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952B1 - 클립형 밴드 - Google Patents

클립형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952B1
KR101694952B1 KR1020150060294A KR20150060294A KR101694952B1 KR 101694952 B1 KR101694952 B1 KR 101694952B1 KR 1020150060294 A KR1020150060294 A KR 1020150060294A KR 20150060294 A KR20150060294 A KR 20150060294A KR 101694952 B1 KR101694952 B1 KR 10169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lip
unit
book
clip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622A (ko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려원
Priority to KR1020150060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95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형 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형 밴드는 서적의 표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과 표지부를 밴딩하는 밴드부를 구비하며, 서적의 표지에 간단히 부착함으로써 표지가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립형 밴드{Attachable book strap}
본 발명은 클립형 밴드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적, 다이어리, 일기장 등의 표지에 부착되어 표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후 인류 문명은 크나큰 변화를 겪고 있다.
사람들은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이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 상의 수많은 정보를 손쉽게 검색하고 습득하게 되었다.
정보는 어느 곳에나 존재하며, 손쉽게 복제가 가능한 형태로 유통된다.
과거에 모든 정보가 서적의 형태로 특정 장소에만 존재하였던 것에 비하자면 가히 혁명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터화 된 정보는 삭제되거나 변형되기 쉬워 항구적이지 못하며, 열람을 위하여 컴퓨팅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쿼리를 입력하고, 데이터를 인출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일련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에서 즉시적이지 못하다.
게다가 서책과 같은 현물의 형태로 존재하지 않으며, 임시적인 가상의 데이터로만 저장되는 근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여전히 사람들은 정보가 활자화된 책을 구입하거나, 다이어리나 노트 등에 활자의 형태로 기록을 하며, 독서나 학습, 업무, 각종 기록이나 메모 등의 다양한 용도와 방법으로 서책을 활용한다.
서책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서책의 사이 사이에 메모지나 책갈피를 끼워둔다거나, 또는 기억해두고 싶은 문구를 밑줄을 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서책 사이에 메모지나 펜 등을 삽입한 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예컨대, 도 1은 종래의 홀딩 기능을 갖는 서적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표지(20)와 이 표지(20)의 중앙에 설치되는 바인더(40)와, 상기 바인더(40)에 묶여지는 속지(30)가 연결되고, 상기 표지(20)에는 후크 또는 자석과 같은 홀딩 부재(50)가 연결되는 제품을 공지하고 있다.
홀딩부재(50)는 자석이나 후크와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홀딩 부재(50)가 속지(30)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표지(20)에 접착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표지(20)에 접착되어 있는 홀딩 부재(50)를 서로 부착시켜 개방되지 않도록 홀딩 기능을 한다.
그러나, 도 1에 예시된 홀딩 부재(50)는 서책의 제조시부터 부착되어야만 하므로 서책의 제조단가 상승이라는 비경제성의 문제를 초래할 뿐 아니라, 얇고 가벼운 재질의 표지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481호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에는 표지부에 홀딩밴드를 접착시켜 서적이 홀딩 기능을 갖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표지의 내면에 홀딩밴드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9481호,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다이어리나 노트 또는 인쇄된 서적 등의 표지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가능한 클립형 밴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클립형 밴드로서, 서적의 표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과 표지부를 밴딩하는 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립부는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인 클립부 몸체; 및 상기 클립부 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와 결합하는 밴드 고리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부 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표지부와 밀착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립부 몸체의 내측에 일정 형상으로 절개되고, 상기 돌기부와 대향하여 상기 돌기부 방향으로 밴딩하여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드 고리부는 상기 클립부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밴드 고리부는 밴드부가 자유로운 각도로 관통할 수 있게 내측에 만곡부를 형성한 밴드 관통공; 및 상기 밴드 고리부가 상기 클립부 몸체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드부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또는 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밴드부는 밴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길이 조절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기구를 고정하는 펜 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립형 밴드는 상기 밴드부와 결합하여 상기 밴드부의 장력으로 인한 상기 표지부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립형 밴드는 기성의 서적, 다이어리나 노트 등, 그 규격이나 크기와 상관없이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할 때, 애당초 밴드가 없이 제조된 다양한 서적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펜이나 메모지 등을 삽입한 채 밴드를 이용하여 표지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은 종래의 홀딩 기능을 갖는 서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밴드 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밴드 고리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길이가변이 가능한 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도 9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또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가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클립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밴드 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밴드 고리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길이가변이 가능한 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는 서적(400)의 표지부(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100)와, 상기 클립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부(100)는 금속재,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고, 클립부 몸체(110)와, 돌기부(120)와, 돌출편(130)과, 밴드 고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100)는 도 6과 같이 복수 개의 클립부(100, 100a)가 밴드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립부 몸체(110)는 표지부(410)의 임의의 위치에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상의 판부재로서, 상기 클립부 몸체(110)의 임의의 위치에는 밴딩부(110a)를 형성하고, 상기 밴딩부(110a)를 중심으로 밴딩시켜 '⊂' 자 형상이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 몸체(110)는 일측 선단부에 관통공(111)을 천공하여 밴드 고리부(140)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결합된 밴드 고리부(140)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돌기부(120)는 클립부 몸체(110)의 밴딩부(110a)를 중심으로 클립부 몸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클립부(100)가 서적(400)의 표지부(410)와 결합하면, 상기 표지부(410)의 표면과 밀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돌기부(120)는 도면상에서 '⊂' 자 형상으로 구성된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하방향)으로 일정 두께로 돌출되어 표지부(410)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편(130)은 클립부 몸체(110)의 밴딩부(110a)를 중심으로 클립부 몸체(110)의 타측에 설치되어, 클립부(100)가 서적(400)의 표지부(410)와 결합하면, 상기 표지부(410)의 표면과 밀착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돌출편(130)은 돌기부(120)와 대향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상에서 '⊂' 자 형상으로 구성된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상방향 또는 돌기부 방향)으로 밴딩시켜 돌출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130)은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으로 밴딩시켜 구부릴수 있도록 복수의 돌출편(130)으로 절개되어 구성되고, 상기 절개된 돌출편(130)은 밴딩부(130a)를 중심으로 상기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으로 꺽어 돌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돌출편(130)은 돌기부(120)와 서로 대향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돌기부(120)와 돌출편(130) 사이에 삽입된 표지부(410)와 더욱 견고하게 밀착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밴드 고정부(140)는 클립부 몸체(110)의 관통공(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클립부(100)가 밴드부(2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밴드 관통공(141)과, 회전축(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밴드 관통공(141)은 밴드부(2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밴드 고정부(14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밴드 관통공(141)의 내측에는 임의의 곡률을 갖는 만곡부(141a)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밴드부(200)가 자유로운 각도로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즉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밴드 관통공(141)의 입구와 출구는 만곡부(141a)의 중앙을 중심으로 넓게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밴드 관통공(141)을 통과하는 밴드부(200)가 자유로운 각도로 통과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회전축(142)은 밴드 고리부(14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클립부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11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밴드 고리부(140)가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클립부(100)가 결합된 위치에 상관없이 밴드부(200)를 자유롭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밴드부(200)가 서적(400)의 종방향, 횡방향 또는 대각선방향 등 자유로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밴드부(200)는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하는 구성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또는 일정 길이를 끈(또는 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밴드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상의 일체형 밴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부(200)는 서적(400)의 크기에 따라 밴드부(20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조절부(210)는 상부 하우징(210a)과, 하부 하우징(2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하우징(210b)에는 밴드 관통공(201)이 형성된 밴드부(200)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 1 고정돌기(21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하우징(210b)의 타측에는 제 2 고정돌기(212)를 형성하여 밴드부(200)의 길이가 조정되도록 한다.
즉 길이를 조정한 밴드부(200)의 타측을 결합하거나 또는 상기 밴드부(200)의 타측 말단을 상기 제 2 고정돌기(212)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여 길이를 조정한 다음 상부 하우징(210a)과 하부 하우징(210b)을 결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밴드부(200)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길이 조절부(210)의 상부 하우징(210a)에는 필기구(미도시)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펜 하우징(22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는 표지부(410)의 두께가 얇은 경우 밴드부(200)의 장력으로 인해 상기 표지부(41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00)는 표지부(41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표지부(410)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정 길이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서, 금속재,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등으로 구성되고, 밴드부(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밴드 결합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는 서적(400) 또는 표지부(4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립형 밴드의 동작을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립부(100)가 하나로 구성된 클립형 밴드는 서적(400)의 표지부(410) 중앙에 설치하여 밴드부(200)가 서적(400) 및 표지부(410)를 밴딩할 수 있게 한다.
즉 클립부(100)가 표지부(410)의 측면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때 상기 클립부(100)는 돌기부(120)와 돌출편(130)이 서로 대향된 위치에서 상기 표지부(410)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상기 클립부(100)가 고정되면, 밴드부(200)를 서적(4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다음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밴딩부(200)를 서적(400)의 길이방향(종방향)으로 밴딩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클립부(100)를 설치한 다음 밴드 고리부(140)를 회전시켜 밴드부(200)가 상기 서적(400)의 폭방향(횡방향)에서 상기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할 수도 있다.
한편, 설치된 클립부(100)를 재사용하기 위해 표지부(410)로부터 제거하는 경우에는 '⊂' 자 형상으로 밴딩된 클립부 몸체(110)의 양측 말단을 벌려서 상기 표지부(410)와 밀착된 돌기부(120)와 돌출편(130)이 상기 표지부(410)로부터 이격되도록 한 다음 표지부(410)에서 탈거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11과 같이 한 쌍의 클립부(100, 100a)로 구성된 클립형 밴드는 서적(400)의 표지부(410)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 밴드부(200)가 서적(400) 및 표지부(410)를 밴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2와 같이, 두께가 얇은 표지부(410a)인 경우 상기 표지부(410a)의 상단 및 하단에 한 쌍의 클립부(100, 100a)를 설치하고, 상기 표지부(410a)의 내측면에 지지대(300)를 설치한 다음, 밴드부(200)를 상기 지지대(300)에 형성한 밴드 결합부(310)와 체결함으로써, 상기 밴드부(200)의 장력으로 인해 상기 표지부(410a)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밴드부(200)가 서적(400) 및 표지부(410a)를 밴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 클립부 110 : 클립부 몸체
110a : 밴딩부 111 : 관통공
120 : 돌기부 130 : 돌출편
130a : 밴딩부 140 : 밴드 고리부
141 : 밴드 관통공 141a : 만곡부
142 : 회전축 200 : 밴드부
201 : 관통공 210 : 길이 조절부
210a : 상부 하우징 210b : 하부 하우징
211 : 제 1 고정돌기 212 : 제 2 고정돌기
220 : 펜 하우징 300 : 지지대
310 : 밴드 결합부 400 : 서적
410 : 표지부

Claims (12)

  1. 서적(400)의 표지부(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100); 및
    상기 클립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100)는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인 클립부 몸체(110); 및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200)와 결합하는 밴드 고리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100)는 상기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표지부(410)와 밀착하는 돌기부(120)를 더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2. 서적(400)의 표지부(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100); 및
    상기 클립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100)는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인 클립부 몸체(110); 및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200)와 결합하는 밴드 고리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고리부(140)는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밴드 고리부(140)는 밴드부(200)가 관통하는 밴드 관통공(141); 및
    상기 밴드 고리부(140)가 상기 클립부 몸체(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회전축(142)을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3. 서적(400)의 표지부(4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부(100); 및
    상기 클립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서적(400)과 표지부(410)를 밴딩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100)는 단면의 형상이 '⊂' 형상인 클립부 몸체(110); 및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부(200)와 결합하는 밴드 고리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 고리부(140)는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밴드 고리부(140)는 밴드부(200)가 관통하는 밴드 관통공(141);을 포함하되,
    상기 밴드 관통공(141)의 내측에 만곡부(141a)가 형성되는 클립형 밴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100)는 상기 클립부 몸체(110)의 내측에 돌기부(120)와 대향하여 설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편(130)을 더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130)은 상기 클립부 몸체(110)에 일정 형상으로 절개되고, 상기 돌기부(120) 방향으로 밴딩하여 형성한 클립형 밴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밴드 또는 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클립형 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00)는 밴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조절하는 길이 조절부(210)를 더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200)는 상기 길이 조절부(2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필기구를 고정하는 펜 하우징(220)을 더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형 밴드는 상기 밴드부(200)와 결합하여 상기 밴드부(200)의 장력으로 인한 상기 표지부(41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지지대(300)를 더 포함하는 클립형 밴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60294A 2015-04-29 2015-04-29 클립형 밴드 KR10169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4A KR101694952B1 (ko) 2015-04-29 2015-04-29 클립형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94A KR101694952B1 (ko) 2015-04-29 2015-04-29 클립형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22A KR20160128622A (ko) 2016-11-08
KR101694952B1 true KR101694952B1 (ko) 2017-01-10

Family

ID=5752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94A KR101694952B1 (ko) 2015-04-29 2015-04-29 클립형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9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891B2 (ja) * 1998-03-17 2001-05-28 株式会社バンダイ 装飾体
WO2011085972A1 (en) * 2010-01-12 2011-07-21 Alexander Quehl A book with an elastic strap band
KR101305374B1 (ko) 2013-02-08 2013-09-06 스타시스코리아(주) 전도성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3157A1 (en) * 1989-08-21 1991-02-22 Gary H. Rasmusson 17 beta-acyl-4-aza-5 alpha-androst-1-ene-3-ones as 5 alpha-reductase inhibitors
KR200349481Y1 (ko) 2004-02-05 2004-05-08 팬지데이지(주) 홀딩 기능을 포함하는 서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891B2 (ja) * 1998-03-17 2001-05-28 株式会社バンダイ 装飾体
WO2011085972A1 (en) * 2010-01-12 2011-07-21 Alexander Quehl A book with an elastic strap band
KR101305374B1 (ko) 2013-02-08 2013-09-06 스타시스코리아(주) 전도성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622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6995B2 (en) Device for recording notations and related method of use
US6672621B1 (en) Holding device for a book or binder
KR101694952B1 (ko) 클립형 밴드
US20090278344A1 (en) Enclosure
US20150258841A1 (en) Writing Implement Holder
US20090115183A1 (en) Clip for Fixing Line Type Bookmark
US20080141573A1 (en) Labeling system for coil binders
US7126769B1 (en) Thin magnifier structure with magnetic protective jacket
JP3216506U (ja) バインダ
US20140265297A1 (en) Writing tab for clipping to a substrate providing firm flat writing surface
KR101336808B1 (ko) 분리가능한 식별태그
JP7226769B2 (ja) 留め具付本体及びその留め具
KR20110118531A (ko) 캘린더 겸용 다이어리
TWM563354U (zh) 磁性夾具之結構
US20180050552A1 (en) Combination flower press and notebook
KR101955567B1 (ko) 표제용 라벨
CA2512522A1 (en) Bookmark
JP2007021917A (ja) クリップ
JP3161874U (ja) クリップ付冊子用バンド及びクリップ付ペンホルダ
CA2788102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inding and posting articles
JP3079674U (ja) ベルト付きノート
AU2006100250A4 (en) A book mark
JP2005059560A (ja) クリップ式しおり
JP3195738U (ja) 手帳や書籍などの開ページ保持具
KR20220138451A (ko) 사용이 편리한 필기 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