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671B1 -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671B1
KR101693671B1 KR1020160070963A KR20160070963A KR101693671B1 KR 101693671 B1 KR101693671 B1 KR 101693671B1 KR 1020160070963 A KR1020160070963 A KR 1020160070963A KR 20160070963 A KR20160070963 A KR 20160070963A KR 101693671 B1 KR101693671 B1 KR 101693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fastening
reinforcing
rotation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승
Original Assignee
조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승 filed Critical 조희승
Priority to KR102016007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6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이 개시되는 것으로, 벽면과 같은 조형물 지지수단에 기초골조를 수직되게 시공하고 상기 수직되게 시공된 기초골조에 조형골조를 연결하여 시공하며 시공된 조형골조에 기초철근을 시공하고 기초철근의 표면에 망체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전, 상기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갖는 철근지지체의 제1체결부를 끼워 체결하는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과; 상기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에 의해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가 체결된 철근지지체의 제2체결부에 보강철근을 끼워 체결하는 보강철근체결공정(S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concrete composition and it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폭포와 같은 콘크리트 조형물의 견고성은 물론 지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놀이시설이나 테마공원, 웰빙을 위한 스파시설 뿐만 아니라, 건물의 휴식공간, 관공서, 호텔, 공항은 물론 도로변의 경관을 미려하게 연출하기 위해 조경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경시설에는 자연의 환경을 느낄 수 있도록 화단, 정원은 물론 자연의 환경을 더욱 만끽하고자 인공암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인공의 폭포 및 벽체로 조경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형물은 대개 콘크리트 조형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인 바, 종래 콘크리트 조형물은 복수개의 패널들을 철구조물 위에 부착한 후, 패널과 패널 사이의 공간에 철근을 사용하여 공간에 맞는 작은 철구조물을 만들어 끼워넣고, 외형부를 메탈라스를 얹은 뒤, 모르타르를 도포하여 조각하는 방법으로 패널들을 간접 연결하고, 인공폭포 구조물 내부측 인공암 후면부에 10 ~ 15㎝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 나가면서 메탈라스를 거푸집의 형태로 후면의 전체를 설치한 후, 메탈라스와 인공암 후면부 사이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채우는 것에 시공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콘크리트 조형물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채워져 이루어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조형물 자체의 두께가 갖는 무거운 하중에 의해 인공폭포와 같은 콘크리트 조형물이 자체 하중에 의한 붕괴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1034228호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설치 벽면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는 기초골조와, 상기 기초골조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어 조형물의 기초형태를 형성하는 조형골조와, 상기 조형골조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어 조형물의 세부형태를 형성하는 이형철근과, 상기 이형철근의 외부에 고정 설치되며, 표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금속망과, 상기 금속망의 외면에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설치 벽면의 외부에 기초골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기초골조의 외부에 조형골조를 설치하여 조형물의 기본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형골조의 외부에 이형철근을 설치하여 조형물의 세부형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이형철근이 조밀성을 갖도록 상기 이형철근의 외부에 금속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금속망의 외측에 유리섬유가 포함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을 스프레이건을 통해 도포하되,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제1 공급로를 통해 분사되며, 상기 유리섬유는 제2 공급로를 통해 분쇄된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에 혼합되게 분사되면서 분사구를 통해 상기 유리섬유가 포함된 콘크리트 조성물을 도포하여 시공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하나의 철근에 의해 콘크리트가 지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견고성 및 지지성이 저하되어 무거운 자체 하중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낙하하거나 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4228호(2011.05.0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37983호(2011.05.24. 등록)
본 발명은 인공폭포와 같은 콘크리트 조형물의 견고성은 물론 지지성을 향상시켜 무거운 자체 하중을 갖는 콘크리트 조형물에 대한 지지력 향상에 의해 콘크리트 조형물이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조형물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은, 조형물 지지수단인 벽면(1)에 구비되는 기초골조(2)와, 상기 기초골조(2)의 전면에 구비되는 조형골조(3)와, 상기 조형골조(3)의 전면에 구비되는 기초철근(4)과, 상기 기초철근(4)의 전면에 구비되는 망체(5)와, 상기 망체(5)의 표면에 타설되어 망체(5)의 틈새를 매꾸어 주는 초벌미장층(6a)과 상기 초벌미장층(6a)의 표면에 타설되어 방수기능을 하는 재벌미장층(6b)과 상기 재벌미장층(6b)의 표면에 타설되고 표면이 조각되는 정벌미장층(6c)으로 구비되는 콘크리트층(6)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형물(10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층(6)의 내부에는 상기 기초철근(4)과 동일하게 절곡되는 보강철근(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철근지지체(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철근지지체(20)는,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회전구멍(221)을 갖는 'U'형의 제1체결부(22)와;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회전구멍(231)을 갖으며 상기 제1체결부(2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U'형의 제2체결부(23)와;
상기 2개의 제1회전구멍(22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1회전핀(24)과, 상기 제1회전핀(24)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결체(25)와;
상기 2개의 제2회전구멍(23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2회전핀(26)과, 상기 제2회전핀(26)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체결체(27)로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회전핀(24)에 축설되는 제1축설편(251)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밀림편(252)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체결부(22)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걸림편(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제2회전핀(26)에 축설되는 제2축설편(271)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2밀림편(272)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2체결부(23)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2걸림편(27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나아가, 상기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는, 나사결합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 및 제2나사홈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에 나사체결되는 제1나사체결돌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나사홈부에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나사결합부는, 상기 연결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 및 제4나사돌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에 나사체결되는 제3나사체결홈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나사돌부에 나사체결되는 제4나사체결홈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은, 조형물 지지수단인 벽면에 기초골조를 수직되게 시공하고 상기 수직되게 시공된 기초골조에 조형골조를 연결하여 시공하며 시공된 조형골조에 기초철근을 시공하고 기초철근의 표면에 망체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전,
상기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갖는 철근지지체의 제1체결부를 끼워 체결하는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과;
상기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에 의해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가 체결된 철근지지체의 제2체결부에 보강철근을 끼워 체결하는 보강철근체결공정(S2)이 더 구비되되,
상기 철근지지체(20)는,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회전구멍(221)을 갖는 'U'형의 제1체결부(22)와;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회전구멍(231)을 갖으며 상기 제1체결부(2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U'형의 제2체결부(23)와;
상기 2개의 제1회전구멍(22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1회전핀(24)과, 상기 제1회전핀(24)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결체(25)와;
상기 2개의 제2회전구멍(23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2회전핀(26)과, 상기 제2회전핀(26)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체결체(27)로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회전핀(24)에 축설되는 제1축설편(251)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밀림편(252)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체결부(22)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걸림편(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제2회전핀(26)에 축설되는 제2축설편(271)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2밀림편(272)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2체결부(23)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2걸림편(27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은 인공폭포와 같은 크기가 큰 콘크리트 조형물을 시공할 때 기초철근은 물론 보강철근을 더 구비하여 줌에 따라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의 견고성 및 지지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철근을 간단하게 기초철근과 연결하도록 하여 작업성은 물론 시공에 따른 시공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효율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콘크리트 조형물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에 의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인 철근지지체의 일측에 철근이 끼워지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인 철근지지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철근이 끼워지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인 철근지지체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철근이 끼워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인 철근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의 구성요부인 철근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의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은, 벽면(1)과 같은 조형물 지지수단에 구비되는 기초골조(2)와, 상기 기초골조(2)의 전면에 구비되는 조형골조(3)와, 상기 조형골조(3)의 전면에 구비되는 기초철근(4)과, 상기 기초철근(4)의 전면에 구비되는 망체(5)와, 상기 망체(5)의 표면에 타설되어 망체(5)의 틈새를 매꾸어 주는 초벌미장층(6a)과 상기 초벌미장층(6a)의 표면에 타설되어 방수기능을 하는 재벌미장층(6b)과 상기 재벌미장층(6b)의 표면에 타설되고 표면이 조각되는 정벌미장층(6c)으로 구비되는 콘크리트층(6)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형물(10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층(6)의 내부에는 상기 기초철근(4)과 동일하게 절곡되는 보강철근(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철근지지체(2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 조형물(100)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은 기술사상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형물(100)의 견고성 및 지지성을 향상시키도록 보강철근(10)과 철근지지체(20)를 더 구비한다.
이 때, 보강철근(10)은 상기 기초철근(4)과 동일하게 절곡되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기초철근(4)의 절곡방향과는 달리 절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은, 콘크리트 조형물(100)의 콘크리트층(6) 내부에 보강철근(10)을 더 구비하기 때문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지지력 즉 지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타설 후 콘크리트층(6)이 무너져 내리거나 일부가 떨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근지지체(20)는, 연결대(21)와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 제1회전체결체(25), 제2회전체결체(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21)는,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 때 연결대(21)는 봉형상 즉 관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연결대(21)와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 제1회전체결체(25), 제2회전체결체(27)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나, 철재 또는 금속재 또는 강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2)는,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회전구멍(221)을 갖는 'U'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체결부(23)는,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회전구멍(231)을 갖으며 상기 제1체결부(2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U'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의 위치가 서로 대칭되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을 상기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의해 연결하여 체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2개의 제1회전구멍(22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1회전핀(24)과, 상기 제1회전핀(24)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2개의 제2회전구멍(23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2회전핀(26)과, 상기 제2회전핀(26)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철근지지체(20)는, 상기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에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제1체결부(22)에 기초철근(4)이 끼워져 체결되면 상기 제2체결부(23)에는 상기 보강철근(10)이 끼워져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각각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을 끼워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회전체결체(25)와 제2회전체결체(27)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을 각각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을 각각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끼워 체결할 때 상기 제1회전체결체(25)와 제2회전체결체(27)가 각각 회전되어 상기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이 각각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끼워짐이 용이함은 물론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이 각각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에 완전히 끼워진 후에는 상기 제1회전체결체(25)와 제2회전체결체(27)가 각각 회전되어 기초철근(4)과 보강철근(10)을 상기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의 내측에서 걸어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회전핀(24)에 축설되는 제1축설편(251)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밀림편(252)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체결부(22)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걸림편(2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상기 제1밀림편(252)이 끼워지는 철근에 닿게 되어 상기 제1밀림편(252)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부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철근은 계속해서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바,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1밀림편(252)이 제1체결부(22)의 외부측으로 회전되어 밀려날 때 상기 제1걸림편(253)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끼워진 철근이 상기 제1체결부(22)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1걸림편(253)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도 제1체결부(22)와 철근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제2회전핀(26)에 축설되는 제2축설편(271)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2밀림편(272)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2체결부(23)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2걸림편(27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체결체(27) 역시 상기 제1회전체결체(25)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져 체결된다.
즉, 상기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상기 제2밀림편(272)이 끼워지는 철근에 닿게 되어 상기 제2밀림편(272)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부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철근은 계속해서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바,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상기 제2밀림편(272)이 제2체결부(23)의 외부측으로 회전되어 밀려날 때 상기 제2걸림편(273)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상기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끼워진 철근이 상기 제2체결부(23)의 내측에 위치되는 상기 제2걸림편(273)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작업 없이도 제2체결부(23)와 철근과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체결부(22) 및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23)는, 나사결합부(30)에 의해 서로에 대해 나사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나사결합부(30)에 의해 상기 연결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체결부(22)와 제2체결부(23)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에 더욱 용이하다.
이 때, 상기 나사결합부(30)는, 상기 연결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31) 및 제2나사홈부(32)와, 상기 제1체결부(22)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31)에 나사체결되는 제1나사체결돌부(33)와, 상기 제2체결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나사홈부(32)에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돌부(34)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결합부(30)는, 상기 연결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35) 및 제4나사돌부(36)와, 상기 제1체결부(22)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35)에 나사체결되는 제3나사체결홈부(37)와, 상기 제2체결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나사돌부(36)에 나사체결되는 제4나사체결홈부(38)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에 대해 나사체결되도록 상기 연결대(21)와 제1체결부(22) 및 제2체결부(23)가 구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좁은 망체(5)의 구멍측으로 상기 제1체결부(22) 또는 제2체결부(23)가 통과되기 어려울 경우 상기 연결대(21)와 제1체결부(22) 또는 제2체결부(23) 중 어느 하나의 체결부를 분리한 후 망체의 구멍을 통과한 다음 다시 체결하면 된다.
본 발명인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은, 벽면과 같은 조형물 지지수단에 기초골조를 수직되게 시공하고 상기 수직되게 시공된 기초골조에 조형골조를 연결하여 시공하며 시공된 조형골조에 기초철근을 시공하고 기초철근의 표면에 망체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전, 상기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갖는 철근지지체의 제1체결부를 끼워 체결하는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과, 상기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에 의해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가 체결된 철근지지체의 제2체결부에 보강철근을 끼워 체결하는 보강철근체결공정(S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전, 먼저 기초철근과 보강철근을 연결하여 콘크리트층의 내부에 보강철근이 위치되도록 시공함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할 때 시공된 콘크리트층 내부에 보강철근이 위치될 수 있어 콘크리트층에 대한 견고성은 물론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벽면 2 : 기초골조
3 : 조형골조 4 : 기초철근
5 : 망체 6 : 콘크리트층
6a : 초벌미장층 6b : 재벌미장층
6c : 정벌미장층
10 : 철근 20 : 철근지지체
21 : 연결대 22 : 제1체결부
23 : 제2체결부 24 : 제1회전핀
25 : 제1회전체결체 26 : 제2회전핀
27 : 제2회전체결체 30 : 나사결합부
31 : 제1나사홈부 32 : 제2나사홈부
33 : 제1나사체결돌부 34 : 제2나사체결돌부
35 : 제3나사돌부 36 : 제4나사돌부
37 : 제3나사체결홈부 38 : 제4나사체결홈부
221 : 제1회전구멍 231 : 제2회전구멍
251 : 제1축설편 252 : 제1밀림편
253 : 제1걸림편 271 : 제2축설편
272 : 제2밀림편 273 : 제2걸림편
100 : 콘크리트 조형물
S1 : 철근지지체 체결공정 S2 : 보강철근체결공정

Claims (6)

  1. 조형물 지지수단인 벽면(1)에 구비되는 기초골조(2)와, 상기 기초골조(2)의 전면에 구비되는 조형골조(3)와, 상기 조형골조(3)의 전면에 구비되는 기초철근(4)과, 상기 기초철근(4)의 전면에 구비되는 망체(5)와, 상기 망체(5)의 표면에 타설되어 망체(5)의 틈새를 매꾸어 주는 초벌미장층(6a)과 상기 초벌미장층(6a)의 표면에 타설되어 방수기능을 하는 재벌미장층(6b)과 상기 재벌미장층(6b)의 표면에 타설되고 표면이 조각되는 정벌미장층(6c)으로 구비되는 콘크리트층(6)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조형물(100)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층(6)의 내부에는 상기 기초철근(4)과 동일하게 절곡되는 보강철근(1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철근지지체(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철근지지체(20)는,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회전구멍(221)을 갖는 'U'형의 제1체결부(22)와;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회전구멍(231)을 갖으며 상기 제1체결부(2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U'형의 제2체결부(23)와;
    상기 2개의 제1회전구멍(22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1회전핀(24)과, 상기 제1회전핀(24)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결체(25)와;
    상기 2개의 제2회전구멍(23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2회전핀(26)과, 상기 제2회전핀(26)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체결체(27)로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회전핀(24)에 축설되는 제1축설편(251)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밀림편(252)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체결부(22)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걸림편(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제2회전핀(26)에 축설되는 제2축설편(271)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2밀림편(272)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2체결부(23)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2걸림편(27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형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제1체결부(22) 및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체결부(23)는,
    나사결합부(30)에 의해 서로에 대해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형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30)는,
    상기 연결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31) 및 제2나사홈부(32)와;
    상기 제1체결부(22)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나사홈부(31)에 나사체결되는 제1나사체결돌부(33)와;
    상기 제2체결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나사홈부(32)에 나사체결되는 제2나사체결돌부(34)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형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부(30)는,
    상기 연결대(2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35) 및 제4나사돌부(36)와;
    상기 제1체결부(22)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3나사돌부(35)에 나사체결되는 제3나사체결홈부(37)와;
    상기 제2체결부(23)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4나사돌부(36)에 나사체결되는 제4나사체결홈부(38)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형물.
  6. 조형물 지지수단인 벽면에 기초골조를 수직되게 시공하고 상기 수직되게 시공된 기초골조에 조형골조를 연결하여 시공하며 시공된 조형골조에 기초철근을 시공하고 기초철근의 표면에 망체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전,
    상기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각각 일측과 타측에 구비되고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갖는 철근지지체의 제1체결부를 끼워 체결하는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과;
    상기 철근지지체 체결공정(S1)에 의해 기초철근에 제1체결부가 체결된 철근지지체의 제2체결부에 보강철근을 끼워 체결하는 보강철근체결공정(S2)이 더 구비되되,
    상기 철근지지체(20)는,
    상기 기초철근(4)과 상기 보강철근(10)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대(21)와;
    상기 연결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1회전구멍(221)을 갖는 'U'형의 제1체결부(22)와;
    상기 연결대(21)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에 끼워져 체결되고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제2회전구멍(231)을 갖으며 상기 제1체결부(22)와 대칭되는 방향으로 위치되는 'U'형의 제2체결부(23)와;
    상기 2개의 제1회전구멍(22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1회전핀(24)과, 상기 제1회전핀(24)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1회전핀(24)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1회전체결체(25)와;
    상기 2개의 제2회전구멍(231) 중앙을 각각 관통하는 제2회전핀(26)과, 상기 제2회전핀(26) 각각에 축설되어 상기 제2회전핀(26)을 축으로 하여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는 제2회전체결체(27)로 구비되고,
    상기 제1회전체결체(25)는,
    상기 제1회전핀(24)에 축설되는 제1축설편(251)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1밀림편(252)과;
    상기 제1축설편(25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회전구멍(22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1체결부(22)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1회전구멍(22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1체결부(22)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1체결부(22)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걸림편(25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체결체(27)는,
    상기 제2회전핀(26)에 축설되는 제2축설편(271)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걸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제2밀림편(272)과;
    상기 제2축설편(27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회전구멍(231) 내측으로 기초철근(4) 또는 보강철근(10) 중 어느 하나의 철근이 끼워질 때 제2체결부(23)의 외측으로 밀렸다가 철근이 제2회전구멍(231)측으로 완전히 끼워지면 제2체결부(23)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제2체결부(23)에 끼워진 철근이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2걸림편(27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KR1020160070963A 2016-06-08 2016-06-08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KR101693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63A KR101693671B1 (ko) 2016-06-08 2016-06-08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0963A KR101693671B1 (ko) 2016-06-08 2016-06-08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671B1 true KR101693671B1 (ko) 2017-01-06

Family

ID=5783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0963A KR101693671B1 (ko) 2016-06-08 2016-06-08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36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91B1 (ko) * 2017-04-20 2017-08-11 이우연 콘크리트 인공조형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의 시공방법
KR102001182B1 (ko) * 2018-04-12 2019-07-17 농업회사법인(주)에스피 인공의암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28B1 (ko)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1037983B1 (ko) 2010-12-22 2011-05-30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용 조형패널
KR101373458B1 (ko) * 2013-06-27 2014-03-13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KR101404316B1 (ko) * 2012-10-31 2014-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높낮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호스 홀더
JP2014111417A (ja) * 2012-12-05 2014-06-19 Toyota Boshoku Corp ハーネス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28B1 (ko) 2010-12-15 2011-05-12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 및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의 시공방법
KR101037983B1 (ko) 2010-12-22 2011-05-30 (주)승산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또는 인공암용 조형패널
KR101404316B1 (ko) * 2012-10-31 2014-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높낮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호스 홀더
JP2014111417A (ja) * 2012-12-05 2014-06-19 Toyota Boshoku Corp ハーネスクランプ
KR101373458B1 (ko) * 2013-06-27 2014-03-13 윤복모 대형구조의 인조암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491B1 (ko) * 2017-04-20 2017-08-11 이우연 콘크리트 인공조형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형물의 시공방법
KR102001182B1 (ko) * 2018-04-12 2019-07-17 농업회사법인(주)에스피 인공의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01896B1 (no) Burkonstruksjon for anvendelse på et sted hvor den vil bli fylt med partikkelmateriale, og fremgangsmåte til å frembringe et bygningselement på en anleggsplass
CA2757605A1 (en)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permanent form
KR20060040558A (ko) 건축물의 원심력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기둥과 그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제조방법 및 철근콘크리트 기둥시공방법
KR101201919B1 (ko) 펜스와 성토구조물 연결장치
KR101693671B1 (ko) 콘크리트 조형물 및 콘크리트 조형물 시공방법
KR20090069749A (ko) 현장조립형 의지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30986B1 (ko) 역류방지형 콘크리트 타설구 및 바이브레이터 근입구가 구비된 거푸집을 이용한 지하외벽 선시공 공법
KR200291348Y1 (ko) 토목구축물용 구축재,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목구축물
WO2011036928A1 (ja) 住宅用基礎パネルユニット、住宅用基礎構造及び住宅用基礎形成方法
KR102044712B1 (ko) 중공형 콘크리트 슬래브 및 벽체 제조를 위한 중공 데크플레이트
KR101038148B1 (ko)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KR101677431B1 (ko) 대용량 콘크리트 옹벽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H0932014A (ja) 擁壁の施工方法
JPH1150705A (ja) コンクリ−ト構築ブロックとその基礎ブロック
JPH08144293A (ja) 布基礎構造
JP2000234458A (ja) パネル式塀装置
KR102398527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관조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0951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1250840B1 (ko)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04058Y1 (ko) 조합식 옹벽
JP4136900B2 (ja) 組立式仮設フェンス
KR200383860Y1 (ko) 목구조 건축물의 기둥 시공용 고정받침
JP3759148B2 (ja) 擬岩構築工法
KR200387016Y1 (ko) 2힌지 패널에 의한 구조물 연결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