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792Y1 - 합성수지재 덕트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재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792Y1
KR200237792Y1 KR2020010007085U KR20010007085U KR200237792Y1 KR 200237792 Y1 KR200237792 Y1 KR 200237792Y1 KR 2020010007085 U KR2020010007085 U KR 2020010007085U KR 20010007085 U KR20010007085 U KR 20010007085U KR 200237792 Y1 KR200237792 Y1 KR 200237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synthetic resin
fastening
main wall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0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영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2020010007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792Y1/ko

Links

Landscapes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덕트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몸체가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하부 몸체의 주벽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하부 몸체의 서로 접합되는 단부에는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접합되는 부분 내면에 서로 끼워맞춤 구조로 형성되고, 접합되는 부분 외면에 클램프로 체결하기 위한 클립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합성수지재 덕트는 배관되는 단위 덕트를 볼트 체결하여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 상,하부 몸체의 주벽이 전면적으로 막혀 밀폐된 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측 밀폐 공간부에 공기와 우레탄 폼 등의 충전물을 채움으로써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인의 선출원한 합성수지 성형물 성형방법(특허출원 제2000-10447호)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단열성이 확보된 주벽과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할 뿐 아니라, 덕트가 상,하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청소를 쉽게하고,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재 덕트{PLASTIC DU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 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부 몸체가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주벽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 몸체의 서로 접합되는 단부에는 클램프로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종 건물 및 공장에서 간편 용이하게 시공 및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합성수지재 덕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각종 건물 및 공장에 공기 통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덕트에 주로 금속재 덕트를 이용하고 있으나, 금속재 덕트는 금속판을 설계된 형태로 절단하고, 절곡하며, 접합부를 용접하는 여러 가지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제조하기가 무척 어려우며, 주로 인력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므로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으며, 금속판 자체는 단열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혹한기 및 한 대지역에서 보온이 유지되지 않는 실외에서는 별도의 단열처리를 하지 않는 한 이용이 전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금속재 덕트를 혹한기와 한대지역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덕트의 외측을 단열재로 감싸 등의 단열처리를 하여야 하나, 이러한 작업은 많은 비용과 인원과 시간을 요구하게 되므로 시공 및 관리에 매우 불리한 문제점이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덕트들은 주벽이 전체적으로 밀폐되어 있어 내부를 청소하기가 매우 어렵고, 이에 따라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열재로 이용되는 유리섬유의 분진이 비산되어 공기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각종 건물 및 공장에 설치되는 덕트를 금속재로 제작하지 않고 합성수지를 재료로 하여 제조하게 되면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원가가 절감되어 매우 유리할 것이나,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압출성형재로 덕트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덕트의 양단부에 연결을 위한 플랜지와 같은 연결부를 형성할 수 없으므로 복수개의 단위 덕트를 연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위 덕트의 양단부에 사출성형하여 별도로 제작한 플랜지를 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겠으나, 이와 같이 하는 것은 제조작업이 복잡하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원가 절감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더욱이 종래의 압출성형재는 금속재에 비하여 경량이기는 하나 내충격력이 약하고, 단열이 필요한 경우 단위 덕트에 별도의 단열재를 감싸는 형태로 이용하여야 하고,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이 주로 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유발되는 것이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압출 성형방법은 합성수지 원료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예를 들어 반용융된 겔 상태로 만든 후, 이송 스크류와 같은 압축수단으로 겔 상태의 원료를 압축하여 압출헤드로 밀어 냄으로써 압출헤드에 구비된 다이스 금형의 형상으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압출성형을 위한 압출 성형기는 압출헤드의 하우징 내부에 복수개의 코어가 결합되고, 하우징의 단부에 성형물의 형상을 만들어 주기 위한 다이스 금형이 결합되어 있으며, 압출헤드의 외측으로는 다이스 금형에서 배출되는 성형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수냉식 냉각장치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출 성형기는 압출헤드에서 압출되는 성형품의 다이스 금형을 통과하면서 형상이 정해지고, 다이스 주변에 구비된 냉각장치에 의해 냉각되면서 배출되고, 이와 같이 압출헤드에서 배출되는 성형품의 진행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수냉식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후, 진행로의 끝 부분에 설치된 절단장치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압출 성형방법으로는 직선방향으로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각종 선재, 봉재 및 패널을 성형하는데는 적합하고, 성형품의 합성수지 구조체의 내부가 비어있기 때문에 경량인 이점도 있으나, 주벽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압출 성형제품은 이와 같이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성형품을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제품의 양단부에 필연적으로 절단면이 있게 되고, 제품의 길이방향으로 공간부가 구비되며, 이 공간부의 양단부가 필연적으로 트여진 형태를 가지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출 성형으로는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이 전체적으로 이어져 밀폐되는 외형을 가지면서 주벽의 내측에 밀폐된 공간부가 구비되고, 내측 공간부에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형상부가 구비되는 성형품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제품을 성형할 수 없었고, 또한 종래의 사출 성형으로도 이러한 제품을 성형하기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사출 성형방법은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상,하부 금형의 내측 캐비티에 소정 온도로 가열된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캐비티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하고, 상,하부금형을 형개시킨 후, 이젝트장치로 취출시켜 제품을 얻는 것이므로, 사출 성형으로 성형된 제품은 금형의 분리방향으로 트여진 형태을 가질 수 밖에 없고, 결코 밀폐된 공간부를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출 성형 및 사출 성형이 가지는 한계성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합성수지 성형물 성형방법을 특허출원 제2000-10447호로 선출원한 바 있다.
선출원된 합성수지 성형물 성형방법에 의하면 주벽 내측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합성수지 구조체가 압출성형, 블로우잉 성형 및/또는 몰드 성형되어,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이 전체적으로 밀폐되고, 상기 주벽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폐된 공간부가 적어도 일단 이상으로 형성되어 패널, 보우트, 기둥재(빔), 홈관, 구조용재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는 성형품이 제조된다.
또,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는 주벽의 내측 공간부에 복수개의 리브와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리브에는 연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 공간부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에는 공기와 우레탄 폼 등의 충전재를 주입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고 공기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하는 주입구(공기 배출밸브와 공기 흡입밸브)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선출원 발명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은 2중, 3중, 패어 글래스용도의 패널과, 빔과, 또한 창틀 및 환기구 등이 겸비된 패널로 제작된다.
그리고, 합성수지 구조체의 내측 공간부에 우레탄 폼과 같은 충전재가 충전되어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각종 자재로 제작된다.
상기한 선출원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성형장치는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 내측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간부가 구비된 성형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와, 상기 압출 성형기의 압출헤드에 결합되어 상기 합성수지 구조체의 내측 공간부에 고온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리기 위한 주입관과, 상기 압출 성형기와 연속으로 설치되어 합성수지 구조체를 몰드 성형하기 위한 몰드 성형기와, 몰드 성형기에 설치되어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에 구멍을 뚫고 각 내측 공간부에 고온 공기를 불어 불로우잉 성형을 행하고, 충전재를 주입하는 복수개의 천공 및 주입기와, 압출 성형기에서 압출되는 합성수지 구조체를 몰드 성형기로 이송시켜 장입하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압출 성형, 블로우잉 성형, 몰드 성형 및 충전 성형에서 선택되는 복합 공정을 연속으로 행하여 합성수지 구조체의 주벽이 전체적으로 밀폐되는 외형을 갖음과 아울러 각 내측 공간부가 밀폐되는 구조의 성형품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선출원의 합성수지 성형물 복합성형 기술(특허출원 제2000-10447호)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에는 패널, 보우트, 기둥재(빔), 홈관, 구조용재가 개발되어 각종 산업현장에 원가가 저렴하고, 내구성이 강하며,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을 매우 유리한 조건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되었으나, 각종 건물과 공장에서공기통로로서 간편 용이하게 시공 및 관리할 수 있는 덕트로는 개발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덕트 본체의 주벽이 전면적으로 막혀 밀폐된 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덕트 본체의 양단부에는 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각종 건물 및 공장에 시공 설치되는 다수개의 단위 덕트를 볼트 체결하여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덕트 본체의 밀폐 공간부에 공기와 우레탄 폼(urethane foam)과 같은 충전물(단열 보온재)을 채움으로써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덕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덕트 본체가 상,하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청소할 때에 덕트를 쉽게 분리하여 청소를 쉽게하고,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특히 본원인의 선출원한 합성수지 성형물 성형방법(특허출원 제2000-10447호)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단열성이 확보된 주벽과 연결부가 일체로(한 살로)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재 덕트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합성수지재 덕트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합성수지재 덕트의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합성수지재 덕트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의 종단면도.
도 8은 파이프 연결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1 : 상,하부 몸체 110 : 주벽
111,112 : 내,외벽 113 : 공기통로
114 : 리브 115 : 통공
116 : 공간부 120 : 체결부
121 : 돌조 122 : 홈
123 : 클립 걸림부 130 : 덕트 연결부
133 : 볼트 체결공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는 덕트 몸체가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덕트 몸체의 주벽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벽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덕트 몸체는 상,하부 몸체가 내부에 공기통로가 구비되도록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서로 접합되는 단부에는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접합되는 부분 내면에 서로 끼워맞춤되는 돌조와 홈이 형성되고, 접합되는 부분 외면에 C형 클램프와 같은 체결부재로 체결하기 위한 클립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몸체는 상기 주벽이 전면적으로 막혀 상기 공간부가 밀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는 상기 주벽의 양단부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는 본 원인이 선출원한 합성수지 성형물 복합성형법을 적용하여 압출(extrusion)과 블로우잉(blowing)을 단일 장치에서 행함에 의해 단위 덕트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되도록 제조되는 형태로서 기존 제조방법으로는 도저히 제조할 수 없는 독특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를 보인 것으로, 도 1에는 합성수지재 덕트의 부분 절결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합성수지재 덕트의 부분 종단면도, 도 3에는 합성수지재 덕트의 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에는 도 2의 B-B선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는 상,하부 몸체(100),(101)가 내부에 공기통로(113)가 구비되도록 서로 결합되고, 상,하부 몸체(100),(101)의 주벽(110)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114)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공간부(116)가 형성되며, 상,하부 몸체(100),(101)의 서로 접합되는 단부에는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하부 몸체(100),(101)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는 주벽이 네 방향의 평편한 벽을 가지고 네 모서리부가 원호형으로 되어 대략 장방형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네 방향의 벽이 활 처럼 휘어져 중앙부에서 양외측으로 가면서 높이가 낮아지는 만곡형을 이루어 보다 높은 인장 및 압축강도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부(120)는 상,하부 몸체(100),(101)의 접합되는 부분 내면에 서로 끼워맞춤되는 돌조(121)와 홈(122)이 형성되고, 접합되는 부분 외면에 클램프(124) 등으로 체결하기 위한 클립 걸림부(1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는 주벽(110)이 전면적으로 막혀 공간부(116)가 밀폐되도록 형성되고, 이 경우 덕트 연결부(130)는 주벽(110)의 외면에 복수개의 요입부(131)가 형성되고, 플랜지형 돌출부(132)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13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파이프 연결부의 다른 형태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덕트는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는 주벽(110)의 양단부가 절단된 형태로 형성되고, 주벽(110)의 양단부에 플랜지부(134)가 접합되어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덕트 연결부(130)는 플랜지부(134)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13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34)는 주벽(110)에 외측으로 끼워지는 결합관부(135)에 체결판부(136)가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판부(135)의 외면에 환상홈(137)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패킹과 같은 부재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면에는 주벽(110)의 내,외벽(111),(112)의 단부 사이에 끼워지는 걸림부(138)가 형성되고, 결합관부(135)와 체결판부(136)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보강편(139)이 형성됨과 아울러 체결판부(136)의 외측으로 다수개의 볼트 체결공(133)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의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하부 몸체(100),(101)는 전체적으로 마름모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의 종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하부 몸체(100),(101)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덕트는 네 방향 벽이 평편한 장방형, 네 방향 벽이 활 처럼 휘어진 만곡형상, 마름모형, 원형 등으로 형성되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덕트에서 각 리브(114)에는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통공(115)이 서로 인접한 리브(114)에 엇갈리게 배치되도록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벽(110)의 내부 밀폐된 공간부(116)에는 단열을 위한 충전물이 충전될 수 있다.
또,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 주벽(110), 덕트 연결부(130), 공간부(116), 리브(114), 통공(115) 등에 관한 형상, 크기와 치수는 사용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본체(100)의 내,외벽(111),(110)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기의 배출과, 흡입을 위한 밸브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하부 몸체(100),(101)를 결합하여 되는 파이프 본체(100)의 최종 외피에는 알루미늄 호일(Al foil)을 도포하거나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여 불연성을 갖도록 하고 외관이 간단하면서 미려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재 덕트는 각종 건물 또는 공장에서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기 위한 덕트로 이용되며, 다수개의 상,하부 몸체(100),(101)를 클립 걸림부(123)에 클램프(124)를 끼워 결합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덕트를 현장에 따라 필요한 만큼 배관하고 상,하부 몸체(100),(101)의 양단부에 형성된 덕트 연결부(130)를 볼트 체결공(133)이 연통되도록 서로 밀착시킨 후,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 덕트는 상기 상,하부 몸체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배관되는 덕트를 볼트 체결하여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 상,하부 몸체의 주벽이 전면적으로 막혀 밀폐된 공간부가 내측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그 내측 밀폐 공간부에 공기와 우레탄 폼 등의 충전물을 채움으로써 단열성이 매우 우수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덕트가 상,하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청소할 때에 덕트를 쉽게 분리하여 청소를 쉽게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 덕트 주벽의 밀폐된 공간부에 보온단열재인 우레탄 폼이 충전되어 있으므로 그 분진이 비산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이에 따라 실내 공기가 오염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원인의 선출원한 합성수지 성형물 성형방법(특허출원 제2000-10447호)에 의한 단일 공정으로 단열성이 확보된 주벽과 덕트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생산성이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재 덕트는 종래 압출성형 파이프와 사출성형 파이프와는 그 형태를 찾아 볼 수 없는 전혀 새로운 덕트이며, 종래 압출성형 및 사출성형으로는 결코 제조할 수 없는 특단의 덕트로서, 덕트가 요구되는 각종 산업 분야에 매우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덕트 몸체가 내부에 공기통로(113)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덕트 몸체의 주벽(110)은 그 내부에 복수개의 리브(114)가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의 공간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주벽(110)의 양단부에는 덕트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덕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몸체는 상,하부 몸체(100),(101)가 내부에 공기통로(113)가 구비되도록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의 서로 접합되는 단부에는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덕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몸체(100),(101)는 상기 주벽(110)이 전면적으로 막혀 상기 공간부(116)가 밀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덕트 연결부(130)는 상기 주벽(110)의 양단부에 복수개의 볼트 체결공(133)이 구비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재 덕트.
KR2020010007085U 2001-03-15 2001-03-15 합성수지재 덕트 KR200237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85U KR200237792Y1 (ko) 2001-03-15 2001-03-15 합성수지재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85U KR200237792Y1 (ko) 2001-03-15 2001-03-15 합성수지재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792Y1 true KR200237792Y1 (ko) 2001-10-08

Family

ID=7309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085U KR200237792Y1 (ko) 2001-03-15 2001-03-15 합성수지재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7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805B1 (ko) * 2022-07-07 2023-04-07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덕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805B1 (ko) * 2022-07-07 2023-04-07 유진에스엠알시오토모티브테크노 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덕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889303U (zh) 吹塑设备
CA2285131A1 (en) Method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a twin-wall pipe having a pipe socket and apparatus for putting the method into practice
KR200237792Y1 (ko) 합성수지재 덕트
CN105484373A (zh) 一种共挤成型的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KR20110059314A (ko) 플랜지형 합성수지 파형관
CN204477528U (zh) 一种钢塑复合螺纹波纹管
CN204326361U (zh) 一种木塑与金属型材共挤成型的复合板材
KR200238377Y1 (ko)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단열 이중관
KR20080017158A (ko) 합성수지관의 이중 삼각형 보강구조 및 그 제조방법
EP1578587B1 (en) Molding apparatus with mold blocks having profiled face adjustment
CN105484377A (zh) 一种聚氨酯与木塑共挤成型的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KR200238376Y1 (ko)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단열 이중관
US4777001A (en) Extruding method
CN217760703U (zh) 一种门芯板以及用于制造门芯板组件的挤塑模具
KR101183606B1 (ko) 후렌치 연결구 일체형 디씨 이중벽관 성형장치와 그 제조방법
CA2490373A1 (en) Process of simultaneously molding a plurality of composite shingles
KR200237791Y1 (ko) 양단부에 결합부를 가지는 합성수지 통합관
KR100499535B1 (ko) 고강도 합성수지관 및 그 성형방법
CN204326360U (zh) 一种木塑、聚氨酯和金属型材共挤成型的复合板材
JP3552119B2 (ja) 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および合成樹脂製中空パネル押出し成形用金型
CN206030163U (zh) 保温隔音预制墙体挤出成型模具
CN204326362U (zh) 一种木塑、发泡层和金属型材共挤成型的复合板材
KR20050018867A (ko) 합성수지 다중벽관 제조용 프로파일의 제조 장치
CN105484422A (zh) 一种木塑与金属型材共挤成型的复合板材及其制备方法
CN204225303U (zh) 一种聚氨酯与木塑共挤成型的复合板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