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967B1 -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967B1
KR101693967B1 KR1020150032957A KR20150032957A KR101693967B1 KR 101693967 B1 KR101693967 B1 KR 101693967B1 KR 1020150032957 A KR1020150032957 A KR 1020150032957A KR 20150032957 A KR20150032957 A KR 20150032957A KR 101693967 B1 KR101693967 B1 KR 101693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swirl control
temperature
modeling
interna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115A (ko
Inventor
서무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2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967B1/ko
Priority to US14/955,861 priority patent/US9897031B2/en
Publication of KR2016010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63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the program execution being modifiable by physical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1/00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 F02B31/04Modifying induction systems for imparting a rotation to the charge in the cylinder by means within the induction channel, e.g. deflectors
    • F02B31/06Movable means, e.g. butterfl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3/00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3/02Controlling delivery of fuel or combustion-air,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02D2041/0015Controlling intake air for engines with means for controlling swirl or tumble flow, e.g. by using swir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65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being related to the coil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에 대한 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코일 온도 최대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WIRL CONTROL VAKVE OF DIESEL ENGINE}
본 발명은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에서 완전 연소를 위하여 연소실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의 통로에 스월 컨트롤 밸브(SCV, Swirl Control Valve)를 장착하여 흡기 공기에 대한 스월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스월 제어는 흡입 공기가 스월 컨트롤 밸브를 지날 때 스월이 발생되도록 하고, 스월이 발생된 흡입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디젤 연료와 최대한 잘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출가스의 저감 및 입자상 물질(PM :Particulate Matter) 저감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식은 모터를 통한 가변 제어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엔진 운전영역에 따라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을 모터와 연결된 링크부를 통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의 중/저부하 운전영역에서는 배출가스 저감을 위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를 닫아주고, 고부하 영역에서는 많은 양의 흡기를 연소실로 공급하여 엔진 출력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스월 컨트롤 밸브를 열어주는 등 스월 컨트롤 밸브의 정밀한 개폐 제어가 필요하다.
그러나, 디젤 엔진의 스월 컨트롤 밸브는 원하는 대로 항상 최대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부품이 아니며, 그 이유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사용 전류 및 시간, 주변 온도에 따라 모터 코일온도가 상승하며, 코일온도가 견딜 수 있는 온도가 180℃이기 때문이다.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특성상 최대 모터듀티(100%)를 3초 동안은 사용 가능하나, 코일온도의 과도한 상승 방지를 고려하여 실제 사용 모터듀티(Duty)를 제한하여 사용하기를 권장한다.
Figure 112015023188697-pat00001
위의 표 1은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를 일정 전류로 구동시켰을 때, 180℃까지 상승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로서, 1.0A로 지속적으로 전류 인가시 스월 컨트롤 밸브의 사용 제한 시간은 4.6분이 되어야 하며, 구동 전류가 증가할수록 사용 가능 시간은 줄어듬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5023188697-pat00002
위의 표 2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 방지를 위한 온도에 따른 구동전류 한계값을 측정한 실험 결과로서, 0.7A로 구동시 173.6℃에서 수렴하고, 0.8A로 구동전류 증대시 스월 컨트롤 밸브가 견딜 수 있는 코일온도인 180℃를 초과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실험을 통해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 방지를 위해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ECU)에서 제한해야 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구동전류는 0.7A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에 PWM 통신을 통해 모터듀티를 명령하게 되는데, 0.7A의 전류로 제한하기 위한 제어기의 모터듀티 제한치에 대한 실험 결과는 아래의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5023188697-pat00003
위의 표 3에서 보듯이, 제어기(ECU)에서 모터듀티를 25%로 인가했을 때, 모터에 대한 전류 출력값이 스월 컨트롤 밸브의 주변 온도(예를 들어, 모터 코일온도)에 따라 다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듀티 25%를 인가했을 때, 상온에서는 0.784A이나, 130℃의 고온 악의조건에서는 0.667A로 낮아진다.
즉, 고온으로 갈수록 동일 듀티에 대한 출력 전류가 낮아지며, 제어기의 듀티 제한치는 고온에서 더 낮아져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제어기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 제한치를 설정함에 있어서 악의조건을 고려해야 하므로, 결국 0.7A의 전류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25%의 듀티로 제한해야 한다.
그러나,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보호를 위하여 모터 제공업체에서 25%로 모터듀티를 제한하면, 엔진 개발자들이 원하는 만큼 모터듀티의 조정(Calibration)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제로 25%의 모터듀티 제한치를 실차에 적용했을 때, 듀티 부족에 따른 PID 게인 부족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응답성이 늦어지고, 목표 듀티와 실제 듀티의 편차 과다로 인한 에러 발생 등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이에, 모터 보호를 위한 듀티 제한과 엔진 개발을 위한 최소한의 듀티 확보라는 두 가지 요구사항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에 대한 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코일 온도 최대온도에 도달하지 않도록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로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를 결정하는 인자를 선정하는 단계와; ⅱ) 선정된 인자를 이용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온도를 모델링하여 예측하는 단계와; ⅲ) 모델링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 듀티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는 연료분사량, 엔진 RPM,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배기라인에 장착되는 촉매의 전단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ⅱ) 단계에서 모델링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온도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 중,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의 가감 변화량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를 맵데이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현재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에 대응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에 현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및 촉매 전단온도를 차례로 곱한 다음, 스월 컨트롤 밸브의 이전 내부 모델링 온도를 더해주는 단계; 를 통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ⅲ) 단계는: ⅱ) 단계에서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에 의하여 명령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저감시키되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 만큼의 듀티 저감 팩터(factor)를 곱해주어 저감시키는 단계와; ⅱ) 단계에서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에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제로(0)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에 대한 온도)를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 등을 인자로 하는 모델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제어할 수 있다.
둘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통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개폐를 위한 모터 듀티비를 엔진 개발을 위한 목표 수준으로 조절하는 동시에 모터 보호를 위한 수준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보호를 위한 모터 듀티 및 전류 제한이 가능하므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에 따른 클레임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별도의 내부 온도센서 없이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이 가능하므로, 온도센서 적용 대비 제조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는 것을 나타낸 제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모델링한 후, 모터 듀티비를 제한하는 로직을 나타낸 제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월 컨트롤 밸브의 개폐량은 엔진 운전영역에 따라 모터와 연결된 링크부를 통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결국 제어기에서 모터 구동을 위한 듀티제어를 통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모터 구동 제어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 즉, 펄스 폭 변조방식을 이용하며, 이 펄스 폭 변조방식은 모터의 회전속도에 맞도록 구동 펄스의 폭을 가변시키는 방법으로서 구동 펄스의 폭을 가변시키는 것은 듀티비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모터 듀티비는 펄스의 한 주기중 펄스 '온' 구간의 비율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듀티비가 100% 라는 것은 펄스의 한 주기가 계속 '온'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듀티비가 50% 라는 것은 펄스의 반 주기동안 '온', 나머지 반주기동안 '오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밀한다.
따라서, 모터 듀티비에 따라 모터의 회전수 및 토크(Torque)가 제어된다.
본 발명은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 제한치를 설정함에 있어서 기존에 모터 보호를 위하여 모터 듀티비를 제한하던 것과 달리, 엔진 개발자들이 원하는 만큼 모터 듀티의 조정(Calibration)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제어기(ECU)에서 일정비율의 모터듀티를 인가했을 때, 모터에 대한 전류 출력값이 스월 컨트롤 밸브의 주변 온도(예를 들어, 모터 코일온도)에 따라 달라짐을 감안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에 대한 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온도를 기반으로 스월 컨트롤 밸브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모터코일 최대온도(코일이 견딜 수 있는 온도로서 약 180℃)에 도달하지 않도록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는 제어도이다.
먼저,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기 위한 인자로서, 엔진에 대한 연료분사량, 엔진 RPM,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배기라인에 장착되는 촉매의 전단 온도 등을 선정한다.
상기 연료분사량은 서로 비례관계를 갖는 연소실 온도와, 배기온도와,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로 선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분사량이 증가하면 연소실 온도 및 배기온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가 더 열려야 하고, 그에 따라 스월 컨트롤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듀티비가 더 증가하여 모터의 코일온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연료분사량은 연소실 온도와, 배기온도와,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엔진 RPM 또한 서로 비례관계를 갖는 연소실 온도와, 배기온도와,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로 선정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엔진 RPM이 증가하면 엔진 출력 증가에 따라 연소실 온도 및 배기온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보다 많은 공기를 연소실로 공급하기 위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가 더 열려야 하고, 그에 따라 스월 컨트롤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 듀티비가 더 증가하여 모터의 코일온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에, 상기 엔진 RPM 또한 연소실 온도와, 배기온도와,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결정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이렇게 선정된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의 가감 변화량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예를 들어, 모터 코일온도)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구하고, 이를 맵데이터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의 가감 변화량에 따라 추출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은 10msec 마다 일정온도로 변화하는 기울기로 모델링된 것이다.
이에,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의 가감 변화량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을 모터듀티 제어를 위한 제어기에서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를 통과하여 연소실로 공급되는 흡기공기 통과유량과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또한 서로 비례관계를 갖는다.
즉, 흡기공기 통과유량이 크면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이 증가된 상태이고, 결국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 작동 유지를 위한 내부온도(예를 들어, 모터 코일온도)로 증가하게 되므로, 흡기공기 통과유량과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또한 서로 비례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기 위한 인자로서,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 외에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이 선정된 것이다.
이에,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을 추출한 후, 추출된 내부온도 변화량에 현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을 곱해준다.
또한,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는 엔진출력 증가 및 연소실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배기온도와도 서로 비례 관계를 갖는다.
즉, 엔진출력 증가 및 연소실 온도 증가에 따라 배기온도가 증가하는 것은 흡기공기를 보다 많이 연소실로 공급하도록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이 증가된 상태이므로,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 작동 유지를 위한 내부온도(예를 들어, 모터 코일온도)와 배기온도는 서로 비례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모터 코일온도)를 모델링을 통하여 예측하기 위한 인자로서,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외에 배기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촉매 전단온도가 선정된 것이다.
이에,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현재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에 대응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을 추출한 후, 추출된 내부온도 변화량에 현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을 곱해준 다음, 촉매 전단온도를 더 곱해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맵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과 현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과 촉매 전단온도를 곱한 값 즉, 스월 컨트롤 밸브의 최종 내부온도 변화량을 스월 컨트롤 밸브의 이전 내부 모델링 온도에 더해줌으로써,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온도를 나타내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구해진다.
이렇게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 모델링 온도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 듀티비 제한 로직에 이용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를 모델링한 후, 모터 듀티비를 제한하는 로직을 나타낸 제어도이다.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 모델링 온도를 이용한 모터 듀티비 제한 로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진행된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1기준값(예를 들어,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이 우려되는 모터 코일온도 180℃ 미만의 온도로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위험수준 낮은 상태이지만 제1기준값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어기(ECU)에 의하여 명령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저감시키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어기에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 만큼의 듀티 저감 팩터(factor)를 곱해준 다음, 저감된 SCV 명령 듀티 즉, 저감된 모터듀티비를 출력함으로써,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 듀티비를 스월 컨트롤 밸브가 파손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모터코일 최대온도(약 180℃)에 도달하지 않는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2기준값(예를 들어, 스월 컨트롤 밸브의 파손이 우려되는 모터 코일온도인 180℃ 에 근접한 온도로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모터 파손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손상이 우려되는 위험수준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기(ECU)에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제로(0)로 제어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자체를 무조건 중지(SCV Shutoff)시킴으로써, 스월 컨트롤 밸브를 파손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통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개폐를 위한 모터 듀티비를 엔진 개발을 위한 수준이면서 모터 보호를 위한 수준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5)

  1. 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로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를 결정하는 인자를 선정하는 단계와;
    ⅱ) 선정된 인자를 이용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온도를 모델링하여 예측하는 단계와;
    ⅲ) 모델링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온도를 이용하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을 위한 모터 듀티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는 연료분사량, 엔진 RPM,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배기라인에 장착되는 촉매의 전단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모델링을 위한 인자 중,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의 가감 변화량에 따른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를 맵데이터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맵데이터로부터 현재 연료분사량 및 엔진 RPM에 대응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내부온도 변화량에 현재 스월 컨트롤 밸브의 열림량 및 촉매 전단온도를 차례로 곱한 다음, 스월 컨트롤 밸브의 이전 내부 모델링 온도를 더해주는 단계;
    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ⅲ) 단계는:
    ⅱ) 단계에서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1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에 의하여 명령되는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저감시키는 제어 단계와;
    ⅱ) 단계에서 구해진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가 제1기준값보다 큰 제2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기에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제로(0)로 제어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월 컨트롤 밸브의 모터듀티비를 저감시키는 제어는:
    제어기에서 스월 컨트롤 밸브의 현재 내부 모델링 온도 만큼의 듀티 저감 팩터(factor)를 곱해주어, 저감된 모터듀티비를 출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KR1020150032957A 2015-03-10 2015-03-10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69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957A KR101693967B1 (ko) 2015-03-10 2015-03-10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US14/955,861 US9897031B2 (en) 2015-03-10 2015-12-01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wirl control valve for diesel eng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2957A KR101693967B1 (ko) 2015-03-10 2015-03-10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115A KR20160109115A (ko) 2016-09-21
KR101693967B1 true KR101693967B1 (ko) 2017-01-06

Family

ID=5688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957A KR101693967B1 (ko) 2015-03-10 2015-03-10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97031B2 (ko)
KR (1) KR1016939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134A (ja) 2001-04-17 2002-10-23 Toyota Motor Corp 運転操作装置
JP2007291990A (ja) 2006-04-26 2007-11-08 Mazda Motor Corp 吸気制御弁開度推定装置
JP4380765B2 (ja) * 2007-12-21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690B1 (ko) 2001-09-1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이지알 제어장치 및 방법
JP3966096B2 (ja) * 2002-06-20 2007-08-29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噴射量制御装置
JP4161690B2 (ja) * 2002-11-20 2008-10-08 株式会社デンソー 蓄圧式燃料噴射装置
JP2004316610A (ja) * 2003-04-18 2004-11-11 Nissan Motor Co Ltd 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4096924B2 (ja) * 2003-10-29 2008-06-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噴射量制御装置
KR20050070259A (ko) 2003-12-30 200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egr 장치의 제어 방법
US7165399B2 (en) 2004-12-29 2007-01-2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measure of fueling rate in the air side control of an engine
US7275374B2 (en) 2004-12-29 2007-10-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ordinated multivariable control of fuel and air in engines
JP4733002B2 (ja) * 2006-11-24 2011-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JP4512617B2 (ja) * 2007-06-26 2010-07-2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7562649B2 (en) * 2007-07-05 2009-07-21 Southwest Research Institute Combustion control system based on in-cylinder condition
KR101231267B1 (ko) * 2010-12-07 201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밸브 리프트용 모터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134A (ja) 2001-04-17 2002-10-23 Toyota Motor Corp 運転操作装置
JP2007291990A (ja) 2006-04-26 2007-11-08 Mazda Motor Corp 吸気制御弁開度推定装置
JP4380765B2 (ja) * 2007-12-21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65470A1 (en) 2016-09-15
KR20160109115A (ko) 2016-09-21
US9897031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2961B2 (en) Turbocharger control
JP4146341B2 (ja) 内燃機関の少なくとも1つのチャージャ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US66625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the boost pressu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80283B1 (ko) 고정식 가스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8510013B2 (en) Gas turbine shutdown
JP2021517219A (ja) 内燃機関をモデルに基づき開ループ制御及び閉ループ制御する方法
EP227452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actuator
KR20040101030A (ko) 급기 바이패스 제어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
KR20150119872A (ko) 자기 인젝터의 분사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080276914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JP2020537082A (ja) 内燃機関をモデルに基づき開ループ制御及び閉ループ制御する方法
RU2014134060A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JP2012207564A (ja) ガスタービンの制御装置
US10138802B2 (en) Position control of flow control valves near endstops
US7415825B2 (en)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101693967B1 (ko) 디젤 엔진용 스월 컨트롤 밸브의 작동 제어 방법
KR102130235B1 (ko) 웨이스트게이트 터보차저를 가진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내연 기관
KR101811879B1 (ko) 질량 흐름을 개회로 제어하기 위한 플랩 액추에이터의 작동 방법 및 작동 장치와, 플랩 액추에이터
CN105003334A (zh) 响应于温度的电动执行器的电流控制
WO20090166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gulating the exhaust temperature of a gas turbine
US10344694B2 (en) Controlling a setpoint charging pressure for a turbocharger
CN105736187B (zh) 运行机动车用的燃料箱设备的方法及相应的燃料箱设备
US10316764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305616B1 (ko) 엔진 냉각계 열관리제어방법
US20060064227A1 (en) Electronically managed LPG fumigation method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