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252B1 -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252B1
KR101697252B1 KR1020150110084A KR20150110084A KR101697252B1 KR 101697252 B1 KR101697252 B1 KR 101697252B1 KR 1020150110084 A KR1020150110084 A KR 1020150110084A KR 20150110084 A KR20150110084 A KR 20150110084A KR 101697252 B1 KR101697252 B1 KR 101697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cture
fixture
fixing
fracture sit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복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1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1Implants with special means for releasing a dru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Neu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는, 골절 부위를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트랙모양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몸체의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고 골절 부위에 전달되는 치료물질이 수용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전달부재는 몸체의 고정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며 치료물질이 수용되고, 치료물질이 방출되는 수용부 방출구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FIXING PLATE FOR BONE FRACTURE}
본 발명은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절 부위를 지지하고, 골절 부위에 치료 물질을 방출하여 골 생성 및 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나 산업재해의 사고 등이 급증하면서, 이로 인해 분쇄골절, 개방성 골절 등과 같은 심한 골절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외적 요인이 없더라도 골다공증, 종양 또는 감염 등에 의해서도 골절이 발생될 수 있다.
골절이 발생되었을 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골절 주변부에 통증이 발생하고, 이러한 통증은 근육의 경직, 주위 연부 조직의 손상을 유발시키며, 심한 경우 신경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골절이 발생될 경우 골절 부위를 고정 시키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뼈의 접합을 유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골절 부위를 고정 시킬 때, 대부분 금속판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골 생성의 한계로 인해 골유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불유합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고정 기기를 삽입하기 전에 치료물질을 삽입하거나, 또는 고정기기 주변에 치료물질을 주사함으로써 골유합을 촉진시킨다.
다만, 환자의 특성에 따라 골유합에 부작용이 발생될 경우, 고정기기를 제거하고 재치료를 수행하거나, 뼈의 이식 등과 같은 추가 조치가 필요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0743329호 (2007.07.20.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138504 (2010.12.31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골절 부위에 치료물질을 방출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료물질을 방출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전달부재의 위치를 골절 부위에 마주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달 부재를 골절 부위에 맞추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골절 부위 또는 작은 골절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는 골절 부위를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트랙모양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고 상기 골절 부위에 전달되는 치료물질이 수용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전달부재는 몸체의 고정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며 치료물질이 수용되고, 치료물질이 방출되는 수용부 방출구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료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치료물질이 방출되는 수용부 방출구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위치는 상기 트랙모양의 고정구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되어 상기 골절 부위와 마주보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는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의 중심축들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서로 각을 이루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모양은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들의 무게 중심점들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중심축들 사이의 각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치료 물질은 생체 활성 물질인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tic Protein, BMP), 자가 줄기세포 및 골성장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의하면 골절 부위에 치료물질을 방출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의하면 치료물질을 방출하는 위치를 조절하여 골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의하면 전달부재의 위치를 골절 부위에 마주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전달 부재를 골절 부위에 맞추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에 의하면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다골절 부위 또는 작은 골절부위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가 골절 부위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전달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가 골절 부위에 고정된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골절 부위에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몸체(10)를 관통하여 골절 부위 주변의 뼈에 고정되는 스크류(1)에 의하여 골절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1)가 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관통구(11)에 삽입된 후 골절 부위 주변의 뼈에 고정되면 몸체(10)는 스크류(1)의 고정에 의하여 골절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의 몸체(10)에 결합된 치료물질이 수용되는 전달부재(20)는 골절 부위와 접촉되게 위치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골절 부위에 고정되어 골절 부위를 지지하고, 골절 부위의 골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는 몸체(10)와 전달부재(2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골절 부위에 고정되어 골절 부위를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몸체(10)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몸체(10)에는 스크류(1)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관통구(11)들은 몸체의 일단과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단에 위치하여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1)가 몸체의 일단과 일단의 반대쪽에 위치한 타단에 위치한 복수의 관통구(11)들에 삽입되어 골절 부위에 고정되면, 몸체(10)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스크류(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골절 부위에 고정될 수 있다.
전달부재(20)는 몸체(10)와 결합되고, 전달부재(20)에는 골절 부위에 전달되는 치료물질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100)가 골절 부위에 고정될 때, 전달부재(20)는 몸체(10)와 골절 부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달부재(20)에 수용된 치료물질이 골절 부위에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전달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몸체의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달부재(20)는 고정부(21) 및 치료물질이 수용되는 수용부(23)를 포함하고, 몸체(10)는 관통구(11)와 고정구(1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1)는 고정부 헤드(21a) 및 고정부 스크류(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 헤드(21a)는 몸체(10)를 관통하는 고정구(13)의 y축 방향의 길이(이하, 고정구 세로폭이라 함)보다 큰 지름을 가진 원기둥 모양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 스크류(21b)는 고정부 헤드((21a)의 일면에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일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 헤드(21a)는 몸체(10)의 고정구(13)에 고정되고, 고정부 헤드(21a)에서 연장되는 기둥 모양의 고정부 스크류(21b)는 수용부(2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3)는 수용부 나사홀(23a), 수용부 몸체(23b) 및 수용부 방출구(23c)를 포함한다.
이때, 수용부 나사홀(23a)은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 스크루(21b)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 나사홀(23a)과 고정부 스크루(21b)의 결합에 의해 수용부(23)는 고정부(21)와 결합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 헤드(21a)는 고정구(13)에 고정되고, 고정부 스크루(21b)는 수용부 나사홀(23a)을 통해 수용부(23)와 결합되어 몸체(10)에 전달부재(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다만, 몸체(10)의 관통구(11)는 도 2 부분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관통구(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13)는 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고정구(13)에는 전달부재(20)의 고정부(21)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구(13)는 몸체(10)의 x축 방향의 길이(이하 고정구 너비이라 함) 및 고정구 너비보다 작은 고정구 세로폭을 가지는 트랙모양일 수 있다.
이때, 고정구(13)에는 고정부(21)가 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21)와 연결되는 수용부(23)에 의해 전달부재(20)는 고정구(13)를 따라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고정부(21)를 고정구(13)에 고정할 때, 고정구(13) 세로폭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고정부 헤드(21a)는 고정구(13)에 고정되고, 고정구 세로폭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고정부 스크류(21b)는 고정구(13)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 헤드(21a)의 고정구(13)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고정부 스크류(21b)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23)가 고정부 스크류(21b)에 결합되므로, 고정부 스크류(21b)의 위치에 따라 수용부(23)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10)를 골절부위에 고정시킨 후 전달부재(20)를 고정구(1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골절 부위와 마주보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20)가 골절 부위에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수용부 몸체(23b)에 수용된 치료물질이 수용부 방출구(23c)를 통해 골절 부위에 방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 몸체(23b)에는 치료물질이 수용된다. 또한, 수용부 방출구(23c)는 수용부 몸체(23b)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부 몸체(23b)에 수용된 치료물질은 수용부 방출구(23c)를 통해 골절 부위로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 몸체(23b)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된 경우, 수용부 방출구(23c)는 수용부(23)의 네 측면 및 골절 부위와 접하는 하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치료물질이 골절 부위에 균일하게 방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수용부(23)가 직육면체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플레이트(100)의 몸체(10)를 골절 부위에 고정 시킨 후 전달부재(2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좁은 절개 부위에서 전달부재(20)의 위치를 골절 부위에 맞추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전달부재(20)의 위치를 골절 부위에 마주보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치료 물질을 골절 부위에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23)는 치료물질을 일회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골절 치료 각 단계 또는 환자의 특성에 적합한 다른 치료물질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23)에 1단계 치료물질로서 골형성 단백질(Bone Morphogentic Protein, BMP)이 수용되어 모두 방출 된 후, 2단계 치료물질로서 골성장 촉진제가 투입되어 골절 부위에 방출될 수 있다.
즉, 수용부(23)에 1차로 수용된 치료물질이 모두 배출되면, 수용부(23)에 치료물질을 재투입하여 골절 부위에 재투입된 치료물질을 방출시킬 수 있다.
수용부(23)에 수용되는 치료물질은 생체 활성 물질로서 골형성 단백질(BMP), 자가 줄기세포 및 골성장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골절 치료 효과를 낼 수 있는 다른 치료 물질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200)는 몸체(210)와 전달부재(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재(22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달부재(2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210)는 고정부(221)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분리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리부재(215) 각각은 플레이트 모양으로, 스크류(1)가 관통하는 관통구(211)와 고정부(221)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213)를 포함한다.
다만, 관통구(211)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통구(11)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210)의 고정구(213)는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연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분리부재(215)는 고정구(213)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22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분리부재(215)는 제1 분리부재(215a) 및 제2 분리부재(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리부재(215a)는 제1 고정구(213a)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분리부재(215b)는 제2 고정구(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는 제1 고정구(213a)와 제2 고정구(213b)가 트랙모양의 고정구(213)를 이루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1)는 고정구(213)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분리부재(215)가 연결될 때, 복수의 분리부재(215) 각각의 중심축(L)들은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또는 각(A)을 이루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분리부재(215) 각각의 중심축(L)들은 복수의 분리부재(215) 각각의 길이방향(x축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분리부재(215) 각각의 무게 중심점(C)들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중심축(L)은 제1 분리부재(215a)의 제1 중심축(L1) 및 제2 분리부재(215b)의 제2 중심축(L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중심축(L)들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때 복수의 분리부재(215)들의 위치 변화에 따른 고정구(213)의 모양의 변화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심축(L1)과 제2 중심축(L2)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때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고정구(213)의 모양은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 사이의 거리(D)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모양은 무게 중심점(C1, C2)들 사이의 거리(D)에 따라 고정구(213)의 x축 방향의 길이(이하 고정구 너비라 함)가 변하는 트랙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 사이의 거리(D)가 가까워질수록 고정구(213)의 모양은 고정구(213) 너비가 길쭉한 트랙모양에서 짧은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너비는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들(C1, C2) 사이의 거리(D)가 가까워질수록 짧아진다.
반면,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고정구(213)의 모양은 짧은 트랙모양에서 길쭉한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너비는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들(C1, C2)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중심축(L)들이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분리부재(215)가 위치될 때, 고정구(213)의 모양은 복수의 분리부재(215)들의 무게 중심점(C)들 사이의 거리(D)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모양은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리부재(215)가 골절 부위에 적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므로 골절 부위의 형태에 따라 고정구(213)의 모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절 부위가 넓은 경우,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가 무게 중심점(C1, C2)들 사이의 거리(D)를 넓게 유지하도록 위치되어 고정구(213) 모양이 긴 트랙모양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반면, 골절 부위가 좁은 경우,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가 무게 중심점(C1, C2)들 사이의 거리(D)를 좁게 유지하도록 위치되어 고정구(213)를 짧은 트랙모양으로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구(213)에 고정되는 고정부(221)의 이동 가능한 길이는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를 동시에 관통할 수 있는 고정구(213)의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중심축(L)들이 서로 각을 이루게 위치될 때 복수의 분리부재(215)들의 위치 변화에 따른 고정구(213)의 모양의 변화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중심축(L1)과 제2 중심축(L2)이 서로 각(A)을 이루며 위치될 때, 제1 중심축(L1)과 제2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는 제1 중심축(L1)과 제2 중심축(L2)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때, 고정구(213)의 모양은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 사이의 거리 및 제1 중심축(L1)과 제2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모양은 제1 및 제2 중심축들(L1, L2) 사이의 각도(A) 및/또는 무게 중심점(C1, C2)들 사이의 거리(D)에 따라 구부러진 정도 또는 전체 길이가 달라지는 트랙모양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분리부재(215a)의 중심축(L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가 작아질수록 고정구(213)의 모양은 덜 구부러진 트랙모양에서 더 구부러진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구부러진 정도는 제1 분리부재(215a)의 제1 중심축(L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제2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가 작을수록 더 구부러진다.
반면, 제1 분리부재(215a)의 제1 중심축(L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제2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가 커질수록 고정구(213)의 모양은 더 구부러진 트랙모양에서 덜 구부러진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구부러진 정도는 제1 분리부재(215a)의 제1 중심축(L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제2 중심축(L2) 사이의 각도(A)가 커질수록 덜 구부러진다.
또한,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이 멀어질수록 짧게 구부러진 트랙모양에서 길게 구부러진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전체 길이는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들(C1, C2) 사이의 거리(D)가 멀어질수록 길어진다.
반면, 제1 분리부재(215a)의 무게 중심점(C1)과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C2)이 멀어질수록 길게 구부러진 트랙모양에서 짧게 구부러진 트랙모양으로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전체 길이는 제1 분리부재(215a)와 제2 분리부재(215b)의 무게 중심점들(C1, C2) 사이의 거리(D)가 가까워질수록 짧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중심축(L)들이 각도(A)를 이루도록 복수의 분리부재(215)가 위치될 때, 고정구(213)의 모양은 복수의 분리부재(215)들의 무게 중심점(C)들 사이의 거리(D) 및/또는 복수의 분리부재(215)들의 중심축(L)들의 각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즉, 고정구(213)의 모양은 복수의 분리부재(215)의 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리부재(215)가 골절 부위에 적합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므로 골절 부위의 형태에 따라 고정구(213)의 모양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골절 부위가 각을 이루는 경우,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의 제1 및 제2 중심축(L1, L2)이 골절 부위의 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구(213)에 고정되는 고정부(213)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제1 중심축(L1)와 제2 중심축(L2)이 교차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분리부재(215a, 215b)를 동시에 관통할 수 있는 고정구(213)의 범위일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200)는 복수의 분리부재(215)를 일직선 또는 교차로 배치하여 고정구의 모양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작은 골절부위 또는 직선형의 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없는 각도가 형성된 골절 부위 및 다골절 부위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200 :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1 : 스크류
10, 210 : 몸체
11, 211 : 관통구 13, 213 : 고정구
20, 220 : 전달부재
21, 210 : 고정부
21a : 고정부 헤드 21b : 고정부 스크류
23, 230 : 수용부
23a : 수용부 나사홀 23b : 수용부 몸체
23c : 수용부 방출구
215 : 복수의 분리부재
L : 복수의 분리부재의 중심축
C : 무게 중심점
D : 무게 중심점들 사이의 거리
A : 복수의 분리부재의 중심축들 사이의 각도

Claims (6)

  1. 골절 부위를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트랙모양의 고정구를 포함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에 결합되고 상기 골절 부위에 전달되는 치료물질이 수용되는 전달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상기 치료물질이 수용되고, 상기 치료물질이 방출되는 수용부 방출구를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위치는 상기 트랙모양의 고정구에 상기 고정부가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되어 상기 골절 부위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의 분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달부재가 위치되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는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의 중심축들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거나 서로 각을 이루게 위치되며,
    상기 고정구의 모양은 상기 복수의 분리부재들의 무게 중심점들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중심축들 사이의 각도에 따라 변하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물질은 생체 활성 물질인 골형성 단백질(BMP), 자가 줄기세포 및 골성장 촉진제를 포함하는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KR1020150110084A 2015-08-04 2015-08-04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KR101697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84A KR101697252B1 (ko) 2015-08-04 2015-08-04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084A KR101697252B1 (ko) 2015-08-04 2015-08-04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252B1 true KR101697252B1 (ko) 2017-01-18

Family

ID=5799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084A KR101697252B1 (ko) 2015-08-04 2015-08-04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2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47B1 (ko) 2018-01-08 2019-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유합 촉진을 위한 나사못
KR102018799B1 (ko) 2018-12-12 2019-09-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이식재 주입수단을 구비한 골절 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1674A (ja) * 2005-12-01 2007-06-21 Hidetoshi Onoe 骨プレート
KR100743329B1 (ko) 2005-08-31 2007-07-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플레이트형 외고정장치
KR20090009868A (ko) * 2006-04-14 2009-01-23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성장촉진물질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KR20100138504A (ko) 2009-06-25 2010-12-31 닥터후 주식회사 어버트먼트에 마이크로포어가 형성된 치과용 임프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329B1 (ko) 2005-08-31 2007-07-2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플레이트형 외고정장치
JP2007151674A (ja) * 2005-12-01 2007-06-21 Hidetoshi Onoe 骨プレート
KR20090009868A (ko) * 2006-04-14 2009-01-23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성장촉진물질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KR20100138504A (ko) 2009-06-25 2010-12-31 닥터후 주식회사 어버트먼트에 마이크로포어가 형성된 치과용 임프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447B1 (ko) 2018-01-08 2019-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골유합 촉진을 위한 나사못
KR102018799B1 (ko) 2018-12-12 2019-09-0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골이식재 주입수단을 구비한 골절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515B2 (en) Bone graft loading instruments and methods of connecting a bone graft to a bone plate
KR101781790B1 (ko) 골접합용 장치
AU2002328570B2 (en) Intramedullary nail
JP4286130B2 (ja) 椎体係合固定具および接続平板を有する前頚部平板システム、およびその据付方法
KR101852287B1 (ko) 골 플레이트 및 골 플레이트 시스템
KR101821835B1 (ko) 뼈 고정 시스템
KR101697252B1 (ko) 골절용 고정 플레이트
KR101740905B1 (ko)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위한 고정 기구
BR9908318A (pt) Dispositivo ortopédico unilateral de fixação externa para imobilização de um osso fraturado
DE502005011127D1 (de) Füllmittel und zuführvorrichtung zum ausbilden einer stützstruktur in einem knocheninnenraum
AU2016341736A1 (en) Surgical screw and fusion device using same
ES2210645T3 (es) Elemento de fijacion para la osteosintesis.
BRPI0719369B1 (pt) porta-prótese e aplicações do mesmo
JP2019503255A5 (ko)
US11457954B2 (en) Strut plate and cabling system
JP2009502234A (ja) 融合構造体を伸長させるためのロッド伸長体
WO2014061005A3 (en) Vertebral fusion device and system
US20130261666A1 (en) Interspinous fixation device
US20210145587A1 (en) Plug in struts for graft cage
ES2868925T3 (es) Dispositivo de aprisionamiento del extremo de uno o más fascículos de material blando en un túnel óseo
US9474551B2 (en) External fixation device adaptable for bone fractures
KR20160019245A (ko) 골 접합용 고정 플레이트
ES2927275T3 (es) Dispositivo de implante para realizar artrodesis espinal posterior en una articulación facetaria
KR101886341B1 (ko) 골 접합용 분절형 플레이트 조립체
CN107072789A (zh) 肘部间隔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