나 수혜기업으로 선정되어 지원을 받고 성과를 보고하고 결과를 평가받는 수혜기업 지원자 또는 수혜기업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위한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수혜기업 단말(100), 수행기관 단말(400) 및 평가위원 단말(500)을 연결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진행하는 수행기관의 단말일 수 있다. 수행기관 단말(400)은 각 지역의 행정기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수혜기업을 선발하고 수혜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평가위원의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인구축부(310), 하위구축부(320), 관리부(330), 평가전달부(340), 전자평가부(350), 교차검증부(360), 고용비리파악부(370), 단계알람부(380), 대상안내부(390) 및 직무배제신청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수혜기업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수행기관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평가위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설명하기 이전에,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인 비 R&D 지원사업의 개념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된 개념은 도 2에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비 R&D 지원사업의 특징>
비 R&D 지원사업의 대부분이 대기업이 아닌 창업초기의 중소기업이 대부분이며 지역 중소기업을 지원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기업의 타 지역 이탈에 대해 예방하는 효과를 둘 수 있다. 비 R&D 지원사업은 R&D 지원사업과는 목적과 지원방식에 차이가 있어 차이가 있는데, 첫째, 비 R&D 지원사업은 금융지원사업이 없다. 기업의 재정적인 지원 및 시설 및 운전자금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보증, 펀드, 투자 등의 프로그램은 진행되지 않으며, 플랫폼 구축, 장비확충, 기술지원, 경형혁신 지원, 제품경쟁력 강화, 전문인력 양성, 마케팅/해외진출 지원 등 단기적인 지원사업이 편성되어 있다. 둘째, 비 R&D 지원사업에서 특히 지역 R&D 및 비 R&D를 중점 지원하고 있는 테크노파크 지역 센터는 각 분야의 전문 연구원 및 지역 연구센터를 활용하여 지역 중소기업의 비 R&D 지원사업에 대한 연구개발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다. 민간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활동 지원, 산·학·연 협력 구축을 통한 공동기술개발 지원과 공동장비 활용 및 기술이전, 기술지도, 시험 및 인증, 기술정보 제공 등의 비 R&D 지원사업을 하고 있다.
셋째, 지방 중소기업의 구직난에 대한 해소를 위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다양한 인력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비 R&D 지원사업 중 하나인 지역 구직 박람회 지원, 주거비용 지원, 교통비 지원 등 인력지원, 고용유지를 위한 각종 장려지원금 지원을 하고 있다. 넷째, 제품의 판로지원, 시장조사, 해외지사 지원사업, 기업의 해외 판로개척, 조달시장 진출계획수립 등의 컨설팅 지원, 기업의 필요한 부분에 대한 전문가를 매칭(Matching)하여 기술닥터제를 도입하여 기업의 경영애로를 해결하거나 지원하는 것들이 이에 해당된다. 직접적인 자금지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원 사업은 비 R&D 지원 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섯째, 기업의 마케팅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주요 지원 프로그램은 기업 홍보물, 홈페이지, 홍보영상, 국내·외 전시회 참관지원, 통역지원 및 다양한 패키지 형태의 마케팅 지원이 비 R&D 지원사업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단일지원과 패키지 지원은 정부 지원사업을 수혜 받는데 한 가지 항목으로 지원받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시제품제작 지원 공고가 나서 한 가지 항목인 시제품 제작 지원으로 수혜를 받는 것이다. 반면, 패키지 지원은 단일지원이 아닌 두 개 이상의 동시에 지원내용 개수를 지원받는 것을 말한다. 수행시기와 금액은 동일하되, 기술지원과 사업화지원을 동시에 받는 것을 말한다. 패키지지원 항목에는 시제품제작지원, 특허지원, 인증지원, 제품고급화, 마케팅지원, 컨설팅지원, 기술지도, IR자료, 수출지원 등이 포함된다. 사업의 항목에 상관없이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항목에 대해 맞춤형으로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이 패키지 지원이다. 지원내용 개수란, 1 회 정부지원 수혜시 동시에 받는 지원내용 개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시제품제작지원+마케팅지원+특허지원]의 경우라면, 3 가지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이다.
여섯째, 다양한 형태의 교육 지원사업이 있다. 중소기업이 기업을 운영하면서 발생된 여러 가지 애로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이다. 주요 지원프로그램은 재직자 대상 교육, 경영· 생산·품질, 검수 등 중소기업에서 필요한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사전 재직자 교육에 대해 설문 후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기업의 재직자에 대한 업무능력을 개선하고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자동화 지원 등의 재직자 교육을 지원하고 있다. 일곱째, 제품개발 및 제품개선, 그리고 제품생산 시 이용되는 생산공정 개선 등 기업에서 제조하는 제품에 대한 개발, 개선 등에 대한 지원이 있다. 특히 지역주력산업에 속하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비 R&D 지원사업의 공고를 해당 지역주력사업에 한정하여 공고를 게재하여 선정하기도 한다.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해당되는 비 R&D 지원사업은 기술지원사업과 사업화지원 사업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의 테크노파크(TP)에서 다수의 사업을 수행하고, 해당 지역의 지원기관이나 대학 등에서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별 주력산업을 선정하여 지역 주력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으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은 각 지역별 주력산업과 연계하여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의해 지역의 특성과 여건을 활용하여 추진하는 시·도지사가 선정하는 산업을 말하며 동법에 의하면, 시·도지사는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관할구역의 시장· 군수·구청장과 협의하여 ① 국가의 성장잠재력과 경제성장에 기여도가 높은 산업, ② 지역일자리 창출 및 경쟁력 강화에 중심적 역할을 하는 산업, ③ 지역의 발전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는 산업의 요건을 충족하는 산업을 해당 시·도의 지역특화산업으로 선정할 수 있다. 각 지역별 선정현황을 보면 이하 표 1과 같다.
시도 주력산업 시도 주력산업
전남 에너지신산업, 첨단운송기기부품, 바이오헬스케어소재, 청색청정환경 대구 의료헬스케어, 첨단소재부품, 분산형에너지
전북 농생명소재식품, 지능형기계부품, 해양설비기자재, 탄소복합소재 경북 바이오뷰티, 기능성섬유, 지능형디지털기기, 하이테크성형가공
대전 바이오기능성소재, 로봇지능화, 무선통신융합 부산 바이오메디컬, 지능형기계부품, 지능정보서비스, 클린에너지
충남 바이오식품, 친환경자동차부품, 차세대 디스플레이 울산 친환경자동차부품, 조선해양, 첨단화학신소재, 친환경에너지
세종 정밀의료, 첨단수송기기부품 경남 항노화바이오, 지능형기계, 나노융합부품, 항공
충북 바이오헬스, 스마트IT부품, 수송기계부품 강원 웰니스식품, 세라믹복합신소재, 레저휴양지식서비스
광주 디지털생체의료, 스마트가전, 광융합, 복합금형 제주 청정헬스푸드, 지능형관광콘텐츠, 스마트그리드
각 지역별 특화산업에 대하여 지역 일자리 창출 및 기업성장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지역주력산업, 특화산업에 기술, 사업화, 역량강화지원 등을 통한 비 R&D 지원 육성사업을 행하고 있다. 특히, 기술지원 및 사업화지원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지원되고 있으며. 또한 패키지 형태의 지원사업도 수행되고 있어 다중의 프로그램을 수혜 받을 수 있어 기업의 수요가 높은 편이다.
한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비R&D)의 사업추진체계를 보면, 사업의 추진주체는 중소벤처기업부가 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사업총괄기관으로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 지역산업지원위원회를 통한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원, 예산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어서, 사업전담기관으로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사업전담기관은 지역산업진흥계획 수립 지원, 평가 등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K-PASS 관리, 협약체결 등 사업수행 종합관리 및 성과활용을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사업의 관리기관으로 각 광역시도별로 지역사업평가단이 수행된 과제의 평가, 정산, 기술료 징수, 성과 사후관리 등 사업관리와 성과활용 관리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이외에도 전국의 14 개 시도의 협력기관으로 지역테크노파크가 있다. 지역테크노파크(TP)는 지역혁신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 구축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산업발전전략 및 정책 수립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끝으로 각 지역에서 실질적인 참여기업으로 해당지역의 기업이 과제수행 참여기관으로 신청/선정되어 과제의 수행을 담당하고, 사업지원을 받은 이후의 성과활용에 대한 결과보고를 하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구축부(310)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스는, 도 3e에서 제 1 레벨 프로세스와 같이, 공고관리, 접수관리, 평가관리, 협약관리, 집행관리, 성과관리 및 결과관리의 순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도 3e는 수행기관 단말(400)의 담당자 프로세스 중 메인 프로세스이고, 수혜기업 단말(100)의 사용자 프로세스 중 메인 프로세스는 도 3f의 제 1 레벨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위구축부(320)는, 메인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 하위 프로세스는, 도 3e에서 제 2 프로세스와 같이, 평가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평가계획관리, 평가결과정리, 평가위원관리 및 평가항목관리를 포함할 수 있고, 협약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협약문서설정관리, 협약관리, 협약문서검토 및 협약서등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성과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성과종류설정관리, 담당기관성과관리, 성과관리 및 성과메뉴를 포함할 수 있고, 결과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결과문서설정관리, 결과관리 및 결과문서검토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3e는 수행기관 단말(400)의 담당자 프로세스 중 하위 프로세스이고, 수혜기업 단말(100)의 사용자 프로세스 중 하위 프로세스는 도 3f의 제 2 레벨 프로세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부(330)는, 수행기관 단말(400)의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에 따라 수혜기업 단말(100)로 결과를 전달하거나 수혜기업 단말(100)로부터 문서를 업로드받을 수 있다. 수행기관 단말(4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수혜기업 단말(100)은,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서를 접수한 후, 선정된 경우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문서를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동일한 행위가 반복되는 경우, 특히 행정절차와 같이 그 프로세스가 정형화된 단계가 많은 경우,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RPA는, 사람이 수행하던 정형화 및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 로봇을 이용하여 자동화하는 것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사람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 로봇이 수행하도록 자동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복적인 업무들을 대신해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처리하는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RPA는 AI와 결합을 통해 IPA(Intelligent Process Automation)로 진화할 수 있는데, IPA는 명확한 규칙 또는 정형화된 규칙(Regular Expression)의 업무에 특화되어 있는 RPA 기술이 AI 인지기술이 결합되어, 스스로 판단하며 업무수행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딥러닝,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자연어 처리 능력을 갖추는 경우, 사람이 처리하던 반복적인 업무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업무를 대체할 수 있다. IPA는 워크 플로우를 재정의하여 최종 관리자의의 행동을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단순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는 경우는 RPA를 이용하여 진행을 하지만, 비즈니스 로직이 조금 복잡해지거나 관리자와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경우 RPA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상술한 IPA를 사용할 수 있다.
<RPA 모델링>
업무확인이나 업무요청, 자동화 프로세스 및 수행기관 단말(400)의 응답 데이터를 매핑하여 플로우 데이터셋(Flow DataSet)을 수집하고, 업무확인이나 업무요청이 질의(Query)로 입력되는 경우 응대, 자동화 프로세스 및 응답 데이터의 플로우가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학습 및 검증함으로써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B-C-D-E]로 진행되는 업무 플로우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RPA를 구동하기 위해 [A-B-C-D-E]와 같은 시나리오를 추출 및 구축하고 케이스를 설계하고 이를 레코딩하는 경우, 상당히 많은 공수와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분석하고 설계하는 단계에서 소모되는 공수와 시간을 줄이고, 실제 사용자의 패턴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시나리오 및 케이스를 설계하는 것을 자동화하는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석 스크립트가 설치된 웹 서비스, 데이터를 수집하는 메시지큐(Message Queue) 시스템, 로그(Log)를 분석하는 로그 분석 시스템, UI(User Interface) 관리도구 및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시스템 프로세스는 6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설치 단계이다. 최초 UI 관리를 위한 대상 서비스에 분석 스크립트를 설치한다. 둘째, 분석 단계로 수행기관 단말(400)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웹 로그를 메시지큐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메시지큐 시스템에서는 대량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DB에 저장하고 로그 분석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한다. 셋째, 웹 로그분석에 대한 대시보드를 통해 조회할 수 있다. 넷째, 설계 단계로 우선 분석으로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해서 테스트 시나리오 케이스를 자동화 설계하고 설계된 테스트 시나리오와 케이스를 수정하는 테일러링 과정이 있다. 목록 작성이 완료되면 목록과 동일하게 테스트 케이스를 레코딩한다. 다섯째, 수행 단계로 매일 등록된 시나리오에 대해 테스트를 수행한다. 여섯째, 테스트 수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시나리오 및 케이스를 구축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RPA의 자동화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관리자가 반복해서 사용하는 플로우를 우선 추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RPA 도구의 녹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의 동선을 Mouse Listener와 Keyboard Listener를 통해 좌표값, 이미지, 키보드 입력값을 데이터화하여 엑셀 파일로 저장한다. 저장된 엑셀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마우스 움직임과 키보드 입력값이 실행된다. 또한, 해당 기능은 파일명 값의 유무로 기존 녹화 파일을 실행하거나 새로 파일을 녹화하도록 설정된다. 또, Matplotlib로 시각화하여, 관리자가 지정한 비대칭 데이터를 변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업인 비대칭 데이터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Log Transform, Square Transform, Box-Cox Transform 중 가장 정규분포에 가깝다고 생각하는 변환 방법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하는 변환 방법으로 데이터 행이 변환되어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모델의 성능 향상을 위해 IQR(Interquartile Range) 방식을 이용해 이상치(Outlier) 데이터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RPA에서 비대칭 데이터 변환, 이상치 처리를 통해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양질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녹화 기능으로 RPA 도구에서 자동화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평가전달부(340)는, 평가위원 단말(500)의 평가를 수행기관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다. 평가위원 단말(500)은, 수혜기업 단말(100)의 지원서를 검토하고,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수혜기업으로 선정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평가로 선정된 수혜기업 단말(100)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평가자 객관화>
특허심사과정에서도 당업자라는 이상적인 인간을 상정하고 심사를 실시하지만 각 심사주체의 배경지식, 경험, 이력 등에 따라 심사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거나 유연하게 적용하는 차이가 발생하므로 기계적인 객관성을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마찬가지로, 평가자는 아이템의 난이도, 평가자의 엄격성, 평가자의 척도 사용 방식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즉, 평가자는 개인의 성격과 취향을 바탕으로 평가를 수행하며 이와 같은 평가자 간 차이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자료를 평가하더라도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평가자 사전 교육을 실시하여 척도 사용의 일관성을 도모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평가의 객관성을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으나 평가자는 평가에 있어 개인의 지식, 과거의 경험, 본인의 취향 등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전 교육이 평가자 특성을 고려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평가자 엄격성, 아이템 난이도, 평가자의 척도 사용 방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평가의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MFRMM(Many-Facets Rasch Measurement Model)을 이용할 수 있다. MFRMM은 아이템 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을 바탕으로 한 일모수(One-Parameter) 모형인 라쉬 모형(Rasch Model)으로부터 발전된 이론적 모형이다. MFRMM은 평가자 엄격성, 아이템 난이도를 모수로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평가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다. MFRMM은 IRT에 근거한 측정모형에 기반한 평가척도모형(Rating Scale Model)에 평가자 엄격성 추정치를 모수로 추가하여 개발된 측정모형이다. MFRMM은 아이템 난이도와 평가 대상의 능력 및 성과 수준 그리고 평가자의 엄격성을 동일한 선형척도 위에서 수량화시켜 비교할 수 있는 모형이다. 아이템 난이도와 평가자 엄격성 수준을 등간척도 상의 영점(0)에 고정시키면 두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평가 대상의 성과 수준에 대한 추정된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방법 외에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만을 이용하는 것도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평가부(350)는,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을 생성하고, 평가항목에 대하여 수혜기업 단말(100)의 지원서 또는 성과를 평가위원 단말(500)에서 평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평가위원에게 과제신청서를 전달할 때, 각 개인을 알아볼 수 없도록, 각 개인에게 고유식별코드를 부여한 후, 과제신청서의 디자인, 포맷, 레이아웃을 모두 동일하게 맞춰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전자평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은 분산컴퓨팅에 기반을 둔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로, 중앙 서버 집중식 시스템에 비해 안전성, 접근성, 공정성이 높으며,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블록체인을 선정 점수 로직과 관리자, 신청자 신청자 정보 저장소로 활용한다. 또한, 지원자의 경력, 인사 정보, 평가자의 본인 인증 및 평가 내용 등의 정보가 블록체인에 기록되고, 정보가 저장된 블록체인은 본 발명의 플랫폼 뿐만 아니라 다수의 노드에 저장될 수 있닫.
블록체인에서 분산된 트랜잭션(평가점수)이 영구히 저장되기 때문에, 모든 평가에서 지원자가 이의를 제기할 경우 검증이 가능하고, 외부 평가자의 신원을 공개하지 않고도 평가위원 선정이 가능하다. 정보조작 등 문제 발생시 블록체인-Database 비교를 통해 문제분석-문제해결을 한 번에 적용이 가능하며, 평가자는 평가 웹을 이용해 전자평가를 진행하며 결과는 바로 블록체인에 저장된다. 또한, 하나의 정보를 수정 또는 삭제하려면, 합의 로직으로 인해 그 정보가 저장된 다른 노드의 승인을 얻어야 하므로 평가 결과의 조작 가능성이 매우 희박해져 보안성이 높아진다. 수혜기업 선정 또는 선정비리의 경우 공시를 제대로 하지 않고, 수혜기업을 선정하거나 수혜기업 조건에 명시된 내용과 상이하게 진행하는 경우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즉, 청탁을 통해 특정인을 선정하기 위해 당초 공고에 명시된 수혜기업 보다 더 많은 수혜기업을 임의 선정하거나, 선정 조건에 명시되지 않은 전혀 다른 사유로 신청자를 탈락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막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기능을 활용하여 선정기간, 조건, 내용 등을 Solidity 언어로 기술하고 최종 수혜기업 정보와 대조를 통해 적절한 선정 유무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우선,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문을 등록하면, 블록체인 연동 API를 경유하여 블록체인 시스템에 저장되고, 이후 공고문 조건을 임의로 변경할 수 없도록 한다. 평가위원 단말(500)에서 전자평가를 진행하는 경우, 각 수혜기업의 평가결과는 곧 바로 트랜잭션 단위로 저장되고, 일정 크기 이상 트랜잭션의 누적되면 가상서버에서 랜덤한 노드가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은 분산 노드에 일괄 전송되어 검증절차를 통해 분산 저장된다. 마찬가지로 한 번 저장된 평가결과는 내부자 또는 악의적인 접근자에 의해 위변조가 원천 차단된다.
평가위원의 편파적 구성이 문제가 될 수도 있으므로, 평가위원 선정절차를 블라인드 처리할 수 있다. 즉, 수행기관 담당자가 평가위원 선정과정에 관여하거나 평가위원 선정 결과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도록 하여 편파적인 평가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다. 평가위원풀(Pool)에 등록된 예비 평가위원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사전에 블록체인 Wallet 프로그램을 설치하도록 하고, 수혜기업을 선정할 때 또는 성과를 평가하는 수요가 있을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에서 랜덤으로 평가위원을 선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선발된 평가위원 정보는 트랜잭션으로 처리되고 해당 트랜잭션은 다시 블록으로 생성되어 각 노드에 분산 저장된다. 따라서, 랜덤으로 선발된 평가위원은 수행기관 담당자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게 되고 평가위원 정보의 사전 조회가 불가하다. 조회를 할 경우 자동으로 로그가 기록되며 조회시간, 조회내용, 조회 시도자의 정보 역시 블록을 생성되어 분산 저장되어 사후 검증시 활용된다.
특히, 평가위원의 신원확인 및 인증절차는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스마트폰 고유 인증정보 및 단말기 정보, 과거 로그인 정보 등을 조합하여 강력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평가는 몇 번의 자동 협상(Auto Negotiation) 절차를 통해 평가위원이 전자평가에 참여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게 되고, 예비 평가위원은 해당 조건을 검토한 뒤 참여 여부를 회신하게 된다. 수집된 회신 정보와 예비 평가위원을 대상으로 다시 한번 랜덤하게 최종 평가위원을 선발하여 선발 여부를 공지 하게 된다. 이 모든 과정에서 중요 정보는 블록으로 저장되고, 사후 위변조 역시 불가하게 된다. 수혜기업을 선정한 평가결과는 블록체인에 저장된 점수와의 대조를 통해 일치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즉, 각 단계별 기준에 미달된 지원자가 최종 수혜기업 명단에 등록되지 않도록 강제화하는 자체 검증 절차를 수반한다. 이를 통해 선발된 최종 수혜기업의 정보는 또 다시 블록으로 저장되며, 이는 사후 수혜기업의 위변조를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합의 알고리즘(Proof of Work, PoW)의 선택, 시스템 안전성을 위해 무한루프를 방지하기 위한 GAS 기능 사용, 수혜기업 선정에 필요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 추가를 수행하고, 블록체인 플랫폼은 기존 수혜기업 선정 프로세스와의 호환을 위한 API로 연계되고 가상머신에서 블록을 생성하고 검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채굴과정을 대폭 간소화하여 절차는 준용하되, 불필요하게 컴퓨팅 파워가 낭비되거나 블록생성에 10 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기존 비트코인의 처리 지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교차검증부(360)는, 성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혜기업 단말에서 업로드한 성과 문서 내 성과에 대응하는 고용, 매출, 논문, 지식재산권, 인증, 기술이전, 기술료, 보도자료, 포상, 기부, 행사 및 전시를 주관하는 기관 서버로 검증을 요청하고, 기관 서버의 응답과 성과를 대조하여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용의 경우 고용공단, 매출의 경우 국세청, 논문의 경우 논문주관기관, 지식재산권의 경우 특허청 또는 저작권협회, 인증의 경우 인증기관 등 다양한 주최기관으로 실제 이 정보와 비교를 해봄으로써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고용비리파악부(370)는, 고용에 대응하는 고용대상이 수혜기업 단말(100)의 기업운영자와 친인척 관계인 경우,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 고용대상에서 배제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할 때, [신규평가 우대 및 감점 신청 확인서]를 제출할 수 있는데, 이때, 고용창출조건 중 고용의무조건에 국비(지방비) 2억원당 1명 신규 선정계획 제출 의무가 존재하며, 선정 후, 6개월 이상 고용을 유지해야 한다. 또, 공고일 전 6개월부터 선정된 인원을 신규선정으로 인정하고, 신규인력은 반드시 해당 사업에 참여하여야 신규선정으로 인정하는데, 가까운 친인척을 신규인력으로 등록시켜놓고 실제로 고용을 창출하지 않았는데 창출한 것과 같은 서류를 제출할 수 있다. 그리고, 친인척이 관련기술자라고 하더라도 기 설정된 기간, 예를 들어 6개월이 안되어 4대보험에서 탈락되거나, 6개월이 넘는다고 할지라도 명목상 고용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저시급만 지급하는 등의 여부를 국세청에 등록된 과제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해볼 수 있다.
단계알람부(380)는,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시계열순으로 나열하고, 현 단계에 대응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현 단계에 대응하지 않는 메인 프로세스와 다르게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대상안내부(390)는, 수행기관 단말(400)에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진행하는 지역 내 적어도 하나의 개인 또는 기업이 기 설정된 대상자에 매칭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또는 기업으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안내를 전송할 수 있다.
직무배제신청부(391)는, 수행기관 단말(400), 수혜기업 단말(100) 및 평가위원 단말(500) 간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결도 이상의 관계가 추출되는 경우, 수행기관 단말(400)의 수행기관을 관리 및 감독하는 감독기관 단말로 알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소셜네트워크분석인 SNA는, 사람들 간의 특정한 연결망의 특성으로 연결망에 포함된 사람들의 사회적 행위를 설명하려는 시도로 정의되어 있다. 즉, 개인과 개인을 연결시켜 주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생성되는 관계들 간의 연결정도, 방향성, 강도 등을 분석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SNA은 실증 데이터를 기초로 구조를 밝혀내고 네트워크 각 요소의 기능과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NA에서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점(Node)과 선(Link)으로 구성되는데, 점은 인간, 사물, 사건 등과 같은 행위자를 말하며, 선은 행위자들 사이에서 측정 가능한 관계를 말한다. 예를 들어, A, B, C, D, E, F는 점, 즉 행위자를 나타내고 A-B, A-C, A-D, A-E, A-F는 선, 즉 행위자간의 상호관계를 나타낸다.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형태의 관계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개념에는 간접연결, 빈도, 다중성, 강도, 방향성, 대칭성 및 호환성 등이 있다.
여기서, 간접연결은 두 행위자 간의 경로(Path)가 하나 이상의 다른 행위자에 의해 중개되는 경로를 말하는데, A와 B가 연결되어 있고 B와 C가 연결되어 있다면, A는 B를 통해 C와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빈도는 연결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가를 측정하는 지표이며, 다중성은 두 행위자가 하나 이상의 관계로 연결된 것으로 A와 B가 친구이면서 동시에 동업관계에 있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강도는 시간의 양, 감정의 집약도, 친밀도, 상호서비스 등을 의미하는데, A와 B가 친한 친구이거나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SNA는 자료의 형태에 따라 완전 연결망, 자아중심 연결망, 준 연결망으로 분류된다. 완전 연결망은 상호작용의 유무에 따라 개인들 간의 관계가 이분법으로 표현되거나 관계의 강도가 숫자로 표현되는 연결망을 말한다. 자아중심 연결망은 한 개인을 연결망 중심에 위치시키고, 그 개인과 다른 개인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 연결망이다. 준 연결망은 개인들 간에 특정한 관계가 없더라도 관계를 인위적으로 설정한 연결망을 말한다. 이러한 연결망을 분석하는 기법에는 결속정도, 중심성, 구조적 등위성, 브리지, 브로커 등이 있다. 첫째, 결속정도는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한 점에 집중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표적인 지표로 ① 연결정도(Degree), ② 밀도(Density), ③ 포괄성(Inclusiveness)이 있으며, 핵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결속정도>
① 연결정도는, 한 점이 맺고 있는 다른 점의 숫자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친구가 많은 사람이나 마당발인 사람은 연결정도가 많은 사람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동원할 수 있는 자원이 많고, 정보의 흐름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만일 네트워크에서 이런 사람이 제거된다면 네트워크는 쉽게 와해될 정도로 중요한 지표이다. ② 밀도는, 하나의 네트워크상에서 전체 구성원들 상호간에 맺고 있는 관계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연결 가능한 총 관계 수에서 실제 맺어진 관계 수의 비율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관찰된 밀도는 집단의 크기와 반비례한다. ③ 포괄성은, 한 네트워크에서 서로 연결된 점의 수를 표현하는 것으로 한 네트워크의 전체 점의 수에서 격리된 점들의 수를 제외하고 남은 수의 비율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20명이 있는 네트워크에서 5명이 어떤 사람과 연결되지 않았다면 해당 네트워크의 포괄성 지표는 0.75가 된다.
<중심성>
둘째, 중심성(Centrality)은 한 점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치한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연결정도 중심성(Degree Centrality)은, 한 점에 연결되어 있는 점의 개수로 중심성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점 i와 k의 연결정도는 점 i와 k가 연결되어 있으면 1로 계산되고,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0으로 계산된다. 이때, C'D(pk)는 점 k의 연결정도 중심성, a(pi, pk)는 점 i와 k의 연결정도, n은 전체 점의 수이다.
Figure 112023017444953-pat00001
② 근접 중심성(Closeness Centrality)은, 한 점이 다른 점들과 얼마나 가까이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한 점이 다른 점들과 연결된 경로의 개수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때, C'c(pk)는 점 k의 근접 중심성, n은 전체 점의 수, d(pi, pk)는 점 i에서 점 k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Figure 112023017444953-pat00002
③ 사이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은, 한 점이 네트워크에서 담당하는 매개자 혹은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어느 한 점이 다른 두 개의 점 사이의 최단 경로에 놓이게 되는 비율을 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C'B(pk)는 점 k 사이의 중심성, gij(pk)는 점 k가 점 i, j 사이의 최단경로에 위치하는 경우의 수, gij는 점 i와 j를 연결하는 최단경로의 수, (n2-3n+2)/2는 점 k를 포함하지 않는 모든 점 쌍의 수이다.
Figure 112023017444953-pat00003
④ 위세 중심성(Eigenvector Centrality)은, 한 점이 네트워크에서 위세가 높은 점에 얼마나 연결되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중심성 지표이다. 이때, Pi와 Pj는 점 i와 j의 위세지수 또는 위세중심성이고, Zji는 점 j와 i 간 관계이다.
Figure 112023017444953-pat00004
위의 방정식에서 Pi는 점 i의 위세지수(Prestige Index)를 의미하며, Zji는 점 j와 점 i의 관계를 나타내며 점 i는 위세가 높은 다른 점들 j로부터 많은 관계를 수신할수록 위세가 높아진다. N 개의 동시방정식(Simultaneous Equations)으로 이루어진 이 방정식은 P(Z-λI)=0 알고리즘에 의해 구해진다. 여기서 P는 위세지수를 나타내고, Z는 위세지수 P와 직접적인 관계를 맺는 N×N 관계 행렬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SNA에는 다양한 분석기법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기법은 중심성 분석기법 이라고 할 수 있다. 중심성은 통계학에서 평균이나 중앙값, 최빈값과 같이 데이터에서 대표성을 가지는 값들과 성격이 유사하다. 즉, 네트워크에서 연결의 핵심적 위치에 있는 특성을 값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심성 분석기법이다.
수혜기업을 신청하려는 사업자가 제3자 명의를 이용하여 다시 과제신청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이유는 다른 과제에서 중단(불성실) 또는 불성실수행 평가결과를 받은 총괄책임자가 신청과제의 총괄책임자인 경우, 평가결과 확정 후 2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감점요인이고, 최근 3년 이내(접수마감일 기준) 과제 선정 후 또는 과제수행 도중 정당한 사유 없이 협약을 포기한 경력이 있는 총괄책임자 또는 수행기관이 새로운 과제의 총괄책임자 또는 주관기관(총괄주관기관 및 세부주관기관 포함)으로 신청하는 경우도 감점요인이기 때문에, 이를 만회하기 위해 타인의 명의를 이용하여 신청을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또, 수행기관의 담당자와 수혜기업의 담당자가 지인이거나 친인척인 경우, 또 수혜기업의 담당자와 평가위원이 아는 사이인 경우, 재판에서는 기피, 회피 및 제척의 사유에 대응하므로, 이 여부를 점검하기 위해 수행기관, 수혜기업 및 평가위원 간 연관관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SNA를 이용하여 수행기관, 수혜기업 및 평가위원 간 관계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수혜기업에서 제3자의 명의를 이용하여 다시 과제를 신청하는 경우를 사전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분석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SNA는 4 단계로 구분될 수 있는데 첫째는 자료의 수집(Collection) 및 정제(Cleansing) 단계로 과제신청정보, 과제신청자와 관계를 맺고 있는 특수관계회사, 지급보증, 주요주주 등의 정보를 수집 및 정제한 후에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둘째는 자료의 변환(Transform) 단계로 SNA를 위해서 첫 단계에서 수집한 자료를 네트워크 데이터 구조로 변환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구조는 과제신청자를 하나의 점(Node)으로 볼 때, 점들 간 관계를 선(Link) 형태로 표현한 데이터 구조를 말한다. 셋째는 자료의 분석(Analysis) 및 군집화(Clustering) 단계로 이전 단계에서 변환한 네트워크 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전문 분석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중심성(Centrality)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묶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SNA 전문 분석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Pajek, Net-Miner, R 패키지, UCINET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넷째는 자료의 시각화(Visualization) 단계로 세 번째 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혜기업 관리 플랫폼은, 현재 사업관리를 위해,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의 과정을 수혜기업(사용자) 및 수행기관(담당자) 모두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하는 플랫폼으로, 도 3b 및 도 3c와 같은 플로우로 진행하게 되며, 도 3d와 같은 직관적인 UI/UX로 수혜기업 및 수행기관 모두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를 최소화하며, 수혜기업도 신청 및 지역특화사업에만 집중을 함으로써 성과를 내는데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3e 및 도 3f와 같은 메뉴를 수행기관 단말(400) 및 수혜기업 단말(100)에서 이용하면서 직관적인 메뉴로 사용자의 업무혼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매뉴얼이 없더라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 도 3g와 같이 대내외 정보를 요청할 때 온라인 자료 출력기능으로 빠르게 대처가 가능하며, 도 3h와 같이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향후 유지보수의 비용절감을 고려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본 출원인(주식회사 빅테크놀로지)의 홈페이지(http://www.big-technology.co.kr/)를 통해 소개되어 있으며, 각 온오프라인의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화함으로써, 사업수행성과나 결과를 분석하며 효율성이나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방향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수집, 저장, 정제, 분석 및 예측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한다(S5100).
그리고,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메인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하고(S5200), 수행기관 단말의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에 따라 수혜기업 단말로 결과를 전달하거나 수혜기업 단말로부터 문서를 업로드받는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진행하는 수행기관 단말;
    상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에 지원서를 접수한 후, 선정된 경우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문서를 업로드하는 수혜기업 단말; 및
    상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관리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메인구축부, 상기 메인 프로세스의 하위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하위구축부, 상기 수행기관 단말의 메인 프로세스 및 하위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수혜기업 단말로 결과를 전달하거나 상기 수혜기업 단말로부터 문서를 업로드받는 관리부, 상기 수행기관 단말, 수혜기업 단말 및 평가위원 단말 간 SNA(Social Network Analysis)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연결도 이상의 관계가 추출되는 경우, 상기 수행기관 단말의 수행기관을 관리 및 감독하는 감독기관 단말로 알람을 전송하는 직무배제신청부를 포함하는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세스는,
    공고관리, 접수관리, 평가관리, 협약관리, 집행관리, 성과관리 및 결과관리의 순으로 진행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하위 프로세스는,
    상기 평가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평가계획관리, 평가결과정리, 평가위원관리 및 평가항목관리를 포함하고,
    상기 협약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협약문서설정관리, 협약관리, 협약문서검토 및 협약서등록을 포함하고,
    상기 성과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성과종류설정관리, 담당기관성과관리, 성과관리 및 성과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관리를 진행하기 위한 결과문서설정관리, 결과관리 및 결과문서검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혜기업 단말의 지원서를 검토하고, 상기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수혜기업으로 선정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고, 상기 평가로 선정된 수혜기업 단말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는 평가위원 단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평가위원 단말의 평가를 상기 수행기관 단말로 전달하는 평가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을 생성하고, 상기 평가항목에 대하여 상기 수혜기업 단말의 지원서 또는 성과를 상기 평가위원 단말에서 평가하도록 하는 전자평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성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수혜기업 단말에서 업로드한 성과 문서 내 성과에 대응하는 고용, 매출, 논문, 지식재산권, 인증, 기술이전, 기술료, 보도자료, 포상, 기부, 행사 및 전시를 주관하는 기관 서버로 검증을 요청하고, 상기 기관 서버의 응답과 상기 성과를 대조하여 검증하는 교차검증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고용에 대응하는 고용대상이 상기 수혜기업 단말의 기업운영자와 친인척 관계인 경우, 기 설정된 기간 이후에 고용대상에서 배제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고용비리파악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공고, 접수, 평가, 협약, 집행, 성과 및 결과에 대응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시계열순으로 나열하고, 현 단계에 대응하는 메인 프로세스를 시각적으로 현 단계에 대응하지 않는 메인 프로세스와 다르게 표시하여 제공하는 단계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수행기관 단말에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진행하는 지역 내 적어도 하나의 개인 또는 기업이 기 설정된 대상자에 매칭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인 또는 기업으로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의 안내를 전송하는 대상안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삭제
KR1020230019747A 2023-02-15 2023-02-15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9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47A KR102569661B1 (ko) 2023-02-15 2023-02-15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9747A KR102569661B1 (ko) 2023-02-15 2023-02-15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9661B1 true KR102569661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9747A KR102569661B1 (ko) 2023-02-15 2023-02-15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을 위한 수혜기업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966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2623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87783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위프로스 기업 맞춤형 지원사업 연계 시스템
KR20230008316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비자림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의 지원 사업 관리 시스템 및 지원 사업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0290B1 (ko) * 2012-02-14 2012-08-07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전문평가자의 평가정보를 이용한 기술개발사업 전자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2623A (ko) * 2014-12-15 2016-06-23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사업화 단계별 사업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20087783A (ko) * 2020-12-18 2022-06-27 주식회사 위프로스 기업 맞춤형 지원사업 연계 시스템
KR20230008316A (ko) *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 비자림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의 지원 사업 관리 시스템 및 지원 사업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therland et al. The role of manufacturing in affecting the social dimension of sustainability
Goh et al. Applying risk management workshop for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Case study
McLeod et al. A perspective‐based understanding of project success
Ashton et al. Assessing the “short mental distance” in eco‐industrial networks
Le et al. Present focuses and future directions of decision-making in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Srai et al. Understanding sustainable supply network capabilities of multinationals: A capability maturity model approach
Gajic et al. Method of evaluating the impact of ERP implementation critical success factors–a case study in oil and gas industries
Wu et al. What are the key indicators of mega sustainable construction projects?—A stakeholder-network perspective
Chen et al. Rethinking the construction schedule risk of infrastructure projects based on dialectical systems and network theory
Sun et al. Understanding the risk factors of BIM technology implement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ing (ISM) approach
Silverio-Fernández et al. Strategic framework for implementing smart devic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Yeung et al. A computerized model for measuring and benchmarking the partnering performance of construction projects
YY Ling et 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design and construction and operations and maintenance supply chains in Singapore
Park et al. Value co-creation processes—Early stages of value chains involving high-tech business markets: Samsung–Qualcomm semiconductor foundry businesses
Huang et al. A methodology for digital government transformation
Pala et al. Implementing commercial information exchange: a construction supply chain case study
Ganguly et al. Evaluating the key performance indicators for supply chain information system implementation using IPA model
Matthess et al. Supplier sustainability assessment in the age of Industry 4.0–Insights from the electronics industry
Thabrew et al. Using triple bottom line metrics and multi-criteria methodology in corporate settings
Farr et al. Simulation-based costing for early phase life cycle cost analysis: Example application to an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ject
Wijayasekera et al. Data analy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mplex environment of megaproject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project organizing theory
Wang et al. A building project-based industrialized construction maturity model involving organizational enablers: A multi-case study in China
Jelodar et al. Designing for construction procurement: an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Shaharuddin et al. Adop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4.0 among small and medium sized contractor in Malaysia
Luo et al.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ervice-oriented management of construction labor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