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9229B1 - 광유도 주입 장치 - Google Patents

광유도 주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9229B1
KR101699229B1 KR1020150124856A KR20150124856A KR101699229B1 KR 101699229 B1 KR101699229 B1 KR 101699229B1 KR 1020150124856 A KR1020150124856 A KR 1020150124856A KR 20150124856 A KR20150124856 A KR 20150124856A KR 101699229 B1 KR101699229 B1 KR 10169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needle
injection
injection needle
optical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원재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229B1/ko
Priority to EP16842159.2A priority patent/EP3345642A4/en
Priority to US15/536,419 priority patent/US10342931B2/en
Priority to PCT/KR2016/009067 priority patent/WO20170391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using additional parts, e.g. clamping rings or collets
    • A61M5/345Adaptors positioned between needle hub and syring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07Optical details
    • G02B23/2461Illumination
    • G02B23/2469Illumination usin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6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using light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7Ligh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5Throat; Pharyn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56Epiglott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광유도 주입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광유도 주입 장치는, 주사바늘, 환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 발생기,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통과하는 제1 광케이블, 및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상기 환부에 제공되는 동안 상기 환부에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유도 주입 장치{Light guide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경피적 성대 주입술에 사용되는 광유도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구강 주입술은 전신마취하 혹은 부분마취하에 시행되나, 최근에는 대부분 외래에서 부분마취하에 적응된다. 이 시술방법은 구강 및 구인두, 하인두 및 후두 전반에 걸쳐 점막마취를 시행한 뒤 경구강후두 내시경(telescope)을 사용하여 성대를 모니터 하면서 구강을 통하여 성대 상연에 직접 주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성대를 직접 보고 정확한 위치를 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비해 충분한 점막마취가 필요하고, 환자의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성대에 직접 조작을 하므로 구역반사뿐 아니라 후두반사를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마취가 요구된다.
특히, 후두개(epiglottis)의 후두면(laryngeal side)은 민감한 후두반사를 보이고, 시술 중 기구의 접촉이 많은 부위이고, 시술 중에 환자에게 자극을 주어 후두경련(laryngeal spasm)이나 혈관미주신경성 실신(vasovagal syncope)등으로 인한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또한, 성대주입을 시작한 많은 시술자들이 점막마취 중에 리도카인독성(lidocaine toxicity)을 보이는 환자를 경험한다. 후두반사를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마취제를 성대에 점적할 경우 많은 양이 기도 점막이나 폐를 통해서 전신혈류로 흡수되고, 노인이나 간기능 장애가 있는 환자에 있어 중독량에 쉽게 도달하여 현훈, 오심, 발음이상, 시력감퇴, 강직성-간대성 발작(tonic-clonic seizure) 등을 동반하고 심한 경우 호흡부전과 의식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시술시 성대점막을 통과하므로 출혈로 인한 흡인이 발생할 수 있다. 시술시에는 기술적인 문제로서, 성대에 약물을 주입시에 위치는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주사바늘의 첨단을 보면서 주입할 수 있으나, 긴 기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로 근본적으로 조작이 어렵고, 특히 구역반사가 심한 경우에 잘못된 위치에 주입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환부에 광과 주사액을 동시에 제공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유도 주입 장치의 일 실시예는, 주사바늘, 환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 발생기,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통과하는 제1 광케이블, 및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상기 환부에 제공되는 동안 상기 환부에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입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의 외부 직경은 0.305mm 내지 1.270mm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 직경은 0.140mm 내지 0.838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케이블의 직경은 10μm 내지 200μ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의 일단에 형성된 주사바늘 첨단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상기 일단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광케이블 말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광 발생기를 연결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 발생기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광 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에 제공하는 제2 광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케이블과 상기 제2 광케이블은 상기 몸체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몸체를 결합시키는 주사바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의 내부 표면은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케이블은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주사바늘이 상기 몸체로부터 떨어지는 경우,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1 광케이블과 상기 주사바늘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광을 제공하는 광 발생기,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사기,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광이 환부에 제공되는 동안 상기 환부에 상기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사바늘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은 레이저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상기 광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 코팅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광이 조사되는 개구를 덮는 광투과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로 반사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주사기를 결합시키는 주사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는 상기 주사기 연결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구비하여, 경피적 성대 주입술에서 주사액의 주입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마취 시간 및 시술 시간의 단축, 적은 합병증, 환자의 양호한 순응도 등의 이점을 통해 시술의 안정성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이용한 경피적 성대 주입술의 시술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 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100)는 주사바늘(110), 광 발생기(120), 제1 광케이블(130), 주입부(140), 몸체(150), 고정부(151), 고정핀(152),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 주사기 연결부(154), 주사바늘 연결부(160), 제2 광케이블(170) 및 주사기(18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바늘(110)은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바늘(110)은 주사바늘 첨단부(111) 및 주사바늘 연결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사바늘(110)은 내부에 제1 광케이블(130) 및 주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사바늘(110)의 외부 직경(d1)은 0.305mm(30 Gauge needle) 내지 1.270mm(18 Gauge need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직경(d1)이 0.305mm보다 작으면, 주사바늘(110) 내부에 포함된 제1 광케이블(130) 및 주입부(140)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사바늘 첨단부(111)의 위치를 내시경으로 탐색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주사액의 점도가 높은 경우, 주사액의 주입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주입부(140)는 주사액을 환자의 환부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또한, 주사바늘(110)의 내부에 배치된 제1 광케이블(130)의 직경이 작아지면, 광을 환자의 환부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바늘(110)의 외부 직경(d1)은 0.305mm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외부 직경(d1)이 1.270mm보다 크면, 환자의 환부의 주변 조직의 손상 또는 출혈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바늘(110)의 외부 직경(d1)은 1.270mm보다 클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사바늘(110)의 내부 직경(d2)은 0.140mm(30 Gauge needle) 내지 0.838mm(18 Gauge need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바늘(110)의 내부 직경(d2)이 0.140mm보다 작으면, 주사바늘(110) 내부에 포함된 제1 광케이블(130) 및 주입부(140)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사액 및 광은 환자의 환부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바늘(110)의 내부 직경(d2)은 0.140mm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주사바늘(110)의 내부 직경(d2)이 0.838mm보다 크면, 주사바늘(110)외 외부 직경의 증가로 인해 주변 조직의 손상 또는 출혈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주사바늘(110)의 외부 직경(d2)은 0.838mm보다 클 수 있다.
주사바늘(110)은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부에 광 및 주사액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바늘(110)은 환자의 환부에 광을 조사함과 동시에 주사액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광과 주사액은 따로 제공될 수 있다.
주사바늘 첨단부(111)는 주사바늘(1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바늘 첨단부(111)는 끝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주사바늘(110)이 환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60)는 주사바늘(110)의 일단과 대응하는 주사바늘(1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10)는 주사바늘(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사바늘 연결부(160)는 몸체(150)로부터 제공된 광 및 주사액을 주사바늘(110)에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60)는 몸체(150)와 연결될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60)가 몸체(150)와 연결되는 부분은, 주사바늘 연결부(16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는 고정부(151)에 의해 몸체(150)와 결합될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60)는 몸체(15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용 주사바늘(110)이 사용될 수 있고,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경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주사바늘 연결부(160)는 몸체(150)로부터 제공된 광을 주사바늘 연결부(160)의 내부로 반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몸체(150)로부터 제공된 광은 주사바늘(1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케이블(130)은 주사바늘(110) 내부의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광케이블(130)은 주사바늘(110) 내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광케이블(130)은 주사바늘(110) 내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광케이블(130)은 주사바늘(1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광케이블(130)의 직경(d3)은 10μm 내지 200μ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광케이블(130)의 직경(d3)이 10μm보다 작으면, 광이 전달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광케이블(130)의 직경(d3)이 200μm보다 크면, 주사바늘(110) 내부에서 제1 광케이블(130)이 차지하는 영역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직경이 큰 주사바늘(110)을 사용하거나, 또는 주사바늘(110) 내부의 주입부(140)가 차지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불이익이 있을 수 있다.
제1 광케이블(130)은 심(Core), 클래드(Clad) 및 재킷(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심은 매우 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섬유일 수 있다. 클래드는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케블라(kevlar) 섬유일 수 있다. 클래드는 광섬유의 빛 펄스로서 외부 전류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심과 다른 광 특성을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재킷은 광섬유 다발의 최외곽층으로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광케이블(130)을 습기, 마모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광케이블(130)은 몸체(150)로부터 제공된 광을 제1 광케이블(130) 내부로 전반사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은 환자의 환부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광케이블(130)은 주사바늘 첨단부(111)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1 광케이블 말단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첨단부(111)는 제1 광케이블 말단부(131)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사바늘 첨단부(111)가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경우, 주사바늘 첨단부(111)가 제1 광케이블 말단부(131)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환자의 환부로 삽입될 수 있다.
주입부(140)는 주사바늘(110) 내부에서 제1 광케이블(13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입부(140)는 제1 광케이블(130)과 주사바늘(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주입부(140)는 주사바늘(110) 내부에서 제1 광케이블(130)과 독립된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주입부(140)는 몸체(150)로부터 제공된 주사액을 환자의 환부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입부(140)는 환자의 환부에 광이 조사되는 것과 동시에 주사액을 환자의 환부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광과 주사액은 따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50)는 고정부(151), 고정부 핀(152),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 및 주사기 연결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50)는 주사액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몸체(150)는 주사바늘 연결부(160), 주사기(180) 및 광 발생기(120)를 연결할 수 있다. 몸체(150)는 내부에 제2 광케이블(17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광케이블(170)은 몸체(150) 내부에 미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51)는 주사바늘 연결부(160)와 결합되는 몸체(15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51)의 일부는 몸체(150)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51)는 주사바늘 연결부(160)와 결합되어 주사바늘(110)을 몸체(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주사바늘(110)은 고정부(151) 및 주사바늘 연결부(160)에 의해 몸체(15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용 주사바늘(110)을 사용될 수 있다.
고정핀(152)은 주사바늘 연결부(160)과 결합되는 부분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52)은 고정부(151)와 몸체(150)가 이격된 부분에서, 몸체(15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핀(152)은 몸체(150)와 주사바늘 연결부(160)가 결합되는 경우, 주사바늘 연결부(160)의 일단에 돌출되도록 배치된 돌출부와 결합하여 주사바늘(160) 연결부를 몸체(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핀(152)이 주사바늘 연결부(160)의 돌출부와 이격되는 경우, 주사바늘(160) 연결부는 몸체(15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사바늘(110)은 몸체(15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는 몸체(150)의 측면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는 제2 광케이블(170)과 몸체(150)를 연결할 수 있고, 제2 광케이블(170)을 몸체(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주사기 연결부(154)는 몸체(154)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사기 연결부(154)는 고정부(151)가 배치된 몸체(150)의 일단과 대응하는 몸체(15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주사기 연결부(154)는 몸체(15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를 통해 주사기(180)와 결합될 수 있고, 주사기(180)로부터 제공된 주사액이 몸체(1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주사기 연결부(154)는 주사기(180)를 몸체(15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일회용 주사기(180)가 사용될 수 있고,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경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광 발생기(120)는 몸체(15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발생기(120)의 배치 위치는 특정되지 않고, 몸체(15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광 발생기(120)는 몸체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광 발생기(120)는 광을 생성하여 몸체(150)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광 발생기(120)는 레이저 발생기를 채용할 수 있다. 광으로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직경이 작은 광케이블을 사용하더라도 광을 효과적으로 광케이블의 말단부까지 전달할 수 있어, 시술시에 유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광 발생기(120)는 할로겐 램프, 제논 램프 또는 발광 다이오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2 광케이블(170)은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와 광 발생기(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170)은 광 발생기(120)에서 생성된 광을 몸체(150) 내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170)은 심(Core), 클래드(Clad) 및 재킷(Jacket)을 포함할 수 있다. 심은 매우 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광섬유일 수 있다. 클래드는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케블라(kevlar) 섬유일 수 있다. 클래드는 광섬유의 빛 펄스로서 외부 전류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심과 다른 광 특성을 갖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재킷은 광섬유 다발의 최외곽층으로서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광케이블(120)을 습기, 마모 또는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170)의 직경은 제1 광케이블(130)과 달리 직경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2 광케이블(170)은 몸체(150)의 측면에 배치된 제2 광케이블 연결부(153)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2 광케이블(170)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케이블(170)은 광 발생기(120)에서 생성된 광을 몸체(150) 내부에 효율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제2 광케이블(170)의 직경을 결정할 수 있다.
제2 광케이블(170)의 일부는 몸체(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광케이블(170)은 몸체(150) 내부에서 주사바늘 연결부(160)와 결합되는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150) 내부가 광을 반사시키지 않더라도 주사바늘(110)에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2 광케이블(170)이 몸체(150) 내부에서 몸체(150)의 측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광케이블(170)은 몸체(150) 내부의 측벽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주사기(180)는 몸체(150)의 일단에 배치된 주사기 연결부(154)와 결합될 수 있다. 주사기(18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주사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경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이용한 경피적 성대 주입술의 시술 방법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이용한 경피적 성대 주입술의 시술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성대 외측 피부에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주사바늘(110)을 삽입할 수 있다(S110). 주사바늘(110) 삽입 전에 시행하는 마취는, 피부마취 및 내시경 삽입을 위한 마취 등의 국소마취가 사용될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과정을 모니터할 수 있는 내시경을 구강내로 삽입할 수 있다.
시술자는 주사바늘(110) 내부의 제1 광케이블(130)을 통해 제공된 광을 이용하여 목표하는 환자의 환부를 탐지할 수 있다(S120). 이로 인해, 시술자는 별도의 광원 없이 주사바늘 첨단부(111)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이 적은 광원을 사용함으로써 환자의 내부 조직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시술자는 광을 이용하여 목표하는 환자의 환부를 탐지한 후에, 광의 조사를 유지하면서 목표하는 환자의 환부에 주사바늘 첨단부(111)를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시술자는 환부에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다(S130). 이 경우, 환부에 광을 조사하는 과정과 주사액 주입 과정을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광과 주사액은 따로 제공될 수 있다.
시술자는 시술 중에 동일한 환부에 주사액을 재주입하는 경우, 상술한 시술 방법에 따라 목표하는 환자의 환부에 주사액을 재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만으로 시술할 수 있다. 또한, 경구강 주입술과 비교하여 길이가 3cm 정도인 일반 주사바늘로도 시술이 가능할 수 있고, 목표하는 환자의 환부에 정확히 주사액을 주입할 수 있어 후두경련, 리도카인 독성, 출혈로 인한 흡입 및 혈관미주신경성 실신 등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시술시간 및 마취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환자의 순응도가 향상될 수 있고, 합병증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점들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환자의 외래 진료에서 효과적으로 성대 주입술을 시술할 수 있다.
경피적 성대 주입술은 후두점막을 통과하지 않고 점막하 혹은 근육내 주입을 하기 때문에, 경구주입술과 비교하여 후두반사, 후두경련의 가능성이 적어, 최근에 적응이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 경윤상갑상막 접근법이 있는데, 이 경우 주사바늘의 끝을 보면서 주입하는 경구주입법과는 달리, 주사바늘을 움직이면서 그 위치를 가늠하므로 상대적으로 굵은 크기의 바늘(24~25게이지)이 사용될 수 있다.
경피적 성대 주입술은 경구강주입법과 마찬가지로 성대나 후두개 부위의 마취는 불필요할 수 있고, 진정제의 투여 역시 불필요할 수 있다. 시술 보조자는 강직후두경 또는 굴곡후두경을 통해 시술자에게 성대를 보여 주어야 하고, 시술자는 환자의 옆에서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윤상갑상막을 통과한 주사바늘은 성문주위조직 내로 이동할 수 있다. 기도점막으로 주사바늘이 돌출되면 주사바늘의 위치를 재조절하여 다시 진행시킬 수 있다.
전교련(anterior commissure)부분의 성문하부는 성문주위조직이 없어 정중선으로 바늘을 삽입할 경우 기도점막을 관통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시술자는 모니터를 통해 환자의 성대를 관찰하면서 광유도 주입 장치를 좌우 및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성대 내의 주사바늘의 첨단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경피적 성대 주입술은 경구강주입술과 비교하여 짧은 시술시간, 시술의 안정성 및 외래에서의 시술 용이성 등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경피적 성대 주입술은 경구강주입술과 비교하여, 주사액의 주입시에 바늘 끝을 보면서 시술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주사바늘의 첨단의 정확한 위치는 주사바늘을 움직여서 점막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성대 주입술의 시술시 질환과 약물에 따라 목표해야 하는 성대의 미세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대마비의 경우는 충분한 성대의 용적을 확대하면서, 점막진동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하여 근육내(intramuscular) 주입이 필요할 수 있다. 성대결절이나 성대물혹의 경우에는 점막병변이므로 점막하(submucosal)로 직접 약물을 주입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단면도다.
도 7을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200)는 주사바늘(210), 광 발생기(220), 주입부(240), 몸체(250), 고정부(251), 고정핀(252), 광케이블 연결부(253), 주사기 연결부(254), 주사바늘 연결부(260), 광케이블(270) 및 주사기(2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2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하나의 광케이블(27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유도 주입 장치(100)의 제1 및 제2 광케이블(130, 170)이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과 달리, 광케이블(270)은 하나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광 발생기(220)와 광케이블 연결부(253)을 연결하는 광케이블(270)이 몸체(250) 내부, 주사바늘 연결부(260) 내부 및 주사바늘(210) 내부로 끊어지지 않고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케이블(230)은 주사바늘 첨단부(211)와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광케이블 말단부(2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바늘 첨단부(211)는 광케이블 말단부(231)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사바늘 첨단부(211)가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는 경우, 주사바늘 첨단부(211)가 광케이블 말단부(231)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환자의 환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사바늘(210)은 광케이블(270)을 제외한 주입부(240) 및 주사바늘 연결부(26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광케이블(270)은 몸체(250)와 연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사바늘(210)이 이탈하는 경우, 광케이블(270)을 제외한 주사바늘(270)의 나머지 부분만이 이탈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2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제1 광케이블(130)을 포함하지 않는 주사바늘(210)을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주사바늘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바늘의 단면도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주사바늘(310), 광 발생기(320), 주입부(340), 몸체(350), 고정부(351), 고정핀(352), 광케이블 연결부(353), 주사기 연결부(354), 전반사 코팅막(355), 주사바늘 연결부(360), 반사막(361), 광케이블(370) 및 주사기(3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광케이블(370)이 몸체(350) 내부, 주사바늘 연결부(360) 내부 및 주사바늘(310) 내부에 미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몸체의 내부에 전반사 코팅막(3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355)은 몸체(35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355)은 광케이블(37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몸체(350) 내부에 광케이블이 미존재하는 경우에도 광을 주사바늘(31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바늘(310)은 몸체(350)로부터 제공된 광을 반사시켜 환자의 환부에 제공할 수 있다.
광케이블(370)은 광 발생기(320)와 광케이블 연결부(353)를 연결하고, 광케이블(370)의 일단이 몸체(350) 내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주사바늘 연결부(360)의 내부에 반사막(3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막(361)은 주사바늘 연결부(36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막(361)은 몸체(350)로부터 제공된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주사바늘 연결부(360) 내부에 광케이블이 미존재하는 경우에도 광을 주사바늘(310)에 제공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제1 광케이블(130)을 포함하지 않는 주사바늘(310)을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주사바늘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300)는 광유도 주입 장치(200)와 달리, 몸체(250) 외부로 돌출된 광케이블(270)을 미포함하여 주사바늘(210)이 이탈하는 경우, 노출된 광케이블(270)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400)는 주사바늘(410), 광 발생기(420), 주입부(440), 몸체(450), 광케이블 연결부(453), 주사기 연결부(454), 전반사 코팅막(455), 광케이블(470) 및 주사기(4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4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광케이블(470)이 몸체(450) 내부 및 주사바늘(410) 내부에 미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4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고정부(151), 고정핀(152) 및 주사바늘 연결부(160)를 미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유도 주입 장치(400)는 주사바늘(410)과 몸체(4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사바늘(410)과 몸체(450)의 탈착이 불가능하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4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몸체의 내부에 전반사 코팅막(4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455)은 몸체(45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455)은 광케이브(470)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전반사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몸체(450) 내부에 광케이블이 미존재하는 경우에도 광을 주사바늘(410)에 제공할 수 있다. 주사바늘(410)은 몸체(450)로부터 제공된 광을 반사시켜 환자의 환부에 제공할 수 있다.
광케이블(470)은 광 발생기(420)와 광케이블 연결부(453)를 연결하고, 광케이블(470)의 일단이 몸체(450) 내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500)는 주사바늘(510), 광 발생기(520), 주입부(540), 몸체(550), 고정부(551), 고정핀(552), 주사기 연결부(554), 전반사 코팅막(555), 광투과막(556), 주사바늘 연결부(560), 반사막(561) 및 주사기(5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5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제1 및 제2 광케이블(130, 170)을 미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케이블이 몸체(550) 내부, 주사바늘 연결부(560) 내부 및 주사바늘(510) 내부에 미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 발생기(520)는 몸체(55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광 발생기(520)는 몸체(55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광 발생기(520)는 광투과막(556)을 통해 몸체(55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광투과막(556)은 몸체(55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 발생기(520)에서 생성된 광은 광투과막(556)을 통해 몸체(55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광투과막(556)은 몸체(550) 내부의 주사액이 광 발생기(5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5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몸체의 내부에 전반사 코팅막(5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555)은 몸체(55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주사바늘 연결부(560)의 내부에 반사막(5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막(561)은 주사바늘 연결부(56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5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제1 광케이블(130)을 포함하지 않는 주사바늘(510)을 사용할 수 있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주사바늘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500)는 광 발생기(520)를 몸체(550)에 연결하는 광케이블을 미포함하고, 광 발생기(520)를 몸체(550)의 측면에 배치시킴으로써 광유도 주입 장치(500)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유도 주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광유도 주입 장치(600)는 주사바늘(610), 광 발생기(620), 주입부(640), 몸체(650), 주사기 연결부(654), 전반사 코팅막(655), 광투과막(656) 및 주사기(68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유도 주입 장치(6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제1 및 제2 광케이블(130, 170)을 미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케이블이 몸체(650) 내부 및 주사바늘(410) 내부에 미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600)는 고정부(151), 고정핀(152) 및 주사바늘 연결부(160)를 미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유도 주입 장치(600)는 주사바늘(610)과 몸체(6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사바늘(610)과 몸체(650)의 탈착이 불가능하다.
광 발생기(620)는 몸체(650)의 측면에 배치되어 몸체(650)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광 발생기(620)는 광투과막(656)을 통해 몸체(65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광투과막(656)은 몸체(65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유도 주입 장치(600)는 광유도 주입 장치(100)와 달리, 몸체의 내부에 전반사 코팅막(6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반사 코팅막(655)은 몸체(650) 내부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주사바늘 120: 광 발생기
130: 제1 광케이블 140: 주입부
150: 몸체 160: 주사바늘 연결부
170: 제2 광케이블 180: 광 발생기

Claims (20)

  1. 주사바늘;
    환부에 광을 제공하는 광 발생기;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광 발생기를 연결하는 몸체;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통과하는 제1 광케이블;
    상기 광 발생기와 상기 몸체를 연결하고, 상기 제1 광케이블과 상기 몸체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광 발생기로부터 생성된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에 제공하는 제2 광케이블; 및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상기 환부에 제공되는 동안 상기 환부에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입부를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외부 직경은 0.305mm 내지 1.270mm인 광유도 주입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 직경은 0.140mm 내지 0.838mm인 광유도 주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케이블의 직경은 10μm 내지 200μm인 광유도 주입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일단에 형성된 주사바늘 첨단부는, 상기 주사바늘의 상기 일단과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광케이블 말단부보다 더 돌출된 광유도 주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과 상기 몸체를 결합시키는 주사바늘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는 상기 몸체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광유도 주입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의 내부 표면은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주사바늘 연결부를 상기 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2. 삭제
  13.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광을 제공하는 광 발생기;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에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사기;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고, 상기 광이 환부에 제공되는 동안 상기 환부에 상기 주사액을 제공하는 주사바늘;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이 통과하는 제1 광케이블; 및
    상기 광 발생기와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고, 상기 제1 광케이블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광 발생기로부터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에 제공하는 제2 광케이블을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레이저인 광유도 주입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광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반사시키는 광유도 주입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표면은 상기 광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 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조사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이 조사되는 개구를 덮는 광투과막을 더 포함하는 광유도 주입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바늘은 상기 광을 상기 주사바늘의 내부로 반사시키는 광유도 주입 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주사기를 결합시키는 주사기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사기는 상기 주사기 연결부로부터 탈착이 가능한 광유도 주입 장치.
KR1020150124856A 2015-09-03 2015-09-03 광유도 주입 장치 KR10169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56A KR101699229B1 (ko) 2015-09-03 2015-09-03 광유도 주입 장치
EP16842159.2A EP3345642A4 (en) 2015-09-03 2016-08-18 OPTICALLY INDUCED INJECTION DEVICE
US15/536,419 US10342931B2 (en) 2015-09-03 2016-08-18 Optically induced injection device
PCT/KR2016/009067 WO2017039193A1 (ko) 2015-09-03 2016-08-18 광유도 주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856A KR101699229B1 (ko) 2015-09-03 2015-09-03 광유도 주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9229B1 true KR101699229B1 (ko) 2017-01-25

Family

ID=5799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856A KR101699229B1 (ko) 2015-09-03 2015-09-03 광유도 주입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2931B2 (ko)
EP (1) EP3345642A4 (ko)
KR (1) KR101699229B1 (ko)
WO (1) WO20170391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554A (ko) * 2019-02-27 2020-09-08 이동채 통증 및 피부 치료기
KR20220094982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솔메딕스 포터블 광 유도 주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229B1 (ko) 2015-09-03 2017-01-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유도 주입 장치
CN111419466A (zh) * 2020-03-05 2020-07-17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用于实验用动物的一体式气道注射装置及其使用方法
US20230181022A1 (en) * 2021-12-10 2023-06-15 Bear Creek Medical Llc Laryngoscope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243A (en) * 1985-04-08 1986-11-2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Endoscope having a reusable eyepiece and a disposable distal section
US5183031A (en) * 1991-05-13 1993-02-02 Rossoff Leonard J Fiberoptic intubating laryngoscope
JP2000312719A (ja) * 1999-04-30 2000-11-14 Kazuhiro Ishizaka 発光型注入針
US20140135630A1 (en) * 2006-07-10 2014-05-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Optical spectroscopic injection need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841A (en) * 1997-01-22 1998-09-22 Minrad Inc. Energy guided apparatus and method with indication of alignment
EP1639948B1 (en) * 1998-12-11 2012-02-29 Boston Scientific Limited Apparatus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tract and kit for same
SE0501077L (sv) * 2005-05-12 2006-11-13 Spectracure Ab Anordning för fotodynamisk diagnos eller behandling
US20070202186A1 (en) * 2006-02-22 2007-08-30 Iscience Interventional Corporation Apparatus and formulations for suprachoroidal drug delivery
JP2012515603A (ja) * 2009-01-27 2012-07-12 サイレンシード リミテッド インプラント送達の方法とシステム
JP2015512711A (ja) * 2012-03-30 2015-04-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医療用針
KR101699229B1 (ko) 2015-09-03 2017-01-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유도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4243A (en) * 1985-04-08 1986-11-25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Endoscope having a reusable eyepiece and a disposable distal section
US5183031A (en) * 1991-05-13 1993-02-02 Rossoff Leonard J Fiberoptic intubating laryngoscope
JP2000312719A (ja) * 1999-04-30 2000-11-14 Kazuhiro Ishizaka 発光型注入針
US20140135630A1 (en) * 2006-07-10 2014-05-15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Optical spectroscopic injection need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554A (ko) * 2019-02-27 2020-09-08 이동채 통증 및 피부 치료기
KR102238015B1 (ko) * 2019-02-27 2021-04-12 이동채 통증 및 피부 치료기
KR20220094982A (ko) 2020-12-29 2022-07-06 주식회사 솔메딕스 포터블 광 유도 주입 장치
WO2022146006A1 (ko) 2020-12-29 2022-07-07 주식회사 솔메딕스 포터블 광 유도 주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85591A1 (en) 2018-07-05
WO2017039193A1 (ko) 2017-03-09
US10342931B2 (en) 2019-07-09
EP3345642A4 (en) 2019-07-10
EP3345642A1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229B1 (ko) 광유도 주입 장치
US9033952B2 (en) Puncture needle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80108979A1 (en) Flush Tip Illuminating Laser Probe Treatment Apparatus
WO1995018643A1 (en) Easy intubator
JP2012523924A (ja) ビデオ喉頭鏡システム及び装置
WO1999027840A1 (en) Intubation instrument
JP2009542419A (ja) 光学スペクトロスコピー注射針
JP2005143756A (ja) 経口エアウェイ、及び気道確保補助器具
CN113082454B (zh) 具有发光光纤的套管
CN107847106B (zh) 插入设备和具有插入设备的内窥镜
KR101260228B1 (ko) 내시경 인젝터 처치기구
JP2006087841A (ja) 挿管支援具および挿管支援装置
CN108245740A (zh) 光纤注射及抽吸装置
Filauro et al. Office-based procedures in laryngology
Benjamin Anesthesia for laryngoscopy
WO2023216887A1 (zh) 一种可视化插管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852791A (zh) 光棒引导喉镜
KR101245435B1 (ko) 오염 방지부를 구비한 후두경
JP2012128018A (ja) 中空導波路、及びレーザ治療器具
JP7250151B2 (ja) 喉頭マスク
CN211301657U (zh) 一种可视吸痰管
KR101884671B1 (ko) 소형동물용 기도삽관 보조기구 및 이를 이용한 기도삽관 방법
CN215457916U (zh) 一种柔性可通体发光的瘘管探条
JPS61244334A (ja) 体腔内超音波診断装置
CN217090816U (zh) 一种用于内镜带有注射针的圈套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