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529B1 -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529B1
KR101691529B1 KR1020150120237A KR20150120237A KR101691529B1 KR 101691529 B1 KR101691529 B1 KR 101691529B1 KR 1020150120237 A KR1020150120237 A KR 1020150120237A KR 20150120237 A KR20150120237 A KR 20150120237A KR 101691529 B1 KR101691529 B1 KR 101691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uel pump
lubricating oil
guide pist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영
Priority to KR102015012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1/00Testing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8Lubric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펌프 내부로 공급되는 윤활오일의 누설여부를 체크하여 사전에 연료펌프의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연료펌프가 테스트장치에 설치되는 펌프 설치 단계, 상기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윤활오일이 주입되는 오일 주입 단계,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주입된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 전체에 순환되도록 대기하는 순환 대기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배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출 감지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의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하는 피스톤 상승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1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2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되는 양품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연료펌프 내부에 주입되는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체크하여 조립공정에서의 결함 여부를 사전에 발견하여 공정상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Lubrication oil leak test methods of the fuel pump}
본 발명은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펌프 내부로 공급되는 윤활오일의 누설여부를 체크하여 사전에 연료펌프의 결함을 발견하기 위한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에 사용되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료펌프는 부품 제조 및 조립공정에서 발생되는 결함으로 인해 연료펌프 내부의 윤활오일의 누설이 비정상적으로 발생하여 과도한 윤활오일의 손실을 겪고 있거나 연료펌프 내부에 윤활오일이 원활히 순환되지 않아 제품의 수명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까지는 이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이 마땅치 않아 엔진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는 결함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엔진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전에 사전 테스트를 통해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확인하여 연료펌프의 결함여부를 미리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리이크테스터 및 리이크테스트방법이 한국등록특허 제10-0222501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 누출 검지 방법은 내연기관 내부의 누설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로서, 피검사체와 동일한 내부용적으로 가지는 마스터를 이용하여 동일한 압력을 공급한 후, 발생되는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내부에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연료펌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검사방법이 번거로워 테스트 작업이 효율적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2501호 (1999.07.0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료펌프 주입되는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체크하여 사전에 연료펌프의 결함을 발견할 수 있는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연료펌프가 테스트장치에 설치되는 펌프 설치 단계, 상기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윤활오일이 주입되는 오일 주입 단계,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주입된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 전체에 순환되도록 대기하는 순환 대기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배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출 감지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의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하는 피스톤 상승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1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2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되는 양품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연료펌프 내부에 주입되는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체크하여 조립공정에서의 결함 여부를 사전에 발견하여 공정상에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에 대한 제어흐름도이다.
도 2은, 선박의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는, 선박의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펌프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오일주입호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서 가이드피스톤승강부를 확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장치에 연료펌프를 장착하여 테스트를 위해 윤활오일을 주입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펌프(100)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선박의 엔진 등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100)에 투입되는 윤활오일이 비정상적으로 누설되는지 여부를 테스트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투입되는 윤활오일이 과도하게 누설되거나 반대로 적정량으로 누설이 되지 않게 되면 결함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발견하기 위한 테스트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펌프(100)는, 대형선박 등에 사용되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펌프(100)로서, 상기 연료펌프(100)는 크게 상부하우징(140)과 하부하우징(130)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가이드피스톤(110)이 마련되어 피스톤운동을 통해 연료의 펌핑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연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주입구(180)로 주입되어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펌핑 되어 연료배출구(190)로 배출되게 된다. 도 3은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료펌프(100)는 원활한 피스톤 운동을 위해, 내부에 윤활오일이 공급되는데, 상기 윤활오일은 오일주입구(150)로 주입되어, 도 2에 도시된, 제 1 오일출구(160)와 도 3에 도시된, 제 2 오일출구(170)로 배출된다. 이때, 연료펌프(100)의 조립 시, 결함이 발생되면, 상기 윤활오일의 주입 및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어 연료공급을 위한 피스톤 운동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테스트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 연료펌프(100)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은,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료펌프(100)가 테스트장치(300)에 설치되는 펌프 설치 단계(S10), 상기 테스트장치(300)에 설치된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윤활오일이 주입되는 오일 주입 단계(S20).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주입된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100) 전체에 순환되도록 대기하는 순환 대기 단계(S30),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배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출 감지 단계(S40),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의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하는 피스톤 상승 단계(S50),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1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S60),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2 누설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S70) 및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되는 양품 판단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펌프 설치 단계(S10)는, 연료펌프(100)가 테스트장치(300)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장치(3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펌프(100)의 하부하우징(130)이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원통형의 형태로 마련되고, 하부에는 상기 연료펌프(100)의 가이드피스톤(110)을 일정한 힘으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피스톤승강부(320)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피스톤승강부(320)는, 유압폐달(500)을 이용하여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100)를 삽입 후, 상기 연료펌프(100)의 오일주입구(150)가 마련되는 위치에, 테스트를 위한 윤활오일이 상기 오일주입구(150)로 원활히 주입될 수 있도록 홀 형태로 구성되는 오일주입연결구(310)가 마련되고, 상기 연료펌프(100)의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홀 형태로 구성되는 제 1 오일출구연결구(330)가 마련된다.
이는,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테스트를 위한 상기 윤활오일을 기설정된 조건으로 원활히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기 윤활오일의 누설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오일 주입 단계(S20)는, 상기 테스트장치(300)에 설치된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윤활오일이 주입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펌프(200)를 이용하여 상기 윤활오일을 오일주입호수(400)를 통해 상기 오일주입연결구(310)에 공급한다. 상기 오일주입연결구(310)를 통해 상기 윤활오일은 상기 연료펌프(100)의 오일주입구(150)를 통해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로 주입된다.
이때, 주입되는 상기 윤활오일은 35~45℃의 온도로 예열하고, 4~6bar의 압력으로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주입된다.
이는, 선박의 엔진룸에서의 온도 및 압력 조건과 동일하게 상기 윤활오일의 점성 기준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일의 온도가 35℃미만이거나, 상기 오일의 주입되는 압력이 4bar 미만이면, 상기 오일의 점성이 기준보다 높아져 상기 오일의 누설량이 적어지므로, 누설량 측정을 통한 결함여부 테스트를 하기가 어렵고, 상기 오일의 온도가 45℃를 초과하거나, 상기 오일의 주입되는 압력이 6bar를 초과하면, 반대로 상기 오일의 점성이 기준보다 낮아져서 상기 오일의 누설량이 늘어나므로, 마찬가지로 결함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순환 대기 단계(S30)는, 상기 연료펌프(100)의 내부로 주입된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100) 전체에 순환되도록 대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 대기 단계(S30)에서는, 상기 오일 주입 단계(S20)를 통해 주입된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완전히 충진 되어 순환할 수 있도록 25~35분 동안 대기를 실시한다.
이는,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가득 충진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25분 미만으로 대기하면,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완전한 충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누설 테스트를 실시할 수 없고, 35분을 초과하여 대기하면, 이미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상기 윤활오일이 완전히 충진 되었으므로 테스트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 감지 단계(S40)는,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배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상기 윤활오일을 주입하여 순환시키면,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상기 윤활오일이 완전히 충진 된 후,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되는지 여부를 상기 제 2 오일출구(170) 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 센서부를 통해 측정하고, 상기 배출 센서부는 온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윤활오일의 온도가 35~45℃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상기 윤활오일의 온도범위가 35~45℃가 되지 않으면, 상기 순환 대기 단계(S30)로 다시 돌아가 상기 윤활오일을 충분히 순환시키며, 내부기관의 온도가 상기 윤활오일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이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선박의 엔진룸에서의 온도 및 압력 조건과 동일하게 테스트 시,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의 조건을 맞추기 위함으로, 상기 오일의 온도가 35℃미만이면, 상기 오일의 점성이 기준보다 높아져 상기 오일의 누설량이 적어지므로, 결함여부를 정확히 판별하기가 어렵고, 상기 오일의 온도가 45℃를 초과하면, 반대로 상기 오일의 점성이 기준보다 낮아져서 상기 오일의 누설량이 늘어나므로, 마찬가지로 결함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피스톤 상승 단계(S50)는,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의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은, 상기 유압폐달(50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가이드피스톤승강부(320)에 의해 상승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은 상사점의 -2mm 내지 +2mm가 되도록 상승한다.
이는,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사점의 -2mm 보다 낮게 상승시키면, 상기 연료펌프(100)가 연료를 펌핑 시,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에 형성되는 최대 압력이 형성되지 않아 정확한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체크하여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사점의 +2mm를 초과하여 상승시키면,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의 가동범위를 벗어나 상기 가이드피스톤(110) 및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 기관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조건으로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S60)는,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1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S60)에서는, 상기 제 1 오일출구(160)에 마련된 상기 제 1 누설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을 측정한다.
상기 제 1 누설 센서부는 누설되는 상기 오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커를 이용하여 누설되는 오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S70)는,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2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S70)에서는, 상기 제 2 오일출구(170)에 마련된 상기 제 2 누설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을 측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5~6분 동안 대기 후,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을 측정한다.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시킨 후, 5~6분 동안 대기 후, 누설량을 측정하는 이유는,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시킨 후, 5분이 지나지 않았을 때는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승 시킨 후,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상기 윤활오일이 배출되기 까지 완전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정확한 누설량 확인이 어렵기 때문이고, 6분이 지나면, 이미 충분히 순환이 이루어졌으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조건으로 대기 후,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배출되는 누설량을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 2 누설 센서부는 상기 제 1 누설 센서부와 마찬가지로, 누설되는 상기 오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이용가능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커를 이용하여 누설되는 오일의 량을 측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양품 판단 단계(S80)는,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품 판단 단계(S80)는,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S60) 및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S70)를 통해 측정된 상기 윤활오일의 량을 이용하여 양품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이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68ml/15min 미만이거나, 72ml/15min를 초과하면, 상기 연료펌프(100)의 조립 단계에서 일부 부품이 누락되었거나,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72ml/15min를 초과하는 것은, 플러그(196) 부분의 뉴유나 설치가 누락된 것이거나, 상부하우징(140)의 간극(clearance)가 크거나, 하부하우징(130) 내부의 오링(195)이 누락 된 경우라 판단하여 상기 연료펌프(100)의 재조립(S90)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이면 정상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 2 오일출구(170)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150ml/1min 미만이거나, 400ml/1min를 초과하면, 상기 제 1 오일출구(16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누설량을 통해 판단한 것처럼, 상기 연료펌프(100)의 조립 단계에서 일부 부품이 누락되었거나, 조립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150ml/1min 미만일 경우는, 테스트 시,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이 상사점까지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가이드피스톤(110)을 상사점의 -2mm 내지 +2mm까지 다시 상승시킨 후, 상기 테스트를 재실시 한다.
상기 테스트 재실시 후에도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150ml/1min 미만일 경우는, 상기 연료펌프(100) 내부의 플러그(196)의 과도한 잠금으로 인해 상기 윤활오일의 유로가 차단되었거나, 오러피스나 필터의 막힘 현상 등으로 판단하여 상기 연료펌프(100)의 재조립(S90)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연료펌프 110 : 가이드피스톤
120 : 롤러베어링 130 : 하부하우징
140 : 상부하우징 150 : 오일주입구
160 : 제 1 오일출구 170 : 제 2 오일출구
180 : 연료주입구 190 : 연료배출구
195 : 오링 196 : 플러그
200 : 오일펌프 300 : 테스트장치
310 : 오일주입연결구 320 : 가이드피스톤승강부
330 : 제 1 오일출구연결구 400 : 오일주입호수
500 : 유압폐달
S10 : 테스트장치에 펌프 설치
S20 : 윤활오일 주입
S30 : 윤활오일 순환을 위한 대기
S40 : 순환된 윤활오일 배출 확인
S50 : 가이드피스톤상승
S60 : 제 1 오일출구 오일 누설 감지
S70 : 제 2 오일출구 오일 누설 감지
S80 : 양품판단
S90 : 연료펌프 재조립

Claims (7)

  1. 오일주입구가 형성된 연료펌프가 테스트장치에 설치되는 펌프 설치 단계;
    상기 테스트장치에 설치된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윤활오일이 주입되는 오일 주입 단계;
    상기 연료펌프의 내부로 주입된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 전체에 순환되도록 대기하는 순환 대기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윤활오일이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배출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배출 감지 단계;
    상기 연료펌프 내부의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하는 피스톤 상승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제 1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1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
    상기 가이드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이 제 2 누설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되는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 및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제 1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68ml/15min ~ 72ml/15min이고,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오일의 량이 150ml/1min ~ 400ml/1min인 경우에는 양품으로 판단되는 양품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장치는,
    상기 연료펌프의 하부하우징을 고정할 수 있는 원통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오일주입구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홀 형태의 오일주입연결구;
    상기 제 1 오일출구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홀 형태의 제 1 오일출구연결구; 및
    상기 연료펌프의 가이드피스톤을 승강시킬 수 있는 가이드피스톤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주입 단계에서는,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4~6bar의 압력으로 상기 윤활오일이 주입되고, 상기 윤활오일 주입 시, 상기 윤활오일을 35~45℃로 예열하여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대기 단계에서는,
    상기 오일 주입 단계를 통해 주입된 상기 윤활오일이 상기 연료펌프 내부에 완전히 충진 되어 순환할 수 있도록 25~35분 동안 대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배출 센서부에 의해,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배출 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온도가 35~45℃인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일누설 감지 단계에서는,
    상기 가이드피스톤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5~6분 동안 대기 후, 상기 제 2 오일출구를 통해 누설되는 상기 윤활오일의 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상승 단계에서는,
    상기 가이드피스톤 상승 시, 상승 높이가 상사점의 -2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KR1020150120237A 2015-08-26 2015-08-26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KR101691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37A KR101691529B1 (ko) 2015-08-26 2015-08-26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0237A KR101691529B1 (ko) 2015-08-26 2015-08-26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529B1 true KR101691529B1 (ko) 2016-12-30

Family

ID=5773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237A KR101691529B1 (ko) 2015-08-26 2015-08-26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5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905A (zh) * 2020-08-27 2020-11-24 山东齐鲁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轮机用分散式润滑油系统试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501B1 (ko) 1996-03-22 1999-10-01 나까무라히로까즈 리이크테스터 및 리이크테스트방법
JP2000145592A (ja) * 1998-11-06 2000-05-26 Toyota Motor Corp 燃料ポンプ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3314436B2 (ja) * 1993-02-10 2002-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及びその気密検査方法
KR20150055477A (ko) * 2013-11-13 2015-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분사펌프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4436B2 (ja) * 1993-02-10 2002-08-12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噴射装置及びその気密検査方法
KR100222501B1 (ko) 1996-03-22 1999-10-01 나까무라히로까즈 리이크테스터 및 리이크테스트방법
JP2000145592A (ja) * 1998-11-06 2000-05-26 Toyota Motor Corp 燃料ポンプ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KR20150055477A (ko) * 2013-11-13 2015-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연료분사펌프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0905A (zh) * 2020-08-27 2020-11-24 山东齐鲁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轮机用分散式润滑油系统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630B1 (ko) 차량용 액슬하우징 누수검사장치
CN105319015B (zh) 检测飞机起落架中穿过动态密封件的泄漏的方法
KR101691529B1 (ko) 연료펌프의 윤활오일 누설 테스트 방법
KR101592402B1 (ko)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의 고장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0897410B1 (ko) 오일펌프 스틸 링에 부착되는 시일 링 검사장치
KR20170004641A (ko) 압축기의 리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
JP5301564B2 (ja) 噴射ポンプのピストンの試験方法及び装置
CN105572036A (zh) 一种燃料电池胶线密封能力测试方法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CN109506928B (zh) 阀门打压测试方法
JP3435627B2 (ja) 内燃機関の高圧燃料回路検査方法
KR102016513B1 (ko) 다양한 크기의 펌프 메커니컬실 집합체의 성능테스터
KR100890397B1 (ko) 쇽업소버의 용접 리크 검사 장치
CN214010678U (zh) 一种喷油嘴渗漏检测装置
JP4103278B2 (ja) 漏れ検査装置
KR100897935B1 (ko) 누설 및 평면도 동시 복합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101210041B1 (ko) 연료 탱크의 연료 누설 진단 방법
CN213148246U (zh) 一种焊接产品漏水检测工装
CN105971728A (zh) 泄漏检查装置
JP2010138843A (ja) シリンダヘッド構造、シリンダヘッドのリーク検査装置及びそのリーク検査方法
KR20190005275A (ko) 커먼레일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1651862B1 (ko) 커먼레일 연료 인젝터 테스트 장치용 지그
CN105443292A (zh) 喷油泵的内漏检测方法
KR20020082524A (ko) 엔진 헤드가스켓의 연소가스 누출 감지장치
CN206410833U (zh) 冲奶机的漏气测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