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344B1 -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 Google Patents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344B1
KR101700344B1 KR1020150134789A KR20150134789A KR101700344B1 KR 101700344 B1 KR101700344 B1 KR 101700344B1 KR 1020150134789 A KR1020150134789 A KR 1020150134789A KR 20150134789 A KR20150134789 A KR 20150134789A KR 101700344 B1 KR101700344 B1 KR 10170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ir
walls
bottom plate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삼
이세환
정훈진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34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29C67/0085
    • B29C67/009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Abstract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는, 기본적인 편평도를 제공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필름 고정틀; 및 상기 필름 고정틀 상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되, 3차원 프린터 헤드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에서 분출되는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상기 필름 상에 적층되어 3차원 구조물에 제작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Film type safety bed for head of 3D printer}
본 발명은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에 관한 것이다.
카르테시안(Cartesian) 타입과 델타(Delta) 타입의 축을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적층방식을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바닥판(bed)으로부터 층층이 적층하여 레이어 단위(layer by layer)로 쌓아 올라가는 방식으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3D 프린터 헤드는 노즐과 같이 비교적 뾰족한(sharp) 구조물을 포함하는데, 이때 노즐 끝단과 바닥판 사이에 약 수백 마이크로미터 간격을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비 운영에 앞서 수동 조정(manual calibration)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장비에 익숙하지 않을 경우 헤드의 가장 하단에 위치한 노즐과 바닥판 사이의 미세한 간격 조정이 어려워 노들 또는 바닥판이 파손되고 장비에 큰 충격을 가하게 된다.
도 1은 기존 적층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수동 조정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노즐(10)과 바닥판(20) 사이를 수동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그 사이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바닥판(20)의 편평도가 미세하게 틀어져 있을 경우 헤드(5)가 바닥판(20) 위를 이동하다가 바닥판(20)과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에 노즐(10) 또는 바닥판(20)을 교환해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노즐은 재질과 내경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황동 재질의 비교적 저렴한 노즐도 있지만, 한화로 약 100만원 정도를 호가하는 초정밀 세라믹 노즐(Eser coperation, USA)과 같이 비싼 제품의 경우 노즐 손상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80663호 (2015.07.10. 공개) - 다방향 거동 노즐 및 기판이 장착된 3D프린팅 및 3D프린터
따라서, 본 발명은 3D 프린터용 헤드 또는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텐션(tension)이 유지된 필름이 바닥판 상에 놓여져 있어 수동 조정 과정에서의 실수에도 노즐과 접촉한 필름이 손상되기 때문에 비싼 노즐과 바닥판을 보호할 수 있고, 손상된 필름을 떼어낸 후 새 필름을 붙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교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본적인 편평도를 제공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필름 고정틀; 및 상기 필름 고정틀 상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되, 3차원 프린터 헤드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에서 분출되는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상기 필름 상에 적층되어 3차원 구조물이 제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 고정틀은 내부가 빈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필름 사이에 소정 높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4개 모서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벽체와;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정 바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을 향해 형성된 제1 나사산과 타단을 향해 형성된 제2 나사산의 나사산 방향이 반대이어서 상기 간격 조정 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상기 간격 조정 바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부착된 이후 상기 간격 조정 바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 사이의 간격이 넓혀짐으로써 소정 크기 이상의 텐션이 유지되게 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간격 조정 바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4개 모서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간격 조정 바와 상기 제2 간격 조정 바는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이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3D 프린터용 헤드 또는 장비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션이 유지된 필름이 바닥판 상에 놓여져 있어 수동 조정 과정에서의 실수에도 노즐과 접촉한 필름이 손상되기 때문에 비싼 노즐과 바닥판을 보호할 수 있고, 손상된 필름을 떼어낸 후 새 필름을 붙여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교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적층방식의 3D 프린터에서 수동 조정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의 단면도,
도 3은 기존의 플레이트형 베드와 비교한 필름형 안전 베드의 구조적 차이점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필름형 안전 베드를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 예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필름 고정틀 및 필름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에 포함되는 필름 고정틀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필름 고정틀을 이용하여 필름에 텐션을 유지시키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기존의 플레이트형 베드와 비교한 필름형 안전 베드의 구조적 차이점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필름형 안전 베드를 이용하는 경우의 사용 예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는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필름 고정틀 및 필름이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는 필름형 안전 베드(100), 바닥판(110), 필름 고정틀(120), 필름(130), 이격 공간(140), 프린터 헤드(5), 노즐(10), 플레이트형 베드(2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는 텐션을 가지는 필름이 바닥판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어 3차원 구조물의 베이스로서 기능하여 수동 조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노즐과의 접촉에도 필름만이 손상되어 노즐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100)는 바닥판(110), 필름 고정틀(120), 필름(1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예서 필름(130)은 3차원 모델링 재료가 프린팅되어 3차원 구조물이 제작되는 스테이지(stage)로서 기능한다.
바닥판(110)은 필름(130)이 스테이지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편평도를 제공하는 빌드 플랫폼이다.
바닥판(110)의 상면에는 필름(130)을 고정시키기 위한 필름 고정틀(120)이 설치된다. 필름 고정틀(120)은 내부가 빈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름 고정틀(120)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이 대표적이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필름 고정틀(120) 상에는 테이프 형식의 필름(130)이 부착된다. 필름(130)은 소정 크기 이상의 텐션이 유지되어 3차원 구조물 제작에 요구되는 편평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필름으로서 이용 가능한 테이프로는 3D 프린터용 3M테이프, 마스킹(Masking)테이프, 캡톤(Kapton)테이프, 양면테이프, 덕성테이프가 대표적으로 알려져있고 그 외에도 모두 장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테이프로 알려진 재료로는 PS 테이프, PET 테이프, 종이 테이프 외 이것들을 포함한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필름형 테이프일 수 있다.
바닥판(110)과 필름(130) 사이에는 필름 고정틀(120)에 의해 이격 공간(140)이 형성된다. 이격 공간(140)의 높이는 필름 고정틀(120)의 높이에 상응하게 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기존에는 하단에 노즐(10)이 설치된 프린터 헤드(5)의 하방에 단지 플레이트형 베드(20)가 놓여져 있어 플레이트형 베드(20) 상에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적층되어 3차원 구조물이 제작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 경우 전술한 것처럼 노즐 위치의 수동 조정 과정에서 노즐(10) 끝단이 플레이트형 베드(20)와 접촉하여 노즐(10) 혹은 플레이트형 베드(20)가 손상될 위험이 높다.
하지만,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100)의 경우 텐션이 유지되고 있는 필름(130) 상에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경우 필름(130)과 바닥판(110)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이격 공간(140)이 형성되어 있고, 필름(130)은 노즐(10)에 비해 강도가 높지 않아, 노즐 위치의 수동 조정 과정에서 노즐(10) 끝단이 필름(130)과 접촉하는 경우에도 필름(130)만이 손상될 뿐 노즐(10)에는 아무런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도 4 참조).
도 5를 참조하면, 출원인이 실제 제작한 필름 고정틀(120)의 프로토타입(prototype) 사진(도 5의 (a))과, 필름(130)을 부착시킨 모습의 사진(도 5의 (b))이 있다. 필름형 안전 베드(100)를 이용함으로써 노즐(10) 혹은 바닥판(110)의 파손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필름(130)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면 충분한 실험 결과를 얻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안전 베드에 포함되는 필름 고정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필름 고정틀을 이용하여 필름에 텐션을 유지시키는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는 필름 고정틀(200), 베이스 플레이트(200), 고정 벽체(220a, 220b), 이동 벽체(230a, 230b), 간격 조정 바(240), 가이드 바(250a, 250b)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고정틀은 필름형 안전 베드에 적용되며, 상부에 필름이 부착되면 이동 벽체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필름에 텐션을 가함으로써 소정 크기 이상의 텐션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고정틀(120)은 베이스 플레이트(200), 고정 벽체(220a, 220b), 이동 벽체(230a, 230b), 간격 조정 바(240)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가이드 바(250a, 25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필름형 안전 베드의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부분으로, 필름 고정틀(120)의 기본적인 골격을 이룬다.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4개 모서리 중에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한 쌍의 고정 벽체(220a, 220b)가 서로 마주보도록 직립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 벽체(220a, 220b) 사이의 공간에는 고정 벽체(220a, 220b)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 벽체(230a, 230b)가 상호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이동 벽체(230a, 230b)의 높이는 고정 벽체(220a, 220b)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고정 벽체(220a, 220b)와 이동 벽체(230a, 230b) 상에 부착되는 필름(130)에 대해 안정적인 지지대로서 기능한다.
간격 조정 바(240)는 길이가 긴 원통 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는 나사산(242a, 242b)이 형성되어 있다. 간격 조정 바(240)의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일단을 향해 형성된 제1 나사산(242a)과 타단을 향해 형성된 제2 나사산(242b)은 나사산 방향이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산(242a)에 나사 조립된 물체와 제2 나사산(242b)에 나사 조립된 물체는 간격 조정 바(240)이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벽체(230a, 230b)에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간격 조정 바(240)가 한 쌍의 이동 벽체(230a, 230b)에 대해 관통된다. 이 경우 제1 이동 벽체(230a)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의 내표면에는 제1 나사산(242a)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이동 벽체(230b)의 제2 관통홀의 내표면에는 제2 나사산(242b)에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이동 벽체(230a, 230b)가 간격 조정 바(240)에 나사 조립된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간격 조정 바(240)가 일 방향(A)으로 회전하면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간격 조정 바(240)가 타 방향(B)으로 회전하면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 상에 필름(130)을 부착시키는 경우, 간격 조정 바(24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 사이의 간격을 좁힌 이후(도 7의 (a) 참조) 필름(130)을 부착시킨 후 간격 조정 바(2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도 7의 (b) 참조) 필름(130)에 텐션을 가하여 필름(130)이 팽팽하게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 조정 바(240)의 끝단에는 핸들이 마련되어 있어, 수동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 고정틀(120)에는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250a, 250b)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바(250a, 250b)는 간격 조정 바(240)에 평행하도록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균형적인 간격 조정이 이루어지도록 간격 조정 바(240)를 기준으로 한 쌍의 가이드 바(250a, 250b)가 대칭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는 가이드 바(250a, 250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간격 조정 바(240)에 의해 제1 이동 벽체(230a)와 제2 이동 벽체(230b)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과정에서 제1 이동 벽체(230a) 및 제2 이동 벽체(230b)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호 평행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고정 벽체 대신에 한 쌍의 이동 벽체가 추가적으로 포함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된 한 쌍의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바 및 이동 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는 전술한 간격 조정 바(240) 및 가이드 바(250a, 250b)와는 그 높이를 달리 함으로써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필름 고정틀(120)이 XY 평면에 놓여 있다고 가정할 때, X축 방향으로 한 쌍의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여 필름에 X축 방향으로 텐션을 가해주고, Y축 방향으로도 다른 한 쌍의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여 필름에 Y축 방향으로도 텐션을 가해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5: 프린터 헤드 10: 노즐
20: 플레이트형 베드 100: 필름형 안전 베드
110: 바닥판 120: 필름 고정틀
130; 필름 140: 이격 공간
200: 필름 고정틀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a, 220b: 고정 벽체 230a, 230b: 이동 벽체
240: 간격 조정바 242a: 제1 나사산
242b: 제2 나사산 250a, 250b: 가이드 바

Claims (9)

  1. 기본적인 편평도를 제공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필름 고정틀; 및
    상기 필름 고정틀 상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되,
    3차원 프린터 헤드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에서 분출되는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상기 필름 상에 적층되어 3차원 구조물이 제작되도록 하며,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4개 모서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벽체와;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 조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틀은 내부가 빈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상기 바닥판과 상기 필름 사이에 소정 높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정 바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단을 향해 형성된 제1 나사산과 타단을 향해 형성된 제2 나사산의 나사산 방향이 반대이어서 상기 간격 조정 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간격 조정 바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상태에서 부착된 이후 상기 간격 조정 바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 사이의 간격이 넓혀짐으로써 소정 크기 이상의 텐션이 유지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한 쌍의 이동 벽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는 한 쌍이 마련되어 상기 간격 조정 바를 중심으로 대칭 구조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8. 기본적인 편평도를 제공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필름 고정틀; 및
    상기 필름 고정틀 상에 텐션이 유지되도록 부착되는 필름을 포함하되,
    3차원 프린터 헤드의 끝단에 설치된 노즐에서 분출되는 3차원 모델링 재료가 상기 필름 상에 적층되어 3차원 구조물이 제작되도록 하며,
    상기 필름 고정틀은,
    상기 바닥판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4개 모서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 사이의 공간에 상기 한 쌍의 고정 벽체와는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1 간격 조정 바와;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에 나사 조립되어 상기 한 쌍의 제2 이동 벽체의 간격을 조정하는 제2 간격 조정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격 조정 바와 상기 제2 간격 조정 바는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높이가 상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KR1020150134789A 2015-09-23 2015-09-23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KR10170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89A KR101700344B1 (ko) 2015-09-23 2015-09-23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789A KR101700344B1 (ko) 2015-09-23 2015-09-23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0344B1 true KR101700344B1 (ko) 2017-02-01

Family

ID=5810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789A KR101700344B1 (ko) 2015-09-23 2015-09-23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3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09A1 (ko) * 2022-01-25 2023-08-03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생체모방 제어로 조직구성을 위한 스마트 인쇄 베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77B1 (ko) * 2013-12-17 2014-05-16 (주)한성티앤아이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JP5632381B2 (ja) * 2008-10-30 2014-11-26 エムティーテ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付加製造装置および方法
US20150037527A1 (en) * 2013-07-30 2015-02-05 Ideal Jacobs Corporation Cover for a three-dimensional printer build surface
US20150080663A1 (en) 2013-09-13 2015-03-19 Alfred Cuschieri Device For Creating An Intercostal Transcutaneous Access To An, In Particular Endoscopic, Operating Fie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2381B2 (ja) * 2008-10-30 2014-11-26 エムティーティー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付加製造装置および方法
US20150037527A1 (en) * 2013-07-30 2015-02-05 Ideal Jacobs Corporation Cover for a three-dimensional printer build surface
US20150080663A1 (en) 2013-09-13 2015-03-19 Alfred Cuschieri Device For Creating An Intercostal Transcutaneous Access To An, In Particular Endoscopic, Operating Field
KR101395277B1 (ko) * 2013-12-17 2014-05-16 (주)한성티앤아이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209A1 (ko) * 2022-01-25 2023-08-03 주식회사 에코월드팜 생체모방 제어로 조직구성을 위한 스마트 인쇄 베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3366B1 (en) Rotational printing head module having muti-cartridge
CN105008872B (zh) 将黏性材料分配至基板上的方法及设备
EP3141345B1 (en) Modular and adjustable sliding base
EP3199328A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with platform lifting mechanism
KR101700344B1 (ko)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JP2008093651A (ja) ペースト塗布装置
JP6385652B2 (ja) スクリーンマスク
JP6688708B2 (ja) 3次元オブジェクトプリンタ
US7152971B2 (en) Positioning structure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138390A (ja) 印刷マスクの位置決め機構
JP5831005B2 (ja) プラテン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JP6240864B2 (ja) プレス加工装置
JP5881476B2 (ja) 部品トレイ
JP5996298B2 (ja) 部品実装装置
KR101791306B1 (ko) 영상 분석 스트레인 측정을 위한 스패클 패턴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인 측정 방법
KR102221694B1 (ko) 액적 토출 장치
US9834016B2 (en) Medium holder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KR20170080982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노즐
KR101444129B1 (ko) 연성회로기판 가공용 지그
US1111739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essing unit retaining method
JP6804108B2 (ja) 位置ずれ防止冶具及びプレス冶具
KR101457871B1 (ko) 테이프 재단용 금형
JP7283060B2 (ja) 固定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24338A (ja) 封止構造体の製造装置及び封止構造体の製造方法
KR102123023B1 (ko) 핫 엠보싱 장치의 인쇄 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