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313B1 -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313B1
KR101691313B1 KR1020150180998A KR20150180998A KR101691313B1 KR 101691313 B1 KR101691313 B1 KR 101691313B1 KR 1020150180998 A KR1020150180998 A KR 1020150180998A KR 20150180998 A KR20150180998 A KR 20150180998A KR 101691313 B1 KR101691313 B1 KR 101691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ance
mobile terminal
request
walk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4543A (ko
Inventor
송석우
Original Assignee
송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우 filed Critical 송석우
Priority to KR102015018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3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04W4/003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이 개시된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은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와,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안내 요청을, 무선 연결되는 상기 보행안내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위치 안내 메시지가 상기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하는 RF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WALKING GUIDED RELAY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WALKING GUIDED RELAY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단말을 통해, 보행안내장치로의 중계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보행안내장치는 예컨대, 대중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또는 특정 건물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음성이나,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종래의 보행안내장치는, 시각장애자가 소지하고 있는 별도의 제어장치(예컨대, 리모콘 형태의 제어장치)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받아, 위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이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은 보행안내장치로 안내 요청을 발생하기 위해서는, 상기 별도의 제어장치를 항상 소지해야 함에 따라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상기 제어장치를 잃어버릴 경우, 보행안내장치로 안내 요청을 발생하지 못하여, 위치 안내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보행안내장치가 고장 날 경우, 관리자가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움에 따라, 고장난 보행안내장치는 상당한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보행안내장치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에서의 안내 요청 발생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 함으로써,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아닌, 사용자(예컨대, 시각장애인)가 소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기존에 설치된 보행안내장치와 호환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동단말로의 충전을 지원하되,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은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와,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안내 요청을, 무선 연결되는 상기 보행안내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위치 안내 메시지가 상기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하는 RF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상기 키입력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과 이격된 거리 순으로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된 정보와 관련하여,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요청은, 상기 키입력 이벤트를 생성한 키버튼에 대응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중계기는 상기 목적지 정보와, 상기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 가능한 위치 안내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RF 모듈에서의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MCU(Machine Control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는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타 이동단말로, 상기 보행안내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공급하는 전력분배 전원모듈과, 상기 타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하는 MCU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요청이 정류장의 안내에 관한 것일 경우, 상기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현재위치와 상기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단계와, 중계기에서, BLE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안내 요청을,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단말에서의 안내 요청 발생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 함으로써,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아닌, 사용자(예컨대, 시각장애인)가 소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기존에 설치된 보행안내장치와 호환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동단말로의 충전을 지원하되,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보행안내장치 제어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충전 서비스 지원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정류장 안내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역, 정류장 등의 공공장소에 부착되는, 보행안내장치의 일종인 음성유도기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은 횡단보도 신호등, 가로등 등의 공익적 전자수단에 부착되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 안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음향신호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는 이동단말(101),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보행안내장치(109) 및 관리자 단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은 서비스 앱 제어장치(105) 및 중계기(10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101)은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단말(101)은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105)가 구동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앱 제어장치(105)는 예컨대,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중계기(107)와 연동하여, 보행안내장치(109)의 출력 제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오픈마켓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서비스 앱 제어장치(105)는 이동단말(101)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중계기(107)는 보행안내장치(109)와,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앱 제어장치(105)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보행안내장치(109)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중계기(107)는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101)(또는, 타 이동단말(도시하지 않음))로, 보행안내장치(109)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공급하고, 이동단말(101)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109)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111)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109)의 고장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복구하도록 하는 환경을 마련함에 따라, 보행안내장치(109)를 빠르게 정상 동작시켜, 시각장애인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보행안내장치(109)는 예컨대, 대중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또는 특정 건물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무선으로 연결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중계기(107)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해당 위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관리자 단말(111)은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103) 내 중계기(107)로부터 보행안내장치(109)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제공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109)의 고장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200)은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 및 중계기(20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이동단말에서의 키버튼에 대한 목적지 정보 설정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동단말에서의 볼륨 상(上) 버튼을 '화장실'의 목적지 정보로 설정하고, 이동단말에서의 볼륨 하(下) 버튼을 '지하철 탑승구'의 목적지 정보로 설정할 수 있다.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요청은 상기 키입력 이벤트를 생성한 키버튼에 대응하는 목적지 정보(예컨대, '화장실', '지하철 탑승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상기 키입력 이벤트에 따라, 이동단말과 이격된 거리 순으로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예컨대, 식별정보, 출력 가능한 위치 안내 메시지의 종류)를 출력하고, 이동단말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된 정보와 관련하여,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203)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를 먼저 출력하고, 이동단말에 의해 선택된 정보에 해당하는 보행안내장치로, 중계기(203)를 통해 안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 중에서, 이동단말에 의해, 하나의 보행안내장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설정된 거리 내에 보행안내장치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반면, 설정된 거리 내에 보행안내장치가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 주변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 중에서 선택된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상기 안내 요청이 정류장(예컨대,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의 안내에 관한 것일 경우, 현재위치와 상기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위치 안내 메시지(예컨대, 위치 식별정보, 정류장과의 거리 등)를 출력하는 보행안내장치를 따라,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용이하게 정류장에 도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는 상기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또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를 관리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중계기(203)는 보행안내장치와,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 함으로써,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아닌, 사용자(예컨대, 시각장애인)가 소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보행안내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보행안내장치는 예컨대, 대중교통시설(지하철역, 버스 정류장) 또는 특정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중계기(203)는 블루투스 모듈(205), RF(Radio Frequency) 모듈(207), MCU(209) 및 전력분배 전원모듈(211)을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05)은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는, 블루투스4.0(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 기반에 따른 예컨대, 50m로 규정할 수 있다.
RF 모듈(207)은 상기 안내 요청을,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위치 안내 메시지가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하도록 한다.
MCU(209)는 상기 안내 요청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와,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 가능한 위치 안내 메시지의 종류(예컨대, '화장실'에 관한 안내 메시지, '지하철 탑승구'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고려하여, RF 모듈(207)에서의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MCU(209)는 상기 결정된 전달 여부에 따라, RF 모듈(207)에서의 안내 요청에 대한 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전력분배 전원모듈(211)은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로, 보행안내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공급하여, 이동단말 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이동단말은 예컨대,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이동단말 또는 비장애인이 소지하는 타 이동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 이동단말은 서비스 앱 제어장치(201)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MCU(209)는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상기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하도록 함에 따라, 고장난 보행안내장치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보행안내장치 제어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이동단말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과 이격된 거리 순으로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에서 위치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예컨대,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303)는 이동단말(301)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따라, 이동단말(301)과 이격된 거리에 기초하여, 제1 보행안내장치(305)에 관한 정보(예컨대, 강남대로 61길 제1호) 및 제2 보행안내장치(307)에 관한 정보(예컨대, 서초대로 77길 제1호)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303)는 제2 보행안내장치(307)에 관한 정보 출력시, 이동단말(301)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제2 보행안내장치(307)와 연결되는 제2 중계기(309)로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제2 중계기(309)는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 함에 따라, 무선 연결되는 제2 보행안내장치(307)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여, 제2 보행안내장치(307)에서 위치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충전 서비스 지원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401)는 중계기(401)와 연관하여,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403)로, 보행안내장치(405)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공급 함으로써, 이동단말(403) 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보행안내장치(405)는 예컨대, 건물 입구 또는 지하철역 입구에 위치한 엘리베이터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401)는 이동단말(403)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405)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407)를, 관리자 단말(409)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405)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고장난 보행안내장치(405)를 정상상태로 복구하도록 함에 따라, 고장난 보행안내장치(405)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401)는 예컨대,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이동단말 뿐 아니라, 비장애인이 소지하는 타 이동단말로의 충전을 지원 함에 따라, 비장애인이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도, 보행안내장치(405)에 대한 고장상태를 체크하여 관리자 단말(409)로 알림으로써, 고장난 보행안내장치(405)가 방치될 수 있는 시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에서의 정류장 안내에 대한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이동단말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발생된 안내 요청이, 정류장의 안내에 관한 것일 경우, 현재위치와 상기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503)는 현재위치가 '역삼역'이고, 이동단말(501)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발생된 안내 요청 내 목적지 정보가 '강남역'일 경우, 상기 안내 요청이, 정류장의 안내에 관한 것으로 판단하여, '역삼역'과 '강남역'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3 보행안내장치(505-1, 507-1, 509-1)를 확인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503)는 이동단말(501)에서 이동시 주기적으로 키입력 이벤트를 생성하지 않아도, 제1 내지 제3 보행안내장치(505-1, 507-1, 509-1)와 연결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3 중계기(505-2, 507-2, 509-2)로 상기 안내 요청을 순차적으로 전달하여, 제1 내지 제3 중계기(505-2, 507-2, 509-2)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3 보행안내장치(505-1, 507-1, 509-1)에서 위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용이하게 '강남역'에 도착할 수 있게 한다.
제1 내지 제3 중계기(505-2, 507-2, 509-2)로의 안내 요청 발생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역삼역'의 현재위치와 제1 내지 제3 중계기(505-2, 507-2, 509-2) 간의 거리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안내 요청에 대한 발생 시점을 결정하고, 결정된 발생 시점(예컨대, 1초, 5분, 10분)에 따라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은 서비스 앱 제어장치 및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601)에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이동단말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동단말에서의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상기 키입력 이벤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과 이격된 거리 순으로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단말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상기 출력된 정보와 관련하여,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요청은 상기 키입력 이벤트를 생성한 키버튼에 대응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서비스 앱 제어장치는 상기 안내 요청이 정류장(예컨대, 버스 정류장, 지하철역)의 안내에 관한 것일 경우, 현재위치와 상기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로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 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위치 안내 메시지(예컨대, 위치 식별정보, 정류장과의 거리 등)를 출력하는 보행안내장치를 따라, 상기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고, 용이하게 정류장에 도착할 수 있게 한다.
단계(603)에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BLE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605)에서,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상기 안내 요청을,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상기 안내 요청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와,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 가능한 위치 안내 메시지의 종류를 고려하여, 보행안내장치로의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로, 보행안내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공급하여, 이동단말 내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이동단말은 예컨대, 시각장애인이 소지하는 이동단말 또는 비장애인이 소지하는 타 이동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내 중계기는 상기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하도록 함에 따라, 고장난 보행안내장치가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단말에서의 안내 요청 발생에 따라, 보행안내장치에서의 위치 안내 메시지 출력을 제어 함으로써,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별도의 제어장치가 아닌, 사용자(예컨대, 시각장애인)가 소지하는 이동단말을 통해, 기존에 설치된 보행안내장치와 호환하여, 상기 보행안내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콘센트를 통해 플러그 접속하는 이동단말에 전력을 공급하여, 이동단말로의 충전을 지원하되, 이동단말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보행안내장치에 대한 고장상태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통지 함으로써, 관리자가 보행안내장치의 고장상태를 즉각적으로 인지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저장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101: 이동단말 103: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109: 보행안내장치 111: 관리자 단말

Claims (10)

  1. 복수의 중계기에서,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계기에서, 각각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에 대해,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전달로 결정하는 중계기에서,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한 상기 보행안내장치에서, 위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한 이동단말이,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상기 이동단말의 키버튼으로 목적지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임의의 키버튼에 대한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상기 임의의 키버튼에 설정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부터 출력 가능한 위치 안내 메시지의 종류가, 상기 안내 요청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와 상응하면,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전달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상기 이동단말과 이격된 거리 순으로 보행안내장치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된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단말에서 선택 이벤트가 생성되면, 상기 선택 이벤트가 생성된 보행안내장치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현재위치와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와 연결되는 중계기 각각으로, 상기 이동단말의 이동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정류장의 안내에 관한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현재위치와 정류장 간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는 보행안내장치 간의 거리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정류장의 안내에 관한 안내 요청에 대한 발생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앱 제어장치에서, 상기 결정된 발생 시점에 따라 상기 안내 요청을 반복하여 발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8. 이동단말로부터 안내 요청을 수신하고, 각각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에 대해,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복수의 중계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중, 상기 안내 요청의 전달 여부를, 전달로 결정하는 중계기는,
    무선 연결되는 보행안내장치로 상기 안내 요청을 전달하여,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한 상기 보행안내장치에서, 위치 안내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한 이동단말이, BLE에서 규정한 범위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상기 안내 요청을 수신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에서 구동되어, 상기 이동단말의 키버튼으로 목적지 정보를 설정하고, 임의의 키버튼에 대한 키입력 이벤트에 연동하여, 상기 임의의 키버튼에 설정되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 요청을 발생하는 서비스 앱 제어장치
    를 더 포함하는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KR1020150180998A 2015-12-17 2015-12-17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10169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8A KR101691313B1 (ko) 2015-12-17 2015-12-17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98A KR101691313B1 (ko) 2015-12-17 2015-12-17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107A Division KR101580764B1 (ko) 2015-02-26 2015-02-26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43A KR20160104543A (ko) 2016-09-05
KR101691313B1 true KR101691313B1 (ko) 2016-12-29

Family

ID=5693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98A KR101691313B1 (ko) 2015-12-17 2015-12-17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751B1 (ko) * 2019-07-05 2021-01-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음성유도기의 중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8B1 (ko)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299B1 (ko) 2011-10-26 2012-05-21 주식회사 해피전자 가입자 단말기의 전원부 알람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6270A (ko) * 2007-02-15 2008-08-20 골든키정보통신 주식회사 시각 장애인 길 안내 시스템
KR20130086861A (ko) * 2012-01-26 2013-08-05 이문기 전자식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88B1 (ko) 2007-03-16 2008-07-18 주식회사 나루기술 시각 장애우 보행 경로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6299B1 (ko) 2011-10-26 2012-05-21 주식회사 해피전자 가입자 단말기의 전원부 알람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543A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764B1 (ko)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CN107000971B (zh) 用于基于用户装置检测而实施动作的智能建筑系统
US9721457B2 (en) Global positioning system equipped with hazard detector and a system for providing hazard alerts thereby
US9180784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with touch screen user interface
CN103517388B (zh) Wi-Fi火灾检测系统中的接入点同步
CN105096488A (zh) 基于语音的个性化交互式疏散引导的系统和方法
JP2017112806A (ja) 災害時給電システム
JP6801931B2 (ja) 無線標識システムの制御方法、無線標識システム、及びビーコン
CN110971289B (zh) 无人机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KR101766901B1 (ko) IoT 기반의 교통약자 배려 유도시스템
KR101691313B1 (ko)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 및 보행 안내 중계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2017139746A (ja) 乗客通信システム
US100898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delivery notification with a doorbell
KR10204827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장치 및 방법
WO2012008755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the same
KR101629549B1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KR101633308B1 (ko) 시각 장애인용 자동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4974243B2 (ja) 無線電力配電システム
JP2018093567A (ja) サービス提供装置
WO2020194696A1 (ja) 列車制御システム
US8825553B2 (en) Secure customer acknowledgement of relay actuation
KR101665287B1 (ko)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장치 및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001097A (ko) 스탬프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
KR101625295B1 (ko) 스마트폰 인증을 이용한 di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4642B1 (ko)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장치 및 안전운전을 지원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