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105A -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 Google Patents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105A
KR20180108105A KR1020170037442A KR20170037442A KR20180108105A KR 20180108105 A KR20180108105 A KR 20180108105A KR 1020170037442 A KR1020170037442 A KR 1020170037442A KR 20170037442 A KR20170037442 A KR 20170037442A KR 20180108105 A KR20180108105 A KR 2018010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core
hole
dril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모
Original Assignee
김채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채모 filed Critical 김채모
Priority to KR102017003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105A/ko
Publication of KR2018010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18Drills for enlarging a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8Drills combined with tool parts or tools for performing addition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천공한 구멍에 투입한 상태에서 코어드릴(또는 핸드 드릴)에 장착하여 구동할 때 굴착비트가 출몰되면서 구멍의 하단에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구성을 간소화 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로 가압력을 조절하여 제공할 필요 없이 코어드릴의 가압력 또는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굴착비트의 출몰이 이루어지며, 또한 굴착비트의 출몰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도 함께 제공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부가 코어드릴 또는 핸드드릴과 결합되며, 하단이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속이 빈 파이프 구성의 본체와; 상기 커버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트출몰공과; 상기 복수의 비트출몰공으로 출몰하는 굴착비트를 포함하는 비트어셈블리와; 상기 비트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압 상태일 때 비트어셈블리를 가압하여 굴착비트가 비트출몰공으로 인출되고,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굴착비트가 비트출몰공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비트어셈블리에 하단이 결합된 로드와, 로드의 상단에 구비된 스프링안치판과, 스프링안치판의 상측에 안치된 복원스프링과, 복원스프링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구는 코어드릴의 구동축에 형성한 나사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단 중심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스플라인축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는 가압구의 스플라인축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공을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Expansion core bit for core drill}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천공한 구멍에 투입한 상태에서 코어드릴(또는 핸드 드릴)에 장착하여 구동할 때 굴착비트가 출몰되면서 구멍의 하단에 확장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성을 간소화 하여 염가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로 가압력을 조절하여 제공할 필요 없이 코어드릴의 가압력 또는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굴착비트의 출몰이 이루어지며, 또한 굴착비트의 출몰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도 함께 제공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코어드릴 또는 핸드드릴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구멍을 천공한 상태에서 이 구멍에 앵커볼트를 내입하거나, 시멘트몰탈 등과 같은 보수재와 함께 앵커볼트를 내입시키는 작업을 행하게 된다.
또한 부두에 설치되어 배들을 묶어두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 또는 부두에 선박의 현측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펜드장치를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고리 등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지지력이 저하되므로 보수 및 교체하게 된다.
통상 볼라드 또는 고정고리의 보수 방법으로는 볼라드 등을 앵커볼트에서 분리한 후 콘크리트 표면으로 노출되어 있는 앵커볼트 또는 고리를 절단하고, 코어드릴에 결합된 코어비트를 이용하여 앵커볼트 주변에 구멍을 천공한 후 코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제거한 후 구멍에 시멘트몰탈 등과 같은 보수재와 함께 앵커볼트를 내입하고, 보수재를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저비용으로 볼라드 또는 펜드장치용 고정고리를 보수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의 경우 앵커볼트와 함께 구멍에 채워지는 보수재가 기존 콘크리트와 견고하게 융합되지 못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구멍에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코어비트로 형성한 구멍 내부에 확장부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와 보수재의 결합력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기존 사용되고 있는 코어비트의 경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4-0022287호(2014.02.24.)의 코어드릴용 코어비트가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코어드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와 일체로 마련되며 소정 직경을 갖는 생크와, 상기 생크의 외주면에 다수 마련되며 구멍뚫기 작업을 행하는 팁으로 이루어진 코어비트에 있어서, 상기 팁의 내, 외주면에는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향하여 30-80도의 경사각도의 요홈이 회전 반대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Y1)20-0381846호(2005.04.06.)의 분리형 코어드릴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의 구성은 드릴에 장착되어 석재, 아스팔트 및 콘크리트 등을 천공하는 원통형의 분리형 코어드릴에 있어서, 하측 외주부에 "ㄱ"형상의 요입홈이 다수개 형성된 제1체결홈과, 상면 내주연에 드릴과 장착되는 드릴장착부와, 하측 외주부에 요입단이 형성된 제1삽입부로 이루어진 커플링과; 상측 내주연에 상기 제1체결홈과 장착되도록 다수개 돌출된 제1체결부와, 하측 외주부에 "ㄱ"형상의 요입홈이 다수개 형성된 제2체결홈과, 상측 내주연에 상기 제1삽입부가 안착되도록 요입단이 형성된 제1안착부와, 하측 외주부에 요입단이 형성된 제2삽입부로 이루어진 튜브와; 상측 내주연에 상기 제2체결홈에 장착되도록 다수개 돌출된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삽입부가 안착되도록 요입단이 형성된 제2안착부와, 하단에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피삭재가 천공되도록 다이아몬드가 부착되는 가공팁으로 이루어진 비트; 로 구성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한 코어드릴들의 경우 가공성을 개선하는 구조와 비트가 결합된 하단부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코어드릴의 활용성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확장부 형성에 관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지는 않고 있는 기술들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코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16-0149582호(2016.12.28.)의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의 구성은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코어드릴의 구동축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나사부가 상단에 형성되며 코어비트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 내입되는 파이프 구성이며 하단이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본체와; 상기 커버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트출몰공과; 상기 복수의 비트출몰공으로 출몰하는 굴착비트를 포함하는 비트어셈블리와; 상기 체결나사부에 구동축이 결합될 때 굴착비트를 비트출몰공 쪽으로 가압하여 굴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체결나사부에서 구동축을 분리할 때 비트출몰공 내측으로 굴착비트를 인입시켜 굴착이 불가능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의 경우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과, 가압수단을 먼저 가압한 상태에서 작업을 행해야 하는 준비작업이 필요하였다. 또한 굴착비트의 출몰위치를 임의로 제공할 수 없어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140022287 A 2014.02.24. KR 200381846 Y1 2005.04.06. KR 1020160149582 A 2016.12.28.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선행기술들에서의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복잡한 구성과, 가압수단을 가압하는 선행 준비작업과, 임의의 위치에서 굴착비트를 출몰시킬 수 없는 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확장코어비트 구성을 간소화 하면서 굴착비트를 출몰시키는 가압수단의 작동이 코어드릴의 작동력에 의해 본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하단에 높이조절구를 두어 굴착비트의 출몰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첫째 상부가 코어드릴 또는 핸드드릴과 결합되며, 하단이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속이 빈 파이프 구성의 본체와; 상기 커버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트출몰공과; 상기 복수의 비트출몰공으로 출몰하는 굴착비트를 포함하는 비트어셈블리와; 상기 비트어셈블리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압 상태일 때 비트어셈블리를 가압하여 굴착비트가 비트출몰공으로 인출되고,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굴착비트가 비트출몰공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한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비트어셈블리에 하단이 결합된 로드와, 로드의 상단에 구비된 스프링안치판과, 스프링안치판의 상측에 안치된 복원스프링과, 복원스프링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로드와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구는 코어드릴의 구동축에 형성한 나사부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단 중심에 나사공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스플라인축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는 가압구의 스플라인축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상기 본체의 하단을 밀폐하는 커버의 하측으로는 높이조절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높이조절구는 커버에서 착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넷째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구에는 핸드드릴의 척에 결합하는 핸드드릴 고정구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를 사용하는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구멍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등이 보수재와 함께 내입 설치될 때 확장부 내부로 유입되는 보수재가 경화 상태에서 앵커 역할을 하므로 보다 견고한 앵커볼트 고정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체 상부로 다각형의 축지부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핸드 드릴의 척에 쉽게 클램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압수단이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을 간소화 한 것으로 염가 제작이 가능하며, 가압수단을 조절하는 등의 불편이 없다.
-커버의 하측으로 높이조절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높이의 높이조절구를 교체하는 방법을 통해서 구멍의 내부 임의의 위치에 환형의 확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비트어셈블리를 2단으로 설치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핸드드릴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멍 내에 확장부를 형성하는 작업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핸드 드릴 결합형 확장코어비트의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드릴(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코어드릴(100)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탁상드릴링머신과 같이 지면에 기체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축(110)이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당겨 회동시킬 때 구동축(110)이 지면쪽으로 인출되는 기능성을 갖는 일반적인 구성의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가압수단(4)을 가압하는 구동력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코어드릴(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확장코어비트(1)의 구성은 본체(2)와, 본체(2)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비트어셈블리(3)와, 본체(2) 상측에 구비되어 비트어셈블리(3)를 가압하는 가압수단(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 구성부재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2)는 속이 빈 파이프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커버(5)에 의해 밀폐된다. 하단부(21)는 본체(2)가 드릴에 의해 천공된 구멍(200)에 내입된 상태에서 마찰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확관된 구성을 가지며, 확관된 하단부(21)에는 복수의 비트출몰공(22)을 내외 관통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비트출몰공(22)은 측면에서 볼 때 폭이 좁고 축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2)의 상측으로는 스플라인공(23)을 축방향으로 형성한다.
본체(2)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비트어셈블리(3)는, 비트출몰공(22)에 결합되어 출몰하는 굴착비트(31)를 포함하는 것으로, 즉, 비트어셈블리(3)는 굴착비트(31)와, 굴착비트(31)의 상단과 하단에 일단이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결합되는 링크(32)와, 링크(32)의 타단이 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33)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굴착비트(31)와 로드(33)를 연결하는 2개의 로드(33)가 평형하게 배치되어 4절링크 형상이 제공될 수 있게 한다. 굴착비트(31)에는 구멍(200)과 접하는 바깥쪽으로 초경 또는 다이아몬드 등의 비트가 결합되어 콘크리트를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비트출몰공(22)에 조립된 상태일 때 폭방향으로는 긴밀하게 끼워지고, 길이방향으로는 상하측으로 승강할 수 있는 조금의 여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비트어셈블리(3)의 링크(32)에 의해 출몰되면서 축방향으로 가변되는 것을 충분히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주상으로 4개의 굴착비트(31)가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로드(33)는 가압수단(4)쪽으로 길게 봉상으로 형성된다.
본체(2)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수단(4)은 상기 비트어셈블리(3)를 가압하여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으로 인출되도록 하거나, 가압력이 해제될 때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비트어셈블리(3)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의 가압수단(4)은 본체(2)에 결합되는 가압구(41)와, 가압구(41)의 하측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42) 및 복원스프링(42)을 지지하는 스프링안치판(4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체(2)의 내측 상부에 중앙으로 로드(33)가 통과하는 스프링안치판(43)을 구비하여 본체(2)에 일체형으로 고정하고, 스프링안치판(43)의 상측으로 복원스프링(42)을 안치하여 복원스프링(42)이 비트어셈블리(3) 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구성한다.
상기 복원스프링(42)의 상측으로는 가압구(41)가 위치되는데, 상기 가압구(41)는 비트어셈블리(3)를 구성하고 있는 로드(33)의 상단과 베어링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고, 외연에는 스플라인축(41a)을 형성하여 본체(2)의 상단에 형성한 스플라인공(23)에 끼움 상태로 조립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호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본체(2)와 비트어셈블리(3) 및 가압수단(4)을 제공하는 경우 가압수단(4)의 가압구(41)가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본체(2)에 형성된 스플라인공(23)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하강할 때 복원스프링(42)는 압축이 이루어지고, 로드(33)의 하단에 링크(32)로 연결되어 있는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을 통해서 외부로 인출되면서 확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압구(41)에 가압력에 해제되면 가압구(41)는 복원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는데, 이때 비트어셈블리(3)의 경우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 내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가압구(41)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는 로드(33)가 가압구(41)와 함께 상승할 때 링크(32)가 회동하면서 비트출몰공(22) 내에 위치하는 굴착비트(31)를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압수단(4)은 가압구(41)에 나사공(41b)을 형성하고 있으며, 나사공(41b)에는 코어드릴(100)의 구동축(110)상에 형성된 나사부(120)가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나사공(41b)과 나사부(120)는 코어드릴(100)의 구동방향으로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코어드릴(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확장코어비트(1)를 작동할 때 코어드릴(100)과 확장코어비트(1)가 분리되는 등의 염려가 발생하지 않게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체(2)의 하측을 밀폐하고 있는 커버(5)의 아래쪽으로 높이조절구(6)를 더 구비한 특징이 있다.
상기 높이조절구(6)는 커버(5)와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길이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커버(5)에서 높이조절구(6)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길이로 구성되는 복수의 높이조절구(6)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커버(5)와 높이조절구(6)의 결합 구성으로는 커버(5)에 조절구용 나사공(5a)을 형성하고, 높이조절구(6)의 상단에는 고정나사봉(6a)을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구(6)를 커버(5)에서 나사결합식으로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경우 본체(2)에 설치되어 있는 비트어셈블리(3)의 굴착비트(31) 위치를 구멍(200)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기능성을 제공하게 된다. 즉, 구멍(200) 하단에 확장부(210)를 형성코자 할 시에는 높이조절구(6)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 또는 길이가 짧은 높이조절구(6)를 커버(5)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고, 구멍(200)의 중상단에 확장부(2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긴 높이조절구(6)를 커버(5)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비트어셈블리를 2단으로 설치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는 상기와 같이 구성함에 있어서, 본체(2)의 하측 확장부(210)에 상하 2열로 굴착비트(31)가 배치될 수 있도록 비트어셈블리(3)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비트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경우 한번 작업으로 구멍(200) 내에 2개소의 확장부(21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핸드드릴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를 개인이 휴대하는 핸드드릴(3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예로는 가압수단(4)을 구성하고 있는 가압구(41)의 상측으로 핸드드릴(300)의 척(310)에 물려 고정할 수 있는 핸드드릴 고정구(7)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핸드드릴 고정구(7)는 개략 6각 봉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압구(41)에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가압구(41)에 형성되는 나사공(41b)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나사공(41b)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핸드드릴 고정구(7)의 하측으로 나사공(41b)에 체결되는 나사봉(7a)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간단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 5와 같이 핸드드릴(300)에 결합하는 경우 코어드릴(100)과는 가압수단(4)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수단(4)은 작업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멍 내에 확장부를 형성하는 작업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를 이용하여 드릴로 천공된 구멍(200) 내에 확장부(210)를 형성하는 예를 살펴보면, (1)코어드릴에 확장코어비트 결합, (2)확장코어비트 인입, (3)비트어셈블리 가압, (4)확장부 형성, (5)비트어셈블리 가압 해제 및 확장코어비트 인출의 순서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 각 순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코어드릴에 확장코어비트 결합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코어드릴(100)의 구동축(110)에 형성된 나사부(120)를 가압수단(4)의 가압구(41)에 형성한 나사공(41b)에 체결하여 코어드릴(100)에 고정한다.
본 발명을 핸드드릴(300)에 결합코자 할 시에는 나사공(41b)에 핸드드릴 고정구(7)를 결합하고, 핸드드릴 고정구(7)를 핸드드릴(300)의 척(310)에 결합하여 고정하면 된다.
(2)확장코어비트 인입
상기와 같이 코어드릴(100)에 확장코어비트(1)를 결합한 상태에서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한 구멍(200) 내에 본 발명의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를 내입시킨다.
이때 굴착비트(31)는 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비트출몰공(22) 내에 위치하므로 구멍(200)으로 확장코어비트(1)가 자연스럽게 인입된다.
(3)비트어셈블리 가압
확장코어비트(1)를 구멍(200)에 내입한 상태에서 먼저 가압수단(4)을 이용하여 비트어셈블리(3)를 가압토록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가압수단(4)을 코어드릴(100)의 구동축(1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동력원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코어드릴(100)의 구동축(110)을 회전시키면서 손잡이를 당겨 구동축(110)을 축방향으로 가압 이동하면, 높이조절구(6)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본체(2)는 정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고, 본체(2)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가압구(41)는 본체(2) 내측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체(2)는 가압구(41)에 제공되는 회전력이 스플라인을 통해 제공되어 가압구(41)와 함께 회동된다.
한편 가압구(41)와 결합되어 있는 로드(33)가 하향 이동되는데, 이때 로드(33)와 링크(32)로 연결된 상태로 비트출몰공(22) 내에 위치하는 굴착비트(31)를 링크(32)가 바깥쪽으로 밀게 되므로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에서 인출되는 것이다.
(4)확장부 형성
상기와 같이 가압수단(4)을 이용하여 비트어셈블리(3)를 가압할 때 비트어셈블리(3)의 굴착비트(31)는 본체(2)에 형성한 비트출몰공(22)을 통해 본체(2) 외부로 인출되면서 구멍(200) 내벽에 확장부(21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5)비트어셈블리 가압 해제 및 확장코어비트 인출
상기와 같이 구멍(200) 내에 확장부(210)를 형성한 상태에서 확장코어비트(1)를 구멍(200)에서 인출코자 할 시에는 코어드릴(100)의 손잡이에 작용하고 있는 힘을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즉, 코어드릴(100)의 손잡이에서 힘을 제거하면, 가압수단(4)을 구성하고 있는 복원스프링(42)의 복원력에 의해 가압구(41)가 상향 이동되는데, 이때 가압구(41)와 연결되어 있는 로드(33)가 상향 이동하면서 로드(33)와 링크(32)로 연결되어 있는 굴착비트(31)를 비트출몰공(22) 내측으로 인입시키게 되므로 이때 구멍(200)에서 확장코어비트(1)를 인출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 및 작용되는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의 구조물에 드릴링 된 구멍(200) 내에 확장부(210)를 형성하는 용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부두에 설치되어 배들을 묶어두기 위해 설치되는 볼라드 또는 부두에 선박의 현측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펜드장치를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고리 등을 보수하는 용도는 물론이고 이와 유사한 구성의 보수 작업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 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의 바람직한 제1실시례를 보인 외형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비트어셈블리를 2단으로 설치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에 핸드드릴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구멍 내에 확장부를 형성하는 작업순서도
1: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2:본체
21:하단부 22:비트출몰공
23:스플라인공 3:비트어셈블리
31:굴착비트 32:링크
33:로드 4:가압수단
41:가압구 41a:스플라인축
42:복원스프링 43:스프링안치판
5:커버 5a:조절구용 나사공
6:높이조절구 6a:고정나사봉
7:핸드드릴 고정구 7a:나사봉
100:코어드릴 110:구동축
120:나사부 200:구멍
210:확장부 300:핸드드릴
310:척

Claims (4)

  1. 상부가 코어드릴(100) 또는 핸드드릴(300)과 결합되며, 하단이 커버(5)에 의해 밀폐되는 속이 빈 파이프 구성의 본체(2)와; 상기 커버(5) 상측에 위치하도록 본체(2)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트출몰공(22)과; 상기 복수의 비트출몰공(22)으로 출몰하는 굴착비트(31)를 포함하는 비트어셈블리(3)와; 상기 비트어셈블리(3)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압 상태일 때 비트어셈블리(3)를 가압하여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으로 인출되고,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굴착비트(31)가 비트출몰공(22)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가압수단(4)을 포함한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은 비트어셈블리(3)에 하단이 결합된 로드(33)와, 로드(33)의 상단에 구비된 스프링안치판(43)과, 스프링안치판(43)의 상측에 안치된 복원스프링(42)과, 복원스프링(42)의 상측으로 위치되며 로드(33)와 회동 가능하게 베어링을 매개로 결합되는 가압구(41)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수단(4)의 가압구(41)는 코어드릴(100)의 구동축(110)에 형성한 나사부(120)에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상단 중심에 나사공(41b)을 형성하고, 외주연에 스플라인축(41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2)에는 가압구(41)의 스플라인축(41a)이 결합되는 스플라인공(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하단을 밀폐하는 커버(5)의 하측으로는 높이조절구(6)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6)는 커버(5)에서 착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의 가압구(41)에는 핸드드릴(300)의 척(310)에 결합하는 핸드드릴 고정구(7)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1020170037442A 2017-03-24 2017-03-24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20180108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42A KR20180108105A (ko) 2017-03-24 2017-03-24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42A KR20180108105A (ko) 2017-03-24 2017-03-24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05A true KR20180108105A (ko) 2018-10-04

Family

ID=63863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42A KR20180108105A (ko) 2017-03-24 2017-03-24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1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109A (zh) * 2020-12-15 2021-04-06 梁绍丽 一种在制造家具板材上钻取t形孔的方法
CN112610572A (zh) * 2020-12-15 2021-04-06 梁绍丽 一种板材连接方法
CN113021651A (zh) * 2021-03-12 2021-06-25 上海呈祥机电设备有限公司 手提式金刚石钻孔机用辅助定位机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6109A (zh) * 2020-12-15 2021-04-06 梁绍丽 一种在制造家具板材上钻取t形孔的方法
CN112610572A (zh) * 2020-12-15 2021-04-06 梁绍丽 一种板材连接方法
CN113021651A (zh) * 2021-03-12 2021-06-25 上海呈祥机电设备有限公司 手提式金刚石钻孔机用辅助定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07897A (en) Expanding, undercutting insert
US8499427B2 (en) Expansion anchor setting apparatus
EP2386373B1 (en) Depth gauge for drill bit
KR20180108105A (ko)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CN100534727C (zh) 密封塞取出装置
KR20090011109U (ko) 베어링 탈거장치
WO2003018953A1 (en) Orienting whipstock seat, and method for seating a whipstock
JP6081352B2 (ja) 切下げツール
CN109963693B (zh) 具有沿轴向能锁止的驱动轴的安置设备、其安置方法及其膨胀锚栓
US8424180B2 (en) Wedge anchor setting apparatus
JP2020032539A (ja) ドリルビット及びあと施工アンカーの施工方法
US11105356B2 (en) Drop-in anchor setting tool
KR200352180Y1 (ko) 착탈식 링비트를 구비한 확공 비트장치
EP3947985A1 (en) A fixation device
KR101179055B1 (ko) 연약지반용 앵커 조립체
KR101851160B1 (ko) 핸드 드릴 결합형 확장코어비트
KR101704216B1 (ko) 코어드릴용 확장코어비트
KR20120076344A (ko) 다운 홀 해머 드릴용 비트 어셈블리
KR101279615B1 (ko) 앵커 볼트 고정장치
CN112610796A (zh) 一种用于墙体内部水管暗孔堵漏的螺栓
JP4659542B2 (ja) 枝管の接続装置
JP7079475B2 (ja) 拡径孔部の穿孔装置
KR101885890B1 (ko) 지하수 관정공사용 헤드파이프의 드릴헤드 분리장치
JPH0110174Y2 (ko)
KR20200092594A (ko) 코어비트 분해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