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350B1 -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350B1
KR101699350B1 KR1020160051580A KR20160051580A KR101699350B1 KR 101699350 B1 KR101699350 B1 KR 101699350B1 KR 1020160051580 A KR1020160051580 A KR 1020160051580A KR 20160051580 A KR20160051580 A KR 20160051580A KR 101699350 B1 KR101699350 B1 KR 10169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kidney
liver
improving
tr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전호
Original Assignee
조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전호 filed Critical 조전호
Priority to KR102016005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7Digestive system
    • A61K35/413Gall bladder; Bil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50 내지 70중량%; 여주 10 내지 20중량%; 울금 10 내지 20중량%; 및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4 내지 15중량%를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간수치를 감소시키고, 신장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간 질환 및 신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bovine gall and medicinal herbal for improving or treating of liver and kidney}
본 발명은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liver)은 인체에 있어서 가장 큰 장기 중 하나로서 생활하는데 필수조직이며, 다른 조직의 기능들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조화롭게 관리한다. 그리고 동원 가능한 에너지의 근원을 쉽게 저장, 제공하므로 영양소의 대사기능, 해독기능, 순환 조절 기능에 관여하고 있으며, 간의 화학적 잠재력과 빠른 재생력 등의 이유로 '화학 공장', '저장고', '침묵의 장기'라고도 한다(이유진, et al., 2006).
간은 지방 성분이 포함된 음식이나 알코올의 과다 섭취, 바이러스의 감염, 각종 약품과 같은 유해물질, 영양 부족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의 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간은 우리 몸이 독성 물질에 노출되었을 때 독을 제거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독성 물질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높다. 간의 손상은 독성 물질을 제거하는 해독 기능에 장애를 나타내고, 면역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Mansour H.H., et al., 2006; Jo W.S., et al., 2008)
최근에는 비만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이 증가하는데(Chiang D.J., et al., 2011), 이것은 식생활과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인한 비만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알코올 섭취의 지속적인 증가, 비만 및 스트레스 등을 감안하면 지방간을 비롯한 간 질환의 발병이 급증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 질환의 치료 방법은 식이 요법과 약물 요법이 있으며 약물 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우루소데옥시콜린산(ursodeoxycholic acid), 실리마린(silymarin), 비페닐 디메틸 디카복시레이트(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글루타치온(glutathione),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등과 같은 간 세포 재생촉진제 및 간 기능 보조제, 아시클로바(acyclovir)와 같은 항바이러스 등의 약물이 사용되고 있다(Abdel-Hameid N.A., 2007; Korenaga M., et al., 2011; Raskoviae A., et al., 2011; Chem Y., et al., 2012).
콩팥(kidney, 신장)은 아래쪽 배의 등 쪽에 쌍으로 위치하는 장기로, 대사산물 및 노폐물을 걸러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배설 기능, 체내 수분량과 전해질, 산성도 등을 좁은 범위 안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체 항상성 유지(김종규, 1998), 혈압 유지, 빈혈 교정 및 칼슘과 인 대사에 중요한 여러 가지 호르몬을 생산하고 활성화시키는 내분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김완희, et al., 1993). 이러한 콩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우담(牛膽)은 소의 쓸개(bovine gall)로 그 맛은 쓰고 찬 성질에 속한다.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작용하며,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담즙이 잘 나오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해독작용을 하며, 특히 풍열로 생긴 눈병, 황달, 변비, 당뇨, 어린이 경풍, 치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2001). 또한 우담의 담즙산은 건위, 소화 작용, 담즙 분비 작용, 물질대사 촉진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있다.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는 여두, 쥐눈이콩이라고 불리며, 다른 콩 종류와는 달리 약성이 탁월하여 약콩이라고도 불린다. 7월에 꽃이 피어 타원형의 깍지 속에 지름 5~7㎜ 정도의 쥐눈처럼 검고 둥근 종실이 여물면 수확을 하며 특히, 신장병을 다스리며 기를 내리어 모든 풍열을 억제하고 혈액을 활발히 하며 해독성이 탁월하고(신미경, et al., 2002), 간장, 신장, 당뇨, 변비, 부종을 치유하며 섬유질이 많아 장의 활성화에 기여한다고 알려져있다.
울금(Curcuma longa)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인도·중국·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주로 재배한다. 울금의 효능은 간장의 해독 촉진과 담즙의 분비 작용 및 이혈 작용이 뛰어나다. 따라서 이담 작용과 방향성 건위약, 이뇨약, 해열약, 소화제, 급·만성 담낭염 치료약, 담도염약, 카타르성 황달약, 담석증, 급성 간염약 등에 다양한 처방과 제약의 원료로 국내외에서 수요가 많다(김현진, et al., 2011).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열매는 둥글며 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이들은 전국각지에 분포되어 있으며 산지의 양지에서 나고 민간에서는 4월에 채취한 새순을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뿌리, 과실, 나무껍질을 당뇨병, 신장병, 신경쇠약,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양허기약(陽虛氣弱), 신장이 약할 때 사용하며 위암, 위장 장애, 해소 등에 사용하고, 한방명으로 총목이라고 하며 성미(性味)는 신평(辛平)이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풀이며, 여러 개의 가지가 분지되어 있고, 가늘고 보드라운 털이 있다(Muley B., et al., 2012). 여주는 예전부터 덩굴성 열매의 관상용 식물로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식용으로도 재배가 되고 있다. 여주는 현재 식용 외에 뛰어난 약효가 인정되어 새로운 각도에서 주목받고 있다. 여주는 글루코사이드(glucoside),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오일, 트리페르펜(triterpene), 단백질, 스테로이드계, 비타민 C, 베타-카로틴(β-carotene), Fe, K 등을 함유하고 있고(Oyedapo O.O., et al., 2001), 항암작용(Ganguly C., et al., 2000), 항괴사작용(Alam S., et al., 2009), 항고혈당작용(Jayasooriya A.P., et al., 2000), 당뇨병합병증(Raza H., et al., 1996) 예방과 항균작용(Singh A., et al., 1998)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급성 납 중독에 의한 간과 콩팥에 대한 치료 효과도 있음이 보고되었다(이현화, et al., 2009).
이에, 본 발명자는 생약 성분을 이용하여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담, 서목태, 울금, 두릅나무 및 여주의 혼합물이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419463호에는 우담 및 울금을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 기재되어 있으나, 서목태, 두릅나무, 여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8467호에는 두릅나무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식품이 기재되어 있으나, 우담, 서목태, 울금, 여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0726호에는 여주가 간 기능 개선 효과가 기재되어 있으나 우담, 서목태, 울금, 두릅나무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5146호에는 서목태를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이 기재되어 있으나 우담, 울금, 두릅나무, 여주는 기재되어 있지 않아, 본 발명과 차이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419463호,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2014. 07. 1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2002-0078467호,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2002. 10. 19.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6-0030726호,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2016. 03. 21.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5146호, 느릅나무, 인진쑥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2002. 04. 03. 공개.
김완희, et al., 장부변증논치, 의성당, 서울, 236-238, 1993. 김종규, 생리학, 정문각, 서울, 271-280, 1998. 김현진, et al.,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Korean J. Food Preserv., 48(2), 219-225, 2011. 신미경, et al.,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 추출물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Dietary Culture, 17(1), 64-69, 2002. 이유진, et al., 간기능 개선용 복합 식물 추출물(Hepa·1000)의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 1121-1126, 2006. 이현화, et al., 여주 추출물이 급성 납 중독된 흰쥐의 간과 콩판에 미치는 효과, Korean J. Microscopy, 39(4), 355-363, 2009.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정담, 2001. Abdel-Hameid N.A., Protective role of dimethyl diphenyl bicarboxylate(DDB) against erythromycin induced hepatotoxicity in male rats, Toxicol. In Vitro, 21, 618-625, 2007. Alam S., et al., Antiulcer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L. in rats, J. Ethnopharmacol., 123(3), 464-469, 2009. Chen Y., et al., Glutathione-deficient mice are susceptible to TCDD-induced hepatocellular toxicity but resistant to steatosis, Chem. Res. Toxicol., 25, 94-100, 2012. Chiang D.J., et al., Obesity, diabetes mellitus, and liver fibrosi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300, G697-G702, 2011. Ganguly C., et al., Prevention of carcinogen-induced mouse skin papilloma by whole fruit aqueous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Eur. J. Cancer Prev., 9(4), 283-288, 2000. Jayasooriya A.P., et al.,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free and cholesterol-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72(1-2), 331-336, 2000. Jo W.S., et al., Hepatic protective effect and single-dose toxicity study of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Protoetia dreujtarsis, Food Sci. Biotech., 40, 1-5, 2008. Korenaga M., et al., A glycyrrhizin-containing preparation reduces hepatic steatosis induced by hepatitis C virus protein and iron in mice, Liver Int., 31, 552-560, 2011. Mansour H.H., et al., Silymarin Modulates Cisplati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Rats, Biochem. Mol. Biol. Rep., 39, 656-661, 2006. Muley B.,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helimintic Potential of Fruit Peels of Benincasa hispida(curcubitaceae), Inter. J. Herbal Drub Res., 1, 5-9, 2012. Oyedapo O.O., et al., Stimulation of protien biosynthesis in rat hepatocytes by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Phytother. Res., 15(2), 95-98, 2001. Ra㎰koviae A., et al., The protective effects of silymarin against doxorubicin-induced cardiotoxicity and hepatotoxicity in rats, Molecules, 16, 8601-8613, 2011. Raza H., et al., Effect of bitter melon(Momordica charantia) fruit juice on the hepatic 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es, Biochem. Pharmcol., 52(10), 1639-1642, 1996. Singh A., et al. Momordica charantia(Bitter Gourd) peel, pulp, seed and whole fruit extract inhibits mouse skin papilomagenesis, Toxicol Lett., 94(1), 37-46, 1998.
본 발명의 목적은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ii) 여주; iii) 울금;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50 내지 70중량%; ii) 여주 10 내지 20중량%; iii) 울금 10 내지 20중량%;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4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는 우담즙 및 서목태를 1:3 내지 1:4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불릴 수 있다.
상기 우담즙은 담낭과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은 여주 및 두릅나무를 잘게 써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잘게 썬 여주 및 두릅나무를 1:3 내지 3:1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여주와 두릅나무에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섞은 후 녹여서 여주, 두릅나무 및 설탕 혼합물을 얻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여주, 두릅나무 및 설탕 혼합물을 3개월 내지 6개월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얻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발효액을 거르는 제5단계;를 통해 제조된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일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구지뽕나무, 삼채, 돼지감자, 뽕잎 및 한삼덩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추가 할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담즙을 담낭과 분리하는 단계(1공정); 상기 1공정의 우담즙에 서목태를 담가 10일 내지 15일간 불린 후 건조시켜 우담 성분을 흡수시킨 서목태를 수득하는 단계(2공정); 상기 2공정의 우담 성분을 흡수시킨 서목태에 말린 여주를 넣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3공정); 상기 3공정의 서목태 및 여주 분쇄물에 울금 가루 및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섞어 반죽하는 단계(4공정); 및 상기 4공정의 반죽으로 환을 만들어 건조하는 단계(5공정);를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ii) 여주; iii) 울금;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는 우담즙에 서목태를 담가 불림으로써 우담의 성분을 서목태에 흡수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서목태에 흡수된 우담의 성분은 서목태와 우담즙을 각각 넣은 것보다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효과가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는 우담 성분이 포함된 서목태를 분말화 시킴으로써 환제로 제조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는 우담즙 및 서목태를 1:3 내지 1:4 중량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3 중량비율일 수 있다.
상기 우담즙은 담낭과 분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우담즙과 담낭의 분리는 우담즙이 담낭 내에서 부패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우담즙을 담낭과 분리하여 소독된 항아리에 담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50 내지 70중량%; ii) 여주 10 내지 20중량%; iii) 울금 10 내지 20중량%;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4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55 내지 65중량%; ii) 여주 15 내지 20중량%; iii) 울금 15 내지 20중량%;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4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담(牛膽)은 소의 쓸개(bovine gall)로 그 맛은 쓰고 찬 성질에 속한다. 한의학적으로 간경, 담경, 폐경에 작용하며, 간열을 내리고 눈을 밝게 하며 담즙이 잘 나오게 하고, 부은 것을 내리게 하고 해독작용을 하며, 특히 풍열로 생긴 눈병, 황달, 변비, 당뇨, 어린이 경풍, 치질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우담의 담즙산은 건위, 소화 작용, 담즙 분비 작용, 물질대사 촉진 작용을 나타내며, 우담의 검은색은 신장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황색은 비장과 위장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는 해독성이 탁월하고 섬유질이 많아 장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신장병을 다스리며 기를 내리어 모든 풍열을 억제하고 혈액을 활발히 하며 독을 풀어준다고 한다. 이러한, 서목태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성인병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서목태의 껍질의 검은색은 신장치유에 좋은 효능이 있고, 속 알맹이의 푸른색은 간장 치유에 좋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울금(Curcuma longa)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간장의 해독 촉진과 담즙의 분비 작용 및 이혈 작용이 뛰어나다. 따라서 이담 작용과 방향성 건위약, 이뇨약, 해열약, 소화제, 급·만성 담낭염 치료약, 담도염약, 카타르성 황달약, 담석증, 급성 간염 약 등에 다양한 처방과 제약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서 민간에서는 4월에 채취한 새순을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뿌리, 과실, 나무껍질을 당뇨병, 신장병, 신경쇠약, 류마티스성 관절염 및 양허기약(陽虛氣弱), 신장이 약할 때 사용하며 위암, 위장 장애, 해소 등에 사용하고 있다.
상기 두릅나무는 두릅나무의 뿌리일 수 있다.
상기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풀로, 글루코사이드(glucoside), 사포닌(saponin), 알칼로이드(alkaloid), 오일, 트리페르펜(triterpene), 단백질, 스테로이드계, 비타민 C, 베타-카로틴(β-carotene), Fe, K 등을 함유하고 있고, 항암작용, 항괴사작용, 항고혈당작용, 당뇨병합병증 예방과 항균작용과 같은 효과가 있으며, 간과 콩팥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다고 한다.
상기 여주는 열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구지뽕나무, 삼채, 돼지감자, 뽕잎 및 한삼덩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Molaceae)에 속하며 예로부터 민간 상용 약초로 여성의 부정기 자궁출혈, 혈결 및 요통, 타박상, 지통, 습진, 유행성 이하선염, 폐결핵, 급성관절염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고, 특히 그 뿌리와 줄기를 달여 먹으면 간암 치료에 특효하다고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 신장의 기운을 도우며 폐에 관한 질병(기관지, 천식, 폐결핵), 동맥경화 등의 치료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구지뽕나무는 목질부를 제외한 전초(全草)일 수 있다.
상기 삼채(Allium hookeri)는 파속(Allium) 식물로 단맛, 쓴맛, 매운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三菜)라고 부르며 인삼 맛이 난다고 하여 삼채(蔘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함황화물과 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높은 기능성 채소로 알려져 있고, 다양한 질환 및 암 질환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삼채의 매운맛은 폐장에, 쓴맛은 심장질환에, 단맛은 비장과 위장 질환에 효능이 있다고 한다.
상기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는 국화과 해바라기속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돼지감자, 뚱딴지, 뚝감자 등으로 불리고 있다. 돼지감자는 민간요법에서 당뇨병과 류마티스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변비 개선, 장 질환 예방, 대장암 발생 억제,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 혈중 지질 저하, 혈당 강하 및 비만 개선 효과 등 다양한 약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뽕잎은 뽕나무(Morus alba)의 잎으로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의 루틴(rutin)은 모세혈관 강화 작용과 수축작용을 나타내며, 혈압 강하 물질로 알려져 있는 GABA(γ-aminobutyric acid) 성분은 녹차 잎에 비해 약 10배 정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뽕잎에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베타-시토스테롤 글리코시드(β-sitosterol glycoside), 베타-에크디손(β-ecdysone) 및 이노스테론(inosterone) 등 식물성 스테롤이 다량으로 존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저하작용, HDL-콜레스테롤의 증가 및 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상기 한삼덩굴(Humulus japonicus)은 삼과에 속하는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혈압강하작용, 이뇨작용 등과 같은 약리작용이 알려져있다. 또한, 민간에서는 소화 장애, 급성위장염, 이질, 요도염, 요도결정, 방광암, 고혈압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의 열을 내리고, 어혈을 풀어주고 해독하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상기 한삼덩굴은 한삼덩굴의 전초(全草)일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중 4공정의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은 여주 및 두릅나무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발효액으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은 환제 형태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만들이 용이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중 4공정의 반죽하는 단계에서 반죽의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꿀 또는 찹쌀 풀을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찹쌀 풀일 수 있다.
상기 간은 영양소의 대사 기능, 해독기능, 순환 조절 기능에 관여하는 장기로써 간의 손상은 해독 기능 장애를 나타내고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지방간, 간염, 황달, 간경화, 간암, 만성피로 등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또한, 간은 눈과 연결되어 간의 건강은 눈의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 기능은 우리 몸에 독소가 많아지면 세포 내에서는 외부 독소로부터 몸을 지키기 위해 세포막 통과 시 검색이 강화되고, 이때 포도당이 통과하기 위해서 인슐린을 다량으로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증가된 인슐린이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면 혈당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 기능 개선을 통해 혈당 강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개선은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인한 간 손상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간 기능 개선을 통해 안구 건조증 예방 및 개선, 시력강화, 백내장 및 녹내장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신장은 대사산물 및 노폐물을 걸려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배설 기능, 체내 수분량과 전해질, 산성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생체 항상성 유지, 혈압 유지, 빈혈 교정 및 칼슘과 인 대사에 중요한 호르몬을 생산하고 활성화시키는 내분비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신장은 귀와 연결되어 신장의 건강은 귀의 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상기 신장 기능 개선은 신장 손상에 따른 급성 신손상, 만성 신질환, 급성 세뇨관 경색, 요로폐색, 간질성 신염, 부종 등과 같은 신장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신장 기능 개선을 통해 대변 촉진, 중이염 및 귀 울림(이명)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가 바람직하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다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1㎎/㎏/일 내지 대략 2000㎎/㎏/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1㎎/㎏/일 내지 500㎎/㎏/일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 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상기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여주, 울금 및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간수치를 감소시키고, 신장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어 간 질환 및 신장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우담, 서목태, 여주, 울금 및 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우담, 서목태, 여주, 울금 및 두릅나무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의 경우에는 여주 열매와 두릅나무 뿌리를 잘게 썰고, 여주 및 두릅나무가 1:1 중량비율이 되도록 섞었다. 여주와 두릅나무 혼합 생약에 설탕을 여주와 두릅나무 혼합 생약과 동일한 중량으로 넣은 후 설탕이 다 녹을 때까지 잘 저어준 후 3개월 이상 발효시켰다. 발효시킨 발효액을 고운 천으로 걸러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확보하였다.
서목태는 먼저, 우담즙을 담낭과 분리하고, 분리한 우담즙에 서목태를 담가 10~15일간 불려 우담의 성분이 서목태에 흡수 되도록 한 후 건조기에 말렸다. 이때 우담즙 및 서목태는 1:3 내지 1:4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하기 표 1의 중량비율을 바탕으로 건조한 서목태를 말린 여주와 혼합하여 분쇄하고, 울금 가루와 섞은 후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넣고 반죽하여 환 형태로 만들어 건조시킴으로써 환제를 제조하였다.
구성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여주 울금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중량%
실시예 1-1 50 20 20 10
실시예 1-2 60 15 15 10
실시예 1-3 70 10 10 10
< 실시예 2. 우담 , 서목태 , 여주, 울금 , 두릅나무 및 추가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우담, 서목태, 여주, 울금, 두릅나무 및 추가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하기 표 2에 표기된 성분대로 혼합하여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추가 생약은 건조한 서목태를 말린 여주와 혼합하는 과정에 첨가하여 분쇄하였다.
구성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여주 울금 구지뽕나무 삼채 돼지감자 뽕잎 한삼덩굴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중량%
실시예 2-1 55 5 5 5 5 5 5 5 10
실시예 2-2 55 15 15 5 0 0 0 0 10
실시예 2-3 55 15 15 0 5 0 0 0 10
실시예 2-4 55 15 15 0 0 5 0 0 10
실시예 2-5 55 15 15 0 0 0 5 0 10
실시예 2-6 55 15 15 0 0 0 0 5 10
< 비교예 1. 비교대상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비교대상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3의 성분대로 혼합하여 비교대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꿀을 넣어 반죽하였다.
구성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여주 울금 구지뽕나무 삼채 돼지감자 뽕잎 한삼덩굴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중량%
비교예 1-1 90 0 0 0 0 0 0 0 0 10
비교예 1-2 0 90 0 0 0 0 0 0 0 10
비교예 1-3 0 0 90 0 0 0 0 0 0 10
비교예 1-4 0 0 0 0 0 0 0 0 100 0
비교예 1-5 60 30 0 0 0 0 0 0 10 0
비교예 1-6 60 0 30 0 0 0 0 0 10 0
비교예 1-7 90 0 0 0 0 0 0 0 10 0
비교예 1-8 0 45 45 0 0 0 0 0 10 0
비교예 1-9 60 15 15 0 0 0 0 0 0 10
비교예 1-10 60 0 0 6 6 6 6 6 10 0
비교예 1-11 55 5 5 5 5 5 5 5 0 10
비교예 1-12 0 0 0 18 18 18 18 18 10 0
< 비교예 2. 비교대상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에서 우담즙에 불린 서목태와 불리지 않은 서목태에 따른 효과와 여주 및 두릅나무를 발효한 것과 발효하지 않은 것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비교대상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4의 성분대로 혼합하여 비교대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며,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꿀을 넣어 반죽하였다.
구성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우담즙 서목태 여주 울금 두릅나무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중량%
비교예 2-1 0 13 52 15 15 0 5 0
비교예 2-2 50 0 0 20 20 5 0 5
< 실험예 1. 간 독성 개선 효능 분석>
실험예 1-1. 실험 동물 준비
실험동물은 7주령이 된 S/D(Sprague Dawley) 계열 수컷 흰 쥐를 이용하였다. 모든 쥐는 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였으며, 22~24℃에서 습도가 60%가 되도록 유지하며, 밤낮 주기가 12시간 간격으로 조절되는 실험실 환경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예 1-2.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의 투여는 7일 동안 150㎎/㎏씩 1일 1회 경구 투여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조성물 대신 생 리식염수를 5㎖/㎏씩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경구 투여 후 3시간 뒤에, 간의 독성 유발 물질인 1,3-디클로로-2-프로판올(1,3-Dichloro-2-propanol; 1,3-DCP)을 투여하였다. 이때, 생리 식염수를 경구 투여한 군의 경우에는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을 처리하지 않은 정상대조군과,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을 처리하여 간 손상을 유발한 음성대조군으로 나누었다. 각 실험군마다 3마리의 쥐를 이용하였다.
실험예 1-3. 간 독성 검사를 위한 혈청학적 검사
간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을 처리하고 나서 24시간 후에 모든 군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 내 ALT(alanine aminotransferase) 및 AST(aspartase aminotranferase)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ALT(IU/ℓ) AST(IU/ℓ)
정상대조군 65.9±30.7 175.6±35.9
음성대조군 10565.3±7064.8 15978.1±2491.7
실시예 1-1 678.2±346.5 607.6±124.4
실시예 1-2 594.0±267.8 437.6±219.2
실시예 1-3 529.4±300.7 462.6±185.9
실시예 2-1 374.5±154.3 326.1±204.7
실시예 2-2 542.9±317.8 475.4±199.2
실시예 2-3 553.4±276.0 541.2±304.8
실시예 2-4 564.3±251.9 485.9±267.1
실시예 2-5 606.7±349.1 516.4±175.2
실시예 2-6 599.4±189.6 597.1±284.6
비교예 1-1 4019.8±2681.2 3472.3±1348.6
비교예 1-2 5176.4±3419.5 5276.9±2459.1
비교예 1-3 4821.1±1952.4 4961.7±2781.5
비교예 1-4 6897.7±2835.6 7647.2±3671.9
비교예 1-5 2348.6±1499.5 1094.5±647.5
비교예 1-6 1988.7±1009.1 1294.6±741.6
비교예 1-7 3418.1±1544.5 2874.2±1594.8
비교예 1-8 3878.5±2048.3 3482.1±947.2
비교예 1-9 1086.0±743.8 1228.0±614.8
비교예 1-10 2115.6±984.2 2291.7±1124.3
비교예 1-11 2447.1±1521.3 2843.9±1749.5
비교예 1-12 5394.4±2511.9 5071.3±2684.6
비교예 2-1 1274.9±519.7 967.9±346.5
비교예 2-2 11376.2±446.5 915.6±393.4
상기 표 5에서 보여주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에 간 독성과 관련된 ALT와 AST의 수치가 음성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해보면, 우담즙에 불린 서목태 또는 여주 및 두릅나무의 발효액을 이용한 경우(실시예 1)가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뛰어난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4. 신장 기능 검사를 위한 혈청학적 검사
신장 기능 검사를 위해 1,3-디클로로-2-프로판올을 처리하고 나서 24시간 후에 모든 군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혈청 내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BUN) 및 크라에티닌(creatinine) 농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혈액요소질소 크라에티닌
정상대조군 20.4±2.74 0.4±0.06
음성대조군 37.5±16.1 0.7±0.34
실시예 1-1 22.5±3.11 0.3±0.08
실시예 1-2 21.8±2.94 0.3±0.11
실시예 1-3 18.2±2.12 0.3±0.06
실시예 2-1 14.9±3.44 0.3±0.12
실시예 2-2 21.1±2.17 0.3±0.08
실시예 2-3 20.4±1.61 0.3±0.09
실시예 2-4 20.1±3.21 0.3±0.10
실시예 2-5 21.5±2.10 0.3±0.14
실시예 2-6 21.1±1.94 0.3±0.11
비교예 1-1 31.2±5.14 0.5±0.07
비교예 1-2 33.6±4.87 0.5±0.31
비교예 1-3 31.3±5.11 0.5±0.19
비교예 1-4 33.5±8.74 0.6±0.24
비교예 1-5 28.4±8.71 0.4±0.15
비교예 1-6 28.5±5.47 0.4±0.20
비교예 1-7 29.9±7.45 0.5±0.19
비교예 1-8 30.4±6.74 0.5±0.10
비교예 1-9 27.7±4.46 0.4±0.08
비교예 1-10 25.1±8.47 0.4±0.12
비교예 1-11 26.6±5.17 0.4±0.15
비교예 1-12 34.8±3.77 0.5±0.29
비교예 2-1 28.7±4.97 0.5±0.11
비교예 2-2 27.2±3.15 0.4±0.08
상기 표 6에서 보여주듯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에 신장 기능과 관련된 혈액요소질소 및 크라에티닌의 수치가 음성대조군 및 비교예에 비해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예 2에서 얻은 결과를 비교해보면, 우담즙에 불린 서목태 또는 여주 및 두릅나무의 발효액을 이용한 경우(실시예 1)가 신장 기능 개선 효과가 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9)

  1.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ii) 여주;
    iii) 울금;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손상에 따른 급성 신손상, 만성 신질환, 급성 세뇨관 경색, 요로폐색, 간질성 신염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50 내지 70중량%;
    ii) 여주 10 내지 20중량%;
    iii) 울금 10 내지 20중량%;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4 내지 15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는 우담즙 및 서목태를 1:3 내지 1:4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담즙은 담낭과 분리된 우담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은
    여주 및 두릅나무를 잘게 써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의 잘게 썬 여주 및 두릅나무를 1:3 내지 3:1 중량비율로 혼합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여주와 두릅나무에 설탕을 1:1 중량비율로 섞은 후 녹여서 여주, 두릅나무 및 설탕 혼합물을 얻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의 여주, 두릅나무 및 설탕 혼합물을 3개월 내지 6개월 동안 발효시켜 발효액을 얻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의 발효액을 거르는 제5단계;
    로 이루어진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구지뽕나무, 삼채, 돼지감자, 뽕잎 및 한삼덩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
  8. 우담즙을 담낭과 분리하는 단계(1공정);
    상기 1공정의 우담즙에 서목태를 담가 10일 내지 15일간 불린 후 건조시켜 우담 성분을 흡수시킨 서목태를 수득하는 단계(2공정);
    상기 2공정의 우담 성분을 흡수시킨 서목태에 말린 여주를 넣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얻는 단계(3공정);
    상기 3공정의 서목태 및 여주 분쇄물에 울금 가루 및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을 섞어 반죽하는 단계(4공정); 및
    상기 4공정의 반죽으로 환을 만들어 건조하는 단계(5공정);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손상에 따른 급성 신손상, 만성 신질환, 급성 세뇨관 경색, 요로폐색, 간질성 신염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신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i) 우담즙에 담가 불린 후 건조시킨 서목태;
    ii) 여주;
    iii) 울금; 및
    iv) 여주 및 두릅나무 발효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60051580A 2016-04-27 2016-04-27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9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80A KR101699350B1 (ko) 2016-04-27 2016-04-27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580A KR101699350B1 (ko) 2016-04-27 2016-04-27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350B1 true KR101699350B1 (ko) 2017-01-24

Family

ID=5799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580A KR101699350B1 (ko) 2016-04-27 2016-04-27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93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46A (ko) 2002-02-27 2002-04-03 이종선 느릅나무, 인진쑥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KR20020078467A (ko)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4712A (ko) * 2010-08-10 2012-02-20 부희옥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0348A (ko) * 2011-01-07 2012-07-17 이종석 우담과 검은콩을 주재로 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
KR101419463B1 (ko) 2012-04-10 2014-07-14 신준식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160030726A (ko)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웰파이토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467A (ko) 2001-04-03 2002-10-19 김기준 간기능 회복을 위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5146A (ko) 2002-02-27 2002-04-03 이종선 느릅나무, 인진쑥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KR20120014712A (ko) * 2010-08-10 2012-02-20 부희옥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0348A (ko) * 2011-01-07 2012-07-17 이종석 우담과 검은콩을 주재로 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건강기능식품
KR101419463B1 (ko) 2012-04-10 2014-07-14 신준식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KR20160030726A (ko) 2014-09-11 2016-03-21 주식회사 웰파이토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del-Hameid N.A., Protective role of dimethyl diphenyl bicarboxylate(DDB) against erythromycin induced hepatotoxicity in male rats, Toxicol. In Vitro, 21, 618-625, 2007.
Alam S., et al., Antiulcer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L. in rats, J. Ethnopharmacol., 123(3), 464-469, 2009.
Chen Y., et al., Glutathione-deficient mice are susceptible to TCDD-induced hepatocellular toxicity but resistant to steatosis, Chem. Res. Toxicol., 25, 94-100, 2012.
Chiang D.J., et al., Obesity, diabetes mellitus, and liver fibrosis,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300, G697-G702, 2011.
Ganguly C., et al., Prevention of carcinogen-induced mouse skin papilloma by whole fruit aqueous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Eur. J. Cancer Prev., 9(4), 283-288, 2000.
Jayasooriya A.P., et al.,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powder on serum glucose levels and various lipid paramters in rats fed with cholesterol-free and cholesterol-enriched diets, J. Ethnopharmacol., 72(1-2), 331-336, 2000.
Jo W.S., et al., Hepatic protective effect and single-dose toxicity study of water extract of Cordyceps militaris grown upon Protoetia dreujtarsis, Food Sci. Biotech., 40, 1-5, 2008.
Korenaga M., et al., A glycyrrhizin-containing preparation reduces hepatic steatosis induced by hepatitis C virus protein and iron in mice, Liver Int., 31, 552-560, 2011.
Mansour H.H., et al., Silymarin Modulates Cisplati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epatotoxicity in Rats, Biochem. Mol. Biol. Rep., 39, 656-661, 2006.
Muley B.,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Anthelimintic Potential of Fruit Peels of Benincasa hispida(curcubitaceae), Inter. J. Herbal Drub Res., 1, 5-9, 2012.
Oyedapo O.O., et al., Stimulation of protien biosynthesis in rat hepatocytes by extracts of Momordica charantia, Phytother. Res., 15(2), 95-98, 2001.
Ra㎰koviae A., et al., The protective effects of silymarin against doxorubicin-induced cardiotoxicity and hepatotoxicity in rats, Molecules, 16, 8601-8613, 2011.
Raza H., et al., Effect of bitter melon(Momordica charantia) fruit juice on the hepatic cytochrome P450-dependent monooxygenases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es, Biochem. Pharmcol., 52(10), 1639-1642, 1996.
Singh A., et al. Momordica charantia(Bitter Gourd) peel, pulp, seed and whole fruit extract inhibits mouse skin papilomagenesis, Toxicol Lett., 94(1), 37-46, 1998.
김완희, et al., 장부변증논치, 의성당, 서울, 236-238, 1993.
김종규, 생리학, 정문각, 서울, 271-280, 1998.
김현진, et al., 국내산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의 항균활성과 항산화 효과, Korean J. Food Preserv., 48(2), 219-225, 2011.
신미경, et al., 서목태(Rhynchosia nulubilis) 추출물이 고지방 및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 흰쥐의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Korean J. Dietary Culture, 17(1), 64-69, 2002.
이유진, et al., 간기능 개선용 복합 식물 추출물(Hepa·1000)의 tert-butyl hydroperoxide(t·BHP)로 유도한 간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 1121-1126, 2006.
이현화, et al., 여주 추출물이 급성 납 중독된 흰쥐의 간과 콩판에 미치는 효과, Korean J. Microscopy, 39(4), 355-363, 2009.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한의학대사전, 정담, 2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s et al. Pro-health activity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L.) and its food products–history and present
Chandrika et al. Gotu Kola (Centella asiatica): nutritional properties and plausible health benefits
Meresa et al. Herbal medicin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ic mellitus in Ethiopia and Eretria including their phytochemical constituents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US6416795B1 (en) Herbal extract composition for stress prevention and treatment
Iid et al. Putative antidiabetic herbal food ingredients: Nutra/functional properties, bioavailability and effect on metabolic pathways
KR20090078662A (ko) 칼슘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숙취 해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19463B1 (ko)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Sharangi et al. Stevia: Medicinal Miracles and therapeutic magic
CN107232461A (zh) 一种紫薯蓝莓复合饮料的加工方法
Bahmani et al. Pharmaceutical, phytochemical, and economical potentials of Glycyrrhiza glabra L: a review
Jalili et al. An overview of therapeutic potentials of Taraxacum officinale (dandelion): A traditionally valuable herb with a reach historical background
KR20080018676A (ko) 프로폴리스와 한약재를 배합한 혈당저하 식품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73204B1 (ko) 뇌신경세포 보호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건강 음료
KR20180079920A (ko) 토사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섬유화 또는 간경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at et al. Bitter Gourd for human health, nutrition, and value addition
KR101699350B1 (ko) 우담 및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간 기능 및 신장 기능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1821325A (zh) 光叶子花提取物的应用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068128B1 (ko) 이온화칼슘 시비 현미를 주성분으로 한 천연 원료의 알코올배설과 아세트알데히드 분해 촉진 및 숙취 해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im Taraxacum officinale
KR20170024689A (ko) 한방재를 이용한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식품조성물
KR100846521B1 (ko) 복합생약추출물(oca-ⅰ) 또는 이의분말(oca-ⅱ)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