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2544B1 -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2544B1
KR101692544B1 KR1020150002609A KR20150002609A KR101692544B1 KR 101692544 B1 KR101692544 B1 KR 101692544B1 KR 1020150002609 A KR1020150002609 A KR 1020150002609A KR 20150002609 A KR20150002609 A KR 20150002609A KR 101692544 B1 KR101692544 B1 KR 101692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one
forsythia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5954A (ko
Inventor
정원윤
박광균
김유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25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2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2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one mass, e.g. osteoporosis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을 이용한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형성 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를 억제하고, 골 흡수에 관여하는 카텝신 K 및 MMP-2/MMP-9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뼈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골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암 세포의 골전이로 인하여 발생된 골질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개나리 추출물의 의약 및 식품으로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Bone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Forsythiakoreana Nakai}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뼈(bone)는 인체의 연조직과 체중을 지탱해주고 내부기관을 둘러싸서 내부 장기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근육이나 장기를 구조적으로 지탱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칼슘이나 다른 필수 무기질 즉 인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물질을 저장하는 인체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성장이 끝난 성인의 뼈는 멈추지 않고 죽는 날 까지 오래된 뼈는 제거하고 새로운 뼈로 대체하는 생성과 흡수 과정을 매우 역동적, 지속적으로 반복 재생 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를 골재형성(bone remodeling)이라고 한다(Yamaguchi A. et al., Tanpakushitsu Kakusan Koso., 50(6Suppl):664-669(2005)). 오래된 뼈는 제거하고 새로운 뼈로 대체하는 뼈의 순환(turnover)은 성장과 스트레스에 의해서 일어나는 뼈의 미세한 손상을 회복시키고 적절히 뼈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이다(Cohen-Solal M. et al., Therapie., 58(5):391-393(2003)).
골재형성에는 크게 두 종류의 세포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세포 중 하나는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osteoblast)이고, 다른 하나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이다. 조골세포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κB ligand)와 이것의 유도 수용체(decoy receptor)인 OPG(osteoprotegerin)를 생성한다. RANKL이 파골 전구세포(osteoclast progenitor cells) 표면에 있는 수용체인 RANK에 결합하면 파골 전구 세포가 파골세포로 성숙화(maturation)되어 골흡수(bone resorption)가 일어난다. 그러나 OPG가 RANKL과 결합하면 RANKL과 RANK간 결합이 차단되어 파골세포의 형성이 억제되고 필요 이상의 골 흡수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Theill LE. et al., Annu Rev Immunol ., 20:795-823(2002); Wagner EF. et al., Curr Opin Genet Dev ., 11:527-532(2001)). 오래된 뼈의 흡수 또는 파괴는 혈액세포(조혈모세포)에서 생기는 파골세포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는 뼈에 구멍을 내어 적은 양의 칼슘이 혈류로 방출되어 신체기능을 유지하는데 사용된다(William J. et al., Nature., 423:337342(2003)). 한편 뼈세포에서 생성된 조골세포는 교원질로 구멍을 채우고 칼슘과 인의 침척물(hydroxyapatite)을 덮어서 단단한 새로운 뼈를 만들어 골격을 재건한다(Stains JP. et al., Birth Defects Res C Embryo Today., 75(1):72-80(2005)). 뼈가 파괴되기 시작하여 다시 새로운 뼈로 재형성되기까지는 약 100일 정도 걸린다(Schwarz EM. et al., Curr Opin Orthop ., 11:329-335(2000)). 유아에서는 1년 내에 뼈의 칼슘이 100% 바뀌지만 성인에서는 매년 골격의 약 10-30%가 이런 과정을 통하여 재형성되며, 파골속도와 조골속도가 동일해야만 전과 같은 골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뼈에 균형이 깨질 경우 많은 질병이 야기될 수 있는데 특히 골다공증과 암세포의 골전이(bone metastasis)로 인한 뼈의 손상과 관련 된 질환이 대표적이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뼈의 질량이 감소하고 뼈 조직의 미세구조의 퇴화로 골절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질환으로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특히 칼슘)과 기질이 감소한 상태이며, 골재형성의 균형이 깨져서 파골작용이 조골작용보다 증가된 상태에서 발생한다(Iqbal MM., South Med J., 93(1):2-18(2000)). 정상적인 뼈 내부는 그물망처럼 치밀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골다공증의 경우에는 구조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미세구조가 얇아져 약해짐으로써 조그만 충격에도 뼈가 쉽게 골절될 수 있는 상태로 진행된다(Stepan JJ. et al., Endocr Regul., 37(4):225-238(2003). 골다공증은 폐경기의 시작과 동시에 급속한 골 손실(연간 2~3%)이 나타나며 척추의 압박 및 손목뼈가 쉽게 골절될 위험이 증가하는 폐경기 이후의 골다공증(Postmenopausal osteoporosis), 70세 이상의 남녀 노인에게 서서히 발생하며(연간 0.5~1%) 골반골(hip bone)과 척추뼈의 점진적인 골 손실을 가져오는 노년기의 골다공증(Senile osteoporosis), 그리고 연령에 상관없이 질병(내분비질환, 위장관질환, 악성종양)이나 약물(부신피질호르몬, 항암화학요법, 갑상선호르몬, 항경련제, 항응고제, 메토트렉사트(methotrexate),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GnRH 등), 알코올, 흡연, 사고로 인해 발생하는 2차 골다공증(Secondary osteoporosis)으로 분류된다(Rosen CJ., N Engl J Med ., 353(6):595-603(2005); Davidson M., Clinicain Reviews., 12(4):75-82(2002)).
유방암(breast cancer), 전립선암(prostate cancer) 또는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환자들에서 거의 항상 골 전이가 일어나고(Kozlow W. et al., J Mammary Gland Biol Neoplasia ., 10(2):169-180(2005)), 이들 암환자들이 얼마나 오랫동안 살 수 있는지는 골 전이 여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방암 환자나 전립선암 환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이유는 암세포가 선택적으로 뼈로 전이되기 때문이다. 유방암에서 관찰되는 골 전이는 대부분 뼈를 파괴하는 골 용해성 골 전이(osteolytic metastasis)로서 유방암 세포가 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파골세포를 자극함으로써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Boyde A. et al., Scan Electron Microsc., 4:1537-1554(1986)). 반면, 전립선암에서 관찰되는 골전이는 골조성 골전이(osteoblastic metastasis)이다. 골조성 골 전이 또한 골 용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뼈로 전이해 온 암세포들은 뼈 주위의 미세환경에서 증식하여 파골세포나 조골세포 활성을 자극함으로써 골용해성 골전이로 진행될지 골조성 골전이로 진행될지를 결정한다(Choong PF. et al., Clin Orthop Relat Res., 415S:S19-S31(2003)). 유방암 환자의 약 80%가 암세포의 골 전이가 발생되며, 전이된 유방암 세포는 파골세포를 활성화 시킨다(Bendre M., et al., Clin Orthop Relat Res., 415(Suppl):S39-S45(2003); Palmqvist P. et al., J Immunol., 169(6):3353-3362(2002)). 활성화 된 파골세포는 뼈 주위의 미세 환경의 균형을 파괴시켜 골용해(osteolysis)를 야기시키고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병적 골절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백혈구 감소증(leukoerythroblastic anaemia), 뼈의 기형,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통증(pain), 신경압박 증후군(nerve-compression syndromes) 등의 뼈와 관련된 질환이 야기된다 (Roodman GD., N Engl J Med., 350:1655-1664(2004)).
위와 같은 골다공증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에는 포사맥스(Fosamax, 성분명: alendronate)와 악토넬(Actonel, 성분명: risedronate)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계열의 치료제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들은 대부분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기능을 약화하고 사멸을 유도해 뼈의 손실을 느리게 하거나 멈추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들 약들은 새로운 골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은 가지고 있지 않으며, 최근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복용하는 환자에서 턱뼈의 괴사(osteonecrosis), 중증 심방세동, 뼈나 관절의 무력화 또는 근골격의 통증이 발생하는 사례가 해마다 증가되고 있다 (Coleman RE., Br J Cancer, 98:1736-1740(2008). 따라서 골 흡수를 억제하는 것보다 골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골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개나리 추출물이 골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골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으며 인체에 안전한 물질, 특히 식물-유래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고, 그 결과 개나리 추출물이 골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매우 유효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으로 이용되는 개나리(Forsythia koreana Nakai)는 물푸레나무과 식물로, 노란 꽃을 피우는 갈잎 떨기나무로 한국 특산물이며, 동아시아에 걸쳐 광범위하게 자란다. 개나리 열매를 말린 것을 연교라 하며 한방에서 한열,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 종기, 신장염, 습진 등에 처방된다(Lim H., et al., JE thnopharmacol., 118:113-117(2008)). 연교는 항산화 및 항염증,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며(Kim NY., et al., JE thnopharmacol., 73:323-327(2000); Choi IY., et al., Invitrocell Dev Biol Anim., 43:215-221(2007)), 리그난, 사이클로헥실에타노이드, 렌자이올론, 플라노이드, 스테롤, 카페오일글루코시드, 테르펜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tagawa S., et al., Yakugaku Zasshi, 107:274-278(1987)). 개나리 가지와 잎은 연교지엽이라고 부르며, 종기와 몽우리, 아토피, 천식, 알레르기 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개나리 추출물’은 개나리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꽃, 및 줄기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하고, 바람직하게는 연교, 가지 또는 잎으로부터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개나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나리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개나리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 결과물뿐만 아니라 개나리 자체를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예컨대, 분말화)된 개나리 가공물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개나리 추출물을 개나리에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는 경우에는, 다양한 추출용매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극성 용매 또는 비극성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i) 물, (ii) 알코올(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iii) 아세트산, (iv) DMFO(dimethyl-formamide) 및 (v) DMSO(dimethyl sulfoxide)를 포함한다. 비극성 용매로서 적합한 것은,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플루오로알칸, 펜탄, 헥산,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 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및 THF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용매는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g) 부틸아세테이트, (h) 1,3-부틸렌글리콜, (i) 헥산 및 (j) 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은 메탄올을 개나리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개나리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개나리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개나리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파골세포(osteoclast)의 형성을 억제하고,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bone resorption)를 억제하며, 골 흡수에 관여하는 카텝신 K(cathepsin K) 및 MMP(matrix metalloprotease, MMP)-2/MMP-9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다양한 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한다.
파골세포는 혈액세포(조혈모세포)에서 발생된 세포로서, 혈액 내에 칼슘이 부족하거나 뼈를 재형성(bone remodeling)을 해야 하는 경우에 뼈를 파괴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명세서 용어 ‘골 흡수’는 파골세포가 뼈에 강력한 산(acid) 및 단백질 분해효소를 분비하여 뼈를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 예방 또는 치료될 수 있는 골질환의 예는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무형성 골질환, 대사성 골질환 또는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조골 손상이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상기 암세포 또는 암조직은 위암, 폐암, 유방암, 난소암, 간암, 직장암, 기관지암, 비인두암, 후두암, 췌장암, 방광암, 결장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 암, 뇌암, 전립선암, 골암, 피부암, 갑상선암, 백혈병, non-Hodgkin 임파선암, 부갑상선암 및 요관암 세포 또는 조직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개나리 추출물의 약제학적 유효량; 및 (b)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 유효량”은 상술한 개나리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일반적인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a) 상술한 본 발명의 개나리 추출물의 식품학적 유효량; 및 (b)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식품학적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으로서 개나리 추출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개나리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개나리 추출물을 이용한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파골세포의 형성 및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를 억제하고, 골 흡수에 관여하는 카텝신 K 및 MMP-2/MMP-9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뼈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골질환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발휘한다.
(ⅲ) 본 발명은 암 세포의 골전이로 인하여 발생된 골질환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개나리 추출물의 의약 및 식품으로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a), 가지(b) 또는 잎(c) 추출물의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a), 가지(b) 또는 잎(c) 추출물의 파골세포 형성 억제능 확인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골 흡수 억제능 확인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카텝신 K 활성 억제능 확인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a), 가지(b) 또는 잎(c) 추출물의 MMP-9 및 MMP-2의 활성 억제능 확인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a), 가지(b) 또는 잎(c) 추출물의 사람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사람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침윤성 억제능 확인 실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생쥐 골수 대식세포의 준비
생쥐 골수 대식세포의 준비를 위하여 4주령의 수컷 ICR 생쥐(나라 바이오텍, 대한민국)를 경추 탈골시킨 뒤에 겸좌를 이용하여 뒷다리의 외피를 벗기고, 수술용 가위로 외피가 벗겨진 뒷다리를 절단하여 혈청이 첨가되지 않은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Gibco, 미국)에 담가두었다. 그리고 핀셋을 이용하여 근육 속의 뼈를 분리하여 새로운 α-MEM에 옮겨 담고, 주사기에 500 ㎕의 α-MEM을 담아 분리된 다리뼈의 중앙 척수 부분에 꽂고 2-3회 분사하여 골수 세포를 적출하였다. 적출된 골수세포는 원심분리를 통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새로운 α-MEM을 섞어 준 후, 히스토파크(Histopaque; Sigma, 미국)를 사용하여 상기 골수세포로부터 골수 대식세포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α-MEM에 1%의 항생-항균 용액(Antibiotic-Antimycotic; Gibco, 미국),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FBS); Gibco, 미국), 30 ng/mL의 대식세포-집락 자극 인자(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M-CSF); R&D system Inc., 미국)를 첨가한 후, 분리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2: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실험
개나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나리 연교 추출물, 개나리 가지 추출물 및 개나리 잎 추출물을 각각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개나리를 채취하여 세척한 후 연교, 가지 및 잎으로 나누고 50℃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개나리의 각 부위를 분쇄한 후, 분말 각 120 g을 가속용매추출장치(ASE(Accelerated Solvent Extractor)-300; DIONEX, 미국)를 사용하여 50℃에서 100% 메탄올로 5분간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추출액을 감압농축장치(SB-1000; EYELA, 일본)를 사용하여 50℃ 이하로 유지하면서 농축하여 최종적으로 추출물들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추출물은 각각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시킨 후, 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및 30 ng/mL의 M-CSF가 첨가된 α-MEM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은 10, 20, 40, 60, 80 및 100 ㎍/mL의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5x104개의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첨가한 후,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는 α-MEM을 각각 200 ㎕씩 첨가하고 37℃, 5% CO2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배양하였다. 그리고 이틀마다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이 포함된 새로운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30 ng/mL의 M-CSF 첨가)으로 교환해 주며 5일간 배양하였다. 그리고 각 웰 당 0.5 mg/mL의 농도가 되도록 MTT(3-(4,5-dimethy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 미국)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PBS로 세척하여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를 200 ㎕씩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배지만 처리한 실험군) 흡광도에 대한 실험군(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흡광도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에 대한 개나리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한 결과 추출물을 각각 10, 20, 40, 60, 80 및 10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의 세포 생존율을 거의 감소시키지 않았다. 즉, 개나리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추출물의 농도 (㎍/mL) 흡광도 (570 nm) 마우스 골수 대식세포의 세포 생존율 (%)
연교 0 1.42 ± 0.02 100.0
10 1.44 ± 0.01 101.9
20 1.46 ± 0.02 103.1
40 1.60 ± 0.05 112.9
60 1.58 ± 0.06 111.3
80 1.50 ± 0.04 105.9
100 1.23 ± 0.01 86.8
가지 0 1.47 ± 0.05 100.0
10 1.53 ± 0.04 104.0
20 1.47 ± 0.02 100.1
40 1.53 ± 0.02 104.2
60 1.69 ± 0.03 115.1
80 1.69 ± 0.10 114.9
100 1.73 ± 0.05 117.6
0 1.44 ± 0.02 100.0
10 1.35 ± 0.06 94.0
20 1.37 ± 0.05 95.2
40 1.59 ± 0.05 110.4
60 1.72 ± 0.09 119.2
80 1.62 ± 0.03 112.4
100 1.62 ± 0.02 112.8
실시예 3: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형성 억제능 확인 실험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에 의해 유도된 파골세포 형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Park E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 325(4):1472-1480(2004)”에 기재된 방법으로 파골세포 형성 억제능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나리의 연교, 가지 및 잎 추출물은 각각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준비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5x104개씩 첨가한 후,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는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30 ng/mL의 M-CSF, 100 ng/mL의 RANKL 첨가)을 각각 200 ㎕씩 첨가하고 37℃, 5% CO2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배양하였다. 그리고 이틀마다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이 포함된 새로운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30 ng/mL의 M-CSF, 100 ng/mL의 RANKL 첨가)으로 교환해 주며 5일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및 30 ng/mL의 M-CSF가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30 ng/mL의 M-CSF 및 100 ng/mL의 RANKL이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그리고 TRAP 분석 키트(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assay kit; Sigma, 미국)를 사용하여 다핵의 파골세포를 염색하였고, 핵이 3개 이상인 파골세포를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었다. 그 결과는 도 2 및 표 2에 나타냈다.
도 2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0 ng/mL의 RANKL을 처리한 양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파골세포의 수가 확연히 증가(P < 0.05)되었으며, 각 부위의 개나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파골세포의 형성이 농도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연교 추출물은 10 ㎍/mL에서 23.8%, 가지 추출물은 58.3%, 잎 추출물은 91.9%의 파골세포 형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연교 추출물보다 조금 더 효과적인 파골세포 형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모두 파골세포 형성 억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파골세포 형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병에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추출물의 농도 (㎍/mL) 마우스 파골세포의 수 마우스 파골세포 형성 저해율 (%)
연교 0 294 ± 7 -
10 224 ± 14 23.8
20 61 ± 8 79.3
가지 0 295 ± 3 -
10 123 ± 23 58.3
20 15 ± 2 94.9
0 277 ± 2 -
10 22 ± 3 91.9
20 0 100.0
실시예 4: 개나리의 연교 ,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파골세포 골 흡수 억제능 확인 실험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골 흡수 기능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Kim MH., J Cell Physiol ., 221:618-628(2009))”에 기재된 방법으로 파골세포 골 흡수 억제능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코팅되어 있는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준비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5x104개씩 첨가한 후,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30 ng/mL의 M-CSF, 100 ng/mL의 RANKL 첨가)을 각각 200 mL씩 첨가하고 37℃, 5% CO2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배양하였다. 그리고 이틀마다 새로운 배지로 교환해 주며 6일간 배양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의 FBS 및 30 ng/mL의 M-CSF가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였다. 파골세포의 형성을 확인한 후에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된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첨가된 배지를 이용하여 2일간 추가 배양하였다. 그리고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ase, MMP) 및 카텝신 K(Cathepsin K)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양액을 따로 수거하고, 세포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용액을 첨가하여 5분간 반응시킨 후, 첨가된 치아염소산나트륨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3차 증류수로 두 번 세척하여 파골세포에 의하여 형성된 골 흡수 구멍(resorption pit)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NKL을 처리하고 배양한 양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흡수 구멍의 생성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흡수 구멍의 생성이 확연히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나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연교 추출물보다 40 ㎍/mL에서 조금 더 효과적인 골 흡수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파골세포의 형성뿐만 아니라 형성된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카텝신 K 활성 억제능 확인 실험
파골세포는 카텝신 K(Cathepsin K) 및 기질금속단백질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ase, MMP)를 분비하여 골 기질의 유기성분을 분해함으로써 골 흡수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카텝신 K의 활성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수거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상층액을 획득하고, Sensizyme Cathepsin K activity assay kit(Sigma-Aldrich, 미국)를 이용하여 상기 상층액 내의 카텝신 K 활성을 측정하였다. 카텝신 K 항체가 붙어있는 96-웰 플레이트에 상기 상층액과 카텝신 K 표준액을 각각 첨가하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세척용 완충액을 이용하여 상층액을 깨끗이 제거하고 반응용 시약(reaction mixture)을 첨가하여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카텝신 K 표준 곡선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텝신 K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 및 표 3에 나타냈다.
도 4 및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NKL을 처리하고 배양한 양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카텝신 K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RANKL과 함께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 농도에 따라 카텝신 K의 활성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개나리 연교 추출물은 20 ㎍/mL에서 47.8%, 가지 추출물은 74.5%, 잎 추출물은 66.9%의 카텝신 K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연교 추출물보다 조금 더 효과적으로 카텝신 K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파골세포의 카텝신 K 분비를 억제하여 형성된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추출물의 농도
(㎍/mL)
카텝신 K 활성 (pg/mL) 카텝신 K 활성 저해율 (%)
0 157 ± 13 -
연교 10 118 ± 5 24.8
20 82 ± 13 47.8
40 52 ± 15 66.9
가지 10 67 ± 9 57.3
20 40 ± 4 74.5
40 31 ± 5 80.3
10 73 ± 4 53.5
20 52 ± 4 66.9
40 35 ± 9 77.7
실시예 6: 개나리의 연교 ,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MMP -9 및 MMP -2의 활성 억제능 확인 실험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이 파골세포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기질금속 단백질분해효소인 MMP-9 및 MMP-2의 활성을 억제하여 골 흡수를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수거한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상층액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젤라틴 자이모그래피(gelatin zymography)를 실시하였다. 젤라틴 자이모그래피를 실시하기 위하여 0.2%의 젤라틴이 첨가된 8% SDS(sodium dodecyl sulfate)-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준비하였고, 상기 상층액 내의 단백질량을 BSA 단백질 어세이 방법을 통해 측정한 후 단백질의 양이 40 ㎍이 되도록 보정하였다. 그리고 보정된 값의 상층액과 샘플 염료를 혼합한 뒤 준비된 혼합액 20 ㎕를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 로딩하고 120 V에서 2시간 동안 전기 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이 종료된 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세척용 완충액(Triton X-100 solution)으로 세척한 뒤, 반응용 완충액(50 mM Tris-HCl(pH 7.5), 5 mM CaCl2, 200 mM NaCl, 0.02% Brij-35)에 담가 37℃, 50 rpm 조건하의 항온수조기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다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을 세척한 뒤 쿠마지 블루(commassie blue) R-250 용액을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염색한 후, 탈색 용액을 이용하여 30분씩 2회 탈색하여 MMP에 의한 젤라틴 분해 활성(염색이 제거된 하얀색 밴드)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RANKL을 처리하고 배양한 양성 대조군의 경우에는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MMP-9 및 MMP-2의 분비가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RANKL과 함께 개나리 가지 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경우에 농도에 따라 MMP-9 및 MMP-2의 분비가 감소된 반면, 개나리 연교 및 잎 추출물은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개나리 추출물 중 특히 가지 추출물은 MMP-9 및 MMP-2의 분비 및 활성을 억제하여 형성된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사람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측정 실험
사람 유방암 세포에서 개나리 추출물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DA-MB-231 사람 유방암 세포주(한국세포주은행, 대한민국)를 1%의 항생-항균 용액 및 10%의 FBS가 첨가된 DMEM(Dulbecco¢modified Eagle medium; Gibco, 미국)에서 37℃, 5% CO2조건으로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개의 MDA-MB-231 사람 유방암 세포를 첨가한 후,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는 DMEM을 각각 200 ㎕씩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각 웰 당 0.5 mg/mL의 농도가 되도록 MTT 용액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PBS로 세척하여 상층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를 200 ㎕씩 첨가하여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배지만 처리한 실험군) 흡광도에 대한 실험군(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흡광도의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도 6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6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나리 연교 추출물은 100 ㎍/mL에서 33.1%의 사람 유방암 세포의 생존율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개나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유방암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추출물의 농도 (㎍/mL) 흡광도 (570 nm) 사람 유방암 세포의
세포 생존율 (%)
연교 0 1.04 ± 0.01 100.0
10 1.09 ± 0.02 105.3
20 1.08 ± 0.03 104.2
40 0.88 ± 0.02 84.9
60 0.90 ± 0.03 86.6
80 0.83 ± 0.02 80.3
100 0.69 ± 0.04 66.9
가지 0 1.44 ± 0.06 100.0
10 1.46 ± 0.04 101.3
20 1.50 ± 0.05 104.5
40 1.51 ± 0.20 104.7
60 1.66 ± 0.12 115.3
80 1.67 ± 0.04 115.9
100 1.44 ± 0.06 99.7
0 1.31 ± 0.03 100.0
10 1.41 ± 0.03 108.1
20 1.44 ± 0.06 110.4
40 1.44 ± 0.19 110.2
60 1.60 ± 0.11 122.7
80 1.61 ± 0.04 123.4
100 1.41 ± 0.05 108.2
실시예 8: 개나리의 연교 ,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의 사람 유방암 세포에서의 세포 침윤성 억제능 확인 실험
개나리 추출물의 사람 유방암 세포의 침윤성에 대한 억제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10%의 젤라틴 및 1 mg/mL의 마트리겔(Matrigel; BD Biosciences, 미국)로 코팅된 24-웰 트랜스웰 챔버(24-well transwell chamber; Corning Costar, 미국)를 사용하였다. 각 트랜스웰 챔버의 상부에는 5x104개의 MDA-MB-231 사람 유방암 세포를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이 첨가되어 있는 DMEM에 현탁시켜 각각 200 ㎕씩 첨가하고, 각 챔버의 하부에는 희석된 각각의 개나리 추출물과 5%의 FBS가 첨가되어 있는 DMEM을 각각 600 ㎕씩 첨가한 후, 37℃, 5% CO2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70% 메탄올로 세포를 고정시키고 헤마토실린으로 염색 후, 트랜스웰 막 상부에 존재하는 침윤되지 못한 세포들을 면봉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슬라이드 위에 마운팅하여 침윤된 세포들을 광학현미경으로 세었다. 그 결과는 도 7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도 7 및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나리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농도에 따라 유방암 세포의 침윤성을 억제시켜, 연교 추출물은 40 ㎍/mL에서 83.7%, 가지 추출물은 34.8%, 잎 추출물은 58.0%의 세포 침윤성 억제 효과를 나타냈으며, 연교 추출물이 가지 또는 잎 추출물보다 조금 더 효과적으로 유방암 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개나리의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유방암 세포의 침윤성을 억제하여 유방암 세포의 뼈 전이와 이로 인한 골 파괴에 대한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개나리 연교,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은 파골세포의 형성 및 형성된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골 질환뿐만 아니라 유방암 세포의 전이로 인한 골 파괴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에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나리 추출물의 농도 (㎍/mL) 침윤세포의 수 세포 침윤성 저해율 (%)
0 716 ± 109 -
연교 20 371 ± 39 48.2
40 117 ± 13 83.7
가지 20 514 ± 182 28.2
40 467 ± 25 34.8
20 425 ± 22 40.6
40 301 ± 33 58.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개나리(Forsythia koreana Naka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골질환은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의 조합을 개나리에 처리하여 수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개나리 연교 추출물, 개나리 가지 추출물 또는 개나리 잎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파골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카텝신 K(cathepsin K)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나리 추출물은 MMP(matrix metalloprotease, MMP)-2 또는 MMP-9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10.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골질환은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초래되는 뼈의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002609A 2015-01-08 2015-01-08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692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609A KR101692544B1 (ko) 2015-01-08 2015-01-08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609A KR101692544B1 (ko) 2015-01-08 2015-01-08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954A KR20160085954A (ko) 2016-07-19
KR101692544B1 true KR101692544B1 (ko) 2017-01-05

Family

ID=5661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609A KR101692544B1 (ko) 2015-01-08 2015-01-08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25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98A (ko) 2016-11-25 2018-06-04 강동원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349B1 (ko) 2018-11-08 2020-11-09 주식회사 포스코 리튬 금속 음극,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CN111418726A (zh) * 2020-04-21 2020-07-17 中国农业大学 连翘活性成分在母猪营养及仔猪骨品质和肠道改善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71A (ja) * 2001-08-23 2003-03-05 Tama Seikagaku Kk 連翹葉及びその抽出物とそれら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002B1 (ko) * 2005-03-25 2006-12-14 주식회사 대평 개나리 열매로부터 마타이레시놀 및 악티게닌의 분리 및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971A (ja) * 2001-08-23 2003-03-05 Tama Seikagaku Kk 連翹葉及びその抽出物とそれら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954A (ko)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7627A (ko) 항산화, 항염 또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조성물
KR101692544B1 (ko) 개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589050B1 (ko) 황기 추출물 및 그로부터 분리한 이소플라보노이드계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56362B1 (ko) 플라티코딘 d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34305B1 (ko) 블루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39053B1 (ko) 물레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86429B1 (ko)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골 관련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09028B1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0008150A2 (ko) 삼백초와 황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3354B1 (ko)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927404B1 (ko) 고농도의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액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70901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372440B1 (ko) 비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대사성 질환으로 유발된 골소실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052501B1 (ko)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49930B1 (ko) 마가목 및 현지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파골세포 분화 억제용 또는 연골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sg-ⅱ)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N100509803C (zh) 安息香属植物总苯并呋喃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32265B1 (ko) 돌단풍(Aceriphyllum rossii) 유래 3-하이드록시올레안-12-엔-27-오익산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골 용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643B1 (ko) 표고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4908B1 (ko) 천문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치료 또는 암 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0842785B1 (ko) 엘루테로사이드 b를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약학조성물
KR101552816B1 (ko) 여로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