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203B1 -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203B1
KR101694203B1 KR1020160101559A KR20160101559A KR101694203B1 KR 101694203 B1 KR101694203 B1 KR 101694203B1 KR 1020160101559 A KR1020160101559 A KR 1020160101559A KR 20160101559 A KR20160101559 A KR 20160101559A KR 101694203 B1 KR101694203 B1 KR 10169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elevator
elevator door
door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5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경덕
Original Assignee
최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덕 filed Critical 최경덕
Priority to KR1020160101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2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2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Disclosed is an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comprises: a fixing bracket arranged adjacent to a middle portion of a door room and fixed and installed in a guide groove; a door shoe bracket extended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width of an elevator door,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and horizontally slid and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support bracket arranged and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elevator door and fixed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door room. The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erailment prevention performance with respect to an external impact, is easily applied to a previously installed elevator door or the like, and is constructed at low costs.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0001]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도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 door from being detached by an external impact in a closed state of the door.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권상기를 통해 상하 이동되면서 승객이나 화물의 층간 이동을 가능케 하는 설비를 지칭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는 건물 등의 수직공간에 형성되는 승강로, 승강로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이 적재되는 승강카, 승강카를 상하 이동시키는 권상기를 구비하며, 승강로의 각 층에는 승강장 및 승강장 도어가 마련되게 된다.Generally, an elevator refers to a facility capable of moving the passenger or cargo between layers while moving up and down through a hoisting machine. Such an elevator includes a hoistway formed in a vertical space of a building or the like, an elevator car which is moved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and on which passengers board or load cargo, and a hoisting machine for vertically moving the hoistway car. .

승강장 도어는 승강장과 승강로를 구분하는 도어로서, 통상 좌우 한 쌍의 미닫이 방식 도어로 구성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이러한 승강장 도어를 엘리베이터 도어로 지칭한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승강카가 이동 중에 있거나 다른 층에 머물 때 승강장의 승객이 승강로 내부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승강로를 폐쇄시키며, 승강카가 해당 층에 도착하였을 때 개방되어 승객이 승강카로 탑승 가능하도록 한다.The platform door is a door that separates the platform from the hoistway, and is usually composed of a pair of sliding doors. For convenience sake, such a landing door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vator door hereinafter. The elevator door closes the hoistway so that passengers on the platform can not approach the inside of the hoistway when the hoist car is moving or staying on another floor. When the hoistway car reaches the floor, the elevator door is opened so that passengers can board the hoistway car.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는 상부가 도어개폐장치의 안내레일상에 설치된 행거롤러에 장착 지지되어 안내레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도어 하부는 도어실(door sill)의 홈에 도어슈(door shoe)를 통해 체결되어 도어실을 따라 이동되게 되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는 기본적으로 상부가 행거롤러에 현수된 상태로 지지되며, 하부는 도어슈를 통해 도어실의 홈에 체결된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The elevator door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and supported by a hanger roller provided on the guide rail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and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Further,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is fastened to the groove of the door sill through a door shoe, and is moved along the door seal. That is, the elevator door is basically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hanged on the hanger roller, and the lower portion is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door chamber through the door sho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도어 하부는 외부 충격에 상당히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도어 하부는 도어슈가 도어실의 홈에 삽입 체결된 체결력만으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도어에 큰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도어슈가 도어실에서 이탈되면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이탈될 수 있다. 이는 자칫 인명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승장장에 대기하고 있던 승객이 엘리베이터 도어를 강하게 밀거나 도어 외면에 큰 충격을 가하는 경우 등에 있어, 도어슈가 도어실에서 빠지면서 도어가 이탈하게 되면, 승객이 승강로 내로 추락하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However, i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elevator door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has a structure which is considerably weak against the external impact. That is,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is supported only by the fastening force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door seal, if a larg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door, the door may be detached from the door chamber and the elevator door may be detached. This can lead to human accidents. For example, when a passenger waiting in a passenger compartment strongly pushes an elevator door or a large impact is appli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if the door is detached from the door chamber while the passenger leaves the door, serious safety accidents such as a passenger falling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May occur.

상기와 같은 이유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예컨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443946호에서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이탈방지용 도어실 구조를 제안한 바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861호에서는 도어 측부에 설치되는 타입의 도어 이탈방지용 걸림돌기가 장착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안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862302호에서는 이물질의 틈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도어이탈방지구를 제안한 바 있다.Various methods for preventing the elevator door from departing have been sought for the above reasons. For example,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0443946 proposes a door seal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escape of an elevator for this purpose. Japanese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113861 discloses a door detachment preventing door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n elevator door equipped with a machine.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862302 has proposed a door separation chamber for an elevator which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gap.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이탈방지수단의 경우,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이탈방지성능을 가지지 못해 안전시험 등에 있어서 적격미달인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신규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적용이 가능하나, 기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적용이 불가하거나 다수의 부품을 해체하고 신규 부품을 다시 설치해야 하는 등 적용범위에 있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기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의 경우 쉽게 호환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적용이 불가한 경우가 상당수 발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parture-avoidance mean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most of cases are not satisfactory in the safety test due to insufficient departure-preventing performance against the external impact.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o a newly installed elevator, but it has a problem in application range, for example, in case of an elevator installed, it is impossible to dismantle a large number of parts and re-install a new part.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a number of cases where the elevator doors are not easily compatible and practically impossible to be applied are found.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0443946호 (2009.03.19)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0443946 (Mar. 19, 2009)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861호 (2008.12.31)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113861 (December 31, 2008) 등록특허공보 제10-0862302호 (2008.10.01)Patent Registration No. 10-0862302 (Oct. 1, 200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외부 충격에 대한 도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a door from being released from an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안전수단들이 조합되어 강한 외부 충격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이발방지성능을 갖출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that can combine a plurality of safing means to provide a sufficient hair restraining performance despite a strong external impac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 설치된 엘리베이터 도어 등에서 쉽게 적용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elevator door departure-preventing apparatus that is easily applicable to an elevator door or the like installed therein, and thus has excellent compatibility.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도어실 중앙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이드홈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어슈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도어실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볼트홀이 구비된 하면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면부의 좌우 폭이 대향하는 상면부의 좌우 폭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에는 상기 볼트홀로의 접근을 위한 액세스홀과, 상기 도어슈브라켓의 일단이 체결되는 브라켓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결합홈은, 상기 상면부의 전후 폭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의 승강로 측 측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슈브라켓은,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바디부 일단에 삽입단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 타단에 절곡단이 구비되되, 상기 삽입단은, 상하 높이가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하 높이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결합홈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브라켓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상기 바디부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꺾임부를 통해 상기 바디부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절곡단이 걸림 결합되어 상기 도어슈브라켓의 상부 이탈을 구속 제한하는 걸림홈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bracket disposed adjacent to a center of a door chamber and fixedly installed in a guide groove; A door shoe bracket extending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vator door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and slidably moving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support bracket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racket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elevator door and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wherein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bottom surface provided with a bolt hole, Wherein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formed with an access hole for approaching the bolt hole and a bracket coupling portion for fastening one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Wherein the bracket coupling groove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on the side of the front and rear width centerlin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the door shoe bracket including an insertion end And a bent e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end has an upper and a lower height And a guide piece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wherein the support piece has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ody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support bracket has a hooking groove which is engaged with the bent end to limit restraint of upward movement of the door shoe bracket,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도어실 중앙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이드홈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도어슈브라켓; 및 상기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와 한 쌍을 이루는 타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도어슈브라켓;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은, 볼트홀이 구비된 하면부가 상기 가이드홈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면부에 대향하는 상면부에는 상기 볼트홀로의 접근을 위한 액세스홀과, 상기 제1도어슈브라켓의 일단이 체결되는 브라켓결합홈이 마련되며, 상기 제1도어슈브라켓은,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한 일단에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에는 보조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도어슈브라켓은,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를 향하는 일단에 충돌부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보조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충돌부는 상기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이르도록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lock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bracket disposed adjacent to a center of a door chamber and fixedly installed in a guide groove; A first door shoe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ne-side elevator door and slid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second door shoe bracke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of the other elevator pair which is paired with the one side elevator door and slidabl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n access hole for accessing the bolt hole and a bracket coupling groove for fastening one end of the first door shoe bracket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opposed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The door shoe bracket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at one end toward the fixing bracket and is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xing bracket, and an auxiliary rib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includes a first The collisi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and the collision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ne-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the elevator door may be provided which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oor room central portion.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되어 도어실의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1도어슈브라켓; 상기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와 한 쌍을 이루는 타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도어슈브라켓; 및 상기 제2도어슈브라켓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도어실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1도어슈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의 승강장 측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를 향하는 일단에 충돌부가 구비되며, 반대측의 타단에는 보조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충돌부는 상기 타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이르도록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도어슈브라켓은, 상기 가이드홈의 승강로 측 측벽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도어실 중앙부위를 향하는 일단에 충돌부가 구비되며, 반대측의 타단에는 보조리브가 구비되되, 상기 충돌부는 상기 일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이르도록 상기 도어실 중앙 부위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shoe, comprising: a first door shoe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a first elevator door and slidably moving left and right along a guide groove of a door chamber; A second door shoe bracket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door of the other elevator door, which is paired with the one-way elevator door, and slidably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groove; And a support bracket fixed to the door chamb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oo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wherein the first door shoe bracket comprises: And a collision part is provided at one end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and an auxiliary rib is provid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collision part. The collision part is extended to the lower end of the door of the other elev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in the guide groove and has an impact part at one end toward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and an auxiliary rib at the opposite end of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And a second door member extending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door so as to reach a lower end of the one- Li may be provided with a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s do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고정브라켓, 도어슈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충격 방향으로의 이탈이나, 휨 변형에 의해 하단이 도어실로부터 들리는 상측으로의 이탈을 모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a door shoe bracket, and a support bracket. The elevator door is detached or deformed in the impact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to an upper sid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도어슈브라켓 양단이 각각 고정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꺾임부를 통해 가이드홈의 측벽을 지지력 보조에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조리브나 커버부 등 지지력 보조할 수 있는 수단들이 다양하게 구비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지지수단들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지 및 이탈방지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door shoe bracket are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s and the supporting brackets, respectively, and the sidewalls of the guide grooves can be utilized for assisting the supporting force through the folding portions. The cover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stable and stable support and departure prevention performance through the plurality of support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기존의 도어슈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도어슈에 호환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기 설치된 엘리베이터 설비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범위 및 기술적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게 된다.Further,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elevator equipments since it can be replaced with existing door shoe or compatible with existing door shoe, And technical compat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도어실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고정브라켓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c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의 제3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지지브라켓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도어실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도어실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a 및 8b에 도시된 제2도어슈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가 도어실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도어슈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seal.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 shown in FIG.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 shown in FIG. 1. FIG.
2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ixing bracket shown in FIG.
FIG.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 1. FIG.
FIG. 3B is a plan view showing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 1. FIG.
3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FIG. 4B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1. FIG.
4C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xing bracket shown in Figs. 2A to 2C.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s. 3A to 3C.
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s. 3A to 3C.
6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s. 3A to 3C.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support bracket shown in Figs. 4A to 4C.
8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seal.
FIG. 8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chamber.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s. 8A and 8B.
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for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seal.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ful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1)가 도어실(D)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1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chamber D. FIG.

도 1을 참조하면, 도어실(door sill, D)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실(D)은 각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 및 이동범위를 고려하여 좌우로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 도 1의 경우, 편의상 한 쪽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도어실(D)의 상측은 승강장 측(즉, 승강로 외측)을 의미하며, 도어실(D)의 하측은 승강로 내측을 의미함을 알려둔다.Referring to FIG. 1, a door sill D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and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 pair of elevator doors may be provided, and the door room D may be 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sufficiently in consideration of lateral width and moving range of each elevator door. It should be noted that, in FIG. 1,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elevator door is shown for the sake of convenience. 1, the upper side of the door chamber D means the platform side (i.e., the outside of the hoistway), and the lower side of the door chamber D means the inside of the hoistway.

도어실(D)에는 소정 폭(W1)을 가지는 가이드홈(G)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은 도어실(D)의 일측 단부에서 반대측 단부까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G)은 바닥면과 2개의 측벽(G1,G2)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구조로 이뤄지며, 가이드홈(G)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홈(G)을 둘러싸는 2개의 측벽(G1,G2)은 승강장 측을 향하는 측벽(G1)과, 승강로 내측을 향하는 측벽(G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승강장 측을 향하는 측벽(G1)을 '승강장 측 측벽(G1)'으로 지칭하고, 승강로 내측을 향하는 측벽(G2)을 '승강로 측 측벽(G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A guide groove G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W1 may be formed in the door chamber D. The guide groove G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one end to the opposite end of the door chamber D. The guide groove G is structured in such a manner as to b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and the two side walls G1 and G2, and the upper side of the guide groove G is opened. The two side walls G1 and G2 surrounding the guide groove G may be constituted by a side wall G1 facing the landing side and a side wall G2 facing the inside of the hoistingway. For convenience, the side wall G1 facing the landing side will be referred to as a "landing side wall G1" and the side wall G2 facing the inside of the elevating road will be referred to as a "hoisting-side side wall G2".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이하, '이탈방지장치(1)'로 약칭함)는 고정브라켓(11)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bbreviated as 'escape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11.

고정브라켓(11)은 도어실(D)의 좌우 중앙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경우, 한 쪽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고정브라켓(11)은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고 있다. 고정브라켓(11)은 도어실(D)의 가이드홈(G)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브라켓(11)의 전후 폭은 가이드홈(G)의 전후 폭(W1)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되거나 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은 도어실(D)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The stationary bracket 11 may be disposed at the left and right central portions of the door chamber D. [ 1,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elevator door is shown, so that the fixing bracket 11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fixing bracket 11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groove G of the door chamber D. Therefore,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fixing bracket 11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front-rear width W1 of the guide groove G or correspond to the front-rear width W1. The fixing bracket 11 can be fixedly installed to the door chamber D through fixing means such as a bolt.

고정브라켓(11)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브라켓(11)은 한 쌍이 도어실(D)에 좌우로 장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측의 고정브라켓(11)은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에, 우측의 고정브라켓(11)은 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에 각각 대응되게 된다. 다만, 도 1의 경우, 한 쪽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고정브라켓(11)만이 도시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한편, 이와 같이 고정브라켓(11)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우의 각 고정브라켓(11)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fixing brackets 11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a pair of elevator doors. That is, the pair of fixing brackets 11 can be mounted on the door chamber 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left fixing bracket 11 corresponds to the left elevator door, and the right fixing bracket 11 corresponds to the right elevator door. 1, only one fixing bracket 11 is shown becaus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elevator door is shown.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xing brackets 11 are formed as a pair, the left and right fixing brackets 11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1)는 도어슈브라켓(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door shoe bracket 12.

도어슈브라켓(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슈브라켓(12)은 엘리베이터 도어가 상부의 도어개폐장치에 의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어슈브라켓(12)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어슈브라켓(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어슈브라켓(12)은 도어실(D)의 가이드홈(G)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슈브라켓(12)은 길이방향(좌우방향)을 따라 가이드홈(G)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홈(G) 내부에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fast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Thus, 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elevator door as the elevator door is moved laterally by the upper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Preferably,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extend laterally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vator doors. 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G of the door chamber D. [ 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can be slid rightward and leftward in the guide groove G as the elevator door moves.

도어슈브라켓(12)은 한 쌍의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측의 도어슈브라켓(12)은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에, 우측의 도어슈브라켓(12)은 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에 각각 대응되게 된다. 다만, 도 1의 경우, 한 쪽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도어슈브라켓(12)만이 도시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도어슈브라켓(12)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우의 도어슈브라켓(12)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shoe bracket 12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elevator doors. In this case, the left door shoe bracket 12 corresponds to the left elevator door, and the right door shoe bracket 12 corresponds to the right elevator door.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one door shoe bracket 12 is shown in Fig. 1 becaus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elevator door is shown. When the door shoe brackets 12 are constructed as a pair, the left and right door shoe brackets 12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1)는 지지브라켓(13)을 포함할 수 있다.The escape prevention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upport bracket 13.

지지브라켓(13)은 고정브라켓(11)으로부터 도어슈브라켓(12)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도어실(D)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도어슈브라켓(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동에 따라 일측 단부가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반대측 단부가 지지브라켓(13)에 체결될 수 있다.The support bracket 13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door shoe bracket 12 from the fixing bracket 11.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be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11 at one end and may be fastened to the support bracket 13 at the opposite e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door.

지지브라켓(13)은 한 쌍의 도어슈브라켓(12)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좌측의 지지브라켓(13)은 좌측 도어슈브라켓(12)에 대응되며 중앙의 고정브라켓(11)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도어실(D)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의 지지브라켓(13)은 우측 도어슈브라켓(12)에 대응되며 중앙의 고정브라켓(11)으로부터 우측으로 이격되어 도어실(D)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도 1의 경우, 한 쪽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지지브라켓(13)만이 도시되고 있음을 알려둔다. 지지브라켓(13)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좌우의 지지브라켓(13)은 상호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support brackets 13 may b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door shoe brackets 12. In this case, the left support bracket 13 corresponds to the left door shoe bracket 12 and can be installed in the door chamber D,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fixing bracket 11 to the left. The right support bracket 13 corresponds to the right door shoe bracket 12 and can be installed in the door chamber D to the right from the center fixing bracket 11. [ 1, only one support bracket 13 is shown because only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one elevator door is shown. When the support brackets 13 are formed as a pair, the left and right support brackets 13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은 이탈방지장치(1)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혀지면 도어슈브라켓(12)이 도어실(D)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어슈브라켓(12)의 일측 단부(도면상 좌측단)가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되며, 반대측 단부가 지지브라켓(13)에 체결된다.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은 도어슈브라켓(12)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도어슈브라켓(12) 양단의 고정브라켓(11) 및 지지브라켓(13)에 의해 도어슈브라켓(12)이 지지 및 이탈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충격에 대한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이 방지된다.When the elevator door is closed, the door shoe bracket 12 is moved along the door chamber D so that one end portion (the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fixed to the stationary bracket 12 (11), and the opposite e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bracket (13). An external shock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can be transmitted to the door shoe bracket 12 while the elevator door is closed and the door shoe 12 can be guided by the fixing bracket 11 and the support bracket 13 at both ends of the door shoe bracket 12. [ The bracket 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upported and disengaged. As a result, the elevator door is prevented from departing from the external impac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탈방지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a 내지 2c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브라켓(11)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A to 2C are views showing the fixing bracket 11 shown in FIG.

도 2a 내지 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11)은 금속 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고정브라켓(11)은 사각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to 2C, the fixing bracket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by molding a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In general, the fixing bracket 11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고정브라켓(11)은 상면부(111), 하면부(112), 정면부(113) 및 후면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하면부(112)는 도어실(D)의 가이드홈(G)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면부(111)는 하면부(11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하면부(112)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정면부(113) 및 후면부(114)는 각각 상면부(111)와 하면부(112) 간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정면부(113)는 도어실(D)의 승강로 측 측벽(G2)을 향하는 일면을 지칭하며, 후면부(114)는 그 반대쪽에 배치되어 도어실(D)의 승강장 측 측벽(G1)을 향하는 일면을 지칭한다.The fixing bracket 11 may have an upper surface portion 111, a lower surface portion 112, a front surface portion 113, and a rear surface portion 114. The lower surface portion 111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so as to face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of the door chamber D, . The front face portion 113 and the rear face portion 114 may extend between the upper face portion 111 and the lower face portion 112, respectively. The front face portion 113 refers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facing the hoistway side wall G2 and the rear face portion 114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ront face side of the door seal D, Quot;

하면부(112)는 도어실(D) 가이드홈(G)의 바닥면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브라켓(11)은 가이드홈(G) 내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하면부(112)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홀(1121)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11)에 전달되는 외력을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볼트홀(1121)은 하면부(112) 중앙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chamber D through fixing means such as a bolt. Whereby the fixing bracket 11 can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guide groove (G).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may be provided with a bolt hole 1121 so that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can be fast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lt hole 1121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112 so as to more firmly suppor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the fixing bracket 11.

하면부(112)의 좌우 폭(L2)은 상면부(111)의 좌우 폭(L1)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면부(111), 정면부(113) 및 후면부(114)는 서로 동일한 좌우 폭(L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하면부(112)의 좌우 폭(L2)은 이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하면부(112) 중앙의 고정수단(볼트)이 고정 지지하는 면적(즉, 하면부(112)의 면적)을 작게 한다. 따라서 고정수단을 통해 하면부(112)가 충분히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의 고정력이 하면부(112)에 전체적으로 미칠 수 있어 외력에 의한 하면부(112)의 테두리나 끝단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width L2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may b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L1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by a predetermined amount. Alternatively,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he front surface portion 113,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114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ateral width L1, and the lateral width L2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12 may be formed to be smaller . This reduces the area where the fixing means (bolt)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is fixedly supported (i.e.,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Therefore,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can be sufficiently fixedly supported through the fixing means. Further, the fixing force of the fastening means can be entirely applied to the lower portion 112, so that deformation of the rim and the end of the lower portion 112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정면부(113) 및 후면부(114)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면부(113)는 가이드홈(G) 내에서 승강로 측 측벽(G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부(114)는 가이드홈(G) 내에서 승강장 측 측벽(G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portion 113 and the rear portion 114 may each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front portion 11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ide wall G2 of the hoistway in the guide groove G and the rear portion 11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ideboard G1 in the guide groove G .

상면부(111)는 전체적으로 정면부(113) 및 후면부(114)와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액세스홀(1111) 및 브라켓결합홈(1112)을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홀(1111)은 하면부(112)의 볼트홀(112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면부(111)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액세스홀(1111)을 통해 공구를 삽입하여 하면부(112)의 볼트홀(1121)에 고정수단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portion 113 and the rear surface portion 114 as a whole and may include an access hole 1111 and a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The access hole 1111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olt hole 1121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12 and penetrate through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herefore, the operator inserts the tool through the access hole 1111 and can fasten the fixing means to the bolt hole 1121 of the lower portion 112.

브라켓결합홈(1112)은 상면부(111)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브라켓결합홈(1112)은 도어슈브라켓(12)을 향하는 상면부(11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브라켓결합홈(1112)을 도어슈브라켓(12)을 향하는 상면부(111)의 우측 단부에 배치되어, 우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may be formed at the left or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Alternatively,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facing the door shoe bracket 12. 2,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may be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facing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open toward the right side.

이때, 브라켓결합홈(1112)은 상면부(111)의 전후폭 중심선(C1)에서 승강로 내측을 향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브라켓결합홈(1112)은 가이드홈(G)의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도어슈브라켓(12)과 관련하여 삽입단(123)이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upling grooves 1112 may b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C1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oward the inside of the hoistway. Alternatively,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G2 on the side of the hoistway in the guide groove G. [ This is to allow the insertion end 123 to be disposed adjacent to the hoistway side wall G2 with respect to the door shoe bracket 12 to be described later.

이상과 같은 고정브라켓(11)은 상면부(111)의 브라켓결합홈(1112)에 도어슈브라켓(12)의 삽입단(123) 부위가 결합되어, 외부 충격시 도어슈브라켓(12)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도어슈브라켓(12)의 삽입단(123)이 상면부(111)에 의해 상측으로의 이탈이 제한되어, 도어슈브라켓(12) 및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을 방지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11 is engaged with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so that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the elevator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escaping. That is, the upward end of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restricted by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the elevator door.

또한, 브라켓결합홈(1112)에 도어슈브라켓(12)의 삽입단(123)이 완전히 삽입된 후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도어슈브라켓(12)이 전,후로 흔들리더라도 삽입단(123)의 지지편(1232) 부위가 브라켓결합홈(1112)에 접촉 지지될 수 있으므로, 도어슈브라켓(12)이 도어실(D)로부터 이탈되거나 꼬임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충격 방향으로 휨 변형되어 도어슈브라켓(12)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shock is applied after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fully inserted in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even if the door shoe bracket 12 rocks back and forth, 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door chamber D or twisted because the support shoe 1232 of the door shoe 12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shoe bracket 12 from tilting forward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elevator door in the impact direction.

한편, 가이드홈(G) 내부에 적층되는 이물질은 도어슈브라켓(12)이 좌우로 왕복 이동됨에 따라 도어실(D)의 좌우 중앙 부위나 양측 단부로 이동되는데, 중앙 부위는 고정브라켓(11) 내부를 통과해 중앙으로 이동되어 좌우 중앙 공간에 쌓이면 청소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되어 있다.도 3a 내지 3c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12)을 보여주는 도면이다.The foreign substances stacked in the guide groove G are moved to the left and right center portions or both side ends of the door chamber D as the door shoe bracket 12 reciprocates right and left. And is moved to the center through the inside and is accumulated in the left and right central spaces, a space for cleaning can be secured. FIGS. 3A to 3C are views showing the door shoe bracket 12 shown in FIG.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면, 도어슈브라켓(12)은 전체적으로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슈브라켓(12)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to 3C,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be formed as a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extend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door shoe bracket 12 can be extend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vator doors.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길게 연장 형성된 도어슈브라켓(12)은 외부 충격시 하단이 가이드홈(G) 내에서 승강장 측 측벽(G1)에 걸리게 되어, 쉽게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휨 변형을 상당부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oor shoe bracket 12, which is exten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elevator door, is hooked to the landing side wall G1 in the guide groove G when the vehicle is impacted, So that it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a considerable part of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door.

도어슈브라켓(12)은 바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21)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높이를 가지고,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21)의 하측 일부는 도어실(D)의 가이드홈(G)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측 일부는 가이드홈(G)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바디부(121)는 상하 높이가 도어실(D) 가이드홈(G)의 상하 높이(깊이)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21)는 하단에서부터 가이드홈(G)의 상하 높이(H1)에 대응되는 부분까지가 가이드홈(G)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상부측은 가이드홈(G)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door shoe bracket 12 may include a body portion 121. The body 121 has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21 may be disposed inside the guide groove G of the door chamber D and an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21 may be exposed outside the guide groove G. [ That is, the body part 121 can be formed to have a height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depth) of the guide groove (G) of the door chamber (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body portion 121 can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G from the lower en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H1 of the guide groove G and the upper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G .

가이드홈(G) 외측으로 노출된 바디부(121)의 상부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디부(121)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도어와의 결합을 위한 볼트홀(1211)이 구비될 수 있다. 볼트홀(1211)은 한 쌍이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개의 셋트가 바디부(121)에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볼트홀(1211)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셋트가 바디부(121)에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바디부(121)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소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와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G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To this end, a bolt hole 1211 for coupling with the elevator door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21. [ A pair of the bolt holes 1211 may form one set, and a plurality of sets may be dispos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part 121. Preferably, two sets of bolt holes 1211 may be dispos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ody portion 121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In this case, the body part 121 can be coupled to the elevator door through fixing means such as an elevator door and bolts at two pl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필요에 따라, 볼트홀(1211)은 상하길이가 좌우폭보다 소정정도 큰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공오차, 엘리베이터의 규격 등에 따라 소정정도의 유격을 가능하게 한다.The bolt hole 1211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bolt hole 1211 as needed. This enables a certain degree of clearance depending on the machining error, the specific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like.

또한, 도어슈브라켓(12)은 도어슈(122)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슈(122)는 바디부(121) 하단에 배치되어 바디부(121)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은 종래 도어슈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도어슈(122)는 금속 재질인 바디부(121)와 구분되어 플라스틱, 고무 등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슈(122)는 도어실(D) 가이드홈(G)의 바닥면에 접촉 슬라이딩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도어슈(1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도어슈(122)는 한 쌍의 볼트홀(1211) 셋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가 바디부(121)에 좌우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include a door shoe 122. The door shoe 122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2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art 121. That is, the door shoe bracket 1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mbine the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door shoe. The door shoe 122 may be formed of plastic, rubber, or the lik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body part 121 made of a metal. The door shoe 122 is slidab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oor chamber D to guide the elevator door to the left and right. A plurality of door shoe 122 may be provided, and a plurality of door shoe 122 may be spaced left and right. Preferably, each door shoe 12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bolt holes 1211, and two of the door shoe 122 may be disposed laterally spaced from the body portion 121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

도어슈브라켓(12)은 삽입단(123)을 구비할 수 있다. 삽입단(123)은 바디부(1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의 고정브라켓(11)을 향해 배치된 도어슈브라켓(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이와 같은 삽입단(123)은 도어슈브라켓(12)의 좌측 단부에 구비되고 있다. 삽입단(123)은 도어슈브라켓(12)의 이동에 따라 고정브라켓(11)의 브라켓결합홈(1112)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door shoe bracket 12 may have an insertion end 123. The insertion end 12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ortion 121 and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12 disposed toward the center fixing bracket 11.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uch an insertion end 123 is provided at the left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12. The insertion end 123 can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of the fixing bracket 11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oor shoe bracket 12.

좀 더 구체적으로, 삽입단(123)은 가이드편(1231)과 지지편(12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편(1232)을 후술할 꺾임부(124)를 통해 바디부(121)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가이드편(1231)은 지지편(1232)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편(1232)은 상하 높이(H2)가 고정브라켓(11)의 상하 높이(H3)에 대응되거나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단(123)이 브라켓결합홈(1112)으로 완전히 삽입 체결되면, 브라켓결합홈(1112)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가이드편(1231)은 상하 높이(H4)가 지지편(1232)보다 소정정도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단(123)이 브라켓결합홈(1112)으로 삽입 체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가이드편(1231)의 단부에는 삽입단(123)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경사부(1233)가 마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insertion end 123 may be composed of a guide piece 1231 and a support piece 1232. [ The support piece 1232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1 through a bending part 12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guide piece 1231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piece 1232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upporting piece 1232 may be formed to have a vertical height H2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height H3 of the fixing bracket 11 or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larger than the height H2 of the fixing bracket 11. The insertion end 123 may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It can be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 The guide piece 1231 may be formed so that the vertical height H4 is lower than the support piece 1232 by a predetermined degree and the insertion end 123 can be guided to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An inclined portion 1233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guide piece 123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insertion end 123. [

고정브라켓(1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삽입단(123)은 외부 충격시 도어슈브라켓(12)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혀 삽입단(123)이 고정브라켓(11)의 브라켓결합홈(1112)으로 삽입 체결되게 되면, 고정브라켓(11)의 상면부(111)로 인해 가이드편(1231)의 상측 이탈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도어슈브라켓(12)의 전후방향 유동시에는 지지편(1232)이 브라켓결합홈(1112)에 접촉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시 고정브라켓(11) 내지 브라켓결합홈(1112)에 의해, 삽입단(123)이 이탈 방지되고 지지력을 보조 받게 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xing bracket 11, the insertion end 123 as described above prevents the door shoe bracket 12 from being detached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That is, when the elevator door is closed and the insertion end 123 is inserted in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of the fixing bracket 11,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of the fixing bracket 11 causes the upper side The departure will be limited. Further, when the door shoe bracket 1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support piece 1232 is held in contact with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Therefore, when the external impact is applied, the insertion end 123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fixing bracket 11 to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and the supporting force is assist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separated or deformed.

도어슈브라켓(12)은 바디부(121)와 삽입단(123)을 연결하는 꺾임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꺾임부(124)는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have a bent portion 124 connecting the body portion 121 and the insertion end 123. The bending portion (124)

바디부(121)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되어 삽입단(123)의 지지편(1232)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꺾임부(124)는 바디부(121)로부터 가이드홈(G)의 승강로 측 측벽(G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삽입단(123)은 바디부(121)에 비해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게 배치되게 된다. 이로 인해, 삽입단(123) 또는 지지편(1232)은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브라켓결합홈(1112) 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단(123) 또는 지지편(1232)이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게 배치 및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승강로 측 측벽(G2)이 지지력을 보조할 수 있게 되며, 외부 충격에 대한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다.And may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21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to the support piece 1232 of the insertion end 123. [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21 toward the side wall G2 of the guide groove G in a slanting manner. Therefore, the insertion end 123 described abov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G2 on the side of the hoistway compared to the body portion 121. [ The insertion end 123 or the support piece 1232 can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G2 on the side of the hoistway to be contactably supported in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 Since the insertion end 123 or the support piece 1232 is disposed and supported adjacent to the hoistway side wall G2 as described above, the hoistway side wall G2 can assist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impact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 It is possible to obtain a stronger supporting force against an external impact.

도어슈브라켓(12)은 삽입단(123) 반대측에 배치되는 절곡단(125)을 구비할 수 있다. 절곡단(125)은 삽입단(123) 반대측의 단부에서 바디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이와 같은 절곡단(125)은 도어슈브라켓(12)의 우측 단부에 구비되고 있다. 또한, 절곡단(125)은 가이드홈(G)의 상하 높이(H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가이드홈(G)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절곡단(125)은 가이드홈(G) 외측으로 노출되는 바디부(121)의 상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door shoe bracket 12 may have a bent end 125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end 123. The bent end 125 may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21 at an end opposite to the insertion end 123.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such a bent end 125 is provided at the right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12. The bent end 12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vertical height H1 of the guide groove G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G. [ That is, the folding end 125 may exten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21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guide groove G.

상기와 같은 절곡단(125)은 종래의 이탈방지장치와 달리 엘리베이터 도어에 직접 볼트홀을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즉, 종래의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의 절곡된 끝부분에 2개의 볼트홀을 가공하여 도어 브라켓을 고정 및 도서실 측면에 설치된 지지 브라켓 등과 연결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절곡단(125)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에 직접 볼트홀을 가공하지 않고, 도어실(D) 일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3)과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밀림이나 상부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좀 더 구체적으로, 절곡단(125)은 제1 내지 4절곡편(1251~12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절곡편(1251)은 바디부(121)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절곡편(1251)은 바디부(121)와 직교하도록 승강로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편(1252)은 제1절곡편(1251)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절곡편(1252)은 제1절곡편(1251)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삽입단(123)의 반대측(도면상 우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절곡편(1253)은 제2절곡편(1252)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절곡편(1253)은 제1절곡편(1251)과 같이 승강로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제2절곡편(1252)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4절곡편(1254)은 제3절곡편(1253)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4절곡편(1254)은 제3절곡편(1253)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삽입단(123) 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지 4절곡편(1252~1254)은 삽입단(123) 측을 향해 개구된 'ㄷ'자 형상을 이루며, 걸림부(1255)를 형성할 수 있다.The bending end 125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not necessary to directly process the bolt hole in the elevator door, unlike the conventional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two bolt holes are formed at the bent end of the elevator door to connect the door bracket to the support bracket and the lik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ibrary.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elevator door has the bent end 125, The bolt hole is not directly formed in the door chamber D but is connected to the support bracket 1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to prevent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pushed and released from the elevator door 100. More specifically, May be composed of first to fourth bending pieces 1251 to 1254. The first bent piece 1251 may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21. The first bent piece 1251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hoistway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body portion 121. The second bending piece 1252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first bending piece 1251. The second bent piece 125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first bent piece 1251 and may exten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insertion end 123 (right side in the figure). The third bent piece 1253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second bent piece 1252. The third bent piece 1253 may extend toward the inside of the hoistway like the first bent piece 1251 to b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ent piece 1252. The fourth bent piece 1254 may extend from the end of the third bent piece 1253. The fourth bent piece 1254 ext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third bent piece 1253 and may extend toward the insertion end 123 side (left side in the figure). The second to fourth bending pieces 1252 to 1254 have a "U" shape opening toward the insertion end 123, and can form a latching part 1255.

도어슈브라켓(12)은 보조리브(126)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리브(126)는 절곡단(125)이 배치된 바디부(121)의 일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보조리브(126)는 바디부(121)로부터 승강장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 보조리브(126)는 가이드홈(G) 내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홈(G)의 상하 높이(H1)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리브(126)는 가이드홈(G) 내측에 배치되는 바디부(121)의 하측 일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리브(126)의 전후방향 길이(W2)는 가이드홈(G) 내 도어슈브라켓(12)의 위치 및 가이드홈(G)의 전후 폭(W1)을 고려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 보조리브(126)는 승강장 측을 향하는 단부(1261)가 가이드홈(G)의 승강장 측 측벽(G1)과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리브(126)는 외부 충격시 도어슈브라켓(12)의 변형을 방지하고, 지지력을 보조하게 된다. 즉, 외부 충격시 도어슈브라켓(12)의 보조리브(126)가 가이드홈(G)의 승강장 측 측벽(G1)에 지지대 역할을 하여, 승강로 측으로의 기울어짐과 엘리베이터 도어의 갑작스런 휨 변형을 방지하여 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The door shoe bracket 12 may have an auxiliary rib 126. The auxiliary rib 126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21 where the bent end 125 is disposed. The auxiliary rib 126 may extend from the body portion 121 toward the landing side. The auxiliary rib 126 may be formed 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vertical height H1 of the guide groove G so as to be disposed in the guide groove G. [ That is, the auxiliary rib 126 may extend from a lower part of the body part 121 disposed inside the guide groove G. The longitudinal length W2 of the auxiliary rib 126 is preferab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n the guide groove G and the front and rear width W1 of the guide groove G. [ More preferably, the auxiliary rib 126 may be formed so that the end portion 1261 facing the landing side is adjacent to the landing side wall G1 of the guide groove G. [ The auxiliary rib 126 prevents deformation of the door shoe bracket 12 during an external impact and assists the supporting force. That is, the auxiliary rib 126 of the door shoe bracket 12 acts as a support for the platform side wall G1 of the guide groove G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to prevent the tilting toward the hoistway and the sudden bending deformation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like.

도 4a 내지 4c는 도 1에 도시된 지지브라켓(13)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4A to 4C are views showing the support bracket 13 shown in Fig.

도 4a 내지 4c를 참고하면, 지지브라켓(13)은 도어슈브라켓(12)의 절곡단(125)이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도어실(D) 중앙의 고정브라켓(11)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은 가이드홈(G) 외측에 배치되어 도어실(D)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지지브라켓(13)은 전술한 고정브라켓(11)이나 도어슈브라켓(12)과 같이 금속 판재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4A to 4C, the support bracket 13 is engaged with the bent end 125 of the door shoe bracket 12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bracket 11 in the center of the door seal D in the left- . The support bracket 13 may be disposed outside the guide groove G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 The support bracket 13 may be formed by molding a metal plate into a predetermined shape, such as the fixing bracket 11 or the door shoe bracket 12 described above.

좀 더 구체적으로, 지지브라켓(13)은 걸림홈(1311)이 형성된 바디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1311)은 전술한 절곡단(125)의 걸림부(1255)와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브라켓(11)의 배치방향 반대측(도면상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좌우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bracket 13 may include a body portion 131 having a latching groove 1311 formed therein. The engaging groove 1311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255 of the bent end 125 and is opened toward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

또한, 지지브라켓(13)은 도어실(D) 일측에 체결되는 설치편(132)을 구비할 수 있다. 설치편(132)은 지지브라켓(13) 하단에 바디부(1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도어실(D)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면상 표시되지 않았으나, 설치편(132)에는 고정수단의 체결을 위해 하나 이상의 볼트홀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ing bracket 13 may include a mounting piece 132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The mounting piece 13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art 131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bracket 13 and may be firmly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through fixing means such as a bol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ounting piece 132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bolt holes for fastening the fixing means.

또한, 지지브라켓(13)은 커버부(133)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부(133)는 바디부(131)로부터 승강로 측을 향해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단의 연결편(1331)에 의해 바디부(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부(133)는 바디부(131)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수용공간(1332)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슈브라켓(12)의 절곡단(125)이 걸림홈(1311)에 걸림 결합될 경우, 절곡단(125)의 일부(제4절곡편(1254) 부위)는 이와 같은 수용공간(1332) 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도어슈브라켓(12)이 유동되더라도 절곡단(125)이 지지브라켓(13)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브라켓(11) 측을 향하는 커버부(133)의 단부(도면상 좌측단)에는 하단에 이탈방지편(13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편(1333)은 바디부(131)를 향해 돌출되어 수용공간(1332) 내 절곡단(12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bracket 13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133. The cover part 13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dy part 131 toward the hoistwa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31 by a connecting piece 1331 at the upper end. The cover portion 133 may form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1332 between the body portion 131 and the cover portion 133. When the bent end 125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1311, a part of the bent end 125 (the fourth bent piece 1254) . Therefore, in this case, even i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moved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bent end 125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upport bracket 13.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1333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end portion (left end in the drawing) of the cover portion 133 facing th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1, if necessary. The release preventing pieces 1333 can protrude toward the body portion 131 and prevent the bent end 125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receiving space 1332. [

이상과 같은 이탈방지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1 will be described.

먼저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어슈브라켓(12)이 가이드홈(G)을 따라 엘리베이터 도어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슈브라켓(12)은 도어실(D) 중앙에 배치된 고정브라켓(11)으로 접근되고, 도어슈브라켓(12) 일단의 삽입단(123)이 고정브라켓(11)의 브라켓결합홈(1112)으로 삽입 체결된다. 또한, 도어슈브라켓(12) 타단의 절곡단(125)은 지지브라켓(13)의 걸림홈(1311)에 걸림 결합되게 된다.First, when the elevator door is moved in the closing direction, the door shoe bracket 12 moves together with the elevator door along the guide groove G. The door shoe bracket 12 approaches the fixing bracket 11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D and the insertion end 123 at one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bracket coupling And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112. Further, the bent end 125 of the other end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groove 1311 of the support bracket 13.

따라서 엘리베이터 도어가 완전히 닫혀지면, 도어슈브라켓(12)은 일단이 고정브라켓(11)에 체결되고, 타단이 지지브라켓(13)에 체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도어에 승강로 내측을 향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의 충격은 도어슈브라켓(12)으로 전달되게 되며, 전달된 충격은 도어슈브라켓(12)의 삽입단(123)을 통해 고정브라켓(11)에서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도어슈브라켓(12)이 충격 방향(승강로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도어실(D)이나 가이드홈(G)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Therefore, when the elevator door is completely closed, the door shoe bracket 12 is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racket 11 and the other end is fastened to the support bracket 13. In this state, when the impact to the elevator door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the impact is transmitted to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the impact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sertion end 123 of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is supported by the bracket 11. The door shoe bracket 12 is prevented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door chamber D or the guide groove G in the impact direction (toward the inside of the hoistway).

상기와 같은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는 충격으로 인해 휨 변형되려는 힘을 받게 되며, 이로 인해 도어슈브라켓(12)이 가이드홈(G) 상측으로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의 휨 변형에 따른 이탈은 도어슈브라켓(12)의 절곡단(125)이 지지브라켓(13)에 걸림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1)의 경우, 절곡단(125)이 지지브라켓(13)에 걸림 결합되어 상측으로의 이탈 또한 구속 제한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휨 변형력 등에 의한 이탈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가 승강로 내측으로 밀리는 현상 또한 방지될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elevator door is subjected to a force for bending deformation due to the impact, so that the door shoe bracket 12 may be de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guide groove (G). As a result, the elevation of the elevator door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because the bent end 125 of the door shoe bracket 12 is engaged with the supporting bracket 13.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bent end 125 is engaged with the support bracket 13 and the upward departure is also restricted by the restraint, It is also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deviation. Also, the phenomenon that the elevator door is pushed to the inside of the hoistway by the external impact can also be prevented.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고정브라켓(11), 도어슈브라켓(12) 및 지지브라켓(13)의 변형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Modifications of the fixing bracket 11,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the support bracket 13 described above will now be described.

도 5는 도 2a 내지 2c에 도시된 고정브라켓(11)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fixing bracket 11 shown in Figs. 2A to 2C.

도 5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라켓(11-1)은 전술한 고정브라켓(11)을 좌우로 한 쌍 연결 설치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라켓(11-1)은 전술한 고정브라켓(11)과 달리 좌우 한 쌍이 아닌 1개의 고정브라켓(11-1)만으로 좌우의 각 도어슈브라켓(12)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xing bracket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formed as a pair of left and right fixing brackets 11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unlike the above-described fixing bracket 11, the fixing bracket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can fix and support the right and left door shoe brackets 12 with only one fixing bracket 11-1 .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고정브라켓(11-1)은 하면부의 볼트홀로 공구 등을 접근시키기 위한 액세스홀(1111-1)과, 좌우측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브라켓결합홈(1112-1, 1113-1)을 구비할 수 있다. 액세스홀(1111-1) 및 각 브라켓결합홈(1112-1, 1113-1)은 전술한 실시예의 액세스홀(1111) 및 브라켓결합홈(1112)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따. 다만, 브라켓결합홈(1112-1, 1113-1)의 경우,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고정브라켓(1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bracket 11-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an access hole 1111-1 for approaching a tool or the like with a bolt hole on a lower surface, bracket coupling grooves 1112-1 and 1113 -1). The access hole 1111-1 and each of the bracket coupling grooves 1112-1 and 1113-1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access hole 1111 and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bracket coupling grooves 1112-1 and 1113-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at they are formed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ixing bracket 11-1,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6a은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12)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door shoe bracket 12 shown in Figs. 3A to 3C.

도 6a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1)은 전술한 도어슈브라켓(12)에서 절곡단(125)이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1)은 제작이 용이하며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절곡단(125)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어슈브라켓(12)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door shoe bracket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folded end 125 is removed from the door shoe bracket 12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door shoe bracket 12-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the bent end 125 can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door shoe bracket 1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도 6b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12)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door shoe bracket 12 shown in Figs. 3A to 3C.

도 6b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2)은 전술한 도어슈브라켓(12)에서 꺾임부(124)가 생략되고, 도어슈(122)가 제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도어슈브라켓(12-2)은 종래 상용되는 형태의 도어슈(S)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Referring to FIG. 6B, the door shoe bracket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s formed such that the folded portion 124 is omitted from the door shoe bracket 12, and the door shoe 122 is removed . The door shoe bracket 12-2 of this type is useful when the conventional door shoe S is to be used as it is.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2)은 바디부(121-2) 일단에 형성되는 삽입부(123-2)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23-2)는 전술한 실시예의 삽입부(123)와 대응된다. 다만, 본 변형예에 따른 삽입부(123-2)는 전술한 실시예의 꺾임부(124) 없이 바디부(121-2)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삽입부(123-2)는 바디부(121-2)로부터 일자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변형예의 경우, 종래의 도어슈(S)가 직접 바디부(121-2)에 조립되게 되는바, 도어슈(S)의 브라켓 두께로 인해 별도의 꺾임부(124)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Specifically, the door shoe bracket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23-2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21-2. The insertion portion 123-2 corresponds to the insertion portion 123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insertion portion 123-2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extended from the body portion 121-2 without the bending portion 124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the insertion portion 123-2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extend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body portion 121-2. This is because the conventional door shoe S is directly assembled to the body portion 121-2 in the case of the present modification and a separate bending portion 124 is not require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bracket of the door shoe S .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2)은 도어슈(S)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122-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변형예의 장착공간(122-2)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어슈(122)와 위치상 대응된다. 다만, 본 변형예의 경우, 별도의 도어슈(S)가 조립되게 되는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도어슈(122)가 바디부(12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별도의 도어슈(S)가 조립 배치되기 위한 장착공간(122-2)만이 구비되면 무방하다.In addition, the door shoe bracket 12-2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have a mounting space 122-2 for mounting the door shoe S therein. The mounting space 122-2 of this modification corresponds in position to the door shoe 122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door shoe 122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121-2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 separate door shoe S is assembled, Only the mounting space 122-2 for assembling and disposing the shoes S may be provided.

도 6c는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도어슈브라켓(12)의 제3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6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ed example of the door shoe bracket 12 shown in Figs. 3A to 3C.

도 6c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3)은 전술한 제2변형예의 도어슈브라켓(12-2)에서 꺾임부(125-2)가 제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3)은 제작 용이성 및 제조단가 측면에서 이점이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C, the door shoe bracket 12-3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olded portion 125-2 is removed from the door shoe bracket 12-2 of the second modification have. Therefore, the door shoe bracket 12-3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ease of manufacture and manufacturing cost.

도 7은 도 4a 내지 4c에 도시된 지지브라켓(13)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support bracket 13 shown in Figs. 4A to 4C.

도 7을 참조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지지브라켓(13-1)은 바디부(131-1)와, 바디부(131-1) 하단에 마련되어 도어실(D) 일측에 체결되는 설치편(132-1)과, 바디부(131-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커버부(133-1)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부(131-1), 설치편(132-1) 및 커버부(133-1)는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 형성될 수 있다.7, the supporting bracket 13-1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a body part 131-1, a mounting piece (not shown)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31-1 and fasten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And a cover portion 133-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body portion 131-1. The body part 131-1, the mounting piece 132-1 and the cover part 133-1 may be integrally formed as a single part.

커버부(133-1)는 상단의 연결편(1331-1)을 통해 바디부(131-1)와 연결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131-1)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133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술한 도어슈브라켓(12)의 절곡단(125)은 제4절곡편(1254) 부위가 수용공간(1332-1) 내로 삽입되어 지지브라켓(13-1)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The cover part 133-1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31-1 through a connecting piece 1331-1 at the upper end and can be connected to the body part 131-1 through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1332-1 ) Can be formed. In this case, the bent end 125 of the door shoe 12 may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332-1 of the fourth bent piece 1254 to be engaged with the support bracket 13-1 have.

필요에 따라, 바디부(131-1)의 일측단에는 보강편(1312-1)이 소정정도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강편(1312-1)은 외부 충격시 도어슈브라켓(12)의 절곡단(125)에 대한 지지력을 보조하여, 엘리베이터 도어의 밀림 및 이탈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If necessary, the reinforcing piece 1312-1 may be extended to one end of the body part 131-1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reinforcing piece 1312-1 assist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door shoe bracket 12 against the bent end 125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elevator door from being pushed and released can be enhanced.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2)가 도어실(D)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2)가 도어실(D)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8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scape prevention device 2 of an elevator do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or chamber D. 8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2 of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oor chamber D. Fig.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2)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이탈방지장치(1)가 좌우 대응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반해, 좌우가 일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8A and 8B,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1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constitut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orresponding parts, .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2)는 도어실(D) 중앙 부위에 배치되어 가이드홈(G)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브라켓(21)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고정브라켓(11)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c 참조).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좌우 한 쌍의 고정브라켓(11)이 구비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2)는 하나의 고정브라켓(21)만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차이가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21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chamber D and fixed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 The fixing bracket 2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fixing bracket 11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ee Figs. 2A to 2C).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left and right pair of fixing brackets 11 are provided, whereas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mposed of only one fixing bracket 21, ha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2)는 제1, 2도어슈브라켓(22a, 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어슈브라켓(22a)은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고정브라켓(21)을 향한 일단에 삽입부가 구비되어 고정브라켓(21)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도어슈브라켓(22a)은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 제3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3)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c 참조).Also,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22a and 22b. The first door shoe bracket 22a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figur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21 with an insertion portion at one end toward the fixing bracket 21. Such a first door shoe bracket 22a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door shoe bracket 12-3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ca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ee Fig. 6C).

한편, 제2도어슈브라켓(22b)은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전술한 제1도어슈브라켓(22a)과 달리 대응되는 고정브라켓(11)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제2도어슈브라켓(22b)은 도어실(D) 정중앙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인접한 다른 엘리베이터 도어(도면상 좌측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도어슈브라켓(22b)은 일단이 도면상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이르도록 충분히 연장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and does not have a fixing bracket 11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shoe bracket 22a described above. Instea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D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is disposed below the adjacent elevator door (the elevator door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hat is,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may be formed to extend sufficiently to have one end reach the lower elevator door left side in the drawing.

도 9는 도 8a 및 8b에 도시된 제2도어슈브라켓(22b)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shown in Figs. 8a and 8b.

도 9를 참조하면, 제2도어슈브라켓(22b)은 전술한 제3변형예에 따른 도어슈브라켓(12-3)과 유사하게 형성되되, 상기 도어슈브라켓(12-3)에서 삽입부가 제거되고, 대응되는 위치의 바디부(221b) 일단에 충돌부(223b)가 마련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충돌부(223b)는 바디부(221b)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is formed similarly to the door shoe bracket 12-3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xample, And the impact portion 223b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221b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impact portion 223b may be formed at a height slightly lower than the body portion 221b.

다시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제2도어슈브라켓(22b)의 충돌부(223b)는 엘리베이터 도어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인접한 다른 엘리베이터 도어(즉,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어슈브라켓(22b)에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도어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충돌부(223b)가 인접한 다른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에 충돌되면서, 제2도어슈브라켓(22b)의 가이드홈(G) 밖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자중을 통해 제2도어슈브라켓(22b)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제1도어슈브라켓(22a)에 대응되는 좌측 엘리베이터 도어는 제1도어슈브라켓(22a)을 매개로 고정브라켓(21)에 고정 지지되게 되므로, 제2도어슈브라켓(22b)을 거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은 제1도어슈브라켓(22a)의 고정브라켓(21)을 통해서도 지지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again to Figures 8a and 8b, the impact portion 223b of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vator door is completely closed, is positioned below the adjacent elevator door (i.e., the left elevator door) do. Therefore,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elevator doo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the collision portion 223b collid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djacent elevator door, and the guide groove G of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Out deviation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through the weight of the left elevator door. In this case, since the left elevator door corresponding to the first door shoe bracket 22a is fixedly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21 via the first door shoe bracket 22a,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So that the external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door shoe 22a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fixing bracket 21 of the first door shoe bracket 22a.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2)는 고정브라켓(21)을 하나로만 구성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자중을 이탈 방지에 활용하게 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부품 구성을 간소화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only one fixing bracket 21 and utilizes the self weight of the elevator door to prevent depar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simplifying the component configur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3)가 도어실(D)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10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scape prevention device 3 of the elevator do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oor chamber D.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3)는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3)에 있어 전술한 제1실시예의 고정브라켓(11)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의 이탈은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에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이 직접 충돌됨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escape prevention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In the escape prevention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11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omitted. Disenga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can be prevented by direct collision of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under the elevator door.

보다 구체적으로, 제1도어슈브라켓(32a)은 도면상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도어실(D) 좌우 중앙을 향한 일단에는 충돌부(323a)가 구비되고, 반대측의 타단에는 보조리브(3261a)가 구비될 수 있다. 충돌부(323a)는 도어실(D)의 정중앙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인접한 다른 엘리베이터 도어(도면상 우측의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어슈브라켓(32a)의 상부측으로의 이탈은 충돌부(323a)가 우측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에 충돌됨으로써 방지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and a collision portion 323a is formed at one end of the door chamber D toward the right- And an auxiliary rib 3261a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The collision portion 323a may be formed to extend beyond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one end of the collision portion 323a is disposed below another adjacent elevator door (elevator door on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refore, the deviation of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to the upper side is prevented by the impact portion 323a collid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ight elevator door.

상기와 같은 제1도어슈브라켓(32a)은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도어슈브라켓(22b)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22b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in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한편, 제2도어슈브라켓(32b)은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에 대응되도록 좌우로 연장 형성되되, 도어실(D) 좌우 중앙을 향한 일단에 충돌부(323b)가 구비되고, 반대측의 타단에는 보조리브(3261b)와 절곡단(325b)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and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correspond to the right elevator door, and has a collision portion 323b at one end toward the right- And an auxiliary rib 3261b and a bent end 325b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opposite side.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도어슈브라켓(32a)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a shown in Fig.

도 11을 참조하면, 충돌부(323b)는 도어실(D) 정중앙보다 소정정도 더 연장 형성된 형태로, 전술한 제1도어슈브라켓(32a)의 충돌부(323a)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조리브(3261b)는 전술한 제1도어슈브라켓(32a)의 보조리브(3261a)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곡단(325b)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도어슈브라켓(12)에 있어 절곡단(125)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 참조).11, the impact portion 323b may be formed to extend to a certain extent from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D, and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impact portion 323a of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described above And the auxiliary rib 3261b can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auxiliary rib 3261a of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described above. Further, the bent end 325b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bent end 125 in the door shoe bracket 12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ee Figs. 3A to 3C).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3)는 고정브라켓(11)이 생략된 대신,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이 각각 우측 또는 좌측의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에 충돌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도어실(D)의 중앙 부위에서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이 겹침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1도어슈브라켓(32a)은 승강장 측 측벽(G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도어슈브라켓(32b)은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0 again, in the departure-avoidance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bracket 11 is omitted, and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right or left elevator door lower So that departure can be prevente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can be stacked and arrang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or chamber D,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anding side wall G1 An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is disposed adjacent to the hoistway side wall G2.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장치(3)는 지지브라켓(3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33)은 절곡단(325b)이 마련된 제2도어슈브라켓(32b)에 체결되어 제2도어슈브라켓(32b)의 지지력을 보조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 지지브라켓(33)은 제2도어슈브라켓(32b)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1도어슈브라켓(32a)에 대하여는 지지브라켓(33)이 생략될 수 있다 (제1도어슈브라켓(32a)은 절곡단 없이 보조리브(3261b)만이 구비됨). 이는 장치적 구성을 최소화하여 설치 및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단, 필요에 따라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지지브라켓(33)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separation preventing device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racket 33. The support bracket 33 is fastened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provided with the bent end 325b to assis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In this embodiment, the support bracket 3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and the support bracket 33 may be omitted from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The door shoe bracket 32a is provided with only the auxiliary rib 3261b without a folding step). This is to minimize the device configuration and facilitate installation and fabrication.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3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respectively.

본 실시예의 지지브라켓(33)은 전술한 제1실시예의 지지브라켓(13) 및 이의 변형예들과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 도 7 참조).The support bracket 33 of this embodiment can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ort bracket 13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modifications thereof (see Figs. 4A to 4C and Fig. 7).

이상과 같은 이탈방지장치(3)은 도어실(D) 중앙에 고정브라켓이 없어 미관이 좋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도어실(D) 내부 중앙에 별도의 장애물(고정브라켓)이 없는 형태이므로,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이 좌우로 이동시 중앙에 이물질이 걸리지 않게 되고, 이물질로 인한 작동 에러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어실(D) 중앙 부위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The above-described departure-avoidance device 3 has no fixing bracket at the center of the door chamber D and has a good appearance and is easy to install. The first door shoe 32a and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ar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door seal D so that no foreign matter is caught in the center of the door shoe 32a when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are moved left and right. The occurrence of errors can be minimized. Further, even if a foreign substance accumulates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door chamber D, cleaning can be facilitated.

한편, 외부 충격시에는 좌우측 엘리베이터 도어의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이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에 충돌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의 자중에 의해 각 제1, 2도어슈브라켓(32a, 32b)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도어슈브라켓(32a)에 충격이 가해질 때에는 외부 충격력이 엘리베이터 도어를 통해 제2도어슈브라켓(32b)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2도어슈브라켓(32b)과 결합된 지지브라켓(33)을 통해 이탈 및 밀림 방지를 보조 받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an external impact, the first and second door shoe brackets 32a and 32b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elevator doors collid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elevator door, (32a, 32b) can be prevented.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door shoe bracket 32a, an external impact fo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through the elevator door, and the support bracket 32b coupled to the second door shoe bracket 32b 33 to assist in preventing separation and jamm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고정브라켓, 도어슈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엘리베이터 도어의 충격 방향으로의 이탈이나, 휨 변형에 의해 하단이 도어실로부터 들리는 상측으로의 이탈, 승강로 내측으로의 밀림 등을 모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xing bracket, the door shoe bracket, and the support bracket. The elevator door is detached in the impact direction of the elevator doo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upward departure from the yarn and the pushing to the inside of the hoistw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도어슈브라켓 양단이 각각 고정브라켓 및 지지브라켓에 의해 지지되고, 꺾임부를 통해 가이드홈의 측벽을 지지력 보조에 활용할 수 있으며, 보조리브나 커버부 등 지지력 보조할 수 있는 수단들이 다양하게 구비됨으로써, 이들 복수의 지지수단들을 통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인 지지 및 이탈방지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elevator door detachment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door shoe bracket are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s and the supporting brackets, respectively, and the sidewalls of the guide grooves can be utilized for assisting the supporting force through the folding portions. The cover and the like can be variously prov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alize more stable and stable support and departure prevention performance through the plurality of support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는 기존의 도어슈를 교체하거나 기존의 도어슈에 호환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기 설치된 엘리베이터 설비에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적용범위 및 기술적 호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게 된다.Further, the elevator door departure preven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elevator equipments since it can be replaced with existing door shoe or compatible with existing door shoe, And technical compatibilit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11: 고정브라켓
12: 도어슈브라켓 13: 지지브라켓
D: 도어실 G: 가이드홈
1: Device for preventing escape of the elevator door 11: Fixing bracket
12: Door shoe bracket 13: Support bracket
D: Door seal G: Guide groove

Claims (3)

도어실(D) 중앙 부위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가이드홈(G)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1);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홈(G)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도어슈브라켓(12); 및
상기 고정브라켓(11)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좌우 폭에 대응되도록 이격 배치되어 상기 도어실(D)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3);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브라켓(11)은, 볼트홀(1121)이 구비된 하면부(112)가 상기 가이드홈(G)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면부(112)의 좌우 폭(L2)이 대향하는 상면부(111)의 좌우 폭(L1)보다 소정정도 작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111)에는 상기 볼트홀(1121)로의 접근을 위한 액세스홀(1111)과, 상기 도어슈브라켓(12)의 일단이 체결되는 브라켓결합홈(1112)이 마련되고,
상기 브라켓결합홈(1112)은, 상기 상면부(111)의 전후 폭 중심선(C1)을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홈(G)의 승강로 측 측벽(G2)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도어슈브라켓(12)은, 좌우로 연장 형성된 바디부(121) 일단에 삽입단(123)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121) 타단에 절곡단(125)이 구비되되,
상기 삽입단(123)은, 상하 높이(H2)가 상기 고정브라켓(11)의 상하 높이(H3)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결합홈(1112)에 접촉 지지될 수 있는 지지편(1232)과, 상기 지지편(123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브라켓(11) 내측으로 삽입되는 가이드편(123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1232)은, 상기 바디부(121)로부터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된 꺾임부(124)를 통해 상기 바디부(121)와 연결 형성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3)은, 상기 절곡단(125)이 걸림 결합되어 상기 도어슈브라켓(12)의 상부 이탈을 구속 제한하는 걸림홈(1311)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A fixing bracket 11 disposed adjacent to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chamber D and fixedly installed in the guide groove G;
A door shoe bracket 12 extending to correspond to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levator door and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elevator door and slidably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G; And
And a support bracket (13) spaced from the fixing bracket (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elevator door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chamber (D)
The fixing bracket 11 has a bottom surface 112 having a bolt hole 1121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G while a width L2 of the bottom surface 112 is opposed The access hole 1111 for accessing the bolt hole 1121 and the door shoe bracket 12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he access hole 111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A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to which one end of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is coupled,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is formed adjacent to the side wall G2 of the guide groove G of the guide groove G2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line C1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1,
The door shoe bracket 12 has an insertion end 123 at one end of a body part 121 extending to the left and right and a bent end 125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121,
The insertion end 123 is formed with a support piece 1232 which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larger than the vertical height H3 of the fixing bracket 11 and can be contact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coupling groove 1112, And a guide piece 1231 extending from the support piece 1232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11,
The support piece 1232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121 through a bent part 124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body part 121,
Wherein the support bracket includes a latching groove for engaging the bent end of the bent bracket so as to restrain the upward movement of the door shoe bracke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01559A 2016-08-10 2016-08-10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KR1016942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59A KR101694203B1 (en) 2016-08-10 2016-08-10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559A KR101694203B1 (en) 2016-08-10 2016-08-10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203B1 true KR101694203B1 (en) 2017-01-09

Family

ID=5781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559A KR101694203B1 (en) 2016-08-10 2016-08-10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2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02B1 (en)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separ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3833A (en) * 2007-09-21 2008-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Door guide apparatus preventing breakaway of a elevator door and locking apparatus involving this
KR100862302B1 (en) 2008-02-28 2008-10-13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KR20080113861A (en)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tructure of doorroom for protecting outdoor of doorguideshoe
KR20080113860A (en) *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tructure of doorroom for protecting outdoor of doorguideshoe
KR20100033204A (en) * 2008-09-19 2010-03-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Door guide apparatus preventing breakaway of a elevator do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861A (en)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tructure of doorroom for protecting outdoor of doorguideshoe
KR20080113860A (en) * 2007-06-26 2008-12-31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Structure of doorroom for protecting outdoor of doorguideshoe
KR20080013833A (en) * 2007-09-21 2008-02-13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Door guide apparatus preventing breakaway of a elevator door and locking apparatus involving this
KR100862302B1 (en) 2008-02-28 2008-10-13 새한엘리베이터 주식회사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KR20100033204A (en) * 2008-09-19 2010-03-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Door guide apparatus preventing breakaway of a elevator 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02B1 (en) 2021-08-09 2022-07-05 (주)다원엘리베이터 Device for preventing a front door of elevator from sepa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5364B1 (en)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elevator car doors
US8820814B2 (en) Vehicle seat
JP7234516B2 (en) vehicle side structure
KR101694203B1 (en) Elevator door derailment prevention device
JP6260018B2 (en) Harness protector
KR200490641Y1 (en) Fall prevention apparatus for door of parking elevator
KR101287188B1 (en) Door trim assembly with anti-separation structure of fastner
JP2002104758A (en) Door device of elevator landing
JP4823658B2 (en) Vehicle sliding door structure
JP2018122748A (en) Vehicle lower structure
JP4694503B2 (en) Elevator doorway equipment
CN112119003B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KR200454487Y1 (en) Door scaffolding member of rolling stock
JP5923998B2 (en) Vehicle steps
KR101285591B1 (en) Lifting door
KR102600828B1 (en) Elevator preventing door separation by external impact
KR20090110445A (en) Breakaway prevention construction for elevator's door
KR101617209B1 (en) elevator door breakaway prevention apparatus
JP4027174B2 (en) Car seat track cover
KR100655613B1 (en) Mounting apparatus for the roof rack base rail and the cross bar slider on the roof of the vehicle
KR100536374B1 (en) A seat rail reinforcing structure in vehicle
JPH05124462A (en) Seat track
KR101242421B1 (en) Seat track for vehicle
JP2008012932A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80000758A (en) Breakaway preventing fin of elevator room door and making method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