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840B1 -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840B1
KR101250840B1 KR1020110108895A KR20110108895A KR101250840B1 KR 101250840 B1 KR101250840 B1 KR 101250840B1 KR 1020110108895 A KR1020110108895 A KR 1020110108895A KR 20110108895 A KR20110108895 A KR 20110108895A KR 101250840 B1 KR101250840 B1 KR 101250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upport member
panel
retaining wall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복모
Original Assignee
미주강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주강화(주) filed Critical 미주강화(주)
Priority to KR102011010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Abstract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옹벽에 복수 개의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에 설치하되, 연결되는 두 개의 인공암 패널의 외측면 및 내측면과 접하고 일부분이 연결되는 철근재질의 보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METHOD OF CONSTRUCTING ARTIFICIAL FALLS}
본 발명은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암 패널과 이웃하는 인공암 패널 사이의 연결부에 별도의 보강유닛을 마련하여, 연결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암 또는 인공암반 구조물은 인공폭포, 테마공원 등에서 자연적 조경 및 입체적 장식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인공폭포 구조물은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형태의 인공암과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기초 옹벽 그리고 인공암 패널과 옹벽 사이를 연결 및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인공암은 열에 강하고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변색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므로, 주로 유리섬유 강화 시멘트(Glassfiber Reinforced Cement; 이하 'GRC' 또는 'GFRC'라 함)로 형성한다. 이러한 인공암은 인공폭포의 자연스런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서 복수 개의 패널 형태로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인공폭포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공암 패널이 위치하는 지점의 내측에 옹벽을 시공해야 한다. 옹벽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의 재질로 마련되는데, 인공암 패널 등의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며, 인공폭포의 형태와 규모를 조절하기도 한다. 또한, 옹벽과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거나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가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의 지지부재와 수평방향의 지지부재가 마련된다.
인공폭포의 외관을 형성하는 인공암 패널과 이웃하여 연결되는 인공암 패널 사이의 연결부는 일반적으로 모르타르로 마감되거나, 별도의 마감재료를 사용하여 마감한다. 그런데, 인공암 패널 사이의 연결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 되어 크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우수가 침투하여 내부 철근에 산화가 일어나 인공폭포 구조물의 전체적인 붕괴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번호 10-2005-0018881 (2005.2.28 공개)의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은 인공암 패널과 패널의 연결과정에서 하중으로 인한 패널 연결부의 크랙 등을 방지하기 위해 인공암 패널의 내측에 FRP 등을 사용하여 내부접착력을 강화시켜 구조적으로 안정을 꾀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내부적 구조적 변형으로 인한 크랙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외부의 구조적 변화로 인한 연결부의 크랙과 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없었다.
공개번호 10-2005-0018881 (2005.2.28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인공암 패널의 내측 및 외측과 접하고, 적어도 한 부분 이상 연결되는 철근재질의 보강유닛을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에 마련함으로써, 연결부의 내부 및 외부의 구조적 변화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옹벽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옹벽에 지지부재의 일측을 고정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에 보강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유닛은 연결되는 두 개의 인공암 패널의 외측 및 내측과 접하고 일부분이 연결되는 철근재질의 보강유닛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인공암 패널 연결부에 보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내, 외부의 구조적 변화로 인한 연결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인공암 패널 연결부에 보강유닛을 마련함으로써, 연결부의 재료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연결부의 부분확대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절차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공개번호 10-2005-0018881)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공암 패널(15) 연결부 내측부(19)에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를 도포하여 내부접착력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인공폭포 구조물은 내부의 구조적 변화에 대해서는 구조적 안정을 얻을 수 있으나, 외부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연결부(16)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수직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은 옹벽(100), 인공암 패널(300) 및 지지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500)는 수평방향 지지부재(530), 수직방향 지지부재(510) 및 보조 지지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옹벽(100)은 인공폭포 구조물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인공암 패널(300) 및 지지부재(500)에 의한 정적하중과 상기 인공암 패널(300)에 작용하는 물, 바람 등에 의한 동적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옹벽(100)은 인공폭포 구조물의 주변환경 및 설치하고자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높이 및 규모를 고려하여 그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옹벽(100)은 상기 인공폭포 구조물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공암 패널(300)이 형성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이 상기 옹벽(100)을 덮어 씌우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옹벽(100)은 콘크리트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암벽 내지 암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발파 작업 등에 의해 형성된 절개지 또는 절벽에 형성된 암벽을 기초 옹벽(10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바깥 방향(인공폭포 구조물이 설치될 방향)으로 상기 인공암 패널(300)이 마련된다.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상기 옹벽(100) 사이에는 수평방향 지지부재(530), 수직방향 지지부재(510) 및 보조 지지부재(55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마련되어,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옹벽(100)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상기 옹벽(100)은 일정 크기 이상 이격되는데, 상기 옹벽(100)과 인공암 패널(300)사이에 일정 크기 이상의 여유공간을 두는 것은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옹벽(100)과 인공암 패널(300)을 연결하는 지지부재(500)들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옹벽(100)과 인공암 패널(300) 사이는 적어도 50c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인공암 패널(300)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상기 인공 폭포의 외관을 형성하는데, 상기 인공 폭포의 규모에 따라 연결해야 할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수와 크기가 결정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크기를 규격화 할 수도 있다.
상기 인공암 패널(300)을 상기 옹벽(100)으로부터 지지 또는 연결시키기 위해서 상기 옹벽(100)과 상기 인공암 패널(300)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부재(500)의 일측은 상기 옹벽(10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재(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옹벽(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옹벽(100)과 인공암 패널(300) 사이에 마련되는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와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를 연결하는 수직방향 지지부재(510)로 나뉜다.
또한,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재(510)과 수평방향 지지부재(530) 사이를 연결하거나,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 또는 수직방향 지지부재(510)와 상기 옹벽(100) 또는 인공암 패널(300)을 연결하는 보조 지지부재(5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폭포 구조물에는 상기 옹벽(100)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수직방향 지지부재(510)와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재(510)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수평방향 지지부재(530)가 마련되며,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의 일단은 상기 수직방향 지지부재(5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인공암 패널(300)을 옹벽(100)으로부터 연결 및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재(500)는 철근 내지 철골 구조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옹벽(100)의 상부 및 상기 지지부재(500)의 상부에 물 저장소(미도시)와 같은 공간이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부재(500)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부재(500)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미리 완성될 인공폭포 구조물의 형태에 맞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500)는 상기 인공폭포 구조물이 설치될 장소에서 각각 조립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옹벽(100)과 상기 지지부재(500) 사이의 하부 공간에는 하중을 적절히 지탱할 수 있도록 시멘트 등의 완충재(미도시)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00) 일단에는 인공암 패널(300)이 설치된다. 복수 개의 상기 인공암 패널(300)은 각각 매쉬 망(미도시)이 서로 일정 부분 겹치도록 부착 시킬수 있다. 상기 메쉬 망이 상호 겹치는 부분에서는 하나의 메쉬 망과 다른 메쉬 망을 서로 연통하는 관통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미도시)을 통해 모르타르 또는 시멘트 등의 연결부재가 상기 메쉬 망들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 패널(300)은 천연바위를 토대로 석고 등으로 본을 떠서 형틀을 제조하여 상기 형틀에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나 GRC(Glassfiber Reinforced Concrete, 유리섬유 강화 콘크리트)등의 재료를 투입해서 경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나 유리섬유 강화 콘크리트(FRC)는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Kevlar)와 같은 방향족(芳香族) 나일론 섬유 등의 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강도가 철보다 크며 밀도가 낮아 알루미늄보다 가벼운 특징이 있다.
상기 유리섬유 강화 콘크리트(GRC)는 물, 포틀랜드 시멘트, 모래에 제품 강화제인 Polymer 및 혼화제를 혼합하여 재질의 유연성을 증대시켜 표면 크랙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시멘트에 내알칼리성인 High-Zirconica(Zro2) Alkali-Resistant Glass Fiber(내알칼리성 유리섬유)를 3~5% 첨가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 재료이다. 또한, 무게가 가볍고 성형력이 우수한 재료로서 본원발명에서의 인공암 패널을 제조하는 데에는 아주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옹벽(100)과 인공암 패널(30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옹벽(100)의 일측에 앵커볼트(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 등을 마련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500)를 고정 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암 패널(300)은 복수 개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된다. 즉, 상, 하, 좌, 우로 연결되어 하나의 인공폭포 외형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연결부는 하중을 원활하게 지지하고,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내측과 외측을 차단하기 위해 그 연결부를 견고하고 밀착되도록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연결부는 모르타르 등의 재료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는 물 경화성 물질인 시멘트, 모래, 물을 혼합한 것이며, 상기 시멘트로는 포틀랜드 시멘트, 백색 시멘트, 알루미늄 함유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등 다양한 시멘트를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메탈라스 등의 재료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탈라스는 콘크리트 접착성이 우수하고 내구성이 좋고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으므로 모르타르 내측에 미리 가설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르타르 등을 사용하여 상기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를 마감하는 경우 인공암 패널의 굴곡을 염두에 두고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 등으로만 상기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는경우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온도 변화가 심할 경우에 상기 모르타르 등의 변형이 올 우려가 있으므로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의 상호 교차부를 중심으로 FRP 나 GRC 등의 재료를 도포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FRP나 GRC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프라이머가 사전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에 FRP를 추가로 도포하면 인공암 패널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 및 모르타르 등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마감재가 추가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마감재는 인공암 패널이나 모르타르 표면이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도포 될 수 있는데, 상기 인공암 패널의 재질과 유사한 재질을 추가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감재로는 프라이머가 도포 될 수 있는데, 상기 프라이머는 접착제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인공암 패널에 잔존하는 독성 성분을 중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 성분을 추가하여 도포하게 되면, 상기 인공암 패널의 방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되어 인공폭포 구조물에 적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연결부는 앞서 설명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언급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은 상기 인공암패널(300)의 연결부에 보강유닛(40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인공암 패널(300)과 이웃하는 인공암 패널(300) 사이의 연결부에 마련되는데,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연결부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크랙 등의 하자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인공암 패널(300) 사이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유닛(400)이 마련된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유닛(400)은 두 개의 수직 보강부재(430)가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이격된 채 마주보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의 양 끝을 서로 연결하는 두 개의 수평 보강부재(410)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강유닛(400)은 'ㅁ' 자 형상의 형상의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와 수평 보강부재(410)는 이질적인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는 철근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는 FRP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한 쌍의 상기 수직 보강부재(410) 중 내측에 마련된 상기 보강부재(410)와 상기 보조 지지부재(550)가 한 부분 이상에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부재(550)는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공암 패널(300)에 작용하는 하중 가운데 일부 하중은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에서 상기 보조 지지부재(550) 및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를 거쳐 상기 옹벽(100)으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유닛(400)의 한 부분 이상은 상기 지지부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유닛(400)의 한 부분 이상은 상기 인공암패널(300)과 접촉하여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강유닛(400)과 상기 인공암패널(300)의 별도의 연결수단(미도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인공암패널(300)의 연결부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유닛(400)이 마련된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유닛(400)은 두 개의 수직 보강부재(430)가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이격된 채 마주보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보강부재(430)의 중간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한 개의 수평 보강부재(410)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H' 자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는 상기 한 쌍의 수직 보강부재(430)의 중간부분에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는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와 수평 보강부재(410)는 이질적인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는 철근으로 마련되고,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는 FRP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는 상기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현장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와 연결할 수 있으며, 미리 상기 보강유닛(400)을 완성하여, 시공현장에서 상기 인공암패널(300)의 연결부에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수직 보강부재(430) 중 내측에 마련되는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는 하나 이상의 상기 보조 지지부재(5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암패널(300)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상기 옹벽(100)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가 상기 한 쌍의 수직 보강부재(430)의 중간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마련됨으로써,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연결부 가운데에 위치하는 바,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인공암 패널(300)에 작용하는 하중을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 및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를 통해 상기 옹벽(100)으로 전달 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는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와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와 별도의 체결구조(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견고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를 연장형성하여, 상기 수평 보강부재(410)로 대체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강유닛(400)이 마련된 인공폭포 구조물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유닛(400)은 두 개의 수직 보강부재(430)가 상기 인공암 패널(30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그 이상의 크기로 이격된 채 마주보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의 중간부분 및 양 끝부분을 각각 연결하는 세 개의 수평 보강부재(410)로 마련된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日' 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와 상기 보조 지지부재(55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보강부재(430) 또는 수평 보강부재(410)와 상기 수평방향 지지부재(530)가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강유닛(400)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유닛(400)의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유닛(400)은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연결부 단면을 확대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폭포 구조물의 연결부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보강유닛(400) 이외에도 FRP, 모르타르 및 프라이머 등의 부재가 더 마련 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단부(310) 즉,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상기 인공암패널(300)의 끝부분에는 프라이머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는 상기 인공암패널 단부(310)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고, FRP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충전재와 상기 인공암패널(300)이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인공암패널 단부(310)의 연결부 사이에 FRP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FRP는 여러 개의 시트지 또는 필름 형태의 FRP를 겹겹히 쌓음으로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FRP 만으로도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FRP가 상기 인공암패널(300) 연결부에 마련되면,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보강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보강유닛(400)과 상기 FRP가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프라이머와 같은 접착제를 추가로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암패널 단부(310)와 상기 보강유닛(400) 사이에는 상기 인공암패널(300) 과 같은 재질의 GFRC(350)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암패널 단부(310)에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상기 상기 보강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유닛(400)을 설치한 후 상기 연결부 사이에 모르타르와 같은 충전재를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내측에는 유리섬유를 적층하여 보강할 수도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연결부에 상기 보강유닛(400)이 마련되면, 상기 인공암패널(300) 연결부의 외측으로 모르타르(37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모르타르(370)를 상기 연결부 외측에 설치하여 마감함으로써 상기 연결부를 견고하게 연결하고 이와 함께 방수기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 외측에는 상기 인공암패널(300)과 동일한 재질의 부재로 마감할 수도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300)과 동일한 재질로 상기 연결부의 외측을 마감함으로써,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으로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절차흐름도이다.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옹벽 설치하기 단계(S100), 지지부재 설치하기 단계(S300),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 및 마무리 단계(S700)를 포함한다.
상기 옹벽 설치하기 단계(S100)는, 설치될 인공폭포의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콘크리트 재질로 설치하는 데, 경우에 따라서 인공적인 옹벽을 설치하지 않고 자연상태의 암벽 및 절벽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옹벽 설치하기 단계(S100)는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옹벽을 설치하고 나서 상기 인공암 패널을 상기 옹벽에 연결 및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옹벽 설치하기 단계(S100)는 상기 옹벽의 표면을 다듬는 표면 마감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옹벽에 상기 지지부재 등의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옹벽의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설치하기 단계(S300)는 상기 옹벽설치 단계(S100) 이후 상기 옹벽의 바깥 방향으로 수평방향 지지부재 및 수직방향 지지부재 등을 연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인공암 패널을 상기 옹벽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조물을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 설치하기 단계(S300)은 수평방향 지지부재, 수직방향 지지부재 및 보조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보강유닛 설치단계(S510) 및 인공암 패널 연결부 표면마감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상기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인공암 패널 연결부의 내측부에 붓 또는 분무기를 사용하여 FRP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인공암 패널 단부와 단부사이에 FRP를 적층하여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상기 인공암 연결부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보강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인공암 패널 연결부의 표면을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상기 인공암 연결부 및 모르타르 위에 FRP 또는 GRC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공암패널 설치하기 단계(S500)는 상기 인공암 패널을 상기 지지부재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은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공암 패널과 이웃하는 인공암 패널 사이의 연결부에 별도의 보강유닛을 마련하여, 연결부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100: 옹벽 300: 인공암 패널
310: 인공암 패널 단부 350: GFRC(GRC)
370: 모르타르 400: 보강유닛
410: 수평 보강부재 430: 수직 보강부재
500: 지지부재 510: 수직방향 지지부재
530: 수평방향 지지부재 550: 보조 지지부재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옹벽에 복수 개의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옹벽을 설치하는 단계(S100);
    상기 옹벽에 지지부재의 일측을 고정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S300);
    상기 지지부재의 타측에 상기 인공암 패널을 연결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인공암 패널의 연결부에 보강유닛(400)을 설치하는 단계(S510)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유닛(400)은 연결되는 두 개의 인공암 패널(300)의 외측 및 내측과 접하고 일부분이 연결되는 철근재질의 보강유닛(400)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10108895A 2011-10-24 2011-10-24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250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95A KR101250840B1 (ko) 2011-10-24 2011-10-24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95A KR101250840B1 (ko) 2011-10-24 2011-10-24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840B1 true KR101250840B1 (ko) 2013-04-04

Family

ID=4844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895A KR101250840B1 (ko) 2011-10-24 2011-10-24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82B1 (ko) * 2018-04-12 2019-07-17 농업회사법인(주)에스피 인공의암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395A (ja) * 2000-04-26 2001-10-31 Ohbayashi Corp 擬岩の目地構造
JP2002371636A (ja) * 2001-06-18 2002-12-26 Sanyo Showa Panel System Co Ltd パネルの連結兼目地部カバー装置
KR20050018881A (ko) * 2005-01-25 2005-02-28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1395A (ja) * 2000-04-26 2001-10-31 Ohbayashi Corp 擬岩の目地構造
JP2002371636A (ja) * 2001-06-18 2002-12-26 Sanyo Showa Panel System Co Ltd パネルの連結兼目地部カバー装置
KR20050018881A (ko) * 2005-01-25 2005-02-28 윤복모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182B1 (ko) * 2018-04-12 2019-07-17 농업회사법인(주)에스피 인공의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3523B2 (en) Insulated wall panel
CN104563384A (zh) 一种结构保温装饰一体化大型预制外挂墙板及其制作方法
NO325695B1 (no) Veggkonstruksjon, fremgangsmate for a fremstille en veggkonstruksjon og en formmontasje.
CN102535739B (zh) 幕墙式建筑的预制模块板体和外墙体系及外墙体系的工法
KR101341554B1 (ko) 경관 조성용 자연형상 인조암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20210047832A1 (en) Seismic foundation framer and method of forming a foundation using same
KR101018566B1 (ko) 내구성 있는 인공암 제작방법
KR100584244B1 (ko) 인공폭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295029B1 (ko) 섬유로드를 이용한 역시공 건축 공법
CN204781575U (zh) 一种结构保温装饰一体化大型预制外挂墙板
KR101250840B1 (ko) 친환경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383218B1 (ko)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이를 이용한 수영장과 분수대와 대중목욕탕과 인공연못의 방수시공 방법
KR20050031088A (ko) 콘크리트 외벽체 무늬형 복합소재 외장패널 판재
KR101038148B1 (ko) 인공 바위의 시공방법 및 상기 시공방법에 의해 제조된 인공 바위
CN104641055A (zh) 建造系统及方法
KR100898348B1 (ko) 조형물 시공 방법
CN210658785U (zh) 一种内嵌式轻质墙板钢结构建筑构造
KR100934415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0934413B1 (ko) 유연성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 방법
KR100959137B1 (ko) 암반 구조물
CN2603151Y (zh) 轻量化预铸混凝土墙板或板块
CN217840549U (zh) 一种预制轻型外墙板及预制轻型外墙板组件
CN220704809U (zh) 一种阳台外墙保温板结构
WO2010097059A2 (en) Composite structural element particularly for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N209457223U (zh) 一种装配式轻质夹心钢筋混凝土桁架楼层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