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82B1 -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 Google Patents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82B1
KR101691182B1 KR1020150157505A KR20150157505A KR101691182B1 KR 101691182 B1 KR101691182 B1 KR 101691182B1 KR 1020150157505 A KR1020150157505 A KR 1020150157505A KR 20150157505 A KR20150157505 A KR 20150157505A KR 101691182 B1 KR101691182 B1 KR 101691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ground
rotational force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리맥스통상
Priority to KR102015015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45C2005/141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은,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구르는 제1 바퀴가 구비되고, 케이스의 하단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지지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제1 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또는 이동되어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SUIT CASE HAVING SUPPORT TYPE BRAKE}
본 발명은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여행가방은 여행용품을 보관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방으로서 바퀴와 손잡이가 설치된 형태가 많이 사용되며, 바퀴에 브레이크가 설치된 여행가방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0423호에는 핸들 브레이크식 캐스터 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0423호는 신축핸들이 누름부의 아래쪽에서 감입식 lock bracket의 상단을 누르면, 감입식 lock bracket이 내려지면서 감입식 lock bracket의 감입부가 원형치반의 위치 결정 테두리에 끼워지며, 이에 따라 캐스터의 회전이 차단된다.
그러나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0423호와 같이 캐스터의 테두리에 걸림구조를 형성하거나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캐스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동장치는 캐스터의 테두리와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에 캐스트의 회전력이 반복적으로 집중됨에 따라, 사용할수록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이 마모되어 제동력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겨울철이나 추운 지역에서는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이 쉽게 부러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0423호와 같이 캐스터의 테두리에 걸림구조를 형성하거나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캐스터의 회전을 차단하는 제동장치는 복잡한 걸림 구조나 마찰면 구조를 형성해야 하여 제조시 불량률이 높고, 제동장치에 의해 여행가방 전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0001)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0423호 (등록일: 2012.11.28)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동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여행가방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여행가방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동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여행가방을 끌더라도 자동으로 제동력이 해제되고,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형성하여도 마모에 의한 제동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구르는 제1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대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아래쪽으로 인입되거나 위쪽으로 당겨져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에 인입될 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과 연동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가 위쪽으로 당겨지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탄성 회복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1 압축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에 인입될 때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가압력을 상기 지지부재로 전달하는 제2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는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탄성 회복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의 가압력을 상기 제2 압축스프링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제1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제2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력과 상기 제2 회전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부재는 탄성 회복력으로 상기 제1 회전력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감겨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중에 의한 제3 회전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3 회전력은 상기 제2 회전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끈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끈의 타단부를 상방으로 당기면,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바퀴가 들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3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상기 제1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지지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제3 회전력이 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전달부재 및 상기 제2 전달부재의 일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감겨 상기 제1 회전력 및 상기 제2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 각각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연결바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브래킷 각각에는, 상기 제1 회전력에 의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서로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회전력에 의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서로 접촉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구간의 양쪽 경계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부재는 탄성 회복력으로 상기 제1 회전력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감겨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끈의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감기고,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 상기 끈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손잡이; 및 양단부가 상기 끈에 결합되어 장력에 의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지지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2 회전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또는 이동되어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는 지지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의 내부에 손잡이의 가압력을 지지부재로 전달하는 제2 압축스프링이 구비됨으로써, 제동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여행가방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여행가방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형성함에 따라, 지지부재의 단부가 일부 마모되더라도 지지부재의 단부와 지면이 닿는 마찰력 형성 구조는 변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형성하여도 마모에 의한 제동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부분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지지부재와 조작수단의 연동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지지부재 및 조작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제동력을 형성하는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제동력을 제거하는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은,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은, 제동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여행가방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여행가방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은, 제동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여행가방을 끌더라도 자동으로 제동력이 해제되고,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형성하여도 마모에 의한 제동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부분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1)은,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으면서도 제동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여행가방(1)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여행가방(1)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케이스(CS), 바퀴(W1,W2), 지지부재(100) 및 조작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CS)는 하드 케이스 또는 소프트 케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는 대략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케이스(CS)를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바퀴가 결합된다.
바퀴는 제1 바퀴(W1) 및 제2 바퀴(W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바퀴(W1)는 지지부재(100)의 회전에 의해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바퀴이고, 제2 바퀴(W2)는 지지부재(1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지면(G)에 닿아있는 바퀴로서, 제1 바퀴(W1)와 제2 바퀴(W2)의 구분은 지지부재(100)의 설치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여행가방(1)의 하단에는 귀퉁이에 4개의 바퀴가 형성되므로, 손잡이(HD)의 아래쪽에 구비된 2개의 바퀴 사이에 지지부재(100)를 설치하면, 손잡이(HD) 아래쪽 바퀴가 제1 바퀴(W1)를 이루고, 나머지 2개의 바퀴는 제2 바퀴(W2)를 이루게 된다.
도 1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는 여행가방(1)의 제동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대(SP)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조작수단(200)에 의해 슬라이드이동하여 지면(G)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지지대(SP)는 여행가방(1)의 손잡이(HD)가 인입되거나 빠지는 구성으로서, 세로방향으로 긴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SP)는 케이스(CS) 내부에 설치되어 상단과 하단이 케이스(CS) 바깥으로 개구된다. 지지부재(100)는 몸체(110) 및 확장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10)는 세로방향으로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긴 바(bar) 형태로 형성되며, 확장부(120)는 몸체(11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는 확장부(12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단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수단(200)은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지면(G)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지지부재(10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손잡이(HD), 제1 압축스프링(S1), 제2 압축스프링(S2), 슬라이더(SL) 및 마감부재(EM)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HD)는 지지대(SP)에 아래쪽으로 인입되거나 위쪽으로 당겨져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종래 여행가방에 구비된 retractable handle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HD)는 파지되는 부분(이하 '파지부')과 지지대(SP)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부분(이하 '슬라이딩부')으로 구성된다. 슬라이딩부는 서로 평행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 지지대(SP)에 삽입되고, 파지부는 슬라이딩부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형태로 케이스(CS) 바깥으로 노출된다. 슬라이딩부의 하단부에는 탄력부재(RE)가 구비된다. 탄력부재(RE)는 고무 등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어 슬라이더(SL)와의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스프링(S1)은 손잡이(HD)의 가압력과 반대방향 즉, 지지부재(100)를 위쪽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대(SP) 내부에서 마감부재(EM)와 확장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손잡이(HD)의 가압력은 사용자가 손잡이(HD)를 지지대(SP)로 인입시키는 힘을 의미한다.
마감부재(EM)는 지지대(SP)의 안쪽에서 하단부에 구비되어 제1 압축스프링(S1)의 하단부 유동 경계를 형성한다. 마감부재(EM)에는 몸체(11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제1 압축스프링(S1)은 그 하단부가 마감부재(EM)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확장부(120)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제1 압축스프링(S1)은 확장부(120)의 아래에서 몸체(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마감부재(EM)와 확장부(120) 사이에서 지지부재(100)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스프링(S1)은 손잡이(HD)의 가압력이 제거된 상태 즉, 손잡이(HD)가 지지대(SP)로부터 인출되어 손잡이(HD) 하단부가 슬라이더(SL)와 이격된 상태에서에서 지지부재(100), 제2 압축스프링(S2) 및 슬라이더(SL)의 하중만을 지지하며,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100)는 제1 압축스프링(S1)의 길이에 의해 지면(G)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압축스프링(S2)은 손잡이(HD)의 가압력을 지지부재(10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지지대(SP) 내부에서 슬라이더(SL)와 확장부(120) 사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압축스프링(S2)은 확장부(120)의 위쪽에서 몸체(110)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며, 슬라이더(SL)와 확장부(120) 사이에서 손잡이(HD)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SL)는 제2 압축스프링(S2)과 손잡이(HD)의 하단부 사이에서 손잡이(HD)의 가압력을 제2 압축스프링(S2)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슬라이더(SL)에는 몸체(110)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다. 제2 압축스프링(S2)은 그 하단부가 확장부(120)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슬라이더(SL)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인출되었던 손잡이(HD)를 지지대(SP)로 인입시키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HD)의 하단부는 슬라이더(SL)를 가압하여 아래로 이동시키고,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슬라이더(SL)와 마감부재(EM) 사이에서 동시에 탄성 압축된다.
스프링 상수는 용수철에 작용하는 힘과 길이변화의 비례관계를 표시하는 상수로서, 스프링의 영률(Young's modulus)이다. 용수철을 원래 길이에서 x만큼 잡아당기거나 압축시키면 길이 x에 비례하는 크기의 복원력 F가 생긴다. 이때 F와 x의 비율이 용수철상수 k = F/x 이다.
따라서,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이 서로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도 3b와 같이 동시에 압축되는 경우, 아래의 식을 만족하게 된다. F1은 제1 압축스프링(S1)에 작용하는 힘, k1은 제1 압축스프링(S1)의 스프링 상수, x1은 제1 압축스프링(S1)의 길이변화, F2는 제2 압축스프링(S2)에 작용하는 힘, k2는 제2 압축스프링(S2)의 스프링 상수, x2는 제2 압축스프링(S2)의 길이변화를 의미한다.
Figure 112015109444574-pat00001
즉,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의 길이변화의 비는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의 스프링 상수의 비와 반비례한다.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하단부가 지면(G)에 닿을 때까지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길이변화를 하게 된다.
지지부재(100)의 하단부가 지면(G)에 닿은 이후에는 손잡이(HD)의 가압력이 지속되어 슬라이더(SL)가 아래로 이동하더라도 제1 압축스프링(S1)의 탄성 변형은 중단되는 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은 슬라이더(SL)에 의해 Δx의 길이만큼 탄성 압축이 지속된다.
따라서, 도 3c와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이 Δx의 길이만큼 더 탄성 압축된 상태에서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x2의 증가에 의해 아래의 식을 만족하게 된다.
Figure 112015109444574-pat00002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 압축이 더 진행된 후 손잡이(HD)의 이동이 구속된 상태에서 손잡이(HD)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제1 압축스프링(S1)과 제2 압축스프링(S2)은 아래의 식을 만족하게 된다. WB는 하나의 제1 바퀴(W1)가 지지하던 하중(대략 여행가방(1) 하중의 1/4)을 의미한다.
Figure 112015109444574-pat00003
즉, [수학식 2]와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 압축이 더 진행되어 F2가 F1보다 큰 상태에서 손잡이(HD)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거되면, 손잡이(HD)가 이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학식 3]과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이 제1 압축스프링(S1)과 힘의 균형을 형성할 때까지 신장되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하단은 제1 바퀴(W1)보다 더 지면(G)으로 돌출되며, 지지부재(100)의 하단과 지면(G)이 마찰력을 형성함으로써, 여행가방(1)에 제동력을 형성하게 된다. 지지부재(100)의 하단이 돌출되는 길이는 WB에 의해 다소 감소하게 된다.
제2 압축스프링(S2)은 제1 압축스프링(S1)보다 큰 스프링 상수(spring constant)를 갖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2 압축스프링(S2)이 제1 압축스프링(S1)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질수록 [수학식 2]에서 [수학식 3]을 만족하기 위해 제2 압축스프링(S2)이 신장되고 제1 압축스프링(S1)이 압축되는 길이 즉, 도 3d에서 지지부재(100)가 돌출되는 길이가 증가하게 된다.
즉, 제2 압축스프링(S2)이 제1 압축스프링(S1)보다 더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질수록 지지부재(100)가 돌출되는 길이(도 3d 참조) 대비 제2 압축스프링(S2)이 더 탄성 압축되는 길이(도 3c 참조)를 짧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HD)에는 도 3c와 같이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 압축이 더 진행된 상태에서 손잡이(HD)의 인출을 구속하는 단속유닛(210)이 형성될 수 있다. 단속유닛(210)은 버튼(211), 걸림쇠(212), 링커(213) 및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림쇠(212)는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슬라이딩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지지대(SP)를 향해 돌출된다. 버튼(211)은 파지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버튼(211)과 걸림쇠(212)는 손잡이(HD)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링커(213)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압축스프링(S2)이 Δx의 길이만큼 더 탄성 압축된 상태(도 3c 참조)에서, 걸림쇠(2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SP)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손잡이(HD)의 인출방향으로 구멍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HD)는 걸림쇠(212)에 의해 지지대(SP)로부터의 인출이 구속되며,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HD)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더라도 제1 압축스프링(S1) 및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 회복력에 의한 슬라이더(SL)의 이동이 방지된다.
버튼(211)과 걸림쇠(21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버튼(211)을 누르게 되면, 링커(213)의 회전에 의해 걸림쇠(212)가 지지대(SP)의 구멍으로부터 빠지게 되며, 제1 압축스프링(S1) 및 제2 압축스프링(S2)에 대한 손잡이(HD)의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손잡이(HD)가 제1 압축스프링(S1) 및 제2 압축스프링(S2)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되는 동시에 지지부재(100)는 제1 압축스프링(S1)의 탄성 회복력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G)으로부터 이격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지지부재와 조작수단의 연동회전구조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10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의 지지부재 및 조작수단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제동력을 형성하는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6은 도 4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에 제동력을 제거하는 사용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2)은, 제동력이 형성된 상태에서 여행가방(2)을 끌더라도 자동으로 제동력이 해제되고,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형성하여도 마모에 의한 제동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케이스(CS), 바퀴(W1,W2), 지지부재(100) 및 조작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CS)는 하드 케이스(CS) 또는 소프트 케이스(CS)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는 대략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사용자가 케이스(CS)를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바퀴가 결합된다.
바퀴는 제1 바퀴(W1) 및 제2 바퀴(W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바퀴(W1)는 지지부재(100)의 회전에 의해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는 바퀴이고, 제2 바퀴(W2)는 지지부재(100)의 회전과 상관없이 지면(G)에 닿아있는 바퀴로서, 제1 바퀴(W1)와 제2 바퀴(W2)의 구분은 지지부재(100)의 설치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일반적으로 여행가방(2)의 하단에는 귀퉁이에 4개의 바퀴가 형성되므로, 손잡이(HD)의 아래쪽에 구비된 2개의 바퀴 사이에 지지부재(100)를 설치하면, 손잡이(HD) 아래쪽 바퀴가 제1 바퀴(W1)를 이루고, 나머지 2개의 바퀴는 제2 바퀴(W2)를 이루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CS)에는 상단부에 사용자가 쉽게 여행가방(2)을 끌도록 손잡이(HD)가 설치된다. 도 4에는 출몰식 손잡이(HD)가 도시되었으나, 고정식 및 회전식 손잡이(HD)가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는 여행가방(2)의 제동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회전부(11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CS)의 하단부에는 회전부(110) 및 지지부(120)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B)이 설치된다. 브래킷(B)은 회전부(110)의 회전축이 제2 바퀴(W2)를 서로 연결한 가상선과 평행한 상태로 케이스(CS)에 결합된다.
회전부(110)는 전달부재에 의해 회전력이 인가되는 구성으로서, 제1 전달부(111), 제2 전달부(112) 및 공회전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달부(111)는 제1 전달부재(210)의 일단부가 감기는 부분으로, 제1 전달부재(210)의 일단부는 공회전부(1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감기게 된다.
제1 전달부재(210)의 일단부에는 홀(h)이 형성되고, 제1 전달부(111)에는 홀(h)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전달부재(210)는 그 일단부가 제1 전달부(111)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풀리거나 다시 감기게 된다. 제1 전달부(111)는 공회전부(113)의 회전축을 따라 제2 전달부(112)의 양쪽에 형성된다.
제2 전달부(112)는 제2 전달부재(220)의 일단부가 감기는 부분으로, 제2 전달부재(220)의 일단부는 공회전부(1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감기게 된다.
제2 전달부재(220)의 일단부에는 홀(h)이 형성되고, 제2 전달부(112)에는 홀(h)에 걸리는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전달부재(220)는 그 일단부가 제2 전달부(112)의 외주면에 걸린 상태에서 감기거나 풀리게 된다.
제1 전달부재(210)와 제2 전달부재(220)는 제1 전달부(111)와 제2 전달부(11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겨 서로 반대방향의 회전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조작수단(20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공회전부(113)는 브래킷(B)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회전하는 구성으로서, 디스크(disc) 형태로 형성된다. 공회전부(113)는 그 회전축을 따라 제1 전달부(111)와 제2 전달부(112)의 사이와 양쪽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회전부(110)는 공회전부(113)의 외주면이 브래킷(B)의 내주면을 미끄러지며 회전하게 된다.
제1 전달부재(210) 및 제2 전달부재(220)는 제1 전달부(111) 및 제2 전달부(112)에 감긴 상태에서도 공회전부(113)보다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회전부(110)가 브래킷(B) 안쪽에서 회전하더라도 브래킷(B)의 내주면과 제1 전달부재(210) 및 제2 전달부재(220)는 서로 마찰하지 않게 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은 회전부(110) 및 지지부(120)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구성으로서, 몸체(B1) 및 커버(B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B1) 및 커버(B2)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안쪽에 원통형 공간을 형성하며, 회전부(110)는 몸체(B1)와 커버(B2) 사이에 형성된 원통형 공간에서 제1 전달부재(210) 및 제2 전달부재(220)의 회전력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브래킷(B)의 내주면에는 공회전부(113)의 회전축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1 돌출부(D1)가 형성된다. 제1 돌출부(D1)는 브래킷(B)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이에 따라 회전부(110)에 회전축방향의 외력이 작동하더라도 공회전부(113)의 가장자리가 제1 돌출부(D1)에 걸림으로써 회전부(110)의 유동 및 이탈이 방지된다.
몸체(B1)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B1a)가 형성되고, 커버(B2)에는 체결부(B1a)가 관통하는 삽입홀(B2a)이 형성된다. 체결부(B1a)는 커버(B2)의 아래쪽에서 삽입홀(B2a)에 삽입되고, 커버(B2)를 케이스(CS)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CS)의 내부에서 볼트를 통해 결속구(C)와 결합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는 회전력에 의해 지면(G)에 닿아 제1 바퀴(W1)를 지면(G)과 이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연장부(121), 제2 연장부(122) 및 플랜지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연장부(121)는 회전부(110)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제2 연장부(122)는 제1 연장부(121)의 단부로부터 회전부(110)의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2 연장부(122)는 회전부(110)의 회전시 그 단부가 지면(G) 쪽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1 연장부(121)와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10) 및 지지부(120)에는 회전부(110)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중공부(A)가 형성되고, 회전부(110) 및 지지부(120)는 중공부(A)에 삽입되는 연결바(130)에 의해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중공부(A)는 회전부(110)에서 회전축을 따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120)에서는 플랜지부(123)를 관통하여 제1 연장부(121)의 안쪽에 형성된다.
연결바(130)는 중공부(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회전하지 않는 형태 즉, 비대칭 단면으로 형성되며, 지지부(120)는 연결바(130)에 의해 회전부(11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부(11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플랜지부(123)는 지지부(120)의 회전축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브래킷(B)의 양쪽 단부에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플랜지부(123)가 걸리는 제2 돌출부(D2)가 형성된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B)은 케이스(CS)의 하단부에서 제1 바퀴(W1) 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2)은, 조작수단(200)에 의한 회전력으로 지지부재(100)를 회전시켜 제1 바퀴(W1)를 지면(G)에서 이격시키고 제2 연장부(122)의 단부가 지면(G) 닿아 지면(G)과의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00)는 제1 바퀴(W1) 쪽에 위치하여야 하며, 브래킷(B)은 지지부재(10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이므로 케이스(CS)의 하단부에서 제1 바퀴(W1) 쪽으로 치우쳐서 설치된다.
도 6,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수단(200)은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지면(G)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지지부재(1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전달부재(210) 및 제2 전달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전달부재(210)는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지면(G)과 이격되도록 지지부재(100)에 제1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탄성 회복력으로 제1 회전력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전달부재(210)는 고무나 실리콘 등 탄력적으로 신축하는 재질의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제1 전달부(111)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커버(B2)에 결합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부재(210)의 일단부는 돌기와 홀(h)에 의해 제1 전달부(111)에 결합되고, 타단부도 돌기와 홀(h)(커버(B2)의 상면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제1 전달부재(210)의 타단부에는 홀(h)이 형성됨)에 의해 커버(B2)에 결합된다. 커버(B2)에는 제1 전달부재(210)가 돌기를 향해 빠져나오는 구멍이 형성된다.
제1 전달부재(210)는 공회전부(113)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제1 전달부(111)에 감긴 상태로 조립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달부재(220)는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지면(G)에 닿도록 지지부재(100)에 제2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끈(221), 파지부(222) 및 탄성부재(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끈(221)은 일단부가 지지부재(100)에 감겨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유연하고 질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부가 제2 전달부(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케이스(CS)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221)의 일단부는 돌기와 홀(h)에 의해 제2 전달부(112)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케이스(CS)에 형성된 관통구멍(H)을 통해 케이스(CS)의 외부로 노출된다. 파지부(222)는 사용자가 끈(221)을 외부로 당기기 위해 끈(22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탄성부재(223)는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파지부(222)를 관통구멍(H)에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양단부가 끈(221)에 결합되어 제2 전달부재(220)에 형성된 장력에 의해 신축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끈(221)은, 제2 전달부재(220)가 파지부(222)를 통해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23)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한 부분(221A, 이하 '여유부분')이 탄성부재(223)보다 긴 길이로 구비되어 탄성부재(223)의 양단부 사이에서 탄력 없이 늘어진 상태가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3)는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약간 인장된 상태로 있으며, 파지부(222)는 탄성부재(223)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부재(100)가 회전된 위치와 관계없이 관통구멍(H)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끈(221)이 파지부(222)를 통해 인출되면 장력에 의해 탄성부재(223)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여유부분(221A)의 탄력 없이 늘어진 정도가 점점 감소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3)는 여유부분(221A)의 길이와 같아질 때까지 늘어날 수 있다.
제1 전달부재(210)도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약간 인장된 상태로 구비된다.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달부재(210)와 제2 전달부재(220)는 제1 전달부(111)와 제2 전달부(11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다.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제1 전달부재(21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1 전달부(111)에 형성된 제1 회전력이 제2 전달부재(2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제2 전달부(112)에 형성된 제2 회전력보다 크며, 이에 따라 지지부재(100)의 단부는 지면(G)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당겨 회전부(110)에 제1 회전력보다 큰 제2 회전력이 형성되면, 지지부재(100)의 단부는 지면(G)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상방으로 당기면 제2 전달부재(220)의 장력에 의해 제1 바퀴(W1)가 지면(G)과 이격되어 들리게 되며, 제2 연장부(122)의 단부는 회전부(1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지면(G)에 닿아 제1 바퀴(W1) 대신 여행가방(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상방으로 당기지 않더라도 여행가방(2)의 손잡이(HD)를 상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제2 연장부(122)의 단부를 회전부(1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반대쪽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10) 및 브래킷(B) 각각에는, 지지부재(100)의 회전구간의 양쪽 경계를 형성하는 제1 접촉부(U1)와 제2 접촉부(U2)가 형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1 접촉부(U1)와 제2 접촉부(U2)는 제1 전달부(111) 및 커버(B2)에 각각 형성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부(U1)는 제2 연장부(122)가 지면(G)과 이격되게 회전되는 경우, 즉 제동력을 형성하지 않는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서로 접촉하여 제2 연장부(122)가 지면(G)과 이격되는 회전방향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U2)는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당김으로써 제2 연장부(122)가 지면(G)과 닿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즉 제동력을 형성하는 상태로 회전되는 경우 서로 접촉하여 제2 연장부(122)가 지면(G)에 닿는 회전방향의 경계를 형성하게 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부(U2)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제2 연장부(122)의 단부는 회전부(11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동력을 형성하지 않는 위치와 반대쪽으로 이동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제2 연장부(122)는 여행가방(2)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이때 회전부(110)에는 여행가방(2)의 하중에 의한 제3 회전력이 형성된다.
제3 회전력은 제2 회전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여행가방(2)의 하중에 의해 제1 회전력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파지부(222)를 놓음으로써 제2 회전력이 제거되더라도 지지부재(100)는 지면(G)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퀴(W1)가 지면(G)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에 의해 제동력이 형성된 상태(도 14 참조)에서 사용자가 여행가방(2)을 제1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즉, 제2 바퀴(W2)가 지면(G)과 이격되게 기울이면, 지지부재(100)는 (제2 접촉부(U2) 간 접촉에 의해) 제2 연장부(122)의 단부를 회전중심으로 케이스(CS)와 함께 수직한 상태까지 회전(도 15 참조)된다.
이후 여행가방(2)을 제1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더 기울이면 지지부재(100)에 인가되는 케이스(CS)의 하중이 제거되는 동시에 회전부(110)에 형성되어 있던 제3 회전력이 해제됨으로써, 지지부재(100)가 제1 회전력에 의해 지면(G)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도 16 참조)된다.
종래의 여행가방용 제동장치는 캐스터의 테두리에 걸림구조를 형성하거나 마찰력을 가함으로써 캐스터의 회전을 차단함으로써 캐스터의 테두리와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에 캐스트의 회전력이 반복적으로 집중됨에 따라, 사용할수록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이 마모되어 제동력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겨울철이나 추운 지역에서는 마찰하거나 걸리는 부분이 쉽게 부러져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제동장치는 캐스터의 테두리에 복잡한 걸림 구조나 마찰면 구조를 형성해야 하므로 제조시 불량률이 높고, 제동장치에 의해 여행가방 전체의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또는 이동되어 단부가 지면(G)에 닿거나 이격되는 지지부재(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1 바퀴(W1)를 지면(G)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제동력을 형성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1,2)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대(SP)의 내부에 손잡이(HD)의 가압력을 지지부재(100)로 전달하는 제2 압축스프링(S2)이 구비됨으로써, 제동력을 형성한 상태에서 여행가방(1)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여행가방(1)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지면(G)과 마찰하여 제동력을 형성함에 따라, 지지부재(100)의 단부가 일부 마모되더라도 지지부재(100)의 단부와 지면(G)이 닿는 마찰력 형성 구조는 변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반복적으로 작동하여 제동력을 형성하여도 마모에 의한 제동력 감소가 발생하지 않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1,2)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여행가방
100 : 지지부재 200 : 조작수단
110 : 몸체 HD : 손잡이
120 : 확장부 S1 : 제1 압축스프링
210 : 단속유닛 S2 : 제2 압축스프링
211 : 버튼 SL : 슬라이더
212 : 걸림쇠 EM : 마감부재
213 : 링커 RE : 탄력부재
214 : 스프링
2 : 여행가방
100 : 지지부재 200 : 조작수단
110 : 회전부 210 : 제1 전달부재
111 : 제1 전달부 220 : 제2 전달부재
112 : 제2 전달부 221 : 끈
113 : 공회전부 222 : 파지부
A : 중공부 223 : 탄성부재
U1 : 제1 접촉부 h : 홀
U2 : 제2 접촉부 B : 브래킷
P : 돌기 B1 : 몸체
120 : 지지부 B2 : 커버
121 : 제1 연장부 B1a : 체결부
122 : 제2 연장부 B2a : 삽입홀
123 : 플랜지부 C : 결속구
130 : 연결바
CS : 케이스
W1 : 제1 바퀴
W2 : 제2 바퀴
H : 관통구멍
HD : 손잡이
G : 지면

Claims (17)

  1.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구르는 제1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대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아래쪽으로 인입되거나 위쪽으로 당겨져 사용되는 손잡이; 및
    상기 지지부재를 위쪽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제1 압축스프링보다 큰 스프링 상수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에 인입될 때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서 상기 손잡이의 가압력을 상기 지지부재로 전달하는 제2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는 상기 제2 압축스프링의 탄성 회복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지지대에 인입될 때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이동과 연동하여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가 위쪽으로 당겨지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압축스프링의 탄성 회복에 의해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대 내부에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 압축스프링과 상기 손잡이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손잡이의 가압력을 상기 제2 압축스프링으로 전달하는 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6.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구르는 제1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조작수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제1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전달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제2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력과 상기 제2 회전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재는 탄성 회복력으로 상기 제1 회전력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감겨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단부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케이스의 하중에 의한 제3 회전력이 작용하고,
    상기 제3 회전력은 상기 제2 회전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제1 회전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회전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끈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사용자가 상기 끈의 타단부를 상방으로 당기면,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제1 바퀴가 들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제3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상기 제1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기울이면, 상기 지지부재에 인가되는 상기 케이스의 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제3 회전력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전달부재 및 상기 제2 전달부재의 일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감겨 상기 제1 회전력 및 상기 제2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회전하고, 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 각각에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는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연결바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며,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브래킷 각각에는, 상기 제1 회전력에 의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서로 접촉되는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회전력에 의한 상기 회전부의 회전시 서로 접촉되는 제2 접촉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구간의 양쪽 경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단부는, 상기 제1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와 상기 제2 접촉부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재는 탄성 회복력으로 상기 제1 회전력을 형성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지지부를 회전가능하게 감싸는 브래킷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감겨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끈의 타단부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전달부재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감기고, 타단부를 당기는 장력으로 상기 제2 회전력을 형성하는 끈;
    상기 끈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 및
    양단부가 상기 끈에 결합되어 장력에 의해 신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지지부재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상기 제2 회전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KR1020150157505A 2015-11-10 2015-11-10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KR101691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05A KR101691182B1 (ko) 2015-11-10 2015-11-10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505A KR101691182B1 (ko) 2015-11-10 2015-11-10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182B1 true KR101691182B1 (ko) 2016-12-30

Family

ID=57737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05A KR101691182B1 (ko) 2015-11-10 2015-11-10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1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26A (ko) * 2021-10-08 2023-04-17 임희선 이동식 정리함
KR20230099026A (ko) 2021-12-27 2023-07-04 이시현 여행용 캐리어의 브레이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423B2 (ja) 1992-03-09 2001-06-2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接眼装置
JP2010279633A (ja) * 2009-06-08 2010-12-16 Izumi Tanigawa 転がり防止用スタンドを持つ旅行用スーツケース
JP5098040B2 (ja) * 2007-05-07 2012-12-12 ワタナベ株式会社 4車輪付きのバッ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423B2 (ja) 1992-03-09 2001-06-25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内視鏡の接眼装置
JP5098040B2 (ja) * 2007-05-07 2012-12-12 ワタナベ株式会社 4車輪付きのバッグ
JP2010279633A (ja) * 2009-06-08 2010-12-16 Izumi Tanigawa 転がり防止用スタンドを持つ旅行用スーツケー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0626A (ko) * 2021-10-08 2023-04-17 임희선 이동식 정리함
KR102528276B1 (ko) * 2021-10-08 2023-05-03 임희선 이동식 정리함
KR20230099026A (ko) 2021-12-27 2023-07-04 이시현 여행용 캐리어의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414B1 (en) Collapsible handle for a portable luggage
US9049908B2 (en) Brake system for wheeled luggage case and control device thereof
US6409207B1 (en) Swivel draw bar structure of a suitcase
US9193562B2 (en) Universal reel device
US6503019B1 (en) Replaceable top tube for bicycles
KR101691182B1 (ko) 지지식 제동형 여행가방
US8157245B2 (en) Ratchet tie-down and reinforcement assembly
TW200831851A (en) Automatic locking tape measure
JP2007500835A (ja) コードロック装置
CN105935041A (zh) 一种宠物牵引器
GB2377429A (en) Wheeled suitcases
KR20190020123A (ko) 애완동물 견인기
CN105318795A (zh) 卷尺组件
US10137868B2 (en) Braking device for vehicles such as, for example, walking frames, strollers or disabled wheelchairs
US20040168937A1 (en) Case for holding a disc-shaped article
JP2005137902A (ja) 車輪付きの旅行鞄のための引き込み可能な傾斜した牽引ハンドルシステム
US9573025B2 (en) Golf ball retriever
JP3184906U (ja) スーツケース等のバッグ類における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JP5695123B2 (ja) スーツケース等のバッグ類における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US20120061026A1 (en) Tacky Tape Device for Removing Dirty Objects
JP4712216B2 (ja) スノーチェーンの解除装置
US6510927B1 (en) Locking device for wheels of a golf cart
KR101705434B1 (ko)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가지는 자전거용 핸들 브레이크 레버 조립체
JP3535065B2 (ja) ブレーキ機構付き手押し運搬車
JP5501433B2 (ja) バッグのキャス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