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509B1 -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 Google Patents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509B1
KR101697509B1 KR1020160032559A KR20160032559A KR101697509B1 KR 101697509 B1 KR101697509 B1 KR 101697509B1 KR 1020160032559 A KR1020160032559 A KR 1020160032559A KR 20160032559 A KR20160032559 A KR 20160032559A KR 101697509 B1 KR101697509 B1 KR 10169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eat insulating
aluminum
synthetic resin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원
Original Assignee
서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원 filed Critical 서선원
Priority to KR102016003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3Assembling the units
    • E06B3/67304Preparing rigid spacer members befor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B29C47/0009
    • B29C47/02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6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 E06B3/67Units comprising two or more parallel glass or like panes permanently secured together characterised by additional arrangements or device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or for controlled passage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층유리용 간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내측간봉과,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진 외측간봉으로 이루어지되, 포밍기에서 만들어지는 내측간봉이 관통할 수 있는 압출금형이 설치되어, 내측간봉이 압출금형을 통과하는 동안에 외측간봉이 압출 성형 되어 내측간봉에 일체로 접합 되어 단열효율이 향상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층유리용 단열간봉{INSULATION SPACER BAR FOR A PAIR GLASS}
본 발명은 복층유리용 간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간봉의 외주 면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단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에 관한 것이다.
간봉(Spacer bar, 스페이서바)는 복층유리 내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복층유리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내부에 특수 가스나 공기를 주입하거나 또는 진공으로 유지하여 건축물 등의 방음, 방열 등 외부와의 차단 용재로 사용된다.
종래부터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복층유리용 간봉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용 간봉의 대표적인 예를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간봉(100)은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여 이격시키고자 하는 폭을 가지면서 유리의 길이에 맞추어 성형하거나 길게 성형한 간봉(100)을 유리(G)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이를 복층유리(G) 사이에 접합시키게 된다.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복층유리용 간봉(100)은 내구성이 우수하지만 유리(G)에서 전달되는 열이 내부로 쉽게 전달되기 때문에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반대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간봉은 알루미늄 간봉에 비해서 단열효과는 우수하나 강도가 부족하여 복층유리의 시공상태가 취약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알루미늄 간봉의 외 측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단열 캡 또는 단열부재를 부착하거나 알루미늄 간봉의 내측에 우레탄 수지 등을 충전하거나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간봉의 내 측에 알루미늄 보강대를 설치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대표적인 예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은, 알루미늄을 판재를 절곡 하여 이루어진 사각형상의 간봉(100)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또는 플라스틱)로 이루어진 간봉(110)을 부착하거나 결합한 것으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간봉(100)의 네 측면을 모두 감싸거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간봉(100)의 양측면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은 알루미늄의 강성과 합성수지의 단열성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두 개의 유리(G) 사이에 알루미늄 상판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일 측 유리(G)에서 절단되는 열이 상기 알루미늄 상판을 통해서 타 측 유리(G)로 전달되어 단열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간봉과 합성수지 단열부재를 접합시키기 때문에 열 수축 및 팽창으로 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공기가 새거나 단열 부재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0001)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596114 (등록일자 2016년02월15일)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의 외 측면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유리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의 양 측면과 상면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유리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과 하면으로 이루어진 간봉의 양 측면과 상면에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 측면과 상면으로 이루어진 단열 부재를 일체로 결합하여 유리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소재로 이루어진 간봉의 외 측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단열 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에 의해서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봉의 외 측면에 단열부재를 밀착시켜서 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밀폐시켜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내측간봉과;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외측간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간봉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상기 외측간봉을 일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상면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하면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내측간봉만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측간봉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를 절곡하여 일정 폭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일정한 폭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양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간봉의 양 측면의 선단은 자유 단이고, 상기 하면과 양 측면 사이에는 상부로 절곡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간봉의 양 측면의 선단에는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간봉의 고정홈에 결합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양 측면 사이에의 내측 면에는 상기 내측간봉의 양 측면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간봉에 형성된 결합홈은 상기 상면의 하면에 일정한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는 보강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간봉과 접촉한다.
상기 외측간봉은 상기 보강보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내측간봉의 하면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면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측간봉은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하는 포밍기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는 성형 압출기에 의해서 이루어지되,
상기 성형 압출기는 상기 포밍기의 선단에서 직각으로 결합하고, 그 선단에 상기 내측간봉이 관통할 수 있는 압출금형이 설치되어 상기 포밍기에서 만들어진 내측간봉이 상기 압출금형을 통과하는 동안에 상기 외측간봉이 압출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내측간봉의 외 측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을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단열간봉의 상면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만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유리를 통해서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단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내측간봉의 외측면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간봉과 외측간봉을 밀착시켜서 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공기를 밀폐시켜 단열효율을 높이고 내측간봉과 외측간봉 사이의 결합력 강화시켜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내측간봉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을 일체로 접합시켜서 대형 복층 유리 시공시 요구되는 강직도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간봉의 시공이나 취급시 변형이 이루어지더라도 원상회복되는 탄력성을 가지게 되고, 절곡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더라도 그 두께가 두꺼워 응력에 견디는 내력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시공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설치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압출성형기의 압출금형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 간봉을 보여주는 설치 사시도,
도 10 및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1)(이하 '단열간봉'이라 함)은,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간봉(10)과, 상기 내측간봉(10)의 외 측에 접합되어 있는 외측간봉(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간봉(1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2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간봉(20)의 두께는 내측간봉(10)의 두께보다 두껍게 성형한다.
또한, 상기 내측간봉(10)은 알루미늄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20)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외측간봉(20)은 내측간봉(10)의 외 측면에 용융된 합성수지를 직접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접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측간봉(10)은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 하여 이루어지되, 일정 폭의 하면(11)과 양 측면(1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없고 상부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는 종래의 사각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간봉과 다른 부분이다.
또한, 상기 외측간봉(20)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일정 폭의 상면(21)과 양 측면(22)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체적으로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하면이 없고 하부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는 종래의 합성수지 간봉과 다른 부분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은, "∪"자 형태로 이루어진 내측간봉(10)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자 형태의 외측간봉(10)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밀폐된 사각형의 단면이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일정한 크기의 중공부(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의 양 측면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 측면(12)과 합성수지 측면(22)이 접합하여 있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리G)와 직접 접촉하는 외 측에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측면(22)이 위치한다. 따라서 유리(G)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알루미늄 측면(12)을 이용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의 상면은, 합성수지 상면(21)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즉, 두 개의 유리(G) 사이에 개재되는 상면을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상면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일 측 유리로부터 타 측 유리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두 개의 유리(G) 사이에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상면이 연결되어 있어 일 측 유리로부터 타 측 유리로 열이 쉽게 전달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두 개의 유리 사이를 단절시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의 하면은, 알루미늄 하면(11)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알루미늄 하면(11)은 열전도율이 높으나 유리(G)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단열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단열간봉(10)의 하면을 알루미늄 소재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열간봉(1)의 하면에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지 않음으로써 압출 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간봉(1)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생략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상면(21)만으로 구성함으로써 유리(G)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간봉(1)은 내측간봉(10)의 외 측에 외측간봉(20)을 압출 형성하여 일체로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단열간봉(1)의 상면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간봉(20)의 상면(21)이 위치하고, 상기 단열간봉(1)의 하면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간봉(10)의 하면(11)이 위치하며, 상기 단열간봉(1)의 좌우 양 측면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내측간봉(10)의 좌우 양 측면(12)과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외측간봉(20)의 좌우 양 측면(22)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열간봉(1)의 상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통공(5)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5)은 습기를 흡수하여 유리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통공(5)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면(21)에 형성하는 것보다 알루미늄 간봉(11)에 형성하는 것보다 작업이 더 용이하다. 또한, 상기 단열간봉(1)의 상면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므로 절개선(도 7참조)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알루미늄 간봉에 비해서 외관이 깨끗하고 수려하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은, 알루미늄 판재를 절곡하여 내측간봉(10)을 제조하는 과정의 후단에 상기 내측간봉(10)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외 측 간봉(20)을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접합함으로써 열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해서 내측간봉(10)과 외측간봉(20) 사이의 결합력이 떨어지지 않고 간극이 형성되지 않아서 단열효율이 우수하고 고장이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간봉(1)은 내측간봉(10)과 외측간봉(2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를 더 포함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간봉(10)은 일정한 크기의 알루미늄 판재를 U자 형태로 절곡 하여, 일정한 폭의 하면(11)과, 상기 하면(11)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정 거리 연장되는 양 측면(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 측면(12)의 선단은 자유 단이고, 하면(11)과 양 측면(12)이 만나는 외 측면에는 ∧자 형태로 절곡 된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간봉(20)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일정한 폭의 상면(21)과 상기 상면(21)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정 거리 연장되는 양 측면(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양 측면(21)의 선단은 일정 각도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에 걸리게 되어 있는 후크부(25)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부(25)는 고정홈(15)에 결합하여 외측간봉(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외측간봉(20)의 상기 상면(21)과 양 측면(22)이 만나는 내측 면에는 상기 내측간봉(10)의 양 측면(12)의 자유 단이 결합하는 일정한 길이의 결합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홈(27)은 상기 상면(21)의 하면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어 있는 보강부(29)에 의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홈(27)에는 내측간봉(10)의 양 측면(21)의 선단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간봉(10은, 내측간봉(10)의 양 측면(12)의 선단이 외측간봉(20)의 결합홈(27)에 삽입되고, 외측간봉(20)의 양 측면(22)의 후크부(25)는 내측간봉(10)의 고정홈(15)에 결합하여 상기 단열간봉(10)의 상단과 하단을 모두 고정하여 그 결합력이 매우 우수하다.
이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층유리용 단열간봉(1)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먼저, 도 5는 상기 내측간봉(10)의 외 측에 결합하는 외측간봉(20)의 변형 예로서, 상기 외측간봉(20)의 상면(21)에 형성되는 2개의 보강부(29)를 아래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내측간봉(10)의 하면(11)과 접촉하게 하여 상기 내측간봉(10)의 양 측면(12)의 자유 단이 결합하는 결합홈(2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27)의 길이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측간봉(10)의 양 측면(12)과의 결합력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이어, 도 6은 상기 외측간봉(20)의 또 다른 변형 예로서, 상기 외측간봉(20)의 상면(21)에 형성되는 2 개의 보강부(29)를 아래로 길게 연장하여 상기 결합홈(27)의 길이를 길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내측간봉(10)의 하면(11)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하는 상기 외측간봉(20)의 하면(25)을 더 형성함으로써 내측간봉(10)과의 결합력을 더욱 좋게 한 것이다.
이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간봉 제조장치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간봉 제조장치(200)는, 크게 내측간봉(10)을 제조하기 위한 포밍기(210)와, 외측간봉(20)을 압출 성형하기 위한 입출 성형기(2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출성형기(220)는 포밍기(210)의 선단에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상기 포밍기(210)의 선단에서 생산되는 내측간봉(10)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직각으로 상기 압출성형기(220)의 사출 금형(225)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포밍기(210)는 평판의 알루미늄 판재를 공급하는 공급롤(211)과, 상기 공급롤(211)에서 공급되는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하는 다수의 롤러로 이루어진 벤딩부(2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출성형기(220)는, 일 측에 감속 모터(221)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감속 모터(221)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스크류(222)가 설치되며, 압출기(220)의 일 측 상부에 호퍼(223)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223)의 내면에 히터(227)가 설치된다. 아울러 압출성형기(220)의 타측에 노즐(226)이 연결되며, 상기 노즐의 선단에는 압출금형(225)이 설치된다. 그리고 압출금형(225)은 포밍기(210)에서 만들어진 내측간봉(10)이 관통할 수 있는 구조이고 일방에 압출재를 냉각시키는 냉각챔버(226)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형은
따라서 상기 포밍기(210)에서 절곡된 내측간봉(10)은 상기 압출금형(225)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223)에 합성수지 펠릿을 투입시킨 다음 감속 모터(221)를 구동시키게 되면 압출기(220) 내의 스크류(222)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호퍼(223)에 투입된 합성수지가 가열된 히터(227)로 펠릿이 1차 가열, 용융되어 스크류(222) 사이로 공급되어지며, 스크류(222)에 의하여 가압, 용융되어 노즐(226)을 통하여 배출된 다음 압출금형(225)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압출금형(225)의 내부로 공급된 용융된 합성수지는 금형의 캐비티(229)에 대응되는 외측간봉120)을 상기 내측간봉(10)의 외 측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압출 성형되는 단열간봉(1)의 길이는 복층 유리창의 규격과 동일한 정도로 절단하여 공급하거나 필요에 따라 권취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단열간봉 5: 통공
10: 내측간봉 11: 하면
12: 양 측면 15: 고정홈
20: 외측간봉 21; 상면
22: 양 측면 25: 후크부
27: 결합홈 29: 보강부
200: 단열간봉 제조장치 210: 포밍기
220: 압출성형기 225: 압출금형

Claims (9)

  1.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를 절곡하여 이루어지는 내측간봉과,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외측간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에 있어서,
    상기 내측간봉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판재를 절곡하여 일정 폭의 하면과 상기 하면의 양단에서 상부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은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이루어지되 일정한 폭의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되어 일정 길이 연장되는 양 측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측간봉의 양 측면의 선단에는 상부로 절곡되어 상기 내측간봉의 고정홈에 결합하는 후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과 양 측면 사이에의 내측 면에는 상기 내측간봉의 양 측면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상면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외측간봉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층유리용 단열간봉의 하면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내측간봉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간봉에 형성된 결합홈은 상기 상면의 하면에 일정한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는 보강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간봉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간봉은 상기 보강부의 하단과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내측간봉의 하면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면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간봉은 알루미늄 판재를 다단계로 절곡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간봉은 상기 내측간봉의 외 측면에 합성수지를 압출 성형하여 일체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KR1020160032559A 2016-03-18 2016-03-18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KR10169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59A KR101697509B1 (ko) 2016-03-18 2016-03-18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559A KR101697509B1 (ko) 2016-03-18 2016-03-18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509B1 true KR101697509B1 (ko) 2017-02-01

Family

ID=5810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559A KR101697509B1 (ko) 2016-03-18 2016-03-18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5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5336A1 (en) * 1996-01-22 1997-07-23 Bay Mills Limited Insulating spacer for creating a thermally insulating bridge
KR200402312Y1 (ko) * 2005-09-21 2005-11-28 (주) 콘즈 이중 유리창용 간봉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85336A1 (en) * 1996-01-22 1997-07-23 Bay Mills Limited Insulating spacer for creating a thermally insulating bridge
CA2195695C (en) * 1996-01-22 2005-11-01 Douglas H. Wylie Insulating spacer for creating a thermally insulating bridge
KR200402312Y1 (ko) * 2005-09-21 2005-11-28 (주) 콘즈 이중 유리창용 간봉
KR20150092884A (ko) * 2014-02-06 2015-08-17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114B1 (ko) 2014-02-06 2016-02-26 최문열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28171B2 (en) Use of a fibre-reinforced plastic material as a reinforcement system of a profile for a window or door frame
RU2378473C2 (ru) Раз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еклопакетов с плавким соединителем
US6360489B1 (en) Weatherstrip product formed by sequential extrusion of cellular and non-cellular plastic resins
EP2893112B1 (en) Spacer system for installing vacuum insulated glass (vig) window unit in window frame designed to accommodate thicker ig window unit
EP0034157A1 (en) MAKING FRAME FOR WINDOWS AND THE LIKE MADE OF CORE CAST PLASTIC PROFILES.
US20200324451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 units, method for producing the spacer and multiple insulating glazing unit
US4690862A (en) Integral composite profile of cellular and non-cellular resins and a dual extrusion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20160312519A1 (en) Plastic thermal barrier, composite profile and window that comprise such a thermal barri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frame for a window
CN105672832B (zh) 中空玻璃隔热条及中空玻璃
KR101422815B1 (ko) 유리창 고정막대 고정구조의 스테인리스 단열창호 프레임
KR101697509B1 (ko) 복층유리용 단열간봉
DK2582901T3 (en) Composite prof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site profile reinforcing member
KR200402312Y1 (ko) 이중 유리창용 간봉
KR20150145443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호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EP303426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expanded rubber sealing strip
KR101241749B1 (ko) 목분을 함유한 창호용 프로파일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창호용 프로파일
KR101896749B1 (ko) 복합 소재 창호 제조방법
US6688874B1 (en) Non-contact extrusion nozzle head for applying sealant material in an insulated glass assembly
JP2009068191A (ja) グレージングガスケット付き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915430B1 (ko) 단열 창틀 구조
EA032396B1 (ru) Составной профиль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ставного профиля
KR200237792Y1 (ko) 합성수지재 덕트
KR101851217B1 (ko) 창호용 단열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패널 제조방법
US20240110434A1 (en) Spacer for insulating glazings
US20220243526A1 (en) Spacer for insulated glass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