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489B1 -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489B1
KR101699489B1 KR1020150141039A KR20150141039A KR101699489B1 KR 101699489 B1 KR101699489 B1 KR 101699489B1 KR 1020150141039 A KR1020150141039 A KR 1020150141039A KR 20150141039 A KR20150141039 A KR 20150141039A KR 101699489 B1 KR101699489 B1 KR 101699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pipe
elastic
joint assembly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성구
Original Assignee
심성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성구 filed Critical 심성구
Priority to KR102015014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 F16L27/107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 F16L27/11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comprising a flexible connection only, e.g. for damping vibrations the ends of the pipe being interconnected by a flexible sleeve the sleeve having the form of a bellows with multiple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1/00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 F16L51/02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 F16L51/025Expansion-compensation arrangements for pipe-lines making use of bellows or an expansible folded or corrugated tube with several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8/00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 F16L58/02Protection of pipes or pipe fittings against corrosion or incrustation by means of internal or external coatings
    • F16L58/04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F16L58/08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by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연결배관과,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연결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탄성배관과, 상기 제1 연결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된 제1 내부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Expansion joint asse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는 배관 사이에 배치되어 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는 배관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온도, 압력 등으로 인하여 배관이 변형되거나 움직일 때, 지반의 침하 또는 변형이 올 때 배관에 가해지는 일부의 힘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는, 상, 하수도관, 산업용배관, 농업용수용 배관, 각종 건물 내의 냉,온수관, 또는 유체의 공급이 필수적인 각종 기계장치 내에 구비되는 각종 배관은 주변 여건, 각종 설계 상황 등에 따라 배관의 단부들 사이를 기밀하게 밀봉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되는 배관의 단부들 사이의 밀봉성을 확복함과 더불어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배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광용 조인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 연결배관과,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연결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탄성배관과, 상기 제1 연결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된 제1 내부식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상기 탄성배관은 경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배관의 경도는 상기 제1 연결배관의 경도보다 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부식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배관을 차폐하도록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배관의 주름 중 인입된 외관 부분에 설치되는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배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연결배관의 내면에 설치되는 제2 내부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는 부식에 강하고, 수명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의 일부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의 일부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제1 내부식부(130), 제2 연결배관(140), 커버(150), 링(160), 제1 고정브라켓(171), 제2 고정브라켓(172), 연결부재(173) 및 제2 내부식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배관(1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은 상기 외부 배관과 용접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배관(110)은 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배관(120)은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배관(120)은 외면에 주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내측으로 인입되는 부분이 교번하여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배관(120)은 길이 방향으로 상기와 같은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배관(120)은 내부의 압력이 급격히 변하거나 내부의 온도가 가변,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등과 같이 외부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즉, 탄성배관(120)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주름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압축력이 가해지는 경우 주름 사이의 간격이 좁혀짐으로써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탄성배관(120)은 제1 연결배관(110) 및 제2 연결배관(140) 중 적어도 하나의 경도와 상이한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배관(120)은 제1 연결배관(110) 및 제2 연결배관(140) 중 적어도 하나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배관(120)은 수분에 대하여 내부식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성배관(120)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배관(120)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연결배관(110) 및 제2 연결배관(140) 중 적어도 하나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물질이면서 내부식성을 갖는 물질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성배관(120)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부식부(130)는 제1 연결배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는 제1 연결배관(110)의 내면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다.
제1 내부식부(130)는 수분에 대해서 내부식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부식부(130)는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는 상기의 물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식성을 갖는 모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식부(130)의 외주면은 제1 연결배관(1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의 외주면과 제1 연결배관(110)의 내주면은 점 용접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부식부(130)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의 개소에 용접을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내부식부(130)와 제1 연결배관(110)이 용접을 통하여 결합하는 부위의 제1 내부식부(130)의 테두리 영역을 그라인딩함으로써 제1 내부식부(130)의 내면과 제1 연결배관(110)의 내면이 형성하는 단차를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배관(110)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가 제1 내부식부(130)에 힘을 가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은 탄성배관(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배관(140)은 탄성배관(120)을 기준으로 제1 연결배관(1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연결배관(11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 및 탄성배관(120)의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150)는 제2 연결배관(140)과 탄성배관(120)이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150)는 별도로 형성되어 제1 연결배관(110) 또는 제2 연결배관(14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 또는 제2 연결배관(14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150)가 제1 연결배관(110)과 탄성배관(120)의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에 용접 등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배관(110)으로부터 탄성배관(1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150)가 제1 연결배관(110)의 표면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커버(150)는 탄성배관(120)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배관(120)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커버(150)는 탄성배관(120)의 주름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탄성배관(120)의 주름에 이물질이 낌으로써 탄성배관(120)의 탄성변형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50)는 제1 연결배관(110)의 표면에 결합하는 제1 커버바디부(151)와, 제1 커버바디부(151)로부터 제1 커버(150)의 외주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커버바디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커버바디부(152)는 탄성배관(12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탄성배관(1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150)에는 제2 연결배관(140)과 탄성배관(120)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이 부분에는 별도의 가림막(18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림막(180)은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180)은 커버(150) 및 제2 연결배관(150) 사이에 만곡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즉, 가림막(180)은 상기 커버(150)가 개구된 부분의 간격보다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림막(18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150)의 개구된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이때, 가림막(180)은 외부의 수분이나 이물질이 커버(150)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연갤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2 연결배관(140)을 부식시키거나 탄성배관(120)의 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탄성배관(120)의 주름에는 링(1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링(160)은 탄성배관(120) 중 인입되도록 형성된 부분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160)은 탄성배관(120) 내부의 압력으로 인하여 탄성배관(1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은 각각 제1 연결배관(110) 및 제2 연결배관(1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은 각각 제1 연결배관(110)의 외면 및 제2 연결배관(140)의 외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은 각각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 고정브라켓(171)과 복수개의 제2 고정브라켓(172)은 각각 제1 연결배관(110)의 외주면 및 제2 연결배관(140)의 외주면으로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재(173)는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73)는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73)는 제1 고정브라켓(171)과 제2 고정브라켓(172)에 각각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탄성배관(12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탄성배관(120)이 신축하는 경우 연결부재(173)의 길이가 어느 정도 일정한 길이를 유지함으로써 탄성배관(120)이 과도하게 신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내부식부(190)는 제2 연결배관(140)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내부식부(19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내부식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및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2 연결배관(140)은 서로 다양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다시 탄성배관(120)에 제1 연결배관(110) 및 탄성배관(120)이 연결되며, 탄성배관(120)에 제2 연결배관(140)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2 연결배관(14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제2 연결배관(140), 탄성배관(120) 및 제1 연결배관(11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1 연결배관(11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2 연결배관(140)의 연결과 관련하여서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제1 연결배관(110)과 탄성배관(120)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및 제2 연결배관(140)이 선택되어 배열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제2 연결배관(140), 탄성배관(120) 및 제1 연결배관(110)이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의 조립 방법을 살펴보면,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의 양 측면에는 외부 배관(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배관에는 내부에 물, 기름 등이 유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외부 배관에는 물이 유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부 배관이 연결되는 경우 제1 연결배관(110)과 상기 외부 배관은 용접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배관을 통하여 유동하는 물은 제1 연결배관(110), 탄성배관(120), 제2 연결배관(140), 탄성배관(120) 및 제1 연결배관(110)을 순차적으로 이동하여 다른 상기 외부 배관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제1 연결배관(110)과 제2 연결배관(140)은 수분 및 공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 및 제2 연결배관(140)의 재질이 철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분과 공기로 인하여 녹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연결배관(110)의 내부 및 제2 연결배관(140)의 내부에 발생한 녹은 물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배관을 통과한 물이 식수 등으로 공급되거나 외부 장치 등에 공급되는 경우 녹으로 인하여 발생한 이물질이 섞여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제1 내부식부(130) 및 제2 내부식부(190)가 상기와 같이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부식부(130) 및 제2 내부식부(190)는 수분에 대해서 내부식성의 물질로 형성됨으로써 제1 연결배관(110)과 제2 연결배관(140) 내부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온도 및 압력 변화에 대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상기 외부 배관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외부 배관에서 공급되는 물이나 기름 등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는 경우 탄성배관(120)의 인장력으로 인해 길이가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탄성배관(120)의 주름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으며, 외부 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탄성배관(120)의 주름 사이의 간격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배관에서 공급되는 압력이 설계 압력보다 커지는 경우 탄성배관(120)의 주름 사이의 간격은 늘어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외부 배관의 길이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배관(120)의 주름 사이의 간격이 가변함으로써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연결부재(173)는 탄성배관(120)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173)는 탄성배관(120)의 주름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어져 탄성배관(120)의 주름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외부의 힘이나 내부의 압력변화, 온도 변화 등에 따라 발생하는 변형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외부 배관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상기 외부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제1 내부식부(130)와 제2 내부식부(190)를 구비함으로써 수분 등으로 인하여 녹이 발생하여 배관 내부에 이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제1 연결배관(110)과 제2 연결배관(140)에 각각 제1 내부식부(130)와 제2 내부식부(190)를 용접을 통하여 설치함으로써 제1 연결배관(110)과 제2 연결배관(14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100)는 제1 내부식부(130)와 제2 내부식부(190)를 용접을 통하여 제1 연결배관(110)과 제2 연결배관(140)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는 제1 연결배관(110A), 탄성배관(120A), 제1 내부식부(130A), 제2 연결배관(140A), 커버(150A), 링(160A), 제1 고정브라켓(171A), 제2 고정브라켓(172A), 연결부재(173A) 및 제2 내부식부(190A)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배관(120A), 제1 내부식부(130A), 커버(150A), 링(160A), 제1 고정브라켓(171A), 제2 고정브라켓(172A), 연결부재(173A)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110A)은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 및 제1 플린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1 연결배관(110A)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플린지(112A)는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린지(112A)는 다른 배관과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를 연결시키도록 볼트 등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린지(112A)의 단면적은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플린지(112A)는 다른 배관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다른 배관과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A)은 탄성배관(120A)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A), 탄성배관(120A) 및 제2 연결배관(140A)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A)은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A) 및 제2 플린지(14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A) 및 제2 플린지(142A)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 및 제1 플린지(112A)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의 제작 및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제1 연결배관(110A), 탄성배관(120A) 및 제2 연결배관(140A)을 일체로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의 내부에는 제1 내부식부(130A)를 설치하고,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A)의 내부에는 제2 내부식부(190A)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A)와 제2 내부식부(190A)는 용접을 통하여 각각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A) 및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가 제작되면, 다른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를 배관 사이에 배치한 후 제1 플린지(112A) 및 제2 플린지(142A)를 통하여 배관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커버(150A)는 탄성배관(120A)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구된 커버(150A)의 일단을 가림막(180A)을 통하여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링(160A)은 탄성배관(120A)의 인입된 부분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 내부로 액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는 경우 제1 내부식부(130A) 및 제2 내부식부(190A)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배관과 배관용 시축이음 어셈블리(100A)의 연결되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A)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는 제1 연결배관(110B), 탄성배관(120B), 제1 내부식부(130B), 제2 연결배관(140B), 커버(150B), 링(160B), 제1 고정브라켓(171B), 제2 고정브라켓(172B) 및 연결부재(173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배관(120B), 제1 내부식부(130B), 커버(150B), 링(160B), 제1 고정브라켓(171B), 제2 고정브라켓(172B), 연결부재(173B)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110B)은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B)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연결배관(110B)은 한쌍으로 형성되어 제2 연결배관(140B)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배관(110B)은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B)와 제1 플린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B)와 제1 플린지(112B)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연결배관(140B)은 한쌍의 제1 연결배관(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배관(140B)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110B)과 제2 연결배관(140B) 사이에는 탄성배관(120B)이 배치되어 제1 연결배관(110B)과 제2 연결배관(140B)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의 제작 및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제1 연결배관(110B), 탄성배관(120B) 및 제2 연결배관(140B)을 일체로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B)과 탄성배관(120B)을 일체로 제조하여 제2 연결배관(140B)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연결배관(140B)과 탄성배관(120B)을 일체로 제조한 후 제1 연결배관(110B)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B), 탄성배관(120B) 및 제2 연결배관(140B)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배관(110B), 탄성배관(120B) 및 제2 연결배관(140B)이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B)의 내부에는 제1 내부식부(130B)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B)는 용접을 통하여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가 제작되면, 다른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를 배관 사이에 배치한 후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의 끝단에 배치된 제1 플린지(112B)를 통하여 다른 배관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커버(150B)는 탄성배관(120B)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구된 커버(150B)의 일단을 가림막(180B)을 통하여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링(160B)은 탄성배관(120B)의 인입된 부분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 내부로 액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는 경우 제1 내부식부(130B)에 의하여 배관과 배관용 시축이음 어셈블리(100B)이 서로 연결되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B)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는 제1 연결배관(110C), 탄성배관(120C), 제1 내부식부(130C), 제2 연결배관(140C), 커버(150C), 링(160C), 제1 고정브라켓(171C), 제2 고정브라켓(172C) 및 연결부재(173C)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배관(120C), 제1 내부식부(130C), 커버(150C), 링(160C), 제1 고정브라켓(171C), 제2 고정브라켓(172C), 연결부재(173C)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는 제1 연결배관(110C), 탄성배관(120C), 제2 연결배관(140C), 탄성배관(120C) 및 제1 연결배관(110C) 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C)과 제2 연결배관(140C)에는 각각 제1 고정브라켓(171C) 및 제2 고정브라켓(172C)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브라켓(171C)과 제2 고정브라켓(172C) 사이에는 연결부재(173C)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의 제작 및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제1 연결배관(110C), 탄성배관(120C) 및 제2 연결배관(140C)을 일체로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C)과 탄성배관(120C)을 일체로 제조하여 제2 연결배관(140C)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연결배관(140C)과 탄성배관(120C)을 일체로 제조한 후 제1 연결배관(110C)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연결배관(110C), 탄성배관(120C) 및 제2 연결배관(140C)을 각각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연결배관(110C), 탄성배관(120C) 및 제2 연결배관(140C)이 일체로 제조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C)의 내부에는 제1 내부식부(130C)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C)는 용접을 통하여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C)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가 제작되면, 다른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를 배관 사이에 배치한 후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의 끝단을 다른 배관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커버(150C)는 탄성배관(120C)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상태일 수 있으며, 개구된 커버(150C)의 일단을 가림막(180C)을 통하여 차폐할 수 있다. 또한, 링(160C)은 탄성배관(120C)의 인입된 부분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 내부로 액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는 경우 제1 내부식부(130C)에 의하여 배관과 배관용 시축이음 어셈블리(100C)이 서로 연결되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C)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절개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는 제1 연결배관(110D), 탄성배관(120D), 제1 내부식부(130D), 제2 연결배관(140D), 링(160D), 제1 고정브라켓(171D), 제2 고정브라켓(172D), 연결부재(173D) 및 제2 내부식부(190D)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배관(120D), 제1 내부식부(130D), 링(160D), 제1 고정브라켓(171D), 제2 고정브라켓(172D), 연결부재(173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연결배관(110D)은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 및 제1 플린지(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제1 연결배관(110D)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플린지(112D)는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로부터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린지(112D)는 다른 배관과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를 연결시키도록 볼트 등이 삽입되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린지(112D)의 단면적은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 플린지(112D)는 다른 배관과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다른 배관과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의 결속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D)은 탄성배관(120D)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배관(110D), 탄성배관(120D) 및 제2 연결배관(140D)은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배관(140D)은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D) 및 제2 플린지(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D) 및 제2 플린지(142D)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 및 제1 플린지(112D)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의 제작 및 설치 방법을 살펴보면, 제1 연결배관(110D), 탄성배관(120D) 및 제2 연결배관(140D)을 일체로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의 내부에는 제1 내부식부(130D)를 설치하고,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D)의 내부에는 제2 내부식부(190D)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부식부(130D)와 제2 내부식부(190D)는 용접을 통하여 각각 제1 연결배관바디부(111D) 및 제2 연결배관바디부(141D)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가 제작되면, 다른 배관을 연결할 때,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를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를 배관 사이에 배치한 후 제1 플린지(112D) 및 제2 플린지(142D)를 통하여 배관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또한, 링(160D)은 탄성배관(120D)의 인입된 부분에 설치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 내부로 액체 또는 기체가 유동하는 경우 제1 내부식부(130D) 및 제2 내부식부(190D)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배관과 배관용 시축이음 어셈블리(100D)의 연결되는 배관용 신축이음 어셈블리(100D) 부분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100A,100B,100C,100D: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110,110A,110B,110C,110D: 제1 연결배관
120.120A,120B,120C,120D: 탄성배관
130,130A,130B,130C,130D: 제1 내부식부
140,140A,140B,140C,140D: 제2 연결배관
150,150A,150B,150C: 커버
160,160A,160B,160C,160D: 링
171,171A,171B,171C,171D: 제1 고정브라켓
172,172A,172B,172C,172D: 제2 고정브라켓
173,173A,173B,173C,173D: 연결부재
180,180A,180B,180C,180D: 가림막
190,190A,190B,190C,190D: 제2 내부식부

Claims (10)

  1. 제1 연결배관;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연결되며,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 탄성배관;
    상기 제1 연결배관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탄성배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배관;
    상기 제1 연결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된 제1 내부식부;
    상기 제2 연결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된 제2 내부식부;
    상기 탄성배관의 주름 중 인입된 외관 부분에 설치되는 링;
    상기 탄성배관을 차폐하도록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커버;
    상기 제1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1 고정브라켓;
    상기 제2 연결배관에 설치되는 제2 고정브라켓; 및
    상기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고정브라켓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2 연결배관과 상기 탄성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부분을 차폐하는 탄성 재질의 가림막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막은 상기 탄성배관과 상기 제2 연결배관 사이에 만곡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내부식부 및 상기 제2 내부식부는 상기 제1 연결배관 및 상기 제2 연결배관과의 단차가 제거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배관과 상기 탄성배관은 경도가 상이한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배관의 경도는 상기 제1 연결배관의 경도보다 낮은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식부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은 실리콘, 고무 및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41039A 2015-10-07 2015-10-07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KR101699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39A KR101699489B1 (ko) 2015-10-07 2015-10-07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1039A KR101699489B1 (ko) 2015-10-07 2015-10-07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489B1 true KR101699489B1 (ko) 2017-01-24

Family

ID=57993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039A KR101699489B1 (ko) 2015-10-07 2015-10-07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48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358A (zh) * 2017-11-16 2018-03-06 江苏乾元飞达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耐磨型陶瓷膨胀节及其陶瓷衬管的烧结成型工艺
KR102207446B1 (ko) * 2020-09-14 2021-01-25 심성구 진동과 변형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2중 필터 및 가스켓을 가지는 상수도 분기관 여과구조
KR20210012612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옥서스 산소 농축 장치
CN113483176A (zh) * 2021-05-31 2021-10-08 周云龙 一种hdpe给水管材
KR102502748B1 (ko) 2022-11-15 2023-02-23 이조달연구원 주식회사 복합 내진 성능을 구비한 밸브보호실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152A (ja) * 1994-12-21 1996-07-12 Chugoku Bendo Kk 耐蝕性伸縮継手
JP2001280576A (ja) * 2000-03-30 2001-10-10 Toho Titanium Co Ltd 導管接続装置
JP2010223360A (ja) * 2009-03-24 2010-10-07 Kokusan Rasenkan Kk 可撓管装置
KR20120121540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중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8152A (ja) * 1994-12-21 1996-07-12 Chugoku Bendo Kk 耐蝕性伸縮継手
JP2001280576A (ja) * 2000-03-30 2001-10-10 Toho Titanium Co Ltd 導管接続装置
JP2010223360A (ja) * 2009-03-24 2010-10-07 Kokusan Rasenkan Kk 可撓管装置
KR20120121540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중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3358A (zh) * 2017-11-16 2018-03-06 江苏乾元飞达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耐磨型陶瓷膨胀节及其陶瓷衬管的烧结成型工艺
KR20210012612A (ko) * 2019-07-26 2021-02-03 주식회사 옥서스 산소 농축 장치
KR102251610B1 (ko) 2019-07-26 2021-05-13 주식회사 옥서스 산소 농축 장치
KR102207446B1 (ko) * 2020-09-14 2021-01-25 심성구 진동과 변형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2중 필터 및 가스켓을 가지는 상수도 분기관 여과구조
CN113483176A (zh) * 2021-05-31 2021-10-08 周云龙 一种hdpe给水管材
KR102502748B1 (ko) 2022-11-15 2023-02-23 이조달연구원 주식회사 복합 내진 성능을 구비한 밸브보호실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489B1 (ko) 배관용 신축관이음 어셈블리
US10591061B2 (en) Gas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65962B1 (ko) 플랜지 밀봉 시스템
US6139068A (en) Union lock for maintaining connection between two conduits
KR20100046104A (ko) 루즈 플랜지식 관 이음매
CA2596110C (en) System for assembling a high-pressure fluid tube and a fitting element, and fitting obtained by this system
US6883550B2 (en) Flexible pipe joint
KR101341838B1 (ko)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US4494780A (en) Liquid piping saddle assembly connecting a branch pipe to a main pipe
PL204000B1 (pl) Sposób wykonania złącza stykowego pomiędzy dwoma odcinkami rury z blachy i złącze stykowe pomiędzy dwoma odcinkami rury z blachy
KR100633004B1 (ko) 내열배관용 조인트
RU2564156C2 (ru) Фиттинг с фланцам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системой герметизации труб
KR20140049653A (ko) 배관 연결장치
EP1002982A2 (en) Coupling system between flange and bellows in a metallic expansion joint with corrugated bellows
TWM623223U (zh) 連接裝置
JP6962729B2 (ja) 漏洩防止装置
US6173967B1 (en) Gaskets for fluid conduits
KR200274908Y1 (ko) 밸브 턱 파이프 연결장치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JP2017133589A (ja) 補修用継手
CN219198412U (zh) 清洁型金属软管
TWI788973B (zh) 連接裝置
KR20110130871A (ko) 메탈 개스킷
CN214500917U (zh) 泄漏监测阀的支撑结构
KR102190003B1 (ko) 배관 연결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