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603B1 - 유압식 잭 서포터 - Google Patents

유압식 잭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603B1
KR101696603B1 KR1020140108105A KR20140108105A KR101696603B1 KR 101696603 B1 KR101696603 B1 KR 101696603B1 KR 1020140108105 A KR1020140108105 A KR 1020140108105A KR 20140108105 A KR20140108105 A KR 20140108105A KR 101696603 B1 KR101696603 B1 KR 10169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cylinder
hydraulic
cylinder member
pist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498A (ko
Inventor
길영배
임재환
오혜택
김정윤
김진곤
윤현중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8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603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7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유압식 잭 서포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는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부재와 결합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하부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결합부재;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부결합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피스톤부재; 피스톤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부재; 및 유압에 의해 피스톤부재를 밀어 올리도록 실린더부재 내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압식 잭 서포터{HYDRAULIC JACK SUPPORTER}
본 발명은 유압식 잭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유압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압식 잭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및 건축 현장에는 상부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한 잭 서포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잭 서포터는 인력으로 핸들부분을 돌림으로써 잭 서포터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형식인 스크류 잭 타입이다.
종래의 이러한 스크류 잭 타입은 단순히 가시설 흙막이 부재나 규모가 작은 건설 작업을 하는 것에 그 기능이 집약되었다. 따라서, 높이가 설정된 스크류 잭의 스크류가 외부 지지반의 변화(예컨대, 진동, 주변 토목 공사 등)에 의해 쉽게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스크류 잭과 가시설 흙막이 부재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초래하여 가시설 흙막이 설치자재나 구조물을 무너지게 함으로써 인력 및 재난의 사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 잭은 상부 및 하부를 분리하지 못하므로 높이조절이 어렵고 크기가 커서 공간제약의 문제와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포터 부재를 상하로 분리하여 이송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유압을 이용하여 설치를 편리하게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유압식 잭 서포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는,
상기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부재와 결합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하부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결합부재;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부재; 및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를 밀어 올리도록 상기 실린더부재 내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는 제1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에 형성된 유압의 해제 시, 무게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 내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에 대한 상기 피스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이 상기 상부결합부재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는, 유압을 형성할 유체를 저장하도록 외측벽 내에 마련된 챔버와, 상기 외측벽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압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유압형성 실린더;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부압 상태 또는 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상기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상기 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이 가압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유체가 상기 유압유로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해제수단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벽과 나사결합하는 볼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는 서포터 부재를 상하로 분리하여 이송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유압을 이용하여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부재와 실린더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에 있어서, 클램핑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피스톤부재와 실린더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100)는, 건설 및 건축 현장에서 상부 건축물의 하부 또는 건설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하중이 많이 나가는 기계들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는 유압을 이용하여 서포터의 길이조절을 함으로써 고소작업과 작업시간을 단축 할 수 있다.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는 상부결합부재(120), 피스톤부재(102), 실린더부재(170) 및 유압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는 건축물의 하부를 직접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상부지지부재(20)와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지지부재(20)에는 일단에 상부 지지판(10)이 마련되어 지지할 대상물과 접촉면적을 증대시킨다.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는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는 나사체결 또는 클램핑 결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는 클램핑 수단(3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클램핑 수단(3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피스톤부재(102)는, 상기 상부결합부재(120)와 나사결합되고 유압식 잭 서포터(1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스톤부재(102)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전체 길이에 걸쳐 외부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부는 스크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피스톤부재(102)의 스크류 나사부가 상기 상부결합부재(120)와 회전되면서 나사결합될 때, 상기 피스톤 부재(102)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피스톤부재(102)를 상기 상부결합부재(120)와 회전결합 시킴으로써, 상기 상부결합부재(120)와 상기 실린더부재(17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또는 멀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의 전체길이가 조절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재(170)는 유압식 잭 서포터(100)의 하부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설현장의 지면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하부에는 하부 지지판(150)이 마련되어 있어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킨다. 상기 실린더부재(170)는 상기 피스톤부재(10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실린더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부재(17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상단에는 상기 피스톤부재(102)와 결합될 수 있는 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에 형성된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102)는 상기 실린더부재(170)로부터 밀어 올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압식 잭 서포터(100)의 전체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의 내부공간에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유압형성 실린더(160), 레버(142) 및 펌핑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현장의 작업자는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 및 펌핑수단(140)에 연결된 레버(142)를 상하로 반복적으로 펌핑함으로써,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 내의 유체를 상기 실린더부재(170)로 이동시켜 실린더부재(170) 내에 유압을 발생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클램핑 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를 결합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내부스토퍼(132), 외부캡(130) 및 외부스토퍼(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20)는 상기 내부스토퍼(132)의 내측으로 삽입되다. 상기 내부스토퍼(132)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가압돌기(1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압돌기는 톱니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외주연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부스토퍼(132)의 외주연은 하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를 지닌 형상이다.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는 상기 외부스토퍼(134)의 하단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고 억지 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스토퍼(134)의 내측에는 지지부(135)가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135)는 상기 내부스토퍼(132)의 외주연의 테이퍼 경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내부스토퍼(132)와 상기 외부스토퍼(134)의 결합 시 상기 내부스토퍼(132)는 상기 외부스토퍼(13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캡(130)은 상기 외부스토퍼(134)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와 치합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 수단 덕분에,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상부결합부재(120)는 건설현장에서 용이하게 결합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결합부재(120), 상기 피스톤부재(102) 및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피스톤부재(102)의 하단부는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실린더부재(170)의 입구 내경보다는 큰 피스톤헤드(10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상기 피스톤 부재(102)가 상기 실린더부재(17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부의 유압을 형성하는 유체가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헤드(103)에는 고무링(104)이 마련되어 있는데, 상기 고무링(104)은 유압을 형성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피스톤부재(103)외 외주연에는 상기 피스톤부재(103)에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나사부와 치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고정너트(110a, 110b)가 마련되어 있다. 제1 고정너트(110a)는 상기 상부결합부재(120)와 상기 피스톤부재(102)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고정너트(110b)는 상기 실린더부재(170)와 상기 피스톤부재(102)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부에 형성된 유압의 해제시, 무게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102)가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재(102)의 나사부와 치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170)에 대한 상시 피스톤부재(102)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압해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유압유로(176) 및 챔버(17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유압유로(176)는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과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를 연통시키고, 상기 챔버(174)는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외측벽 내에 마련되고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유압유로(176) 및 상기 챔버(174)와 연통하는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하단부에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164a, 164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에 유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레버(142)를 반복적으로 펌핑한다. 작업자의 펌핑에 의하여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에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 체크밸브(164a)는 열리게 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164b)는 닫혀지게 된다. 따라서, 챔버(174)에 저장된 유체는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의 펌핑에 의하여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이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 체크밸브(164a)는 닫히게 되고, 상기 제2 체크밸브(164b)는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챔버(174)로부터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160)의 내부공간(162)으로 이동된 유체는 상기 유압유로(176)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자의 반복된 펌핑에 의하여,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챔버(174)에 저장된 유체는 계속하여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72)에는 유압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에 형성된 유압을 해소하기 위한 유압해제수단(180)이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해제수단(180)은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외측벽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72)까지 침투가능하고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외측벽과 나사결합하는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유압해제수단(180)이 체결된 경우에는, 상기 내부공간(172)에 형성된 유압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유압해제수단(180)인 볼트를 풀게 되면, 상기 내부공간(172)과,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외측벽에 마련된 챔버(174)가 연통되어,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부의 유체가 상기 챔버(174)로 이동되므로써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내부공간(172)의 유압은 해소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잭 서포터를 설치할 장소까지 상부지지부재(20)와 유압식 잭 서포터(100)를 이송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유압식 잭 서포터(100)는 분리하여 이송 가능하므로 이송작업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송 후, 작업자는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의 상부결합부재(120)를 클램핑 수단(130)을 통하여 결합한다. 이 때, 작업자는 잭 서포터의 전체 길이가 원하는 높이가 되도록 미리 조정한다. 이후, 작업자는 잭 서포터를 세운 후, 레버(142)를 반복적으로 펌핑하여 실린더부재(170) 내부에 유압을 형성시킨다.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유압에 의해 피스톤부재(102)는 상기 실린더부재(170)로부터 밀어 올려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잭 서포터의 전체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작업자는 지지할 건축물의 하부와 상기 상부지지부재(20)의 상부 지지판(10)이 면 접촉되어 상기 잭 서포터가 충분히 상기 건축물을 지지할 수 있을 때까지 펌핑작업을 수행한다.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상부결합부재(120), 상기 피스톤부재(102) 및 상기 실린더부재(170)의 결합을 견고히 하도록 제1 고정너트(110a) 및 제2 고정너트(110b)를 각각 결합부위에 체결시킨다.
한편, 작업종료 후 잭 서포터를 해체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제1 고정너트(110a) 및 제2 고정너트(110b)를 결합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푼다. 이후에, 작업자는 유압해제수단인 볼트(180)를 풀음으로써 상기 실린더부재(170) 내부에 형성된 유압을 해소시킨다. 이후에, 상기 상부지지부재(20)와 상기 유압식 잭 서포터(100)를 분리하여 이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잭 서포터에 의하면 잭 서포터를 상부와 하부로 분리할 수 있어 작업자가 이송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압을 이용하여 잭 서포터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설치작업이 편리하고, 고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안전한 시공, 공사기간 단축 및 인력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잭 서포터의 전방향 하중을 견고하게 받칠 수 있고, 실린더부재 내에 형성된 유압이 해소되더라도 상부결합부재가 실린더부재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잭 서포터의 유압해소로 인한 건설 현장의 붕괴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상부 지지판 20: 상부지지부재
100: 유압식 잭 서포터 102: 피스톤부재
103: 피스톤헤드 104: 고무링
110a: 제1 고정너트 110b: 제2 고정너트
130: 외부캡 132: 내부스토퍼
133: 가압돌기 134: 외부스토퍼
135: 지지부 140: 펌핑수단
142: 레버 150: 하부지지판
160: 유압형성 실린더 162: 내부공간
164a: 제1 체크밸브 164b: 제2 체크밸브
170: 실린더부재 171: 나사부
172: 내부공간 174: 챔버
176: 유압유로 180: 유압해제수단(볼트)

Claims (6)

  1.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한 유압식 잭 서포터로서,
    상기 건축물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부재와 결합되고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하부내측에 나사부가 형성된 상부결합부재;
    상기 상부지지부재와 상기 상부결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클램핑 수단;
    원통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부결합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도록 외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피스톤부재;
    상기 피스톤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실린더부재; 및
    상기 실린더부재의 일측에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를 밀어 올리도록 상기 실린더부재 내에 유압을 발생시키는 유압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부재가 상측으로 삽입되고, 내주연에 상기 상부지지부재를 가압하는 톱니형상의 가압돌기가 제공되며,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를 지닌 내부스토퍼;
    상기 상부결합부재가 하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부스토퍼가 상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내부스토퍼의 경사에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스토퍼를 지지하고, 외주연 상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외부스토퍼; 및
    내주연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외부스토퍼의 나사부와 치합하고, 상기 내부스토퍼 및 상기 외부스토퍼를 감싸는 외부캡을 포함하는 유압식 잭 서포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결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는 제1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압식 잭 서포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 내부에 형성된 유압의 해제 시, 무게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재가 상기 실린더부재 내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피스톤부재의 나사부와 치합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에 대한 상기 피스톤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인 유압식 잭 서포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는, 유압을 형성할 유체를 저장하도록 외측벽 내에 마련된 챔버와, 상기 외측벽 내에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유압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유압형성 실린더;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을 부압 상태 또는 가압 상태로 만들기 위한 펌핑수단;
    상기 펌핑수단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상기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 체크밸브; 및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과 상기 유압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2 체크밸브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이 부압 상태가 되면, 상기 제1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이 가압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체크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유압형성 실린더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한 유체가 상기 유압유로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는 유압식 잭 서포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유압해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해제수단은,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벽을 관통하고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벽과 나사결합하는 볼트이며,
    상기 볼트와 상기 실린더부재의 외측벽의 나사결합 해제 시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과 상기 챔버가 연통되는 유압식 잭 서포터.
KR1020140108105A 2014-08-20 2014-08-20 유압식 잭 서포터 KR10169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05A KR101696603B1 (ko) 2014-08-20 2014-08-20 유압식 잭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105A KR101696603B1 (ko) 2014-08-20 2014-08-20 유압식 잭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98A KR20160022498A (ko) 2016-03-02
KR101696603B1 true KR101696603B1 (ko) 2017-01-16

Family

ID=55582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105A KR101696603B1 (ko) 2014-08-20 2014-08-20 유압식 잭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154B1 (ko) * 2021-09-23 2022-09-08 한음기업(주) 거푸집 지지용 포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9912A (zh) * 2016-05-27 2016-08-10 王春明 一种建筑剪力墙成型支架
KR102191860B1 (ko) * 2019-02-01 2020-12-16 장윤근 슬래브폼 서포트장치
KR102095931B1 (ko) * 2019-08-29 2020-04-01 (주) 대하 동조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포지션 리프팅장치
KR102225138B1 (ko) * 2020-10-14 2021-03-09 주식회사 글로리아 중량물의 양중 통합 제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67Y1 (ko) * 2000-07-20 2001-01-15 주식회사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243A (ko) * 2002-10-04 2004-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펌프 겸용 유압 잭
KR100911770B1 (ko) * 2007-12-07 2009-08-10 정병환 구조물지지용 서포트
KR20100078070A (ko) * 2008-12-30 2010-07-08 (주)알루텍 슬라브 거푸집 지지용 서포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567Y1 (ko) * 2000-07-20 2001-01-15 주식회사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동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154B1 (ko) * 2021-09-23 2022-09-08 한음기업(주) 거푸집 지지용 포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98A (ko)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603B1 (ko) 유압식 잭 서포터
US7837413B1 (en) Adjustable trench box and spreader bar
EP2318618B1 (en) Construction support
US2662712A (en) Telescopic mast
US8814142B2 (en) Adjustable lifting and stabilization rescue strut system with improved jack and strut engagement means
US7445408B2 (en) Yieldable prop having a restraint arrangement
US20100038073A1 (en) Hydraulic well packer
KR20210105331A (ko) 확장 패스너용 유압 인장 및 해제 도구
US1536413A (en) Pipe puller
CN106907120A (zh) 用于水平井砾石充填防砂管柱送入脱手工具及其施工方法
CN106014465B (zh) 一种整装单向操纵自锁式活动侧护板固定装置
US2327180A (en) Tripod jack
KR20180108105A (ko)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CN206071075U (zh) 一种钢结构安装用对口器
CN205977169U (zh) 撞击式油管堵塞器
RU152523U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яс
KR20090110021A (ko) 건축용 서포터
US2820481A (en) Lever action pipe plug
KR20170000582U (ko) 형판 몰드 분리 스크류 바아
CN208491060U (zh) 一种雨伞
US20140166954A1 (en) Compact portable lifting apparatus
RU2524077C1 (ru) Буроинъекционная свая с наклонными локальными уширениями
KR200482379Y1 (ko) 동바리
KR102661606B1 (ko) 원터치 고정 잭서포트
US3159973A (en) Jack mechanism having an internal lock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