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3437B1 -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3437B1
KR101693437B1 KR1020150129302A KR20150129302A KR101693437B1 KR 101693437 B1 KR101693437 B1 KR 101693437B1 KR 1020150129302 A KR1020150129302 A KR 1020150129302A KR 20150129302 A KR20150129302 A KR 20150129302A KR 101693437 B1 KR101693437 B1 KR 10169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le
magnetic field
detecting
pole
reinforcing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수
정원섭
이화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5012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3437B1/ko
Priority to PCT/KR2016/007692 priority patent/WO2017043752A1/ko
Priority to JP2018533592A priority patent/JP658213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3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홀(3)을 통해 상기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삽입되고 상기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전주(1) 내에 매설된 철근(7,9)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검출유닛(10,40,60)과, 상기 검출유닛(10,40,60)이 검출한 철근(7,9)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20)와, 상기 데이터 로거(20)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철근(7,9)의 파단상태를 검출하는 파단상태 검출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주의 지면에 매립된 지표면 하부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 개의 철근 파단상태도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APPARATUS FOR BREAKAGE DETECTION OF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전주 등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구조물에서 철근 파단을 검출할 수 있는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에 이용되는 지지물은 대부분이 콘크리트 전주로서 프리스트레스트(P.S) 콘크리트 구조로 된다. P.S 콘크리트 전주는 오랜 사용시 전주 내부의 철근이 파단되는 원인에 의해 콘크리트가 도괴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P.S 콘크리트 구조는 휨모멘트를 철근의 인장력으로 지지하도록 설계되므로 전주 내부의 철근이 파단되어 인장력을 잃게 되면 콘크리트 전주가 도괴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최근 콘크리트 전주를 교체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주에 연결된 케이블을 절단하자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전주가 갑자기 도괴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된 사례가 있다.
P,S 콘크리트 전주를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전주에 변압기, 개폐기 등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 내부 철근이 파단되는 것에 의해 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콘크리트 내부 철근이 파단되는 것을 진단하여 도괴사고가 발생하기 전 전주를 교체 또는 보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특허로 KR 10-2014-0042240(2014.04.07 공개)가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스마트폰 기능의 하나인 센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전주 내 철근 파단 부위를 진단하는 방법으로 파단부 가까이에서만 철근 파단을 진단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는 철근 파단을 진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전주(1)의 지표면(2) 상부에서 철근 파단(P)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전주(1)에 센서를 접촉하여 철근 파단 여부의 검출이 가능하나,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전주(1)의 지표면(2) 하부에서 철근 파단(9)이 발생하면 센서의 접촉이 불가능하여 철근 파단의 검출이 불가능하다.
또한, 선행특허는 복수 개의 철근을 검사하기 위해 전주의 외표면에 원주를 따라 센서를 순차적으로 배치해야 할 뿐 아니라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검사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철근 파단상태를 검사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낮아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전주 등 내부에 철근이 매설된 구조물에서, 전주의 내측에서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함으로써 지표면 하부 철근 파단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철근 파단상태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주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검출유닛과 상기 검출유닛이 검출한 철근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와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하는 파단상태 검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유닛은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주의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암부와, 상기 지지암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전주의 내면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상기 자기장 검출부가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주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자기장 검출부가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들을 연결하는 절첩암과 일단은 상기 절첩암의 중앙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전주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절첩암의 중앙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암부의 하단이 상기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자기장 검출부가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축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과, 일단이 상기 이동블럭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축상에서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주의 내측에서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지표면 하부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철근의 파단상태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장 검출부가 결합된 지지암부가 지지부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자기장 검출부를 전주의 내면에 밀착 접촉되게 하므로 복수 개의 철근 파단상태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전주의 지표면 상부 및 하부 부분에 대한 철근 파단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철근 파단을 검출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2를 사용하여 자기장을 검출한 복수 개의 철근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철근 파단을 검출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콘크리트 전주의 내부공간에 삽입하여 철근 파단을 검출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10), 데이터 로거(20), 파단상태 검출부(30)를 포함한다.
검출유닛(10)은 콘크리트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홀(3)을 통해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삽입되고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전주(1) 내에 매설된 철근(7,9)의 자기장을 검출한다.
전주(1) 내부에는 통상 16개의 철근(7,9)이 원형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매설된다. 전주(1) 내부에 매설된 철근(7,9)의 길이는 지표면에서 바닥까지 대략 2.5m(16m 전주의 경우)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홀(3)을 통해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삽입하여 전주(1)의 내측에서 전주(1)의 지면에 매립된 지표면 하부 철근(7,9)의 파단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동시에 복수 개의 철근 파단상태도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홀(3)은 전주(1)의 발지지핀이 결합되는 홀일 수 있다. 발지지핀이 결합되는 홀(3)은 전주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전주(1)에 검출유닛(10)을 삽입하기 위한 별도의 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최소한의 천공으로 철근 파단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유닛(10)은 지지부(11), 지지암부(13), 자기장 검출부(15)를 포함한다.
지지부(11)는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는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암부(13),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11)는 타단 일부가 전주(1)의 외부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고 지지암부(13)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암부(13)는 지지부(11)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로 구성된다. 즉, 지지암부(13)는 복수 개의 철근으로부터 자기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지지부(11)의 일단에 결합된다. 지지암부(13)의 개수는 전주(1) 내에 매설된 철근의 개수에 대응됨이 바람직하다.
지지암부(13)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지지부(11)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전주의 내면을 향해 만곡지게 형성된다. 지지암부(13)는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탄성을 가져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자기장 검출부(15)는 지지암부(13)의 일측에 설치되고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되어 전주(1) 내에 매설된 철근(7,9)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기장 검출부(15)는 지지암부(13)의 하단에 설치되고, 지지암부(13)의 탄성에 의해 전주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철근(7,9)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한다.
자기장 검출부(15)는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지지부(11)를 상방으로 당기는 작업에 의해 철근(7,9)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철근(7,9)의 자기장을 검출한다.
자기장 검출부(15)는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기장 검출부(15)는 전자기유도현상에 의하여 철근(7,9)에서 발생하는 전류인 자기장을 측정하는 자기센서일 수 있다.
데이터 로거(20) 및 파단상태 검출부(30)는 전주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데이터 로거(20)는 검출유닛(10)이 검출한 철근(7,9)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데이터 로거(20)는 검출유닛(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실질적으로 검출유닛(10)의 자기장 검출부(15)가 검출한 철근(7,9)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파단상태 검출부(30)는 자기장 검출부(15)에서 검출된 철근(7,9)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파단상태 검출부(30)는 데이터 로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로거(20)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으며, 데이터 로거(20)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10)을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하여 지지부(11), 지지암부(13),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복수 개의 지지암부(13)를 손으로 파지하여 절첩한 상태로 만든 후,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발판지지핀이 결합되는 홀(3)을 통해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삽입한다.
복수 개의 지지암부(13)는 전주(1)의 내부공간(5)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하단이 전주의 내면을 향해 벌어지게 되므로 각 지지암부(1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된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암부(13)는 지지부(11)의 일단에 방사상의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 지지암부(13)의 하단이 전주(1)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펼쳐지고 각 지지암부(13)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1)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주(1) 내부에 매설된 복수 개의 철근(7,9)으로부터 자기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이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의 외측으로 배치된 지지부(11)를 당겨 지지암부(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자기장을 검출한다.
즉, 지지암부(1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각 지지암부(1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15)가 전주(1)의 내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각 철근(7,9)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철근(7,9)의 길이방향을 따라 검출할 수 있다.
자기장 검출부(15)가 검출한 철근(7,9)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는 데이터 로거(20)에 저장된다.
그리고, 파단상태 검출부(30)는 데이터 로거(20)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철근(7,9)에 대한 자기장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자기장 변화량에 따라 철근(7,9)의 파단상태를 검출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사용하여 자기장을 검출한 복수 개의 철근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자기장 변화량이 급격한 부분이 확인된다. 자기장 변화량이 급격한 부분에서 철근이 파단상태인 것으로 검출한다.
일 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복수 개의 철근 중 파단된 철근을 검출할 수 있고, 파단된 위치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즉, 지면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철근의 파단상태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는, 검출유닛(40)의 형상이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데이터 로거(20) 및 파단상태 검출부(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40)은 지지부(41), 지지암부(43), 자기장 검출부(45)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1)는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41)는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암부(43),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41)는 타단 일부가 전주(1)의 외부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고 지지암부(43)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암부(43)는 지지부(41)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지지암부(43)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지지부(41)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작동수단(51)에 의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자기장 검출부(45)는 전주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수단(51)은 절첩암(53)과, 작동부(57)를 포함한다.
절첩암(53)은 복수 개의 지지암부(43)들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절첩암(53)은 복수 개의 지지암부(43)들을 동일한 거리상에서 연결한다.
작동부(57)는 절첩암(53)의 중앙 부분을 상부로 당기는 작업을 통해 지지암부(43)의 하단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작동부(57)는 일단이 절첩암(53)의 중앙과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41)를 통해 전주의 외부로 노출된다. 작동부(57)의 타단을 전주(1)의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절첩암(53)의 중앙 부분이 상부로 이동되면서 지지암부(43)의 하단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다.
작동부(57)는 전주(1)의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전주(1)의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절첩암(53)의 중앙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므로 스틸케이블과 같이 강성이 있는 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지지암부(43)의 하단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지면 지지암부(4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된다.
절첩암(53)의 중앙에 형상유지부(55)가 더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형상유지부(55)에 작동부(57)의 일단이 연결된다. 형상유지부(55)는 상부로 당겨지면 지지암부(43)의 내측을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밀어 지지암부(43)의 하단이 방사상으로 펼쳐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40)을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하여 지지부(41), 지지암부(43),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작동부(57)를 하방으로 밀어 복수 개의 지지암부(43)를 절첩한 상태로 만든 후,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발판지지핀이 결합되는 홀(3)을 통해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삽입한다.
지지암부(43)가 절첩된 상태로 전주(1)의 내부공간(5)에 삽입되면, 작동부(57)를 전주(1)의 상방으로 잡아당겨 절첩암(53)의 중앙 부분 즉, 형상유지부(55)가 상부로 당겨지도록 한다.
형상유지부(55)가 상부로 당겨지면 지지암부(43)의 내측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밀려 이동하면서 지지암부(43)의 하단이 방사상으로 펼쳐진다. 그에 따라 지지암부(4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면에 용이하게 밀착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전주(1) 내부에 매설된 복수 개의 철근(7,9)으로부터 자기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전주(1)의 외측으로 배치된 지지부(41)를 당겨 지지암부(4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지지암부(4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각 지지암부(4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45)가 전주(1)의 내면과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각 철근(7,9)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철근(7,9)의 길이방향을 따라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는, 검출유닛(60)의 형상이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데이터 로거(20) 및 파단상태 검출부(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60)은 지지부(61), 지지암부(63), 자기장 검출부(65)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1)는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형상으로 감겨져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61)는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되어 지지암부(63),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61)는 타단 일부가 전주(1)의 외부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고 지지암부(63)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암부(63)는 지지부(61)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로 구성된다. 복수 개의 지지암부(63)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지지부(61)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작동수단(71)에 의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자기장 검출부(65)는 지지암부(63)의 중간 부분에 결합된다. 자기장 검출부(65)는 전주(1)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수단(71)은 축(73), 이동블럭(75), 작동부(77)를 포함한다.
축(73)은 지지부(61)의 일단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이동블럭(75)은 복수 개의 지지암부(63)의 하단이 고정되고 축(7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축(73)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블럭(75)은 중앙에 축(73)이 통과하는 통과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77)는 일단이 이동블럭(75)에 결합되고 타단이 전주(1)의 외측으로 배치된다. 작동부(77)는 이동블럭(75)을 축(73)상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동부(77)는 전주(1)의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전주(1)의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블럭(75)이 축(73)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므로 스틸케이블과 같이 강성이 있는 줄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암부(63)은 상단이 지지부(61)의 일단에 고정되고 하단이 이동블럭(75)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지지암부(63)은 이동블럭(75)을 축(73)상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 중간 부분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만곡지면서 펼쳐질 수 있다.
각 지지암부(63)의 중간 부분이 전주(1)의 내면 방향으로 만곡지면서 펼쳐지면 지지암부(63)의 중간 부분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1)의 내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또 다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출유닛(60)을 전주(1)의 홀(3)을 통해 삽입하여 지지부(61), 지지암부(63),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1)의 내부공간(5)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작동부(77)를 하방으로 밀어 복수 개의 지지암부(63)를 절첩한 상태로 만든 후, 전주(1)의 일측에 형성된 발판지지핀이 결합되는 홀(3)을 통해 전주(1)의 내부공간(5)으로 용이하게 삽입한다.
지지암부(63)가 절첩된 상태로 전주(1)의 내부공간(5)에 삽입되면, 작동부(77)를 전주(1)의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지지암부(63)의 하단을 고정하고 있는 이동블럭(75)이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지지암부(63)의 중간 부분이 전주의 내면 방향을 향하여 만곡지게 펼쳐진다. 그에 따라 지지암부(63) 중간 부분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의 내면에 용이하게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전주(1) 내부에 매설된 복수 개의 철근(7,9)으로부터 자기장을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전주(1)의 외측으로 배치된 지지부(61)를 당겨 지지암부(6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철근(7,9)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지지암부(63)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각 지지암부(63)의 하단에 결합된 자기장 검출부(65)가 전주(1)의 내면과 밀착 접촉된 상태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각 철근(7,9)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철근(7,9)의 길이방향을 따라 검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는 전주(1)의 내측에서 전주(1) 내에 매설된 철근(7,9)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지면에 매립된 전주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검출부가 결합된 지지암부가 지지부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된 복수 개로 구성되므로 복수 개의 철근 파단상태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전주 3: 홀
5: 내부공간 7,9: 철근
10: 검출유닛 11: 지지부
13: 지지암부 15: 자기장 검출부
20: 데이터 로거 30: 파단상태 검출부
40: 검출유닛 41: 지지부
43: 지지암부 45: 자기장 검출부
51: 작동수단 53: 절첩암
55: 형상유지부 57: 작동부
60: 검출유닛 61: 지지부
63: 지지암부 65: 자기장 검출부
71: 작동수단 73: 축
75: 이동블럭 77: 작동부

Claims (7)

  1. 전주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유닛이 검출한 철근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하는 파단상태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닛은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주의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암부와,
    상기 지지암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주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자기장 검출부가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들을 연결하는 절첩암과
    일단은 상기 절첩암의 중앙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전주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절첩암의 중앙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암부의 하단이 상기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지게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주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유닛이 검출한 철근에 대한 자기장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로거; 및
    상기 데이터 로거에 저장된 자기장 데이터의 자기장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철근의 파단상태를 검출하는 파단상태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유닛은
    플렉시블한 로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주의 홀을 통해 상기 전주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며 절첩 가능한 복수 개의 지지암부와,
    상기 지지암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전주 내에 매설된 철근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는 자기장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는 바 형상이며,
    상단이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중간 부분이 작동수단에 의해 상기 전주의 내면 방향으로 펼쳐져 상기 자기장 검출부가 상기 전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축과,
    상기 복수 개의 지지암부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럭과,
    일단이 상기 이동블럭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전주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축상에서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KR1020150129302A 2015-09-11 2015-09-11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KR10169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02A KR101693437B1 (ko) 2015-09-11 2015-09-11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PCT/KR2016/007692 WO2017043752A1 (ko) 2015-09-11 2016-07-14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JP2018533592A JP6582135B2 (ja) 2015-09-11 2016-07-14 電柱用鉄筋破断検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302A KR101693437B1 (ko) 2015-09-11 2015-09-11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3437B1 true KR101693437B1 (ko) 2017-01-05

Family

ID=5783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302A KR101693437B1 (ko) 2015-09-11 2015-09-11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582135B2 (ko)
KR (1) KR101693437B1 (ko)
WO (1) WO20170437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240A (ko) * 2016-11-23 2018-06-01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 진단장비
KR20210020658A (ko) * 2019-08-16 2021-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강선 파단 진단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
KR102339941B1 (ko) 2021-04-12 2021-12-16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의 철근파단 진단을 위한 비파괴 검사 장비 및 그 장비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102546010B1 (ko) 2023-01-19 2023-06-22 (주)스마트 제어계측 콘크리트 전주 철근 파단 진단장치
KR20240010290A (ko) *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93535A (zh) * 2018-06-29 2018-09-28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高压配电网塔杆巡检装置
CN116297512B (zh) * 2023-01-05 2024-05-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宿州供电公司 一种电线杆钢筋结构无损探测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249A (ja) *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磁粉探傷装置
KR20110025283A (ko) * 2009-09-04 2011-03-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중공축의 결함 탐상 장치
JP2014202483A (ja) * 2013-04-01 2014-10-27 大阪瓦斯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8198B2 (ja) * 1987-05-30 1997-12-08 大阪瓦斯株式会社 管内通線具
JPH05273134A (ja) * 1992-03-26 1993-10-22 Taisei Corp 鉄筋コンクリートの検査方法
JP3448191B2 (ja) * 1997-08-29 2003-09-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鉄筋破断検出器及び鉄筋破断検出方法
CA2361813A1 (en) * 2001-01-29 2002-07-29 Peter O. Paulson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analysis of prestressed concrete tensioning strands
US7002340B2 (en) * 2003-03-25 2006-02-21 Atherton David L Method for inspecting prestressed concrete pressure pipes based on remote field eddy current/transformer coupling and use of non-coaxial coils
JP4837986B2 (ja) * 2005-12-09 2011-12-14 非破壊検査株式会社 ガス容器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並びに円筒体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2007183166A (ja) * 2006-01-06 2007-07-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柱応力評価装置、電柱応力評価システム、電柱応力評価方法及び電柱
JP5894059B2 (ja) * 2012-11-14 2016-03-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渦電流探傷装置
JP6598196B2 (ja) * 2014-08-28 2019-10-30 一般財団法人電力中央研究所 構造物の非破壊検査方法および非破壊検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8249A (ja) * 2007-11-26 2009-06-11 Fujikura Ltd 磁粉探傷装置
KR20110025283A (ko) * 2009-09-04 2011-03-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자기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중공축의 결함 탐상 장치
JP2014202483A (ja) * 2013-04-01 2014-10-27 大阪瓦斯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240A (ko) * 2016-11-23 2018-06-01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 진단장비
KR101895205B1 (ko) * 2016-11-23 2018-09-10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 진단장비
KR20210020658A (ko) * 2019-08-16 2021-02-24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강선 파단 진단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
KR102361166B1 (ko) 2019-08-16 2022-02-11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강선 파단 진단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
KR102339941B1 (ko) 2021-04-12 2021-12-16 (주)스마트 제어계측 전주의 철근파단 진단을 위한 비파괴 검사 장비 및 그 장비를 이용한 진단 방법
KR20240010290A (ko) *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KR102639931B1 (ko) 2022-07-15 2024-02-23 주식회사 파워플러스이앤씨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KR102546010B1 (ko) 2023-01-19 2023-06-22 (주)스마트 제어계측 콘크리트 전주 철근 파단 진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43752A1 (ko) 2017-03-16
JP2018528442A (ja) 2018-09-27
JP6582135B2 (ja)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437B1 (ko)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CN105980821B (zh) 用于确定支承力的测量系统
KR102337770B1 (ko) 철근파단 진단 장치에 의한 진단방법
KR101692640B1 (ko) 전주용 철근 파단 검출장치
KR102361166B1 (ko) 전주용 강선 파단 진단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진단 방법
US10006286B2 (en) Rock wall closure detection apparatus
JP2007234593A (ja) 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試験方法
KR101895205B1 (ko) 전주 진단장비
JP5192190B2 (ja) 支承用損傷判定装置
JP2016203791A (ja) 電車線工事用接地棒
CN108226278B (zh) 一种链式交流电磁场检测探头
CN110506023B (zh) 控制起重绳的垂直移动
CN105658139A (zh) 用于磁共振成像的安全监测
CN112534233A (zh) 复合材料制成的部件的破裂或变形的风险预警方法以及如此得到的部件
JP5748722B2 (ja) 鉄筋挿入工用の鉄筋ひずみ検出構造
JP2016212153A (ja) Pc鋼材の端末処理
CN103848367A (zh) 卷扬钢丝绳防过放方法、装置及卷扬机
KR102639931B1 (ko) 전주 철근의 파단 검출장치
KR102546010B1 (ko) 콘크리트 전주 철근 파단 진단장치
JP2010047985A (ja) 中空柱用の補強体および該補強体を用いた中空柱の補強方法
CN104153758B (zh) 一种水平定向钻机钻杆箱列数自动选择控制系统
KR101854134B1 (ko) 다기능 래칫 텐셔너
JP6063765B2 (ja) 基礎杭評価システム
CN103208377A (zh) 高压绝缘操作杆
JP4361005B2 (ja) 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材配置用治具、コンクリート製電柱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