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725B1 - 검체 재수집기 - Google Patents

검체 재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725B1
KR101691725B1 KR1020150055843A KR20150055843A KR101691725B1 KR 101691725 B1 KR101691725 B1 KR 101691725B1 KR 1020150055843 A KR1020150055843 A KR 1020150055843A KR 20150055843 A KR20150055843 A KR 20150055843A KR 101691725 B1 KR101691725 B1 KR 10169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container
harvesting tool
tool
b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570A (ko
Inventor
이동석
엄대운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42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icroorganisms or enzymes with electrical or wave energy, e.g. magnetism, 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A61B10/0233Pointed or sharp biopsy instru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26Inoculator or sampl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검체 재수집기는,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검체를 재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채취도구가 담긴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의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가 상기 용기 내의 용액으로 입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재수집기에 의하면,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까지도 수집하여 검사에 사용되는 검체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검체의 양을 늘림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Description

검체 재수집기{Re-collector of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Specimen) 재수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를 재수집하기 위한 검체 재수집기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신종인플루엔자, 에볼라 등의 출현과 같이, 새롭게 진화해가는 감염성 질환이 우리사회 전반에 걸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감염성 질환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적 판단을 함에 있어서, 진단검사의학의 검사 결과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진단검사의학은, 환자로부터 혈액, 수액, 흉수, 복수, 관절액, 농, 분비액, 인두점액, 요 담즙, 대변과 같은 검체를 수집하여 분자 및 세포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질병의 선별 및 조기 발견, 진단, 경과 관찰 치료하는 것이다.
특히, 환자로부터 혈액을 채취하는 채혈과정에서는, 도 1과 같은 주사기가 사용된다.
이때, 주사기의 바늘을 환자의 채혈부위에 삽입하여 상기 혈액을 진공관으로 유입시킨 뒤 상기 진공관을 빼내어 보관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도 1과 같이 탐침자의 틈 사이로 상기 혈액이 끼어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고자, 검체 수집에 사용된 채취도구의 세척장치가 제안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일본특허 특개평 제2008-249435호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검체의 수집에 사용된 노즐을 액체에 담그고, 상기 액체에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진동에 의하여 노즐에 남아있던 검체를 탈착시키는 분석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상기 분석장치는, 검체의 수집에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남아있는 검체를 제거하여 세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검체를 재수집하는 것은 불가하다. 따라서 상기 분석장치는 검체 채취도구에 검체가 남아 있음으로써, 검체가 수집되지 못한 채 낭비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집되는 검체의 양이 미량인 경우, 전체양의 상당비율의 검체가 낭비됨에 따라 검사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검체 수집에 사용된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를 재수집할 수 있는 검체 재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검체 재수집기는,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검체를 재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채취도구가 담긴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의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가 상기 용기 내의 용액으로 입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전자신호를 제공받아 진동하여 초음파를 생성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막대와, 상기 고정막대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며, 선택에 따라 위치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를 파지하는 집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높이조절막대와 집게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체 재수집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진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검체 재수집기에 의하면,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까지도 수집하여 검사에 사용되는 검체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검체의 양을 늘림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채취도구로부터 검체를 완벽히 분리시킬 수 있어, 별도로 세척과정 없이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검체 재수집기에 이용되는 채취도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재수집기를 이용하여 채취도구로부터 검체를 탈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검체 재수집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재수집기를 이용하여 채취도구로부터 검체를 탈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검체 재수집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 및 효과를 갖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체 재수집기(이하,"재수집기"라 함.)는 검체(S)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T)로부터 상기 채취도구(T)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S)를 재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재수집기는 용기(100), 하우징(200), 발진부(300), 전원부(400) 및 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채취도구(T)는,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의 탐침자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기(100)는 용액을 수용하는 것으로,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용기(100)내 담기는 용액의 종류는 간접적 분리방법과 직접적 분리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먼저 간접적 분리방법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검체를 수용 및 분리하기 위한 특수한 용액(이하,"수용액"이라 함.)이 담긴 비이커(B)에 상기 채취도구(T)를 담구고, 상기 비이커(B)를 상기 용기(100)내의 용액에 입수시켜 간접적으로 초음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는 상기 용기(100)내의 용액이 초음파를 전달하는 매질로서, 단순한 일반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직접적 분리방법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비이커(B)를 생략하고 상기 채취도구(T)를 상기 용기(100) 내의 용액에 직접 담구어 초음파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상기 용기(100)내 용액은 상기 수용액과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100)는 상단이 외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수용공간(201)을 마련하며, 상기 수용공간(201)으로 상기 용기(10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00)은 상단에 걸림홈(210)을 마련하여 상기 걸림홈(210)에 상기 걸림턱(110)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결합되는 상기 용기(100)와 하우징(200)은, 상기 용기(100)의 외면과 하우징(200)의 상기 수용공간(201)을 둘러싸는 면이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진부(300)는 상기 용기(100)에 부착되어 초음파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발진부(300)는, 신호생성부(310) 및 진동자(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생성부(310)는 상기 전원부(4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신호, 즉 전기적 초음파(KHz)를 형성하여 상기 진동자(32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동자(320)는 상기 신호생성부(310)로부터 공급받은 전자신호를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인 힘으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상기 용기(1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생성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초음파는 상기 용기(100)내의 용액에 진동을 일으키며, 상기 진동을 상기 비이커(B)내의 수용액까지 전달한다. 이러한 진동은 상기 수용액 내의 압축력과 팽창력을 반복적으로 제공하며, 이로 인해 상기 수용액 중의 미세한 이물질 혹은 기체 분자를 중심으로 수많은 기포(Cavity)가 발생하여, 상기 기포(Cavity)가 팽창하여 폭팔하면서 충격파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충격파가 상기 채취도구(T)에 전해져 그 외주면에 부착되어 있던 검체(S)를 분리시킨다.
반면, 상기 용기(100)를 상기 수용액으로 충진하고 상기 채취도구(T)를 상기 수용액에 입수시켜 직접적으로 초음파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초음파는 매질을 거치지 않고 상기 용기(100)내의 수용액에 압축력과 팽창력을 반복 제공하여 액압을 변화함으로써, 기포(Cavity)를 생성하여 상기 채취도구(T)에 충격파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초음파 분리는 용액에 담겨있는 채취도구(T)의 표면 깊숙이 침투하여 단시간 내에 이물질을 분리해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도 유해한 안전한 분리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진부(300)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상기 전원부(400)는 플러그를 구비하여 외부 교류전원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배터리로 구성되어 충전 또는 교체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채취도구(T)가 담긴 비이커(B) 또는 상기 채취도구(T)의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비이커(B) 또는 상기 채취도구(T)가 상기 용기(100) 내의 용액으로 입수되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하우징(200)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막대(510)와, 상기 고정막대(510)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며, 선택에 따라 위치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520)와, 상기 높이조절부재(520)에 결합하여 상기 비이커(B) 또는 상기 채취도구(T)를 파지하는 집게(5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부재(520)는 일단에 높이고정볼트(210)를 구비하여, 상기 높이고정볼트(210)를 조임으로써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게(530)는 양단이 이격되는 'ㄷ'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양단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볼트(531)를 포함하여, 상기 간극조절볼트(531)를 조임으로써 상기 집게(530)로 파지되는 비이커(B) 또는 채취도구(T)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높이조절막대(520)와 집게(530)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5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비이커(B) 및 채취도구(T)의 진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40)와 동등한 효과를 주기 위하여 상기 집게(530)의 내측면에 탄성체(미도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수집기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진부(300)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재수집기에 의하면,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T)로부터, 상기 채취도구(T)에 남아있는 미량의 검체(S)까지도 수집 가능하여 검사에 사용되는 검체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검체(S)의 양을 늘림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사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채취도구(T)로부터 검체(S)를 완벽히 분리시킬 수 있어, 별도로 세척과정 없이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 : 검체 T : 채취도구
100 : 용기 110 : 걸림턱
200 : 하우징 201 : 수용공간
210 : 걸림홈 300 : 발진부
310 : 신호생성부 320 : 진동자
400 : 전원부 500 : 지지부
510 : 고정막대 520 : 높이조절부재
521 : 높이고정볼트 530 : 집게
531 : 간극고정볼트 540 : 탄성부재
600 : 스위치

Claims (5)

  1. 검체를 수집하는데 사용된 채취도구로부터 상기 채취도구에 남아있는 검체를 재수집하기 위한 장치로서,
    용액을 수용하는 용기;
    상기 용기가 내부에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용기에 부착되어 초음파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채취도구가 담긴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의 일측을 고정하여 상기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가 상기 용기 내의 용액으로 입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막대와, 상기 고정막대를 따라 상하 슬라이딩하며, 선택에 따라 위치 고정되는 높이조절부재와, 상기 높이조절부재에 결합하여 상기 비이커 또는 상기 채취도구를 파지하는 집게와, 상기 고정막대와 집게의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집게에 파지된 비이커 또는 채취도구의 움직임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검체 재수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와,
    상기 용기의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신호생성부로부터 전자신호를 제공받아 진동하여 초음파를 생성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검체 재수집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진부의 구동을 조작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검체 채취도구용 검체 재수집기.
KR1020150055843A 2015-04-21 2015-04-21 검체 재수집기 KR10169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43A KR101691725B1 (ko) 2015-04-21 2015-04-21 검체 재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43A KR101691725B1 (ko) 2015-04-21 2015-04-21 검체 재수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570A KR20160125570A (ko) 2016-11-01
KR101691725B1 true KR101691725B1 (ko) 2017-01-10

Family

ID=5748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843A KR101691725B1 (ko) 2015-04-21 2015-04-21 검체 재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403A (ja) 2000-11-22 2002-06-07 Hitachi Ltd 自動分析装置
JP2009068879A (ja) 2007-09-11 2009-04-02 Olympus Corp 分注装置、分注装置の分注ノズル洗浄方法及び自動分析装置
JP2010133727A (ja) * 2008-12-02 2010-06-17 Beckman Coulter Inc 洗浄機構、洗浄方法及び分析装置
JP2014089200A (ja) 2013-12-16 2014-05-1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洗浄用ラックおよび臨床検査用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403A (ja) 2000-11-22 2002-06-07 Hitachi Ltd 自動分析装置
JP2009068879A (ja) 2007-09-11 2009-04-02 Olympus Corp 分注装置、分注装置の分注ノズル洗浄方法及び自動分析装置
JP2010133727A (ja) * 2008-12-02 2010-06-17 Beckman Coulter Inc 洗浄機構、洗浄方法及び分析装置
JP2014089200A (ja) 2013-12-16 2014-05-15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洗浄用ラックおよび臨床検査用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570A (ko) 201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4736B (zh) 双极处理装置
JP5855584B2 (ja) 部分的に回転するブレード及び固定パッドの配設を伴う超音波手術器具
SU1438745A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хирургиче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US6416525B1 (en) Ultrasonic vibrator capable of infallably preventing drops of wa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a casing of the vibrator even if autoclave sterilization without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CN108354652A (zh) 一种可重复使用的超声手术刀
RU2013153200A (ru)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модульного контроля анализируемого вещества
JP2010032554A (ja) 組織の顕微解剖のための方法
CN205795773U (zh) 一种超声骨科精细手术刀
ATE440543T1 (de) Vorrichtung zur serienweisen entnahme, aufbewahrung und verarbeitung von biopsie-proben
US200602415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damaged tissue
JP2010524609A5 (ko)
WO1999013783A1 (en) Ultrasonic liposuction devic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RU2717205C1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механических колебаний
EP184897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 probe or the like using ultrasonic energy
EP2601901A1 (en) Ultrasound therapy device
JP2017201278A (ja) 生物学的粒子を含む液体フローを形成する装置および処理装置
US10736686B2 (en) Surgical device employing a cantilevered beam dissector
US20210341360A1 (en)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KR101691725B1 (ko) 검체 재수집기
US20030029474A1 (en) Method and appratus for cleaning dental instruments such as endodontic files or the like
JP5385485B2 (ja) 超音波処置装置及びプローブユニット
CN208709995U (zh) 一种可重复使用的超声手术刀
JP2017207391A (ja) 試料注入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クロマトグラフ装置
CN209899435U (zh) 用于弹性成像的探头
CN211026104U (zh) 一种超声振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