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262B1 - 라벨 시트 - Google Patents

라벨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262B1
KR101700262B1 KR1020140045206A KR20140045206A KR101700262B1 KR 101700262 B1 KR101700262 B1 KR 101700262B1 KR 1020140045206 A KR1020140045206 A KR 1020140045206A KR 20140045206 A KR20140045206 A KR 20140045206A KR 101700262 B1 KR101700262 B1 KR 10170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label
label sheet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9625A (ko
Inventor
김윤아
정승중
Original Assignee
김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아 filed Critical 김윤아
Priority to KR102014004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262B1/ko
Publication of KR2015011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2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pins, staple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는 이형지층, 이형지층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표지층을 포함하고, 접착층은 친수성 실리카(silica)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벨 시트{LABEL SHEET}
본 발명은 라벨 시트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장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라벨 시트에 관한 발명이다.
현재 삶의 패턴 가운데 두드러진 쇼핑의 한 방법으로 인터넷 주문과 같은 방법을 통한 손쉽고 편리한 쇼핑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주문한 상품의 배송과 식별을 위해 상품포장 표면에 라벨 시트를 부착하여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배송번호, 배송일자 등 다양한 배송관련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편리한 배송과 배송정보 확인을 위해서 사용되는 상품에 부착하는 라벨 시트는 일반인들이 인식하는 것 이상으로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일반적인 택배 라벨 시트는 상품의 포장에 부착되는 그라싱지, 주문내용, 상품배송정보 등이 기재되는 감열지로 구성되고 감열지와 그라싱지 사이는 접착제로 서로 부착된다. 다만 상품 배송시에 감열지는 그라싱지와 분리되어 박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박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라싱지 상부에 UV경화공정을 통해 UV코팅층이 형성된다.
도1은 종래기술인 스티커 라벨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커 라벨 시트는 전체적으로 4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4개의 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잡한 공정이 수행된다. 그라싱지의 표면에 UV코팅액을 바르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다시 접착제를 도포한 이후에 감열지를 그라싱지에 부착한다.
감열지에는 상품배송정보가 인쇄되어 있고, 그라싱지에도 배송을 위해 필요한 정보 등이 인쇄된다. 이러한 인쇄는 통상의 인쇄기술을 이용하여 인쇄할 수 있으며, 옵셋방식, 그라비어 방식이나 후렉스 인쇄방식을 이용하여 인쇄된다.
일반적으로 스티커 라벨 시트의 제조는 대량생산을 위해 제공되는 설비를 작동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는 스티커 라벨 시트의 제조특성상 하나의 라벨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의 단축이나 공정시간의 단축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실을 살펴보면 현재 스티커 라벨 시트의 거의 대부분에서 사용되는 그라싱지는 주로 외국에서 수입되는 펄프제품으로 전체 스티커 라벨에서 절반 이상의 가격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스티커 라벨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서 UV코팅공정은 전체 제조공정에서 투입되는 비용에서 2/3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공정시간 또한 UV조사에 따른 경화단계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전체공정대비 상당히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선행특허인 공개특허 제10-2012-0005895호는 이중 라벨 시트에 관한 발명으로서 이형지층 위에 실리콘을 도포하고, 제1인쇄부재 위에 수지코팅층을 도포하여 제2인쇄부지가 제1인쇄부재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별도의 코팅공정을 수반하고 있어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도 같이 상승하고 있다.
본 발명인 라벨 시트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공정에 의해 소요되는 비용과 제조시간을 줄이면서 종전과 같은 효과를 갖는 라벨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값비싼 원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용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단가가 현실화된 라벨 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는 이형지층, 이형지층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표지층을 포함하고, 접착층은 친수성 실리카(silica)를 포함한다.
여기서, 실리카는 0.5 ~ 1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5 ~ 0.85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실리카는 입자크기가 10 ~ 25nm일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접착수지로 아크릴계 수지 및 천연수지를 포함하며, 아크릴계 수지는 40 ~ 55 중량%, 천연수지는 20 ~ 3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접착층은 용제로서 에탄올과 이온교환수를 포함하며, 에탄올은 7 ~ 20 중량%, 이온교환수는 5 ~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천연수지는 콜라겐을 포함하며, 접착층은 0.1 ~ 1 중량%의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형지층은 그라싱지 또는 모조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에 의하면 제조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되는 원자재의 선택폭이 넓어져서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라벨 시트와 차이가 없는 저렴한 라벨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종래기술인 스티커 라벨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의 접착층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4는 변위에 따른 접착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5는 실리카 성분비에 따른 접합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아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는 이형지층(100), 이형지층(100)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층(200) 및 접착층(200)의 상부에 도포되는 표지층(300)을 포함하는 라벨 시트로서, 접착층(200)은 친수성 실리카(silica)를 포함한다.
이형지층(100)은 라벨 시트의 하부층을 구성하며, 이형지층(100)의 하면에는 배송상자 등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형지층(100)의 하면에 형성된 박리지(미도시) 등을 제거한 이후에 배송상자에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부착됨으로써 운송중에 라벨 시트의 분실위험이 없어진다. 이형지층(100)은 그라싱지 또는 모조지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200)은 친수성 실리카를 포함하며, 실리카는 0.5 ~ 1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5 ~ 0.85 중량%일 수 있다. 특히 접착층(200)은 접착수지로 아크릴계 수지 및 천연수지를 포함하며, 아크릴계 수지는 40 ~ 55 중량%, 천연수지는 20 ~ 33 중량%일 수 있다.
접착층(200)이 포함하는 친수성 실리카는 입자형태로 존재하며, 실록산(Si-O-Si) 결합을 주골격으로 한 망상구조로 되어 있고 표면에 많은 실란올(Si-OH)기를 포함한다.
접착층(200)은 용제로서 이온교환수(diwater)와 에탄올 또는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다이메틸 케톤(dimethyl ketone), 아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 아이소부틸 알콜(isobutyl alcohol), 노르말 부틸 알콜(normal butyl alcohol),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노르말 부틸 아세테이트(normal butyl acetate), 에틸 셀루솔브(ethyl cellusolve) 및 부틸 셀루솔브(butyl cellusolv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용제는 접착층(200) 전체 성분함량의 12 ~ 35 중량%일 수 있으며, 에탄올은 7 ~ 20 중량%, 이온교환수는 5 ~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200)의 용제는 접착제의 건조 및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접착층(200)의 점성의 정도를 결정한다. 또한 용제로서 에탄올은 라벨 시트의 표지층(100)이 박리되어 이형지층(300)과 분리될 때 공기중으로 재빠르게 휘발되고, 남아 있을 수 있는 끈적끈적한 정도인 택(tack)이 남아있지 않도록 한다.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또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일 수 있다.
이때,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광경화 가능한 다양한 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사용가능하고, 예를 들면, 1,2-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1,12-도데탄디올 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hydroxyl puivalic acid)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록시 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allyl)화 시클로헥실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fluorine) 등의 2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타)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ex. 이소시아네이트 단량체 및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반응물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는 광경화 가능한 다양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카도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이소시아네이트계 모노머와 폴리올이 중합반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폴리올은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계 화합물일 수 있다.
에폭시 아크릴레이트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페놀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메트)아크릴산 부가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는 다가 알코올의 다관능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카도계 아크릴레이트는 카도계 화합물, 디안하이드라이드 화합물, 디올 화합물, 디아크릴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반응시켜 광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가 부여된 화합물일 수 있다.
아크릴계 수지는 접착층(200)에 접착력을 제공하는 물질로서 접착제를 구성하는 주재료가 된다.
천연수지는 콜라겐을 포함하며, 접착층(200)은 0.1 ~ 1 중량%의 소포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콜라겐은 세 개의 폴리펩티드 사슬이 꼬여 있는 삼중나선형 구조로 특히 하이드로플롤린의 함량이 많은 단백질이다. 콜라겐의 아미노산 서열은 '글리신-프롤린-X '나 '글리신-X-하이드록시프롤린(X는 아미노산)'으로 주된 구성인 아미노산은 글리신, 하이드록시프롤린, 프롤린 등이다. 콜라겐은 아크릴계 수지의 접착강도를 조절한다. 소포제는 접착층(200) 내부의 기포발생을 억제시킴으로서 기포에 의한 접착공백을 제거한다.
정리하면 접착층(200)은 수지로서 아크릴계 수지와 천연수지를 포함하고, 용제 및 첨가제로서 실리카와 소포제를 포함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의 접착층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수성 실리카 입자가 접착층(200)에 분산되어 포함되어 있으며, 친수성 실리카의 특성상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와 결합하지 않은 상태로 접착층(200)에 잔존하게 된다. 박리가 개시된 경우 UV코팅층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친수성 실리카에 의해 접착층(200)은 이형지층(100)으로부터 표지층(300)을 손쉽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가 포함하는 친수성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10 ~ 25nm일 수 있고, 비표면적(specific surface area(BET))은 110±20m2/g 일 수 있다.
도2와 도3을 참고하여 친수성 실리카 입자가 접착층에 분산 포함됨으로 인하여 UV코팅층이 구비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형지층(100)으로부터 표지층(300)이 손쉽게 박리될 수 있도록 하는 실리카 입자의 역할에 대해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를 제작하기 위해 이형지층(100)과 표지층(300)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층(200)을 통해 부착할 경우 먼저 이형지층(100) 위에 접착층(200)이 도포된다. 이형지층(100) 위에 접착층(200)이 도포되면 접착층(200)의 주된 구성성분인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 일부는 이형지층(100) 표면에 흡수된다. 실리카 입자는 이형지층(100)의 표면에 흡수되는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이형지층(100) 표면으로의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의 흡수를 방해하고, 이형지층(100)으로 하여금 소정의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를 흡수한 이후 더 이상 흡수가 진행되지 않는 안정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실리카 입자의 접착층(200) 내의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는 하기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해 살펴본다.
표지층(300)은 일부 영역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적어도 둘 이상의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 표지층(300)은 종이 재질로서 사용 가능한 종이는 제한이 없으나 광택도, 평활도, 백색도 및 잉크 수리성이 뛰어나 선명하고 미려한 인쇄가 가능한 아트지(90g/㎡) 또는 열전사지 일 수 있다. 절취선은 공지의 재봉가공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지층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이 가능하여 표지층을 회수용 표지층 및 수취인 보관용 표지층으로 나눌 수 있다. 표지층의 상부에는 배송정보 등과 관련된 내용이 인쇄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는 접착층(200)에 소수성이 아크릴계 수지와 친수성 실리카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라벨 시트는 종래기술과 같이 UV코팅층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라벨 시트의 표지층(300)과 이형지층(100)은 변형우려가 없는 접착강도를 유지하고, 이형지층(100)으로부터 표지층(300)을 박리할 경우 표지층(300)의 변형이나 찢어짐 없이 박리가 가능하다.
이하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벨 시트가 포함하는 각 층의 접착강도와 박리시 끈적임의 정도인 택(tack)이 남는지, 고형분에 대해서 살펴본다.
<실험예>
본 발명인 라벨 시트는 이형지층으로 그라싱지를 사용하고, 표지층으로 열전사지를 사용하였고, 후렉스 인쇄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접착층 형성시 아나록스 150 ~ 180으로 제조되었다. 접착층의 조성은 아크릴계 수지 55wt%, 천연수지(콜라겐) 27wt%, 이온교환수(diwater) 10wt%, 에탄올 7wt%, 소포제 0.3wt%, 실리카 0.7wt%이다.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16nm이며, 실리카의 비표면적은 110±20m2/g이다. 더불어 본 실험예는 25℃에서 Peel Off Test를 수행하였다.
박리가 진행중인 표지층과 이형지층 사이의 각도는 90°이다. 일정한 너비의 유연한 표지층(열전사지)를 일정속도로 떼어내면서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한 후 측정된 하중을 strip의 너비로 나누어 peel strength로 환산한다.
<비교예>
종래 기술로서 라벨 시트는 이형지층으로 그라싱지를 사용하고 표지층으로 열전사지를 사용하였고, 실험예와 동일하게 후렉스 인쇄방식으로 제조되었으며, 접착층 형성시 아나록스 150 ~ 180으로 제조되었다. 그라싱지 상부표면 전체에 걸쳐 UV코팅액을 도포하고 UV처리하여 UV코팅층을 형성한다. 접착층의 조성으로 아크릴계 수지 55wt%, 천연수지(콜라겐) 27wt%, 이온교환수(diwater) 10wt%, 에탄올 7.7wt%, 소포제 0.3wt%이다. 실험예와 마찬가지로 25℃에서 Peel Off Test를 수행하였다.
도4는 변위에 따른 접착력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를 통해 획득한 그래프 데이터(1)는 소정변위까지는 선형적으로 접착력이 증가하다가 특정 임계변위(약 55μm)에서 박리가 시작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박리가 진행되었다. 또한 비교예를 통해 획득한 그래프 데이터(2)도 마찬가지로 임계변위(약 50μm)에서 박리가 시작되어 일정한 힘을 가하여 박리가 진행되었다. 위 그래프 데이터들(1, 2)을 종합하여 비교하면 본 발명과 같이 접착층에 실리카를 첨가한 실험예에 따른 데이터와 종래 기술인 UV코팅층을 구비한 경우의 비교예에 따른 데이터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즉 UV코팅층을 형성하지 않고 접착층에 실리카를 첨가하여 라벨 시트를 제작하더라도 종래 기술로서 사용되었던 라벨 시트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실험예 비교예
접합강도 0.21Kg/㎠ 0.20Kg/㎠
택(tack; 박리후 끈적임정도) 없음 없음
고형분(%) 41 39
표1의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면 실리카를 포함하는 접착층이 구비된 라벨 시트(본 발명)는 UV층을 포함하는 라벨 시트(종래기술)와 접합강도, 택, 고형분 측정결과 거의 유사한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5는 실리카 성분비에 따른 접합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층 내 실리카의 중량비(wt%)가 0.5 ~ 1.0인 경우 이형지층과 표지층 사이에 소정의 접합강도를 갖되 이형지층과 표지층 사이의 박리시에 유리한 강도를 갖는다. 여기서 박리시에 유리한 강도는 박리를 위해서 표지층의 일부분을 파지하고 외력을 가하더라도 표지층의 변형으로 인한 표지층의 꼬임현상(curl), 표지층의 찢김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박리될 수 있는 강도를 의미한다.
즉 종래에는 표지층과 이형지층의 박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표지층의 변형 등을 막기 위해서 이형지층 상면에 UV코팅층을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라벨 시트의 표지층은 앞선 실험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이형지층에 별도의 UV코팅층을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표지층의 변형 등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이형지층으로부터 박리가 가능하다.
또한 UV코팅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종래 그라싱지가 대부분이였던 이형지층을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모조지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5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접착층 내 실리카의 중량비(wt%)가 1.0wt%이상인 경우에는 이형지층과 표지층 사이의 접합강도가 급격하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접착층 내의 실리카는 접착층의 주성분인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와 결합력이 약해 실리카의 중량비가 증가할 경우 접착력이 현격하게 감소하게 되며, 이형지층과 표지층은 약한 외력에도 쉽게 박리가 될 수 있다.
접착층 내의 실리카 중량비는 0.65wt% ~ 0.85wt%이 바람직하고, 이때 실리카의 입자크기는 16nm이며, 실리카의 비표면적은 110±20m2/g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량비, 입자크기, 비표면적을 갖는 실리카를 통해 접착층은 종래 UV코팅층을 구비한 라벨 시트와 유사한 접착강도를 갖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선 실험예와 비교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UV코팅층을 구비한 라벨 시트와 성능상에서 차이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라벨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상에 UV코팅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공정단가 및 제조단가의 절감이 가능한 라벨 시트가 제공된다.
100 표지층
200 접착층
300 이형지층

Claims (8)

  1. 이형지층;
    상기 이형지층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표지층을 포함하는 라벨 시트로서,
    상기 접착층은 친수성 실리카(silica)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실리카는 상기 접착층 전체중량대비 0.65 ~ 0.85 중량%이며,
    상기 접착층은 접착수지로 아크릴계 수지 및 천연수지를 포함하며,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40 ~ 55 중량%, 상기 천연수지는 20 ~ 3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는 입자크기가 10 ~ 25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시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용제로서 에탄올과 이온교환수를 포함하며, 상기 에탄올은 7 ~ 20 중량%, 상기 이온교환수는 5 ~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수지는 콜라겐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0.1 ~ 1 중량%의 소포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층은 그라싱지 또는 모조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 시트.


KR1020140045206A 2014-04-16 2014-04-16 라벨 시트 KR10170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06A KR101700262B1 (ko) 2014-04-16 2014-04-16 라벨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06A KR101700262B1 (ko) 2014-04-16 2014-04-16 라벨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25A KR20150119625A (ko) 2015-10-26
KR101700262B1 true KR101700262B1 (ko) 2017-01-26

Family

ID=54428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206A KR101700262B1 (ko) 2014-04-16 2014-04-16 라벨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2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613B1 (ko) 2020-06-19 2021-11-03 김현종 택배용 라벨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910A1 (ko) * 2016-04-12 201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마킹 필름 및 다층 마킹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381394B1 (ko) * 2020-09-29 2022-03-30 주식회사 포스코 박판 Strip Bonding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44Y1 (ko) 2002-12-31 2003-03-28 민준기 해리성 라벨 구조
JP2009529089A (ja) * 2006-03-08 2009-08-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シリカナノ粒子を含有する感圧性接着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3780B2 (ja) * 1996-12-26 2009-05-13 株式会社日本触媒 無機分散安定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粒子の製法
JPH11161175A (ja) * 1997-11-25 1999-06-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水性インク記録用透明ラベルシー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44Y1 (ko) 2002-12-31 2003-03-28 민준기 해리성 라벨 구조
JP2009529089A (ja) * 2006-03-08 2009-08-13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シリカナノ粒子を含有する感圧性接着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613B1 (ko) 2020-06-19 2021-11-03 김현종 택배용 라벨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25A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3005B (zh) An active energy ray hardening agent composition for a plastic film or sheet
JP6011529B2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転写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50638A (ko) 내후성 적층 필름
JP7263414B2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KR101700262B1 (ko) 라벨 시트
CN102529492B (zh) 具有耐刮擦饰面的顶层的安全和/或贵重文件
KR101772479B1 (ko) 이형필름
CN108883649A (zh) 热转印片
JP5396090B2 (ja) 印刷用シート
US4775597A (en) Ultraviolet light curable compositions for application to porous substrates based on unsaturated polyesters reacted with amino alcohols
JP6613898B2 (ja) 空洞含有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22787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80099174A (ko) 전자선 경화된 표면처리층이 형성된 petg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09711A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필름
JP6992483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重合性接着剤および積層体
JP4932061B2 (ja) 機能性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JP6416176B2 (ja) 印刷可能な機能性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177600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印刷物
JP5144885B2 (ja) 耐熱性被覆剤およびこの被覆剤を用いた蓋材
CN111592853A (zh) 紫外光固化胶水的制备方法、应用方法及紫外光固化胶水
JP2004268374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EP4046793A1 (en) Transfer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melamine decorative panel
JP3996152B2 (ja) ハードコート転写箔
KR101314832B1 (ko) Eva 패턴층을 포함하는 하이그로시 데코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7177526A (ja) 積層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