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777B1 -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 Google Patents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777B1
KR101700777B1 KR1020160084812A KR20160084812A KR101700777B1 KR 101700777 B1 KR101700777 B1 KR 101700777B1 KR 1020160084812 A KR1020160084812 A KR 1020160084812A KR 20160084812 A KR20160084812 A KR 20160084812A KR 101700777 B1 KR101700777 B1 KR 101700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welding
tubular body
buoyancy
bu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승
김학건
Original Assignee
(주) 삼정디씨피
김학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정디씨피, 김학건 filed Critical (주) 삼정디씨피
Priority to KR1020160084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높이와 원주 방향에서 돌출부와 홈부를 갖는 관체를 성형한 후 양쪽에 덮개를 결합하여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서 부력을 제공하여 부표로 사용하는 것이며, 내경과 외경을 보강하여 일부에서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도 부력을 제공하여 부표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하는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와 홈부로 이루어지는 관체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양쪽을 마감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있어서,
상기 관체가 성형되면서 내경에 일자형의 평활한 내경 보강부재를 공급하여 홈부와 일체형이 되도록 이중관이 성형되고,
상기 돌출부의 양쪽 선단을 따라서 용접홈이 형성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의 선단을 따라 표면에서 외측 선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선단에서 더 낮은 위치에 돌출되는 덮개 용접 돌출부가 상기 용접홈에서 용접되어 용접부에서 마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Providing a buoyancy buoy to multiconformation}
본 발명은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높이와 원주 방향에서 돌출부와 홈부를 갖는 관체를 성형한 후 양쪽에 덮개를 결합하여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으면서 부력을 제공하여 부표로 사용하는 것이며, 내경과 외경을 보강하여 일부에서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도 부력을 제공하여 부표로 안전하게 사용되도록 하는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산양식에 사용하는 부표는 스치로폼으로 성형한 부표와 합성수지를 브로우 몰딩으로 성형한 부표가 있는데, 그 중에는 스치로폼 부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스치로폼 부표는 원통형으로 성형한 양쪽에 결속 선을 감아서 사용하는데, 홈부에 많은 힘이 가해지므로 부표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파도나 조수 및 해일 등에 의해서 파손되거나 변형되기 쉽다.
그리고 스치로폼은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서 파도 등의 바닷물에 대한 충격이 그대로 전달되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표가 파손되면 부서진 파편에 의해서 해양의 오염을 초래하고, 홈부가 조금만 파손되더라도 사용하기 어려워 해안가나 야적장에 적재하여 두거나 폐기물 처리한다.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부표를 내경에 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를 합성수지로 브로우 몰딩에 의해 성형한 것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합성수지 부표는 스치로폼 부표의 단점인 내구성이 약하여 수명이 짧은 단점이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는 보완하였으나 제작상 고가인 단점이 있고, 양식장에 부표를 설치하거나 수거시에 사용되는 공구 즉, 갈고리나 집게 등을 사용해서 작업하는데 있어서는 부표가 잘 깨지고 부서지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작업 속도도 느려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체적인 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09039호(2003. 03. 17. 등록),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0-0020942호(2000. 12. 15. 공개), 특허등록번호 제0857470호(2008. 09. 02. 등록),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27202호(2001. 04. 02. 등록)가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은 상기에서 지적한 단점 이외에 부표의 외경으로 커버를 씌워 부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부표를 씌울 수 없는 한 부분에서는 끈을 사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야간의 경우 부표가 잘 인식되지 않아서 사고의 위험성과 스치로폼으로 이루어진 경우 부력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과, 표면에 조개 껍질 등 이물질이 붙어서 부력에 영향이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청소를 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에 스치로폼의 일부가 같이 떨어지면서 불량이 발생하여 부력을 상실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서 상기와 같은 부표의 단점을 방지할 목적으로 스치로폼 부표의 외경을 폴리에틸렌으로 얇게 성형한 시트를 연신시켜 부표의 양쪽과 몸통을 감싸도록 하고, 회전시키면서 가열하여 시트가 열수축되며 부표의 몸통을 일체형으로 감싸도록 성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팅형 부표는 1.2∼15mm의 두께로 이루어진 시트를 사용하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최초 성형한 후에는 외형이 미려하며, 사용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처럼 보이게 되어 많은 호응을 받고 있으나, 실제 바다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어느 한 부분에 구멍이 발생하게 되면 이 구멍으로 물이 스며들어가 부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고, 코팅형 부표가 파손되는 경우 재활용이 어렵고 종래의 스치로폴 부표에 비하여 환경오염의 피해가 더욱 심각해지는 문제점과 어민이 코팅형 부표를 설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도구가 날카롭고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 표면이 쉽게 찍히게 되므로 부력의 손실 및 재활용이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200020호(2012. 11. 05. 등록)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526925호(2015. 06. 02.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60025호(2016. 02. 29.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6-0033446호(2016. 03. 28.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재질로 돌출부와 홈부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경과 외경 중 어느 하나를 보강한 이중관과 내, 외경을 모두 보강하는 다중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에서 덮개를 결합하여 부표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체와 이중관 및 다중관 중 어느 하나로 인하여 어느 한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스며들더라도 부력의 상실이 크지 않아 계속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관체와 이중관 및 다중관 중 어느 하나의 양쪽으로 결합하는 덮개를 용접으로 결합하도록 하며, 이중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스며들더라도 내경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설치된 후 부력을 상실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도 수거하여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바다의 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와 홈부로 이루어지는 관체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양쪽을 마감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있어서,
상기 관체가 성형되면서 내경에 일자형의 평활한 내경 보강부재를 공급하여 홈부와 일체형이 되도록 이중관이 성형되고,
상기 돌출부의 양쪽 선단을 따라서 용접홈이 형성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덮개의 선단을 따라 표면에서 외측 선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선단에서 더 낮은 위치에 돌출되는 덮개 용접 돌출부가 상기 용접홈에서 용접되어 용접부에서 마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돌출부와 홈부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경과 외경 중 어느 하나를 보강한 이중관과 내, 외경을 모두 보강하는 다중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양쪽에서 덮개를 결합하는 것으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체와 이중관 및 다중관 중 어느 하나로 인하여 어느 한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스며들더라도 다른 부분으로 물의 이동이 방지되어 부력의 상실이 크지 않아 계속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로 사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체와 이중관 및 다중관 중 어느 하나의 양쪽으로 결합하는 덮개를 용접으로 결합하도록 하며, 덮개가 이중으로 형성되고 요철돌기에 의한 보강을 통하여 어느 한 부분에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스며들더라도 부표의 내경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계속해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로 사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함으로써 설치된 후 부력을 상실하거나 파손되는 경우에도 수거하여 파쇄에 의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바다의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친환경제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관체를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이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이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이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이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다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덮개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덮개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덮개와 용접되는 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덮개와 관을 용접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이중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다중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를 다중관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를 다중관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관체를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10)를 성형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를 성형하면서 내경에 일자형의 평활한 내경 보강부재(21)를 공급하여 홈부(12)와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이중관(20)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이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이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1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를 성형한 후 외경에 외경 보강부재(31)를 공급하여 돌출부(11)의 외경과 일체형이 되도록 보강하며, 양쪽에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홈부(12)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끈 고정홈(32)을 성형하는 이중관(20a)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중관에 대한 일부 구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중관을 이용한 부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10)와 같은 형태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를 성형하면서 내경에 일자형의 평활한 내경 보강부재(21)를 공급하여 홈부(12)와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이중관(20)과 같은 형태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와 같은 형태를 성형한 후 외경에 외경 보강부재(31)를 공급하여 돌출부(11)의 외경과 일체형이 되도록 보강하며, 양쪽에 끈을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홈부(12)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끈 고정홈(32)을 성형하는 다중관(30)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덮개의 주요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덮개와 용접되는 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덮개와 관을 용접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관체(10)와 이중관(20) 및 다중관(30) 중 어느 하나의 양쪽으로 결합하는 덮개(40)는 원형과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정한 간격에서 요철돌기(42)가 형성되어 보강되도록 하며, 선단을 따라서 덮개 용접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용접홈(46)에서 용접으로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홈(46)에 덮개 용접 돌출부(41)를 용접한 후에는 외부의 용접부(45)에서 마감하여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40)는 외부가 충격으로 손상되는 경우 물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지 위해 내면에 보강을 한번 더 수행하는 내면 보강부(43)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 용접 돌출부(41)는 덮개(40)의 표면에서 외측 선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선단에서 더 낮은 위치에 돌출되어 용접홈(46)에서 융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관체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이중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중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를 다중관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돌출부와 홈부를 다중관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돌출부(11)와 홈부(12)로 이루어지는 관체(20)는 단일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내경에 내경 보강부재(21)를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관체(20)의 돌출부(11) 외경으로 외경 보강부재(31)를 보강한 후 내경에는 내경 보강부재(21)를 공급하여 일체형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1)와 홈부(12)는 단일층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 어느 한쪽으로 보강층(15)을 갖는 이중구조의 층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층(15)는 돌출부(11)와 홈부(12)의 전체면을 따라서 성형되며 서로 다른 재질로 어느 한 층은 강성을 향상시키는 재질을 사용하고, 다른 한 층은 충격을 흡수하고 쉽게 손상되지 않는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층(15)과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돌출부(11)와 홈부(12)는 내경에 내경 보강부재(21)를 일체형으로 성형하거나, 외경에 외경 보강부재(31)를 보강하는 구조 및 내경 보강부재(21)와 외경 보강부재(31)를 모두 성형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켜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가 연속해서 성형되도록 하는 관체(10)를 성형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는 돌출부(11)의 양쪽에 각각 용접홈(46)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접홈(46)에 덮개(40)의 덮개 용접 돌출부(41)를 용융시켜 결합하는 것으로 덮개 용접 돌출부(41)와 용접홈(46)이 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부표(5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관체(10)를 성형하면서 내경에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시켜 내경 보강부재(21)로 압출하는 과정에서 내경 보강부재(21)의 외경에 돌출부(11)와 홈부(12)가 일체형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이중관(20)을 성형하거나,
상기 돌출부(11)의 외경으로 외경 보강부재(31)가 보강되도록 하는 이중관(20a)을 성형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이중관(20, 20a)은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에 돌출부(11)의 양쪽에 각각 용접홈(46)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용접홈(46)에 덮개(40)의 덮개 용접 돌출부(41)를 용융시켜 결합하는 것으로 덮개 용접 돌출부(41)와 용접홈(46)이 융착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부표(5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부표(50)는 외경 보강부재(31)가 보강되는 경우 일정한 간격에 끈 고정홈(32)이 형성되도록 홈부(12) 방향으로 눌러 끈을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1)의 외경으로 외경 보강부재(31)를 성형하고, 내경으로 내경 보강부재(21)를 성형하는 다중관(30)을 성형한 후에는 상기 다중관(30)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돌출부(11)의 양쪽에 각각 용접홈(46)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용접홈(46)에 덮개(40)의 용접 돌출부(41)를 용융시켜 결합하는 것으로 덮개 용접 돌출부(41)와 용접홈(46)이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부표(50)를 성형하는 것이다.
상기 덮개 용접 돌출부(41)와 용접홈(46)을 융착하여 고정한 후에는 선단을 따라 합성수지를 용융시켜 용접부(45)를 용접으로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용접부(45)는 용접을 통하여 마감하는 작용과 함께 선단을 감싸서 외측면이 미려하게 마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부표(50)는 관체(10)를 통하여 돌출부(11)와 홈부(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요철형태를 통하여 얇은 성형에 의한 것이라도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얇은 두께에 의해서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파도를 통한 압력이 연속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1)와 홈부(12)에 내경 보강부재(21)와 외경 보강부재(3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부표(50)를 성형하게 되면, 돌출부(11)와 외경 보강부재(31)에 충격이 발생하거나 도구 등에 의해 구멍이 형성되는 경우에 외부에서 물이 스며들게 되지만, 스며는 물은 돌출부(11)의 내부와 홈부(12)가 각각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멍으로 스며드는 물이 독립된 공간에만 스며든 후 더 이상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없는 독립된 구조를 통하여 부력이 조금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물속에 가라 앉을 정도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아 계속해서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 엄격하게 돌출부(11)와 홈부(12)에 내경 보강부재(21)와 외경 보강부재(31)로 이루어지는 다중관(30)의 경우에는 외경이 3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공간이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부분에서 물이 스며드는 경우에도 부력의 손실에 의해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부분적인 손상에도 불구하고 부표(50)로 계속해서 사용하게 되는 안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덮개(40)는 요철돌기(42)를 통하여 강성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내면 보강부(43)를 더 형성하여 이중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외측면이 손상 및 파손되더라도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부력이 조금 감소되기는 하지만, 부력의 큰 손실로 인하여 가라앉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부표(50)는 내부가 중공상태로 부력을 제공하게 되며, 돌출부(11)와 홈부(12)가 내경 보강부재(21)와 외경 보강부재(31)를 통하여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면서 부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강한 부력에 의한 그물이나 해상 구조물을 안정되게 지지 및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관체(10)에 의한 요철형태를 제공하며 내경 보강부재(21)와 외경 보강부재(31)를 통하여 다중 구조를 제공하여 강성을 크게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함께 가벼워 사용과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한 효과 및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한 부표(50)를 통하여 재활이 가능하므로 해상오염을 방지하며 재활용에 의한 친환경적인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재질을 이용한 다중 구조의 부표를 제공하여 가벼우며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외측면이 독립되게 공간을 제공하는 다중 구조를 통하여 일부분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부력의 손실이 적어 계속해서 부력을 제공하며 사용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매유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관체 11 : 돌출부
12 : 홈부 20, 20a : 이중관
21 : 내경 보강부재 30 : 다중관
31 : 외경 보강부재 40 : 덮개
41 : 덮개 용접 돌출부 42 : 요철돌기
43 : 내면 보강부 45 : 용접부
46 : 용접홈 50 : 부표

Claims (6)

  1. PE, PP, PV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압출하는 과정에서 캐타필라를 이용하여 전체적으로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돌출부(11)와 홈부(12)로 이루어지는 관체(10)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양쪽을 마감하여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에 있어서,
    상기 관체(10)가 성형되면서 내경에 일자형의 평활한 내경 보강부재(21)를 공급하여 홈부(12)와 일체형이 되도록 이중관(20)이 성형되고,
    상기 돌출부(11)의 양쪽 선단을 따라서 용접홈(46)이 형성되며,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덮개(40)의 선단을 따라 표면에서 외측 선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선단에서 더 낮은 위치에 돌출되는 덮개 용접 돌출부(41)가 상기 용접홈(46)에서 용접되어 용접부(45)에서 마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와 홈부(12)로 이루어지는 관체(10)는, 상기 홈부(12)의 내경으로 내경 보강부재(21)가 압출되어 홈부(12)와 내경 보강부재(21)가 일체형이 되도록 하고, 상기 돌출부(11)의 외경으로 외경 보강부재(31)가 압출되어 돌출부(11)와 외경 보강부재(31)가 일체형이 되도록 한 후, 상기 외경 보강부재(31)의 양쪽에서 홈부(12) 방향으로 절곡되어 끈을 묶어 고정하는 끈 고정홈(32)이 형성되는 다중관(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는 내부에 요철돌기(42)가 형성되어 보강되도록 하고, 표면에서 외측 선단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선단에서 더 낮은 위치에 돌출되어 용접홈(46)에서 용접부(45)로 덮개 용접 돌출부(41)와 함께 마감 용접되는 덮개 용접 돌출부(41)를 형성하며, 내면 보강으로 이중 구조가 성형되는 내면 보강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KR1020160084812A 2016-07-05 2016-07-05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KR101700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12A KR101700777B1 (ko) 2016-07-05 2016-07-05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812A KR101700777B1 (ko) 2016-07-05 2016-07-05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777B1 true KR101700777B1 (ko) 2017-02-02

Family

ID=5815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812A KR101700777B1 (ko) 2016-07-05 2016-07-05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77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350Y1 (ko) * 1991-10-18 1993-09-22 이 윤 절첩식 부구
KR950010597U (ko) * 1993-10-14 1995-05-15 정헌운 다중의 공기실을 가지는 양식용 부구
KR0160025B1 (ko) 1995-12-27 1998-12-01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판넬에 구비된 보강 프레임
KR20110020495A (ko) * 2009-08-24 2011-03-03 국태주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101200020B1 (ko) 2012-08-01 2012-11-12 김학건 수산양식용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101526925B1 (ko)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제이에스수지 친환경 부표용 보호필름의 제조를 위한 수지조성물 및 부표용 보호필름
KR20150091799A (ko) * 2014-02-04 2015-08-12 최석재 어구용 금속재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3446A (ko) 2014-09-18 2016-03-28 김덕수 합성수지 피복용 부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6350Y1 (ko) * 1991-10-18 1993-09-22 이 윤 절첩식 부구
KR950010597U (ko) * 1993-10-14 1995-05-15 정헌운 다중의 공기실을 가지는 양식용 부구
KR0160025B1 (ko) 1995-12-27 1998-12-01 김태구 자동차의 루프판넬에 구비된 보강 프레임
KR20110020495A (ko) * 2009-08-24 2011-03-03 국태주 이중 부력관을 갖는 부교
KR101200020B1 (ko) 2012-08-01 2012-11-12 김학건 수산양식용 부표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91799A (ko) * 2014-02-04 2015-08-12 최석재 어구용 금속재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3446A (ko) 2014-09-18 2016-03-28 김덕수 합성수지 피복용 부표의 제조방법
KR101526925B1 (ko) 2014-12-19 2015-06-10 주식회사 제이에스수지 친환경 부표용 보호필름의 제조를 위한 수지조성물 및 부표용 보호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560B1 (ko) 다중벽관을 이용한 친환경 부표
KR101599258B1 (ko) 친환경 부표
KR101908844B1 (ko) 복수의 내부 단위 부자를 이용한 부력체
KR20200131079A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102181543B1 (ko)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914B1 (ko) 발포성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101933490B1 (ko) 내경을 보강한 중공형 발포몸체 코팅 양식용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1965130B1 (ko) 부표
KR101914596B1 (ko) 발포 성형용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069200B1 (ko) 김 양식용 부구틀
KR101700777B1 (ko) 다중형태로 부력을 제공하는 부표
KR101743741B1 (ko) 튜브부를 갖는 부표 및 제조 방법
KR102199756B1 (ko) 발포성형 구형 부구를 코팅한 친환경 구형 부구와 그 제조방법
KR101990541B1 (ko) 부자
KR101705040B1 (ko)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
KR102325761B1 (ko) 설치와 교체가 용이한 결합형 친환경 부표
KR20220081713A (ko) 수산 양식용 부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50142A (ko) 공기주머니를 내장한 발포 성형체로 이루어진 친환경 부표와 그 제조방법
KR102429985B1 (ko) 양식용 그물망 고정을 위한 틀 보강구조와 그 제조방법
KR102196311B1 (ko) 열융착 고정 부표
KR101855815B1 (ko)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
KR102022358B1 (ko) 건축용 압출관
KR20150052567A (ko) 2중 벽관으로 구성된 부구 및 제조방법
KR101980836B1 (ko) 어로용 부구 및 그 제조용 간접가열 방식 접합장치
KR101832282B1 (ko) 합성수지 요철형 내부 보강 몸체를 감싸 성형하는 부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