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946B1 -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 Google Patents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946B1
KR101691946B1 KR1020150043885A KR20150043885A KR101691946B1 KR 101691946 B1 KR101691946 B1 KR 101691946B1 KR 1020150043885 A KR1020150043885 A KR 1020150043885A KR 20150043885 A KR20150043885 A KR 20150043885A KR 101691946 B1 KR101691946 B1 KR 101691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solution
organic solvent
polar organic
thermoelectric
c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284A (ko
Inventor
강태준
김용협
김태우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5/304,38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05013B2/en
Priority to PCT/KR2015/003653 priority patent/WO2015160150A1/ko
Publication of KR2015012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5/2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35Liquid electrolytes, e.g. impregn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1Temperature-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2Devices using combined reduction and oxidation, e.g. redox arrangement or solion
    • H01L35/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4/00Electrochemical current or voltage gener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6/00 - H01M12/00;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30Deferred-action cells
    • H01M6/36Deferred-action cells containing electrolyte and made operational by physical means, e.g. therm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2Regeneration by thermal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열전 장치는 한 쌍의 레독스 커플과 물에 추가적으로,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ELECTROLYTE SOLUTION FOR THERMOELECTRIC DEVIC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OLYTE SOLUTION}
본 발명은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 전해질을 이용하여 양단의 온도 차이로 열-전기에너지를 변환시키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전 소자(thermoelectric device)는 열과 전기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내는 열전 효과를 이용한 소자로서, 온도차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하는 제베크 효과를 이용한 소자, 인가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열의 흡수/발생이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 펠티에 소자 등이 있다. 열전 소자는 우주, 항공, 반도체, 발전 등 산업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 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다. 이의 일환으로 폐열을 회수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함으로써 에너지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열전 소자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온도차 부식 전지(thermogalvanic cell) 혹은 열-전기화학 전지(thermal electrochemical cell)로도 알려진 열전지는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산화환원 전위의 온도 의존성에 기반한 전력 생산 기구로 열-전기에너지의 직접 변환, 단순한 구성요소, 반영구적 내구성, 낮은 유지비용 및 탄소 무배출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열전지 기술은 폐열 에너지 회수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처 기술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기계적 유연성 및 낮은 생산 단가를 바탕으로 100 ℃ 이하의 생활 폐열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장점 가지므로 최근 열전 전해질을 이용한 열전 소자의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액상 전해질을 갖는 열전 소자의 출력 전압은 단위 온도차 당 전압인 열전 계수(thermoelectric coefficient)에 정비례하고, 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열전 소자의 출력 전압과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높은 열전 계수 값을 갖는 액상 전해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적혈염(potassium ferricyanide, K3[Fe(CN)6] 및 황혈염(potassium ferrocyanide, K4[Fe(CN)6])으로 구성된 수용액 기반 액상 전해질이 활용되고 있으며 열전계수는 약 1.43 mV/K의 값을 보인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열전 장치에 이용되는 열전 계수가 높은 전해질 용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 전압 및 전력 생산량이 향상된 열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은 레독스 커플 및 물과,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Hildebrand Solubility parameter, HSP)가 19 MPa1/2 내지 35 MPa1/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20 내지 47의 유전 상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독스 커플은 Fe2(SO4)3/FeSO4, I-/I3-, Np4+/NpO2 +, Pu4+/PuO2 2+, CN-/CNO-, NO2 -/NO3 -, I-/IO3 -, ClO3 -/ClO4 -, ClO-/ClO2 -, Cl-/ClO-, K3Fe(CN)6/K4Fe(CN)6, K3Fe(CN)6/(NH4)4Fe(CN)6, Np3+/Np4+, Cu+/Cu2+, Fe2+/Fe3+, PuO2 +/PuO2 2+, Pu3+/Pu4+, NpO2 +/NpO2 2+, Tl+/Tl3+, NH4 +/N2H5 +, NH4 +/NH3OH+, Mn2+/Mn3+ 또는 Am3+/Am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은 열전 계수가 1.5 mV/K 내지 3.0 mV/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계 화합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은 1-프로판올(1-propanol), 2-프로펜-1-올(2-propene-1-ol),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 에탄올(ethan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또는 메탄올(methano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2,2-디메틸프로판니트릴(2,2-dimethylpropanenitrile), 1-프로판올(1-propanol), 부탄니트릴(butanenitrile), 2-메틸프로판니트릴(2-methylpropanenitrile), 비스(2-클로로에틸) 에테르(bis(2-chloroethyl) ether), 2-프로펜-1-올(2-propene-1-ol), 아세톤(acetone), 메톡시설피닐옥시메탄(methoxysulfinyloxymethane),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1-chloro-2,3-epoxypropane), 2,4-펜탄디온(2,4-pentanedione), 2-메틸-2-니트로프로판(2-methyl-2-nitropropane),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 에탄올(ethanol), 2-니트로프로판(2-nitropropane), 벤조니트릴(benzonitrile), 1-포르밀피페리딘(1-formylpiperidine), 프로판니트릴(propanenitrile), N,N-디에틸포름아마이드(N,N-diethylformamide), 에틸 티오시아네이트(ethyl thiocyanate), 3-메틸술포란(3-methylsulfolane), 클로로아세토니트릴(chloroacetonitrile), 헥사메틸포스포아마이드(hexamethylphosphoramide), N,N-디에틸아세트아마이드(N,N-diethylacetamide),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2-프로펜니트릴(2-propenenitrile), 메탄올(methanol), 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N,N-dimethylpropionamide), 4,5-디클로로-1,3-디옥소란-2-온(4,5-dichloro-1,3-dioxolan-2-one), 니트로벤젠(nitrobenz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1,3-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3-dimethyltetrahydropyrimidin-2(1H)-one),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또는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acetam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장치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상기에서 설명한 전해질 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이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열전 계수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해질 용액을 열전 장치에 이용함으로써 열전 장치의 출력 전압 및 전력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새로운 전해질을 개발하지 않고도 전해질 용액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열전 장치의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의 온도 차이에 따른 개로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제조된 열전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제조된 열전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요소 등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요소 등이 존재하지 않거나 부가될 수 없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전 장치(500)는 제1 전극(100), 제2 전극(200) 및 전해질 용액(ELT)을 포함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열전 장치(500)는 제1 전극(100)과 접촉하는 제1 전극 집전체(electrode collector), 제2 전극(200)과 접촉하는 제2 전극 집전체 및 전해질 용액(ELT)이 수용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은 서로 마주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200)은 제1 전극(100)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핫 전극일 수 있고, 제1 전극(100)이 콜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100)과 제2 전극(200)의 온도차가 발생하는 경우, 제2 전극(200)과 인접한 전해질 용액(ELT)의 전해질이 산화된다. 상기 전해질의 산화 반응을 통해서 제2 전극(200)은 전자를 제공받고, 전자가 제2 전극(200)과 연결된 외부 부하(external load)에 제공되어 전력을 생산한다. 상기 전자는 상기 외부 부하와 연결된 제1 전극(100)으로 연결되고, 제1 전극(100)은 상기 전해질로 전자를 제공하여 환원시킨다. 상기 전해질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서 전해질 용액(ELT)은 전기적으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며, 지속적인 전력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전해질 용액(ELT)은 한 쌍의 레독스 커플, 물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레독스 커플"은 반응계에서 산화 반응하여 생성계가 되고 상기 생성계가 환원 반응하여 다시 상기 반응계가 되는, 또는 그와 반대로 반응계에서 환원 반응하여 생성계가 되고 그 생성계가 산화 반응하여 다시 상기 반응계가 되는 가역 반응에서의 반응계 및 생성계를 의미한다.
레독스 커플로서는, Fe2(SO4)3/FeSO4, I-/I3-, Np4+/NpO2 +, Pu4+/PuO2 2+, CN-/CNO-, NO2 -/NO3 -, I-/IO3 -, ClO3 -/ClO4 -, ClO-/ClO2 -, Cl-/ClO-, K3Fe(CN)6/K4Fe(CN)6, K3Fe(CN)6/(NH4)4Fe(CN)6, Np3+/Np4+, Cu+/Cu2+, Fe2+/Fe3+, PuO2 +/PuO2 2+, Pu3+/Pu4+, NpO2 +/NpO2 2+, Tl+/Tl3+, NH4 +/N2H5 +, NH4 +/NH3OH+, Mn2+/Mn3+, Am3+/Am4+ 등을 한 쌍의 레독스 커플로 들 수 있다. 레독스 커플은 상기 한 쌍의 레독스 커플로 이루어지거나, 2 쌍 이상이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극성 유기 용매의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Hildebrand Solubility parameter, HSP)는 19 MPa1/2 내지 35 MPa1/2일 수 있다. HSP가 19 MPa1/2 보다 작거나 35 MPa1/2 초과인 경우, 열전 계수의 증가가 실질적으로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HSP가 19 MPa1/2 보다 작거나 35 MPa1/2 초과인 경우, 해당 극성 유기 용매가 물과 혼합되지 않거나 클러스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레독스 커플이 가질 수 있는 상태는 극성 유기 용매가 없는 상태, 즉 레독스 커플이 물에 해리된 혹은 유기용매에 해리된 레독스 커플과 동일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열전 계수를 결정하는 레독스 커플의 엔트로피 증가가 없는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그러나 19 MPa1/2 내지 35 MPa1/2 범위 내의 HSP에서는 열전 계수가 상승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19 MPa1/2 내지 35 MPa1/2 범위 내에서는 극성 유기 용매와 레독스 커플 사이의 상호 작용이 증가하고 물과 극성 유기 용매에 의한 용매화(solvation)를 형성하므로, 레독스 커플의 반응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범위 내의 HSP를 갖는 극성 유기 용매를 이용하는 경우, 반응 엔트로피를 증가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전 계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에서 예시한 레독스 커플 각각에서, 19 MPa1/2 내지 35 MPa1/2의 HSP를 갖는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은 상승된 열전 계수 확보가 가능함을 본 출원인은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20 내지 47의 유전 상수를 갖는다. 유전 상수가 20 보다 낮은 극성 유기 용매들에서는 기존의 열전계수 값(1.43 mV/K)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레독스 커플과 물과의 용매화 작용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나 실질적으로는 반응 엔트로피의 증가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극성 유기 용매를 물과 함께 이용한 경우, 특히 유전 상수가 20 내지 47의 값을 갖는 극성 유기 용매를 물과 함께 이용한 경우, 용액 내에서는 물과 극성 유기 용매가 혼재된 용매화 상태를 보이며 이에 의해 레독스 커플이 가질 수 있는 상태의 가짓수가 증가하여, 즉 용매화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계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유전 상수가 47 보다 높은 극성 유기 용매를 물과 함께 이용한 경우, 물 보다는 대부분 레독스 커플의 극성 유기 용매에 의한 용매화가 진행되고, 이는 레독스 커플이 가질 수 있는 용매와 상태의 가짓수를 높일 수 없으므로, 이때에도 열전계수의 변화가 거의 없이 기존의 열전계수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에서 예시한 레독스 커플 각각에서, 20 내지 47의 유전 상수를 갖는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에 의해 열전 계수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 용액(ELT)은 상기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함으로써 열전 계수가 1.5 mV/K 내지 3.0 m/K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1-프로판올(1-propanol), 2-프로펜-1-올(2-propene-1-ol),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 에탄올(ethan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메탄올(methanol)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로서는, 에탄올 및/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경우 전해질 용액(ELT)의 열전 계수를 2.5 mV/K 내지 3.5 mV/K가 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다른 예로서는, 2,2-디메틸프로판니트릴(2,2-dimethylpropanenitrile), 부탄니트릴(butanenitrile), 2-메틸프로판니트릴(2-methylpropanenitrile), 비스(2-클로로에틸) 에테르(bis(2-chloroethyl) ether), 아세톤(acetone), 메톡시설피닐옥시메탄(methoxysulfinyloxymethane),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1-chloro-2,3-epoxypropane), 2,4-펜탄디온(2,4-pentanedione), 2-메틸-2-니트로프로판(2-methyl-2-nitropropane),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 2-니트로프로판(2-nitropropane), 벤조니트릴(benzonitrile), 1-포르밀피페리딘(1-formylpiperidine), 프로판니트릴(propanenitrile), N,N-디에틸포름아마이드(N,N-diethylformamide), 에틸 티오시아네이트(ethyl thiocyanate), 3-메틸술포란(3-methylsulfolane), 클로로아세토니트릴(chloroacetonitrile), 헥사메틸포스포아마이드(hexamethylphosphoramide), N,N-디에틸아세트아마이드(N,N-diethylacetamide),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NMP),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2-프로펜니트릴(2-propenenitrile), 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N,N-dimethylpropionamide), 4,5-디클로로-1,3-디옥소란-2-온(4,5-dichloro-1,3-dioxolan-2-one), 니트로벤젠(nitrobenz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1,3-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3-dimethyltetrahydropyrimidin-2(1H)-one),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N,N-DM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acetamide), 디메틸 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메탄올 및/또는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상기 극성 유기 용매로 이용함으로써 전해질 용액(ELT)의 열전 계수가 2.8 mV/K 내지 3.0 m/K이 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물과 극성 유기 용매의 전체 중량을 100 중량%로 할 때, 5 중량% 내지 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첨가에 의한 열전 계수의 증가가 거의 없고 25 중량% 초과인 경우 이미 증가된 열전 계수의 변화가 미미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함량은 8 중량%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함량과 레독스 커플의 농도 사이의 비율은 57:1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독스 커플의 농도가 0.15 M(몰농도)인 경우에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함량이 적어도 25 중량%인 경우에 열전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레독스 커플의 농도가 0.6 M인 경우에는 상기 극성 유기 용매의 함량이 5 중량% 이상이기만 하면 열전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전해질 용액(ELT)의 용매로서 물과 상기 극성 유기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레독스 커플을 효과적으로 용매화하여 열전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해질 용액(ELT)의 열전 계수의 증가는 열전 장치의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고 전력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들 및 비교예를 통해서 물과 상기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 용액(ELT)의 열전 계수 증가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레독스 커플로서 K3Fe(CN)6/(NH4)4Fe(CN)6에 대해서 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에서 예시한 다양한 레독스 커플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전해질 용액의 제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열전 계수의 측정-1
적혈염과 황혈염이 물에 용해된 수용액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메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2:8 이었다.
또한, 적혈염과 황혈염이 물에 용해된 수용액을,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 각각에 대해서, 핫 전극과 콜드 전극의 온도 차이(단위, K)와 개로 전압(open circuit voltage, 단위 mV)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의 온도 차이에 따른 개로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의 열전 계수는 약 3 mV/K이고,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의 열전 계수는 약 1.4 mV/K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메탄올을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의 열전 계수가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의 열전 계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2 배 이상 증가하고, 절대적으로도 약 3 mV/K의 높은 값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전해질 용액의 제조 (실시예 2) 및 열전 장치의 제조
적혈염과 황혈염이 물에 용해된 수용액에, 유전 상수가 약 33인 메탄올을 첨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메탄올과 물의 중량비는 2:8 이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 각각을 이용하여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열전 장치를 제조하였다.
열전 장치 평가
열전 장치들 각각에 대해서 전류 밀도에 따른 전압 및 전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제조된 열전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3b는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질 용액으로 제조된 열전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a와 도 3b의 그래프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해질 용액과 같이 메탄올이 첨가된 경우, 물만 용매로 이용된 비교예 1의 전해질 용액을 이용한 경우보다 열전 장치의 출력 전압과 전력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전해질 용액의 제조(실시예 3 내지 13) 및 열전 계수의 측정-2
적혈염과 황혈염이 물에 용해된 수용액에, 하기 표 1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를 첨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 내지 13에 따른 전해질 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내지 13에 따른 전해질 용액 각각에 대해서 열전 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구분 극성 유기 용매 종류 유전 상수 물과 극성 유기 용매의 중량비 (유기용매:물) 열전 계수
(mV/K)
HSP
(MPa)1/2
실시예 3 아세톤 21.00 2:8 2.84 19.7
실시예 4 에탄올 25.00 2:8 3.00 26.2
실시예 5 N-메틸-2-피롤리돈 32.00 2:8 2.90 23.0
실시예 6 프로필렌 글리콜 32.10 2:8 2.24 30.7
실시예 7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 36.70 2:8 2.80 24.7
실시예 8 디메틸 술폭사이드 47 2:8 2.80 26.4
실시예 9 헥산 1.89 2:8 1.43 14.9
실시예 10 클로로포름 5.00 2:8 1.43 18.7
실시예 11 소르비톨(sorbitol) 62 2:8 1.46 38.15
실시예 12 포름아마이드 109 2:8 1.43 36.7
실시예 13 N-메틸포름아마이드 190 2:8 1.4 30.1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3 내지 8에 따른 전해질 용액의 열전 계수가 적어도 2.24 mV/K를 가짐으로써,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현저히 높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실시예 9 및 10과 같이 유전 상수가 5 이하이거나 HSP가 19 미만인 경우에는 열전 계수가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1 내지 13과 같이 유전 상수가 62 이상이거나 HSP가 35 초과인 경우에도 열전 계수가 비교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3 내지 8에 따른 극성 유기 용매를 이용한 경우, 열전 계수가 2.24 mV/K 이상으로 증가되고, 3.0 mV/K까지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HSP가 19.7 MPa1/2 내지 34.9 MPa1/2인 극성 유기 용매를 이용한 경우, 열전 계수가 2배 이상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레독스 커플의 농도와 극성 유기 용매의 농도 사이의 관계 확인
물과 메탄올 혼합 용액의 전체 중량을 100 중량%할 때 메탄올의 함량을 25 중량%에서 5 중량%까지 5 중량% 단위로 감소시키고 상기 혼합 용액에 혼합된 적혈염과 황혈염의 몰농도를 0.15 M, 0.2 M, 0.3 M, 0.4 M, 0.5 M, 0.6 M, 0.65 M 및 0.7 M로 변화시키면서 열전 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메탄올 함량이 20 중량%인 경우에는 적혈염과 황혈염이 0.1 M 내지 0.2 M 정도인 경우에도 약 3 mV/K의 열전 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메탄올 함량이 5 중량%인 경우에는 적어도 0.5 M 이상의 적혈염과 황혈염이 존재하여야 약 3 mV/K의 열전 계수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500: 열전 장치 100: 제1 전극
200: 제2 전극 ELT: 전해질 용액

Claims (9)

  1. 레독스 커플;
    물;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힐데브란트 용해도 파라미터(Hildebrand Solubility parameter, HSP)가 19 MPa1/2 내지 35 MPa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20 내지 47의 유전 상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독스 커플은
    Fe2(SO4)3/FeSO4, I-/I3-, Np4+/NpO2 +, Pu4+/PuO2 2+, CN-/CNO-, NO2 -/NO3 -, I-/IO3 -, ClO3 -/ClO4 -, ClO-/ClO2 -, Cl-/ClO-, K3Fe(CN)6/K4Fe(CN)6, K3Fe(CN)6/(NH4)4Fe(CN)6, Np3+/Np4+, Cu+/Cu2+, Fe2+/Fe3+, PuO2 +/PuO2 2+, Pu3+/Pu4+, NpO2 +/NpO2 2+, Tl+/Tl3+, NH4 +/N2H5 +, NH4 +/NH3OH+, Mn2+/Mn3+ 및 Am3+/Am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한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5. 레독스 커플;
    물;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함으로써 열전 계수가 1.5 mV/K 내지 3.0 m/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알코올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계 화합물은 1-프로판올(1-propanol), 2-프로펜-1-올(2-propene-1-ol),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 에탄올(ethan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및 메탄올(meth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8. 레독스 커플;
    물; 및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유기 용매는
    2,2-디메틸프로판니트릴(2,2-dimethylpropanenitrile), 1-프로판올(1-propanol), 부탄니트릴(butanenitrile), 2-메틸프로판니트릴(2-methylpropanenitrile), 비스(2-클로로에틸) 에테르(bis(2-chloroethyl) ether), 2-프로펜-1-올(2-propene-1-ol), 아세톤(acetone), 메톡시설피닐옥시메탄(methoxysulfinyloxymethane), 1-클로로-2,3-에폭시프로판(1-chloro-2,3-epoxypropane), 2,4-펜탄디온(2,4-pentanedione), 2-메틸-2-니트로프로판(2-methyl-2-nitropropane), 2-브로모피리딘(2-bromopyridine), 2-클로로에탄올(2-chloroethanol), 에탄올(ethanol), 2-니트로프로판(2-nitropropane), 벤조니트릴(benzonitrile), 1-포르밀피페리딘(1-formylpiperidine), 프로판니트릴(propanenitrile), N,N-디에틸포름아마이드(N,N-diethylformamide), 에틸 티오시아네이트(ethyl thiocyanate), 3-메틸술포란(3-methylsulfolane), 클로로아세토니트릴(chloroacetonitrile), 헥사메틸포스포아마이드(hexamethylphosphoramide), N,N-디에틸아세트아마이드(N,N-diethylacetamide),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e glycol),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1,4-부탄디올(1,4-butanediol), 2-프로펜니트릴(2-propenenitrile), 메탄올(methanol), N,N-디메틸프로피온아마이드(N,N-dimethylpropionamide), 4,5-디클로로-1,3-디옥소란-2-온(4,5-dichloro-1,3-dioxolan-2-one), 니트로벤젠(nitrobenzene), 니트로메탄(nitromethane), 1,3-디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딘-2(1H)-온(1,3-dimethyltetrahydropyrimidin-2(1H)-one),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및 N,N-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N,N-dimethylacet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9.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열전 장치.
KR1020150043885A 2014-04-17 2015-03-30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KR10169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04,384 US10305013B2 (en) 2014-04-17 2015-04-13 Electrolyte solution for thermoelectric device and thermo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electrolyte solution
PCT/KR2015/003653 WO2015160150A1 (ko) 2014-04-17 2015-04-13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208 2014-04-17
KR20140046208 2014-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84A KR20150120284A (ko) 2015-10-27
KR101691946B1 true KR101691946B1 (ko) 2017-01-02

Family

ID=5442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885A KR101691946B1 (ko) 2014-04-17 2015-03-30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05013B2 (ko)
KR (1) KR1016919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5956A4 (en) * 2017-03-16 2020-12-16 Systems and Software Enterprises, LLC ELECTRICAL POWER SOURCE FOR A VEHICLE SERVICE TROLLEY
KR102109581B1 (ko) * 2018-06-01 2020-05-1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열전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KR102584334B1 (ko) * 2018-06-22 2023-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전기화학적 열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열전지
US20200014079A1 (en) * 2018-07-06 2020-01-09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attery internal short circuit trigger and improved performance method
KR102311546B1 (ko) * 2019-12-26 2021-10-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화학 펠티어 셀 및 그의 제작 방법
RU2762542C1 (ru) * 2021-04-05 2021-12-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Елец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 И.А. Бунина"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ая батарея
ES2934182B2 (es) * 2021-07-20 2023-12-11 Univ Jaume I Dispositivo termoelectrico influenciado por especies red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0856A1 (ja) * 2011-04-12 2012-10-1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酸化還元反応を利用した熱電変換方法および熱電変換素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9001B2 (ja) * 1991-11-19 2000-02-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温度差電池
JP5261068B2 (ja) 2007-08-23 2013-08-14 学校法人東海大学 光電変換素子用電解質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変換素子
US20110048525A1 (en) * 2008-11-26 2011-03-03 Sony Corporation Functional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120723B1 (ko) 2009-02-27 2012-03-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열분자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78304B1 (ko) 2010-05-10 2011-10-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매화 물질을 이용한 열전변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0856A1 (ja) * 2011-04-12 2012-10-18 国立大学法人 筑波大学 酸化還元反応を利用した熱電変換方法および熱電変換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84A (ko) 2015-10-27
US20170207378A1 (en) 2017-07-20
US10305013B2 (en) 2019-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946B1 (ko)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Winsberg et al. Redox‐flow batteries: from metals to organic redox‐active materials
Bonaccorso et al. Graphene, related two-dimensional crystals, and hybrid systems for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Naoi et al. Advanced polymers as active materials and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capacitors and hybrid capacitor systems
US8422202B2 (en) Capaci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60150A1 (ko) 열전 장치용 전해질 용액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 장치
Sanchez et al. Hybrid materials
Hsu et al. Effects of environmentally benign solvents in the agarose gel electrolytes on dye-sensitized solar cells
AU2016384671B2 (en) Electrochemical systems for direct generation of electricity and heat pumping
CN103681001A (zh) 一种石墨烯电极片的制备方法
JP2014127358A (ja)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CN109690855B (zh) 非水氧化还原液流电池
EP3076446A1 (en) Hybrid type device
JP6730723B2 (ja) 非水系電解液
Cahela et al. Overview of electrochemical double layer capacitors
KR102584334B1 (ko) 전기화학적 열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열전지
HUANG CHAPTER 1: WHAT IS BIOMASS
KR102109581B1 (ko) 열전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소자
KR101842572B1 (ko) 리튬염 및 글라임계 용매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적 열전지를 위한 비수계 전해액
KR20140068896A (ko) 탄소 전극 및 전기화학적 커패시터
CN109065925B (zh) 一种铁铬氧化还原液流电池用非氟两性复合膜及制备方法
권상준 et al. Photovoltaic performance of hybrid solar cells with a solid-state redox mediator based on an ionic conductor
Tong et al. Electrochemical polymerization and properties of polyaniline doped with different acids
CN203251111U (zh) 一种防水的剃须刀充电器
JP2023102748A (ja) 液体熱電変換素子、電気化学ゼーベック係数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