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630B1 -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630B1
KR101699630B1 KR1020150174374A KR20150174374A KR101699630B1 KR 101699630 B1 KR101699630 B1 KR 101699630B1 KR 1020150174374 A KR1020150174374 A KR 1020150174374A KR 20150174374 A KR20150174374 A KR 20150174374A KR 101699630 B1 KR101699630 B1 KR 101699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oved
central
uni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경
Original Assignee
안원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원경 filed Critical 안원경
Priority to KR1020150174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47G1/04Multi-part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2001/16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거울이 전면부에 마련된 중앙 거울부;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앙 거울부의 바닥면이 결합되며, 상측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이 마련되고,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된 받침부; 상기 중앙 거울부의 상측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레일을 통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부의 사이의 공간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 거울부; 및 상기 중앙 거울부와 상기 측면 거울부의 전면부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거울이 하측으로 유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는 회전이 가능토록 마련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면, 사이의 공간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측면 거울부가 안전하게 보관되며, 이동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거울부 및 측면 거울부의 거울이 각각 하측으로 유동되면,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명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대상을 전체적으로 투사하게 되어 앉거나 누워서 운동하거나 발동작을 연습할 경우에 있어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Mirror moving device for sliding type door}
본 발명은 미닫이식 거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및 음향이 제공되는 중앙의 거울이 마련되며, 중앙의 거울 후면부에 보관되거나 이동됨으로써, 조명 및 음향이 제공되는 측면의 거울이 외부로 노출되며, 측면의 거울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물체나 사람의 얼굴 등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넓은 유리판에 수은과 같은 물질을 도포하여 만드는데, 최근 현대인들의 패션에 대한 개성과 욕구가 증가하여 작게는 손거울부터 크게는 전신거울까지 여러 종류의 거울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 중 전신거울은 연습실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사용자가 무용 및 운동 등과 같은 활동의 자세 또는 동작을 직접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한 의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공간의 벽면에 부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전신거울은 무용 및 운동 등과 같은 활동의 자세 또는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 실내공간의 벽면에 탈착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어 시공되기 때문에 설치장소의 변경이나 거울의 해체가 용이하지 않고, 전신거울을 사용하고 싶지 않을 때 전신거울의 이동이 어렵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기존의 전신거울은 단순히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 무용 및 운동 등과 같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이 없어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7904(2013. 07. 15. 등록)와 같이, 중앙거울의 양측에 거울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거울삽입부의 상.하단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측면거울이 거울삽입부의 내부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복수의 거울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측면거울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회전축이 마련되어 한 쌍의 측면거울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후면부에 복수의 옷걸이가 부착되어 옷을 걸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측면의 거울이 좌우 양측으로 가이드레일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펼쳐질 때, 한 쌍의 측면거울이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면, 한 쌍의 측면거울의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게 되며, 중앙의 거울과 한 쌍의 측면의 거울이 투사하는 상이 평면을 이룰 수 없어 사용자 또는 사물이 왜곡된 상태로 투사된다는 단점이 존재하며, 이 발명 역시 사용자가 복수의 거울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순한 기능만을 가지고 있다는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거울의 미사용시 거울의 보관 또는 이동이 가능하고, 단순히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순한 기능뿐 아니라 무용 및 운동 등과 같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선행문헌 0001 등록특허공보 10-12879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거울부가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받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보관되거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노출된 경우, 노출된 측면 거울부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중앙 거울부가 받침부의 상측의 둘레부로부터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보관된 경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받침부의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 거울부가 밀착된 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며, 노출된 경우, 중앙 거울부 및 측면 거울부가 모두 일직선상의 평면에 배치 가능한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노출된 경우, 중앙 거울부 및 측면 거울부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조명 및 음향이 제공되도록 하는 출력부의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각각 마련되도록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거울이 전면부에 마련된 중앙 거울부;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앙 거울부의 바닥면이 결합되며, 상측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이 마련되고,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된 받침부; 상기 중앙 거울부의 상측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레일을 통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부의 사이의 공간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 거울부; 및 상기 중앙 거울부와 상기 측면 거울부의 전면부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거울이 하측으로 유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거울부 및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의 후면부가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울을 지지하기 위한 거울부 본체; 상기 거울의 하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마련되는 거울 연결체; 상기 거울부 본체의 전면부의 하측에 결합되되, 개방된 상측이 너비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거울 연결체가 수용되는 프레임; 및 상기 거울 연결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거울이 상측으로 유동되는 최대 거리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의 절곡된 상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거울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 거울부의 하측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거울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둘레부 일단 또는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거울부는,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앙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중앙 거울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앙부로 이동되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의 좌측과 우측의 양 끝단과 접촉되는 상기 측면 거울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끝단이 절곡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유동에 의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상기 받침부의 중앙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중앙 거울부 및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토록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레일 양측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걸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하측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1 걸림 프레임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며,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회전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하측의 타단에 탈부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바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상측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의 양측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걸림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는 회전이 가능토록 마련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면, 사이의 공간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측면 거울부가 안전하게 보관되며, 이동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거울부 및 측면 거울부의 거울이 각각 하측으로 유동되면,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명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대상을 전체적으로 투사하게 되어 앉거나 누워서 운동하거나 발동작을 연습할 경우에 있어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거울부와 받침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가 레일 및 걸림 프레임과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에 노출된 측면 거울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측면 거울부가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받침부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보관되거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노출된 측면 거울부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이 가능토록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는 중앙 거울과 양측의 거울이 상기 중앙 거울의 후면부에 보관되거나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상기 중앙 거울과 상기 양측의 거울에서 조명 및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 거울부(100), 받침부(200), 측면 거울부(300), 출력부(400)를 포함한다.
중앙 거울부(100)는 받침부(200)의 상측에 마련되며, 전면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후술될 거울(110)이 결합되며, 후면부는 받침부(200)의 양측의 끝단으로 각각 이동되는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양 끝단과 밀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받침부(200)는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중앙 거울부(100)의 하측이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측의 중심부에는 측면 거울부(300)가 이동되도록 하는 후술될 제1 레일(230-1)이 마련되며,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후술될 제2 레일(230-2)이 상측에 결합되는 후술될 지지부재(250)가 구성된다.
따라서,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받침부(200)의 후술될 지지부재(250)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사이의 공간으로 측면 거울부(300)가 제1 레일(230-1) 및 후술될 제2 레일(230-2)을 통해 좌우로 각각 이동됨으로써, 상기 측면 거울부(300)는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토록 마련되며, 중앙 거울부(100)와 측면 거울부(300)이 일직선상의 평행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측면 거울부(300)는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후술될 지지부재(250)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되, 전면부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후술될 거울(310)이 결합되며, 후술될 제1 레일(230-1) 및 후술될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출력부(400)는 중앙 거울부(100)와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의 상측에 사용자에게 조명 및 음향을 제공하는 후술될 조명장치(410) 및 후술될 음향출력장치(420)가 마련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거울부와 받침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거울부(10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거울이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거울(110), 거울부 본체(120),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받침부(200)는 측면 거울부(300)가 좌우로 각각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가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측면 거울부(300)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판(210), 수용홈(220), 제1 레일(230-1), 후술될 제2 레일(230-2), 후술될 걸림 프레임(240), 지지부재(250)를 포함한다.
거울(110)은 거울부 본체(120)의 전면부에 결합되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며, 거울(110)이 하측으로 유동되면, 출력부(400)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거울 연결체(111), 걸림부재(112)가 마련된다.
거울 연결체(111)는 거울(110)의 하측과 걸림부재(112)의 사이에 마련되되, 거울(110)보다 얇은 판 형태로 거울(100)의 하측의 중심부와 일체화된 형태로 구성된다.
걸림부재(112)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거울(110)이 상측으로 유동되는 최대 거리를 초과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프레임(130)의 절곡된 상측에 걸리는 얇은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거울 연결체(111) 하측의 중심부에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
거울부 본체(120)는 전면부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거울(110)과 전면부의 하측에 프레임(130)이 결합되며, 후면부는 이동되는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와 맞닿게 된다.
프레임(130)은 거울부 본체(120)의 전면부의 하측에 결합되며, 거울(11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중앙 거울부(10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돌출부재(131,132)를 포함한다.
프레임(130)은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이 마련되되, 상측이 너비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거울 연결체(111)와 걸림부재(112)가 상측으로부터 내부공간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을 통해 설명했던 바와 같이, 거울부 본체(120)의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 되는 거울(110)이 상측으로 유동 되는 최대 거리를 초과하게 되면, 걸림부재(112)가 프레임(130)의 절곡된 상측에 걸림으로써, 거울(110)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재(131,132)는 프레임(130)의 하측에 결합되되,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마련되며,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재(131,132)는 프레임(130)의 하측에 마련되어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내부공간이 마련된 후술될 수용홈(220)에 각각 수용되면,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 또는 받침부(20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재(131,132)로 도시하였으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재 또는 더 많은 갯수의 돌출부재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부(200)의 상측의 중심부에 형성된 수용홈(220)의 갯수 또한 돌출부재의 갯수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서부터 상측의 중심부에는 중앙 거울부(100)의 돌출부재(131,132)가 수용되면 상측의 둘레부 또는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중앙 거울부(100)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수용홈(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는 측면 거울부(300)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레일(230-1)이 구성된다.
또한,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의 수용홈(220)을 통해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측면 거울부(300)가 제1 레일(230-1) 및 후술될 제2 레일(230-2)을 통해 좌우로 각각 이동되어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밀착된 상태가 되면,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 측면 거울부(300)의 후면부를 지지하게 되어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함께 측면 거울부(300)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하며, 중앙 거울부(100) 및 측면 거울부(300)의 모든 투사면이 일직선상의 평면에 마련되도록 하기 위해 지지부재(250)가 구성된다.
수용홈(220)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형성되되, 중앙 거울부(100)가 결합되어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 또는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중앙 거울부(100)의 돌출부재(131,13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홈(220)은 돌출부재(131,132)가 내부공간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여 유동에 의해 돌출부재(131,13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된 상태로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 또는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재(131,132)와 수용홈(220)이 끼움 결합되는 구성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돌출부재(131,132)의 양측에 미도시된 볼트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볼트부재가 삽입되도록 수용홈(220)의 내측에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길게 형성된 미도시된 체결홈이 마련된다.
따라서, 돌출부재(131,132)와 수용홈(220)가 서로 볼트결합 됨에 따라, 중앙 거울부(100)가 수용홈(220)에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 견고해지는 것이다.
제1 레일(230-1)은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마련되되, 후술될 제2 레일(230-2)과 함께 측면 거울부(300)가 받침판(210)의 양측의 끝단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측이 절곡되며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마련된다.
제1 레일(230-1)과 후술될 제2 레일(230-2)을 통해 측면 거울부(300)가 이동되는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지지부재(250)는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되, 측면 거울부(300)가 제1 레일(230-1)과 후술될 제2 레일(230-2)의 중심부로 이동되며, 중앙 거울부(100)가 수용홈(220)을 통해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어 고정되면,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지지부재(250)의 전면부가 각각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측면 거울부(300)가 안전하게 보관되도록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가 레일 및 걸림 프레임과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200)는 측면 거울부(300)가 받침판(210)의 양측의 끝단으로 이동되며, 양측의 끝단으로 이동된 측면 거울부(300)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해, 받침판(210), 수용홈(220), 제1 레일(230-1), 제2 레일(230-2), 제1 걸림 프레임(240-1), 제2 걸림 프레임(240-2), 지지부재(2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측면 거울부(300)는 받침부(200)의 제1 레일(230-1)과 제2 레일(230-2)을 통해 받침판(210)의 양측의 끝단으로 각각 이동되면, 이동된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회전축(321-1,321-2), 제2 회전축(331-1,331-2), 바퀴부재(322-1,332-2)를 포함한다.
받침부(200)는 제1 레일(230-1)이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마련되며, 개방된 상측이 너비방향으로 절곡되되,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측면 거울부(300)의 하측의 일단에 마련된 제1 회전축(321-1,321-2)이 개방된 상측으로부터 제1 레일(230-1)의 내부에 수용되면, 받침판(210)의 양측의 끝단으로 측면 거울부(300)가 각각 이동된다.
그리고 제2 레일(230-2)이 지지부재(250)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방된 하측이 너비방향으로 절곡되되,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측면 거울부(300)의 상측의 일단에 마련된 제2 회전축(331-1,331-2)이 개방된 하측으로부터 제2 레일(230-2)의 내부에 수용되면, 받침판(210)의 양측의 끝단으로 측면 거울부(300)가 각각 이동된다.
제1 걸림 프레임(240-1)과 제2 걸림 프레임(240-2)은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의 양측의 끝단에 각각 마련되며, 제1 회전축(321-1,321-2)과 제2 회전축(331-1,331-2)을 통해 이동되는 측면 거울부(30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측면 거울부(300)는 제1 회전축(321-1,321-2)이 하측의 일단에 각각 마련되어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의 내부 수용됨으로써,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 또는 양측의 끝단으로 이동된다.
즉, 측면 거울부(300)가 제1 걸림 프레임(240-1)과 제2 걸림 프레임(240-2)의 측으로 이동되면, 제1 회전축(321-1,321-2)과 제2 회전축(331-1,331-2)을 통해 측면 거울부(300)는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측면 거울부(300)는 제1 회전축(321-1,321-2)과 제2 회전축(331-1,331-2)을 통해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하측의 타단에 탈부착되는 별도의 바퀴부재(322-1,322-2)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측면 거울부(300)는 중앙 거울부(100)에 포함되는 구성인 거울(110), 거울 연결체(111), 걸림부재(112), 거울부 본체(120), 프레임(130)과 동일하게 각각 거울(310-1,310-2), 미도시된 거울 연결체(311-1,311-2), 미도시된 걸림부재(312-1,312-2), 거울부 본체(320-1,320-2), 프레임(330-1,330-2)로 구성된다.
다만, 중앙 거울부(100)의 거울부 본체(120)는 사각형의 얇은 판 형태인 반면에 측면 거울부(300)의 거울부 본체(320-1,320-2)는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가까운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분이 각각 절곡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제1 회전축(321-1,321-2) 및 제2 회전축(331-1,331-2)이 거울부 본체(320-1,320-2)의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가까운 좌측 또는 우측의 일단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고,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의 양측의 끝단인 제1 걸림 프레임(240-1)과 제2 걸림 프레임(240-2)까지 각각 이동되며,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면,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 좌측과 우측의 양끝단이 각각 측면 거울부(300)의 절곡된 좌측 또는 우측의 일부분에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가 측면 거울부(300)에 걸리는 형태가 되어 제1 걸림 프레임(240-1)과 제2 걸림 프레임(240-2)의 측으로 이동된 측면 거울부(300)가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제1 레일(230-1)과 제2 레일(230-2)의 중심부로 각각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며, 측면 거울부(300)가 고정된 상태에서도 제1 회전축(321-1,321-2) 및 제2 회전축(331-1,331-2)을 통해 회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부(400)는 중앙 거울부(100)과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중앙 거울부(100)의 거울(110) 및 측면 거울부(300)의 거울(310-1,310-2)이 길이방향의 하측으로 유동되면, 조명 및 음향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조명장치(410), 음향출력장치(42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410)는 중앙 거울부(100) 및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면서도 조명을 제공 받게 됨으로써, 장치의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며, 사용자의 운동, 무용, 착의 등의 활동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음향출력장치(420)는 조명장치(410)와 마찬가지로 중앙 거울부(100) 및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의 상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면서도 음향을 제공 받게 됨으로써, 장치의 공간활용이 극대화되며, 사용자의 운동, 무용, 착의 등의 활동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거울부(100)는 받침부(200)의 받침판(210)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로 후면부가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와 말착되며, 측면 거울부(300)의 후면부가 지지부재(250)의 전면부와 밀착된 상태가 되어 측면 거울부(300)가 안전하게 보관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거울부(100)는 돌출부재(131,132)를 통해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이동되어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중앙 거울부(100)가 마련되며, 받침부(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는 지지부재(250)가 마련됨으로써, 측면 거울부(300)는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에 해당되는 거울부 본체(120)의 후면부와 지지부재(250)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어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한 것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부(210)의 상측의 중심부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측면 거울부(300)가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로부터 밀착되지 않게 되어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2) 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각각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중앙 거울부(100)에 마련되는 거울부 본체(120) 후면부 좌측과 우측의 양끝단이 측면 거울부(300)의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에 가까운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절곡된 일부분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측면 거울부(300)가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2) 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각각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거울부(300)가 일정 거리만큼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2) 측으로 각각 이동되면,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부(20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부(20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어 측면 거울부(300)의 전면부에 밀착되어 측면 거울부(300)가 유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중앙 거울부(100) 및 측면 거울부(300)의 모든 투사면이 일직선상의 평면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수용홈(220)을 통해 이동되며, 후면부 좌측과 우측의 양끝단이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절곡된 일부분에 각각 밀착되어 측면 거울부(300)가 고정된다.
그리고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300)가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지지부재(250)의 전면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의 좌측과 우측의 양 끝단과 측면 거울부(300)의 절곡된 부분이 서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중앙 거울부(100) 및 측면 거울부(300)의 모든 투사면이 일직선상의 평면에 마련되어 거울상의 왜곡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7c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300)가 중앙거울부(100)의 후면부의 상측과 하측의 양끝단과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밀착 고정된 중앙 거울부 본체(100)에 마련되는 거울부 본체(120)와 측면 거울부(300)의 후면부의 측면이 서로 걸쇠걸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에 노출된 측면 거울부가 회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거울부(300)는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사용자가 측면 거울부(300)를 파지하여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거울부(300)가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2) 측으로 각각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측면 거울부(300)의 후면부인 거울부 본체(320-1,320-2)의 상측과 하측의 일단에 제1 회전축(321-1,321-2) 및 제2 회전축(331-1,331-2)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측면 거울부(300)를 파지하여 원하는 만큼 압력을 가하게 되면, 측면 거울부(300)가 각각 회전되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측면 거울부(300)는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평행방향 또는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슬라이딩이 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8b는 도 7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측면 거울부(300)가 일정 거리만큼 받침판(210)의 외측으로 각각 이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해,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측면 거울부(300)가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2) 측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동되며, 중앙 거울부(100)가 받침판(210)의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으로부터 받침판(210)의 상측의 중심부로 수용홈(220)을 통해 이동되면, 중앙 거울부(100)에 마련되는 거울부 본체(120)의 후면부 좌측과 우측의 양끝단이 측면 거울부(3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각각 절곡된 일부분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유동에 의해 측면 거울부(300)가 중앙 거울부(100)의 후면부와 지지부재(250)의 전면부의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도 7c에 도시된 바와 다르게, 측면 거울부(300)가 제1 회전축(321-1,321-2) 및 제2 회전축(331-1,331-2)을 통해 회전되는 방향은 측면 거울부(300)가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과 평행한 평행방향 또는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을 통해 이동되는 방향을 가로지르는 수직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를 위해, 제1 걸림 프레임(240-1) 및 제2 걸림 프레임(240-1)이 제1 레일(230-1) 및 제2 레일(230-2)의 양측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8b에서는 제2 레일(230-2)과 제2 걸림 프레임(240-2)는 측면 거울부(300)가 각각 이동되는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미도시하였으나, 실질적으로는 지지부재(250)의 전면부의 상측에 제2 레일(230-2)이 결합되되, 제2 레일(230-2)의 양측의 끝단에 제2 걸림 프레임(240-2)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측면 거울부(300)의 상측의 일단에 결합된 제2 회전축(331-1,331-2)를 통해 측면 거울부(300)가 각각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의해,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외부로 노출된 측면 거울부는 회전이 가능토록 마련되어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와 지지부재의 전면부 사이의 공간에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면, 사이의 공간에 밀착된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측면 거울부가 안전하게 보관되며, 이동이 간편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중앙 거울부 및 측면 거울부의 거울이 각각 하측으로 유동되면,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조명과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대상을 전체적으로 투사하게 되어 앉거나 누워서 운동하거나 발동작을 연습할 경우에 있어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방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중앙 거울부 110: 거울
111: 거울 연결체 112: 걸림부재
120: 거울부 본체 130: 프레임
131: 돌출부재 132: 돌출부재
200: 받침부 210: 받침판
220-1,220-2: 수용홈 230-1: 제1 레일
230-2: 제2 레일 240-1: 제1 걸림 프레임
240-2: 제2 걸림 프레임 250: 지지부재
300-1,300-2: 측면 거울부 310: 거울
320-1,320-2: 거울부 본체 321-1,321-2: 제1 회전축
330-1,330-2: 프레임 331-1,331-2: 제2 회전축
332-1,332-2: 바퀴부재 400: 출력부
410: 조명장치 420: 음향출력장치

Claims (7)

  1.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는 거울이 전면부에 마련된 중앙 거울부;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앙 거울부의 바닥면이 결합되며, 상측의 중심부에는 제1 레일이 마련되고, 상측의 둘레부의 타단에는 길이방향의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부재가 마련된 받침부;
    상기 중앙 거울부의 상측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레일을 통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 및 상기 지지부재의 전면부의 사이의 공간에 보관되거나 외부로 노출되는 측면 거울부; 및
    상기 중앙 거울부와 상기 측면 거울부의 전면부의 상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거울이 하측으로 유동되면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장치 및 음향출력장치가 구성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거울부 및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의 후면부가 전면부에 결합되며, 상기 거울을 지지하기 위한 거울부 본체;
    상기 거울의 하측에 일체화된 형태로 마련되는 거울 연결체;
    상기 거울부 본체의 전면부의 하측에 결합되되, 개방된 상측이 너비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거울 연결체가 수용되는 프레임; 및
    상기 거울 연결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거울이 상측으로 유동되는 최대 거리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의 절곡된 상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거울이 외부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측의 둘레부의 일단에 마련되되, 상기 중앙 거울부의 하측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거울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둘레부 일단 또는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심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거울부는,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앙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중앙 거울부가 상기 받침부의 상측의 중앙부로 이동되면, 상기 중앙 거울부의 후면부의 좌측과 우측의 양 끝단과 접촉되는 상기 측면 거울부의 좌측 또는 우측의 끝단이 절곡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유동에 의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상기 받침부의 중앙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중앙 거울부 및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일직선상에 배치 가능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제1 레일 양측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1 걸림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하측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1 걸림 프레임을 통해 이동되도록 하며, 완전히 외부로 노출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제1 회전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하측의 타단에 탈부착되며, 상기 제1 회전축을 통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바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거울부는,
    상기 거울부 본체의 상측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회전축이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측면 거울부가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제2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의 양측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어 이동된 상기 측면 거울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제2 걸림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KR1020150174374A 2015-12-08 2015-12-08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KR101699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4A KR101699630B1 (ko) 2015-12-08 2015-12-08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374A KR101699630B1 (ko) 2015-12-08 2015-12-08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630B1 true KR101699630B1 (ko) 2017-01-24

Family

ID=5799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374A KR101699630B1 (ko) 2015-12-08 2015-12-08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01Y1 (ko) * 2019-06-27 2020-05-07 신현호 문걸이용 거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912U (ko) * 1980-09-29 1981-05-20
JPS61174443U (ko) * 1985-04-22 1986-10-30
JP2004121494A (ja) * 2002-10-01 2004-04-22 Mitsuharu Sakaguchi 鏡付き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および鏡部材
KR101287904B1 (ko) 2013-03-22 2013-07-24 제현승 옷걸이 일체형 거울
JP2013255688A (ja) * 2012-06-13 2013-12-26 Panasonic Corp ミラーキャビネ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8912U (ko) * 1980-09-29 1981-05-20
JPS61174443U (ko) * 1985-04-22 1986-10-30
JP2004121494A (ja) * 2002-10-01 2004-04-22 Mitsuharu Sakaguchi 鏡付き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および鏡部材
JP2013255688A (ja) * 2012-06-13 2013-12-26 Panasonic Corp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101287904B1 (ko) 2013-03-22 2013-07-24 제현승 옷걸이 일체형 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601Y1 (ko) * 2019-06-27 2020-05-07 신현호 문걸이용 거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3746S1 (en) Drinking glass assembly
USD869463S1 (en) Home assistant device
KR101762132B1 (ko) 플렉시블 힌지 링크 장치
USD878451S1 (en) Housing for projectors
CN105372911B (zh) 光学组件调整装置及使用其的投影机
US8893730B2 (en) Case
JP2007086756A (ja) ヒンジ装置
KR101699630B1 (ko) 미닫이식 거울 이동장치
JP2010238580A (ja) 化粧枠および埋込型照明器具
JPWO2017002177A1 (ja) 携帯端末類用回転端子装置及び電気スタンド
KR101762131B1 (ko) 플렉시블 힌지 장치
USD829077S1 (en) Photo frame knob
US10136525B2 (en) Display device
US20210181608A1 (en) Supporting mechanism with a rotating function and related camera apparatus
US7025490B1 (en) Error-proof mounting assembly for twinkle light set to prevent mounting of a light bulb holder into an incorrect socket
CN210372993U (zh) 可调整的照明灯具
ATE457076T1 (de) Bewegungsmelder mit montagesockel-unterteil und montagesockel-abdeckung
TW201516625A (zh) 具有轉動定位功能的電子裝置
US9677744B1 (en) Component housing band in luminaires
JP2016202667A (ja) テーブルの脚部構造
TWI386581B (zh) 支架
US8591080B2 (en) Lamp
US7597366B2 (en) Clamp mechanism
JP2007120106A (ja) 引戸の揺れ止め防止具
EP2877777B1 (en) Recessed lighting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