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7122B1 - 전동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전동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7122B1
KR101697122B1 KR1020160081468A KR20160081468A KR101697122B1 KR 101697122 B1 KR101697122 B1 KR 101697122B1 KR 1020160081468 A KR1020160081468 A KR 1020160081468A KR 20160081468 A KR20160081468 A KR 20160081468A KR 101697122 B1 KR101697122 B1 KR 10169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wheel
coupled
front dec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수경
최광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휠
Priority to KR1020160081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93Mechanisms transforming leaning into steering through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e.g. tru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7Production or mount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20Shock or vibration absorbing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리어 휠이 구비되는 리어 데크와, 리어 데크에 대하여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리어 데크의 전방에 결합되며 한 쌍의 프론트 휠이 구비되는 프론트 데크와, 리어 휠의 일측에 설치되며 리어 휠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스케이트 보드{Electromotion skate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케이트 보드는 긴 타원형인 단일 데크의 저면에 복수 개의 휠이 설치된 것으로, 종래에는 스케이트 보드를 출발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한쪽 발을 데크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치고 나가면서 추진력을 얻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속도를 얻은 상태에서 스케이트 보드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데크의 좌우측 모서리 방향으로 몸을 기울여 체중을 가해야 했다.
이러한 방법으로 타는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출발시 그리고 가속을 위해서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밀어야 하기 때문에, 다리 운동의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그만큼의 체력 소모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쪽 발은 데크 위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밀어서 어느 정도의 속도를 얻은 후에는, 지면을 밀던 발을 들어서 데크 위에 올려놓아야 하는데, 이때 몸의 중심을 잡기가 어려워서 쉽게 배울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달리고 있는 스케이트 보드를 선회하고자 할 때에는 데크를 경사지게 기울여서 휠의 굴림 회전 진행 방향을 선회방향으로 바꾸어야 하나, 선회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데크의 경사각 가변 범위에 한계가 있으므로 스케이트 보드의 선회 곡률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처럼 큰 선회 동선으로 주행하는 스케이트 보드는 순간적으로 조향능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선회공간이 마련되지 못하는 곳에서는 스케이트 보드의 방향 전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케이트 보드가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경우, 전진력이 소멸되면서 선회 능력이 떨어져 더 이상 주행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모터로부터 추진력을 제공받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방향 전환이 용이하고 선회 곡률이 작은 전동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주행감이 좋은 전동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리어 휠이 구비되는 리어 데크;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데크의 전방에 결합되며, 한 쌍의 프론트 휠이 구비되는 프론트 데크; 및 상기 리어 휠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휠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어 데크의 저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데크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피봇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데크의 피봇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프론트 휠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과, 상기 결합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프론트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조향장치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휠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단차지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데크의 피봇 회전시 상기 프론트 휠이 조향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일단이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서스펜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스펜션은,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실린더를 상기 프론트 데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어 데크와 상기 프론트 데크의 대향면에 각각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어 데크는, 상기 리어 휠이 설치되는 메인 데크와, 상기 메인 데크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저면에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 데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데크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추진력을 얻게 되므로 체력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쉽게 배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에 의하면, 주행 방향을 용이하게 바꿀 수 있으며, 좁은 선회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에 의하면,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감과 주행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100)는 전후 방향으로 분리된 리어 데크(200) 및 프론트 데크(300)와, 리어 데크(200) 및 프론트 데크(300)에 각각 한 쌍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리어 휠(210) 및 프론트 휠(310)과, 리어 휠(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리어 휠(2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론트 데크(300)는 리어 데크(2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각도 피봇 회전 가능하며, 이를 위해 리어 데크(200)와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연결축(500)이 설치된다. 연결축(500)은 후단이 리어 데크(2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1 연결축 수용부(220)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되고, 전단이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 연결축 수용부(320)에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프론트 데크(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500)을 중심으로 리어 데크(200)에 대하여 피봇 회전할 수 있다. 주행중 방향 전환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프론트 데크(300)의 좌측 또는 우측 모서리 부분으로 체중을 이동시켜 리어 데크(200)에 대하여 프론트 데크(300)를 피봇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프론트 휠(310)의 방향이 바뀌면서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의 선회가 완료되면 프론트 데크(300)를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려서 직선 주행을 계속할 수 있다. 이때, 리어 데크(200)와 프론트 데크(300)의 대향면에는 복수 개의 영구자석(M)이 구비되며, 프론트 데크(300)가 원위치로 돌아올 때 영구자석(M) 간의 자력에 의해 프론트 데크(300)와 리어 데크(200)가 서로 비틀리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 영구자석(M)은 연결축(500)의 양단과 제1,제2 연결축 수용부(220,320)의 내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프론트 휠(310)이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트럭(3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한 쌍의 리어 휠(210)은 리어 데크(200)의 저면에 결합되는 리어 트럭(23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리어 휠(210)의 내측에는 리어 휠(21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동기어(211)가 구비되며, 리어 데크(20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400)를 장착하기 위한 모터 브라켓(240)이 결합된다. 모터 브라켓(240)에 결합된 구동모터(400)의 구동축은 구동기어(211)와 벨트 연결되며, 따라서 구동모터(400) 작동시 구동축과 연동하여 구동기어(211)와 리어 휠(210)이 일체로 함께 회전함으로써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구동모터(400)가 한 쌍의 리어 휠(2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만 설치되어 하나의 리어 휠(210)만을 구동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구동모터(400)에 의해 한 쌍의 리어 휠(210)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구동모터(4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은 리어 데크(200)의 저면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프론트 데크(300)를 리어 데크(200)의 상측면 방향으로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축과 제2 연결축을 포함하여 연결축(500)을 구성하는 한편, 제1,제2 연결축의 단부에 각각 제1,제2 힌지결합부를 형성한다. 제1,제2 힌지결합부는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타측에는 제1,제2 힌지결합부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론트 데크(300)와 리어 데크(200)를 펼쳐서 제1,제2 연결축이 동일 축선상에 정렬되도록 한 후 고정레버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를 사용할 수 있고, 고정레버의 해제시에는 프론트 데크(300)와 리어 데크(200)를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폴딩 구성은 후술하는 제2,제3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리어 데크(200)는 리어 휠(210)이 설치되는 메인 데크와, 메인 데크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데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중 배터리(250) 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배터리 데크의 저면에는 구동모터(4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250)가 장착된다. 사용자는 메인 데크로부터 배터리 데크를 분리하여 배터리(250)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배터리 데크의 배터리(250)를 교체한 후 분리된 배터리 데크를 메인 데크의 전방에 다시 장착할 수도 있고, 충전된 배터리(250)를 장착한 별도의 배터리 데크를 미리 준비하여 배터리 데크 전체를 교체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메인 데크와 배터리 데크를 포함하는 리어 데크(200)의 구성이 후술하는 제2,제3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에 의하면, 종래 지면을 발로 밀어서 추진력을 얻던 것과는 달리, 구동모터(400)의 구동력에 의해 추진력을 얻게 된다. 또한, 프론트 데크(300)가 리어 데크(200)로부터 분리되어 연결축(500)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이 용이하며, 프론트 데크(300)를 종래보다 더 큰 각도로 기울일 수 있어서 선회 반경이 줄어들고 좁은 장소에서도 방향 전환이 유리하다. 아울러, 메인 데크로부터 배터리 데크를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배터리(250)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리어 데크(200)와 프론트 데크(300)를 2단으로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나 보관이 편리한 장점도 있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a)는 리어 데크(200)와 프론트 데크(300)가 분리되어, 리어 데크(200)에 대하여 프론트 데크(300)가 연결축(500)을 중심으로 피봇 회전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리어 휠(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00)가 리어 트럭(230)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 브라켓(240)에 의해 리어 휠(210)의 일측에 장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a)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프론트 트럭(330) 대신에, 프론트 데크(300)의 피봇 회전 방향에 따라 프론트 휠(310)의 정렬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700)가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조향장치(700)는,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710)과, 결합블록(7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720)와, 일측이 지지부재(72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프론트 휠(3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휠 브라켓(730)을 포함한다.
결합블록(710)은 육면체 블록 형태이며, 결합블록(7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하나씩 사각형 바(bar) 형태의 지지부재(720)가 결합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결합블록(710)과 지지부재(720)의 단면 형상, 그리고 폭과 길이 및 두께 등의 규격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지지부재(720)는 결합블록(7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1 지지부재(721)와 결합블록(710)의 후면에 결합되는 제2 지지부재(722)를 포함하며, 제1,제2 지지부재(721,722)의 길이 방향 중간부가 결합블록(710)에 힌지 결합한다. 즉, 제1,제2 지지부재(721,722)는 결합블록(710)과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제2 지지부재(721,722)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휠 브라켓(730)이 힌지 결합되는데, 제1,제2 지지부재(721,722)와 휠 브라켓(730)의 힌지 결합은 예컨대 아이볼트(eye-bolt) 형태의 연결부재(7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740)의 일단이 지지부재(72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휠 브라켓(73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휠 브라켓(730)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휠 브라켓(730)의 중간부 외측에는 프론트 휠(3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재(721)와 제2 지지부재(722)는 결합블록(710)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단차지게 결합된다. 즉, 결합블록(710)의 후면 하단에 제2 지지부재(722)가 힌지 결합되고, 결합블록(710)의 전면에는 제2 지지부재(722)의 힌지 결합 지점보다 더 높은 지점에 제1 지지부재(721)가 힌지 결합되어, 제1 지지부재(721)와 제2 지지부재(722)는 결합블록(710)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프론트 데크(300)를 일 방향으로 피봇 회전시키면,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상단이 결합된 결합블록(710)이 함께 회전하면서 제1 지지부재(721)와 제2 지지부재(722)를 주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결합블록(710)에 대한 제1,제2 지지부재(721,722)의 결합 높이가 서로 다름에 따라, 제1,제2 지지부재(721,72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론트 휠(31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 5는 직선 주행시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도면상 우측)으로 선회할 때의 모습, 그리고 도 7은 주행 방향에 대하여 우측(도면상 좌측)으로 선회할 때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선회하기 위해 프론트 데크(300)를 주행 방향의 좌측으로 낮게 회전시키는 경우, 결합블록(710)의 하단부가 우측 상향으로 회전하며, 제2 지지부재(722)는 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반면에, 결합블록(710)의 상단부는 좌측 하향으로 회전하며, 제1 지지부재(721)는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연결부재(740)에 의해 제2 지지부재(722)와 힌지 결합한 휠 브라켓(730)의 후단은 우측으로 기울고, 연결부재(740)에 의해 제1 지지부재(721)와 힌지 결합한 휠 브라켓(730)의 전단은 좌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처럼 휠 브라켓(730)의 전단이 후단에 대하여 좌측으로 비스듬하게 기운 형태가 됨에 따라, 휠 브라켓(730)의 외측에 결합된 프론트 휠(310)의 방향 역시 원래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좌측을 향하게 되며,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a)는 좌측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제2 지지부재(722)의 이동에 의해, 프론트 휠(310)의 상단부에는 주행 방향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프론트 휠(310)의 상단부는 지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 좌측으로 경사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프론트 데크(300)의 피봇 회전에 따라 프론트 휠(310)의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a)의 주행 중 방향 전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이때 지면에 대하여 프론트 휠(310)이 조향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므로 조향 방향으로의 선회 동작이 더욱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b)는 프론트 데크(300)가 리어 데크(200)에 대하여 피봇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 리어 데크(200)의 저면에 리어 휠(21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400)가 장착된다는 점, 그리고 프론트 데크(300)의 피봇 회전에 따라 프론트 휠(31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70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구성이 유사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 전술한 제2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동 스케이트 보드(100b)는, 일단이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에 탄성 지지되고 타단이 지지부재(720b)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는 서스펜션(800)을 포함하며, 이 서스펜션(800)은 지면으로부터 프론트 데크(3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서스펜션(800)의 효과적인 작용을 위해, 전술한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연결부재(740b)가 제1,제2 지지부재(721b,722b)에 대하여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때, 서스펜션(800)은 연결부재(740b)와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 사이에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프론트 휠(310)과 연결부재(740b)를 통해 프론트 데크(3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서스펜션(800)의 신축작용에 의해 감소시키게 된다.
일 예로서, 연결부재(740b)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형태의 몸체 일단에 링 형태의 힌지 결합부(7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제2 지지부재(721b,722b)의 양단에는 연결부재(740b)의 타단이 삽입되도록 삽입홈(723b)이 각각 형성되며, 힌지핀에 의해 연결부재(740b)의 타단이 제1,제2 지지부재(721b,722b)의 양단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부재(740b) 일단의 힌지 결합부(741b)는 휠 브라켓(730)의 상측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전술한 제2 실시예처럼 휠 브라켓(730)이 연결부재(740b)에 대하여 소정 각도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부재(740b)는 'U'자로 절곡된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핀에 의해 연결부재(740b)의 일단이 제1,제2 지지부재(721b,722b)의 삽입홈(723b)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서스펜션(800)은 실린더(810)와, 실린더(810)의 중공에 삽입되는 실린더로드(820)와, 실린더(810) 및 실린더로드(820)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8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실린더(810)의 일단은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 또는 결합블록(710)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며, 실린더(8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코일스프링(830)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부(811)가 확장 형성된다.
실린더로드(820)의 일단은 실린더(81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중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실린더로드(820)의 타단은 연결부재(740b)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일 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로드(820)의 타단에 'U'자 단면 형태의 힌지 결합부(821)가 형성되고, 힌지핀에 의해 연결부재(740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810)와 실린더로드(820)는 위치를 서로 바꿔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실린더(810)가 연결부재(740b)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고, 실린더로드(820)가 프론트 데크(300)의 저면 또는 결합블록(71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830)은 실린더(810)의 걸림부(811)와 실린더로드(820)의 힌지 결합부(821) 사이에 개재된다. 이때, 코일스프링(830)은 실린더(810)와 실린더로드(82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실린더(810)를 프론트 데크(300) 방향으로, 그리고 연결부재(740b)를 지면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며, 지면으로부터 프론트 휠(310)과 휠 브라켓(730) 및 연결부재(740b)를 통해 프론트 데크(300)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의 요철에 의해 프론트 휠(310)이 튀어오르게 되면, 지지부재(720b)에 대하여 연결부재(740b)가 상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로드(820)가 실린더(810)의 중공을 따라 상승하고, 코일스프링(830)의 압축이 이루어지면서 프론트 데크(300)로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800)은 제1 지지부재(720b)에 힌지 결합된 연결부재(740b)에만 설치되거나, 또는 제2 지지부재(720b)에 힌지 결합된 연결부재(740b)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지지부재(720b)에 힌지 결합된 연결부재(740b)와 제2 지지부재(720b)에 힌지 결합된 연결부재(740b) 모두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서스펜션(800)의 설치 위치나 개수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2 실시예처럼 프론트 데크(300)의 피봇 회전시 조향장치(700)에 의해 프론트 휠(310)의 방향이 바뀌어서 주행 방향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은 마찬가지이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M : 영구자석
100, 100a, 100b : 전동 스케이트 보드 200 : 리어 데크
210 : 리어 휠 211 : 구동기어
220 : 제1 연결축 수용부 230 : 리어 트럭
240 : 모터 브라켓 250 : 배터리
300 : 프론트 데크 310 : 프론트 휠
320 : 제2 연결축 수용부 330 : 프론트 트럭
400 : 구동모터 500 : 연결축
700 : 조향장치 710 : 결합블록
720, 720b : 지지부재 721, 721b : 제1 지지부재
722, 722b : 제2 지지부재 730 : 휠 브라켓
740, 740b : 연결부재 741b : 힌지 결합부
800 : 서스펜션 810 : 실린더
811 : 걸림부 820 : 실린더로드
821 : 힌지 결합부 830 : 코일스프링

Claims (12)

  1. 한 쌍의 리어 휠이 구비되는 리어 데크;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피봇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리어 데크의 전방에 결합되며, 한 쌍의 프론트 휠이 구비되는 프론트 데크;
    상기 리어 휠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리어 휠을 회전시켜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론트 데크의 피봇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프론트 휠의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결합되는 결합블록과, 상기 결합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프론트 휠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 브라켓과,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휠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서스펜션은,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와,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중공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로드와, 상기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로드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실린더를 상기 프론트 데크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데크의 저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데크의 저면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데크가 상기 연결축을 중심으로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피봇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장치는, 일단이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휠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블록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단차지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데크의 피봇 회전시 상기 프론트 휠이 조향 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데크와 상기 프론트 데크의 대향면에 각각 복수 개의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데크는, 상기 리어 휠이 설치되는 메인 데크와, 상기 메인 데크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저면에 배터리가 설치되는 배터리 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데크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데크를 회전시켜 접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스케이트 보드.
KR1020160081468A 2016-06-29 2016-06-29 전동 스케이트 보드 KR10169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68A KR101697122B1 (ko) 2016-06-29 2016-06-29 전동 스케이트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468A KR101697122B1 (ko) 2016-06-29 2016-06-29 전동 스케이트 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958A Division KR20180002481A (ko) 2017-01-11 2017-01-11 전동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122B1 true KR101697122B1 (ko) 2017-02-13

Family

ID=58155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468A KR101697122B1 (ko) 2016-06-29 2016-06-29 전동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1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094B1 (ko) 2018-06-19 2019-07-25 송한선 스케이트보드
KR20190089558A (ko) 2018-01-23 2019-07-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원 휠 스케이트 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347A (ja) * 2006-11-15 2008-05-29 Toyota Motor Corp 走行装置
KR20090005633A (ko) * 2007-07-09 2009-01-14 조동표 스케이트 보드
KR20120053447A (ko) * 2010-11-17 2012-05-25 고영승 스케이트 보드
KR20160067357A (ko) * 2014-12-04 2016-06-14 나우식 전동장치가 부착된 주행용 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347A (ja) * 2006-11-15 2008-05-29 Toyota Motor Corp 走行装置
KR20090005633A (ko) * 2007-07-09 2009-01-14 조동표 스케이트 보드
KR20120053447A (ko) * 2010-11-17 2012-05-25 고영승 스케이트 보드
KR20160067357A (ko) * 2014-12-04 2016-06-14 나우식 전동장치가 부착된 주행용 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558A (ko) 2018-01-23 2019-07-3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이로센서를 이용한 원 휠 스케이트 보드
KR102004094B1 (ko) 2018-06-19 2019-07-25 송한선 스케이트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538B2 (ja) 前部台車アセンブリの動作の自由度が大きいスケートボード
CN107406116B (zh) 带有旋转连接的踏板车
KR101697122B1 (ko) 전동 스케이트 보드
JP2002200368A (ja) 無線制御自転車
RU2628285C2 (ru) Шасси для передвижения по различным опорным поверхностям с колесно-шаговыми движителями
US20220204112A1 (en) Kit of scooter and scooter
CN104271434A (zh) 具有姿势控制功能的车辆
EP2285654B1 (en) Skating device
KR20200072898A (ko) 퍼스널 모빌리티
CN206587404U (zh) 遥控车及其车尾高度调节装置
KR20180002481A (ko) 전동 스케이트 보드
KR200421467Y1 (ko) 스케이트보드
CN206924426U (zh) 前后转向式底盘及玩具车
CN205952169U (zh) 带有辅助踏板的电动减震滑板车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CN209988023U (zh) 行走车体腿
KR200486043Y1 (ko) 듀얼 전륜용 틸팅 겸용 조향장치 및 그 조향장치를 갖는 이륜차
CN205906155U (zh) 带有协调稳定装置的电动滑板车
JP2020032991A (ja) 電動式スケートボード
CA2272676A1 (en) Stroller
KR200332962Y1 (ko) 인라인스케이트의 바퀴 완충 장치
CN220298637U (zh) 一种儿童滑板车用辅助防倾倒机构
CN214823737U (zh) 轮腿式机器人
KR101990397B1 (ko) 레저스포츠 운동기구
KR20120013809A (ko) 인라인 보드식 롤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