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242B1 -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6242B1
KR101696242B1 KR1020160093685A KR20160093685A KR101696242B1 KR 101696242 B1 KR101696242 B1 KR 101696242B1 KR 1020160093685 A KR1020160093685 A KR 1020160093685A KR 20160093685 A KR20160093685 A KR 20160093685A KR 101696242 B1 KR101696242 B1 KR 10169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main body
presen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랑규
Original Assignee
(주)에코베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베이스 filed Critical (주)에코베이스
Priority to KR1020160093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등의 균열이나 퇴적물 침적 등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수관 내부로 투입되는 촬영장치에 거미줄 제거기능을 구비하여 카메라가 거미줄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카메라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관로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 양측에는 한 쌍의 가드봉이 구비되어 상기 촬영장치가 전진하면 상기 가드봉에 거미줄이 걸리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The pipeline photographic apparatus equipped with a cobweb removal}
본 발명은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등의 균열이나 퇴적물 침적 등의 상태를 감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수관 내부로 투입되는 촬영장치에 거미줄 제거기능을 구비하여 카메라가 거미줄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은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오·폐수나 빗물을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기반시설 중에 하나이다. 하수관이 균열되거나 상기 하수관에 퇴적물이 침적되어 막히는 경우에 빗물이나 생활하수의 원활한 배출이 어려워지게 된다. 하수관의 파손이나 침적 등은 빗물이나 오폐수의 역류를 일으키고, 오폐수 등이 지반으로 스며들어서 주변 토양을 오염시키며, 지반을 침식시켜 싱크홀 등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하수관은 정기적으로 점검을 하여 필요한 경우에 적절한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하수관을 검사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이 직접 하수관의 내부로 들어가서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과 촬영기능이 구비된 대차나 로봇을 하수관의 내부로 투입하여 검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하수관은 악취와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검사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뿐만 아니라 일정크기 이하의 하수관은 작업자가 들어가서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하수관 검사에는 촬영기능이 구비된 대차가 로봇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하수관은 지하에 깊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이나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면 모기나 기타 곤충들이 하수관으로 모여들게 되며, 이러한 곤충을 먹고 사는 거미도 함께 유입되어 하수관 내부에는 통상적으로 많은 거미줄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부를 하수관에 투입하여 촬영을 하려고 할 때 카메라에 거미줄이 걸려서 시야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에 거미줄이 걸려서 시야가 방해되는 경우에는 정상적인 검사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 미터를 이동할 때마다 카메라부를 반출하여 수시로 카메라를 청소한 후에 다시 투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하수관에 거미줄이 많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지연되어 하수관의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346585 B1 KR 20-0320736 Y1 KR 10-122622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장치의 카메라 전방에 거미줄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거미줄이 카메라의 시야를 가릴 때마다 촬영장치를 반출하지 않고 거미줄을 제거할 수 있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관로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 양측에는 한 쌍의 가드봉이 구비되어 상기 촬영장치가 전진하면 상기 가드봉에 거미줄이 걸리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가드봉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부절곡부와, 상기 상부절곡부의 하단에 본체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절곡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한 쌍의 하부절곡부에는 U자 형상의 범퍼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범퍼부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범퍼부 또는 하부절곡부는 전부나 일부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부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유닛의 전면에는 제거봉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드봉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유닛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거봉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가드봉에 걸려있는 거미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제거봉에는 발열기능이 구비되어 상기 제거봉에 걸려있는 거미줄을 가열하여 녹여서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카메라부에 의하면 하수관에 거미줄이 많이 처져 있어도 카메라부를 반출하지 않은 상태에서 거미줄을 제거하고 계속해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 검사작업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의 시야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관의 검사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가드봉에 거미줄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가 하수관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가드봉에 거미줄이 걸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10) 및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카메라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체(100)는 촬영에 필요한 각종 전자장치와 전력장치 등이 내장되는 것으로, 관로 촬영장치에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공지의 구성이다. 본체(1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라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이동수단(110)이 구비된 차량형으로 구성된다. 이동수단(110)은 바퀴나 무한궤도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수관(10) 등을 촬영하는데 적용되는 본체(100)와 이동수단(110)은 공지의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체(100)와 이동수단(110)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촬영을 하는 렌즈부(135)와 상기 렌즈부(135)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133) 및 상기 카메라부(130)를 몸체와 연결하는 동시에 전후방으로 구동하는 구동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동유닛(133)은 카메라부(13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부(13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렌즈부(135)는 상기 회동유닛(133)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유닛(133)에 대하여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 촬영장치는 렌즈부(135)의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회동유닛(133)을 회전시켜 하수관의 둘레방향을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부(130)는 구동유닛(150)에 의하여 본체(10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유닛(150)이 전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카메라부(130)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유닛(150)은 바(bar) 형상으로 구성되어 일단이 카메라부(130)의 양 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본체(10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동유닛(150)이 전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카메라부(130)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동유닛(150)은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는 한 쌍이 카메라부(130)와 본체(100)의 양 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구동유닛(150)이 전후방향으로 동일하게 이동할 때 카메라부(130)가 항상 수평을 유지하면서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구동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기능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촬영장치는 회동유닛(133)이 구비된 카메라부(13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최소한 카메라부(130)에 회동유닛(133)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부(130)의 회동유닛(133)과 구동유닛(150)의 역할에 대하여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는 본체(100)의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부(130)의 전방에 가드봉(1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거미줄이 처져 있는 하수관을 촬영장치가 전진할 때 거미줄이 카메라에 닿기 전에 상기 가드봉(170)에 먼저 걸리도록 한다.
가드봉(170)은 카메라부(130)의 전방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부절곡부(173)와 상기 상부절곡부(173)의 하단에서 본체(100)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비되는 하부절곡부(175)로 구성된다. 상부절곡부(173)와 하부절곡부(175)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부절곡부(175)의 단부는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가드봉(170)는 전체적인 형상이 ㄴ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상부절곡부(173)가 카메라부(130)의 전면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이때, 한 쌍의 상부절곡부(173)는 카메라부(130)의 촬영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절곡부(173)가 카메라부(130)로부터 지나치게 멀리 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부(130)의 촬영범위에 상부절곡부(173)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상부절곡부(173)는 카메라부(130)에 인접하게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며, 최소한 카메라부(130)의 크기보다는 넓게 구성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드봉(17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드봉(170)의 구체적인 형상은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절곡부(173)는 필요에 따라 활처럼 휘어진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카메라부(130)가 움직이는 범위 보다 크게 형성된 원형의 고리 또는 사각형이나 다각형의 고리모양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상부절곡부(173)의 상부가 수평 또는 아치형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드봉은 카메라부(130)보다 넓거나 최소한 후술하여 설명한 제거봉의 움직이는 영역보다 넓게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서 거미줄과 먼저 접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한 쌍의 하부절곡부(175)에는 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범퍼부(1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범퍼부(180)는 개방부의 단부가 본체(100)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범퍼부(180)는 하부절곡부(175)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하부절곡부(175)와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촬영장치가 이동하면서 전방의 장애물에 부딪히더라도 가드봉(170)이 휘어지거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충격력이 본체(1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범퍼부(180) 또는 하부절곡부(175)는 전부나 일부가 본체(100)에서 멀어질수록 상부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가 작은 턱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는 경우에 상기 장애물이 경사면의 하부를 통과하면서 본체(100)의 전방이 들려서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절곡부(175)가 범퍼부(180)의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하부절곡부(175)만 경사지게 구성되거나 상기 범퍼부(180)의 일부와 상기 하부절곡부(175)가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절곡부(175)의 일부만이 경사지게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는 전술하여 설명한 회동유닛(133)의 전면에 제거봉(190)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거봉(190)은 카메라부(130)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가드봉(17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최소한 상기 가드봉(170)을 통과하여 가로지르도록 구성된다. 즉, 제거봉(190)이 충분히 길어서 가드봉(17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되거나 카메라부(130)와 본체(100)를 연결하는 구동유닛(15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제거봉(190)이 가드봉(170)을 가로지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가 하수관이 투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의 작동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촬영장치를 하수관(10)에 투입하여 전진하면서 촬영한다. 이때 카메라부(130)의 렌즈부(135) 기울기를 조절하면서 회동유닛(133)을 회전시켜 하수관(10)의 둘레방향을 어디든 자유롭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하수관(10) 등에 거미줄이 있는 경우에 촬영장치가 전진하면 상기 거미줄이 가드봉(170)의 상부절곡부(173)에 걸리게 된다. 즉, 카메라부(130) 보다 전방에 구비된 가드봉(170)이 거미줄과 먼저 닿기 때문에 상기 거미줄은 카메라부(130)에 닿기 전에 가드봉(170)에 걸려서 찢어지면서 제거되게 된다. 이렇게 제거된 거미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가드봉(170)에 걸려서 카메라부(130)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하여 설명한 제거봉(190)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거봉(190)에 의하여 가드봉(170)에 걸려 있던 거미줄이 제거되어 카메라부(130)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제거봉(190)은 카메라부(130)의 회동유닛(133)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유닛(133)을 회전시키면 제거봉(19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거봉(190)은 가드봉(170)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거봉(190)이 회전하면 가드봉(170)에 걸려있던 거미줄이 제거봉(190)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술하여 설명한 제거봉(190)에는 발열기능(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제거봉(190)을 이용하여 가드봉(170)에 걸려 있던 거미줄을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거미줄은 끈끈한 성분을 포함하여 있기 때문에 제거봉(190)에 뭉쳐서 걸려있게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이 경우 거미줄의 양이 많거나 거미줄에 나뭇가지 등과 같이 이물질이 걸려 있는 경우 또는 촬영위치를 잡기 위하여 제거봉(190)이 렌즈부(13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제거봉(190)에 뭉쳐서 걸려있는 거미줄에 의하여 카메라부(130)의 촬영이 방해받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거봉(190)에 발열기능을 구비하여 순간적으로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면 상기 거미줄을 녹여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발열기능은 공지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봉(190)의 내부에 전열선을 구비하거나 제거봉(190) 자체를 전열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제거봉(190)에서 발생하는 열기에 의하여 카메라부(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열기능은 거미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제거봉(190)의 끝단 일부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체
110: 이동수단
130: 카메라부
133: 회동유닛
135: 렌즈부
150: 구동유닛
170: 가드봉
173: 상부절곡부
175: 하부절곡부
190: 제거봉

Claims (6)

  1.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관로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는 한 쌍의 가드봉이 구비되어 상기 촬영장치가 전진하면 상기 가드봉에 거미줄이 걸리게 되고,
    상기 한 쌍의 가드봉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부절곡부와, 상기 상부절곡부의 하단에 본체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연결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하부절곡부로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부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부를 회동시키는 회동유닛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유닛의 전면에는 제거봉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가드봉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동유닛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거봉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가드봉에 걸려있는 거미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절곡부에는 U자 형상의 범퍼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범퍼부의 개방된 단부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 또는 하부절곡부는 전부나 일부가 상기 본체에서 멀어질수록 상부로 올라가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거봉에는 발열기능이 구비되어 상기 제거봉에 걸려있는 거미줄을 가열하여 녹여서 제거할 수 있는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KR1020160093685A 2016-07-22 2016-07-22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KR10169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5A KR101696242B1 (ko) 2016-07-22 2016-07-22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685A KR101696242B1 (ko) 2016-07-22 2016-07-22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242B1 true KR101696242B1 (ko) 2017-01-16

Family

ID=5799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685A KR101696242B1 (ko) 2016-07-22 2016-07-22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2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547A (ko) * 2018-12-10 2020-06-18 김종문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1478A (en) * 1994-05-03 1996-07-02 Houston; Rocky J. Spider web clearing device for all-terrain vehicles
KR200320736Y1 (ko) 2003-04-25 2003-07-22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 촬영 시스템
KR20050087914A (ko) * 2004-02-27 2005-09-01 이효상 전방위촬영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226222B1 (ko) 2010-11-09 2013-01-28 송재성 수륙양용 이동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촬영방법
US20130277953A1 (en) * 2012-04-23 2013-10-24 Mark Alex Matthews Spider Web Clearing Device
KR101346585B1 (ko) 2013-07-29 2014-01-03 주식회사 엔에스이엔지 촬영기능을 구비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JP2016091283A (ja) * 2014-11-04 2016-05-23 管清工業株式会社 管路内撮影車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1478A (en) * 1994-05-03 1996-07-02 Houston; Rocky J. Spider web clearing device for all-terrain vehicles
KR200320736Y1 (ko) 2003-04-25 2003-07-22 주식회사 한국지중정보 하수관로 촬영 시스템
KR20050087914A (ko) * 2004-02-27 2005-09-01 이효상 전방위촬영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226222B1 (ko) 2010-11-09 2013-01-28 송재성 수륙양용 이동촬영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거 촬영방법
US20130277953A1 (en) * 2012-04-23 2013-10-24 Mark Alex Matthews Spider Web Clearing Device
KR101346585B1 (ko) 2013-07-29 2014-01-03 주식회사 엔에스이엔지 촬영기능을 구비한 하수관거의 준설 및 세정장치
JP2016091283A (ja) * 2014-11-04 2016-05-23 管清工業株式会社 管路内撮影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547A (ko) * 2018-12-10 2020-06-18 김종문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168750B1 (ko) * 2018-12-10 2020-10-22 김종문 Cctv용 탈부착 이물질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973B1 (ko)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인양 및 전도식 로터리 제진기
KR101293308B1 (ko) 스크린 제진기의 보호장치
MA31239B1 (fr) Procede et equipement pour filtrer l'air dans un environnement urbain
CN109952138A (zh) 用于处理管道中的、特别地供水管网的管道中的流体的过滤器,及其操作方法
KR101696242B1 (ko) 거미줄 제거기능이 구비된 관로 촬영장치
NO341809B1 (en) Device for capturing and removing magnetic material in a flow of material
KR20100107349A (ko) 하수로용 협잡물 스크린장치
CN109629659B (zh) 一种市政排水管道清淤装置及清淤工艺
KR101959508B1 (ko) 우수 여과 장치 및 이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9253B1 (ko) 하폐수 처리용 수직형 스크린 장치
KR100649667B1 (ko) 갈퀴청소구가 설치된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CN208056242U (zh) 一种防堵塞排污管道组件
CN104428823A (zh) 无尘室的监视装置以及无尘室的监视方法
KR101117776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20170118311A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JP2007224682A (ja) 水力発電所用給水設備及びこの設備の水槽内に配置された塵芥捕捉スクリーンからの除塵方法
KR20120005079A (ko) 모터의 손상 방지 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제진기 장치
KR101593374B1 (ko) 하수로용 스크린 장치
JP4163092B2 (ja) 越流水除塵装置におけるドラムスクリーンの稼働検知システム
JP2007303800A (ja) エアハンドリングユニット熱交換器アルミフィンの洗浄方法
JP5355133B2 (ja) 除塵機
GB255997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ielding a water intake on a waterway
KR20160026232A (ko) 하수로용 협잡물 제거장치
CN210097928U (zh) 一种带观察门的钢渣立磨风道装置
KR101811100B1 (ko) 가스터빈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