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946B1 - 팬 - Google Patents
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8946B1 KR101698946B1 KR1020147002773A KR20147002773A KR101698946B1 KR 101698946 B1 KR101698946 B1 KR 101698946B1 KR 1020147002773 A KR1020147002773 A KR 1020147002773A KR 20147002773 A KR20147002773 A KR 20147002773A KR 101698946 B1 KR101698946 B1 KR 1016989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mpeller
- outlet
- air flow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0279 gene sile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84 sile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는 내부 통로를 갖는 환형 케이싱을 포함한다. 내부 통로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며, 이 공기 입구로부터 하류에서, 공기 입구를 통해 공기 유동을 팬 어셈블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한 임펠러와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수용한다. 내부 통로는 또한 공기 출구를 가지며,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 부분이 그 공기 출구로부터 팬 어셈블리에서 배출된다. 환형 케이싱은 내부 통로가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보어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이차 공기 유동이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보어를 통과해 끌려 들어가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천장 팬에 관한 것이다.
많은 천장 팬이 알려져 있다. 표준 천장 팬은 제 1 축선 둘레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세트 및 이 블레이드 세트를 회전시키기 위해 역시 상기 제 1 축선 둘레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제 1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이 팬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갖는 내부 통로를 갖는 환형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로부터 하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상기 팬 어셈블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 임펠러 및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가지며,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 부분이 그 공기 출구로부터 팬 어셈블리에서 배출되며, 상기 환형 케이싱은 상기 내부 통로가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보어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이차 공기 유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보어를 통과해 끌려 들어가게 된다.
환형 케이싱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이하, 일차 공기 유동이라고 함)가 환형 케이싱 주변의 공기를 동반하게 되며, 그래서 팬 어셈블리는 일차 공기 유동 및 동반된 공기 모두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공기 증폭기로서 작용한다. 동반된 공기를 이하 이차 공기 유동이라고 할 것이다. 이차 공기 유동은 방 공간, 환형 케이싱 주위의 영역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끌려 들어오게 된다. 상기 일차 공기 유동은 동반된 이차 공기 유동과 결합하여, 환형 케이싱에서 앞으로 내보내지는 결합된 또는 총 공기 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팬 어셈블리에 컴팩트한 외양을 주기 위해, 임펠러 및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환형 케이싱의 내부 통로 내에 위치된다. 또한, 모터와 임펠러를 내부 통로 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임펠러 및 내부 통로에 있어서 공기 출구(들)를 포함하는 부분 사이에서 공기 유동 방향의 갑작스런 변화가 최소화될 수 있고, 그리하여, 공기 유동이 내부 통로의 상기 부분 안으로 들어갈 때 그 공기 유동의 에너지 손실이 줄어들며 또한 그래서 임펠러로부터 공기 출구(들)로 가는 공기 유동의 효율이 증가된다.
상기 환형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어를 형성하는 제 1 환형 측벽, 이 제 1 측벽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제 2 측벽, 상부 벽 및 하부 벽을 포함한다. 공기 출구(들)는 하부 벽과 제 1 측벽 사이에 또는 하부 벽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 출구(들)는 일차 공기 유동을 바람직하게는 외향 테이퍼형 원추의 형상으로 보어 축선에서 멀어지게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보어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차 공기 유동을 환형 케이싱으로부터 배출하면, 이차 공기 유동이 일차 공기 유동에 동반되는 정도가 증가될 수 있고 그래서 팬 어셈블레에 의해 발생되는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여기서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의 절대값 또는 상대값 또는 최대 속도는,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의 직경의 3배가 되는 거리에서 기록할 때의 그들 값에 관한 것이다.
어떤 이론의 제약을 받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일차 공기 유동에 의한 이차 공기 유동의 동반률은, 환형 케이싱에서 배출되는 일차 공기 유동의 외부 프로파일의 표면적 크기와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일차 공기 유동이 외향으로 테이퍼져 있거나 벌어져 있으면, 상기 외부 프로파일의 표면적이 비교적 크게 되어, 일차 공기 유동과 환형 케이싱 주위에 있는 공기의 혼합이 촉진되고 그래서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이 증가된다. 환형 케이싱에 의해 발생된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이 증가되면, 그 결합된 공기 유동의 최대 속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리하여, 팬 어셈블리는 방 또는 사무실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천장 팬으로서 사용되기게 적합하게 된다.
제 1 측벽은 바람직하게는 하부 벽에 인접한 부분을 포함하는데, 이 부분은 보어 축선에서 멀어지게 테이퍼지는 방향으로 하부 벽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어 축선에 대한 측벽의 상기 부분의 기울기 각도는 0 ∼ 45°이다.
측벽의 상기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공기 출구(들)는 상기 측벽의 이 부분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일차 공기 유동을 배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벽의 이 부분은 하부 끝벽과 함께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들)를 형성할 수 있다. 측벽의 이 부분은 하부 벽의 일 부분과 일체적으로 될 수 있다.
공기 출구(들)는 바람직하게는 보어 축선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환형 케이싱은 보어 축선 둘레로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데, 하지만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환형 케이싱은 원형 공기 출구를 포함하며, 이때 보어 축선은 그 공기 출구의 중심을 통과하게 된다. 내부 통로에 있어서 공기 출구에 인접해 있는 부분은, 일차 공기 유동이 보어 축선에서 멀어지게 향하도록 일차 공기 유동을 공기 출구를 통해 보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의 공기 입구 또는 이 공기 입구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내부 통로는 공기 입구(들)를 포함하는 입구부 및 이 입구부로부터 하류에 위치되고 공기 출구(들)를 포함하는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출구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연장되어 있어 환형 케이싱의 환형 형상을 유지하며, 입구부와 출구부 사이의 겹침 정도에 따라 환형 케이싱은 이 환형 케이싱의 보어 둘레에 연장되는 코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통로의 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보어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출구부의 단면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보어 둘레에서 변한다. 공기 유동이 출구부를 통과할 때, 그 출구부 내에 남아 있는 공기 유동의 유량은 공기가 환형 케이싱에서 배출됨에 따라 보어 둘레에서 감소하게 된다. 출구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공기 유동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출구부의 단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입구부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으로 감소된다. 출구부 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공기 유동 속도를 유지함으로써, 출구부에서 일차 공기 유동이 배출되는 속도는 보어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팬 어셈블리에 의해 발생되는 결합된 공기 유동의 속도는 보어 축선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될 수 있다.
출구부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출구부의 단면적은 많은 방식들 중의 하나로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벽과 하부 벽 사이의 거리가 보어 둘레에서 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의 거리는 보어 둘레에서 변할 수 있는데, 이 후자의 대안예가 출구부가 보어 둘레에서 균일한 높이를 갖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이다. 출구부의 단면적이 보어 둘레에서 변할 때, 그 출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롤부의 형태로 되어 있고, 스크롤 입구부에서 스크롤 출구부로 가면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다. 스크롤 입구부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스크롤 출구부는 공기 유동의 일 부분을 스크롤 입구부에 되돌려 보내기 위한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이는 보어 둘레에서 일정한 일차 공기 유동 속도를 유지하는데 더 도움이 될 수 있다.
제 2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이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을 팬 어셈블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한 임펠러와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내부 통로를 갖는 환형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부는 스크롤 입구부에서 스크롤 출구부로 가면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가지며, 스크롤 입구부는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스크롤 출구부는 공기 유동의 제 1 부분을 스크롤 입구부에 되돌려 보내기 위한 출구 포트를 포함하고, 스크롤부는 환형 케이싱으로부터 공기 유동의 제 2 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가지며, 환형 케이싱은 보어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보어를 통과해 끌려 들어가게 된다.
출구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입구 포트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공기 유동의 제 1 부분이 스크롤 입구부에 다시 들어가는 방향이 공기 유동이 그 스크롤 입구부에 들어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도록, 입구 포트와 출구 포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내에 있다,
임펠러와 모터는 바람직하게는 입구부 내에 위치된다. 임펠러와 모터는 그 입구부 내의 어떤 원하는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입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임펠러와 모터를 수용하는 임펠러 하우징부를 포함한다. 이 임펠러 하우징부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통로의 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보어 둘레에 연장되도록, 바람직하게는 임펠러의 축선이 환형 케이싱의 보어와 교차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출구부의 반경 방향 외측에 위치된다. 임펠러 하우징부는 환형 케이싱의 출구부와는 다른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내부 통로는 임펠러 하우징부를 출구부에 연결하는 가변적인 단면의 중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부는 일반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그래서 중간부의 단면은 그 중간부의 일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원형 이고 다른 단부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내부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입구(들)에서 임펠러 하우징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도관부를 포함한다. 이 도관부는 출구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연장되어 환형 케이싱의 환형 형상을 유지하고 그래서 아치형으로 될 수 있다.
공기 유입부는 공기 유동이 그 공기 유입부 안으로 끌려 들어갈 때 통과하게 되는 단일의 공기 입구 또는 복수의 공기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입구는 바람직하게는 도관부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이 공기 입구는, 환형 케이싱의 보어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팬 어셈블리 안으로 도입시키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접선 방향 공기 입구이다. 이리하여, 공기 유동은 이 공기 유동의 어떤 급격한 방향 변화도 없이 환형 케이싱의 내부 통로에 들어갈 수 있다.
제 3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바, 이 팬 어셈블리는 공기 유동을 상기 팬 어셈블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해 임펠러 및 이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그리고 연속적인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환형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공기 유동이 그 내부 통로에 들어갈 때 통과하게 되는 접선 방향 공기 입구 및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 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가지며, 상기 환형 케이싱은 내부 통로가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보어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보어를 통과해 끌려 들어가게 된다.
상기 임펠러는 임펠러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보어는 보어 축선을 가지며, 이 보어 축선은 상기 임펠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입구부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임펠러는 바람직하게는 축류 임펠러이며, 하지만 임펠러는 혼합류 임펠러일 수도 있다. 입구부는 바람직하게는 임펠러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데, 이 디퓨저는 공기 유동을 환형 케이싱의 출구부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팬 어셈블리는 환형 케이싱을 방의 천장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이 지지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방의 천장에 부착될 수 있는 설치판을 포함한다. 임펠러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설치판에 대해 90°미만의 각도로 있다. 임펠러 축선은 더 바람직하게는 설치판에 대해 45°미만의 각도로 있으며, 그 설치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각도로 있을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어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임펠러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데, 이리하여, 임펠러 축선이 설치판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한 그래서 그 설치판이 부착되는 수평 천장에도 실질적으로 평행할 때 팬 어셈블리는 비교적 얕은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은 천장에 비교적 가깝게 위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사용자 또는 그 사용자가 지니고 있는 물건이 환형 케이싱과 접촉할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부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케이싱, 모터와 임펠러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쉬라우드, 및 그 쉬라우드를 외부 케이싱 내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를 포함한다. 쉬라우드와 외부 케이싱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설치 장치는 외부 케이싱과 쉬라우드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설치부 및 설치부와 쉬라우드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탄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쉬라우드가 외부 케이싱과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그 쉬라우드를 외부 케이싱에 대해 위치시키는 것에 추가하여, 탄성 요소는 팬 어셈블리의 사용 중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탄성 요소는 설치부와 쉬라우드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각각의 인장 스프링은 일단부에서 쉬라우드에 연결되여 다른 단부에서는 지지부들 중의 하나에 연결된다. 인장 스프링을 인장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그 스프링의 단부들을 서로 떨어져 있게 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설치 장치는 설치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 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스페이서 링은 설치부들을 서로 떨어져 있게 하여 각 스프링의 일 단부를 다른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지시킨다.
지지 어셈블리는 팬 어셈블리의 유입부 또는 유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부의 일 단부는 지지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지지 어셈블리는 유입부에 있어서 이 유입부의 공기 입구와 임펠러 하우징부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은 바람직하게는 지지 어셈블리에 대해 회전가능하여, 사용자는 일차 공기 유동이 방 안으로 배출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은, 일차 공기 유동이 천장으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 1 방향과 일차 공기 유동이 천장 쪽으로 향하게 되는 제 2 방향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선 둘레로 지지 어셈블리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예컨대, 여름에 팬 어셈블리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그 팬 어셈블리 아래에 있는 사용자를 시원하게 하기 위한 비교적 시원한 미풍을 제공하도록 사용자는 일차 공기 유동이 팬 어셈블리가 부착되어 있는 천장으로부터 멀어지게 방 안으로 배출되도록 환형 케이싱의 방향을 잡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사용자는 팬 어셈블리 바로 아래에 미풍을 발생시키지 않고, 방 벽의 상부로 올라간 따뜻한 공기를 이동시키고 순환시키기 위해 일차 공기 유동이 천장 쪽으로 배출되도록 환형 케이싱의 방향을 180°변경하고 싶어할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은 상기 제 1 방향과 제 2 방향 사이에서 회전될 때 반대로 될 수 있다. 환형 케이싱의 회전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보어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바람직하게는 임펠러 축선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내에 있다.
지지 어셈블리는 팬 어셈블리를 천장에 설치하기 위한 천장 설치부, 이 천장 설치부에 연결되는 제 1 단부를 갖는 아암, 및 이 아암의 제 2 단부를 환형 케이싱에 연결하는 커넥터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와 관련하여 전술한 특징적 사항들은 본 발명의 제 2 및 3 양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적 사항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천장 팬의 제 1 실시예를 위에서 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 는 천장에 설치되는 도 1 의 천장 팬의 좌측면도로, 그 천장 팬의 환형 노즐이 상승 위치에 있다.
도 3 은 도 1 의 천장 팬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천장 팬의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천장 팬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도 1 의 천장 팬의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A 의 확대도로, 도 1 의 천장 팬의 공기 유입부의 모터와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B 의 확대로로, 환형 노즐의 공기 출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는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D 의 확대도로, 도 1 의 천장 팬의 천장 설치부와 지지 어셈블리의 아암 사이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은 도 6 의 선 C - C 을 따라 취한 지지 어셈블리의 천장 설치부와 아암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C 의 확대도로, 환형 노즐을 상승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잠금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선 B - B 을 따라 취한 잠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천장에 설치되는 도 1 의 천장 팬의 좌측면도로, 천장 팬의 환형 노즐이 하강 위치에 있다.
도 14 는 천장 팬의 제 2 실시예의 환형 케이싱의 상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환형 케이싱의 저면도이다.
도 16 는 도 14 의 환형 케이싱의 정면도이다.
도 17 는 도 16 의 선 K - K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상단면도이다.
도 18a 는 도 17 의 선 F - F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고, 도 18b 는 도 17 의 선 G - G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며, 도 18c 는 도 17 의 선 H - H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고, 도 18d 는 도 17 의 선 J - J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며, 도 18e 는 도 17 의 선 L - L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천장에 설치되는 도 1 의 천장 팬의 좌측면도로, 그 천장 팬의 환형 노즐이 상승 위치에 있다.
도 3 은 도 1 의 천장 팬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천장 팬의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천장 팬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A - A 을 따라 취한 도 1 의 천장 팬의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A 의 확대도로, 도 1 의 천장 팬의 공기 유입부의 모터와 임펠러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B 의 확대로로, 환형 노즐의 공기 출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는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D 의 확대도로, 도 1 의 천장 팬의 천장 설치부와 지지 어셈블리의 아암 사이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은 도 6 의 선 C - C 을 따라 취한 지지 어셈블리의 천장 설치부와 아암의 측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영역 C 의 확대도로, 환형 노즐을 상승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해제가능한 잠금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는 도 11 의 선 B - B 을 따라 취한 잠금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천장에 설치되는 도 1 의 천장 팬의 좌측면도로, 천장 팬의 환형 노즐이 하강 위치에 있다.
도 14 는 천장 팬의 제 2 실시예의 환형 케이싱의 상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환형 케이싱의 저면도이다.
도 16 는 도 14 의 환형 케이싱의 정면도이다.
도 17 는 도 16 의 선 K - K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상단면도이다.
도 18a 는 도 17 의 선 F - F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고, 도 18b 는 도 17 의 선 G - G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며, 도 18c 는 도 17 의 선 H - H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고, 도 18d 는 도 17 의 선 J - J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며, 도 18e 는 도 17 의 선 L - L 을 따라 취한 환형 케이싱의 단면도이다.
도 1 ∼ 5 는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는 방의 천장(C)에 연결될 수 있는 천장 팬(10)의 형태로 되어 있다. 천장 팬(10)은 공기 유입부(12), 공기 유출부(14) 및 방의 천장(C)에 상기 공기 유입부(12)와 공기 유출부(1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어셈블리(16)를 포함한다. 공기 유출부(14)는 공기 유입부(12)의 일 단부에 연결되는 환형 노즐의 형태로 되어 있다.
공기 유입부(12)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케이싱(18)을 포함하는데, 이 외부 케이싱은 공기 유출부(14)에서 배출되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수용한다. 도 1, 2 및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케이싱(18)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보강 리브(20)(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서로 떨어져 있음)가 형성되어 있는데, 하지만 이들 리브(20)는 외부 케이싱(18)을 형성하는 재료의 강도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 및 7 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부(12)는 천장 팬(10) 안으로 공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임펠러(22)를 수용한다. 이 임펠러(22)는 축류 임펠러의 형태로 되어 있고, 이 축류 임펠러는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과 실질적으로 동축인 임펠러 축선 둘레로 회전할 수 있다. 임펠러(22)는 모터(26)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회전축(2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모터(26)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16)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제어 회로(미도시)에 의해 변할 수 있는 속도를 갖는 DC 브러시레스(brushless) 모터이다. 모터(26)는 모터 케이싱 내부에 수용되며, 이 모터 케이싱은 전방 모터 케이싱부(28)와 후방 모터 케이싱부(30)를 포함한다. 조립 중에, 모터(26)는 먼저 전방 모터 케이싱부(28) 안으로 삽입되며 이어서 후방 모터 케이싱부(30)가 전방 케이싱부(28) 안으로 삽입되어 모터(26)를 모터 케이싱 내부에 유지시키고 지지하게 된다.
상기 공기 유입부(12)는 또한 임펠러(22)로부터 하류에 위치되어 있는 디퓨저를 수용한다. 그 디퓨저는, 이 디퓨저의 내측 원통형 벽(34)과 외측 원통형 벽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디퓨저 베인(32)을 포함한다. 상기 디퓨저는 바람직하게는 단일체로 성형되지만, 대안적으로 디퓨저는 함께 연결되는 복수의 부품 또는 부분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내측 원통형 벽(34)은 상기 모터 케이싱 둘레에 연장되어 있고 그를 지지한다. 외측 원통형 벽은 임펠러(22)와 모터 케이싱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쉬라우드(shroud; 36)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서, 쉬라우드(36)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쉬라우드(36)는 그의 일 단부에 있는 공기 입구(38) 및 다른 단부에 있는 공기 출구(40)를 포함하며, 공기 유동이 상기 공기 입구를 통해 천장 팬(10)의 유입부(12)에 들어가며 또한 그 공기 유동은 상기 공기 출구를 통해 천장 팬(10)의 공기 유입부(12)에서 배출된다. 임펠러(22)와 쉬라우드(36)는, 임펠러(22)와 모터 케이싱이 디퓨저에 의해 지지될 때 그 임펠러(22)의 블레이드 팁이 쉬라우드(36)의 내측 표면에 가까이 있되 접촉은 하지 않도록 또한 임펠러(22)가 쉬라우드(36)와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형성된다. 임펠러(22)의 회전으로 발생된 공기 유동을 쉬라우드(36)의 공기 출구(40) 쪽으로 안내하기 위한 원통형 안내 부재(42)가 디퓨저의 내측 원통형 벽(34)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유입부(12)는, 임펠러 축선이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과 실질적으로 동축이 되도록 디퓨저를 외부 케이싱(18)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를 포함한다. 이 설치 장치는 외부 케이싱(18)과 쉬라우드(36)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환형 채널(44)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설치 장치는 제 1 설치부(46) 및 길이 방향 축선(L)을 따라 그 제 1 설치부(46)로부터 축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 2 설치부(48)를 포함한다. 제 1 설치부(46)는 길이 방향 축선(L)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아치형 부재(46a, 46b)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 2 설치부(48)는 길이 방향 축선(L)을 따라 축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상호 연결된 아치형 부재(48a, 48b)를 포함한다. 각 설치부(46, 48)의 아치형 부재(46a, 48a)는 복수의 스프링 커넥터(50)를 포함하며, 이들 스프링 커넥터 각각은 각각의 인장 스프링(미도시)의 일 단부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장치는 4개의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들 아치형 부재(46a, 48a) 각각은 서로 정반대 쪽에 있는 2개의 커넥터(50)를 포함한다. 각 인장 스프링의 다른 단부는 쉬라우드(36) 안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스프링 커넥터(52)에 연결된다. 상기 설치부(46, 48)는, 인장 스프링이 커넥터(50, 52) 사이에서 인장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부(46, 48) 사이에서 환형 채널(44) 안으로 삽입되는 아치형 스페이서 링(54)에 의해 서로 떨어져 있다. 이는 모터 케이싱으로부터 외부 케이싱(18)으로의 진동 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쉬라우드(36)가 설치부(46, 48)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게 허용하면서 쉬라우드(36)와 설치부(46, 48)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 유동의 일 부분이 환형 채널(44)을 따라 쉬라우드(36)의 공기 입구(40)에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요성 시일(56)이 환형 채널(44)의 일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쉬라우드(36)의 공기 출구(42)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외부 케이싱(18)의 단부에는 환형 설치 브라켓(58)이 예컨대 볼트(60)로 연결되어 있다. 천장 팬(10)의 공기 유출부(14)의 환형 플랜지(62)가 예컨대 볼트(64)로 설치 브라켓(58)에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설치 브라켓(58)은 공기 유출부(14)와 일체적으로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출부(14)는 환형 노즐의 형태로 되어 있다. 다시 도 1 ∼ 5 를 참조하면, 그 노즐은 외측부(70) 및 상기 노즐의 상단부(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에서 외측부(70)에 연결되는 내측부(72)를 포함한다. 외측부(70)는 복수의 아치형 부분들을 포함하는데, 이들 아치형 부분들은 함께 연결되어 노즐의 환형 외부 측벽(74)을 형성하게 된다. 유사하게 상기 내측부(72)는 복수의 아치형부분들을 포함하며, 이들 아치형 부분 각각은 외측부(70)의 각각의 부분에 연결되어 노즐의 환형 내부 측벽(76)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게 된다. 내부 벽(76)은 중심 보어 축선(X) 둘레로 연장되어 있어 노즐의 보어(78)을 형성한다. 보어 축선(X)은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보어(78)은 보어 축선(X)을 따라 직경이 변하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상기 노즐은 외부 벽(74)의 일 단부와 내부 벽(76)의 일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환형 상부 벽(80) 및 외부 벽(74)의 다른 단부와 내부 벽(76)의 다른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환형 하부 벽(82)을 또한 포함한다. 상기 내측부(70)는 상부 벽(80)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간에서 외측부(72)에 연결되며, 노즐의 외측부(72)는 하부 벽(82)의 대 부분을 이룬다.
특히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노즐은 환형 유출부(84)를 또한 포함한다. 이 유출부(84)는 일반적으로 절두 원추형인 내부 벽(86)을 포함하며, 이 내부 벽은 노즐의 환형 내부 측벽(76)의 일 부분을 형성하도록 내측부(72)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내부 벽(86)은 보어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테이퍼져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벽(86)과 보어 축선(X) 사이의 각도는 약 15°이다. 상기 유출부(84)는 외측부(7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환형 외부 벽(88)을 포함하며, 이 환형 외부 벽은 노즐의 환형 하부 벽(82)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유출부(84)의 내부 벽(86) 및 외부 벽(88)은 복수의 웨브(미도시)에 의해 함께 연결되며, 이 웨브는 보어 축선(X) 둘레에 있는 내부 벽(86)과 외부 벽(88)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유출부(84)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함께 연결되는 복수의 구성 요소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내부 벽(86)은 내측부(70)와 일체적으로 될 수 있고 외부 벽(88)은 외측부(72)와 일체적으로 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 벽(86)과 외부 벽(88) 중의 하나에는, 보어 축선(X) 둘레에 있는 내부 벽(86)과 외부 벽(88) 사이의 상기 간격을 제어하기 위해 내부 벽(86)과 외부 벽(88) 중의 다른 하나와 결합하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벽(76)은, 보어 축선(X)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에어포일 표면의 일 부분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 에어포일은 노즐의 상부 벽(80)에 있는 선두 가장자리, 노즐의 하부 벽(82)에 있는 후미 가장자리 및 이들 선두 가장자리와 후미 가장자리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익현(CL)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익현(CL)은 일반적으로 보어 축선(X)에 평행하다.
노즐의 공기 출구(90)가 유출부(84)의 내부 벽(86)과 외부 벽(88) 사이에 위치된다. 도 6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공기 출구(90)는 노즐의 하부 벽(82)에서 그 노즐의 내부 벽(76)에 인접하여 있고 그래서 익현(CL)과 보어 축선(X) 사이에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기 출구(90)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슬롯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보어 축선(X)에 수직인 평면내에 위치된다. 상기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0.5 ∼ 5 mm의 비교적 일정한 폭을 갖는다.
상기 노즐을 공기 유입부(12)에 연결하기 위한 환형 플랜지(62)는 노즐의 외측부(70)의 일 부분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다. 플랜지(62)는 공기 유입부(12)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해 노즐의 공기 입구(92)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노즐의 외측부(70)의 이 부분은 공기 유동을 노즐의 환형 내부 통로(94) 안으로 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즐의 외부 벽(74), 내부 벽(76), 상부 벽(80) 및 하부 벽(82)은 함께 통로(94)를 형성하며, 이 통로는 보어 축선(X)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내부 통로(94)는 보어 축선(X)을 통과하는 평면내에서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통로(94)는 공기 유동을 공기 출구(90)를 통해 보내기 위한 공기 채널(96)을 포함한다. 이 공기 채널(96)의 폭은 공기 출구(9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채널(96)은 에어포일의 익현(CL) 및 노즐(102)의 보어 축선(X)에 대해 기울어져 있도록, 보어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D)으로 공기 출구(90)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방향(D)에 대한 보어 축선(X) 또는 익현(CL)의 기울기 각도는 어떤 값이라도 가질 수 있다. 그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0 ∼ 45°이다. 이 실시예에서, 기울기 각도는 보어 축선(X)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대략 15°이다. 그래서 보어 축선(X)에 대한 공기 채널(96)의 기울기는 보어 축선(X)에 대한 내부 벽(86)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공기 유동은 노즐의 보어 축선(X)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방향(D)으로 노즐에서 배출된다. 공기 유동은 또한 노즐(104)의 내부 벽(76)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출된다. 공기 채널(96)이 보어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그 공기 채널(96)의 형상을 제어하여, 공기 유동이 보어 축선(X)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또는 보어 축선(X) 쪽으로 기울어진 방향(D)으로 배출될 때 발생되는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에 비해, 천장 팬(10)에 의해 발생된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어떤 이론의 제약을 받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이는 비교적 큰 표면적을 갖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공기 유동의 배출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동은 일반적으로 외향 테이퍼형 원추의 형상으로 노즐로부터 배출된다. 이 증가된 표면적으로 인해 공기 유동과 노즐 주변의 공기와의 혼합이 촉진되고, 배출된 공기 유동에 주변 공기가 동반되는 정도가 증가되어 결합된 공기 유동의 유량이 증가된다.
다시 도 1 ∼ 5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 어셈블리(16)는 천장 팬(10)을 천장(C)에 설치하기 위한 천장 설치부(100) 및 아암(102)을 가지며, 이 아암은 상기 천장 설치부(100)에 연결되는 제 1 단부 및 지지 어셈블리(100)의 몸체(104)에 연결되는 제 2 단부를 갖는다. 그리고 몸체(104)는 천장 팬(10)의 공기 유입부(12)에 연결된다.
상기 천장 설치부(100)는 설치판(106)을 포함하며, 그 설치판(106)은 이 설치판에 있는 구멍(108)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스크류를 사용하여 방의 천장(C)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 및 10 을 참조하면, 천장 설치부(100)는 상기 아암(102)의 제 1 단부(110)를 설치판(106)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이 결합 어셈블리는 환형 림(114)을 갖는 결합 디스크(112)를 포함하며, 그 환형 림은 설치판(106)의 환형 홈(116)에 수용되며, 따라서 결합 디스크(112)는 회전 축선(R) 둘레로 설치판(106)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아암(102)은, 바람직하게는 45 ∼ 75°인 각도(θ)(이 실시예에서는 대략 60°)로 회전 축선(R)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아암(102)이 회전 축선(R) 둘레로 회전할 때, 공기 유입부(102) 및 노즐은 회전 축선(R) 둘레로 돌게 된다.
아암(102)의 제 1 단부(110)는 상기 결합 어셈블리의 복수의 결합 부재(118, 120, 122)에 의해 결합 디스크(112)에 연결된다. 결합 어셈블리는 설치판(106)에 고정되는 환형 캡(124)에 의해 에워싸여 있는데, 이 캡은 아암(102)의 제 1 단부(110)가 통과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캡(124)은 천장 팬(1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에 연결되는 전기 접속 박스(126)를 또한 둘러싼다. 전기 케이블(미도시)이 천장 어셈블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28, 130) 및 아암의 제 1 단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32)을 통해 상기 접속 박스(126)로부터 공기(102) 안으로 진입해 있다. 도 9 ∼ 1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암(102)은 관형이며, 그 아암(10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있는 보어(134)를 포함하며, 전기 케이블이 그 보어 내부에서 상기 천장 설치부(100)로부터 몸체(104)까지 연장된다.
아암(102)의 제 2 단부(136)는 지지 어셈블리(16)의 몸체(104)에 연결된다. 지지 어셈블리(16)의 몸체(104)는 환형 내측 몸체부(138) 및 이 내측 몸체부(138)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환형 외측 몸체부(140)를 포함한다. 내측 몸체부(138)는 환형 플랜지(142)를 포함하며, 이 플랜지는 공기 유입부(12)의 외부 케이싱(18)에 위치되는 플랜지(144)와 결합하게 된다. 환형 커넥터(146)(예컨대, C-클립)가 외부 케이싱(18)의 플랜지(144) 둘레에 연장되어 그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내측 몸체부(138)의 플랜지(142)에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외부 케이싱(18)은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내측 몸체부(138)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환형 입구 시일(148)이 쉬라우드(36)와 내측 몸체부(138)의 플랜지(142) 사이의 기밀 시일을 형성한다.
따라서, 공기 유입부(12) 및 노즐(설치 브라켓(58)에 의해 외부 케이싱(18)에 연결됨)은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지지 어셈블리(16)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이리하여, 사용자는 지지 어셈블리(16) 및 이 지지 어셈블리(16)가 연결되어 있는 천장(C)에 대한 노즐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천장(C)에 대한 노즐의 방향을 조절하려면, 사용자는 상기 유입부(12)와 노즐 둘다가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회전하도록 노즐을 잡아 당기면 된다. 예컨대, 여름에 팬에 의해 발생된 공기 유동이 천장 팬(10) 아래에 있는 사용자를 시원하게 하기 위한 비교적 시원한 미풍을 제공하도록 사용자는 공기 유동이 천장(C)으로부터 멀어지게 방 안으로 배출되도록 노즐의 방향을 잡고 싶어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에는 사용자는 천장 팬 바로 아래에 미풍을 발생시키지 않고, 방 벽의 상부로 올라간 따뜻한 공기를 이동시키고 순환시키기 위해 공기 유동이 천장(C) 쪽으로 배출되도록 노즐의 방향을 180°변경하고 싶어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부(12) 및 노즐 둘다는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회전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천장 팬(10)은, 외부 케이싱(18)에 대하여 또한 그래서 공기 유입부(12) 및 지지 어셈블리(1)에 대하여 노즐이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케이싱(18)은 볼트 또는 스크류로 내측 몸체부(138)에 고정될 수 있고, 노즐은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외부 케이싱(18)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외부 케이싱(18)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과 외부 케이싱(18) 사이의 연결 방식은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부(12)와 지지 어셈블리(16) 사이의 연결 방식과 유사할 수 있다.
도 11 을 참조하면, 내측 몸체부(138)는 공기 유입부(12)의 공기 입구(38)에 공기 유동을 전달하기 위한 공기 통로(150)를 갖는다. 쉬라우드(36)는 공기 유입부(12)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는 공기 통로(152)를 가지며, 지지 어셈블리(16)의 공기 통로(152)는 공기 유입부(12)의 공기 통로(150)와 실질적으로 동축이다. 공기 통로(150)는 길이 방향 축선(L)에 수직인 공기 입구(154)를 갖는다.
상기 내측 몸체부(138) 및 외측 몸체부(140)는 함께 지지 어셈블리(16)의 몸체(104)의 하우징(156)을 형성한다. 이 하우징(156)은 모터(2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 회로(미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전기 케이블이 아암(102)의 제 2 단부(13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미도시)을 통과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연결된다. 제 2 전기 케이블(미도시)이 그 제어 회로로부터 모터(26)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전기 케이블은 몸체(104)의 내측 몸체부(138)의 플랜지(14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하여, 외부 케이싱(18)과 쉬라우드(36)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환형 채널(44)에 들어간다. 다음에 제 2 전기 케이블은 상기 디퓨저를 통과하여 모터(26)에 이어져 있다. 예컨대, 제 2 전기 케이블은 쉬라우드의 디퓨저 베인(32)을 통과하여 모터 케이싱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쉬라우드(36)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의 외주 표면과 기밀 시일을 형성하여 그 구멍을 통한 공기 누출을 억제하기 위해 그로밋(grommet)이 제 2 전기 케이블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몸체(104)는, 사용자가 천장 팬(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 회로에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모터(26)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고 또한 그 모터(2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천장 팬(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의 외부 벽(74)의 반경, 아암(102)의 길이 및 천장 팬(10)이 연결되는 천장의 형상에 따라,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노즐이 이 축선 둘레로 회전함)과 천장 사이의 거리가 노즐의 외부 벽(74)의 반경 보다 짧아질 수 있으며, 이렇게 되면 노즐이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90°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노즐이 반대로 될 수 있기 위해, 환형 노즐이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상승 위치와 도 13 에 도시되어 있는 하강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 어셈블리(16)의 몸체(104)는 제 1 피봇 축선(P1) 둘레로 아암(10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제 1 피봇 축선(P1)은 도 11 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피봇 축선(P1)은 아암(102)의 제 2 단부(136)를 통과하는 핀(158)의 길이 방향 축선에 의해 규정되며, 그 핀은 몸체(104)의 내측 몸체부(138)에 의해 유지되는 단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피봇 축선(P1)은 아암(102)이 천장 설치부(100)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 축선(R)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제 1 피봇 축선(P1)은 또한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도 2 에 도시되어 있는 상승 위치에서,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 및 임펠러 축선은 설치판(10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이리하여, 보어 축선(X)이 길이 방향 축선(L) 및 천장 팬(10)이 부착되는 수평 천장(C)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노즐이 배향될 수 있다. 하강 위치에서, 외부 케이싱(18)의 길이 방향 축선(L) 및 임펠러 축선은 바람직하게는 90°미만의 각도, 더 바람직하게는 45°미만의 각도로 설치판(106)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노즐이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104)는 5 ∼ 45°범위의 각도로 아암(1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노즐이 천장과의 접촉 없이 반대로 되기에 충분하게 노즐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노즐의 외부 벽(74)의 반경에 따라 10 ∼ 20°범위 각도의 회전 운동이 충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노즐이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움직이도록 몸체(104)는 대략 12 ∼ 15°의 각도로 아암(1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아암(102)에 대한 몸체(104)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104)의 하우징(156)은 해제가능한 잠금 기구(160)를 또한 수용한다. 이 잠금 기구(160)는 노즐이 그의 상승 위치에 있도록 몸체(104)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1 및 12 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잠금 기구(160)는, 아암(102)과 몸체(104) 사이의 상대 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아암(102)의 제 2 단부(136) 및 몸체(104)의 상부(164)와 결합하는 잠금 쐐기(162)를 포함한다. 이 잠금 쐐기(162)는 제 2 피봇 축선(P2) 둘레로 내측 몸체부(138)에 대하여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내측 몸체부에 연결된다. 제 2 피봇 축선(P2)은 제 1 피봇 축선(P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잠금 쐐기(162)는 몸체(104)의 내측 몸체부(138)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잠금 아암(166)에 의해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 위치에 유지된다. 잠금 쐐기(162)와 결합하는 잠금 아암 롤러(168)가 잠금 아암(166)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그 잠금 아암 롤러는 잠금 쐐기(162)와 잠금 아암(166) 사이의 마찰력을 최소화해 준다. 잠금 아암(166)은 제 3 피봇 축선(P3) 둘레로 내측 몸체부(138)에 대하여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그 내측 몸체부에 연결된다. 제 3 피봇 축선(P3)은 제 1 피봇 축선(P1) 및 제 2 피봇 축선(P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잠금 아암(166)은, 잠금 아암(166)과 내측 몸체부(138)의 플랜지(142)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요소(170)(바람직하게는 스프링)에 의해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 쪽으로 편향된다.
상기 잠금 기구(160)를 해제하려면, 잠금 아암(166)이 제 3 피봇 축선(P3) 둘레로 회전하도록 사용자는 탄성 요소(170)의 편향력에 대항하여 잠금 아암(166)을 밀면 된다. 외측 몸체부(140)는 창(window; 172)을 포함하는데, 사용자는 이 창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 아암(166)과 결합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사용자 작동 버튼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창(172)을 통해 돌출되게 잠금 아암(166)의 하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잠금 아암(166)이 제 3 피봇 축선(P3) 둘레로 움직이면, 잠금 아암 롤러(168)가 아암(102)의 제 2 단부(136)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게 되고, 그리하여 상기 잠금 쐐기(162)가 잠금 위치에서 멀어지게 제 2 피봇 축선(P2) 둘레로 회전하여 아암(102)의 제 2 단부(136)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잠금 쐐기(162)가 그의 잠금 위치에서 멀어지게 움직이면, 몸체(104)가 제 1 피봇 축선(P1) 둘레로 아암(102)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며 그래서 노즐이 그의 상승 위치에서 하강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양 만큼 노즐을 길이 방향 축선(L) 둘레로 회전시키면, 몸체(104)가 제 1 피봇 축선(P1) 둘레로 회전하도록 사용자는 노즐의 단부를 들어 올려 그 노즐을 그의 상승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잠금 아암(16)이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 쪽으로 편향되므로, 노즐이 그의 상승 위치로 복귀하면 잠금 아암(166)이 도 11 에 도시되어 있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게 되며 또한 그래서 잠금 쐐기(162)가 그의 잠금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천장 팬(10)을 작동시키려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원격 제어부의 적절한 버튼을 누르면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회로는 이 행위를 주 제어 회로에 알려 주고, 이에 응답하여 그 주 제어 회로는 모터(26)를 활성화시켜 임펠러(22)를 작동시키게 된다. 임펠러(22)의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이 공기 입구(150)를 통해 지지 어셈블리(16)의 몸체(104) 안으로 끌려 들어오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원격 제어부를 사용하여 모터(2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래서 공기가 지지 어셈블리(16) 안으로 끌려 들어오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유동은 지지 어셈블리(16)의 공기 통로(150)와 공기 유입부의 공기 통로(152)를 차례대로 따라 지나 노즐의 내부 통로(94)에 들어간다.
노즐의 내부 통로(94) 내에서 공기 유동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노즐(16)의 보어(78) 주위를 지나는 2개의 공기 흐름으로 분할된다. 이 공기 흐름이 내부 통로(94)를 통과함에 따라, 공기는 공기 출구(90)를 통해 배출된다. 보어 축선(X)을 통과하고 이 보어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볼 때, 공기 유동은 상기 방향(D)으로 공기 출구(90)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공기 유동이 공기 출구(90)를 통해 배출되면, 외부로부터, 구체적으로는 노즐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동반됨으로 인해 이차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이차 공기 유동은 배출된 공기 유동과 결합하여, 노즐에서 앞으로 내보내지는 결합된 또는 총 공기 유동 또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도 14 ∼ 16 은 방 내부에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제 2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200)는 방의 천장에 연결될 수 있는 천장 팬의 일 부분을 이룬다. 지지 어셈블리(미도시)가 팬 어셈블리(200)를 방의 천장에 지지한다. 천장 팬(10)의 지지 어셈블리(16)는 팬 어셈블리(200)에 연결되어 그 팬 어셈블리(200)를 천장에 지지할 수 있으며, 그래서 이 제 2 실시예와 관려하여 지지 어셈블리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이 제 2 실시예에서, 팬 어셈블리(200)는 내부 통로(202)를 갖는 환형 케이싱의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 통로는 공기 입구(204)와 공기 출구(206)를 갖는다. 상기 환형 케이싱은, 내부 통로(202)의 공기 출구(206)와 유출부(210)를 갖는 환형의 공기 유출부(208), 및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출부(208) 둘레에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치형 공기 유입부(212)를 가지며, 이 공기 유입부는 내부 통로(202)의 공기 입구(204)와 입구부(214)를 갖는다.
상기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출부(208)는 내측 케이싱부 및 환형 케이싱의 상단부(도시된 바와 같은)에서 그 내측 케이싱부에 연결되는 외측 케이싱부를 포함한다. 도 14 를 참조하면, 내측 케이싱부는 복수의 아치형 부분(216a, 216b, 216c, 216d)을 포함하는데, 이들 아치형 부분은 함께 연결되어 환형 케이싱의 환형 제 1 측벽(218)의 상부(218a)를 형성하게 된다. 제 1 측벽(218)은 중심 보어 축선(X) 둘레에서 연장되어 있어 환형 케이싱의 보어(222)를 형성한다. 이 보어(222)는 일반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외측 케이싱부는 내측 케이싱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아치형 부분(224a, 224b, 224c, 224d, 224e)을 포함한다. 또한 도 17 및 18a ∼ 18e을 참조하면, 외측 케이싱부의 상기 부분(224a, 224b, 224c, 224d) 및 내측 케이싱부의 상기 부분(216a)은 함께 환형 케이싱의 제 2 측벽(226)을 형성한다. 이 제 2 측벽(226)은 제 1 측벽(218) 둘레에 연장되어 있다. 외측 케이싱부의 상기 부분(224a, 224b, 224c, 224d) 및 내측 케이싱부의 상기 부분(216a)은 또한 함께 상부 벽(228)을 형성하는데, 이 상부 벽은 환형 케이싱의 측벽(218, 226)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상기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출부(208)는 출구 케이싱부를 또한 포함하며, 이 출구 케이싱부는 내측 케이싱부 및 외측 케이싱부에 연결된다. 도 15 를 참조하면, 상기 출구 케이싱부는 또한 복수의 아치형 부분(230a, 230b, 230c, 230d, 230e, 230f)을 포함한다. 출구 케이싱부의 아치형 부분 각각은 제 1 측벽(218)의 상부(218a)의 하단부로부터 외측 케이싱부의 아치형 부분까지 연장되어,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 및 상부 벽(228)의 반대쪽에 있는 하부 벽(232)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의 외부 표면은 보어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테이퍼지도록 일반적으로 절두 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보어 축선(X)과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의 외부 표면 사이의 각도는 대략 15°이다.
따라서,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는 환형 케이싱의 측벽(218, 226), 상부 벽(228) 및 하부 벽(232)으로 형성된다.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제 2 측벽(226)은 제 1 측벽(218) 둘레로 실질적으로 360°로 연장되어 있다. 도 17 에 더 명확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218, 226) 사이의 반경 방향 거리는 보어 축선(X) 둘레로 변하며, 따라서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는 보어 축선(X)의 둘레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단면을 갖는 스크롤(scroll)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유출부(210)는 비교적 넓은 스크롤 입구부(234) 및 비교적 좁은 스크롤 출구부(236)를 가지며, 유출부(210)의 단면적은 이들 스크롤 입구부(234)와 스크롤 출구부(236)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도 18e 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롤 입구부(234)는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입부(212)로부터 공기 유동을 받기 위한 입구 포트(238)를 가지며, 상기 스크롤 출구부(236)는 공기 유동의 제 1 부분을 스크롤 입구부(234)에 되돌려 보내기 위한 출구 포트(240)를 갖는다. 따라서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는 보어 축선(X) 둘레로 연속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입구 포트(238)는 제 2 측벽(226)의 단부(242, 244) 사이에 위치된다. 출구 포트(240)는 제 1 측벽(218)과 제 2 측벽(226)의 일 단부(242) 사이에 위치된다. 출구 포트(240)는 입구 포트(238)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 17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구 포트(238) 및 출구 포트(240)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내에 있다.
유출 케이싱부는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206)를 형성하며, 공기 유동의 제 2 부분이 그 공기 출구를 통과하여 환형 케이싱에서 배출된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출구(206)는 바람직하게는 환형 슬롯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보어 축선(X)에 수직인 평면내에 위치된다. 상기 슬롯은 바람직하게는 0.5 ∼ 5 mm 의 비교적 일정한 폭을 갖는다. 공기 출구(206)는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와 하부 벽(232)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의 내부 표면은, 보어 축선(X)으로부터 멀어지게 그 축선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방향으로 공기 유동의 제 2 부분을 공기 출구(206)를 통해 안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공기 유동의 제 2 부분은 보어 축선(X)에 대해 대략 1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방향으로 공기 출구(206)를 통해 배출된다.
제 1 측벽(218)의 하부(218b) 및 하부 벽(232)은, 상기 슬롯의 폭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복수의 웨브(252)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있다. 도 15 및 17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 웨브(252)는 보어 축선(X) 둘레로 각도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제 1 측벽(218)의 상부(218a) 및 하부(218b)는 일체적일 수 있고, 하부 벽(232)은 제 2 측벽(226)과 일체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벽들 중의 하나에는, 이들 측벽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고 또한 그래서 보어 추선(X) 둘레의 공기 출구(206)의 폭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측벽과 결합하는 복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환형 케이싱은 이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출부(208) 둘레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있는 아치형 공기 유입부(212)를 가지며, 이 공기 유입부는 팬 어셈블리(200)의 공기 입구(204)와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를 형성한다.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는 공기 입구(204)에서 온 공기 유동을 스크롤 입구부(234)의 입구 포트(238)에 전달하게 된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입구부(214)는 팬 어셈블리(200) 안으로 공기 유동을 끌어 들이기 위한 임펠러(22) 및 이 임펠러(22)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26)를 수용한다. 입구부(214)는 임펠러(22)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디퓨저를 또한 수용하며, 이 디퓨저는 복수의 디퓨저 베인(32)을 포함한다. 임펠러(22), 모터(26) 및 디퓨저는 공기 유입부(212)의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위치된다. 이 임펠러 하우징부(254)는 외측 케이싱부의 일 부분(224e)으로 형성된다.
임펠러(22)는 길이 방향 축선(L)을 가지며, 임펠러(22)는, 그 길이 방향 축선(L)이 보어 축선(X)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나 그 보어 축선과 교차하지 않도록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배치된다. 임펠러(22), 모터(26) 및 디퓨저가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배치되는 것은, 이들 구성 요소가 천장 팬(10)의 공기 유입부(12)의 원통형 외부 케이싱(18) 내부에 배치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이들 구성 요소를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원격 제어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고 또한 그 받은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모터(26)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가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임펠러 하우징부(254)에 위치될 수 있다.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모터(26)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고 또한 그 모터(2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다이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들 구성 요소를 임펠러 하우징부(254)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 장치는 그들 구성 요소를 천장 팬(10)의 공기 유입부(12)의 원통형 외부 케이싱(18) 내부에 배치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설치 장치에 대해서는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임펠러 하우징부(254)는 임펠러(22)로부터 상류에 위치되는 제 1 소음(silencing) 장치(256) 및 디퓨저 베인(32)으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제 1 소음 장치(25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음 장치(256, 258)는 하나 이상의 음향 발포체 및 복수의 헬름홀쯔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하우징부(254)가 일반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가지므로,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는 단면이 변하는 중간부(260)을 포함하는데, 이 중간부는 임펠러 하우징부(254)를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에 연결해 준다. 중간부(260)는 또한 외측 케이싱부의 일 부분(224e)으로 형성된다.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는 도관(262)을 또한 포함하는데, 이 도관은 공기 입구(204)에서 온 공기 유동을 임펠러 하우징부(254)에 전달한다. 도관(262)은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부(208) 둘레에 연장되어 있고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공기 입구(204)는 도관(262)의 일 단부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도관(262)은 외측 케이싱부의 일 부분(224d)에 연결되는 제 1 도관부(262a) 및 이 제 1 도관부(262a)와 임펠러 하우징부(254)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도관부(262b)를 포함한다. 상기 도관(262)은 더 크거나 더 작은 정도로 환형 케이싱의 공기 출구부(208) 둘레로 연장되도록 어떤 수의 그러한 도관부라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관(262)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따라서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는 단면이 변하는 제 2 중간부(264)를 포함하는데, 이 제 2 중간부는 도관(262)을 임펠러 하우징부(254)에 연결해 준다.
환형 케이싱의 공기 유입부(212)는 하나 이상의 소음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부(212)는 상기 제 1 도관부(262a)의 양 측에 위치되는 2 개의 아치형 소음 발포체 부분(266a, 266b) 및 상기 제 2 도관부(262b)의 일 측에 위치되는 아치형 소음 발포체 부분(266c)을 포함한다.
공기 입구(204)는, 환형 케이싱의 보어(222)에 실질적으로 접하는 방향으로 공기 유동을 팬 어셈블리(200) 안으로 도입시키므로 접선 방향 공기 입구이다. 이리하여, 공기 유동은 이 공기 유동의 어떤 급격한 방향 변화도 없이 환형 케이싱의 내부 통로(202)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래서 임펠러의 상류에서 난류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천장 팬(10)의 지지 어셈블리(16)는 공기 입구(204)에 연결될 수 있다.
팬 어셈블리(200)을 작동시키려면, 시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원격 제어부의 적절한 버튼을 누르면 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회로는 이 행위를 주 제어 회로에 알려 주고, 이에 응답하여 그 주 제어 회로는 모터(26)를 활성화시켜 임펠러(2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임펠러(22)의 회전에 의해 공기 유동이 공기 입구(204)를 통해 내부 통로(202)의 입구부(214) 안으로 끌려 들어오게 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원격 제어부를 사용하여 모터(26)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그래서 공기가 내부 통로(202) 안으로 끌려 들어오는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유동은 도관(262), 제 2 중간부(264), 임펠러 하우징부(254) 및 중간부(260)를 차례 대로 통과하여 입구 포트(238)를 통해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에 들어가게 된다. 공기 유동이 내부 통로(202)의 유출부(210)를 통과함에 따라, 그 공기 유동의 일 부분은 공기 출구(206)를 통해 배출된다. 보어 축선(X)을 통과하고 이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내에서 볼 때, 공기 유동의 그 부분은 보어 축선(X)에서 멀어지는 방향(D)으로 공기 출구(20)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 유동의 이 부분이 공기 출구(206)에서 배출되면, 외부로부터, 구체적으로는 팬 어셈블리(200) 주위의 영역으로부터 공기가 동반됨으로 인해 이차 공기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 이차 공기 유동은 배출된 공기 유동과 결합하여, 팬 어셈블리(200)에서 앞으로 내보내지는 결합된 또는 총 공기 유동 또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동의 다른 부분은 출구 포트(240)를 통과하여 스크롤 입구부(234)에 다시 들어가게 된다. 공기 유동의 이 부분이 스크롤 입구부(234)에 되돌아 감으로써, 공기는 보어 축선(X)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공기 출구(2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구 포트(238)와 출구 포트(240)는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내에 있으며, 따라서 공기 유동의 상기 부분이 스크롤 입구부(234)에 다시 들어가는 방향은, 공기 유동이 그 스크롤 입구부(234)에 들어가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리하여, 스크롤 입구부(234) 내에서의 난류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Claims (17)
- 방 안에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어셈블리로서,
상기 팬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갖는 내부 통로를 갖는 환형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로부터 하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통해 공기 유동을 상기 팬 어셈블리 안으로 끌어 들이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내부 통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가지며, 공기 유동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공기 출구로부터 팬 어셈블리에서 배출되며, 상기 환형 케이싱은 상기 내부 통로가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보어를 형성하며, 팬 어셈블리의 외부로부터 이차 공기 유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보어를 통과해 끌려 들어가게 되는 팬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통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입구부 및 이 입구부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를 포함하는 출구부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출구부의 적어도 일 부분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상기 보어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변하는 단면을 갖는 팬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환형인 팬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팬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및 모터는 상기 입구부 내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임펠러와 모터를 수용하는 임펠러 하우징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에서 그 임펠러 하우징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도관부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상기 출구부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는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팬 어셈블리.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입구는 상기 도관부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공기 입구를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임펠러 축선 둘레로 회전가능하며, 상기 보어는 보어 축선을 가지며, 이 보어 축선은 상기 임펠러 축선에 수직인 팬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축류 임펠러와 혼합류 임펠러 중의 하나인 팬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로부터 하류에 위치되는 디퓨저를 더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케이싱은 상기 보어를 형성하는 환형의 제 1 측벽, 상기 제 1 측벽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제 2 측벽, 상기 제 1 측벽과 제 2 측벽 사이에 연장되어 있는 상부 벽 및 상기 상부 벽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하부 벽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는 상기 하부 벽과 제 1 측벽 사이에 위치되는 팬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출구는 환형 슬롯을 포함하는 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1112215.7A GB2492961A (en) | 2011-07-15 | 2011-07-15 | Fan with impeller and motor inside annular casing |
GB1112215.7 | 2011-07-15 | ||
PCT/GB2012/051430 WO2013011268A2 (en) | 2011-07-15 | 2012-06-21 | A fa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340A KR20140125340A (ko) | 2014-10-28 |
KR101698946B1 true KR101698946B1 (ko) | 2017-01-23 |
Family
ID=4458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2773A KR101698946B1 (ko) | 2011-07-15 | 2012-06-21 | 팬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2) | US20130017104A1 (ko) |
EP (1) | EP2732166B1 (ko) |
JP (1) | JP5458150B2 (ko) |
KR (1) | KR101698946B1 (ko) |
CN (2) | CN202789450U (ko) |
AU (1) | AU2012285535B2 (ko) |
BR (1) | BR112014000942A2 (ko) |
CA (1) | CA2841942A1 (ko) |
GB (1) | GB2492961A (ko) |
RU (1) | RU2576734C2 (ko) |
WO (1) | WO2013011268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486890B (en) | 2010-12-23 | 2017-09-0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86889B (en) | 2010-12-23 | 2017-09-0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86892B (en) | 2010-12-23 | 2017-11-15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92961A (en) *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impeller and motor inside annular casing |
GB2492962A (en)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tangential inlet to casing passage |
GB2492963A (en)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scroll casing decreasing in cross-section |
US9719525B2 (en) | 2013-05-23 | 2017-08-01 | Jeffrey Butler Cunnane | Medallion fan |
GB2516058B (en) | 2013-07-09 | 2016-12-21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assembly with an oscillation and tilt mechanism |
JP1518058S (ko) | 2014-01-09 | 2015-02-23 | ||
JP1518059S (ko) | 2014-01-09 | 2015-02-23 | ||
KR101592150B1 (ko) * | 2015-10-07 | 2016-02-04 | 이영희 | 공기 증폭형 선풍기 |
CZ31374U1 (cs) * | 2017-03-29 | 2018-01-23 | DencoHappel CZ a.s. | Uspořádání ventilátoru nebo ventilátorů v klimatizační jednotce |
US11384956B2 (en) | 2017-05-22 | 2022-07-12 | Sharkninja Operating Llc | Modular fan assembly with articulating nozzle |
US11480193B2 (en) | 2017-10-20 | 2022-10-25 | Techtronic Power Tools Technology Limited | Fan |
US10935258B2 (en) | 2018-03-12 | 2021-03-02 | Sanjay K Roy | Fan with cooler |
US11300128B2 (en) | 2018-05-11 | 2022-04-12 | Hubbell Incorporated | Bladeless ceiling fan |
US11486412B1 (en) * | 2019-03-08 | 2022-11-01 | Delta T, Llc | Fan blade reten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
USD934410S1 (en) | 2019-09-12 | 2021-10-26 | Elbee Pty Ltd. | Base for a fan |
US11844884B2 (en) * | 2020-07-10 | 2023-12-19 | Luv Systems, Inc. | Ultraviolet pathogen disinfection system |
US11536284B2 (en) | 2020-08-11 | 2022-12-27 | Hunter Fan Company | Ceiling fa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99965A (en) | 1958-01-02 | 1963-08-06 | Krantz H Fa | Jet conveyors |
Family Cites Families (6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488467A (en) | 1947-09-12 | 1949-11-15 | Lisio Salvatore De | Motor-driven fan |
US2583374A (en) | 1950-10-18 | 1952-01-22 | Hydraulic Supply Mfg Company | Exhaust fan |
DE880923C (de) | 1951-08-09 | 1953-06-25 | Hessenwerke Elektrotechnische | Decken- oder Standkreiselfaecher |
US3048982A (en) * | 1960-10-31 | 1962-08-14 | John H Geiger | Closed cycle gaseous medium system and method |
DE1291090B (de) | 1963-01-23 | 1969-03-20 | Schmidt Geb Halm Anneliese |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Luftstroemung |
GB1065644A (en) | 1963-10-29 | 1967-04-19 | Union Carbide Corp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urgical lamps |
US3270655A (en) | 1964-03-25 | 1966-09-06 | Howard P Guirl | Air curtain door seal |
US3774390A (en) | 1970-09-30 | 1973-11-27 | H Dauvergne | Gas accelerator |
CA981918A (en) | 1972-11-30 | 1976-01-20 | Lester W. Throndson | Compound ejector for high energy flow fluid |
US3795367A (en) | 1973-04-05 | 1974-03-05 | Src Lab | Fluid device using coanda effect |
ZA793332B (en) | 1979-04-30 | 1981-02-25 | D Rusth | Air circulating device |
JPS56167897A (en) | 1980-05-28 | 1981-12-23 | Toshiba Corp | Fan |
JPS6379492A (ja) | 1986-09-22 | 1988-04-09 | Toshiba Corp | クロマキ−合成装置 |
DK559887A (da) | 1986-11-28 | 1988-05-29 | Hoffmann La Roche | 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carbinolderivater |
JPH079279B2 (ja) | 1987-07-15 | 1995-02-0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タンク底面部の防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JPS6421300U (ko) * | 1987-07-27 | 1989-02-02 | ||
SU1612115A1 (ru) * | 1988-12-12 | 1990-12-07 | Азербайджан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Азерэлектромаш" | Бытовой вентил тор |
JPH0772640B2 (ja) | 1989-11-10 | 1995-08-02 | 三菱電機株式会社 | 二重反転式換気装置 |
JPH07190443A (ja) | 1993-12-24 | 1995-07-28 | Matsushita Seiko Co Ltd | 送風装置 |
US5522704A (en) | 1994-10-27 | 1996-06-04 | Casteel; Mallard | Track mounted fan |
JP3575891B2 (ja) | 1995-10-30 | 2004-10-13 | 松下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 ブースターファン |
US5762034A (en) | 1996-01-16 | 1998-06-09 |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 Cooling fan shroud |
US5913334A (en) | 1996-11-25 | 1999-06-22 | Hyun; Kwangsoo | Apparatus for inducing pressure drop on flue gas exhaustion |
JPH115631A (ja) | 1997-04-25 | 1999-01-12 | Mitsubishi Heavy Ind Ltd | 流体移送装置 |
US6123618A (en) | 1997-07-31 | 2000-09-26 | Jetfan Australia Pty. Ltd. | Air movement apparatus |
KR100417758B1 (ko) | 1999-11-16 | 2004-02-11 | 김창선 | 고속압축추진장치 |
US20050092888A1 (en) | 2003-11-03 | 2005-05-05 | Gonce Ken R. | Suspended ceiling fan |
US20070166179A1 (en) | 2006-01-19 | 2007-07-19 | Pace Edgar A | Cleaning system |
US7507074B2 (en) | 2006-02-09 | 2009-03-24 | Hunter Fan Company | Fan mounting system |
US7887293B2 (en) | 2007-05-30 | 2011-02-15 | Fanimation, Inc. | Fan assembly having improved support arrangement |
GB2452490A (en) * | 2007-09-04 | 2009-03-11 | Dyson Technology Ltd | Bladeless fan |
GB2452593A (en) | 2007-09-04 | 2009-03-11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US8152453B2 (en) | 2007-09-17 | 2012-04-10 | Delta T Corporation | Ceiling fan with angled mounting |
WO2009074834A1 (de) | 2007-12-11 | 2009-06-18 | Nikolaos Papageorgiou | Kreisflügel - aktinischer fluidantrieb (af) |
US8128057B2 (en) | 2008-02-29 | 2012-03-06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s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gas turbine engine fluid flow |
GB2464736A (en) * | 2008-10-25 | 2010-04-28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a filter |
GB2466058B (en) | 2008-12-11 | 2010-12-22 | Dyson Technology Ltd | Fan nozzle with spacers |
GB2468313B (en) | 2009-03-04 | 2012-12-2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68324B (en) | 2009-03-04 | 2015-09-16 | Dyson Technology Ltd | Telescopic pedestal fan assembly |
GB2468312A (en) * | 2009-03-04 | 2010-09-08 | Dyson Technology Ltd | Fan assembly |
GB2468314B (en) | 2009-03-04 | 2012-12-2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KR101455224B1 (ko) | 2009-03-04 | 2014-10-31 |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 선풍기 |
KR101370271B1 (ko) | 2009-03-04 | 2014-03-04 |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 선풍기 |
CA2746560C (en) | 2009-03-04 | 2016-11-22 | Dyson Technology Limited | Humidifying apparatus |
GB2468498A (en) | 2009-03-11 | 2010-09-15 | Duncan Charles Thomson | Floor mounted mobile air circulator |
CN101713414B (zh) | 2009-11-26 | 2011-04-06 | 胡国贤 | 吹风头无风叶电风扇 |
CN201627736U (zh) | 2010-01-27 | 2010-11-10 | 罗兆素 | 无叶风扇 |
CN201786778U (zh) * | 2010-09-20 | 2011-04-06 | 李德正 | 无叶片风扇 |
CN101936310A (zh) * | 2010-10-04 | 2011-01-05 | 任文华 | 无扇叶风扇 |
CN201874898U (zh) | 2010-10-29 | 2011-06-22 | 李德正 | 无叶片风扇 |
CN201884344U (zh) | 2010-12-17 | 2011-06-29 | 任文华 | 无叶风扇装置 |
CN102003420A (zh) | 2010-12-17 | 2011-04-06 | 任文华 | 无叶风扇装置 |
GB2486889B (en) | 2010-12-23 | 2017-09-0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86891B (en) | 2010-12-23 | 2017-09-0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86892B (en) | 2010-12-23 | 2017-11-15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486890B (en) | 2010-12-23 | 2017-09-06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US8876492B2 (en) * | 2011-03-17 | 2014-11-0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n ejector |
TWM419831U (en) * | 2011-06-16 | 2012-01-01 | Kable Entpr Co Ltd | Bladeless fan |
GB2492962A (en)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tangential inlet to casing passage |
GB2492961A (en) *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impeller and motor inside annular casing |
GB2492963A (en) * | 2011-07-15 | 2013-01-23 | Dyson Technology Ltd | Fan with scroll casing decreasing in cross-section |
CN202165333U (zh) | 2011-07-17 | 2012-03-14 | 任文华 | 无叶风扇 |
WO2013016227A1 (en) * | 2011-07-22 | 2013-01-31 | Atico International Usa, Inc. | Bladeless misting fan |
CN202381366U (zh) | 2011-11-09 | 2012-08-15 | 余姚市华昌电器制造有限公司 | 一种无叶风扇 |
CN103104514B (zh) | 2011-11-09 | 2016-04-13 | 杨丁平 | 一种无叶风扇 |
CN202489449U (zh) | 2012-03-06 | 2012-10-17 | 施瑞华 | 一种电动衣帽刷 |
GB2509760B (en) | 2013-01-14 | 2015-07-15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GB2509761B (en) | 2013-01-14 | 2015-07-15 | Dyson Technology Ltd | A Fan |
-
2011
- 2011-07-15 GB GB1112215.7A patent/GB2492961A/en not_active Withdrawn
-
2012
- 2012-06-21 RU RU2014105597/06A patent/RU2576734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6-21 EP EP12730612.4A patent/EP2732166B1/en not_active Revoked
- 2012-06-21 KR KR1020147002773A patent/KR10169894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6-21 AU AU2012285535A patent/AU2012285535B2/en not_active Ceased
- 2012-06-21 WO PCT/GB2012/051430 patent/WO2013011268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6-21 CA CA2841942A patent/CA2841942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6-21 BR BR112014000942A patent/BR112014000942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7-12 US US13/547,736 patent/US20130017104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07-13 JP JP2012157734A patent/JP545815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7-16 CN CN2012203450637U patent/CN202789450U/zh not_active Withdrawn - After Issue
- 2012-07-16 CN CN201210246356.4A patent/CN10287805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12-05 US US14/562,311 patent/US979741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99965A (en) | 1958-01-02 | 1963-08-06 | Krantz H Fa | Jet convey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458150B2 (ja) | 2014-04-02 |
WO2013011268A2 (en) | 2013-01-24 |
CN102878059B (zh) | 2016-04-20 |
CN102878059A (zh) | 2013-01-16 |
AU2012285535B2 (en) | 2015-10-01 |
US9797413B2 (en) | 2017-10-24 |
WO2013011268A3 (en) | 2013-07-11 |
EP2732166B1 (en) | 2019-02-27 |
CA2841942A1 (en) | 2013-01-24 |
JP2013024242A (ja) | 2013-02-04 |
US20130017104A1 (en) | 2013-01-17 |
GB2492961A (en) | 2013-01-23 |
EP2732166A2 (en) | 2014-05-21 |
CN202789450U (zh) | 2013-03-13 |
GB201112215D0 (en) | 2011-08-31 |
RU2014105597A (ru) | 2015-08-27 |
BR112014000942A2 (pt) | 2017-02-14 |
KR20140125340A (ko) | 2014-10-28 |
RU2576734C2 (ru) | 2016-03-10 |
US20150086390A1 (en) | 2015-03-26 |
AU2012285535A1 (en) | 2014-01-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4080B1 (ko) | 팬 | |
KR101698946B1 (ko) | 팬 | |
KR101594079B1 (ko) | 팬 | |
JP5384610B2 (ja) | 送風機 | |
JP5685178B2 (ja) | 送風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20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404 Effective date: 20161123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